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417B1 - Mold structure - Google Patents
Mold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62417B1 KR100962417B1 KR1020100003643A KR20100003643A KR100962417B1 KR 100962417 B1 KR100962417 B1 KR 100962417B1 KR 1020100003643 A KR1020100003643 A KR 1020100003643A KR 20100003643 A KR20100003643 A KR 20100003643A KR 100962417 B1 KR100962417 B1 KR 1009624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ap
- guide plate
- workpiece
- guide
-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45—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 B26D7/1863—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by su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랩의 자동제거 금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의 일측에 배열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과 연결되어 스크랩을 꽂아 밀어내는 푸싱핀을 갖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상부베이스와, 상기 지지블록의 해당위치에 배열되고, 스크랩의 배출을 위한 가이드홀을 갖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상부베이스의 절단부의 해당위치에 배열된 지지부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하부에 배열되고, 스크랩을 모으기 위한 수집부를 포함하는 하부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피가공물에 부착되어 있는 스크랩을 배출부의 푸싱핀이 꽂아 밀어냄으로써 피가공물에서 스크랩을 완전히 분리시키고, 수집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제품의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낮추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아울러 피가공물에서 분리되지 않는 스크랩의 분리를 위한 불필요한 작업을 줄여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이로 인한 인건비와 같은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막아 경제성을 제고(提高)할 수 있는 스크랩의 자동제거 금형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removal mold structure of scrap, and more particularly, including a cutout portion, a support block arranged on one side of the cutout portion, and a discharge portion having a pushing pin connected to the support block to push the scrap into and out of the scrap. A guide plate having an upper base, a corresponding guide hole arrang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upport block, having a guide hole for discharging scrap, a supporting portion arrang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a cutout portion of the upper base, and arranged under the guide plate, It consists of a lower base including a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work, in particular, by pushing the push pin of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scrap attached to the workpiece to completely separate the scrap from the workpiece, and discharged to the collection unit to dramatically reduce the defective rate of the product Lower productivity, increase productivity, and separate from the workpiece To improve the working efficiency by reducing unnecessary operations for the separation of scrap do not, and it would also offer the automatic removal of scrap metal mold structure which can improve (提高) to prevent unnecessary economic costs, such as expenses resulting labor.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가공물에 부착되어 있는 스크랩을 배출부의 푸싱핀이 찍어 하부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피가공물에서 스크랩을 완전히 분리시켜 수집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제품의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낮춰 생산성을 높이고, 아울러 피가공물에서 분리되지 않는 스크랩의 분리를 위한 불필요한 후작업을 줄여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이로 인한 인건비와 같은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막아 경제성을 제고(提高)할 수 있는 스크랩의 자동제거 금형 구조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aps attached to the workpiece are pushed downward by the pushing pins of the discharge portion, thereby completely separating the scrap from the workpiece and discharging the scrap into the collecting portion, thereby significantly lowering the defective rate of the product and increasing productiv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mold removal structure for scraps, which can improve work efficiency by reducing unnecessary post work for separating scraps that are not scrapped, and thereby prevent unnecessary expenses such as labor costs.
일반적으로 피가공물인 반도체의 간지, 절연지, 양면테이프, 각종 필름류 등을 원하는 모양으로 재단하는데 사용하는 절단금형은 칼날을 이용하여 피가공물을 절단하는 장치로서 피가공물이 가압되는 프레스의 상형 또는 하형에 안착되고, 내측에 칼날이 삽입되어 피가공물을 절단하게 된다.
In general, the cutting mold used to cut the workpiece, such as semiconductor paper, insulating paper, double-sided tape, and various kinds of films into a desired shape, is a device for cutting a workpiece by using a blade. It is seated and a blade is inserted inside to cut the workpiece.
이 경우 피가공물에서 절단되어 배출되는 스크랩(scrap) 및/또는 칩(chip)의 처리를 위해 종래에는 김회창 및 백승조에 의한 등록특허 제10-0581575호(2006.05.12.) 및 주식회사 케이디에스인텍에 의한 등록특허 제10-0666828호(2007.01.04.)에 개시된 바와 같이,In this case, for the treatment of scrap and / or chips that are cut and discharged from the work, conventionally, Patent No. 10-0581575 (Dec. 2006.05.12.) And KDS Intech Co., Ltd.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666828 (January 4, 2007),
피가공물에서 절단된 스크랩 및/또는 칩이 홀가공칼날의 내부를 통하여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scrap and / or chips cut from the workpiece are configured to be discharged upward or downward through the inside of the hole cutter.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에 의한 스크랩 및/또는 칩의 배출 방법은 절단 가공이 반복되면서 어느 정도 스크랩 및/또는 칩이 홀가공칼날의 내부에 쌓이게 되면 스크랩 및/또는 칩이 홀가공칼날 내부에 끼이거나 막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However, the method of discharging the scrap and / or chip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that if the scraping and / or chip is accumulated in the hole cutting blade to some extent as the cutting process is repeated, the scrap and / or chip is caught in the hole cutting blade or Clogging may occur,
또한 이로 인하여 홀가공칼날에 의한 절단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this cause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ut by the hole cutting blade.
