[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62963B1 - 전화 단말기의 선택적 착신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 단말기의 선택적 착신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963B1
KR100962963B1 KR1020080006456A KR20080006456A KR100962963B1 KR 100962963 B1 KR100962963 B1 KR 100962963B1 KR 1020080006456 A KR1020080006456 A KR 1020080006456A KR 20080006456 A KR20080006456 A KR 20080006456A KR 100962963 B1 KR100962963 B1 KR 100962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service
phone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0601A (ko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이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훈 filed Critical 이성훈
Priority to KR1020080006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963B1/ko
Publication of KR20090080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 무선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전화 착신에 있어서, 전화가입자가 보유한 복수의 전화에 대해 부여된 전화번호로 착신되는 전화호에 대하여 본인의 상황에 따라 원하는 단말로 전화를 선택적으로 착신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적 착신에 따른 추가 과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화서비스는 발신자가 연결하고자하는 전화번호에 할당된 단말로만 착신하도록 되어 있으며, 착신된 전화연결을 다른 전화에서 착신하기 위해서는 착신전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나, 종래의 착신전환 서비스는 원 착신 단말에서 하나의 특정한 착신번호만 설정할 수 있고, 착신전환 설정방법도 복잡하여 수신자가 수신단말기 별로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수신단말기로 착신전환을 설정하기는 불가능하다.
이러한 착신전환 방식은 발신자가 수신국까지의 통신요금을 부담하고, 수신국에서 착신 전환후 단말까지의 통신요금을 수신자에게 부과하게 되어 이중으로 통신요금이 과금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수신자가 선택적 착신서비스를 등록할 경우, 발신자가 수신자가 보유한 공식 전화번호 중 어떤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더라도 수신자는 본인이 원하는 번호(또는 단말)로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착신 번호(또는 단말)의 변동에 따른 추가 과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전화망, 이동통신망, VoIP통신망의 서로 다른 통신망을 모두 보유하거나, 타 통신사의 통신망을 이용하고 별도의 가입자를 모집하는 통신 재판매사업 영위를 통해 가입자에게 PSTN전화, 휴대전화 및 IP전화 서비스를 일괄적으로 제공하는 복합통신서비스 사업자를 기준으로 하여, 동 사업자의 서비스에 가입한 이용자들이 가진 여러 개의 단말기에 대해 선택적으로 착신서비스가 이루어 지도록 한다.
발신자가 복합통신서비스 가입자에게 거는 전화는 발신국 교환기에서 복합통신서비스 사업자의 수신국 교환기로 호접속이 이루어지고 수신국교환기는 SRR(가입자착신등록)서버에서 가입자의 착신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착신대상 단말과 번호를 도출하여 착신대상 단말의 통신망 교환기로 호접속 연결을 처리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착신되는 전화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착신할 번호(또는 단말)를 설정하게 함으로써, 복합통신서비스 가입자는 이동 중일때는 집이나 회사로 걸려오는 전화를 휴대전화로 착신되도록 할 수 있고, 집에 들어와 휴대전화를 꺼놓으면 휴대전화로 걸려오는 전화를 자동으로 집전화로 착신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수신자가 착신지정을 해 두면, 언제 어디서나 어떤 전화로 전화가 걸려오더라도 수신자가 원하는 전화로 착신할 수 있어 통화성공률을 높일 수 있으며, 휴대전화로 걸려온 전화를 비용이 저렴한 IP전화나 PSTN 전화로 받을 수 있어 통신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불필요하게 무선통신망을 점유하는 경우를 줄임으로서, 이동통신망의 가용성을 높일 수 있다.
