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62560B1 - 튜브형 인상재 압출장치 - Google Patents

튜브형 인상재 압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560B1
KR100962560B1 KR1020100005259A KR20100005259A KR100962560B1 KR 100962560 B1 KR100962560 B1 KR 100962560B1 KR 1020100005259 A KR1020100005259 A KR 1020100005259A KR 20100005259 A KR20100005259 A KR 20100005259A KR 100962560 B1 KR100962560 B1 KR 100962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ression material
support
elevating
tube
sid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임준
Original Assignee
(주)세일글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일글로발 filed Critical (주)세일글로발
Priority to KR1020100005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5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26Syringes or guns for injecting impression material; Mixing impression material for immediat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형 인상재 압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 인상을 위한 실리콘베이스와 경화제가 별도로 담겨진 각각의 인상재튜브를 믹싱팁이 설치되는 믹싱카트리지에 결합한 상태에서 모터에 의해 승하강하는 압출롤러의 사이에 장착함으로서, 실리콘베이스와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인상재를 필요로 정량을 간편하게 짜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1)을 형성한 한 쌍의 승하강지지대(10)가 후면에 설치되는 지지대(14)에 의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양측 승하강지지대(10)의 외부측 상하부에는 상하부지지대(12,13)가 설치되고, 상기 양측 승하강지지대(10)의 상하부지지대(12,13)에는 상단부에 상부풀리(4)를 설치한 스크류봉(6)이 회전가능하게 수직 설치되며, 일측 스크류봉(6)의 하단부에는 모터(1)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하부풀리(5)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1)가 설치된 쪽의 승하강지지대(10) 내측에는 전후면에 랙크기어부를 형성한 랙크(24)가 수직 설치되며, 양측 상부풀리(4)에는 밸트(7)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봉(6)의 양측에는 스크류봉(6)의 외부에 나사관식으로 삽입되는 암나사부(22)와, 승하강지지대(10)의 내부측에 위치하는 승하강몸체(21)와, 가이드홈(11)에 안내되도록 암나사부(22)와 승하강몸체(21)의 사이에 결합 설치되는 가이드부(23)로 이루어지는 승하강이동구(20)가 설치되고, 상기 양측 승하강몸체(21)의 사이에는 일측방에 랙크(24)의 전후면에 형성된 랙크기어부와 맞물리는 피니언(31)이 설치된 한 쌍의 압출롤러(30)가 전후방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튜브형 인상재 압출장치{A pressing out device of tube type impression materials}
본 발명은 튜브형 인상재 압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 인상을 위한 실리콘베이스와 경화제가 별도로 담겨진 각각의 인상재튜브를 믹싱팁이 설치되는 믹싱카트리지에 결합한 상태에서 모터에 의해 승하강하는 압출롤러의 사이에 장착함으로서, 실리콘베이스와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인상재를 필요로 정량을 간편하게 짜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치아 인상을 채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실리콘베이스와 경화제가 각기 별도로 담겨진 인상재 튜브에서 치약을 튜브에서 짜내듯이 수작업으로 짜낸 뒤에, 각각의 튜브에서 짜낸 인상재(실리콘베이스와 경화제)를 혼합한 뒤에 인상채득을 하게 된다.