이러한 종래기술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한 등록특허 제10-0736732호(2007.07.02.)에서는 피가공물의 절단 시 스크랩 및/또는 칩이 완전히 절단되지 않도록 피가공물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동일한 금형에 스크랩 및/또는 칩을 피가공물에 분리시킬 수 있도록 지그핀을 도입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s, Korean Patent No. 10-0736732 (2007.07.02.) By the present applicant has the same state in which the scrap and / or the chip is attached to the workpiece so as not to be completely cut when cutting the workpiece. Jig pins have been introduced in the mold to allow scraps and / or chips to be separated from the workpiece.
그러나 상기 본 출원인에 의한 종래기술에서는 피가공물의 절단을 위한 커터가 날 부분에 노치가 형성되거나 또는 분할날 형태로 이루어져 일정한 틈새를 형성하게 되는데,However, in the prior art by the present applicant, the cutter for cutting the workpiece is formed in the notch or divided blade shape to form a predetermined gap,
이러한 경우 커터의 빈번한 사용으로 커터의 노치나 분할날 간의 틈새간의 거리가 벌어지거나 또는 좁아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피가공물에 붙어 있는 스크랩 및/또는 칩의 부착 부분이 부착양이 달라질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frequent use of the cutter may cause the gap between the notches of the cutter or the gap between the splitting blades to become wider or narrower, and in this case, the amount of attachment of the scrap and / or chips attached to the workpiece may vary. Will be.
이러한 상태에서 지그핀 의하여 스크랩 및/또는 칩을 밀어 피가공물에서 분리하는 작업 시 피가공물에 부착양이 많은 부분이 피가공물에서 분리되지 않고 그대로 부착되어 있는 경우When the scrap and / or chip is pushed by the jig pin in such a state to separate the workpiece from the workpiece, a large amount of adhesion to the workpiece is attached to the workpiece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workpiece.
지그핀이 완전히 하강하더라도 피가공물에서 분리되지 않은 부착 부분에 의하여 스크랩 및/또는 칩 피가공물에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피가공물에서 분리된 쪽의 스크랩 및/또는 칩 부분만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크랩 및/또는 칩은 그대로 피가공물에 부착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Even if the jig pin is completely lowered, only the scrap and / or the chip portion of the side separated from the workpiece moves downwards and is held down by the attachment portion not separated from the workpiece. And / or the chip may be attached to the workpiece as it is,
또한 이러한 현상은 후속 잡업 시에도 연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어 불량률이 높아질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uch a phenomenon may occur continuously during subsequent work, and thus the failure rate may be increased.
아울러 작업자가 피가공물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스크랩 및/또는 칩을 직접 수작업을 통하여 떼어내어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작업능률이 떨어지고, 이로 인한 인건비와 같은 불필요한 비용을 지출의 문제와,In addition, the work efficiency is reduced due to the trouble of the worker having to manually remove scraps and / or chips which are not separated from the work piece, and thus unnecessary expenses such as labor costs,
심한 경우에는 제품의 사용이 불가능하여 폐기함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을 막을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In severe cas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use the product to prevent economic loss due to disposal.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피가공물에 부착되어 있는 스크랩을 배출부의 푸싱핀이 찍어 하부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피가공물에서 스크랩을 완전히 분리시켜 수집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제품의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낮춰 생산성을 높이고,By pushing the scraps attached to the workpiece by pushing pins of the discharge part downward, the scraps ar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workpiece and discharged to the collecting part.
아울러 피가공물에서 분리되지 않는 스크랩의 분리를 위한 불필요한 후작업을 줄여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으며,In addition, it can increase work efficiency by reducing unnecessary post work for separation of scrap that is not separated from the workpiece.