전화, 휴대전화, IP전화, 착신전환, 착신서비스, 번호이동, VoIP, PSTN, MVNO, 통신재판매, NPDB, ACQ, SRR, 착신등록, 복합통신서비스

Description

전화 단말기의 선택적 착신 서비스 방법{Receiving Phone Select Sevice on Incomming Call}
본 발명은 유 무선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전화 착신에 있어서, 수신자의 위치, 상황에 따라서 자유롭게 단말을 선택하여 착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PSTN(Public Switched Telphone Network) 전화통신망 및 지능망과 이동통신망 및 IP 통신망을 이용한 전화통신기술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유선 전화통신망은 PSTN과 같이 교환기망을 구성하여 가입자 통신회선을 교환기에 연결하고, 수신자 전화번호의 식별번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교환기 간의 호를 연결하여 발신자 단말과 수신자 단말까지 호를 연결하는 방식과, 지능망에서와 같이 교환기에서 수신 전화번호로 연결정보를 서버로부터 취득하여 수신자 교환기를 통해 수신자 단말까지 호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동 통신망은 MSC(무선망교환기)에서 HLR(Home Location Register)와 VLR(Visotor Location Register)를 통해 가입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기지국과 중계기를 통해 수신자의 휴대전화로 호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또한, 인터넷 망과 같은 IP 네트워크에서는 미디어게이트웨이와 시그널링게 이트웨이를 통해 다른 통신망을 연결하고, 소프트스위치나 게이트키퍼를 통해 호접속을 위한 시그널링을 진행하고, PC, IP전화 또는 미디어게이트웨이 간에는 음성 및 화상채널을 포인트 투 포인트로 연결하여 통신하도록 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유무선 통신서비스는 과거에는 사업자가 통신망을 직접 구축하여 운영을 하는 기간통신사업자가 가입자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나, 근래에는 기간통신사업자로부터 망의 일부를 임대하고 자체보유 교환기를 기간통신사업자의 교환기와 연동하여 가입자를 모집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재판매 사업이 활성화되어 있다.
또한, 특정 통신사 가입자가 다른 통신사로 가입을 변경하면서 기존에 사용하던 전화번호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번호이동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번호이동 서비스를 위해 통신사별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의 정보를 공동으로 보관하는 "번호이동 공통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각 통신사의 교환기와 연동되어 운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PSTN망의 유전전화와 이동통신망의 휴대전화 및 인터넷의 IP전화 까지 복수의 전화를 소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장소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상대방이 전화를 걸 때 수신자가 전화를 받는 상황이 다르므로, 흔히 항상 휴대할 수 있는 휴대전화가 주된 통신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전화 서비스 이용자가 걸려오는 전화를 다른 수신 단말로 연결하고 싶을 때는 착신전환서비스를 통해 원 전화호출을 다른 전화기로 착신전환하여 통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착신전환을 위한 통신시스템의 블록도로서, 전화서비스 이용자는 수신국 교환기(112)를 통해 원착신단말(101)에서 착신전환단말(103)로 착신전환을 설정하면, 발신자단말(102)에서 발생한 호는 발신국 교환기(111)에서 수신국 교환기(112)로 호접속이 이루어지며, 이 때 수신국 교환기는 부가서비스정보시스템(113)으로부터 수신자의 착신전환정보를 입수하여 착신전환국 교환기(114)로 호를 연결하고 최종적으로 착신전환단말(103)까지 호접속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착신전환 방식은 발신자가 수신국까지의 통신요금(121)을 부담하고, 수신국에서 착신전환국을 통해 착신전환단말(103)까지의 통신요금(122)을 다시 수신자에게 부과하게 되어 이중으로 통신요금이 과금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서비스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수신자가 요금부담이 있는 착신전환 서비스를 굳이 이용하지 않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착신전환 설정 방식은 원 착신단말에서 하나의 특정한 착신번호만 설정할 수 있고, 착신전환 설정방법도 복잡하여 수신자가 단말기별로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수신단말기로 착신전환을 설정하기는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유 무선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전화 착신에 있어서, 전화가입자가 보유한 복수의 전화에 대해 부여된 전화번호로 착신되는 전화호에 대하여 본인의 상황에 따라 원하는 단말로 전화를 선택적으로 착신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적 착신에 따른 추가 과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착신전환 방식은 "집전화로 오는 전화를 휴대전화로 바꾸어 연결한다"는 형식이었지만, 본 발명에 의한 선택적 착신서비스 방식은 "집에 있을 땐 집전화로 받고, 밖에 나가면 휴대전화로 받고, 직장에서는 회사전화로 받는다"는 형식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수신자가 착신전환을 등록할 경우 발신자와 수신자가 통화요금을 이중으로 부담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선택적 착신에 따른 추가적인 과금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PSTN 전화망, 이동통신망, VoIP통신망의 서로 다른 통신망을 모두 보유하거나, 타 통신사의 통신망을 이용하고 별도의 가입자를 모집하는 통신 재판매사업 영위를 통해 가입자에게 PSTN전화, 휴대전화 및 IP전화 서비스를 한꺼번에 제공하는 복합통신서비스 사업자를 기준으로 하여 동 사업자의 서비스에 가입한 이용자들이 가진 여러 개의 단말기에 대해 선택적으로 착신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PSTN 전화망의 경우, 기간사업자 통신망의 일부를 임대하여 판매하는 통신 재판매가 이미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동통신망의 경우 이동통신 기간망 사업자의 통신망을 임대하여 가상의 이동통신사업을 영위하는 MVNO(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사업이 시작되는 단계이고, VoIP통신망의 경우 인터넷망을 통한 전화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별다른 사업적 제약이 없기 때문에 복합통신서비스는 현재 제공될 수 있는 단계에 와 있다고 볼 수 있다.
