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60660B1 -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의 fa 상태 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의 fa 상태 변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660B1
KR100960660B1 KR1020070133666A KR20070133666A KR100960660B1 KR 100960660 B1 KR100960660 B1 KR 100960660B1 KR 1020070133666 A KR1020070133666 A KR 1020070133666A KR 20070133666 A KR20070133666 A KR 20070133666A KR 100960660 B1 KR100960660 B1 KR 100960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state
change
pf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6058A (ko
Inventor
박철
임광재
이현
윤철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3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660B1/ko
Priority to US12/808,493 priority patent/US8681732B2/en
Priority to PCT/KR2008/006048 priority patent/WO2009078569A2/en
Publication of KR20090066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2Frequency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00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와 기지국이 다수의 FA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진화된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의 FA(Frequency Assignment) 상태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기지국은 p(primary)FA의 부하를 조절하기 위해 s(secondary)FA 중에서 하나를 pFA로 상태 변경하고, 상태 변경된 pFA를 통해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pFA 상태 변경을 요청하는 MAP IE(Information Element)를 단말기로 송신한다. MAP IE에는 pFA의 상태 변경을 요청하는 액션 코드와 상태가 변경될 FA를 나타내는 비트맵이 포함된다.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의 pFA에 대한 상태 변경이 완료되었다는 응답이 수신되면, 기지국은 pFA의 상태를 변경하고, 새로운 pFA를 통해 단말기의 pFA와 통신을 수행한다.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이전의 pFA는 sFA로 상태 변경되고,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이전의 sFA 중 하나는 pFA로 상태 변경이 되어 이 새로운 FA들을 통해 통신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이 필요에 의해 특정 단말기와 사용 중인 FA들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FA들 간의 부하 조절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지국은 특정 단말기의 접속을 계속 유지하면서 사용 중이던 FA들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다중 FA, 주파수 오버레이, FA 상태 변경,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

Description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의 FA 상태 변경 방법 {METHOD FOR CHANGING STATUS OF FREQUENCY ASSIGNMENT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의 FA(Frequency Assignment) 상태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주파수 오버레이(Frequency Overlay)를 지원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기지국에서의 FA 상태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은 기존의 공용 IP 네트워크와 호환이 가능하도록 단말기(MS), 기지국(BS) 및 라우터(ACR)를 정의하고, 단말기로 하여금 이동성을 가지도록 하는 기술을 부여하여, 이를 통해 단말기가 이동 중에 IP 기반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기존의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은 하나의 단말이 기지국과 오직 하나의 FA에 속해있는 대역을 통해서만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이러한 기존의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진화된 형태로서, 하나의 단말기가 기지국과 다수의 FA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진화된 개념의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여기서, 단말기가 다수의 FA를 이용하여 기지 국과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주파수 오버레이(Frequency Overlay) 기능이라고 한다. 이러한 진화된 개념의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이하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이라고 함)에 따르면, 기지국이 공용 IP 네트워크와 연결된 구조는 기존의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이하 "비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이라고 함)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면서, 기지국과 단말기와의 무선 접속 부분은 비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과 차이를 가진다. 즉, 기지국과 단말기가 2개 이상의 FA를 사용하여 접속되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차이를 가진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의 장점은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무선접속 방식 및 그에 관련된 MAC 계층의 기능만을 소폭 수정함으로써, 비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 비해 N배(하나의 단말기가 2개의 FA를 사용한다는 가정하에서 2배의 대역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결론적으로는 단말기가 사용하는 FA의 수에 비례하여 사용할 수 있는 대역이 증가함)의 대역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전송 속도를 2배 이상 증가(일반적으로 단말과 기지국간에 사용되는 FA의 수가 N개인 경우 한 개의 FA를 사용하는 비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 비해 전송 속도가 N배로 증가됨)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기가 다수의 FA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도중에 기지국이 사용하는 특정 FA에 부하가 많이 발생하여 기지국의 사용 효율이 매우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것은 기지국이 단말기와 다수의 FA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다수의 FA 중에서 특정된 하나의 FA(primary FA, 이하 "pFA"라고 함)를 통해서 각종의 제어신호 등을 대부분 전달하면서 이와 더불어 데이터 트래픽까지 전달하기 때문에, 기지국이 사용하는 다수의 FA 중에서 하나의 FA가 다수의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다수의 pFA로 동작하는 경우에 이 FA에 부하가 집중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과 단말기간에 통신에 사용되는 다수의 FA들에 대해 pFA가 정해지면 통신이 종료될 때까지 변경할 수 없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기와 다수의 FA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도중에 pFA를 사용중인 sFA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FA로 변경할 수 있는 FA 상태 변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FA(Frequency Assignment) 상태 변경 방법은,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FA 상태를 변경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동일한 기지국이 동일한 단말기와 다수의 FA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다수의 FA 중에서 상태를 변경할 FA를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결정된 FA의 상태 변경 요청을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FA의 상태 변경 요청에 대한 완료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상태 변경이 완료된 FA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FA 상태 변경 방법은,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단말기에서 FA 상태를 변경하는 방법으로서,
a) 동일한 단말기가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동일한 기지국과 다수의 FA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FA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FA의 상태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기지국에서 상태가 변경될 FA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FA에 대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 d) 상기 FA에 대한 상태 변경의 완료를 나타내는 응답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상태 변경이 완료된 상기 기지국의 FA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이 필요에 의해 특정 단말기와 사용 중인 FA들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FA들 간의 부하 조절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지국은 방송 정보인 MAP IE를 통해 특정 단말기와 사용 중인 FA들의 상태를 간단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특정 단말기의 접속을 계속 유지하면서 사용 중이던 FA들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 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기(MS)는 이동국(Mobile Station, MS), 단말(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FA 상태 변경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비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BS, 10)은 라우터(ACR, 20)를 통해 특정한 하나의 사업자 IP 네트워크(Operator's IP Network, 3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가입자가 단말기(MS, 40)를 통하여 IP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지국(10), 라우터(20) 및 사업자 네트워크(30)를 통해서 공용 IP 네트워크(Public IP Network, 50)에 접속해야 한다.