또한 이로 인한 인건비와 같은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막아 경제성을 제고(提高)할 수 있는 스크랩의 자동제거 금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mold removal structure for scrap, which can improve economic efficiency by preventing unnecessary expenses such as labor costs.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에는 가이드플레이트의 위치가변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빈번한 프레싱 작업을 통하여 가이드플레이트의 위치가 바뀌거나 또는 변경된 경우 가이드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하여 정위시킴으로써 가공 정밀도를 높이고,And the guide plate and the suppor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variable stage of the position of the guide plate to increase the processing precision by positioning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guide plate when the position of the guide plate is changed or changed through frequent pressing operation,
아울러 배출부의 지지블록 및 푸싱핀이 승하강하는 경우 가이드플레이트의 가이드홀과의 위치가 달라져 상호 충돌로 인한 금형의 파손이나 손상을 막아 금형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이로 인한 각 부품의 교체나 유지보수로 인한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막을 수 있는 스크랩의 자동제거 금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when the support block and the pushing pin of the discharge part are raised and lowered, the position of the guide plate of the guide plate is changed to prevent the damage or damage of the mold due to mutual collision,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mold, and thereby replacing or maintaining each part.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n automatic removal mold structure for scrap that avoids unnecessary expenses due to repair.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수집부에는 배출구 이외에 흡기공이 구비되어 흡입수단에 의하여 수집부에 모아진 스크랩을 배출시키는 경우 흡기공을 통하여 통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크랩의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의 용이성 및 신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 스크랩의 자동제거 금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Furthermore, the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take hole in addition to the discharge port to discharge the scrap collected in the collection unit by the suction means to be vented through the intake hole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scrap to facilitate the ease and speed of operation It is a further object to provide a mold removal structure of scrap that can be guaranteed.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자동제거 금형 구조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 일측에 배열된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과 연결되어 스크랩을 찍어 밀어내는 푸싱핀을 갖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상부베이스; 상기 배출부의 해당위치에 배열되고, 스크랩의 배출을 위한 가이드홀을 갖는 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베이스의 절단부의 해당위치에 배열된 지지부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하부에 배열되고, 스크랩을 모으기 위한 수집부를 포함하는 하부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utomatic scrap mold remov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base including a cutting portion, a discharge block having a support block arranged on one side of the cutting portion, and a pushing pin connected to the support block to push out the scrap; A guide plate arrang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discharge part and having a guide hole for discharging scrap; And a lower base including a support arrang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a cut portion of the upper base and a collection part arranged under the guide plate and collecting scraps.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부베이스의 수집부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는 지지플레이트가 더 구비되고,And a support plate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ollection portion of the lower base and the guid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에는 가이드플레이트의 위치 조절을 위한 위치가변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guide plate and the support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variable step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guide plate is further provided.
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위치가변수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 양측에 형성된 장홈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장홈의 해당위치에 배열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장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osition variable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ng groov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the insertion plate formed in the guide plate, arranged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long groov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moved along the long groov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pin.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부베이스에서 상기 수집부에는 흡입수단에 의하여 스크랩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Furthermore, in the lower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ection part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scrap is discharged by suction means,
상기 수집부에는 스크랩의 배출용이성을 보장하기 위한 흡기공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llec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ake hole is further provided to ensure the ease of discharging the scrap.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자동제거 금형 구조는 피가공물에 부착되어 있는 스크랩을 배출부의 푸싱핀이 찍어 하부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피가공물에서 스크랩을 완전히 분리시켜 수집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제품의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낮춰 생산성을 높이고,The automatic removal mold structure of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ush down the scrap attached to the workpiece by the pushing pin of the discharge portion downwards to completely separate the scrap from the workpiece and discharged to the collecting part to drastically lower the defective rate of the product Increase the