복합통신서비스 가입자에게 연결하는 전화(PSTN 번호일 수도 있고, 휴대전화 번호일 수도 있고, IP전화 번호일 수도 있음)는 복합통신서비스 사업자의 수신국 교환기로 호접속이 이루어지고 수신국교환기는 SRR(가입자 착신등록)서버에서 가입자가 착신하고자 하는 번호(또는 단말)정보를 취득하여 해당 통신망 교환기로 호 연결을 처리한다.
복합통신서비스 가입자는 사전에 웹접속, ARS(음성자동안내)접속, 단말기메뉴설정 의 방법으로 본인이 현재 착신하고자 지정하거나 부재중으로 지정할 번호(또는 단말)을 설정할 수 있고, 착신에 대한 상황별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복합통신서비스 사업자의 수신국교환기는 발신국에서 요청한 호에 대해 수신 전화번호가 PSTN전화번호 이더라도, 착신지정된 전화가 휴대전화일 경우 호를 무선망 교환기로 넘길 수 있으며, 수신전화번호가 휴대전화번호이더라도, 휴대전화가 부재중일 경우 설정된 착신 우선순위에 따라 호를 PSTN 전화로 자동으로 넘길 수도 있다.
복합통신서비스 가입자는 PSTN전화, 휴대전화, IP전화를 별개로 가지고 있다고 해도, 같은 사업자에 함께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발신국으로부터 연결되는 호에 대해 항상 같은 착신국으로 연결되어 발신국과 착신국간 한번만 과금이 처리되도록 하고, 일단 착신국으로 접수된 호에 대해서는 다시 외부망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이 자체망 내에서 교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추가과금의 필요성이 없어진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착신되는 전화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착신할 번호(또는 단말)를 설정하게 함으로써, 복합통신서비스 가입자는 이동 중일때는 집이나 회사로 걸려오는 전화를 휴대전화로 착신되도록 할 수 있고, 집에 들어와 휴대전화를 꺼놓으면 휴대전화로 걸려오는 전화를 자동으로 집전화로 착신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화 가입자가 본인의 상황, 장소, 필요에 따라 본인에게 걸려오는 전화를 추가적인 통신요금 부담 없이 본인이 원하는 단말로 착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은 수신자가 착신지정을 해 두면, 언제 어디서나 어떤 전화로 전화가 걸려오더라도 수신자가 원하는 전화로 착신할 수 있어 통화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둘째, 휴대전화로 걸려온 전화도 비용이 저렴한 IP전화나 PSTN 전화로 받을 수 있어 통신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무선통신망의 경우 제한된 주파수 대역으로 인해, 통신망 이용자가 늘어나면, 기지국을 함께 늘리게 되어 많은 투자비용이 발생한다. 전화 발신자의 입장에서는 수신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주로 휴대전화로 전화를 거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불필요하게 무선통신망을 점유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을 통해 불필요하게 무선통신망을 점유하는 경우를 줄임으로써, 이동통신망의 가용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착신전환에 따른 수신자의 추가 통신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착신 서비스 이용이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ACQ(All Call Query)방식의 통신사 간 번호이동시스템 블록흐름도로서, 전화연결이 진행되는 것은 ①->②->③->④의 순서로 호 처리가 진행된다.
전화가입자가 A통신사에서 B통신사로 번호이동을 하면, 이동한 번호와 이동후 통신사에 대한 정보가 번호이동공통데이터베이스인 NPDB(214)에 등록된다. ① 다른 발신자가 번호 이동한 수신자에게 전화를 걸 경우, A통신사의 원 착신국 교환기(212)로 호를 연결하지 않고, ② 발신국 교환기(211)에서 번호이동 공통데이터베이스인 NPDB(214)로부터 번호이동정보를 확인하여 ③ B통신사의 번호이동 후 착신 국교환기(213)로 호를 연결하고, ④ 착신국 교환기에서 수신자의 전화로 연결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착신서비스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흐름도로서 ①->②->③->④->⑤->⑥->⑦->⑧의 순서로 호처리가 진행된다.
