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822B1 - 금속 양이온에 대해 선택적 발광성을 갖는 자성 광학 센서 - Google Patents
금속 양이온에 대해 선택적 발광성을 갖는 자성 광학 센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59822B1 KR100959822B1 KR1020070139726A KR20070139726A KR100959822B1 KR 100959822 B1 KR100959822 B1 KR 100959822B1 KR 1020070139726 A KR1020070139726 A KR 1020070139726A KR 20070139726 A KR20070139726 A KR 20070139726A KR 100959822 B1 KR100959822 B1 KR 1009598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alkyl group
- alkyl
- independently
- metal 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0 CCCOC(NC(C)(C)C*(C)C[*+](C)C)=* Chemical compound CCCOC(NC(C)(C)C*(C)C[*+](C)C)=* 0.000 description 2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2—Use of particular materials as binders,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therefo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8)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금속 양이온에 대해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하기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의 발광수용체 화합물이 실리카 지지체 표면에 결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양이온에 대해 선택적 발광성을 갖는 흡착제.[화학식 2][화학식 3][상기 화학식 2 및 화학식 3에서 X는 산소원자(O) 또는 황원자(S)로부터 선택되며;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7)알킬기, 할로겐 원소, 니트로기, 니트릴기, (C6~C20)아릴기, (C6~C20)아르(C1~C7)알킬기 또는 (C1~C20)알콕시기이고, 상기 알킬기 또는 아르알킬기의 알킬은 불포화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르알킬기의 탄소원자는 N, O, S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소로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르알킬기는 니트로기, 니트릴기, 할로겐원소, (C1~C7)알킬기, (C6~C20)아릴기, (C6~C20)아르(C1~C7)알킬기 또는 (C1~C20)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더 치환될 수 있으며;R3 내지 R6은 독립적으로 (C1~C7)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a, a', b, 및 b'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며, c, c', d, 및 d'은 독립적으로 0 내지 10의 정수이고;m 및 n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m'은 m-1의 정수이다.]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화학식 2 및 화학식 3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3)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소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양이온에 대해 선택적 발광성을 갖는 흡착제.
- 제 5항에 있어서,금속 양이온은 Pb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양이온에 대해 선택적 발광성을 갖는 흡착제.
- 제 7항에 있어서,실리카 지지체는 자성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양이온에 대해 선택적 발광성을 갖는 흡착제.
- 제 8항에 있어서,실리카 지지체는 자성물질로 이루어진 코어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쉘을 가진 코어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양이온에 대해 선택적 발광성을 갖는 흡착제.
- 제 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흡착제를 이용한 금속 양이온에 대해 선택적 발광성을 갖는 광학센서.
- (삭제)
- 하기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양이온에 대해 선택적 발광성을 갖는 발광 수용체 화합물.[화학식 2][화학식 3][상기 화학식 2 및 화학식 3에서 X는 산소원자(O) 또는 황원자(S)로부터 선택되며;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7)알킬기, 할로겐 원소, 니트로기, 니트릴기, (C6~C20)아릴기, (C6~C20)아르(C1~C7)알킬기 또는 (C1~C20)알콕시기이고, 상기 알킬기 또는 아르알킬기의 알킬은 불포화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르알킬기의 탄소원자는 N, O, S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소로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르알킬기는 니트로기, 니트릴기, 할로겐원소, (C1~C7)알킬기, (C6~C20)아릴기, (C6~C20)아르(C1~C7)알킬기 또는 (C1~C20)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더 치환될 수 있으며;R3 내지 R6은 독립적으로 (C1~C7)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a, a', b, 및 b'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며, c, c', d, 및 d'은 독립적으로 0 내지 10의 정수이고;m 및 n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m'은 m-1의 정수이다.]
-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화학식 2 및 화학식 3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3)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소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양이온에 대해 선택적 발광성을 갖는 발광 수용체 화합물.
- Pb2+에 대해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작용기 및 하기 구조식 1의 발광단을 가지는 발광수용체 화합물이 자성물질을 함유하는 실리카 지지체 표면에 결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양이온에 대해 선택적 발광성을 갖는 흡착제.[구조식 1][상기 구조식 1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7)알킬기, 할로겐 원소, 니트로기, 니트릴기, (C6~C20)아릴기, (C6~C20)아르(C1~C7)알킬기 또는 (C1~C20)알콕시기이고, 상기 알킬기 또는 아르알킬기의 알킬은 불포화 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르알킬기의 탄소원자는 N, O, S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소로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르알킬기는 니트로기, 니트릴기, 할로겐원소, (C1~C7)알킬기, (C6~C20)아릴기, (C6~C20)아르(C1~C7)알킬기 또는 (C1~C20)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더 치환될 수 있으며;Ar1 및 Ar2는 독립적으로 (C6~C20)아릴렌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아릴렌의 탄소는 질소, 산소,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소로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Ar1 및 Ar2은 니트로기, 니트릴기, 할로겐원소, (C1~C7)알킬기, (C6~C20)아릴기, (C6~C20)아르(C1~C7)알킬기 또는 (C1~C20)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더 치환될 수 있고;A1 및 A2는 독립적으로 화학결합 또는 (C2~C8)알케닐렌으로부터 선택되며;상기 m 및 n은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다.]
