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61685B1 - 유량조절밸브 - Google Patents

유량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685B1
KR100961685B1 KR1020080015643A KR20080015643A KR100961685B1 KR 100961685 B1 KR100961685 B1 KR 100961685B1 KR 1020080015643 A KR1020080015643 A KR 1020080015643A KR 20080015643 A KR20080015643 A KR 20080015643A KR 100961685 B1 KR100961685 B1 KR 100961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shaft
retainer
hous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0441A (ko
Inventor
김남용
Original Assignee
김남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용 filed Critical 김남용
Priority to KR1020080015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685B1/ko
Publication of KR20090090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16K1/06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 F16K1/08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in which the spindle is perpendicular to the general direction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6Attachment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량조절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유체가 이송되는 파이프에 연결되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결합부(12)가 형성된 밸브바디(10)와, 샤프트(30)가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상측의 샤프트 지지부(22)와 상기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에 내장되는 하측의 바디부(24)가 일체화되도록 합성수지로 성형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에 내장되어 상기 샤프트 지지부(22)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샤프트(30)와, 상기 샤프트(3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30)의 승강에 따라 상기 하우징(20)의 하단부에서 승강되는 밸브체(50)와, 상기 밸브바디(10)의 상기 결합부(12) 내주면에 상기 하우징(20)을 내장되도록 지지하는 리테이너(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밸브바디, 하우징, 샤프트 지지부, 바디부, 일체 성형, 리테이너

Description

유량조절밸브{Fluid supply adjustment valve}
본 발명은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 공급관을 통과하는 유체의 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조절부의 주요 구성을 이루는 하우징을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제작 공정수가 현저히 줄어들고, 생산성도 향상되며, 아울러, 제품의 단가도 낮출 수 있도록 된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배장치는 유체를 각 사용처에 분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로서, 분배장치에는 사용처에 유체를 적정량으로 공급하기 위한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된다. 즉, 유량조절밸브는 분배장치의 유체 공급관에 설치되어 유체의 공급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상기의 용도로 사용되는 유량조절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일측부에 결합부(102)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밸브시트를 갖는 유체통로가 형성된 티자관 형상의 밸브바디(100)와, 이 밸브바디(100)의 결합부(102)에 내장되어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유량조절부는 티자관 형상의 밸브바디(100)의 결합부(102)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바디(120)와, 이 결합바디(120)의 내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샤프트(3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샤프트 지지블록(124)과, 이 샤프트 지지블록(124)의 중앙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샤프트(122)와, 이 샤프트(122)의 둘레부에 결합된 밸브체(126)와, 이 밸브체(126)와 결합바디(120)의 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샤프트(30)의 둘레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디스크형 와셔(128)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의 유량조절밸브에 연결되는 유체공급관의 소정 위치에는 센서가 설치되고, 이 센서는 밸브바디(100)의 결합부(102)에 장착된 밸브체 작동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유량조절밸브에 의하면, 밸브바디(100)의 내부 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이 센서에 의해 과다한 것으로 감지되면,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밸브체 작동장치가 구동하여 유량조절밸브의 샤프트(122)와 이에 결합된 밸브체(126)를 밸브바디(100) 내부의 밸브시트에 근접하도록 전진시키며, 이처럼 밸브시트에 밸브체(126)가 근접되도록 전진되면, 밸브바디(100)의 내부의 유체 통로가 좁아지므로, 각 사용처에 공급되는 유체량을 줄여서 적정 공급량으로 조절할 수 있는 한편, 밸브바디(100) 내부 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이 센서에 의해 적정량보다 적은 것으로 감지되면, 센서와 밸브체 작동장치가 샤프트(122)와 밸브체(126)를 반대로 밸브바디(100) 내부의 밸브시트에서 멀어지도록 후퇴시켜 공급 유체량을 제어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유량조절밸브의 경우, 유량조절부를 구성하는 주요 부분인 결합바디(120)가 금속으로 제작되어, 유량조절부를 티자관 형상의 밸브바디(100)의 결합부(102)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결합바디(120)의 