선택적 착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유무선 통신망을 보유하거나 통신 재판매와 같은 방식으로 PSTN 전화, 이동전화, IP 전화서비스를 두 가지 이상 제공하는 복합통신서비스 사업자이다. 복합통신서비스 사업자에 번호이동을 통해 가입한 가입자의 번호이동 정보는 번호이동공통데이터베이스인 NPDB(312)에 등록된다.
실시 예는 수신자가 복합통신서비스 사업자에 PSTN 전화(302), 휴대전화(303), IP전화(304)를 함께 하고, 현재 PSTN 전화(302)로 착신지정을 한 경우이다.
① 발신자(301)가 전화를 걸면, ② 발신국의 교환기(311)은 NPDB(312)에서 수신번호의 번호이동정보를 요청하고, ③ NPDB(312)로 부터 수신자 가입통신망 정보를 전달받아, ④ 복합통신서비스 사업자의 수신국 교환기(313)로 호를 전달한다. ⑤ 수신국 교환기(313)는 가입자착신등록서버 SRR(Subscriber Receiver Register)(314)로 가입자의 착신등록정보를 요청하고, ⑥ 다시 수신국 교환기(313)는 SRR(314)에서 가입자가 착신지정한 PSTN 전화정보를 전달받아, ⑦ PSTN 교환기(315)로 호를 연결한다. 착신 서비스 가입자가 휴대전화(303)로 착신지정을 한 경우에는 수신국 교환기(313)는 이동통신교환기(316)로 호를 연결하고, IP전화(304)로 착신지정을 한 경우에는 VoIP교환기(317)로 호를 연결한다. 이 때, 복합통신서비스 사업자의 수신국 교환기(313)에서는 발신국 교환기(311)에서 요청한 전화번호와 수신국 교환기(313)에서 연결할 착신번호가 다른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⑧ 복합통신서비스 사업자의 수신국 교환기(313)로부터 호를 넘겨받은 PSTN 교환기(315) 는 수신자의 전화로 호를 연결한다.
도 4는 복합통신서비스 사업자의 수신국 교환기(313)에서 선택적 착신서비스 가입자에게 걸려오는 수신호를 받았을 때, 수신국 교환기(313)와 가입자착신등록서버 SRR(Subscriber Receiver Register)(314)에서 진행되는 착신번호 선택 과정의 실시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교환기로 호가 수신(401)되면, 수신번호의 가입자가 착신지정한 번호가 있는지를 확인(402)하고, 착신 지정한 번호가 있으면, 지정된 번호의 교환기로 호를 연결(403)한다. 착신 지정한 번호가 없는 경우, 수신번호용 단말이 부재중설정되어 있거나 전원이 꺼져 있는지와 같은 착신 가능 여부를 확인(404)하여 착신 가능하면 수신번호의 교환기로 호를 연결(405)한다. 수신번호용 단말이 착신 불가능하면, 가입자의 착신설정에 따라 착신 우선순위가 높은 번호를 검색(406)하여, 해당 번호의 착신가능 여부를 확인(407)하고, 착신 가능하면 해당 번호의 교환기로 호를 연결(408)한다. 착신 우선단말이 착신 불가능한 경우, 발신국 교환기(311)로 부재중 메시지를 반송한다.
도 5는 선택적 착신서비스 가입자의 착신설정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자착신등록서버 SRR(Subscriber Receiver Register)과 관련된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선택적 착신서비스 가입자는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접속채널(503)로 웹서비스(515), 음성안내(516) 및 단말기메뉴에서 설정후 단말기와 서버간 Socket 통신(517)과 같은 방법으로 SSR서버(502)로 접속하여, 착신서비스용 전화를 등록하고, 착신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착신 단말을 지정할 수 있다. SSR 서버(502)는 가입자정보(512)를 중심으로 등록전화 정보(511), 착신지정 정보(513), 착신 우선순위 정보(514)를 관리한다. 교환기(501)에서 SSR서버(502)로 가입자의 착신정보를 요청하면 SSR서버(502)에서는 가입자의 착신설정 상태를 검색하여 가입자의 최우선 착신번호정보를 반환한다.