아울러 피가공물에서 분리되지 않는 스크랩의 분리를 위한 불필요한 후작업을 줄여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이로 인한 인건비와 같은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막아 경제성을 제고(提高)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work efficiency by reducing unnecessary post work for separation of scrap which is not separated from the workpiece, and also to increase economic efficiency by preventing unnecessary expenses such as labor costs.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에는 가이드플레이트의 위치가변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빈번한 프레싱 작업을 통하여 가이드플레이트의 위치가 바뀌거나 또는 변경된 경우 가이드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하여 정위시킴으로써 가공 정밀도를 높이고,And the guide plate and the suppor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variable stage of the position of the guide plate to increase the processing precision by positioning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guide plate when the position of the guide plate is changed or changed through frequent pressing operation,
아울러 배출부의 지지블록 및 푸싱핀이 승하강하는 경우 가이드플레이트의 가이드홀과의 위치가 달라져 상호 충돌로 인한 금형의 파손이나 손상을 막아 금형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이로 인한 각 부품의 교체나 유지보수로 인한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막을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support block and the pushing pin of the discharge part are raised and lowered, the position of the guide plate of the guide plate is changed to prevent the damage or damage of the mold due to mutual collision,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mold, and thereby replacing or maintaining each part. Unnecessary expenses due to remuneration can be prevented.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수집부에는 배출구 이외에 흡기공이 구비되어 흡입수단에 의하여 수집부에 모아진 스크랩을 배출시키는 경우 흡기공을 통하여 통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크랩의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의 용이성 및 신속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Furthermore, the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take hole in addition to the discharge port to discharge the scrap collected in the collection unit by the suction means to be vented through the intake hole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scrap to facilitate the ease and speed of operation It can be guarante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자동제거 금형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구조에서 스크랩의 배출을 위한 각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 구조에서 스크랩의 배출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구조에서 위치가변수단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구조에서 수집부의 흡기공에 의한 스크랩의 배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utomatic removal mold structure of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each component for the discharge of scrap in the mol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ischarge of scrap in the mol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sitional variable stage in a mol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charge state of the scrap by the intake hole of the collecting portion in the mol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자동제거 금형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automatic removal mold structure of the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 명세서상에서 피가공물은 프레스기에 의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재단 가능한 반도체의 간지, 절연지, 양면테이프, 각종 필름류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Firs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workpiece is a concept including an interlayer paper, an insulating paper, a double-sided tape, various films, and the like, which can be cut into a desired shape by a pres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자동제거 금형 구조는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automatic removal mold structure of the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절단부(11)와, 상기 절단부(11) 일측에 배열된 지지블록(13b)과, 상기 지지블록(13b)과 연결되어 스크랩(S)을 찍어 밀어내는 푸싱핀(13c)을 갖는 배출부(13)를 포함하는 상부베이스(10); 상기 배출부(13)의 해당위치에 배열되고, 스크랩(S)의 배출을 위한 가이드홀(21)을 갖는 가이드플레이트(20); 및 상기 상부베이스(10)의 절단부(11)의 해당위치에 배열된 지지부(31)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 하부에 배열되고, 스크랩(S)을 모으기 위한 수집부(33)를 포함하는 하부베이스(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S)의 배출이 용이한 금형 구조에서, 상기 상부베이스(10)는As shown in Figures 1 to 3 in the mold structure that is easy to discharge the scrap (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절단부(11)와, 상기 절단부(11)의 일측에 배열된 배출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comprises a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상부베이스(10)의 상부에는 상부베이스(10)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승하강수단(1)이 구비되고,First, the elevating means 1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상기 승하강수단(1)은 공압 또는 유압과 같은 작동유체를 사용하는 프레스(미도시)가 구비된다.
The elevating means (1) is provided with a press (not shown) using a working fluid, such as pneumatic or hydraulic.
그리고 상기 상부베이스(10) 일측, 첨부된 도 1에서 우측에는 절단부(11)가 구비되는데,And one side of the
상기 절단부(11)는 상기 상부베이스(10) 우측 하면부에 결합된 절단플레이트(11a)와, 상기 절단플레이트(11a)의 하면부에 연결된 다수의 커터(1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The
상기 커터(11b)는 날 부분에 복수의 노치(11c)(또는 분할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가 형성된다.
The
따라서 상기 상부베이스(10)가 승하강수단(1)에 의하여 하강하여 피가공물(SH)을 가압하는 경우Therefore, when the
상기 커터(11b)의 각 노치(11c) 사이의 틈새만큼 피가공물(SH)에서 절단되어 분리되어야 할 스크랩(S)에는 잔여부착부(SE)가 형성되어 스크랩(S)이 피가공물(SH)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remaining attachment portion SE is formed in the scrap S to be cut and separated from the workpiece SH by a gap between th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부베이스(10)에는 상기 절단부(11) 좌측에는 배출부(13)가 구비되는데,Next, the
상기 배출부(13)는 상기 상부베이스(10)의 좌측 하면부에 결합되는 배출플레이트(13a)와,The
상기 배출플레이트(13a) 하면부에 연결된 다수의 지지블록(13b)과,A plurality of
상기 각 지지블록(13b)의 하면부에 연결된 푸싱핀(13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comprises a pushing pin (13c)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support blocks (13b).
즉 상기 배출부(13)는 상기 절단부(11)에서 절단 가공된 피가공물(SH)에서 스크랩(S)을 분리 배출시키기 위해That is, the
상기 지지블록(13b)과 푸싱핀(13c)에 의하여 피가공물(SH)에 부착된 스크랩(S)의 잔여부착부(SE)를 완전히 분리하여 하부베이스(30)의 수집부(33)로 배출시켜 스크랩(S)을 모으게 된다.
The remaining attachment portion SE of the scrap S attached to the workpiece SH is completely separated by the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13)에서는 피가공물(SH)로부터 스크랩(S)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푸싱핀(13c)을 도입하고 있는데,However, the
이는 피가공물(SH)에 부착된 스크랩(S)을 분리 배출시키기 위해 종래와 같이 핀칭부에 의하여만 스크랩(S)을 밀어내는 경우에 발생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that occur when the scrap (S) is pushed only by the pinching unit in order to separate and discharge the scrap (S) attached to the workpiece (SH).
