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827B1 - Filtering apparatus with filter cleaning function - Google Patents
Filtering apparatus with filter cleaning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61827B1 KR100961827B1 KR1020090041873A KR20090041873A KR100961827B1 KR 100961827 B1 KR100961827 B1 KR 100961827B1 KR 1020090041873 A KR1020090041873 A KR 1020090041873A KR 20090041873 A KR20090041873 A KR 20090041873A KR 100961827 B1 KR100961827 B1 KR 1009618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filter unit
- housing
- type filtration
-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1—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nozzles or suction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기능을 갖는 필터식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적으로 수행됨으로써 필터식 여과장치의 유지 및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또 필터교환에 대한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재생기능을 갖는 필터식 여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여과처리가 요구되는 물이 유동하는 관로 상에 설치되며, 여과물이 배출되는 배출관 및 이물질 배출관과 연결되게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물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유닛;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열원에 의해 가열되어 필터유닛으로 열을 전달함으로써 필터유닛을 건조시키는 건조수단; 및 상기 건조수단에 의해 건조된 필터유닛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필터유닛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에어노즐로 구성된 재생기능을 갖는 필터식 여과장치에 관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type filtration device having a regeneration function, the object of which is to provide a convenient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filter type filtration device by automatically performing a series of processe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filter, and It is to provide a filter type filtration device having a regeneration function that can reduce the economic burden of the user for exchange.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installed on a pipe through which the water required to be filtered flows, the housing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and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ipe from which the filtrate is discharged; A filter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ter; Drying means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heated by a heat source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ransfer heat to the filter unit to dry the filter unit; And a filter type filtration device having a regeneration function consisting of an air nozzle for separating air attached to the filter unit by injecting air into the filter unit dried by the drying means.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활용수나 산업용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필터식 여과장치로써, 특히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여 줌으로써 필터의 교체 없이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유지 및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재생기능을 갖는 필터식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ter type filtration device that filters foreign matter contained in domestic or industrial water using a filter, and in particular, by automatically removing foreign matters attached to the filter, it is possible to use it for a long time without replacing the filter. A filter type filtration apparatus having a regeneration function to provide convenience.
공업용수란 제조공업에 사용되는 물로써 공업생산에 관련되는 모든 용도의 물이 포함되며, 대부분의 공업용수는 냉각용수, 세정용수, 원료 운송용수 및 공정용수 등으로 이용된다.Industrial water is water used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includes water for all uses related to industrial production. Most industrial water is used for cooling water, washing water, raw material transportation water, and process water.
한편 공업용수는 하천이나 호수 등으로부터 물을 끌어들여 물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처리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생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처리과정에서 물속에 포함된 입자상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하여 주로 필터식 여과장치가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dustrial water can be produced by drawing water from a river or a lake to undergo various treatments to remove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the water. In this process, a filter is mainly used to filter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the water. Type filters are used.
상기 필터식 여과장치는 처리가 요구되는 물 속에 포함된 입자상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를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filter type filtration device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lter for filtering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water to be treated.
이러한 필터식 여과장치는 장기간 사용시 여과된 입자상의 이물질이 필터에 고착되어 필터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이고, 필터에 고착된 입자상의 이물질은 물의 유동을 방해하여 주변기기의 부하를 유발하게 되므로, 정기적으로 필터를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거나 필터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해주어야만 하였다.Such filter type filtration device is not only deteriorated filter performance due to the particulate matter is fixed to the filter in the long-term use, of course, the particulate matter adhered to the filter will interfere with the flow of water, causing a load on the peripheral device, They had to replace the filter with a new one or remove foreign matter stuck to the filter.