SSR서버(502)에서 가입자의 착신정보는 다음 표 1의 예시 내용과 같은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입자 전화명 번호 착신전환 착신지정 우선순위 상태 통신망
Michael Home 070-1000-xxxx Y 1 On i-net (VoIP)
Michael Mobile 010-2000-xxxx Y Yes 2 On m-tel (Mobile)
Michael Office 02-3000-xxxx N 3 Off p-tel (PSTN)
Tom Hand P 010-4000-xxxx Y 1 On m-tel(Mobile)
Tom Base 070-5000-xxxx Y 2 On inet (VoIP)
Jane Family 070-6000-xxxx Y 1 Off inet (VoIP)
Jane Mine 010-7000-xxxx Y 2 On m-tel(Mobile)
표 1의 예시 내용으로 구성된 경우, 도 4의 흐름도에 따라 선택적 착신서비스가 제공되어 지면, Michael은 휴대전화(Mobile)로 착신지정되어 있으므로 Michael에게 집전화(Home)와 휴대전화(Mobile)로 걸려온 전화는 휴대전화(Mobile)로 착신이 될 것이고, Tom은 우선순위가 높은 Hand P(휴대전화)로 착신이 될 것이고, Jane은 우선순위가 높은 Family(IP전화)가 부재중(Off)설정되어 있으므로, 착신가능한 Mine(휴대전화)로 착신이 될 것이다.
SSR서버(502)에서 관리하는 가입자 착신정보의 착신 우선 순위는 아래 표 2에서와 같이 시간대 별로 다르게 지정할 수 있다.
삭제
우선순위 평일오전 평일오후 평일저녁 주말오전 주말오후 주말저녁
1 Home(PSTN) Office(IP) Mobile Home(PSTN) Home(PSTN) Home(PSTN)
2 Mobile Mobile Home(PSTN) Mobile Mobile Mobile
3 Office(IP)

표 2의 예시내용으로 구성된 경우, 착신지정된 전화번호가 없으면, 평일오전과 주말에는 집전화(Office)로 우선 착신되고, 평일오후에는 직장전화(Office)로, 평일저녁에는 휴대전화(Mobile)로 우선 착신되게 된다.
SSR서버(502)에서 관리하는 가입자의 착신전화 별 착신전환여부 설정은 아래 표 3에서와 같이 시간대 별로 다르게 지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선택적 착신서비스 가입자가 전화를 등록하고 착신설정을 하는 흐름도이다. 서비스를 원하는 사람은 문서, 프로그램, 웹서비스, ARS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에 접속(601)하고, 서비스에 가입(602)한 후, 전화(번호)를 등록(603)하고, 착신우선순위 설정과 같은 착신방식을 설정(604)하고 설정을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선택적 착신서비스 가입자가 웹서비스나 ARS를 이용하여 착신 지정을 설정하는 흐름도이다. 서비스 가입자는 웹서비스, ARS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에 접속(701)하고, 인증(702)을 받은 후에 착신지정할 단말을 선택(703)한 후, 착신지정(704)을 설정하고 접속을 종료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선택적 착신서비스 가입자가 웹서비스나 ARS를 이용하여 특정 단말기(번호)의 부재중 설정을 하는 흐름도이다. 서비스 가입자는 웹서비스, ARS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에 접속(801)하고, 인증(802)을 받은 후에 부재중 설정할 단말(번호)을 선택(803)한 후, 부재중 설정(804)을 하고 접속을 종료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선택적 착신서비스 가입자가 디지털 단말기의 메뉴설정을 이용하여 착신 지정을 설정하는 흐름도이다. 서비스 가입자는 본인의 전화기 설정메뉴(901)에서 착신지정 메뉴(902)를 선택한 다음 단말기의 착신지정(903)을 선택한다. 단말기에서 설정된 착신지정 정보는 단말기에서 서비스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선택적 착신서비스 가입자가 디지털 단말기의 메뉴설정을 이용하여 부재중 설정하는 흐름도이다. 서비스 가입자는 본인의 전화기 설정메뉴(1001)에서 부재중설정 메뉴(1002)를 선택한 다음 단말기의 부재중설정(1003)을 선택한다. 