- 제 14항에 있어서,상기 실리카 지지체는 자성물질로 이루어진 코어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쉘을 가진 코어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양이온에 대해 선택적 발광성을 갖는 흡착제.
- 제 14항에 있어서,상기 흡착제는 하기 구조식 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양이온에 대해 선택적 발광성을 갖는 흡착제.[구조식 2][상기 구조식 2에서, B는 실리카 나노튜브, 실리카 나노 스피어, 실 리카 입자 또는 실리카 메조포러스에서 선택되는 실리카 지지체이고;Ar1 및 Ar2는 독립적으로 페닐렌, 나프틸렌 또는 안트릴렌으로부터 선택되며, 니트로기, 니트릴기, 할로겐원소, (C1~C7)알킬기, (C6~C20)아릴기, (C6~C20)아르(C1~C7)알킬기 또는 (C1~C20)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더 치환될 수 있고;A1 및 A2는 독립적으로 화학결합이거나 에테닐렌(-CH=CH-)으로부터 선택되며;A3 내지 A6은 독립적으로 (C1~C30)알킬렌이고 불포화 결합(-C=C-), 에스테르기(-COO-), 이미드기(-NH-), 카바메이트기(-OOCNH-), 아미드기(-NHCO-), 티오아미드기(-NHCS-), 우레아기(-NHCONH-), 티오우레아기(-NHCSNH-), 카르보닐기(-CO-), 또는 티오카르 보닐기(-C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상기 알킬렌 사슬 내에 포함할 수 있으며;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7)알킬기, 할로겐 원소, 니트로기, 니트릴기, (C6~C20)아릴기, (C6~C20)아르(C1~C7)알킬기 또는 (C1~C20)알콕시기이고, 상기 알킬기 또는 아르알킬기의 알킬은 불포화 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르알킬기의 탄소원자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소로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르알킬기는 니트로기, 니트릴기, 할로겐원소, (C1~C7)알킬기, (C6~C20)아릴기, (C6~C20)아르(C1~C7)알킬기 또는 (C1~C20)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더 치환될 수 있으며;m 및 n은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다.]
- 제 16항에 있어서,상기 Ar1 및 Ar2는 페닐렌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3)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소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양이온에 대해 선택적 발광성을 갖는 흡착제.
- 제 14항에 있어서,상기 발광 수용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양이온에 대해 선택적 발광성을 갖는 흡착제.[화학식 1][상기 화학식 1에서, Ar1 및 Ar2는 독립적으로 페닐렌, 나프틸렌 또는 안트릴렌으로부터 선택되며, 니트로기, 니트릴기, 할로겐원소, (C1~C7)알킬기, (C6~C20)아릴기, (C6~C20)아르(C1~C7)알킬기 또는 (C1~C20)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더 치환될 수 있고;A1 및 A2는 독립적으로 화학결합이거나 에테닐렌(-CH=CH-)으로부터 선택되며;A3 내지 A6 은 독립적으로 (C1~C30)알킬렌이고 불포화 결합(-C=C-), 에스테르기(-COO-), 이미드기(-NH-), 카바메이트기 (-OOCNH-), 아미드기(-NHCO-), 티오아미드기(-NHCS-), 우레아기(-NHCONH-), 티오우레아기(-NHCSNH-), 카르보닐기(-CO-), 또는 티오카르보닐기(-C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상기 알킬렌 사슬 내에 포함할 수 있으며;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7)알킬기, 할로겐 원소, 니트로 기, 니트릴기, (C6~C20)아릴기, (C6~C20)아르(C1~C7)알킬기 또는 (C1~C20)알콕시기이고, 상기 알킬기 또는 아르알킬기의 알킬은 불포화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르알킬기의 탄소원자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소로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르알킬기는 니트로기, 니트릴기, 할로겐원소, (C1~C7)알킬기, (C6~C20)아릴기, (C6~C20)아르(C1~C7)알킬기 또는 (C1~C20)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더 치환될 수 있으며;m 및 n은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고;R3 내지 R6은 독립적으로 (C1~C7)알킬기이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9726A KR100959822B1 (ko) | 2007-12-28 | 2007-12-28 | 금속 양이온에 대해 선택적 발광성을 갖는 자성 광학 센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9726A KR100959822B1 (ko) | 2007-12-28 | 2007-12-28 | 금속 양이온에 대해 선택적 발광성을 갖는 자성 광학 센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1817A KR20090071817A (ko) | 2009-07-02 |
KR100959822B1 true KR100959822B1 (ko) | 2010-05-28 |
Family
ID=41329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39726A Expired - Fee Related KR100959822B1 (ko) | 2007-12-28 | 2007-12-28 | 금속 양이온에 대해 선택적 발광성을 갖는 자성 광학 센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5982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8553B1 (ko) * | 2011-08-12 | 2013-08-22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시아나이드 음이온의 선택적 검출이 가능한 형광센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아나이드 음이온의 선택적 검출방법 |
KR20160089208A (ko) | 2015-01-19 | 2016-07-27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성 나노입자를 이용한 중금속 이온 검지 및 분리 통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지 및 분리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5469B1 (ko) * | 2009-03-13 | 2011-02-18 |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 뉴클레오티드 선택적 실리카 나노튜브,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바이오 센서 |