또한, 사업자 IP 네트워크(30)에는 AAA 서버(60), ASA 서버(70), HA 서버(80) 등이 존재하며, 이 AAA 서버(60) 및 ASA 서버(70)는 단말기(40)를 이용하여 비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 접속하고자 하는 가입자에 대한 인증 및 QoS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기능 등을 수행하고, HA 서버(80)는 단말기(40)에 대한 홈 에이전트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비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40)는 기지국(10), 라우터(20) 및 사업자 IP 네트워크(30)를 통해 이동 중에도 IP 기반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비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기(40)가 오직 하나의 FA를 통해서만 기지국(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말기와 기지국이 다수의 FA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인 주파수 오버레이 기능을 제공하는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에서 기지국(10)과 공용 IP 네트워크(50) 사이의 구조는 종래의 비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과 동일하지만, 기지국(10)과 단말기(40) 사이의 구조가 상이하므로, 여기에서는 상이한 부분 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는 일반적인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무선 접속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11)은 주파수 오버레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주파수 오버레이 가능 단말기(41)와 다수의 FA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11)과 단말기(41)가 다수의 FA를 통해서 통신이 가능하지만,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개의 FA(FA#1, FA#2)만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41)는 2개의 FA(FA#1, FA#2)를 이용하여 기지국(11)과 통신을 수행한다. 즉, 단말기(41)는 하나의 FA(FA#1)의 10MHz 대역과 다른 하나의 FA(FA#2)의 10MHz 대역을 통해서 기지국(11)과 각각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단말기(41)는 도 1에 도시된 비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40)에 비해 2배의 대역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단말기(41)와 기지국(10) 간의 전송 속도도 또한 대략 2배가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과 단말기가 다수의 FA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 때 이용되는 FA들 중에서 특정한 하나의 FA를 pFA(primary Frequency Assignment)로 정하고, 나머지 FA를 모두 sFA(secondary Frequency Assignment)라고 한다. 따라서,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한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는 오직 한 개의 pFA와 한 개 이상의 sFA가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pFA는 주로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의 중요한 제어 신호의 대부분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뿐만 아니라, 둘 사이의 데이터 트래픽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는 FA이다. 반면, sFA는 주로 데이터 트래픽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는 FA로써, 제어 신호의 경우 pFA에 비해 상당히 낮은 빈도로 전송된다. 또한,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 pFA를 통한 연결이 설정되어 유지되지 않으면, 기지국과 단말은 접속이 해제된 상태가 되지만, sFA를 통한 연결 설정은 끊어진다 하더라도 pFA를 통한 연결이 존재한다면 그 기지국과 단말기는 상호 통신을 위한 접속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는 동일 기지국 내에 다수의 FA가 존재하고, 이들 FA가 pFA와 sFA로 구분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기능과 의미를 지닌다. 특히, 기지국과 단말기의 통신에 있어서 pFA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는 경우, 기지국(11)과 단말기(41)는 총 2개의 FA를 통해서 통신을 수행하며, FA#1이 pFA로 정해져 있고, 나머지 FA#2가 sFA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FA#1이 pFA이므로 FA#1이 끊어지면 기지국(11)과 단말기(41)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지만, FA#2는 sFA이므로 FA#2는 끊어지더라도 FA#1을 통한 연결이 유지되어 있으면, 기지국(11)과 단말기(41) 사이의 연결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는 경우, 기지국(11)에 n개의 단말기(41-1, 41-2, …, 41-n)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기지국(11)의 FA#1과 FA#2가 각각 n개의 단말기(41-1, 41-2, …, 41-n)에 각각 있는 2개의 FA와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런데, 기지국(11)의 FA#1이 n개의 단말기(41-1, 41-2, …, 41-n) 모두(흔치 않은 일이지만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명확히 하기 위한 가정임)에 대해 pFA로 동작하고, FA#2가 sFA로 동작하고 있다.
상기한 경우, 기지국(11)의 FA#1에 pFA로써의 부하가 많이 부여되어 기지국(11) 전체의 동작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1)은 FA#1에 부여된 부하가 감소되도록 부하를 조절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 하에서의 기지국(11)은 자신에게 속한 단말기들과의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FA#1에 부여된 부하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기지국의 pFA에 연결된 단말기의 수를 조절하여, pFA에 부여된 부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이 단말기와의 통신에 사용하던 pFA를 단말기와의 접속을 끊지 않으면서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pFA에 연결된 단말의 수를 조절하고, 이로 인해 pFA에 부여된 부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FA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단말기가 서로 통신을 수행하며, 이 때 하나의 FA가 pFA가 되고 나머지 FA가 sFA로 사용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sFA로 사용되던 FA를 새로운 pFA로 변경하고, 이전에 사용되던 pFA를 새로운 sFA로 변경한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pFA를 변경해야 하는 단말기에게 pFA 변경을 요청하고,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의 pFA 변경 요청을 허락하여 pFA를 변경함으로써 pFA 변경이 완료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FA 변경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4a는 pFA 변경 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변경 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00)과 단말기(200)는 2개의 FA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고 있다. 통신에 사용되는 2개의 FA 중 기지국(100)의 FA#1(110)과 단말기(200)의 FA#1(210)이 pFA이고, 기지국(100)의 FA#2(120)와 단말기(200)의 FA#2(220)가 sFA이다.
