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61347B1 -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347B1
KR100961347B1 KR1020030087098A KR20030087098A KR100961347B1 KR 100961347 B1 KR100961347 B1 KR 100961347B1 KR 1020030087098 A KR1020030087098 A KR 1020030087098A KR 20030087098 A KR20030087098 A KR 20030087098A KR 100961347 B1 KR100961347 B1 KR 100961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ke
combustion
link
state detectio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3861A (ko
Inventor
김근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87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347B1/ko
Publication of KR20050053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3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1/00Safety devices, e.g. signalling or controlling devices for use in the discharge of cok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코크스공정에서 건류된 적열 코크스의 건류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토대로 오븐연소실의 연소를 조정하는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는, 장입차 상승관의 일측으로 연결된 베이스와, 그 상부에서 구동수단으로 전후 이동하며 다단으로 이루어 지고 선단부가 상기 상승관에 삽입되는 이동링크와, 상기 이동링크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연결된 이동대차 및, 상기 이동링크에 고정되어 상승관에 삽입되는 가스 수집관과 연결되고 베이스상에 제공되어 상승관 배출가스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여 적열코크스 상태를 감지하는 일산화탄소 감지기로 구성된 코크스 감지부; 및, 탄화실 연소실에 연결되는 에어분배관의 내측에 설치된 댐퍼와, 상기 댐퍼의 축에 구동수단을 통하여 시소운동토록 연결되는 작동아암을 구비하는 탄화실 연소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기와 구동수단은 제어부를 통하여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석탄(COAL)을 코크스오븐(COKE OVEN)에서 건류하여 코크스(COKE)를 생산하는데 최적의 열량으로 최적의 연소실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최소의 열량소비로 인한 공해방지 및 최적의 코크스 품질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고가동률에 적합한 조업관리가 가능하게 하여 공정효율을 향상시키는 보다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igure R1020030087098
코크스, 코크스오븐, 코크스 적열상태, 오븐가스, 탄화실, 탄화실연소