이처럼 종래의 필터식 여과장치는 정기적인 필터의 교환이 요구됨에 따라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또 필터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 수작업에 의하여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활동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As such, the conventional filter type filtration apparatus adds to the economic burden of the user as the regular filter replacement is required, and when th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filter is to be removed,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filter is removed manually.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time to interfere with production activiti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적으로 수행됨으로써 필터식 여과장치의 유지 및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또 필터교환에 대한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재생기능을 갖는 필터식 여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venient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filter type filtration apparatus by automatically performing a series of processes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attached to the filter, and the filter It is to provide a filter type filtration device having a regeneration function that can reduce the economic burden of the user for exchang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건조시킨 후, 고압의 공기를 필터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짐으로써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재생기능을 갖는 필터식 여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lter the filter type filter having a regeneration function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by removing the foreign matter by drying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filter, by supplying a high-pressure air to the filter In providing.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재생기능을 갖는 필터식 여과장치는 여과처리가 요구되는 물이 유동하는 관로 상에 설치되며, 여과물이 배출되는 배출관 및 이물질 배출관과 연결되게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물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유닛;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열원에 의해 가열되어 필터유닛으로 열을 전달함으로써 필터유닛을 건조시키는 건조수단; 및 상기 건조수단에 의해 건조된 필터유닛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필터유닛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에어노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ilter type filtration device having a regenera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nd to perform the problem for eliminating the conventional defects is installed on the pipeline through which water to be filtered is required, the filtrate is discharged A housing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and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ipe; A filter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ter; Drying means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heated by a heat source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ransfer heat to the filter unit to dry the filter unit; And an air nozzle for separating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filter unit by injecting air into the filter unit dried by the drying means.
한편, 상기 건조수단은 열원으로 스팀을 사용하며, 상기 스팀이 공급되는 이 중자켓을 필터유닛 및 에어노즐과 격리된 구조를 갖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ying means uses steam as a heat source, it can be configured by form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so that the heavy jacket is supplied with the steam is isolated from the filter unit and the air nozzle.
한편, 상기 에어노즐은 필터유닛의 외부를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설치된 에어 분사관에 다수개의 노즐공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ir nozzle may be configured by forming a plurality of nozzle holes in the air injection pipe installed to spirally surround the outside of the filter unit.
한편, 상기 필터유닛은 원통형의 그물망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필터프레임; 상기 필터프레임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여과포; 및 상기 여과포를 필터프레임에 고정하도록 필터프레임에 씌워지며, 여과된 물의 유동을 위한 다수개의 타공구멍을 갖는 타공덮개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 unit is formed of a cylindrical mesh structure filter frame mounted to the housing; A filter cloth installed to surround an outer surface of the filter frame; And it is covered with a filter frame to fix the filter cloth to the filter frame, it may be composed of a perforated cover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for the flow of filtered water.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수단을 이용하여 필터유닛을 건조시키고, 에어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을 공기를 이용하여 필터유닛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함으로써 필터유닛의 재생이 용이하고, 이로 인하여 필터식 여과장치에 대한 유지 및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dry the filter unit by using the drying means,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filter unit by using the high pressure injected from the air nozzle to facilitate the regeneration of the filter unit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for the filter type filtration device.
또한, 필터의 교환시점을 연장할 수 있게 되어 필터교환에 대한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time of replacement of the filter to reduce the economic burden on the user of the filter replacemen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식 여과장치가 구비된 배관계통구조를 나타낸 구조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식 여과장치를 나타낸 구성도를, 도 3은 도 2의 'A'부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1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piping system with a filter typ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lter typ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detailed view of portion 'A' of FIG. 2 is shown.