단말기에서 설정된 부재중설정 정보는 단말기에서 서비스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도 1은 종래의 착신전환을 위한 통신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ACQ방식의 통신사 간 번호이동시스템 블록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착신서비스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번호 선택 과정의 실시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착신등록서버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서비스 가입자가 전화를 등록하고 착신설정을 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서비스 가입자가 웹서비스나 ARS를 이용하여 착신 지정을 설정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서비스 가입자가 웹서비스나 ARS를 이용하여 부재중 설정을 하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서비스 가입자가 디지털 단말기의 메뉴설정을 이용하여 착신 지정을 설정하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서비스 가입자가 디지털 단말기의 메뉴설정을 이용하여 부재중 설정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원착신 전화단말기
102 : 발신 전화단말기
103 : 착신전환된 전화단말기
214 : NPDB(Number Portability Database : 번호이동공통데이터베이스)
311 : 발신국 교환기
313 : 복합통신서비스 사업자 수신국 교환기
314 : SRR(Subscriber Receiver Register : 가입자 착신등록서버)
316 : 이동통신 교환기
317 : PSTN 유선전화망 교환기
318 : VoIP 인터넷전화 교환기
501 : 복합통신서비스 사업자 수신국 교환기
502 : SRR(Subscriber Receiver Register : 가입자 착신등록서버)
503 : 가입자의 착신정보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511 : 가입자별 등록전화 정보
512 : 가입자 기본 정보
513 : 착신지정 정보
514 : 착신 우선순위 정보
515 : 웹서비스 인터페이스
516 : 음성자동안내 인터페이스
517 : 소켓 통신 인터페이스

Claims (4)

  1. 전화통신에 있어, PSTN전화, 이동전화, IP전화와 같은 이종 전화 서비스를 통합하여 가입자에게 일괄적으로 제공하는 복합형 통신서비스 사업자가 둘 이상의 전화를 보유한 전화서비스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전화 착신서비스에 있어서,
    수신자의 여러 전화번호 중 어느 번호로 착신되더라도, 수신자가 착신 지정하거나 시스템적으로 선정된 번호(또는 단말)로 우선적으로 착신이 자동 연결되도록, 발신국으로부터 복합형 통신서비스 가입자에게 착신되는 호를 받아, 원 착신번호로부터 "착신지정 번호(또는 단말) 설정", "착신 번호(또는 단말)의 부재중 설정", "가입자 전화번호(또는 단말)별 착신 우선순위 설정" 중 한 가지 이상을 포함한 착신설정정보를 기준으로 가입자의 착신 번호(또는 단말)을 재선정하여, 선정된 착신 번호(또는 단말)를 연결하는 교환기(또는 통신망)로 호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착신 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복수 전화번호(또는 단말) 가입자의 착신지정 번호(또는 단말)를 설정하거나, 단말기를 꺼짐 또는 부재중으로 하여 착신불가로 설정하거나, 사용자의 번호(또는 단말)에 대해 시간 또는 상황별로 착신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전화 착신이 발생했을 때 발신국으로부터 호를 전달받아 가입자를 확인하고 가입자의 착신설정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착신설정에 따라 사용자에게 시스템적으로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착신 번호(또는 단말)를 도출하는 단계;
    도출된 착신번호(또는 단말)의 착신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착신 가능한 단말이 연결된 교환기(또는 통신망)로 호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착신 서비스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가입자가 전화사업자의 착신 서비스에 가입하고, 착신서비스용 전화번호(또는 단말)를 등록하고, 착신 우선순위 설정과 같은 착신방식을 설정하는 단계;
    가입자가 웹서비스, ARS(음성자동안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에 접속하여 인증을 받은 후에, 특정 전화번호(또는 단말)에 대하여 착신 지정 또는 부재중 설정을 하는 단계; 및
    가입자가 디지털 단말기의 메뉴설정을 이용하여 특정 전화번호(또는 단말)에 대하여 착신 지정 또는 부재중설정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착신 서비스 방법.