즉 상기 커터(11b)의 각 노치(11c) 부분에는 일정한 틈새를 형성하게 되는데,In other words,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in each
이러한 경우 커터(11b)의 빈번한 사용으로 각 노치(11c) 부분의 날간의 틈새간의 거리가 벌어지거나 또는 좁아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피가공물(SH)에 붙어 있는 스크랩(S)의 잔여부착부(SE)의 부착양이 달라질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frequent use of the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부(13)의 지지블록(13b)에 의하여 스크랩(S)을 밀어 잔여부착부(SE)를 피가공물(SH)에서 분리하는 작업 시 잔여부착부(SE)의 부착양이 많은 부분이 피가공물(SH)에서 분리되지 않고 그대로 부착되어 있는 경우In this state, by pushing the scrap S by the
지지블록(13b)이 완전히 하강하더라도 피가공물(SH)에서 분리되지 않은 잔여부착부(SE)에 의하여 스크랩(S)이 피가공물(SH)에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잔여부착부(SE)가 피가공물(SH)에서 분리된 쪽의 스크랩(S) 부분만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크랩(S)은 그대로 피가공물(SH)에 부착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Even though the
또한 이러한 현상은 후속 잡업 시에도 연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어 불량률이 높아질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uch a phenomenon may occur continuously during subsequent work, and thus the failure rate may be increased.
아울러 작업자가 피가공물(SH)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스크랩(S)을 직접 수작업을 통하여 떼어내어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작업능률이 떨어지고, 인건비와 같은 불필요한 비용 지출의 문제와,In addition, the work efficiency is reduced due to the inconvenience that the worker has to remove the scrap S, which is not separated from the work SH, by hand, and the unnecessary expense such as labor costs,
심한 경우에는 제품의 사용이 불가능하여 폐기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손실을 막을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In severe cases, the problem is that the product cannot be used and the economic losses that must be disposed of cannot be prevented.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In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상기 각 지지블록(13b)에 연결된 푸싱핀(13c)이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피가공물(SH)에 부착된 스크랩(S)을 수직 방향에서 누르게 되며,Pushing pins (13c) connected to each of the support blocks (13b) is projec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o press the scrap (S) attached to the workpiece (SH)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 경우 상기 각 푸싱핀(13c)의 하단 부분은 뾰족한 쐐기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스크랩(S)을 찍은 상태에서 하부 방향으로 스크랩(S)을 밀게 되므로 스크랩(S)은 각 푸싱핀(13c)과 함께 하부 방향으로 딸려 내려오게 되고,In this case, the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pushing
이때 피가공물(SH)에서 분리되지 않은 스크랩(S)의 잔여부착부(SE) 역시 피가공물(SH)에서 완전히 떨어질 수밖에 없게 된다.
At this time, the remaining attachment portion SE of the scrap S which is not separated from the workpiece SH also has to fall completely from the workpiece SH.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푸싱핀의 도입으로 스크랩을 피고강물에서 완전하게 분리 및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고, 또한 불필요한 작업에 의한 작업능률의 저하나 경제적인 손실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pushing 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crap to be completely separated and removed from the steel product, thereby lowering the defective rate of the product, and also reducing the work efficiency and economic loss due to unnecessary work. Will hav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부베이스(10)는 절단부(11)와 배출부(13)가 한 벌로 구성되어 있어, On the other hand, the
프레스의 1스트로크에 의하여 피가공물(SH)의 절단 작업과, 절단된 스크랩(S)의 배출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피가공물(SH)에서 스크랩(S)을 분리하기 위해 별도의 후작업이 필요 없게 되어 이에 소요되는 인건비를 줄일 수 있고,The cutting work of the work SH and the discharge work of the cut scrap S can be simultaneously performed by one stroke of the press, so a separate post work is required to separate the scrap S from the work SH. To reduce labor costs for this,
또한 자동화된 공정을 통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켜 생산성 및 경제성을 제고(提高)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can improve productivity and economic efficiency by improving work efficiency through automated proces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자동제거 금형 구조에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는1 to 3 in the automatic removal mold structure of the scrap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상기 지지블록(13b)의 해당위치에 배열되고, 스크랩(S)의 배출을 위한 가이드홀(21)이 구비된다.
It is arrang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플레이트(20)는 평판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홀(21)은 상기 배출부(13)의 각 지지블록(13b)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배출부(13)에 의하여 피가공물(SH)에서 분리된 스크랩(S)과, 상기 배출부(13)의 각 지지블록(13b) 내지 푸싱핀(13c)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21)의 또 다른 역할로는 상기 푸싱핀(13c)에 꽂혀 피가공물에서 분리된 스크랩(S)이 푸싱핀(13c)의 승강 시 하부베이스(30)의 수집부(33)에 떨어지지 않고 함께 딸려 올라오는 경우 가이드홀(21)의 하단 부분에 스크랩(S)이 걸려 떨어지도록 하는 역할도 함께 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더 나아가 상기 가이드홀(21)의 이러한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Furthermore,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exhibit this function of the
상기 가이드홀(21)의 단면 형상을 상광하협(上廣下狹) 형태로 형성하여 가이드홀(21)이 좁아지는 하단 부분에서 스크랩(S)이 걸려 보다 확실하게 스크랩(S)이 하부베이스(30)의 수집부(33)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이때 상기 가이드홀(21)의 하단 부분의 홀 사이즈는 스크랩(S)의 사이즈보다 작게 형성하여 스크랩(S)이 푸싱핀(13c)에서 보다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할 것이다.