본 발명의 필터식 여과장치는 필터의 재생 즉, 이물질의 제거가 요구되는 필터를 건조시키고, 이어서 고압의 공기로써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생기능을 갖는 필터식 여과장치는 하우징(110)과, 필터유닛(120)과, 건조수단(130)과, 에어노즐(140)로 구성되어 있다.The filter type filt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generate the filter, that is, to dry the filter required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nd then to automatically perform a series of processes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filter with high-pressure air, the present invention Filter type filtration apparatus having a regene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상기 하우징(110)은 원통형의 구조로써 여과처리가 요구되는 물이 유동하는 관로(이하 '공급관(101)'이라 함)상에 설치되며,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관(102)과, 필터유닛(120)으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 배출관(103)과 연결되어 있다.The
한편 상기 하우징(110)이 설치되는 공급관(101)과 배출관(102) 및 이물질 배출관(103)에는 유로를 단속하기 위한 밸브(151,152,153)가 설치된다.Meanwhile,
또한, 상기 공급관(101) 또는 하우징(110)에는 필터의 재생 작업시 하우징(110) 및 주변 배관의 물을 빼내기 위한 드레인관(104)이 연결되며, 이러한 드레인관(104)에도 유로의 단속을 위한 밸브(154)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하우징(110)의 내부에 필터유닛(120)과 건조수단(130) 및 에어노즐(140)이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의 수리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단부에는 커버(111)가 착탈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커버(111)는 볼트와 같은 공지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하우징(110)에 체결되어질 수 있다.The
상기 필터유닛(12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관로를 통해 유입되는 물속의 입자상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이다. 이러한 필터유닛(120)은 필터프레임(121)과, 여과포(122)와, 타공덮개(123)로 구성되어 있다.The
상기 필터프레임(121)은 입자상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포(122)를 일정한 형태, 예컨대 원통형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공급관(101)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내부로 유입되어 질 수 있도록 원통형의 그물망구조로 형성되며,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필터프레임(121)은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여과포(122)는 필터프레임(121)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필터프레임(121)의 내부로 유입된 물 속에 포함된 입자상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이다. 이처럼 설치된 여과포(122)를 통해 여과된 물은 배출관(102)으로 빠져나게 된다. 한편 상기 여과포(122)는 물속에 포함된 이물질의 여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주지 관용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상기 타공덮개(123)는 필터프레임(121)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여과포(122)를 고정하는 것으로, 필터프레임(121)의 외경에 비하여 조금 더 큰 내경을 갖는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여과포(122)를 사이에 두고 필터프레임(121)의 외부에 씌워지도록 설치됨으로써 여과포(122)를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타공덮개(123)는 여과포(122)를 거쳐 여과된 물이 배출관(102)으로 원활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다수개의 타공구멍(123-1)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The perforated
상기 건조수단(130)은 필터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의 원활한 분리를 위하여 필터유닛(120)을 건조시키는 것으로,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열원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필터유닛(120)을 건조하게 된다.The drying means 130 is to dry 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수단(130)은 열원으로 미도시된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을 사용하고 있으며, 스팀이 갖는 열을 이용하여 필터유닛(120)을 건조하되, 스팀에 포함된 수분이 필터유닛(12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내부에 이중자켓(131)을 형성한 것으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drying means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the steam supplied from the boiler not shown as a heat source, and drying the
상기 이중자켓(131)은 필터유닛(120) 및 에어노즐(140)과 격리된 공간을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하도록 하우징(110)의 내부에 격벽(132)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이중자켓(131)으로 공급되는 스팀의 응결에 의해 발생되는 물은 공지의 스팀트랩(13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In addition, the water generated by the condensation of the steam supplied to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노즐을 나타낸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4 is a front view showing an ai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에어노즐(140)은 필터유닛(120)으로 고압을 공기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것으로, 필터유닛(120)에 부착된 이물질이 필터유닛(120)으로부터 분리된 후,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이물질 배출관(103)으로 배출되어질 수 있 도록 에어노즐(140)은 필터유닛(120)의 외부에 배치된다.