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851B1 - Toilet cover - Google Patents
Toilet cov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59851B1 KR100959851B1 KR1020090117973A KR20090117973A KR100959851B1 KR 100959851 B1 KR100959851 B1 KR 100959851B1 KR 1020090117973 A KR1020090117973 A KR 1020090117973A KR 20090117973 A KR20090117973 A KR 20090117973A KR 100959851 B1 KR100959851 B1 KR 1009598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et
- toilet
- cover
- toilet seat
- seat cov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2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22
- 210000004392 genitalia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899 peni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10 flushing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47K13/16—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of single sheets of paper or plastic foil or film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0—Hand tools for cleaning the toilet bowl, seat or cover, e.g. toilet brushes
- A47K11/105—Disposable covers to keep the bowl clea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시트와 제 2 시트의 2단 구조로된 일회용 좌변기 커버로서,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osable toilet seat cover having a two-stage structure of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좌대의 테두리를 따라 놓이며 내부에 개방부를 포함하는 제 1 시트; 및A first sheet placed along the rim of the seat and including an opening therein; And
상기 제 1 시트의 전방측으로부터 연결되어, 변기 내에 수용되는 제 2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second sheet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first sheet and accommodated in the toilet bowl.
Description
본 발명은 좌변기 커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eat cover.
산업화의 발달로 공동주택 및 일반 숙박업소 및 호텔 등이 늘어나면서, 주거형태는 물론 화장실 문화도 변화하고 있으며, 가정, 일반 숙박업소 및 호텔 등의 주거 공간 내에 보다 기능이 다양화된 수세식 좌변기가 설치되어 생활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ization, the number of apartments, general lodgings, hotels, etc. is increasing, and the style of toilets and toilets are changing. It provides convenience of life.
일반적으로, 좌변기의 구조는 물을 담아 저장하는 물탱크와, 사람이 앉아서 변을 볼 수 있는 좌대와, 사용자의 배설물을 받아 배수관으로 배출하는 터브 형상의 변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좌변기는 변기 내의 배설물이 변기 내벽에 들러붙어 물에 씻겨 내려가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다음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비위생적이고, 이로 인해 변기 내벽에 묵은 때가 끼고 더러워진다.In general, the structure of the toilet seat consists of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a seat for a person to sit and see the side, and a tub-shaped toilet receiving the user's feces and discharged to the drain pipe. The toilet may not be flushed with water due to the feces in the toilet cling to the inner wall of the toilet, in which case it is not only unpleasant to the next user, but is also unsanitary, which causes the old wall of the toilet to become dirty.
그리고, 사용자가 변을 볼때, 변기 내로 떨어지는 배설물에 의해 물이 튀어 엉덩이에 닿는 경우도 있으며, 용변 후 물을 내릴 때에도 강한 수압으로 인하여 용변과 함께 물이 얼굴로 튀어오르는 경우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sees the stool, water may splash on the hips by the droppings falling into the toilet, and when the water drops down after the stool, the water may splash on the face with the stool due to the strong water pressure.
또한, 남성이 좌변기에 앉아 용변을 보는 경우에, 남성의 성기가 변기에 닿 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 병균에 감염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그리고, 좌변기에 앉아 용변을 보게 되면 하의를 벗게 되는데, 하의 역시 변기 외벽에 닿아 불쾌감을 줄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a man sits on the toilet seat and looks at the toilet, the male genitals may touch the toilet, in which case there is a risk of infection. If you sit on the toilet seat and look at the toilet, the bottoms are removed, and the bottoms can also be uncomfortable by touching the outside wall of the toilet.
또한, 기존의 변기커버들 중의 일부는 사용자가 사용 후 그냥 좌대 위에 방치하는 경우가 있어서 그 다음 사용자에게 불쾌감과 불결을 주기도 한다. In addition, some of the existing toilet covers may be left on the base just after the user is used to give the user discomfort and uncleanness.
본 발명은 좌변기에 앉아 용변을 보는 사용자의 피부 등이 좌변기에 닿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함을 제공하고, 변기 내부 벽에 배설물 등의 이물질이 묻지 않아 화장실의 청결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좌변기 커버를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fort to the user by preventing the skin of the user sitting on the toilet seat and looking at the toilet, to provide comfort to the user, and to maintain a clean environment of the toilet do not ha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feces on the inner wall of the toilet. do.