위와 같이 인상재를 튜브에서 수작업으로 짜내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정량을 짜내지 못하는 문제와, 일일이 수작업으로 인상재를 짜내야 하므로 인상재를 짜내는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으며, 튜브 내에 인상재가 조금 남은 경우에는 그 잔여 인상재를 전부다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리콘베이스와 경화제가 별도로 담겨진 각각의 인상재튜브를 모터에 의해 승하강하는 압출롤러의 사이에 장착한 뒤에 선택스위치를 조작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인상재를 자동으로 짜낼 수 있는 인상재 압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을 형성한 한 쌍의 승하강지지대가 후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에 의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양측 승하강지지대의 외부측 상하부에는 상하부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양측 승하강지지대의 상하부지지대에는 상단부에 상부풀리를 설치한 스크류봉이 회전가능하게 수직 설치되며, 일측 스크류봉의 하단부에는 모터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하부풀리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가 설치된 쪽의 승하강지지대 내측에는 전후면에 랙크기어부를 형성한 랙크가 수직 설치되며, 양측 상부풀리에는 밸트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봉의 양측에는 스크류봉의 외부에 나사관식으로 삽입되는 암나사부와, 승하강지지대의 내부측에 위치하는 승하강몸체와, 가이드홈에 안내되도록 암나사부와 승하강몸체의 사이에 결합 설치되는 가이드부로 이루어지는 승하강이동구가 설치되고, 상기 양측 승하강몸체의 사이에는 일측방에 랙크의 전후면에 형성된 랙크기어부와 맞물리는 피니언이 설치된 한 쌍의 압출롤러가 전후방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튜브형 인상재 압출장치는, 실리콘베이스와 경화제가 별도로 담겨진 각각의 인상재튜브를 모터에 의해 승하강하는 압출롤러의 사이에 장착한 뒤에 선택스위치를 조작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인상재를 자동으로 짜낼 수 있으므로서, 양질의 인상체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와, 인상 채득하는 작업에 간편한 효과가 있으며, 그와 더불어 인상재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부를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튜브형 인상재 압출장치가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인상재 압출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인상재 압출장치(100)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1)을 형성한 한 쌍의 승하강지지대(10)가 후면에 설치되는 지지대(14)에 의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양측 승하강지지대(10)의 외부측 상하부에는 스크류봉(6)을 수직으로 설치하기 위한 상하부지지대(12,13)가 설치된다.
그리고, 양측 승하강지지대(10)의 상하부지지대(12,13)에는 상단부에 상부풀리(4)를 설치한 스크류봉(6)이 회전자유롭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일측 스크류봉(6)의 하단부에는 하부풀리(5)가 설치되고, 이 하부풀리(5)에는 하부풀리(5)의 후방측 승하강지지대(10)에 설치되는 모터(1)의 구동풀리(2)와 밸트(3)로서 연결 설치된다.
또한, 모터(1)가 설치된 쪽의 승하강지지대(10) 내측에는 전후면에 랙크기어부를 형성한 랙크(24)가 모터(1)가 설치된 쪽의 승하강지지대(10) 내벽면과 간격을 두고 수직 설치되며, 양측 상부풀리(4)에는 밸트(7)가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양측 스크류봉(6)에는 스크류봉(6)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는 승하강이동구(20)가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이동구(20)는 스크류봉(6)의 외부에 나사관식으로 삽입되는 암나사부(22)와, 승하강지지대(10)의 내부측에 위치하는 승하강몸체(21)와, 가이드홈(11)에 안내되도록 가이드홈(11)에 삽입되는 상태에서 양단부가 암나사부(22)와 승하강몸체(21)의 사이에 결합 설치되는 가이드부(23)로 이루어진다.
또한, 양측 승하강몸체(21)의 사이에는 한 쌍의 압출롤러(30)가 전후방으로 근접한 상태에서 회전되게 설치되는데, 이 전후방측 압출롤러(30)의 모터(1)가 설치된 쪽에는 랙크(24)의 전후면에 형성된 랙크기어부와 맞물리는 피니언(3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인상재 압출장치(100)는 전방이 개방되어 인상재튜브(40)를 전후방측의 압출롤러(30)에 장착할 수 있는 케이스(101)의 내부에 설치되며, 이 케이스의 외부면 소정위치에는 모터(1)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을 제어하는 스위치부(10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102)는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제어회로(미도시)를 제어하도록 연결되어 모터를 원하는바 대로 회전시켜서 인상재튜브(40)에 담겨진 인상재를 필요한 만큼만 짜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인상재튜브(40)는 실리콘베이스가 담겨진 것과 경화제가 담겨진 2개의 인상재튜브(40)의 끝단부를 동시에 전후방측 압출롤러(30)에 물리도록 삽입 설치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베이스가 담겨진 인상재튜브(40)와, 경화제가 담겨진 인상재튜브(40)의 선단부가 결합되어 실리콘베이스와 경화제가 혼합되어 믹싱팁(41)으로 배출되게 하는 믹싱카트리지(42)를 인상재 압출장치(10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2개의 인상재튜브(40)가 믹싱카트리지(42)에 결합된 것을 인상재튜브 결합체라 칭하며, 이 인상재튜브 결합체는 인상재튜브(40)와 믹싱카트리지(42)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인상재튜브(40)와 믹싱카트리지(42)를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도 있으며, 위의 두 경우 모두가 믹싱팁(41)을 통하여 인상재를 짜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인상재튜브(40)의 끝단부를 전후방측 압출롤러(30)의 사이에 물리도록 장착해야 한다.