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노즐(140)은 필터유닛(120)의 외부를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설치된 에어 분사관(141)에 다수개의 노즐공(142)을 형성한 것으로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에어 컴프레서(143)로부터 에어 분사관(141)으로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는 노즐공(142)을 통해 필터유닛(120)으로 분사되고, 이때 필터유닛(120)에 부착된 이물질이 필터유닛(120)의 내측으로 분리된 후, 이물질 배출관(103)을 통해 배출되어진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high-pressure air supplied from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필터식 여과장치는 순환펌프(10)에 의해 공급되는 물 속에 포함된 입자상의 이물질을 여과하게 되며, 필터식 여과장치를 거쳐 여과된 여과수는 배출관(102)을 통해 저장탱크(20)에 저장되어진다.The filter type filtration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lters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the water supplied by the
한편 일정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필터식 여과장치의 여과성능이 저하되어 필터유닛(120)의 재생이 요구될 경우, 순환펌프(10)를 정지시키고, 밸브A(151)를 이용하여 공급관(101)의 유로를 차단한다. 이후 드레인관(104)에 설치된 밸브B(154)를 개방하여 공급관(101)과 하우징(110) 등에 잔류한 물이 중력에 의하여 배출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ltration performance of the filter type filtration device is lowered due to the us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regeneration of the
이러한 상태에서 밸브B(154) 및 배출관(102)에 설치된 밸브D(152)를 차단하여 하우징(110)을 비롯한 주변 관로를 밀폐 상태로 만들되, 이물질 배출관(103)에 설치된 밸브E(153)를 개방하여 스팀 주입시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하우징(110) 내 부의 공기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In this state, the
이후 스팀공급관(105)에 설치된 밸브F(155)를 개방하여 이중자켓(131)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게 되면, 이중자켓(131)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이중자켓(131)에 인접한 필터유닛(120)은 이중자켓(131)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열을 전달받게 되므로 필터유닛(120) 즉, 여과포(122)의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Then, when opening the valve F (155) installed in the
이러한 여과포(122)의 건조시 여과포(122)에 부착된 이물질도 함께 건조되면서 자동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고압의 공기에 의하여 보다 쉽게 분리되어질 수 있게 된다.When the
상기와 같은 여과포(122)의 건조과정을 일정시간 거쳐 여과포(122)의 건조가 완료되면, 밸브F(155)와 밸브E(153)를 차단하고, 이어서 밸브G(156)를 개방하게 되면, 에어노즐(140)을 통해 필터유닛(120)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게 된다.When the drying of the
이처럼 필터유닛(120)으로 분사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하여 여과포(122)에 부착된 이물질이 여과포(122)로부터 분리됨과 더불어 하우징(1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되며, 하우징(110)의 내부 압력이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밸브E(153)를 개방함으로써 하우징(110)의 내부 압력에 의하여 하우징(110) 내의 공기가 이물질과 함께 이물질 배출관(103)을 통하여 순간적으로 배출된다.As such,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한편 이물질 배출관(103)을 통해 공기와 함께 배출되는 이물질은 집진기(30)로 유입된다.Meanwhile, the foreign matter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air through the foreign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필터유닛(120)의 재생이 완료되면, 밸브E(153)를 차단하고 밸브A(151)를 개방함으로써 물을 여과하는 일반적인 사용상태로 전환하게 된다.When the regeneration of the
한편 상기 밸브A,B,D,E,F(151,154,152,153,155)는 공지의 전동밸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G(156)는 공지의 전자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The valves A, B, D, E, and F (151, 154, 152, 153, and 155) may use a known electric valve, and the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 압력을 검출하기 위하여 미도시된 압력계가 하우징(110)에 더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essure gauge, not shown,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도면 중 미설명부호 157은 필터식 여과장치의 문제로 인해 사용이 불가능할 경우, 일시적으로 공급관(101)과 저장탱크(20)를 연결하는 관의 유로를 단속하기 위한 밸브이다.In the drawing,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식 여과장치가 구비된 배관계통구조를 나타낸 구조도,1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piping system having a filter typ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식 여과장치를 나타낸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lter typ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도 2의 'A'부 상세도,3 is a detail view 'A' part of FIG.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노즐을 나타낸 정면도.4 is a front view showing an ai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 : 공급관 (102) : 배출관101: supply pipe 102: discharge pipe