외주면에 나사부(120a)를 탭가공하여 형성해야 하고,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 내주면에도 나사부(102a)를 탭가공하여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 공정수가 늘어나는 단점이 있으며, 제작 공수 증가로 인해 생산성에서도 비효율적이며, 나아가, 금속 자체의 가격도 높아서 제품의 코스트도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샤프트(122)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블록(124)을 결합바디(12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샤프트 지지블록(124)의 외주면에 나사부(120a)과 결합바디(120)의 내주면에도 나사부(120b)를 탭가공하여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 공정이 더욱더 늘어나고 생산성이 더 저하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량조절부의 주요 구성 요소를 나사가공하여 조립하지 않고 합성수지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성형하고, 유량조절부의 주요 구성을 이루는 하우징을 리테이너에 의해 밸브바디에 간단하게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여 조립 공정이나 코스트면 등에서 여러가지로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유량조절밸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가 이송되는 파이프에 연결되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결합부가 형성된 밸브바디와, 샤프트가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상측의 샤프트 지지부와 상기 밸브바디의 결합부에 내장되는 하측의 바디부가 일체화되도록 합성수지로 성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샤프트 지지부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의 승강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서 승강되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바디의 상기 결합부 내주면에 상기 하우징을 내장되도록 지지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유량조절부의 주요 구성을 이루는 하우징을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하고, 하우징과 다른 유량 조절 부품으로 이루어진 유량조절부을 밸브바디의 결합부에 리테이너에 의해 간단하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주요 부분에 일일이 나사 가공하고 나사식으로 조립해야 하는 종래에 비하여, 제작 공정수가 현저히 줄어드는 효과가 있고, 제작 공수 단축으로 인하여 생산성에서도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유량조절부의 주요 구성 요소인 하우징을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하므로, 종래에 비하여 제품의 단가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량조절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주요부인 유량조절부과 리테이너 및 밸브바디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내부 구조와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체가 이송되는 파이프에 연결되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결합부(12)가 형성된 밸브바디(10)와, 샤프트(30)가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상측의 샤프트 지지부(22)와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에 내장되는 하측의 바디부(24)가 일체화되도록 합성수지로 성형된 하우징(20)과, 이 하 우징(20)에 내장되어 샤프트 지지부(22)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샤프트(30)와, 이 샤프트(3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샤프트(30)의 승강에 따라 하우징(20)의 하단부에서 승강되는 밸브체(50)와, 하우징(20)의 샤프트 지지부(22) 내부와 밸브체(40) 사이에 개재되어 샤프트(30)를 하우징(20)의 내부에서 원위치 복귀되도록 탄지하는 스프링(40)으로 구성되며,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 내주면에는 하우징(20)을 결합부(12)에 내장되도록 지지하는 리테이너(6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이다.
상기 밸브바디(10)는 일측부에 결합부(12)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밸브시트(18)를 갖는 유체통로(10a,10b)가 형성된 티자관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밸브바디(10)는 내부의 밸브시트(18)를 기준으로 유입측 유체통로(10a)와 배출측 유체통로(10b)가 서로 연통되고, 밸브시트(18)와 마주하는 부분에 결합부(12)가 구비된 T자관 구조이다.
상기 하우징(20)은 상측의 샤프트 지지부(22)와 하측의 바디부(24)가 일체화되도록 합성수지에 의해 원통형으로 제작된다. 샤프트 지지부(22)의 상단 중앙부에는 샤프트 삽입공(22a)이 형성되어, 이 샤프트 삽입공(22a)에 샤프트(3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이때, 하우징(20)은 하측의 바디부(24) 상측 위치에 오목한 공간부(26)가 형성되고, 샤프트(30)가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부(22)의 하단부는 바디부(24)의 상측 공간부(26) 바닥면 중심부에 일체화된다. 즉, 샤프트 지지부(22)의 외주면과 바디부(24)의 상측 공간부(26) 내벽면 사이에 공간부(26)가 형성된다.
또한, 샤프트 지지부(22)는 방사 방향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보강리브(28)에 의해 바디부(24)의 상측 공간부(26) 내벽면에 연결되어, 하우징(20)의 샤프트 지지부(22)와 바디부(24)의 결합력이 보강리브(28)에 의해 보강된 구조를 취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의 바디부(24) 하단부 외주면에는 오링결합홈(24a)이 형성되어, 이 오링결합홈(24a)에 오링(6a)이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샤프트(30)는 상측 둘레부가 하우징(20)의 샤프트 지지부(22)에 형성된 샤프트 결합공(22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샤프트(30)의 하측 둘레부에는 두 개의 이링(e-ring), 즉 이링(4b)와 이링(4c)에 의해 순차적으로 오링 가이드(34)와 디스크형 와셔(36) 및 밸브체(50)가 결합된다.