상기 믹싱카트리지(42)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몸체(43)의 양측 상면에 인상재튜브(40)의 선단부를 삽입 결합하는 튜브선단삽입구(44)가 하향 형성되고, 카트리지몸체(43)의 내부에는 양측 튜브선단삽입구(44)의 하측과 통하는 주입구(46)가 형성되며, 카트리지몸체(43)의 하부에는 양측 주입구(46)와 합쳐지며 하측에 공지된 믹싱팁(41)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배출구(47)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 부호 "24a"는 랙크(24)를 승하강가이드(10)의 내벽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하기 위한 랙크설치구이며, 랙크(24)와 승하강가이드(1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승하강몸체(21)가 승하강 안내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인상재 압출장치(10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이 개구되는 케이스(101) 내부에 설치되며, 이 케이스(101)의 개구부를 통하여 인상재튜브(40)와 믹싱카트리지(42)를 결합한 인상재튜브 결합체를 인상재 압출장치(100)에 장착하는데, 도 5에 도시된 케이스(101)는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케이스(101)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인상재를 인상재튜브(40)에서 짜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믹싱카트리지(42)의 상측에 형성된 양측 튜브선단삽입구(44)에 실리콘베이스가 담겨진 인상재튜브(40)의 선단부와, 경화제가 담겨진 또 다른 1개의 인상재튜브(40)의 선단부를 각각 결합하여 인상재튜브 결합체를 한 몸체가 되게 한다.
상기 믹싱카트리지(42)의 튜브선단삽입구(44)에 각각의 인상재튜브(40)의 선단부를 결합시킬 때는 각각의 인상재튜브(40)의 입구에 설치된 마개를 제거한 상태에서 인상재튜브(40)의 입구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돌기부(48)를 튜브선단삽입구(44) 하측의 내주연에 형성된 회전걸림홈(45)에 회전식으로 끼워서 결합하며, 이 믹싱카트리지(42)의 배출구(47)에는 믹싱카트리지(42)의 내측에서 혼합된 인상재가 배출되는 공지된 믹싱팁(41)을 연결 설치한다.
이와 같이 믹싱카트리지(42)의 상하측에 각각의 인상재튜브(40)와 믹싱팁(41)이 각각 결합 설치된 인상재튜브 결합체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101)의 개구부를 통하여 케이스(101)의 내측에 설치된 인상재 압출장치(100)에 장착하는데, 이때는 도 1 내지 도 3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 인상재튜브(40)의 상측 끝단부가 전후방측 압출롤러(30)의 사이에 끼워지게 하고 믹싱카트리지(42)의 하측은 저면이 케이스(101)의 걸림부(103)에 얹혀지게 한다.
위와 같이 인상재튜브 결합체가 케이스(101)에 장착하고 난 뒤에는 케이스(101)의 외측 소정위치에 설치된 스위치부(102)를 조작하여 필요로 하는 만큼의 인상재가 믹싱팁(41)을 통하여 압출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필요로 하는 만큼의 인상재가 압출되도록 스위치부(102)를 조작함에 따라 그 설정된 신호에 따라 모터(1)가 회전하게 되고, 모터(1)의 회전력이 모터축에 설치된 구동풀리(2)와 모터가 설치된 쪽의 하부지지대(13) 측에 설치된 하부풀리(5)의 사이에 연결되게 감겨진 밸트(3)를 통하여 모터가 설치된 쪽의 스크류봉(6)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양측 스크류봉(6)의 상측에 설치된 상부풀리(4) 사이에는 밸트(7)가 연결되게 설치되어서 양측 스크류봉(6)이 회전하게 되며, 양측 스크류봉(6)에는 승하강이동구(20)의 암나사부(22)가 나사관형태로 삽입되어서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암나사부(22)이 상승하거나, 또는 하강하게 되는데, 각각의 인상재튜브(40)에 담겨진 인상재를 압출시켜야 하므로 양측 암나사부(22)은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양측 암나사부(22)가 하강하는데, 각각의 암나사부(22)의 내측에는 양측 승하강지지대(10)의 가이드홈(11)에는 가이드부(23)가 관통되어 승하강을 안내되도록 설치되며, 그 양측 가이드부(23)의 내측방에는 승하강몸체(21)가 설치되어서 양측 승하강이동구(20)는 가이드홈(11)에 안내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양측 승하강이동구(20)의 내측에는 전후방 압출롤러(30)가 설치되어 있으면서 모터가 설치된 쪽의 압출롤러(30) 축에는 랙크(24)의 전후면에 형성된 랙크기어부와 맞물리는 피니언(31)이 설치되어서, 상기와 같이 하강하는 전후방측 압출롤러(30)는 피니언(31)과 랙크기어부와의 맞물림에 의해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전후방측 압출롤러(30)의 사이로 삽입되어진 인상재튜브(40)의 전후면을 하측으로 훑어 내리게 되어 인상재튜브(40)의 내측에 담겨진 각각의 인상재(실리콘베이스와 경화제)는 하측으로 압출되면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 인상재튜브(40)의 배출구를 통하여 믹싱카트리지(42)의 튜브선단삽입구(44) 하측으로 짜져 나가게 된다.