이런 상태에서, 기지국(100)의 pFA인 FA#1(110)의 부하 조절을 위해 기지국(100)이 단말기(200)로 pFA 변경을 요청하고, 단말기(200)가 이에 응답하여 pFA 변경을 완료하게 되면, 기지국(100)의 기존의 pFA인 FA#1이 sFA로 변경되고, 기존에 sFA인 FA#2가 pFA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기지국(100)과 단말기(200)간에 pFA 변경이 완료된 후의 상태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기지국(100)과 단말기(200)는 여전히 2개의 FA를 통하여 서로 통신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통신에 사용되는 2개의 FA에 대해서, 기지국(100)의 FA#2(120)와 단말기(200)의 FA#2(220)가 pFA이고, 기지국(100)의 FA#1(120)과 단말기(200)의 FA#1(210)이 sFA로 이전과 상태가 변경되었다. 따라서, 변경 후, 기지국(100)의 pFA인 FA#2(120)가 단말기(100)의 pFA인 FA#2(220)와 접속되어 통신이 이루어지고, 기지국(100)의 sFA인 FA#1(110)이 단말기(200)의 sFA인 FA#1(210)과 접속되어 통신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pFA 변경 전에 기지국(100)측에서 pFA로 동작하였던 FA#1(110)이 pFA 변경 후에 기지국(100)측에서 sFA로 변경되어 동작하므로, 기지국(100)의 FA#1(110)의 부하가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기지국(100)과 단말기(200)간에 pFA 변경을 통하여 기지국(100)에서의 부하 조절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에서의 pFA 부하 조절 등과 같은 이유로, FA들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기지국이 단말기로 pFA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pFA 변경 요청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이 단말기로 송신하는 MAP에 포함되어 전달되는 IE(Information Element)(이하 "MAP IE"라고 함)를 사용한다. 이 때, 기지국은 기존에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던 MAP IE 내에 pFA 변경 요청 내용을 포함시켜서 단말기로 pFA 변경을 요청하거나 또는 pFA 변경을 요청하는 새로운 MAP IE를 구성하여 단말기로 pFA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두 가지 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먼저, 기존의 MAP IE에 pFA 변경 요청 내용을 포함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MAP IE 중에서 예비(reserved)의 영역 내에 pFA 변경 요청 내용을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에 기지국의 고속 스위칭을 위해 기지국이 단말기로 송신하는 UL MAP에 포함되는 MAP IE인 앵커 기지국 스위치 정보 엘리먼트(이하 "Anchor_BS_switch IE"라고 함)를 사용한다.
이러한 Anchor_BS_switch IE에는 기지국이 요청하고 단말기가 수행해야할 동작을 나타내는 액션 코드(action code)가 포함되어 있다. 액션 코드는 총 2비트(bit)의 크기를 가지며, 단말기는 그 값이 "00"일 경우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 터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스위치 구간에서 타겟 기지국으로 고속 스위칭을 수행해야 하고, "01"일 경우에는 Anchor_BS_switch IE에 포함되어 있는 액션 시간(action time)에서 타겟 기지국으로 고속 스위칭을 수행해야 하며, "10"일 경우에는 고속 스위칭 동작을 취소하고 기존의 기지국과의 통신을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액션 코드에는 "11"의 값이 추후의 사용을 위해 예비(reserved) 영역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Anchor_BS_switch IE의 액션 코드에 예비 영역으로 되어 있는 "11"값을 사용한다. 즉, 기지국이 pFA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 Anchor_BS_switch IE의 액션 코드의 값을 "11"로 하여 단말기로 송신하면, 단말기는 수신된 Anchor_BS_switch IE의 액션 코드의 값이 "11"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Anchor_BS_switch IE 내에 기지국이 지정한 새로운 pFA로의 변경을 수행한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Anchor_BS_switch IE의 새로운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Anchor_BS_switch IE의 포맷 중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기 위해 새로이 추가되는 파라미터와 그와 관련되는 파라미터만을 표시한다.
Figure 112007091190034-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Anchor_BS_switch IE의 액션 코드의 값이 "11"일 때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로의 pFA 변경 요청을 나타내고, 변경될 새로운 pFA는 FA_status_bitmap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지정한다.
이와 같이, 기존의 MAP IE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FA 변경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 기존의 MAP IE를 이용하지 않고 pFA 변경을 요청하는 새로운 MAP IE를 정의하여 사용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아래의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기 위해 새로 정의되는 MAP IE의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이 MAP IE는 기지국이 단말기에게 FA의 상태 변경을 요청하는 MAP IE로, FA 상태 변경 정보 엘리먼트(이하 "FA_status_change IE"라고 함)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여기서, MAP IE를 구성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포함되는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기재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 및 이와 관련된 파라미터에 대해서만 표시한다.
Figure 112007091190034-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새로 정의된 FA_status_change IE에서 N_MS_change_FAs는 FA 변경을 수행해야 하는 단말기의 개수를 나타내며, N_MS_change_FAs에 규정된 개수만큼 축약 CID(Reduced CID), 액션 코드 및 액션 코드에 따른 FA_status_bitmap 정보를 포함한다.
축약 CID는 pFA를 변경해야 하거나 또는 FA의 상태를 변경시켜야 하는 단말기의 기본 CID(Basic CID)의 LSB 12비트를 나타낸다.