Description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A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DRY DISTILLATION AND ADJUSTING THE COMBUSTION OF COKE IN COKE OVEN}
도 1은 종래 코크스오븐에서의 일산화탄소 농도측정을 통한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작업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인 장치를 도시한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인 장치의 코크스 건류상태 감지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장치의 연소조정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인 장치의 코크스 건류상태 감지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인 장치의 연소조정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
10.... 적열코크스 감지부 12.... 베이스
14.... 구동수단(실린더) 16.... 이동링크
18.... 이동대차 20.... 가스 수집관
22.... 일산화탄소 측정기 50.... 탄화실 연소 조정부
52.... 댐퍼 54.... 댐퍼 축
56.... 구동수단 58.... 작동아암
62.... 플로트 64.... 오일탱크
70,72... 제어밸브 74,76.... 오일관
80.... 표시수단 120.... 오븐 연소실측의 에어분배관
142.... 상승관 C.... 제어부
본 발명은 제철공장의 코크스공정시 코크스의 탄화실에서 건류된 적열 코크스의 건류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소실의 연소를 위한 에어공급을 조정하는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오븐탄화실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일산화탄소(이하, 'CO'라 함)농도를 측정하여 코크스의 건류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탄화 연소실에 공급되는 에어공급량을 조정하여 연소를 조정함으로서, 석탄(COAL)을 코크스오븐(COKE OVEN)에서 건류하여 코크스(COKE)를 생산하는데 최적의 열량으로 최적의 연소실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최소 의 열량소비로 인한 공해방지 및 최적의 코크스 품질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고가동률에 적합한 조업관리가 가능하게 하여 공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정에서 석탄을 적열 건류시키는 코크스공정에서 코크스 오븐(COKE OVEN)의 탄화실은 최적상태의 코크스를 생산하기 위하여 항상 일정한 온도 예를 들어, 1200-1300 ℃ 의 온도와, 인정한 시간 예를 들어, 18-20 시간동안 석탄을 건류시키고, 이와 같인 건류된 적열 코크스는 이동차 예를들어, 압출기등을 이용하여 코크스오븐의 탄화실에서 압출시키면 코크스공정을 통한 코크스의 생산이 완료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코크스오븐을 이용한 석탄의 건류시 중요한 것이 탄화실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탄화실의 연소관리인데, 이와 같은 탄화실의 연속관리는 코크스의 품질을 최적화시키면서, 그 생산량을 늘리기 위하여 여러 요인 예를 들어, 날씨,가동률,석탄에 함유된 수분, 석탄의 탄화실 장입정도등에 대응하여 수행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코크스공정시 오븐 탄화실의 연속관리는 코크스의 품질적인 측면과 코크스공정의 공정관리측면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통상 연소관리는 실험실에서 석탄의 강도,수분,입도등의 석탄상태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에 의존하여 오븐 탄화실의 연소가 관리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데이터는 장시간에 걸쳐 시행착오를 거치면서를 실험된 데이터의 축적이 필요하므로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게 되고, 이와 같은 코크스의 품질에 전념하다 보면 코크스의 생산량 관리는 반대로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 이와 같은 코크스의 품질과 생산량을 동시에 고려하여 코크스 오븐의 연소를 조정하는 작업을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오븐 탄화실의 하부에 있는 연소실의 연소관리는, 코크소오븐(100)의 탄화실(110) 하측에 배치된 에어 입구측의 에어분배관(120)내에 설치된 오리피스(ORIFICE)(130)를 내경이 다르게 된 여러개로 준비하여, 열간온도와 비교하면서 연소가 불량한 연소실(122)에 보다 많은 에어를 공급하도록 상기 오리피스(130)를 교체하여 탄화실의 연소정도를 조정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오리피스(130)의 교체를 통한 종래 오븐 탄화실(110)의 연소실(122) 연소 조정방법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에어분배관 (120)내의 오리피스(130)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그 작업시간이 지연되어 탄화실자체의 가동율이 저하되는 것이다.
그리고, 에어공급량을 조정하기 위한 다양한 내경을 갖는 오리피스(130)들이 사전에 준비되어야 하는데, 실제 준비된 오리피스만으로는 에어공급을 적절하게 조정하는 데에 한계가 있어 최적으로 탄화실 연소조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편, 도 1에서는 적열 코크스의 상태를 측정하는 작업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종래의 적열코크스 상태감지작업은, 장입차(140)에 설치된 상승관(142)의 니드(142a)를 개방시키고, 이에 CO농도를 측정하는 측정기(150)와 연결되고 배출되는 코크스오븐가스의 일부분을 수집하는 수집관(160)을 삽입시킨후, 상기 측정 기(150)를 통하여 적열 코크스의 적열상태를 감지하였는데, 다음의 표 1에서는 코크스오븐 탄화실별로 적열상태에 따른 CO농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CO 농도와 코크스 건류상태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
연소실 #6 #7 #11 #12 #16 #17 #21 #22

중간온도
(℃)

1259

1254

1277

1263

1255

1246

1263

1256

코크스
건류상태

양호

양호

미건류

양호

CO농도
(PPM)

100

65

250

85
연소실 #26 #27 #31 #32 #36 #37 #41 #42

중간온도
(℃)

1276

1281

1273

1274

1278

1261

1264

1262

코크스
건류상태

과건류

양호

양호

양호

CO농도
(PPM)