또한, 샤프트(30)의 중간 둘레부에는 두 개의 이링(4a,4b)에 의해 스프링(40)이 결합된다. 즉, 하측 이링(4c)과 중간 이링(4b)에 의해 오링 가이드(34)와 디스크형 와셔(36) 및 밸브체(5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도록 지지되고, 중간 이링(4b)과 상측 이링(4a)에 의해 스프링(40)이 지지되는 구조를 취한다. 상측 이링(4a)은 하우징(20)의 샤프트 지지부(22)의 상단부 저면에 밀착되어, 샤프트(30)가 하측 방향, 즉, 밸브바디(10)의 밸브시트(18) 방향으로 이동할 때 스프링(40)이 눌려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오링 가이드(34)의 외주면에도 오링(6b)이 결합되며, 오링 가이드(34) 외주면의 오링(6b)은 하우징(20)의 하측 바디부(24) 내주면에 밀착된다.
상기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 내주면에는 리테이너 지지홈(14)이 형성되고, 리테이너 지지홈(14)에 리테이너(60)가 끼움 결합되어, 유량조절부의 하우 징(20)을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에 내장되도록 지지하며, 이에 따라, 유량조절부가 밸브바디(10) 내부의 밸브시트(18)와 마주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한다. 즉, 밸브바디(10)의 밸브시트(18)와 마주하는 위치에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체(50)가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 내주면에는 리테이너 지지홈(14)의 상측에 위치된 리테이너 지지턱(12a)이 형성되어, 리테이너(60)가 리테이너 지지턱(12a)에 리테이너(60)가 걸려져서 유량조절부의 하우징(20)을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에 내장되도록 지지한다.
본 발명의 유량조절밸브의 주요부인 밸브바디(10)와 유량조절부를 조립하는 과정을 요약하면, 합성수지에 의해 샤프트 지지부(22)와 바디부(24)가 일체로 성형된 하우징(20)의 내부에 샤프트(30)와 밸브체(50) 및 디스크형 와셔(36)가 결합된 구조의 유량조절부를 밸브바디(10) 일측부의 결합부(12)에 수용한다.
그러면, 디스크형 와셔(36)가 밸브바디(10) 내부의 지지턱(11a)에 맞닿은 상태가 됨과 동시에 합성수지재로 된 하우징(20)의 바디부(24)는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에 수용되고 샤프트 지지부(22)와 샤프트(30)의 상측 일부가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리테이너(60)를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 내주면에 형성된 리테이너 지지홈(14)(또는 리테이너 지지턱(12a))에 걸려지도록 결합하면, 리테이너(60)에 의해 하우징(20)의 바디부(24) 상단부를 지지하기 때문에, 유량조절부가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평상시(즉, 공급 유체량이 정상 일 때)에는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에 장착된 밸브체 작동장치(2)가 작동하지 않아서, 샤프트(30)와 밸브체(50)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
한편, 사용처에 공급되는 유체량이 정상 범위보다 많을 때에는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에 장착된 밸브체 작동장치(2)가 작동하면서 샤프트(30)와 밸브체(50)가 밸브바디(10) 내부의 밸브시트(18) 방향으로 전진되며, 이에 따라, 공급 유체량을 적정량으로 정밀제어하게 된다.
물론, 디스크형 와셔(36)가 밸브바디(10) 내부의 지지턱(11a)에 맞닿아 있으므로, 샤프트(30)와 이에 장착된 밸브체(50)만이 밸브시트(18) 방향으로 전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샤프트(30)와 밸브체(50)가 전진한 상태에서는 스프링(40)이 눌려진 상태이다. 이렇게 스프링(40)이 눌려진 상태에서 샤프트(30)를 누르는 힘이 해제될 때(즉,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에 장착된 밸브체 작동장치(2)가 반대로 작동하여 샤프트(30)를 누르는 힘이 해제될 때)에는 눌려진 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해 샤프트(30)와 밸브체(50)가 밸브바디(10) 내부의 밸브시트(18)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량조절부의 주요 구성 요소인 하우징(20)을 샤프트(30)가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상측의 샤프트 지지부(22)와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에 내장되는 하측의 바디부(24)가 일체화되도록 합성수지로 성형함으로써, 공급 유체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의 주요 부분을 밸브바디(10)에 결합하기 위하여 일일이 나사부를 탭가공하는 공정이 필요 없으므로, 제작 공정수가 현저히 줄어 드는 장점이 있으며, 제작 공수 감소로 인해 생산성에서도 매우 효율적이며, 나아가, 금속에 비하여 합성수지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제품의 코스트도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리테이너(60)는 탄성 재질의 금속으로 링형상으로 제작되고, 동시에 리테이너(60)의 일측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리테이너(60)의 개구부측 양단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는 중심 방향으로 연장된 내향 연장부(62)가 더 구비된다. 리테이너(60)의 일측 개구부는 탄성이 있는 링형상으로 제작된 리테이너 모재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되며, 개구부에 형성된 양단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측 일부를 리테이너(60)의 중심 방향을 향하여 내측으로 절곡하여 내향 연장부(62)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리테이너(60)의 내향 연장부(62)는 리테이너(60)를 밸브바디(10)에 결합할 때 매우 용이하다. 즉, 링형상의 리테이너(60)를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 내주면에 형성된 리테이너(60) 결합홈(또는 리테이너 지지턱(12a))에 결합하여 하우징(20)을 고정되도록 지지하는데, 이처럼 리테이너(60)를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에 끼우는 과정에서 리테이너(60)의 한쪽 부분을 중심부 방향으로 약간 벤딩시킨 다음에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의 리테이너 지지홈(14)에 끼운다.