  4. 전화통신에 있어, PSTN전화, 이동전화, IP전화와 같은 이종 전화 서비스를 통합하여 가입자에게 일괄적으로 제공하는 복합형 통신서비스 사업자가 둘 이상의 전화를 보유한 전화서비스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전화 착신서비스에 있어서,
    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다른 사업자로부터 들어오는 전화의 호 접속연결을 담당하는 수신교환장치와;
    상기 가입자가 착신전환 및 착신우선순위 설정을 하도록 하고, 단말기의 착신 가능 또는 부재중 여부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면서, 교환장치의 요청에 의해 가입자가 현재 수신가능한 최적의 착신 위치 및 단말 정보를 전달하는 가입자착신등록서버와;
    상기 교환장치에서 착신등록서버로부터 가입자의 착신정보를 받아 수신 호를이동통신망, PSTN망 및 IP전화망으로 전달하는 망 연동 교환장치와;
    상기 수신교환장치와 가입자착신등록서버 간의 가입자 착신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통신 프로토콜 및 메시지 형식을 정의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교환시스템
KR1020080006456A 2008-01-22 2008-01-22 전화 단말기의 선택적 착신 서비스 방법 KR100962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456A KR100962963B1 (ko) 2008-01-22 2008-01-22 전화 단말기의 선택적 착신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456A KR100962963B1 (ko) 2008-01-22 2008-01-22 전화 단말기의 선택적 착신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601A KR20090080601A (ko) 2009-07-27
KR100962963B1 true KR100962963B1 (ko) 2010-06-10

Family

ID=41291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456A KR100962963B1 (ko) 2008-01-22 2008-01-22 전화 단말기의 선택적 착신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9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543B1 (ko) * 2013-05-28 2014-05-27 (주)뉴온시스 원넘버 VoIP 브릿지 호(Call) 제어시스템 및 방법
CN107438127A (zh) * 2016-05-28 2017-12-0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通讯模式优先级管理方法及移动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087B1 (ko) * 2010-03-12 2012-01-16 주식회사 케이티 mVoIP 네트워크에서 착신 단말의 착신불가 시 통화 연결 방법
KR101108203B1 (ko) * 2010-07-30 2012-02-06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Acq방식을 이용한 발신번호 착신호전환서비스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KR101295713B1 (ko) * 2011-01-17 2013-08-16 주식회사 팬택 동일한 아이디를 가진 복수의 가입자 확인 모듈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381032B1 (ko) * 2012-06-05 2014-04-1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중계 시스템, 통신중계 장치 및 그 통신중계 방법
KR101429855B1 (ko) * 2013-05-06 2014-08-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 중계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543B1 (ko) * 2013-05-28 2014-05-27 (주)뉴온시스 원넘버 VoIP 브릿지 호(Call) 제어시스템 및 방법
CN107438127A (zh) * 2016-05-28 2017-12-0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通讯模式优先级管理方法及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601A (ko) 2009-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0329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using a mobile phone in a wireless office network
US730808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elephony call completion
US76100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voice and data services utilizing wired cordless access with unlicensed/unregulated spectrum and wired access with licensed/regulated spectrum
AU2007248955B2 (en) Telephone communication
US7058415B2 (en) System for providing unified cellular and wire-line service to a dual mode handset
KR100962963B1 (ko) 전화 단말기의 선택적 착신 서비스 방법
US83400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based services for hotel PBX
WO2006085303A2 (en) Virtual multi-line telephone service
EP2092784B1 (en) Method of conditionally routing a call made to a fixed telephone number
US20040137923A1 (en) Short text messaging-based incoming call termination control
WO2008046265A1 (fr) Procédé d'accès réseau pour mise en attente d'un numéro unique d'utilisateur de système de communication personnel (pcs) et d'utilisateur 3g
CN110290515B (zh) 携号转网的漫游通信方法及呼叫会话控制功能实体
KR20070074291A (ko) 멀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US20050130649A1 (en) Dynamically controlling wireless long distance routing while roaming
EP2203026B1 (en) Unity number service call processing method, system and device
KR20010059678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이동망 가입자의 음성사서함서비스 처리 방법
KR100471121B1 (ko) 통화연결음을 통화중 배경음으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방법
JP3336938B2 (ja) 移動電話システム
KR20050093518A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설정 시스템과 그 방법
WO2004028172A1 (fr) Mandataire pour appels adresses a des abonnes itinerants et procede d'appel d'abonnes itinerants
KR100779801B1 (ko) 간이 교환기 시스템에서 착신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608285B1 (ko) 화상전화 시도시 발신 그룹별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서비스 방법
CN101656946A (zh) 国际漫游通话的网关及其绕送方法
KR100641331B1 (ko) 이동통신망에 있어 일반 착신번호와 착신전환에 의한 착신번호 구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27127B1 (ko) 착신 통화 전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7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0022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00517

Appeal identifier: 2010101001461

Request date: 20100226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32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26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9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21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005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420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