기존의 좌변기 커버는 좌대 커버 한가지 기능뿐이었으나,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좌대 커버(제 1 시트) 기능과 배설물 시트(제 2 시트) 등의 이중 용도로 사용되는 2단 구조로 된 좌변기 커버를 제안한다. The existing toilet seat cover has only one function of the seat cover, but it has a two-stage structure that is used for dual purposes such as a seat cover (first sheet) function and a waste sheet (second sheet), which can comprehensively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oilet seat cover is suggested.
본 발명에 따른 죄변기 커버는,The toilet sea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커버로서,As a cover used for a single use,
좌대의 테두리를 따라 놓이며 내부에 개방부를 포함하는 제 1 시트; 및A first sheet placed along the rim of the seat and including an opening therein; And
상기 제 1 시트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변기 내에 수용되는 제 2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second sheet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sheet and accommodated in the toilet bowl.
이 때 상기 제 2 시트는 상기 제 1 시트의 사이즈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second sheet is preferably form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sheet.
또한, 상기 제 2 시트에는 배설물의 출입을 위한 절단부가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sheet may be provided with a cutting portion for access to the excrement.
또한, 상기 제 2 시트의 절단부는 선형상의 절단선이 복수개 교차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ut part of the said 2nd sheet is formed by crossing a plurality of linear cut lines.
이 때, 상기 절단선이 형성된 주위에는 상기 제 2 시트와 동일한 재질인 부착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부착지에는 상기 절단선과 대응되는 절단선이 마련될 수 있다. In this case, an attachment sheet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econd sheet may be further formed around the cut line, and the attachment line may be provided with a cut line corresponding to the cut line.
이 때, 상기 제 2 시트의 모서리는 변기 형상에 맞추어 라운드처리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dge of the second sheet may be rounded to match the shape of the toilet bowl.
또한, 상기 제 1 시트는 상기 개방부의 전단으로부터 연결되어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변기의 선단부 상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한 선단부 덮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시트의 전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좌변기 커버의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2 시트에 연결가능한 제 1 신체 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heet may include a front end cover which may be connected from the front end of the opening and bent upward to be positioned on the front end of the toilet.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first body protector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sheet is bent downward of the toilet seat cover is connectable to the second seat.
또한, 상기 변기 선단부 덮개에서 연장되어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변기의 전방 외측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한 하의 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lower prot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toilet front end cover and bent downward to be positioned outside the front of the toilet.
또한, 상기 하의 보호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의 보호부와 함께 변기의 전방 외측에 위치하는 화장지용 보조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heet for toilet paper extending from the lower protective portion and located in front of the front of the toilet with the lower protective portion.
또한, 상기 하의 보호부와 상기 화장지용 보조시트 사이에는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erforation line is formed between the lower protective part and the toilet paper auxiliary sheet.
또한, 상기 착석부 개방부의 후단에는 상기 시트의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것 이 가능한 제 2 신체 보호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rear end of the seat opening portion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econd body protector that can be bent downward of the sheet.
또한, 상기 착석부의 모서리 영역은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dge area of the seating portion may be rounded.
또한, 상기 부착지의 테두리부는 부착되지 않고 상부로 절곡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dge portion of the attachment sheet may be formed to be bent upwardly without being attached.
또한, 상기 제 1 시트의 좌우 단부에 절단선을 마련하여 상기 시트의 일부를 하방향으로 절곡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cut line is formed to provide a cut line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rst sheet to bend a portion of the sheet downwar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좌변기 커버의 제 1 시트에 의하여 사용자의 피부나 하의가 변기에 닿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kin or the bottom of the user does not touch the toilet by the first sheet of the toilet seat cover, it is possible to provide comfort to the user.
또한, 좌변기 커버의 제 2 시트에 의하여 변기 내벽이 보호되므로, 배설물등이 변기 내벽에 묻지 않아 깨끗한 화장실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oilet inner wall is protected by the second seat of the toilet seat cov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feces and the like do not bury the toilet inner wall to maintain a clean toilet environment.