In this case, the hole siz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자동제거 금형 구조에서, 상기 하부베이스(30)는1 to 3, in the automatic removal mold structure of the scrap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상기 상부베이스(10)의 절단부(11)의 위치에 배열되는 지지부(31)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 하부에 배열되는 수집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includes a
본 발명에 따른 하부베이스(30)는 그 상부에 피가공물(SH)이 올려지고,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송수단이 구비되어 피가공물을 일정한 양만큼 연속적으로 이송시킴으로써 하나의 금형에서 피가공물의 절단과, 절단된 스크랩을 피가공물에서 분리 배출시키는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veying means is provided to continuously transfer the workpiece by a predetermined amount so that the cutting of the workpiece in one mold and the operation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cut scrap from the workpiece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하부베이스(30)에서 상기 지지부(31)는 상기 상부베이스(10)의 절단부(11)의 직하방에 배열되고,And in the
상기 승하강수단(1)에 의하여 상기 상부베이스(10)가 하강하여 상기 절단부(11)가 피가공물(SH)을 절단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31)가 피가공물(SH)과 절단부(11)를 그 하부에서 지지하게 된다.
When the
또한 상기 하부베이스(30)에서 상기 수집부(33)는 상기 배출부(13)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의 가이드홀(21)을 통하여 푸싱핀(13c)에서 분리된 스크랩(S)을 모을 수 있는 수집공간(35)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수집공간(35)의 상부 주변에는 지지단턱부(37)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단턱부(37)에는 지지플레이트(40)가 거치되는데,A
상기 지지플레이트(40)는 상기 수집공간(35) 상부에 배열되는 가이드플레이트(20)를 지지하고, 하기할 위치가변수단(PC)을 도입하기 위한 것이다.
The
또한 상기 수집공간(35)의 일측에는 수집된 스크랩(S)을 흡입수단(50)의 흡입력에 의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33a)가 구비되며,In addition, one side of the
이 경우 상기 수집공간(35)의 형상은 상기 배출구(33a)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데,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이는 흡입수단(50)에 의한 흡입력을 집중시켜 스크랩(S)의 배출이 보다 쉽고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make the discharge of the scrap (S) easier and easier by concentrating the suction force by the suction means (50).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집부(33)에서 상기 수집공간(35)에는 단수 또는 복수의 흡기공(33b)이 형성되는데,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in the collecting
이는 상기 흡입수단(50)에 의하여 상기 배출구(33a)로 스크랩(S)을 빨아내는 경우 본 발명과 같은 흡기공(33b)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흡입수단(50)이 수집공간(35) 내의 공기까지 빨아들이게 되므로 수집공간(35)은 진공 상태와 유사한 상태에 놓이게 되며,This is because when the suction means (50) by the suction means 50 to suck the scrap (S) to the intake hole (33b) a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rovided with the suction means 50 in the
이 경우 수집공간(35) 내의 스크랩(S)이 흡입수단(50)에 의한 흡입력에 의하여도 잘 배출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된다.
In this case, a problem occurs that the scrap S in the
따라서 상기 수집공간(35)에 외부와 통하는 흡기공(33b)을 형성하여 통기가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흡입수단(50)에 의하여 배출구(33a)를 통하여 스크랩(S)을 빨아들이는 경우에도 수집공간(35)에는 흡기공(33b)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스크랩(S)의 배출 작업이 쉽고 용이하게 된다.