액션 코드로는 2개의 값이 사용되며, 액션 코드의 값이 "00"일 때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로의 pFA 변경 요청을 나타내고, 변경될 새로운 pFA는 FA_status_bitmap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지정된다. 한편, 액션 코드의 값이 "01"일 때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의 특정 FA의 동작을 가동시키거나 또는 정지시키는 요청을 나타내고, 가동되거나 정지되어야 할 FA는 FA_status_bitmap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지정된다.
한편, 단말기가 변경해야 하는 pFA 또는 FA, 또는 가동되거나 정지되도록 상태가 변경될 FA는 FA_status_bitmap 파라미터를 통해 규정되며, FA_status_bitmap 파라미터의 각 비트맵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FA_status_bitmap은 총 16비트로 구성되며, LSB를 Bit#0으로 하고 MSB를 Bit#15로 하는 경우, 각 비트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FA_status_bitmap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예를 나타내기 위해 그 크기를 16비트로 나타낸 것이며, 그 크기는 변경이 가능하다.
o Bit#15 - Bit#11 (5 비트) : 액션 타임을 나타낸다. 여기서, 액션 타임은 액션 코드가 "00"일 때는 단말기가 FA_status_change IE를 수신한 후, 기존의 pFA를 FA_status_bitmap이 나타내는 새로운 pFA로 변경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고, 액션 코드가 "01"일 때는 단말기가 FA_status_change IE를 수신한 후, FA_status_bitmap이 나타내는 FA의 상태를 변경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다.
o Bit#10 - Bit#8 (3 비트) : 새로운 pFA 또는 상태를 변경할 FA를 지정한다. 실질적으로 이 3비트는 Bit#7 - Bit#0의 8비트 중 하나를 가리키는 인덱스 값을 가진다. 예를 들어, Bit#10 - Bit#8의 값이 "1"이면 이는 Bit#1을 지정하는 인덱스로서 Bit#1에 해당하는 FA가 새로운 pFA가 되거나 상태를 변경해야 할 FA라는 것을 표시한다. 새로운 pFA가 될지 아니면 상태를 변경해야 할 FA가 될지는 앞서 설명한 액션 코드의 값에 따라 결정된다.
o Bit#7 - Bit#0 (8 비트) : 단말기와 기지국이 사용하고 있는 모든 FA의 BSID와 매핑된 비트맵으로써, 단말기와 기지국이 pFA 및 sFA로 사용하고 있는 모든 FA에 대응되는 비트가 "1"로 설정된다. 여기서, BSID는 각각의 FA를 구별하기 위해 단말기와 기지국이 공유하는 식별자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써, 이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결론적으로, 단말기가 사용하고 있는 모든 FA가 Bit#7 - Bit#0에 매칭되어 있고, 이 중에서 pFA와 sFA로 사용되는 FA에 대응되는 비트가 "1"로 설정되고, 나머지는 "0"으로 설정되어 어느 FA가 사용 중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FA 관련 비트맵이다.
이러한 비트맵의 생성 방식은 다음과 같다.
단말기와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모든 FA의 BSID의 값을 오름차순에 따라 정렬한다. 그리고, 정렬된 BSID 값을 토대로 가장 작은 BSID 값을 비트맵의 Bit#0와 매핑시키는 형식으로, 사용되는 BSID를 비트맵의 비트들 Bit#0 - Bit#7에 매핑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3개의 FA를 사용하고 있으면 Bit#0, Bit#1 및 Bit#2의 비트가 매칭되며, BSID 값이 가장 작은 FA가 Bit#0에 매칭되고, BSID 값이 가장 큰 FA가 Bit#2에 매칭되며, BSID 값이 중간 값인 FA가 Bit#1에 매칭된다. 이와 같이, BSID와 매칭된 비트맵의 비트 중에서 현재 단말기가 기지국과 통신을 하기 위해 pFA 및 sFA로 사용하는 모든 FA에 해당하는 비트의 값을 "1"로 설정하고, 나머지 비트의 값은 "0"으로 설정한다. 상기 예에서, 3개의 FA 중에서 BSID 값이 가장 작은 FA와 BSID 값이 가장 큰 FA가 pFA와 sFA로 각각 사용되고 있으면, 해당 비트맵은 Bit#7부터 나타낼 때 "00000101"이 된다.
한편, 상기에서 Bit#10 - Bit#8이 인덱스 값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으므로, 이 인덱스 값은 Bit#7 - Bit#0의 비트들 중에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비트들을 나타내는 인덱스 값이어야 한다. 상기 예에서, Bit#7 - Bit#0의 비트맵이 "0000101"로 나타나서, Bit#0에 해당하는 FA가 pFA로 동작하고, Bit#2에 해당하는 FA가 sFA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 Bit#10 - Bit#8의 인덱스 값은 "0" 또는 "2"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과 단말기가 pFA를 변경하는 요청인 경우, 상기 인덱스 값은 현재 pFA가 아닌 FA를 나타내어야 하므로, 인덱스 값은 "2"여야 한다. 따라서,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FA_status_change IE를 수신하였고, 그 안에 포함된 액션 코드가 "00"이며, FA_status_bitmap의 Bit#10 - Bit#0에 해당하는 값이 "01000000101"이면, 현재 sFA로 동작하는 Bit#2에 해당하는 FA를 pFA로 변경하라는 요청으로 판단하여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새로운 sFA는 Bit#0에 해당하는 FA가 된다.