본 발명은 제 2 시트(배설물 시트)로 인해, 배설물을 배설할 때 아래 물이 튀어 엉덩이에 닿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튀김 방지 기술은 제 2 시트의 부착지 턱, 십자 통과선 등에 의해 강화된다. 용변 후 물을 내릴 때, 본 발명의 제 2 시트와 제 1 신체보호부 밑으로 물이 흐르기 때문에 물방울과 용변방울이 얼굴로 튀어오르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물이 튀어오르는 것을 막기 위하여, 사용자가 변기안 물에 화장지를 무분별하게 많이 집어넣어서 발생하는 낭비를 줄이고, 변기 내벽을 자주 청소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변기 내벽에 들러붙은 배설물을 완전히 씻겨 내려가게 하기 위해 더 많은 물을 흘려내려 보 내는 것도, 배설물 시트만을 흘려내려 보내는 정도만으로 충분하므로, 물 절약이 된다. 또한, 하수도 처리 비용도 절감된다. 나아가서는, 환경보호와 녹색성장에도 도움이 된다. Due to the second sheet (dung sheet),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water below from splashing and reaching the hips when excreted. This splash prevention technique is reinforced by the attachment tuck of the second sheet, the cross pass line and the like. When the water is lowered after the stool, since water flows under the second sheet and the first body pro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water droplets and the stool from splashing on the 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water from splashing, the user can reduce the waste caused by indiscriminately inserting a lot of toilet paper into the water in the toilet, and save the trouble of frequent cleaning the inner wall of the toilet. Spilling more water to completely flush down the feces on the inside of the toilet is enough to just flush the feces sheet, thus saving water. In addition, the cost of sewage treatment is reduced. Furthermore, it is conducive to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green growth.
또한, 용변 후 변기의 물을 내릴 때에는 변기 내에 수용된 제 2 시트가 물과 함께 쓸려 내려가게 되고, 제 2 시트와 연결되어 있는 제 1 시트 역시 함께 쓸려내려 가게 되어 있으므로, 일회용 좌변기 커버로서 그 이용에 편리함이 도모되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용변 후 좌변기 커버를 변기 안에 집어넣어서 쓸려내려 보내야 하는 수고로움과 비위생을 없애준다. 뿐만 아니라, 쓸려내림 현상이 제 1 시트의 위에서 아래로 미는 구조가 아니라, 제 2 시트가 밑에서 끄집어내리는 구조이므로 견인력이 높다. In addition, when flushing the toilet after the toilet, the second sheet accommodated in the toilet is swept away with the water, and the first sheet connected to the second sheet is also swept away toge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onvenience is promoted. This eliminates the trouble and unsanitary of the user having to put the toilet seat cover in the toilet after the toilet. In addition, the pulling phenomenon is high because the scraping phenomenon is not a structure that pushes down from the top of the first sheet, but the structure that the second sheet pulls down from the bottom.
또한, 제 2 시트가 제 1 시트를 안정감있게 잡아주어 종래 제 1 시트에 해당하는 부분만으로 구성된 시트보다 사용자가 용변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sheet can hold the first sheet with a sense of stability, the user can feel a sense of stability when toileting than a sheet consisting of only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ventional first sheet.
결과적으로, 제 1 시트와 제 2 시트의 2단 구조로 된 좌변기 커버를 최초로 개발하여 좌변기 커버의 기능 향상과, 그 수준을 넘어서서 다음 사용자를 배려하는 한 차원 높은 화장실 예절 문화를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As a result, the toilet seat cover consisting of two-stage structure of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is developed for the first time, thereby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and forming a higher-level toilet manner culture that considers the next user beyond that level. .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etermined from the matters disclosed by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inventive concept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modified by adding, deleting, or modifying components to the proposed embodiment. It will be included.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word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other elements or steps than those listed.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커버의 제 1 시트에 대한 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커버의 제 2 시트에 대한 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use case for the first seat of the toilet sea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use case for the second seat of the toilet sea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커버의 제 1 시트에 대해서 살펴보면, 제 1 시트(100)는 사용자가 간편히 좌대 상에 설치가능하고, 사용자의 피부가 변기 또는 좌대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일회용 변기 시트이다. 