40

65

65

80

즉,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코크스의 건류상태가 양호하면 할수록, CO농도의 수치는 낮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수 있다.
따라서, 도 1 및 표 1에서와 같이, 측정기(150)를 통하여 CO 농도가 높게 나오면 탄화실의 연소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않아 코크스의 건류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하여 작업자는 에어분배관(120)의 오리피스(130) 내경이 보다 큰 것으로 교체하여 에어공급량을 증대시키어 연소를 조정하는 것이다.
결국, 종래에는 CO 농도를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적열 코크스의 상태를 파악하고, 에어분배관(120)의 오리피스(130)를 적당한 것으로 교체하는 작업이 대부분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하여 이루어 지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인 작업이 지연됨은 물론, 오리피스의 교체작업이 번거롭고, 이 시간동안 에어공급이 중단되는 한편, 적열 코크스의 상태를 CO농도로 파악하는 경우에도 수집관(150)을 작업자가 상승관(142)의 니드(142a)를 개방시키어 처리하기 때문에, 작업이 지연되면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초래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그리고, 실제 하나의 코크스오븐에는 대략 66개의 탄화실이 배치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수작업으로는 효과적인 적열 코크스 상태파악 및 연소조정이 불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코크스오븐의 탄화실에 건류된 적열 코크스의 상태파악을 위한 CO농도측정 및 이를 바탕으로 한 연소실과 연결된 에어분배관으로의 에어공급량 조정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자동적으로 수행함으로서, 작업이 신속하게 수행되면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하는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열 코크스의 상태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이를 토대로 바로 에어분배관의 에어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어 코크스오븐의 가동은 최대한 유지시키면서, 코크스 공정은 최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코크스 공정의 생산성 및 코크스 제품의 품질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상승관의 일측으로 장입차측에 연결된 베이스와, 그 상부에서 구동수단으로 전후 이동하며 다단으로 이루어 지고 선단부가 상기 상승관에 삽입되는 이동링크와, 상기 이동링크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연결된 이동대차 및, 상기 이동링크에 고정되어 상승관에 삽입되는 가스 수집관과 연결되고 베이스상에 제공되어 상승관 배출가스의 CO농도를 측정하여 적열코크스 상태를 감지하는 CO감지기로 구성된 적열코크스 감지부; 및
탄화실 연소실에 연결되는 에어분배관의 내측에 설치된 댐퍼와, 상기 댐퍼의 축에 구동수단을 통하여 시소운동토록 연결되는 작동아암을 구비하는 연소실 연소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CO감지기와 구동수단은 제어부를 통하여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장치를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장치의 코크스 건류상태 감지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장치의 연소조정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인 장치의 코크스 건류상태 감지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인 장치의 연소조정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인데, 이하 코크스오븐에 관련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부호로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본 발명인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1)는, 크게 적열 코크스 감지부(50) 및, 탄화실 연소 조정부(50)로 구성되면서, 이 구성부는 각각 제어부(C)를 통하여 연동하도록 되는데, 이들 구성부(10)(5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상기 적열코크스 감지부 (5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적열코크스 감지부(5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코코스 오븐(100)의 상승관(142) 일측으로 장입차(140)에 연결된 베이스(12)와, 그 상부에서 구동수단(14)으로 전후 이동하며 다단으로 이루어 지고 선단부가 상기 상승관에 삽입되는 이동링크(16)와, 상기 이동링크 (16)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연결된 이동대차(18) 및, 상기 이동링크(16)에 고정되어 상승관에 삽입되는 가스 수집관(20)과 연결되고 베이스(12)상에 제공되어 상승관 배출가스의 CO농도를 측정하여 적열코크스 상태를 감지하는 CO농도 측정기(22)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적열코크스 감지부(10)의 이동링크(16)는 상기 베이스(12)상에 설치된 실린더로 된 구동수단(14)과 연결되는 이동체(24) 및, 상기 이동체 (24)와 연결되는 제 1,2 링크(26)(28)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링크(28)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차(18)의 선단부에 핀(28a)으로 피봇(32)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체(24)는 대차(18)의 가이드홈(18a)에 삽입 지지되는 가이드롤(24a)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수단(14)의 실린더 로드는 상기 이동체(24)가 내측으로 위치된 대차(18)의 연결블록(19)을 통하여 스프링(30)을 개재하여 이동체(24)와 연결되고, 상기 대차 (18)에는 베이스 (12)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바퀴(18b)가 제공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2)상에는 이동링크(16)와 대차 (18)의 이동을 안내하며 이들을 덮는 커버체(34)가 제공되고, 상기 베이스(12)의 선단부에는 대차이동을 차단하는 스톱퍼(36)와 이동링크(16)의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롤(38)이 제공되어 있다.