양측 튜브선단삽입구(44)의 하측으로 압출되는 실리콘베이스와 경화제는 각기 그 하측에 연결된 주입구(46)로 주입되면서, 양측 주입구(46)와 만나는 배출구(47)에서 합쳐지면서 배출구(47)로 배출되게 되고, 이렇게 배출되는 배출구(47)에는 공지된 믹싱팁(41)이 연결 설치되어서 실리콘베이스와 경화제가 혼합된 인상재가 믹싱팁(4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렇게 배출된 인상재는 실리콘베이스와 경화제가 동일한 량이 혼합된 상태로서 그렇게 혼합된 인상재를 이용하여 인상체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설정된 량만큼의 인상재가 압출되게 되면 모터의 회전이 정지되어 인상재의 압출도 정지되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전후방측 압출롤러(30)가 인상재튜브(40)의 전후면을 훑어 내리면서 그 내측에 담겨진 인상재를 압출시킬 때, 전후방측 압출롤러(30)가 동일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기 때문에 인상재튜브(40)에 담겨진 인상재를 부드럽게 압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 모터 2 : 구동풀리 3 : 밸트
4 : 상부풀리 5 : 하부풀리 6 : 스크류봉
7 : 밸트 10 : 승하강지지대 11 : 가이드홈
12 : 상부지지대 13 : 하부지지대 14 : 지지대
20 : 승하강이동구 21 : 승하강몸체 22 : 암나사부
23 : 가이드부 24 : 랙크 30 : 압출롤러
31 : 피니언 40 : 인상재튜브 41 : 믹싱팁
42 : 믹싱카트리지 43 : 카트리지몸체 44 : 튜브선단삽입구
45 : 회전걸림홈 46 : 주입구 47 : 배출구
48 : 걸림돌기부 100 : 인상재 압출장치 101 : 케이스
102 : 스위치부 103 : 걸림부

Claims (2)

  1. 상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1)을 형성한 한 쌍의 승하강지지대(10)가 후면에 설치되는 지지대(14)에 의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양측 승하강지지대(10)의 외부측 상하부에는 상하부지지대(12,13)가 설치되고,
    상기 양측 승하강지지대(10)의 상하부지지대(12,13)에는 상단부에 상부풀리(4)를 설치한 스크류봉(6)이 회전가능하게 수직 설치되며, 일측 스크류봉(6)의 하단부에는 모터(1)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하부풀리(5)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1)가 설치된 쪽의 승하강지지대(10) 내측에는 전후면에 랙크기어부를 형성한 랙크(24)가 수직 설치되며, 양측 상부풀리(4)에는 밸트(7)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봉(6)의 양측에는 스크류봉(6)의 외부에 나사관식으로 삽입되는 암나사부(22)와, 승하강지지대(10)의 내부측에 위치하는 승하강몸체(21)와, 가이드홈(11)에 안내되도록 암나사부(22)와 승하강몸체(21)의 사이에 결합 설치되는 가이드부(23)로 이루어지는 승하강이동구(20)가 설치되고,
    상기 양측 승하강몸체(21)의 사이에는 일측방에 랙크(24)의 전후면에 형성된 랙크기어부와 맞물리는 피니언(31)이 설치된 한 쌍의 압출롤러(30)가 전후방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인상재 압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재 압출장치는 전방이 개방되고 외부면 소정위치에 스위치부(102)가 설치된 케이스(10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압출롤러(30) 사이에 설치되는 인상재튜브(40)는 실리콘베이스가 담겨진 것과 경화제가 담겨진 것으로 2개가 한 조를 이루며, 이들 한 쌍의 인상재튜브(40)의 선단부에 실리콘베이스와 경화제가 혼합되어 믹싱팁(41)으로 배출되게 하는 믹싱카트리지(42)가 설치되고,
    상기 믹싱카트리지(42)는 카트리지몸체(43)의 양측 상면에 인상재튜브(40)의 선단부를 삽입 결합하는 튜브선단삽입구(44)가 하향 형성되며, 카트리지몸체(43)의 내부에는 양측 튜브선단삽입구(44)의 하측과 통하는 주입구(46)가 형성되며, 카트리지몸체(43)의 하부에는 양측 주입구(46)와 합쳐지며 하측에 공지된 믹싱팁(41)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배출구(4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인상재 압출장치.