상기 제 1 시트(100)는 사용자의 피부가 직접 닿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천연펄프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First, referring to FIG. 1, the first seat of the toilet sea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상기 제 1 시트(100)는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하여 변기에 앉았을 때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닿게 되는 착석부(102)와, 배설물이 변기 내로 떨어질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101)와, 사용자의 착석시에 남성의 성기(또는 피부)가 변기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신체 보호부(110, 도 3참조)와, 변기의 선단부 위에 놓이는 변기 선단부 덮개(120)와, 상기 변기 선단부 덮개(120)로부터 연장되어 착석시에 사용자의 하의가 변기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의 보호부(130)를 포함한다. The
그리고, 상기 하의 보호부(130)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화장지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의 보호부(130)로부터 절취가능한 화장지용 보조시트(140)가 포함된다. In addition, it extends from the lower
또한, 여성의 사용자가 착석하여 용변을 보는 경우에, 변기에 떨어지는 배설물에 의하여 튀어오르는 물이 여성의 성기에 닿지 않도록 하거나 변기에 비데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 비데의 분사노즐 등에 닿지 않도록 하여, 여성의 성기를 보호하기 위한 제 2 신체 보호부(150)가 상기 개방부(101)의 후방에 마련된다. 즉, 제 1 시트에서 착석부(102)의 후방 영역에는 시트의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2 신체 보호부(150)가 형성된다. In addition, when a user of a woman is seated and looks at the toilet, the water splashed by feces falling down the toilet does not touch the female genitals or, if the toilet is provided with a bidet, it does not touch the jet nozzle of the bidet, etc. A
그리고, 상기 제 1 시트(100)의 배면 즉, 변기 또는 좌대에 닿는 부분에는 점착점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착석만으로 제 1 시트(100)가 좌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좌대 모양에 따라 제 1 시트의 외측에 절단선을 주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dhesive point is partially or entirely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시트(100)의 설치 후 착석부(102) 상에 사용자가 앉으면, 남성의 경우 성기와 변기벽 사이에 제 1 신체 보호부(110, 도 3참조)가 개입하고 있어, 성기가 변기에 닿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여성의 경우는 개방부(101) 후방에 마련되어 있는 제 2 신체 보호부(150)에 의하여 성기가 변기에 닿거나 튀어오르는 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When the user sits on the
그리고, 좌대에 앉기 위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하의를 내리고 앉게 되는데, 하의 역시 변기 외벽에 닿게 되면 상당한 불쾌감이 드는 것이 사실이므로, 하의와 변기외벽 사이에 개입되어 있는 하의 보호부(130)에 의하여 하의가 변기에 닿는 것이 방지된다. And, in order to sit on the base, the user is to sit down with his bottoms, but the bottoms are also very unpleasant if the bottom touches the toilet outer wall, because the bottoms are interposed between the bottoms and the toilet
그리고, 사용자가 용변을 보는 도중 또는 용변을 다 본 후, 화장지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하의 보호부(130)로부터 절취가능한 화장지용 보조시트(140)를 이용할 수 있다. When the toilet paper is needed while the user is looking at the toilet or after the toilet, the
상기 제 1 시트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하며, 도 2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제 2 시트가 사용되는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first shee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sheet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wn in FIG. 2 is used will be described.
제 2 시트(200)는 변기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변기 내벽에도 위치하여, 배설물 등이 변기 내벽에 묻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2 시트(200)의 일부는 변기 내의 물에 맞닿아 떠있다. 즉, 배설물이 변기 내의 물에 직접 떨어지는 경우에, 변기 내의 물이 튀어올라 사용자의 엉덩이 등 피부에 닿을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2 시트(200)의 일부는 변기 내의 물에 맞닿아 떠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시트(200)는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지 않기 때문에, 제 1 시트(100)와는 다른 재질인 재활용지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As the
상기 제 2 시트(20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 1 시트(100)의 제 1 신체 보호부와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는 제 2 시트(200)를 변기 내에 집어넣으면서 제 1 시트(100)를 좌대 상에 위치시킨다. One end of the