한편, 상기 대차(18)와 이동체(24)의 양측면에는 서로 밀착될때 마찰력을 증대시키어 이동체(24)의 이동시 대차(18)를 같이 이동시키고, 대차의 이동이 차단되면 이동체(24)만이 이동하도록 하는 널링면(17)들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적열코크스 감지부(10)의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12)상의 구동수단(14)인 구동실린더가 전진하면, 상기 구동수단(14)의 실린더 로드와 연결된 이동링크 이동체(24)와 함께 바퀴(18b)가 구비된 대차(18)가 앞에서 설명한 널링면(17)에 의하여 마찰력으로 같이 전진한다.
이때, 상기 대차(18)는 커버체(34) 전방의 베이스(12)상의 스톱퍼(36)에 앞바퀴가 지지되어 이동이 차단되면, 이동링크(16)의 이동체(24)가 대차(18)의 가이드홈(18a)에 지지된 바퀴(24a)에 의하여 계속 전진하고, 따라서 이동링크 (16)의 제 1,2 링크(26)(28)는 그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절곡되면서 제 1,2 링크(26)(28)는 ㄱ자형태로 절곡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관(142)의 니드(142a)가 개방된후 제어부(C)를 통하여 상기 구동수단(14)의 실린더를 전진시키면, 도 6a와 같이 이동링크(16)가 대차(18)와 함께 가이드롤(38)이 지지된 상태에서 전진하다가, 대차 이동이 중단되면서 이동링크만이 전진하면 제 2 링크(28)는 수직하게 상승관(142)에 삽입되고, 이때 상기 이동링크(16)에 고정된 가스 수집관(20)을 통하여 유입된 가스는 CO농도 측정기(22)에서 가스중의 CO농도가 측정되고, 이 측정값은 제어부(C)에 신호로서 전달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장치(1)에서 적열코크스 감지부(10)에 의하면,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자동적으로 가스수집관(20)을 이동링크(16)와 함께 상승관(142)내에 삽입되도록 하여 적열코크스의 건류상태와 상관되는 가스의 CO농도를 측정함으로서 적열 코크스의 상태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게 하는데, CO농도와 건류상태의 상관관계는 이미 표 1로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 구동수단(14)의 실린더가 후진하면 1차적으로 이동링크(16)가 후진하다가 이동체(24)의 측방 바퀴(24a)에 의하여 이동체(24)를 후진시키어 초기 위치로 복귀하면 이동링크(16)는 다시 일자형태로 되게 되어 다음의 작업을 대기하게 되고, 이와 같인 이동링크(16)와 대차(18)의 이동을 위하여 베이스(12)상에 설치된 CO 농도측정기(22)와 연결되는 수집관(20)은 플레시블한 호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3, 도 5 및 도 7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의 상기 탄화실 연소 조정부(5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연소실 연소조정부(50)는, 탄화 연소실(122)에 연결되는 에어분배관(120)의 내측에 설치된 댐퍼(52)와, 상기 댐퍼(52)의 축(54)에 구동수단(56)을 통하여 시소운동토록 연결되는 작동아암(58)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적열코크스 감지부(10)의 CO농도 측정기(22)와 구동수단(56)은 제어부(C)를 통하여 서로 연동한다.
이때, 상기 탄화실 연소 조정부(50)의 구동수단(56)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작동아암(58)의 일단이 연결된 연결아암(60)이 통과하여 내측의 플로트(62)와 연결된 오일탱크(64) 및, 상기 오일탱크(64)에 오일의 공급 및 드레인을 위하여 오일저장탱크(66)(68)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C)와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제어밸브(70)(72)들을 갖춘 오일 공급 및 드레인관(74)(76)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탱크(64)와 작동아암(58)에는 댐퍼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 (80)이 연결되는데, 이와 같은 표시수단(80)은, 상기 작동아암(58)의 타단에 작동로드(82)가 연결된 실린더(84)에 로드작동에 따라 오일의 레벨을 표시하는 제 1 표시관(86) 및, 상기 오일탱크(64)와 연결되어 오일의 레벨을 표시하는 제 2 표시관 (8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오일저장탱크(66)(68)사이에는 펌프(P)를 갖춘 순환관(67)이 제공되고, 상기 오일공급관(74)에도 오일의 오일탱크 공급을 위한 펌프(P)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탄화실 연소 조정부(50)의 작동을 살펴보면, 도 3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적열코크스 감지부(10)의 CO농도 측정기(22)가 상승관(142)을 통과하는 가스에 함유된CO농도를 측정하여 제어부 (C)에 보내면, 제어부(C)에서는 표 1에서와 같이, 적열 코크스의 건류상태에 따른 사전에 설정된 기준 CO농도보다 높으면, 제어부(C)는 오일 공급관(74)의 제어밸브(72)를 개방시키어 오일저장탱크(66)에서 부터 펌프로서 오일을 오일탱크 (64)에 보내고, 상기 플로트(62)는 상승되면서 연결아암(60)은 작동아암(58)을 댐퍼축(54)을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일체로 댐퍼(52)를 회전시키면, 댐퍼(52) 개도량이 증대됨으로서, 에어분배관(120)을 통과하는 에어 공급량이 증대된다.