이때, 사람이 손으로 리테이너(60)를 안쪽으로 벤딩시켜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에 직접 끼우기는 쉽지 않을 수 있게 때문에, 리퍼 등의 공구로 리테이너(60)를 잡고 벤딩시킨 다음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에 결합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리테이너(60)의 개구부의 양단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내향 연장부(62)가 더 구비되므로, 리퍼 등의 공구로 내향 연장부(62)를 물고 리테이너(60)의 일측 부분을 내측으로 벤딩시킨 다음, 리테이너(60)를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에 끼울 수 있으므로, 리테이너(60)를 밸브바디(10)에 결합하기가 더 수월하고 신속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테이너(60)를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에서 빼낼 때에는 역시 리테이너(60) 일단부의 내향 연장부(62)를 리퍼 등의 공구로 잡은 다음, 리테이너(60)의 일측 부분을 내향으로 약간 벤딩시켜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에서 빼내면 되므로, 리테이너(60) 분리 작업도 더 용이하고 신속하다.
이를테면, 상기 리테이너(60)의 절곡된 내향 연장부(62)는 리테이너(60)를 밸브바디(10)에 조립하는 과정과 분리하는 과정을 더욱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밸브바디(10)에는 내부의 유체 통로(10a,10b)와 연통되는 센서소켓 결합부(16)가 형성되고, 센서소켓 결합부(16)에는 센서를 밸브바디(10)의 내부에 장착하는 센서소켓(70)이 결합된다.
또한, 센서소켓 결합부(16)는 밸브바디(10)의 유체통로(10a,10b) 중에서 공급유체통로(10a)에 형성되고, 센서소켓(70)은 센서소켓 결합부(16)에 결합되어 밸브바디(10)에 센서가 일체로 설치된 구조를 취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는 밸브바디(10) 일측의 결합부(12)에 연결 장착되는 밸브체 작동장치(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센서에 의해 밸브바디(10) 내부의 공급유 체 통로(10a)로 통과되는 유체량이 감지되어, 센서의 신호에 의해 밸브체 작동장치(2)를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밸브바디(10)에 직접 유체량을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센서를 밸브바디(10)가 아닌 유체공급관 등에 별도로 구비한 구조에 비하여 설치하기가 더 용이한 등의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은 샤프트(30)가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상측의 샤프트 지지부(22)가 하측의 바디부(24) 중심부에 일체화되도록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상기 바디부(24)와 샤프트 지지부(22) 사이에는 공간부(26)가 형성되며, 샤프트 지지부(22)는 방사 방향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보강리브(28)에 의해 바디부(24)의 상측 공간부(26) 내벽면에 연결된다.