여기서, 상기 제 1 시트(100)와 제 2 시트(200)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중요한 효과를 발생시킨다. 보통의 사용자는 변기 내의 물이 튀어오르거나 그 물이 자신의 피부 또는 옷에 닿는 것을 굉장히 불쾌하게 느낄 뿐만 아니라 용변 후 설치한 좌변기 커버를 버리는 과정에서 손이 변기에 닿는 것 역시 불결한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용변 후에 좌변기 스위치(미 도시)를 조작하여 변기 물을 내리는 경우에, 상기 제 2 시트(200)는 좌변기 물 내에 일부 잠겨있으므로, 상기 제 2 시트(200)가 물과 함께 쓸려 내려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 2 시트(200)가 연결되어 있는 제 1 시트(100) 역시 변기 내로 쓸려 들어가게 된다. 이는 기존의 변기 커버들과는 달리, 아래의 제 2 시트가 제 1 시트를 밑에서 끄집어 내리는 구조이므로, 견인력이 월등이 우수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 1 시트(100)를 집어 올려 휴지통에 버리는 과정에서, 변기에 손이 닿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쾌적한 화장실 환경의 제공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수고도 덜 수 있게 된다. Here, the connection of the
그리고, 사용자의 배설물이 상기 제 2 시트(200) 상에 계속 쌓여서 제 2 시트(200)가 변기 내에 깊숙이 잠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설물이 떨어지는 위치 부근에는 절단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절단부(210)쪽으로 떨어지는 배설물은 일단 안착된 다음에, 배설물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절단부(210)를 통과하여 변기 내의 물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로 인하여, 배설물의 낙하로 인하여 변기 내의 물이 튀어오르는 것이 방지되고, 변기 내의 물속으로 떨어진 배설물이 제 2 시트에 가려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쾌적감을 느낄 수 있다. 배설물의 튐 방지는 부착물을 덧붙여서 더 강화할 수 있다. 이때, 부착지의 가장자리 일정 부분 안쪽에서 풀붙임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user's excretion continues to accumulate on the
또한, 상기 제 2 시트(200)의 사이즈가 제 1 시트(100) 보다 작게 함으로써, 상기 제 2 시트(200)가 변기 내에 쉽게 수용되도록 한다. 왜냐하면, 상기 제 2 시트(200)의 사이즈가 제 1 시트(100)와 비슷하거나 그보다 큰 경우에는, 제 2 시 트(200)가 변기 내에 쉽게 수용되지 않게 된다.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제 2 시트를 변기 내에 집어넣는 수고로움을 덜기 위하여, 상기 제 2 시트(200)는 제 1 시트(100)의 사이즈 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In addition, the size of the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 및 도 4는 실시예의 좌변기 커버가 설치되는 때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의 좌변기 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for showing a state when the toilet seat cover of the embodiment is installed. 5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of the first embodiment.
본 실시예의 좌변기 커버는 변기의 좌대 상에 놓여지며 사용자의 피부가 변기 또는 좌대에 닿지 않도록 하는 제 1 시트(100)와, 변기 내에 수용되는 제 2 시트(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시트(200)는 제 1 시트(100)의 제 1 신체 보호부(110)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다. 다만,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좌변기 커버는 상기 제 1 시트(100)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가능하다. The toilet sea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도 5에 도시되는 좌변기 커버의 평면도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의 사시도를 참조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lan view of the toilet seat cover illustrated in FIG. 5 will be described, and the perspective views of FIGS. 3 and 4 will be referred to for clarity.
상기 제 1 시트(100)의 개방부(101, 도 1참조)는 변기 선단부 덮개(120), 하의 보호부(130), 화장지용 보조시트(140) 및 제 2 신체 보호부(150)의 측면이 착석부(102)로부터 절단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변기 내에서 남성의 성기가 변기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신체 보호부(110) 역시 그 양측면이 제 1 시트로부터 절단된 것으로서, 사용자는 제 1 신체 보호부(110)를 시트 아래로 절곡시킨 상 태에서 상기 제 1 시트(100)를 좌대 상에 위치시킨다. The opening portion 101 (see FIG. 1) of the
그리고, 제 2 신체 보호부(150)는 그의 양측면이 제 1 시트로부터 절단되어 있으면서, 상기 화장지용 보조시트(140)와도 절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신체 보호부(150)는 그의 일측면만이 상기 착석부(102)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착석부(102)와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제 2 신체 보호부(150)의 접힘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접힘선(161)이 형성된다. 여성 사용자의 경우, 상기 제 2 신체 보호부(150)를 하방향으로 굴곡시켜, 성기 부분이 변기의 일부분에 닿거나 배설물에 의하여 튀어오르는 이물질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사용자가 착석부(102)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신체 보호부(110)를 하방향으로 절곡시키는 한편, 상기 변기 선단부 덮개(120), 하의 보호부(130) 및 화장지용 보조시트(140)는 상방향으로 절곡시켜 상기 변기 선단부 덮개(120)가 변기의 선단부 상에 위치시킨다. The user bends the
상기 변기 선단부 덮개(120)가 변기의 선단부 상에 위치하게 되면, 자연스레 상기 하의 보호부(130)는 사용자의 하의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의 보호부(130)의 일단부에는 화장지용 보조시트(14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화장지용 보조시트(140)와 하의 보호부(130)의 연결부위는 미싱 눈금과 같이 파단 예정선으로서 절취선(14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하의 보호부(130)로부터 상기 화장지용 보조시트(140)를 절취하여 화장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When the
도 5에는 절취선(141)이 1점 쇄선으로 도시되고, 사용에 의해 절곡되는 부분 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점선은 접힙선이라고 이해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화장지용 보조시트(140)와 제 2 신체 보호부(150)는 절단되어 분리되므로, 그 사이는 절단선으로서 실선(151)이 도시되어 있다. In FIG. 5, the