단말기가 최초로 기지국과 통신을 위해 접속하는 초기 접속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Bit#7 - Bit#0에 FA를 매칭시키는 비트맵이 최초로 생성된다. 이 때, 기지국과 단말기는 자신들이 사용하고 있는 FA를 확인하여 상기의 생성 방식에 따라 각각 비트맵을 생성하고 저장하며, 그 비트맵의 서로 내용은 동일하다. 이후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변경된 비트맵을 MAP IE를 통해 수신할 경우, 자신이 저장하고 있던 비트맵을 MAP IE를 통해 수신한 비트맵의 내용으로 갱신한다. 한편, 단말기와 기지국의 초기 접속에 관련된 내용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pFA 변경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100)이 FA#1(110)을 pFA로 하여 단말기(200)의 FA#1(210)을 통해 단말기(200)와 통신하고, FA#2(120)를 sFA로 하여 단말기(200)의 FA#2(220)를 통해 단말기(200)와 통신하고 있다. 이 때, 이미 기지국은 단말기(200)와 통신하고 있는 FA#1(110)과 FA#2(120)에 대한 비트맵을 생성하여 가지고 있으며, 상기 예를 참조하는 경우, 그 비트맵은 "00000101"이다. 즉, pFA인 FA#1(110)이 Bit#0에 매칭되고, sFA인 FA#2(120)가 Bit#2에 매칭된다.
이런 상태에서, 기지국(100)의 pFA인 FA#1(110)에 부하가 과중되어 부하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S100), 기지국(100)은 FA#1(110)과 pFA로 통신하고 있는 단말기들 중에서 부하 조절에 필요한 수만큼의 단말기를 선택한다(S110). 도 4에 도시된 단말기(110)가 상기 단계(S110)에서 선택된 단말기들 중에 속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다음, 기지국(100)은 상기 단계(S110)에서 선택된 단말기(200)와 pFA로 통신하고 있는 FA#1(110)을 sFA로 변경하고, 기존의 sFA인 FA#2(120)를 pFA로 변경하여 부하를 조절하기 위해 단말기(200)로 pFA 변경을 요청하기 위한 MAP IE를 생성한다(S120). 이 때 생성되는 MAP IE는 상기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던 MAP IE인 Anchor_BS_switch IE이거나 또는 상기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새로 정의되어 사용되는 MAP IE인 FA_status_change IE 중 어느 하나이다. 어느 MAP IE이건 간에 액션 코드가 pFA 변경을 요청하는 값으로 설정되고, 변경될 pFA를 나타내는 인덱스를 포함하는 FA_status_bitmap이 설정되어 생성되면 된다. 상기 예를 참조하면, 기지국(100)은 FA_status_bitmap으로 액션 타임을 제외한 Bit#10 - Bit#0까지가 "01000000101"이 되도록 MAP IE를 생성한다.
한편, 상기 단계(S110)에서 선택된 단말기들의 개수 정보는 상기 생성된 MAP IE의 N_MS_changing_FAs 파라미터로 설정되고, 해당 단말기들의 정보는 축약 CID에 각각 기재된다.
그 후, 기지국(100)은 생성된 MAP IE, 즉 Anchor_BS_switch 또는 FA_status_bitmap을 MAP을 통해 단말기(100)에게 송신한다(S130). 이 때 해당 MAP IE는 MAP을 통해 단말기들에게 브로드캐스팅되므로, 기지국(100)에 속한 모든 단말기들이 MAP을 통해 MAP IE를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MAP IE를 수신한 모든 단말기가 FA의 상태 변경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MAP IE에 포함된 축약 CID에 의해 지정되는 단말기들만이 FA의 상태 변경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단말기들 중 하나가 단말기(200)이다.
또한, 기지국(100)은 MAP IE를 pFA인 FA#1(110)을 통해 전송하고, 단말기(200)도 pFA인 FA#1(210)를 통해 수신한다.
다음, 기지국(100)은 pFA 변경 요청을 단말기(100)로 송신하였으므로, 단말기(100)로부터 pFA 변경을 완료하였다는 응답이 수신되기를 기다린다(S140). 단말기(200)로부터 pFA 변경을 완료하였다는 응답이 수신되면, 기지국(10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FA이던 FA#2(120)가 pFA로 변경된다(S150). 이 때, 단말기(200)로부터의 응답은 단말기(200)에서 새롭게 pFA로 지정된 FA#2(220)로부터 전송된다.
이와 같이, 기지국(100)과 단말기(200)의 FA#2(120, 220)가 sFA에서 pFA로 변경되면, FA#2(120, 220)는 이후 pFA로 동작하여 데이터 전송 등의 통신을 수행한다.(S160).
다음, 기지국(100)은 FA#2(120)에서의 pFA로의 변경이 완료되었으므로, 기존에 pFA이던 FA#1(110)을 sFA로 설정한 후(S170), 단말기(200)에서도 새롭게 변경된 sFA인 FA#1(210)과 데이터 전송 등의 통신을 수행한다(S180).
이와 같이, 기지국(100)이 pFA의 부하를 조절하기 위한 MAP IE를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단말기(200)가 이에 응답함으로써 기지국(100) 측에서의 pFA 변경이 가능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pFA 변경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단말기(200)는 도 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pFA 변경을 요청하는 MAP IE를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다(S200).
단말기(200)는 MAP IE 내에 포함된 축약 CID를 통해 자기가 수행해야 하는 MAP IE인 것을 확인하고, MAP IE 내에 포함된 액션 코드를 통해 pFA 변경 요청인지를 확인한다(S210).