Therefore, by forming an intake hole (33b)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in the
더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플레이트(20)와 지지플레이트(40)에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의 위치 조절을 위한 위치가변수단(PC)이 더 구비되는데,Furthermore, as shown in FIG. 4, the
상기 위치가변수단(PC)은 빈번한 프레싱 작업을 통하여 가이드플레이트(20)의 위치가 바뀌거나 또는 변경된 경우 가이드플레이트(20)의 위치를 조절하여 정위시킴으로써 제품의 불량률을 막고,The position variable stage PC prevents a defective rate of the product by positioning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아울러 배출부(13)의 지지블록(13b) 및 푸싱핀(13c) 승하강하는 경우 가이드플레이트(20)의 가이드홀(21)과의 위치가 달라져 상호 충돌로 인한 금형의 파손이나 손상을 막아 금형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한 각 부품의 교체나 유지보수로 인한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when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위치가변수단(PC)은 상기 지지플레이트(40) 양측에 형성된 장홈(41)과,That is, the position variable stage P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에 형성되고, 상기 장홈(41)의 해당위치에 배열된 삽입공(23)과, 상기 삽입공(23)에 삽입되고, 상기 장홈(41)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따라서 상기 지지플레이트(40)의 상면부에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의 삽입공(23)에 상기 가이드핀(43)을 삽입시키면,Accordingly, when the
상기 가이드핀(43)의 하단 부분이 상기 지지플레이트(40)의 장홈(41)에 삽입되며,The lower end portion of the
이때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가이드핀(43)이 상기 장홈(4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이는 상기 가이드핀(43)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가 지지플레이트(40)의 상면부를 타고 이동하는 경우 가이드플레이트(20)가 이동 경로를 벗어나지 못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This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40)의 장홈(41)은 상기 가이드핀(43)의 직선 운동을 보장하고, 또 상기 가이드핀(43), 즉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의 이동 범위를 설정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아울러 상기 지지플레이트(40)에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의 가이드홀(21)을 통하여 승하강하는 각 지지블록(13b) 및 푸싱핀(13c)과, 스크랩(S)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도록 절개부(45)가 형성되며,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40) 상면부에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의 이동 범위를 일정하게 제한할 수 있도록 가이드블록(47)이 가이드플레이트(20)의 이동 방향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이들 모두의 방향에 형성되어 있어 가이드플레이트(20)의 이동 범위를 필요 따라 제한하고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아울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위치가변수단이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양측부와 상기 수집부의 상면부를 접착테이프에 의하여 동시에 접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case where the position variable stage is provided, both sides of the guide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on unit are fixed more effectively by adhesive tapes at the same time while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guide plate. You can do it.
다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가변수단(PC)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수집부(33)의 지지단턱부(37), 지지플레이트(40) 및 가이드플레이트(20)의 양측에는 각각 고정공(3)이 형성되고,However, as shown in FIG. 2, when the position variable step P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rovided, the
그리고 상기 지지단턱부(37)의 고정공(3)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5)(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단턱부의 고정공에는 나사산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를 각 플레이트(40)(50)의 고정공(3)을 통하여 지지단턱부(37)의 고정공(3)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지지단턱부(37), 지지플레이트(40) 및 가이드플레이트(20)를 동시에 고정 결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스크랩의 자동제거 금형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tructure of the automatic removal of the scrap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a particular shape and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
1 : 승하강수단 3 : 고정공
5 : 고정볼트
10 : 상부베이스 11 : 절단부
11a : 절단플레이트 11b : 커터
11c : 노치
13 : 배출부 13a : 배출플레이트
13b : 지지블록 13c : 푸싱핀
20 : 가이드플레이트 21 : 가이드홀
23 : 삽입공
30 : 하부베이스 31 : 지지부
33 : 수집부 33a : 배출구
33b : 흡기공 35 : 수용공간
37 : 지지단턱부
40 : 지지플레이트 41 : 장홈
43 : 가이드핀 45 : 절개부
47 : 가이드블록
50 : 흡입수단
SH : 피가공물 S : 스크랩
SE : 잔여부착부 PC : 위치가변수단1: lifting means 3: fixing hole
5: fixing bolt
10: upper base 11: cut portion
11a: cutting
11c: notch
13: discharge
13b:
20: guide plate 21: guide hole
23: insertion hole
30: lower base 31: support
33: collecting
33b: intake hole 35: receiving space
37: support step
40: support plate 41: long groove
43: guide pin 45: incision
47: guide block
50: suction means
SH: Workpiece S: Scrap
SE: Residual Attachment PC: Position Variable
Claims (4)
상기 절단부의 일측에 배열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과 연결되어 스크랩을 찍어 밀어내는 푸싱핀을 갖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상부베이스;
상기 지지블록의 해당위치에 배열되고, 스크랩의 배출을 위한 가이드홀을 갖는 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베이스의 절단부의 해당위치에 배열된 지지부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하부에 배열되고, 스크랩을 모으기 위한 수집부를 포함하는 하부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베이스의 수집부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는 지지플레이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에는 가이드플레이트의 위치 조절을 위한 위치가변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의 자동제거 금형 구조.Cutout,
An upper base including a support block arranged on one side of the cutting part, and a discharge part having a pushing pin connected to the support block and pushing out scraps;
A guide plate arrang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upport block and having a guide hole for discharging scrap; And
A support portion arrang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a cut portion of the upper base;
And a lower base arranged under the guide plate and including a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scraps.
A support plate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ollection portion of the lower base and the guide plate.
The guide plate and the support plate is automatically removed mold structure of the scrap,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variable step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guide plate is further provided.