1점 쇄선으로 표시된 절취선(141)이 하의 보호부(130)와 화장지용 보조시트(140) 사이의 연결부위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하의 보호부(130)와 변기 선단부 덮개(120) 사이의 연결부위에도 절취선을 형성시켜, 사용자가 자유로이 그 용도를 화장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제 1 시트(100)가 화장지의 재료인 천연펄프로 이루는 경우를 생각하여 보면, 절곡될 필요가 있는 부분(접힙선이 필요한 부분) 모두를 절취선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Although
한편, 상기 제 1 신체 보호부(110)와 변기 선단부 덮개(120)는 그 접힙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인데, 상기 제 1 신체 보호부(110)를 하방향으로 절곡시키고, 상기 변기 선단부 덮개(120)를 상방향으로 절곡시키는 과정에 제 1 시트(100)로부터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신체 보호부(110)와 변기 선단부 덮개(120) 사이에는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영역(160)이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따라서, 상기 제 1 신체 보호부(110)와 변기 선단부 덮개(120)의 일측 단부들은 상기 연결영역(160)과 연결되어 있다. Thus, one end of the
그리고, 상기 변기 선단부 덮개(120)와 연결영역(160) 사이에는 상기 변기 선단부 덮개(120)의 접힘을 유도할 수 있는 접힘선(121)이 형성되고, 상기 변기 선단부 덮개(120)와 하의 보호부(130) 사이에도 접힘선(131)이 형성되어 있어 설치시 에 용이하게 절곡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그리고, 제 1 시트(100)에 제 1 신체 보호부(110)를 형성하기 위한 절단 과정에, 상기 제 1 신체 보호부(110)가 착석부의 전방 단부(170)와 소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utting process for forming the
그 다음, 상기 제 1 시트(100)와 연결되어 변기 내측에 수용되는 제 2 시트(200)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제 2 시트(200)는 제 1 시트의 착석부(102)와는 분리된 것이며, 제 1 시트의 제 1 신체 보호부(110)의 일단과 연결된다. Next, referring to the
즉, 제 1 시트의 제 1 신체 보호부(110)는 변기 내측을 향하는 하방향으로 접히기 때문에, 상기 제 1 신체 보호부(110)가 하방향으로 접히는 것과 함께 상기 제 2 시트(200)는 변기 내에 수용된다. That is, since the
상기 제 2 시트(200)에는 사용자의 배설물이 떨어지는 위치 근방에 절단부(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절단부(210)의 형상은 상기 절단부(210) 위에 배설물이 안착될 때 배설물의 자중에 의하여 제 2 시트(200) 아래로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라면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며, 예를 들어, 선형상의 절단부들을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다. The
도 6에는 제 2 실시예의 좌변기 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제 2 시트(200)에 형성되는 절단부(211)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시트(200)에서 다른 실시예의 절단부(211)는 사인파(sine波) 형상 또는 태극 형상의 절단선이 복수개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복수의 절단선이 만나는 점을 중심으로 배설물이 변기 내의 물로 빠질 수 있다. FIG. 6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in particular, another embodiment of the
도 7은 제 3 실시예의 좌변기 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다만, 제 1 실시예의 좌변기 커버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병기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7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of the third embodiment. However, for the configuration overlapping with the toilet seat cover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gether,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7을 참조하면, 제 3 실시예의 좌변기 커버는 제 1 시트(100)의 여러 구성들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화장지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7, the toilet seat cover of the third embodiment may selectively use various components of the
상세히, 제 1 신체 보호부(110)와 변기 선단부 덮개(120) 사이에 절취선이 형성되어, 상기 변기 선단부 덮개(120)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신체 보호부(110)로부터 절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detail, a cut line is formed between the
그리고, 상기 변기 선단부 덮개(120)와 하의 보호부(130) 사이에 절취선이 형성되어, 상기 하의 보호부(130)를 선택적으로 상기 변기 선단부 덮개(120)로부터 절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 perforation line is formed between the
그리고, 상기 화장지용 보조시트(140)는 앞선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상기 하의 보호부(130)로부터 절취가능하도록 연결부위에 절취선이 형성된다. And, a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oilet
또한, 상기 제 1 시트의 착석부(102)의 전방 영역에도 절취선이 형성되어, 착석부(102)의 전방 단부(170)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절취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 perforation line is formed in the front region of the
도 8은 제 4 실시예의 좌변기 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제 4 실시예의 좌변기 커버는 변기의 좌대 및/또는 변기 내벽의 형상과 유사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8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of the fourth embodiment, the toilet seat cover of the fourth embodiment is formed to b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toilet seat and / or the inner wall of the toilet bowl.