따라서, 합성수지제 하우징(20)을 구성하는 샤프트 지지부(22)와 바디부(24)의 결합력이 복수개의 방사 방향 보강리브(28)에 의해 보강되므로, 제품의 견고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하우징(20)을 합성수지로 성형하여 제품 조립성 등을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를 가지면서도 하우징(20)의 각 부분인 샤프트 지지부(22)와 바디부(24)의 결합력을 보강리브(28)에 의해 보강하여 견고성을 높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유량조절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량조절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주요부인 유량조절부와 리테이너 및 밸브바디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내부 구조와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Claims (9)

  1. 유체가 이송되는 파이프에 연결되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결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2)의 내주면에는 리테이너 지지홈(14)이 구비된 밸브바디(10)와, 샤프트(30)가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상측의 샤프트 지지부(22)와 상기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에 내장되는 하측의 바디부(24)가 일체화되도록 합성수지로 성형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에 내장되어 상기 샤프트 지지부(22)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샤프트(30)와, 상기 샤프트(3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30)의 승강에 따라 상기 하우징(20)의 하단부에서 승강되는 밸브체(50)와, 상기 밸브바디(10)의 상기 결합부(12)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리테이너 지지홈(14)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20)을 상기 밸브바디(10)의 결합부(12)에 내장되도록 지지하는 리테이너(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리테이너(60)는 탄성 재질의 금속으로 링형상으로 제작되어 일측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60)의 일측 개구부는 링형상으로 제작된 리테이너 모재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에 형성된 양단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측 일부를 상기 리테이너(60)의 중심 방향을 향하여 내측으로 절곡하여 내향 연장부(62)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20)은 샤프트(30)가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상측의 샤프트 지지부(22)가 하측의 바디부(24) 중심부에 일체화되고, 상기 바디부(24)와 상기 샤프트 지지부(22) 사이에는 공간부(26)가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지지부(22)는 방사 방향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보강리브(28)에 의해 상기 바디부(24)의 상측 공간부(26) 내벽면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20)의 상기 샤프트 지지부(22)와 상기 바디부(24)의 결합력이 상기 보강리브(28)에 의해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10)에는 내부의 유체 통로(10a,10b)와 연통되는 센서소켓 결합부(16)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소켓 결합부(16)에는 센서를 상기 밸브바디(10)의 내부에 장착하는 센서소켓(70)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소켓 결합부(16)는 상기 밸브바디(10)의 유체통로(10a,10b) 중에서 공급유체통로(10a)에 형성되고, 상기 센서소켓(70)은 상기 센서소켓 결합부(16)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바디(10)에 센서가 일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밸브바디(10) 일측의 결합부(12)에 연결 장착되는 밸브체 작동장치(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밸브바디(10) 내부의 유체 통로(10a,10b)로 통과되는 공급 유체량이 감지되어 상기 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밸브체 작동장치(2)를 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9. 삭제
KR1020080015643A 2008-02-21 2008-02-21 유량조절밸브 KR100961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643A KR100961685B1 (ko) 2008-02-21 2008-02-21 유량조절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643A KR100961685B1 (ko) 2008-02-21 2008-02-21 유량조절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441A KR20090090441A (ko) 2009-08-26
KR100961685B1 true KR100961685B1 (ko) 2010-06-10

Family

ID=41208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643A KR100961685B1 (ko) 2008-02-21 2008-02-21 유량조절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6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346Y1 (ko) * 2006-03-17 2006-05-25 김재선 유량과 온도조절구조를 갖는 난방용 밸브
JP2007205531A (ja) 2006-02-06 2007-08-16 Ckd Corp クーラントバルブ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5531A (ja) 2006-02-06 2007-08-16 Ckd Corp クーラントバルブ
KR200417346Y1 (ko) * 2006-03-17 2006-05-25 김재선 유량과 온도조절구조를 갖는 난방용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441A (ko)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3213B2 (ja) 電動弁及びその組立方法
US6474261B1 (en) Poultry feeder with feed conveyor control system
US20170136476A1 (en) Concealed flow regulator
CA2932972C (en) Snap in mounting shank for a faucet
US20210310577A1 (en) Rigid Piston Valve Incorporating a Solenoid
JP2009002524A (ja) 流体制御器用多段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流体制御器
EP2469370B1 (en) Service regulator vent
KR100961685B1 (ko) 유량조절밸브
EP1173802B1 (en) Pressure regulator with selector control
WO2019085602A1 (zh) 用于烹饪器具的压力检测装置和具有其的烹饪器具
JP7090671B2 (ja) 無段階昇降機構及び無段階昇降水栓
KR101175926B1 (ko) 상시개방형 증기배출밸브
JP5102384B2 (ja) ダイヤフラム式圧力調整器
CN210930929U (zh) 盖体组件及烹饪器具
KR101972317B1 (ko) 유량조절밸브
JP6474476B2 (ja) 痰吸引器用圧力コントローラ
US10214887B2 (en) Diaphragm disk
CN212373351U (zh) 一种汽车控制阀
CN212297799U (zh) 一种电控精密调压阀
US200801970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ir relief in an air switch
CN211231792U (zh) 一种比例阀
EP0853206B1 (en) Suck back valve
WO2017066218A1 (en) Control member for a fluid regulating device
CN202874978U (zh) 锅盖及压力锅
CN115726451A (zh) 可转换的开关式地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5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5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