KR1020100005259A 2010-01-20 2010-01-20 튜브형 인상재 압출장치 Active KR100962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259A KR100962560B1 (ko) 2010-01-20 2010-01-20 튜브형 인상재 압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259A KR100962560B1 (ko) 2010-01-20 2010-01-20 튜브형 인상재 압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2560B1 true KR100962560B1 (ko) 2010-06-11

Family

ID=42369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259A Active KR100962560B1 (ko) 2010-01-20 2010-01-20 튜브형 인상재 압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5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980A (ja) 2001-05-07 2002-11-19 Dentoronikusu:Kk 寒天印象材注入器
JP2005160779A (ja) 2003-12-03 2005-06-23 Gc Corp 歯科用印象材練和装置
JP2005253769A (ja) 2004-03-12 2005-09-22 Gc Corp 歯科用印象材練和装置
JP2007252749A (ja) 2006-03-24 2007-10-04 Gc Corp 歯科用印象材の容器用支持部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980A (ja) 2001-05-07 2002-11-19 Dentoronikusu:Kk 寒天印象材注入器
JP2005160779A (ja) 2003-12-03 2005-06-23 Gc Corp 歯科用印象材練和装置
JP2005253769A (ja) 2004-03-12 2005-09-22 Gc Corp 歯科用印象材練和装置
JP2007252749A (ja) 2006-03-24 2007-10-04 Gc Corp 歯科用印象材の容器用支持部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825B1 (ko) 이액형 의료용 점성유체 압출건
CN110339467B (zh) 一种泌尿外科尿路麻醉冲洗设备
CN106725027A (zh) 自动挤牙膏装置
CN110585023B (zh) 一种精神科护理用喂药器
KR100962560B1 (ko) 튜브형 인상재 압출장치
CN103961757B (zh) 智能膀胱冲洗控制系统
CN115402548B (zh) 一种手动膏体定量灌装机
CN206714683U (zh) 自动挤牙膏装置
KR200450623Y1 (ko) 반죽스크류가 분리되는 반죽장치
CN215228299U (zh) 一种骨水泥注射装置
CN213193320U (zh) 一种大容量配液快速混匀装置
CN210338569U (zh) 一种美术专业用染料挤压装置
CN207823333U (zh) 一种双组份灌胶装置
CN108745115B (zh) 一种提高搅拌效率的涂料搅拌方法
CN212997938U (zh) 一种医用中医皮肤病药膏自动敷贴器
CN218046031U (zh) 一种麻醉微量输注泵支架
KR100580949B1 (ko) 치약 압출장치
CN218255896U (zh) 一种抹灰砂浆搅拌混合设备
EP1382362B1 (de) Motorgetriebene Infusionspumpe
CN221843654U (zh) 一种易于清洗的面条机
CN222341800U (zh) 一种易于药物涂抹的基础护理装置
CN219110390U (zh) 一种伤口冲洗装置
CN219739644U (zh) 一种直流屏内部单元可调安装机构
KR100314571B1 (ko) 치약 압출 장치
CN216791967U (zh) 一种自动调压混凝土抗渗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0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