상세히, 제 1 시트(100)의 착석부(102)는 변기의 좌대 상에 위치하므로, 좌대의 형상 보다는 조금 더 큰 형상으로 네 곳의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처리 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변기의 좌대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므로, 불필요하게 제 1 시트가 크게 제작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네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since the
한편, 제 2 시트(200)의 경우는 변기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변기 내부 형상보다 제 2 시트가 과도하게 크게 되면, 제 2 시트(200)가 변기 내의 물에 잠기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시트(200) 역시 모서리 영역을 라운드처리하여 변기 내부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 1 시트와 제 2 시트의 네 모퉁이에서 제 2 시트 모퉁이가 제 1 시트 모퉁이보다 작으면서 더 둥글게 절단되어 있다. 이는 제 2 시트를 변기 내에 집어넣기에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자동화 장착 시스템에서 제 1 시트의 네 귀퉁이를 압착하고 제 2 시트를 변기 안에 집어넣기 위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좌변기 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제 2 시트(200)에 형성되는 절단부(210) 주위에 부착지(230)가 부착된다. 즉, 제 2 시트는 변기 내에 수용되어, 배설물이 변기 내벽에 묻지 않도록 하고, 용변시 배설물과 물이 튀어오르지 않도록 하기 위한 십자 형태의 절단부(210)가 형성되는데, 상기 절단부(210) 상에 상기 부착지(230)를 덧붙여서 배설물의 튐 방지를 더욱 강화한다. FIG. 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oilet seat cover according to a fif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상기 부착지(230)는 상기 제 2 시트(20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 며, 상기 부착지(230)에도 상기 절단부(210)와 대응되는 십자 형상의 절단선이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절단부(210) 주변으로 떨어지는 배설물을 지지하는 힘이 좀 더 강해지고, 이를 통해 배설물의 낙하에 따른 배설물 튀김이 방지될 수 있다. The
한편 도 10에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제 1 시트(100)의 양측 단부에 절단선을 마련하여, 좌대 상에 보다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0과 같이, 상기 제 1 시트(100)의 양측 일부를 하방향으로 절곡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선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하방향으로의 절곡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접힙선도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FIG. 10 show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cutting line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앞선 여러가지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하여서도 실시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쾌적한 화장실 이용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시트에 의하여 사용자의 피부 및 하의가 변기에 닿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변기의 물을 내릴때에 제 2 시트가 배설물과 함께 빠져나가면서 제 1 시트 역시 함께 버려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and by us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mfortable toilet use to the user. The first sheet not only prevents the user's skin and bottoms from touching the toilet bowl, but is also convenient for the user as the first sheet can also be thrown away as the second sheet comes out with the feces when flushing the toilet bowl.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커버의 제 1 시트에 대한 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use example for the first seat of the toilet sea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커버의 제 2 시트에 대한 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 2 is a view showing a use example for the second seat of the toilet sea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3 및 도 4는 실시예의 좌변기 커버가 설치되는 때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for showing a state when the toilet seat cover of the embodiment is installed.