만약 수신된 MAP IE가 Anchor_BS_switch IE이면서 액션 코드의 값이 "11"이거나 또는 MAP IE가 FA_status_change IE이면서 액션 코드의 값이 "00"인 경우이면 기지국(100)으로부터의 pFA 변경 요청이므로, 단말기(200)는 변경될 pFA를 확인한다(S220). 변경될 pFA는 MAP IE 내에 포함된 FA_status_bitmap 파라미터 내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단말기(200)는 FA_status_bitmap 파라미터를 통해 변경될 pFA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서의 예를 참조하면, 기지국(100)에서 FA#2(120)를 sFA에서 pFA로 변경하기 위한 값으로, "01000000101"를 FA_status_bitmap 파라미터로 설정하여 기지국(100)이 송신하였으므로, 단말기(200)는 FA_status_bitmap 파라미터의 Bit#10 - Bit#8이 나타내는 인덱스 값 "2"를 통해 기지국(100)의 FA#2(120)가 새로운 pFA로 변경될 FA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기(200) 자신도 기지국(100)에서와 마찬가지로 기존의 sFA이었던 FA#2(220)를 pFA로 변경하고, 기존의 pFA이었던 FA#1(210)을 sFA로 변경한다.
따라서, 단말기(200)는 자신의 새로운 pFA인 FA#2(220)가 통신할 기지국(100)의 pFA로써 기존의 FA#1(110)을 FA#2(120)로 변경한 후(S230), FA#2(220)를 통해 기지국(100)의 새로운 pFA인 FA#2(120)로 pFA 변경이 완료되었다는 응답을 송신한다(S240). 이와 같이하여, 단말기(200)와 기지국(100)간에 pFA 변경이 완료되었으므로, 단말기(200)의 새로운 pFA인 FA#2(220)는 기지국(100)의 새로운 pFA인 FA#2(120)와 데이터 전송 등의 통신을 수행한다(S250).
그 후, 단말기(200)는 기지국(100)과의 pFA 변경이 완료되어 pFA를 통한 통신이 유지되고 있으므로, 자신의 새로운 sFA인 FA#1(210)이 통신할 기지국(100)의 sFA로써 기존의 FA#2(120)를 FA#1(110)로 변경한 후(S260), 자신의 FA#1(210)을 통해 기지국(100)의 sFA인 FA#1(110)과 데이터 전송 등의 통신을 수행한다(S270).
이와 같이, 단말기(200)가 기지국(100)으로부터 pFA의 부하를 조절하기 위한 MAP IE를 수신하여 pFA를 변경하고 기지국(100)으로 응답함으로써, 기지국(100) 측에서의 pFA 변경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FA 변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100)과 단말기(200)가 2개의 FA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고 있다. 통신에 사용되는 2개의 FA 중 기지국(100)의 FA#1(110)과 단말기(200)의 FA#1(210)이 pFA이고, 기지국(100)의 FA#2(120)와 단말기(200)의 FA#2(220)가 sFA이다.
따라서, 기지국(100)과 단말기(200)는 pFA로 동작하는 FA#1(110, 210)을 통해 서로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전송 등의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S300). 또한, 기지국(100)과 단말기(200)는 sFA로 동작하는 FA#2(120, 220)을 통해 서로 데이터 전송 등의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S300')
이런 상태에서, 기지국(100)이 pFA인 FA#1(110)의 부하 조절을 위해 FA#1(110)을 통해 단말기(200)로 FA#2(120)로의 pFA 변경을 요청하는 MAP IE를 송신한다(S310). 이 때, MAP IE로는 [표 1]을 통해 설명한 Anchor_BS_switch IE 또는 [표 2]를 통해 설명한 FA_status_change IE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MAP IE를 수신한 단말기(200)는 MAP IE에 규정된 새로운 pFA인 FA#2(120)로의 기지국(100)의 pFA 변경을 확인한 후 자신의 기존의 sFA이었던 FA#2(220)를 새로운 pFA로 변경한 후, pFA 변경을 완료하였다는 응답(ACK)을 단말기의 새로운 pFA인 FA#2(220)를 통해 기지국(100)의 새로운 pFA인 FA#2(120)로 송신한다(S320). 그 후, 단말기(200)의 새로운 pFA인 FA#2(220)는 기지국(100)의 새로운 pFA로 동작하는 FA#2(120)와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전송 등의 통신을 새로이 수행한다(S330).
그 후, 단말기(200)는 기지국(100)측의 sFA로 기존의 pFA인 FA#1(110)이 변경되므로, 자신의 기존의 pFA이었던 FA#1(210)을 새로운 sFA로 변경한 후, 자신의 새로운 sFA인 FA#1(210)을 통해 기지국(100)의 새로운 sFA로 동작하는 FA#1(110)과 데이터 전송 등의 통신을 새로이 수행한다(S340).
이와 같이, 기지국(100)이 pFA의 부하를 조절하기 위한 MAP IE를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단말기(200)가 수신한 MAP IE 내에 규정된 pFA로 기지국(100)측의 pFA를 변경하고, 이에 응답함으로써 기지국(100) 측에서의 pFA 변경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에서는 단말기(200)가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 MAP IE에 포함된 액션 코드가 pFA 변경을 요청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기지국(100)과 단말기(200)가 pFA 및 sFA를 변경하는 기능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지국(100)에 의해 지정된 FA의 상태를 변경하는 기능도 수행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가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 MAP IE, 특히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기 위해 새로 정의되는 MAP IE, 즉 FA_status_change IE에 포함된 액션 코드가 "01"값을 가져서 FA의 상태 변경을 요청하는 값인 경우, FA_status_bitmap의 Bit#10 - Bit#8의 인덱스를 통해 상태가 변경될 FA를 확인하여 해당하는 FA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해당 FA가 가동(enable) 중이면 그 동작을 정지(disable)시키고, 만약 정지(disable)되어 있으면, 가동(enable)시킨다. 이러한 동작이 수행되는 구체적인 과정은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pFA 변경 과정을 참조하는 경우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비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무선 접속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pFA에서의 부하 발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FA 변경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4a는 pFA 변경 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변경 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FA 변경 방법에서 MAP IE에 포함되는 FA_status_bitmap 파라미터의 비트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pFA 변경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pFA 변경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FA 변경 방법의 흐름도이다.