결국, 코크스의 건류가 불안정하여 CO농도가 높으면, 댐퍼(52)의 개도량이 증대(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되어 탄화연소실(122)의 연소온도가 증대되어 석탄의 건류온도를 높이어 석탄건류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즉, 측정된 CO 농도가 150 ppm 이상이 되면, 댐퍼(52)는 구동수단(56)의 작동으로 공급되는 오일에 따른 플로트(62)의 상승으로 댐퍼(52)의 개도량이 증가된다.
반대로, 댐퍼(52)의 개도량을 줄이는 경우에는 오일 공급관(74)의 밸브(70) 는 닫히고, 반대로 오일 드레인관(76)의 제어벨브(72)는 개방되면서 오일탱크의 오일은 드레인되면서 플로트(62)는 하강하고, 이경우 작동아암(58)과 일체로 댐퍼 (52)의 개도량은 감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작동아암(58)의 타단에 연결된 작동로드(82)의 상승 또는 하강시 실린더(84)의 오일은 표시수단(80)의 제 1 표시관(86)에 그 레벨이 표시되면서, 동시에 오일탱크(64)의 오일레벨상태는 이에 연결된 제 2 표시관(88)에서 표시되기 때문에, 댐퍼(52)의 개동작동이 진행되고 있는가와 그 개도정도를 외부에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에 의하면, 코크스오븐의 탄화실에 건류된 적열 코크스의 상태파악을 위한 CO농도측정 및 이를 바탕으로 한 에어분배관으로의 에어공급량 조정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자동적으로 수행함으로서 작업이 신속하게 수행되면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더욱이, 적열 코크스의 상태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이를 토대로 바로 에어분배관의 에어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어 코크스오븐의 가동은 최대한 유지시키면서, 코크스 공정은 최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코크스 공정의 생산성 및 코크스 제품의 품질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장입차 상승관(142)의 일측으로 연결된 베이스(12)와, 그 상부에서 구동수단 (14)으로 전후 이동하며 다단으로 이루어 지고 선단부가 상기 상승관에 삽입되는 이동링크(16)와, 상기 이동링크(16)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연결된 이동대차 (18) 및, 상기 이동링크(16)에 고정되어 상승관에 삽입되는 가스 수집관(20)과 연결되고 베이스(12)상에 제공되어 상승관 배출가스의 CO농도를 측정하여 적열코크스 상태를 감지하는 CO농도 측정기(22)로 구성된 적열코크스 감지부(10); 및
    탄화실 연소실(122)에 연결되는 에어분배관(120)의 내측에 설치된 댐퍼(52)와, 상기 댐퍼(52)의 축(54)에 구동수단(56)을 통하여 시소운동토록 연결되는 작동아암(58)을 구비하는 연소실 연소조정부(50);
    를 포함하고,
    상기 CO농도 측정기(22)와 구동수단(56)은 제어부(C)를 통하여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열코크스 감지부(10)의 이동링크(16)는 상기 베이스(12)상에 설치된 실린더로 된 구동수단(14)과 연결되는 이동체(24) 및, 상기 이동체(24)와 연결되는 제 1,2 링크(26)(2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링크(16)의 이동체(24)는 대차(18)의 가이드홈 (18a)에 삽입 지지되는 가이드롤(24a)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수단(14)의 실린더 로드는 상기 이동체(24)가 내측으로 위치된 대차(18)의 연결블록(19)을 통하여 스프링(30)을 개재하여 이동체(24)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링크(28)는 대차 선단부에 피봇(32)되며,
    상기 대차(18)에는 베이스(12)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바퀴(18b)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2)상에는 이동링크(16)와 대차 (18)의 이동을 안내하며 이들을 덮는 커버체(34)가 제공되고,
    상기 베이스(12)의 선단부에는 대차이동을 차단하는 스톱퍼(36)와 이동링크 (16)의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롤(38)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실 연소 조정부(50)의 구동수단(56)은, 상기 작동아암(58)의 일단이 연결된 연결아암(60)이 통과하여 내측의 플로트(62)와 연결된 오일탱크(64) 및, 상기 오일탱크(64)에 오일의 공급 및 드레인을 위하여 오일저장 탱크(66)(68)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C)와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제어밸브(70)(72)들을 갖춘 오일 공급 및 드레인관(74)(76)으로 구성되고,
    상기 오일탱크(64)와 작동아암(58)에는 댐퍼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80)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80)은 상기 작동아암(58)의 타단에 작동로드(82)가 연결된 실린더(84)에 로드작동에 따라 오일의 레벨을 표시하는 제 1 표시관(86) 및, 상기 오일탱크(64)와 연결되어 오일의 레벨을 표시하는 제 2 표시관 (8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
KR1020030087098A 2003-12-03 2003-12-03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 KR100961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098A KR100961347B1 (ko) 2003-12-03 2003-12-03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098A KR100961347B1 (ko) 2003-12-03 2003-12-03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861A KR20050053861A (ko) 2005-06-10
KR100961347B1 true KR100961347B1 (ko) 2010-06-04