상기 지지플레이트 양측에 형성된 장홈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장홈의 해당위치에 배열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장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의 자동제거 금형 구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value variable stage
Lo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guide plate and arrang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long groov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the automatic removal mold structure of the scra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pin moving along the long groove.
상기 수집부에는 흡입수단에 의하여 스크랩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수집부에는 스크랩의 배출용이성을 보장하기 위한 흡기공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의 자동제거 금형 구조.4. A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in the lower base
The collection unit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scrap by the suction means,
The collection unit is automatically scrap metal mold remova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hole is further provided to ensure the ease of discharging the scrap.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3643A KR100962417B1 (en) | 2010-01-14 | 2010-01-14 | Mold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3643A KR100962417B1 (en) | 2010-01-14 | 2010-01-14 | Mold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62417B1 true KR100962417B1 (en) | 2010-06-09 |
Family
ID=42369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364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62417B1 (en) | 2010-01-14 | 2010-01-14 | Mold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62417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4129A (en) * | 2017-12-19 | 2019-06-27 | (주)파인테크 | Blanking dies |
KR20200097017A (en) * | 2019-02-07 | 2020-08-18 | (주) 에스에이치테크놀로지 | Carrier tape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punching machine with scrap discharge structure |
CN111716784A (en) * | 2020-07-03 | 2020-09-29 | 河北中和铸造有限公司 | Waste residue cleaning device based on gray iron casting processing |
CN113492260A (en) * | 2021-08-04 | 2021-10-12 | 铭镭激光智能装备(河源)有限公司 | Sheet metal component laser cutting auxiliary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4695B1 (en) | 2005-10-14 | 2007-01-25 | (주) 부광테크 | Press Punching Equipment |
KR100736732B1 (en) * | 2007-03-06 | 2007-07-09 | 김태식 | Die assembly |
-
2010
- 2010-01-14 KR KR1020100003643A patent/KR10096241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4695B1 (en) | 2005-10-14 | 2007-01-25 | (주) 부광테크 | Press Punching Equipment |
KR100736732B1 (en) * | 2007-03-06 | 2007-07-09 | 김태식 | Die assembly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4129A (en) * | 2017-12-19 | 2019-06-27 | (주)파인테크 | Blanking dies |
KR102032911B1 (en) * | 2017-12-19 | 2019-10-16 | (주)파인테크 | Blanking dies |
KR20200097017A (en) * | 2019-02-07 | 2020-08-18 | (주) 에스에이치테크놀로지 | Carrier tape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punching machine with scrap discharge structure |
KR102160933B1 (en) * | 2019-02-07 | 2020-09-29 | (주) 에스에이치테크놀로지 | Carrier tape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punching machine with scrap discharge structure |
CN111716784A (en) * | 2020-07-03 | 2020-09-29 | 河北中和铸造有限公司 | Waste residue cleaning device based on gray iron casting processing |
CN113492260A (en) * | 2021-08-04 | 2021-10-12 | 铭镭激光智能装备(河源)有限公司 | Sheet metal component laser cutting auxiliary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66511B1 (en) |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utting material of window frame | |
CN109500233B (en) | Automatic production line of aluminum alloy substrate for mechanical hard disk and working method of automatic production line | |
KR100962417B1 (en) | Mold structure | |
CN108974474B (en) | Carton conveying roller line and carton conveying method | |
KR100954883B1 (en) | Apparatus of auto removal | |
CN220347869U (en) | Discharging device of pipe cutting machine | |
KR102029572B1 (en) | Tubular product presses Continuous automation mold system | |
WO2020048007A1 (en) | Wood sawing machine | |
CN109500234B (en) | Aluminum alloy substrate stamping production line for mechanical hard disk and working method thereof | |
CN107282806A (en) | Stampings guiding device | |
CN216941327U (en) | Intelligent integrated rock plate processing device for water jet cutter opening, edging and conveying | |
CN217831465U (en) | Automobile parts blanking trimming die | |
CN217095247U (en) | Workpiece punching mechanism with waste pushing function | |
KR101263328B1 (en) | Punching molding for flexible pcb | |
CN116277307A (en) | High-precision cutting device for plate processing | |
CN214645556U (en) | Ultrasonic automatic water gap removing machine | |
CN210260236U (en) | A unloader for cutting material machine | |
CN210125694U (en) | Electronic component pin bending device | |
CN108296562B (en) | Steel plate cutting workbench | |
CN222078137U (en) | A profile residual material unloading device and profile processing equipment | |
CN217070688U (en) | Horizontal continuous casting die-cutting machine | |
CN213530429U (en) | Five metals punching press modulus of continuity discharge device | |
CN218050612U (en) | Full-automatic four sides saw | |
CN222807240U (en) | A dust removal support plate | |
CN216153829U (en) | Material distribution mechanism of automatic pipe clamping and lifting mechanis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1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