-
2007
- 2007-12-28 KR KR1020070139726A patent/KR100959822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Anal. Bioanal. Chem., 2007 |
Chem. Eur. J., 2006* |
Tetrahedron Letters, 2006*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8553B1 (ko) * | 2011-08-12 | 2013-08-22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시아나이드 음이온의 선택적 검출이 가능한 형광센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아나이드 음이온의 선택적 검출방법 |
KR20160089208A (ko) | 2015-01-19 | 2016-07-27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성 나노입자를 이용한 중금속 이온 검지 및 분리 통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지 및 분리 방법 |
KR102386774B1 (ko) * | 2015-01-19 | 2022-04-14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성 나노입자를 이용한 중금속 이온 검지 및 분리 통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지 및 분리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1817A (ko) | 2009-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Nandi et al. | Rapid and highly sensitive detection of extracellular and intracellular H 2 S by an azide-functionalized Al (III)-based metal–organic framework | |
Lee et al. | Luminophore-immobilized mesoporous silica for selective Hg2+ sensing | |
KR101068500B1 (ko) | 수은 및 유기수은을 고효율적으로 분리 및 검출 가능한 아미노나프탈이미드기를 함유하는 자성체 나노입자 | |
Cho et al. | Recyclable fluorimetric and colorimetric mercury-specific sensor using porphyrin-functionalized Au@ SiO 2 core/shell nanoparticles | |
Wei et al. | Ultrasensitive and highly selective detection of formaldehyde via an adenine-based biological metal–organic framework | |
Chatterjee et al. | Safranin O-functionalized cuboid mesoporous silica material for fluorescent sensing and adsorption of permanganate | |
Ye et al. | A novel dinuclear ruthenium (ii)–copper (ii) complex-based luminescent probe for hydrogen sulfide | |
Lu et al. | Core-shell mesoporous silica nanospheres used as Zn 2+ ratiometric fluorescent sensor and adsorbent | |
CN108456514B (zh) | 一种检测汞离子的荧光素类荧光探针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CN109536160B (zh) | 一种基于均苯三甲酰氯的三足准轮烷超分子凝胶及其金属凝胶的制备和应用 | |
CN112209871B (zh) | 一种基于四苯乙烯的锌离子荧光探针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Bhardwaj et al. | Fluorescent organic nanoparticles (FONs) of rhodamine-appended dipodal derivative: highly sensitive fluorescent sensor for the detection of Hg 2+ in aqueous media | |
KR100959822B1 (ko) | 금속 양이온에 대해 선택적 발광성을 갖는 자성 광학 센서 | |
Li et al. | AIEgen modulated per-functionalized flower-like IRMOF-3 frameworks with tunable light emission and excellent sensing properties | |
CN111333836A (zh) | 基于三聚氰胺的多孔共价有机聚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CN113402727A (zh) | 一种铽(ⅲ)负载的锌基金属有机框架及其制备与应用 | |
Fu et al. | Rhodamine-based fluorescent probe immobilized on mesoporous silica microspheres with perpendicularly aligned mesopore channels for selective detection of trace mercury (II) in water | |
Singh et al. | Designing the recognition of Sn 2+ ions and antioxidants: N-heterocyclic organosilatranes and their magnetic nanocomposites | |
CN101968445B (zh) | 一种1,8-萘酰亚胺荧光染料固载的介孔硅材料及其应用 | |
KR100891171B1 (ko) | 금속 양이온에 대해 선택적 발색 및 발광성을 동시에 갖는광학센서 | |
Kim et al. | Highly luminescent tetra (biphenyl-4-yl) ethene-grafted molecularly imprinted 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s for fluorescent sensing of diethylstilbestrol | |
Radhakrishnan et al. | A hybrid magnetic core–shell fibrous silica nanocomposite for a chemosensor-based highly effective fluorescent detection of Cu (ii) | |
WO2018181529A1 (ja) | ホスファロドール化合物及びその塩、並びにそれを用いた蛍光色素 | |
Song et al. | Fluorescence quenching amplification in silica nanosensors for Au3+ | |
Wang et al. | Switching the recognition preference of thiourea derivative by replacing Cu 2+: spectroscopic characteristics of aggregation-induced emission and mechanism studies for recognition of Hg (ii) in aqueous solu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6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5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