Claims (21)

  1.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FA(Frequency Assignment) 상태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동일한 기지국이 동일한 단말기와 다수의 FA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다수의 FA 중에서 상태를 변경할 FA를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결정된 FA의 상태 변경 요청을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FA의 상태 변경 요청에 대한 완료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FA 상태 변경 방법.
  2.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FA(Frequency Assignment) 상태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태를 변경할 FA를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결정된 FA의 상태 변경 요청을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FA의 상태 변경 요청에 대한 완료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가,
    i)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다수의 FA 중에서 주요 제어 신호 및 데이터 트래픽 전송을 수행하는 제1 FA(Primary Frequency Assignment)에 대한 부하 조절이 필요한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ii) 상기 제1 FA에 대한 부하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2 FA(secondary Frequency Assignment)-여기서 제2 FA는 상기 다수의 FA 중에서 상기 제1 FA를 제외한 나머지 FA임- 중에서 제1 FA로 상태 변경될 제2 FA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FA 상태 변경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가,
    상기 제1 FA 및 제2 FA와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단말기들 중에서 FA 상태 변경을 수행할 단말기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단말기들에게 상기 제1 FA의 상태 변경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단말기들에게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FA 상태 변경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에,
    d) 상기 상태 변경이 완료된 FA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d) 단계가,
    상기 ii) 단계에서 결정된 제2 FA를 제1 FA로 상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상태 변경된 제1 FA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제어 신호 및 데이터 트래픽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들과 통신을 수행하고 있던 기존의 상기 제1 FA를 제2 FA로 상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변경된 제2 FA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데이터 트래픽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FA 상태 변경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은 내부의 기지국들이 다수의 FA를 통해 단말기들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주파수 오버레이 기능을 제공하는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A 상태 변경 방법.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MAP이며, 상기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가 상기 MAP에 포함되어 전달되는 정보 엘리먼트(Information Element)(이하 "MAP IE"라고 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A 상태 변경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MAP IE는 상기 기지국의 고속 스위칭을 위해 상기 기지국이 단말기로 송신하는 UL MAP에 포함되는 MAP IE인 앵커 기지국 스위치 정보 엘리먼트이거나, FA에 대한 상태 변경을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새로 정의된 MAP I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A 상태 변경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MAP IE에 포함되는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는,
    상기 MAP IE를 수신하는 단말기가 FA의 상태를 변경해야 하는 요청을 나타내는 액션 코드; 및
    상기 단말기가 상태를 변경해야 하는 FA를 나타내는 FA 변경 비트맵
    을 포함하는 FA 상태 변경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FA 변경 비트맵이,
    FA의 상태를 변경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액션 타임 필드;
    상기 상태를 변경할 FA를 나타내는 인덱스 필드; 및
    상기 기지국이 사용하고 있는 모든 FA를 나타내는 동시에, 상기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 중인 FA를 나타내는 FA 관련 비트맵
    을 포함하는 FA 상태 변경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필드의 값은 상기 FA 관련 비트맵을 구성하는 비트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값이고,
    상기 인덱스 필드의 값이 나타내는 비트에 해당하는 FA가 상태 변경되어야 하는 F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A 상태 변경 방법.
  11.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단말기들로 송신되는 메시지는 상기 기지국의 상기 제1 FA를 통해 상기 선택된 단말기들의 제1 FA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A 상태 변경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단말기들의 제1 FA로 송신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은 상기 상태 변경되는 상기 기지국의 제2 FA를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A 상태 변경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A의 상태 변경 요청은 상기 결정된 FA를 가동(enable)시키거나 정지(disable)시키는 상태 변경 요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A 상태 변경 방법.
  14.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단말기에서 FA 상태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동일한 단말기가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동일한 기지국과 다수의 FA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FA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FA의 상태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다수의 FA 중에서 상태가 변경될 FA를 확인하는 단계;
    c) 확인된 상기 FA에 대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 및
    d) 확인된 상기 FA에 대한 상태 변경의 완료를 나타내는 응답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FA 상태 변경 방법.