(103) : 이물질 배출관 (110) : 하우징103: foreign
(120) : 필터유닛 (121) : 필터프레임120: filter unit 121: filter frame
(122) : 여과포 (123) : 타공덮개(122): filter cloth (123): perforated cover
(130) : 건조수단 (131) : 이중자켓(130): drying means (131): double jacket
(140) : 에어노즐 (141) : 에어 분사관140: air nozzle 141: air injection pipe
(142) : 노즐공(142): nozzle ball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1873A KR100961827B1 (en) | 2009-05-13 | 2009-05-13 | Filtering apparatus with filter cleaning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1873A KR100961827B1 (en) | 2009-05-13 | 2009-05-13 | Filtering apparatus with filter cleaning fun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61827B1 true KR100961827B1 (en) | 2010-06-08 |
Family
ID=42369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187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61827B1 (en) | 2009-05-13 | 2009-05-13 | Filtering apparatus with filter cleaning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6182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4227B1 (en) | 2018-11-23 | 2020-05-22 | (주) 시온텍 | Filt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2577Y1 (en) | 2001-03-15 | 2001-10-25 | 주식회사 나노엔텍 | Apparatus for filtering suspended solid in water |
JP2005013794A (en) | 2003-06-24 | 2005-01-20 | Ishigaki Co Ltd | Heatable filter press |
KR100596729B1 (en) | 2004-09-08 | 2006-07-05 | 허원 | Backwash filter |
-
2009
- 2009-05-13 KR KR1020090041873A patent/KR10096182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2577Y1 (en) | 2001-03-15 | 2001-10-25 | 주식회사 나노엔텍 | Apparatus for filtering suspended solid in water |
JP2005013794A (en) | 2003-06-24 | 2005-01-20 | Ishigaki Co Ltd | Heatable filter press |
KR100596729B1 (en) | 2004-09-08 | 2006-07-05 | 허원 | Backwash filt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4227B1 (en) | 2018-11-23 | 2020-05-22 | (주) 시온텍 | Filt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30105374A1 (en) | Water filter | |
CN102179086A (en) | Alkali cleaning system for filter cloth of press filter and cleaning method thereof | |
KR100961827B1 (en) | Filtering apparatus with filter cleaning function | |
KR200475293Y1 (en) | filter type sample pretreatment system using high pressure air | |
JP2011241867A (en) | Valve which can be cleaned and valve cleaning system | |
CN111437647A (en) | Internal inflow non-metal roller grid cleaner and using method thereof | |
CN208555357U (en) | A kind of sludge drying deodorization pipeline anti-blocking device | |
CN102107118B (en) | Reverse osmosis safety filter with cleaning function and cleaning method thereof | |
KR20130035546A (en) | Direct type water purifier | |
CN207169275U (en) | A kind of housing filter cartridge cleaning device | |
KR10146676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harging backwashing water of filter basin | |
CN104436774B (en) | Mechanical filter | |
KR101672517B1 (en) | Pre-processing device for removing contaminants of the heat exchanger using waste water heat source | |
CN200991607Y (en) | Fine filter | |
KR101216133B1 (en) | Filtration apparatus | |
KR100899071B1 (en) | Turbidity Eliminator | |
JP4953806B2 (en) | Filtration device | |
CN212174768U (en) | System device for simultaneously cleaning filter cloth and filter plate of plate-and-frame filter press | |
RU141972U1 (en) | SELF-CLEANING FILTER | |
KR100986823B1 (en) | Cold water tank and hot water tank separated type purifier | |
JP2013063367A (en) | Membrane filter apparatus, operation method, and damage detection device | |
KR100275928B1 (en) | A method for washing a filter | |
KR200420112Y1 (en) | Immersion type filtration device for water treatment | |
ITPN20060061A1 (en) | FILTRATION PLANT FOR VARIOUS KINDS TO BE CLEANED, PARTICULARLY SLUDGE AND OTHER DIRTY, SEMISOLID OR LIQUID POLLUTANTS, AND WORKING CYCLE FOR SUCH FILTRATION | |
CN206604248U (en) | A filter device for household heating pip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1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3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5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5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