Family

ID=37249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098A KR100961347B1 (ko) 2003-12-03 2003-12-03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3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706B1 (ko) 2012-05-03 2014-02-10 주식회사 포스코 압출기 레벨러의 처짐방지장치
CN110442091A (zh) * 2019-07-03 2019-11-12 浙江天澈科技有限公司 一种化工厂电子化应急预案及事故处置辅助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1909A1 (en) 2012-07-31 2014-02-06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s for handling coal processing emissions and associated systems and devices
US9243186B2 (en) 2012-08-17 2016-01-26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Coke plant including exhaust gas sharing
US9359554B2 (en) 2012-08-17 2016-06-07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Automatic draft control system for coke plants
US9169439B2 (en) 2012-08-29 2015-10-27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coal coking properties
EP2938701B1 (en) 2012-12-28 2019-12-18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Vent stack lids and associated methods
US10016714B2 (en) 2012-12-28 2018-07-10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mercury from emissions
US10883051B2 (en) 2012-12-28 2021-01-05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coke quenching
US10047295B2 (en) 2012-12-28 2018-08-14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Non-perpendicular connections between coke oven uptakes and a hot common tunnel,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0760002B2 (en) 2012-12-28 2020-09-01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a hot car in a coke plant
US9238778B2 (en) 2012-12-28 2016-01-19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quenched coke recovery
US9273250B2 (en) 2013-03-15 2016-03-01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quench tower design
EP3090034B1 (en) 2013-12-31 2020-05-06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s for decarbonizing coking ovens, and associated systems and devices
PL3161106T3 (pl) 2014-06-30 2020-03-31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Poziome piece koksownicze z odzyskiem ciepła wyposażone w korony monolityczne
EP3186335A4 (en) 2014-08-28 2018-03-21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Improved burn profiles for coke operations
BR112017004981B1 (pt) 2014-09-15 2021-05-11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câmara de forno de coque
BR112017014186A2 (pt) 2014-12-31 2018-01-09 Suncoke Tech & Development Llc leitos multimodais de material de coque
US11060032B2 (en) 2015-01-02 2021-07-13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Integrated coke plant automation and optimization using advanced control and optimization techniques
CN107922846B (zh) 2015-01-02 2021-01-01 太阳焦炭科技和发展有限责任公司 使用高级的控制和最佳化技术的综合焦化设备自动化和最佳化
PL3397719T3 (pl) 2015-12-28 2021-02-22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Sposób i system do dynamicznego załadunku pieca koksowniczego
CN109313443A (zh) 2016-06-03 2019-02-05 太阳焦炭科技和发展有限责任公司 用于在工业设施中自动生成补救措施的方法和系统
AU2018273894A1 (en) 2017-05-23 2019-12-19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System and method for repairing a coke oven
KR102147292B1 (ko) * 2018-07-12 2020-08-24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품질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BR112021012725B1 (pt) 2018-12-28 2024-03-12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étodo para reparar um vazamento em um forno de coque de uma coqueria, método de reparo da superfície de um forno de coque configurado para operar sob pressão negativa e tendo um piso de forno, uma câmara de forno e uma chaminé única e método de controle de ar descontrolado em um sistema para carvão de coque