  15.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단말기에서 FA 상태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기지국으로부터 FA의 상태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기지국에서 상태가 변경될 FA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FA에 대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 및
    d) 상기 FA에 대한 상태 변경의 완료를 나타내는 응답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다수의 FA 중에서 주요 제어 신호 및 데이터 트래픽 전송을 수행하는 제1 FA(Primary Frequency Assignment)를 통해 상기 FA의 상태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A 상태 변경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FA의 상태 변경 요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MAP을 통해 수신되며, 상기 상태가 변경될 FA에 대한 정보는 상기 MAP에 포함되어 전달되는 정보 엘리먼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A 상태 변경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의 제1 FA는 상기 FA 상태 변경 요청을 통해 상기 기지국의 제1 FA의 상태 변경인 것을 확인하고, 상기 기지국의 다수의 FA 중에서 제1 FA로 상태 가 변경될 상기 기지국의 제2 FA-여기서 기지국의 제2 FA는 상기 기지국의 다수의 FA 중에서 상기 기지국의 제1 FA를 제외한 나머지 FA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A 상태 변경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의 제1 FA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FA로 상태가 변경될 상기 기지국의 제2 FA와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단말기의 제2 FA를 상기 단말기의 제1 FA로 상태 변경하고, 상기 단말기의 이전의 제1 FA를 상기 단말기의 제2 FA로 상태 변경하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 FA에 대한 상태 변경의 완료를 나타내는 응답을 상기 기지국의 제1 FA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A 상태 변경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후에,
    e) 상기 상태 변경이 완료된 상기 기지국의 FA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의 제1 FA는 상기 기지국의 제2 FA와 제어 신호 및 데이터 트래픽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A 상태 변경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후에, 상기 단말기의 제2 FA-여기서 단말기의 제2 FA는 상기 단말기의 다수의 FA 중에서 상기 단말기의 제1 FA를 제외한 나머지 FA임-는 상기 기지국의 제1 FA를 상기 기지국의 제2 FA로 상태 변경하고, 상태 변경된 제2 FA와 데이터 트래픽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FA 상태 변경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FA에 대한 상태 변경은 상기 FA를 가동(enable)시키거나 정지(disable)시키는 상태 변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A 상태 변경 방법.
KR1020070133666A 2007-12-18 2007-12-18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의 fa 상태 변경 방법 KR100960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666A KR100960660B1 (ko) 2007-12-18 2007-12-18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의 fa 상태 변경 방법
US12/808,493 US8681732B2 (en) 2007-12-18 2008-10-14 Method of changing frequency assignment status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PCT/KR2008/006048 WO2009078569A2 (en) 2007-12-18 2008-10-14 Method of changing frequency assignment status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666A KR100960660B1 (ko) 2007-12-18 2007-12-18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의 fa 상태 변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058A KR20090066058A (ko) 2009-06-23
KR100960660B1 true KR100960660B1 (ko) 2010-06-07

Family

ID=40795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666A KR100960660B1 (ko) 2007-12-18 2007-12-18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의 fa 상태 변경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81732B2 (ko)
KR (1) KR100960660B1 (ko)
WO (1) WO200907856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034B1 (ko) 2008-08-18 201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밴드를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브밴드의 선택적 사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07867B1 (ko) * 2009-07-28 2017-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반송파 지원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송파 관리 절차 수행 방법 및 장치
JP2012142825A (ja) * 2011-01-05 2012-07-2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476B1 (ko) * 1999-08-09 2006-06-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중첩셀 구조에서 상위셀과 하위셀간의 핸드오프 방법
US7068623B1 (en) * 2000-01-10 2006-06-27 Nortel Networks Limited Communicating traffic over a wireless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KR100536664B1 (ko) 2002-11-28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에프에이 변경을 통한 호 설정 방법
KR100494367B1 (ko) 2003-08-14 2005-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기종 망간의 부하 분산 방법
KR20050089685A (ko) * 2004-03-05 2005-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운용 주파수 변경시스템 및 방법
US7440437B2 (en) * 2004-05-14 2008-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downlink channels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and a system using the same
KR100785799B1 (ko) * 2005-10-14 2007-1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주파수채널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스펙트럼 센싱을이용한 채널 할당 방법
JP5311711B2 (ja) 2005-12-22 2013-10-09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及び通信制御方法
KR100733511B1 (ko) * 2005-12-30 2007-07-02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무선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운용 fa 할당 방법, 운용 fa 할당 장치
KR100837696B1 (ko) * 2006-08-08 2008-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기 수신성능을 이용한 채널 운영 방법 및 그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
US8027682B2 (en) * 2007-03-26 2011-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upporting fast base station switch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frequency bands
KR101682034B1 (ko) * 2008-08-18 201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밴드를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브밴드의 선택적 사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71941A1 (en) 2010-10-28
WO2009078569A2 (en) 2009-06-25
KR20090066058A (ko) 2009-06-23
US8681732B2 (en) 2014-03-25
WO2009078569A3 (en)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6839B2 (e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device for managing a session corresponding to multiple session management function network elements
CN109842955B (zh) 通信方法及装置
CN108702692B (zh) 移动网络中的功能选择
JP5391463B2 (ja) 広帯域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負荷均等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4729646B2 (ja) 移動通信方法、移動交換局、無線基地局及び移動局
RU234104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ления однонаправленного канала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для услуги передачи при мультимедиа многоточечном соединении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KR20140096631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할 셀 내의 무선랜 망의 검색 및 선택 방법 및 장치
JP2010081603A (ja) 仮想ネットワークを実現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ノード
US8554238B2 (en) Idle-to-active state shift apparatus in carrier aggregation environment
US11323872B2 (en) Terminal capability acquisi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3678506B (zh) 建立会话的方法和终端设备
JP2021530153A (ja) 通信システム
EP43547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EP4005281A1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core network element and methods
CN116235517A (zh) 第五代核心网络中以间接通信进行的网络功能服务实例重选增强
KR100960660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의 fa 상태 변경 방법
WO2014101203A1 (zh) 邻近身份指示码的发送方法、用户设备及基站
US2023030897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witching of traffic corresponding to a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two non-3gpp access paths
KR101495352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식별자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5037705A (zh) 通信方法和设备
WO2013121949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基地局装置、および移動体端末
EP38492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network cell or frequency influenced by network slicing
CN112702800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20240276351A1 (en)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20140015000A (ko) 단말의 무선 자원 선택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