도 5는 제 1 실시예의 좌변기 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5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of the first embodiment;
도 6은 제 2 실시예의 좌변기 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6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7은 제 3 실시예의 좌변기 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7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of the third embodiment;
도 8은 제 4 실시예의 좌변기 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8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toilet seat cov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도 9는 제 5 실시예의 좌변기 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9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of the fifth embodiment;
도 10은 본 발명의 좌변기 커버에서 제 1 시트의 양측면을 굽히기 위한 절단선이 마련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10 is a view showing that a cutting line is provided for bending both sides of the first sheet in the toilet seat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7973A KR100959851B1 (en) | 2009-12-01 | 2009-12-01 | Toilet cover |
PCT/KR2010/005857 WO2011068300A1 (en) | 2009-12-01 | 2010-08-31 | Two-layer sanitary sheet for a toil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7973A KR100959851B1 (en) | 2009-12-01 | 2009-12-01 | Toilet cov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59851B1 true KR100959851B1 (en) | 2010-05-27 |
Family
ID=4228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7973A KR100959851B1 (en) | 2009-12-01 | 2009-12-01 | Toilet cov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959851B1 (en) |
WO (1) | WO2011068300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BO20120186A1 (en) * | 2012-04-06 | 2013-10-07 | Iclinico | BIOLOGICAL MATERIAL COLLECTION DEVICE FOR ANALYSIS |
CN107826558B (en) * | 2017-12-07 | 2023-04-18 |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 | Vomit garbage can for chemotherapy patients |
WO2019245395A1 (en) * | 2018-06-18 | 2019-12-26 | Ids Investigação Desenvolvimento Saúde, Lda | Portable and disposable toilet seat protector |
CN108991981B (en) * | 2018-07-23 | 2020-11-06 | 浙江义乌舒美佳科技股份有限公司 | Toilet bowl convenient for armless disabled to go to toilet and take off trousers |
CN112369951B (en) * | 2020-11-16 | 2022-05-06 | 潮州市潮安区中陶瓷业有限公司 | Automatic paper-changing closestool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14500A (en) * | 1993-11-27 | 1995-06-16 | 박희주 | Damping and sound sound prevention device of toilet |
KR970004173Y1 (en) * | 1994-03-11 | 1997-05-06 | 조대홍 | Dripping splash prevention plate of flush toilet |
US5953764A (en) | 1995-12-18 | 1999-09-21 | Lin; Hsi Huang | Sanitary toilet bowl seat envelop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75990A (en) * | 1990-02-02 | 1990-12-11 | Chan Paul S | Disposable, splash-suppressing toilet seat cover with folded annular and bridging inner portions |
JPH10108806A (en) * | 1996-10-08 | 1998-04-28 | P H J:Kk | Toilet seat |
-
2009
- 2009-12-01 KR KR1020090117973A patent/KR10095985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
- 2010-08-31 WO PCT/KR2010/005857 patent/WO201106830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14500A (en) * | 1993-11-27 | 1995-06-16 | 박희주 | Damping and sound sound prevention device of toilet |
KR970004173Y1 (en) * | 1994-03-11 | 1997-05-06 | 조대홍 | Dripping splash prevention plate of flush toilet |
US5953764A (en) | 1995-12-18 | 1999-09-21 | Lin; Hsi Huang | Sanitary toilet bowl seat envelop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1068300A1 (en) | 2011-06-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9851B1 (en) | Toilet cover | |
US20090113613A1 (en) | Liner for waste elimination systems | |
US7975326B1 (en) | Disposable liners for a child's potty chair | |
KR101186534B1 (en) | A chamber pot with a automatic rise and fall-type seat and separable screens | |
KR102503449B1 (en) | Anti-spill toilet seat | |
US9924840B2 (en) | Toilet seat sheet | |
KR20100085006A (en) | Sanitary seat for toilet bowl | |
KR20190002981U (en) | Toilet bowl with removable urine splash | |
CN205421476U (en) | Shit and urine toilet | |
KR200497982Y1 (en) | Toilet seat with urinal | |
JP2007070995A (en) | Western style closet bowl with lip | |
KR20130014667A (en) | An egg- type urinal with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urine flick controlled using a pedal | |
KR102506574B1 (en) | All-in-one toilet bowl with combined toilet bowl and urinal | |
JP2914658B1 (en) | Urinal aid for toilet | |
CN204743984U (en) | Disposable toilet seat pad paper of reel formula | |
KR920005987Y1 (en) | Residual water prevention device of toilet | |
JP3225120U (en) | Urinator for men | |
JP3225128U (en) | Urinal splash prevention Western style toilet | |
CN210494474U (en) | Urinal suitable for use on bed | |
KR200397912Y1 (en) | Urine receiving device attached on toilet stool | |
KR200240467Y1 (en) | A sanitary supporting device for a seat chamber pot | |
US20030115668A1 (en) | Cover for toilet bowl to prevent soiling | |
CN207075875U (en) | A kind of disposable toilet seat cover paper | |
JP2017148156A (en) | Toilet seat sheet | |
KR100543377B1 (en) | Disposable sanitary cover and mounting method of this sanitary co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12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5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