WO2020140086A1 (en) 2018-12-28 2020-07-02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Particulate detection for industrial facilit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WO2020140074A1 (en) 2018-12-28 2020-07-02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Improved oven uptakes
WO2020140092A1 (en) 2018-12-28 2020-07-02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Heat recovery oven foundation
BR112021012766B1 (pt) 2018-12-28 2023-10-31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Descarbonização de fornos de coque e sistemas e métodos associados
CA3125340C (en) 2018-12-28 2022-04-26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Spring-loaded heat recovery oven system and method
CA3125585C (en) 2018-12-31 2023-10-03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Improved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flue gas
CA3125589A1 (en) 2018-12-31 2020-07-09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corrosion resistant surfaces in contaminant treatment systems
US12227699B2 (en) 2019-12-26 2025-02-18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Oven health optimization systems and methods
MX2022013769A (es) 2020-05-03 2023-01-04 Suncoke Tech & Development Llc Productos de coque de alta calidad.
US11946108B2 (en) 2021-11-04 2024-04-02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Foundry coke products and associated processing methods via cupolas
CN117120581A (zh) 2021-11-04 2023-11-24 太阳焦炭科技和发展有限责任公司 铸造焦炭产品以及相关系统、装置和方法
WO2024097971A1 (en) 2022-11-04 2024-05-10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Coal blends, foundry coke products, and associate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502B1 (ko) 2001-12-03 2006-01-24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오븐 불완전연소 감시 및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804976B1 (ko) 2001-09-17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온도변화에 따른 탄화실 개별 연소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976B1 (ko) 2001-09-17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온도변화에 따른 탄화실 개별 연소제어 장치
KR100544502B1 (ko) 2001-12-03 2006-01-24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오븐 불완전연소 감시 및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706B1 (ko) 2012-05-03 2014-02-10 주식회사 포스코 압출기 레벨러의 처짐방지장치
CN110442091A (zh) * 2019-07-03 2019-11-12 浙江天澈科技有限公司 一种化工厂电子化应急预案及事故处置辅助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861A (ko) 200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347B1 (ko) 코크스의 건류상태감지 및 연소조정 장치
JP5227191B2 (ja) 最適に制御されたコークス炉及び制御法
US6540957B1 (en) Ladle, a ladle heating system and methods of heating the ladle
CN102197110A (zh) 炼焦炉的焦炭挤出时发生的负荷的推测方法
US4314889A (en) Apparatus to extract charging gases from a coke oven chamber
US2710225A (en) Apparatus for cleaning furnace checkers
KR101461479B1 (ko) 소결기 풍량 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기 풍량 조절 방법
CN104846153B (zh) 一种采用双罐单盖式vd精炼炉对钢水实现真空精炼的方法
US4177975A (en) Exhaust hood apparatus with tilting furnace
US1809324A (en) Apparatus for blast furnace control
CN117288345A (zh) 一种自动在线测量铝电解槽电解质温度的装置和方法
KR101129179B1 (ko) 코크스오븐 장입차의 드롭슬리브 센터링장치
CN212779037U (zh) 欧冶炉氧气风口小套侵蚀状况测量装置
KR100923469B1 (ko) 수직소둔로의 스트립 쏠림 교정장치
KR100928576B1 (ko) 코크스 오븐 도어 장착용 가이드 장치
CN214422679U (zh) 一种用于精炼炉测温的测温车
KR100833002B1 (ko) 용강탕면 측정장치
KR100928575B1 (ko) 코크스 오븐의 장입구 덮개 교환장치
KR100952809B1 (ko) 스트립 장력 조절 장치
KR20040110619A (ko) 코크스 오븐내의 코크스 분배장입장치
CN113532965B (zh) 炼焦气体采集设备和方法
CN108865184A (zh) 一种焦炉看火孔盖
RU2816886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нагрева и подачи металлической шихты в плавильную печь
JPH05148520A (ja) 高炉炉内状況の測定装置
KR100778747B1 (ko) 연속소둔로의 진입 스트립 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12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5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5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