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59670B1 - 발바닥이 받는 충격도를 저감시켜 완충효과를 높인 기능성 신발 - Google Patents

발바닥이 받는 충격도를 저감시켜 완충효과를 높인 기능성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670B1
KR100959670B1 KR1020090036760A KR20090036760A KR100959670B1 KR 100959670 B1 KR100959670 B1 KR 100959670B1 KR 1020090036760 A KR1020090036760 A KR 1020090036760A KR 20090036760 A KR20090036760 A KR 20090036760A KR 100959670 B1 KR100959670 B1 KR 100959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middle layer
shoe
load
permanent magne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용
Original Assignee
김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용 filed Critical 김일용
Priority to KR1020090036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67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5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magnets, magnetic parts or magn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0Met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원은 발바닥이 받는 충격도를 저감시켜 완충효과를 높이고 동시에 항균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발바닥면을 보호하면서 체중을 지탱하는 바닥창부재와 발등을 보호하는 외피부재를 갖고 바닥창부재가 지면에 접하는 밑창과 발바닥에 접하는 안창사이에 중간창 구조를 갖는 신발에서, 신발바닥층을 이루는 중간창을 상중간층과 하중간층으로 구분하고 중간창을 포함한 신발바닥창 소재에 1~3 wt% 범위의 항균원료를 추가하여 항균성을 높인 상중간층과 하중간층을 얻고, 상중간층은 저부로 앞굼치부분(a)과 뒷굼치부분(b)에 영구자석이 내장되는 오목홈부를 갖고, 하중간층은 상부로 앞굼치부분과 뒷굼치부분에 영구자석이 내장되는 오목홈부를 갖도록하고, 각각의 오목홈부에 영구자석이 대향되도록 내설되어 대향된 영구자석이 상호 반발되는 구조를 이루고, 상중간층과 하중간층의 간격(t)이 2~7㎜ 범위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전자파차단 및 방수기능을 갖는 보호연결부재로 지지되는 구조를 이루고, 하중간층은 지면에 접하는 밑창과 접착/결합되고, 상중간창을 감싸는 보호연결부재는 외피부재의 저부와 접착/결합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신발착용자가 걸을 때 하중에 의해 앞굼치부분(a)이나 뒷굼치부분(b)부분이 눌리고 난 후 즉시 밀어주는 부력을 작용하케하여 발걸음을 가볍게할 뿐 아니라 신발의 완충효과를 높여 뇌충격을 감소시키는 기능성 신발을 제공하며 동시에 항균성을 높여 모좀방생을 예방하는 구조의 신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신발, 바닥창부재, 영구자석, 도전성 탄소용액, 패각소성분말.

Description

발바닥이 받는 충격도를 저감시켜 완충효과를 높인 기능성 신발{functional shoes improving shock-absorption}
본원은 발에 착용하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바닥이 받는 충격도를 저감시켜 완충효과를 높인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외부의 위험요소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그 형태에 따라서 운동화, 농구화, 단화, 워카 등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통상 발바닥을 보호하면서 체중을 지탱하는 바닥창부재와, 발등을 보호하는 외피부재로 구분된다.
최근에는 발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풋케어(foot care)를 전문으로 하는 업소까지 등장하고 있는바, 발 관리(foot care)란 제2의 심장이라고 하는 발의 바닥과 발등, 종아리에 분포되어 있는 반사구를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노폐물과 독소를 배출시켜 자연 치유력을 극대화 시키는 자연치유요법 중 하나로, 특히 발 부위에 가장 많이 몰려 있는 반사구는 인체의 각 부위와 밀접한 반응관계를 나타내므로 발 관리가 잘되면 결국 오장육부의 각 기관을 튼튼하고 뇌충격을 줄여주면 공부도 잘하도록 도울수 있다는 이론이다.
특히 발은 심장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까닭에 심장에서 발 끝까지 혈액이 내려오거나 되돌아가기 어렵기 때문에 노폐물이 정체되고 혈액순환이 저하되어 각종 질병이 생기게 되므로 걷기, 뛰기 등으로 발바닥을 자극하여 펌프역할을 해 주어 원활한 순환이 가능할 수 있다는 판단으로 과도한 운동을 하는 사람도 있지만 신체의 최 저부인 발바닥이 느끼고 받는 충격이 그대로 신체에 전달되고 특히 두뇌에 충격도를 높여주게 되는 경우 사람이 쉽게 피로도를 느껴 스트레스를 받게되는바, 이런 경우에 학생은 공부에 실증이나고 능률이 오르지 않는 다는 보고서가 발표되면서 최근에는 완충성이 높은 신발을 찾고 큐션기능을 높여주고자 하는 기능성 신발에 대한 연구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신체의 최 저부인 발바닥이 받는 충격도를 가능한 한 저감시키기 위해 서양에서는 직접 딱딱한 바닥면을 밟지 않도록 카펫트를 깔고 생활해 왔으며, 특급 호텔이나 연회장 등에서는 귀한 손님을 모실경우 카펫트를 깔고 고객이 직접 딱딱한 맨 바닥에서 걷지 않도록 배려하는 것도 뇌충격을 줘서 결국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기분좋게 해주고자 하는 원리이며, 골프장 같은 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비싼 요금을 지불하며 운동을 즐기는 것도 발바닥의 충격도를 저감시킨 잔디밭에서 운동을 하기 때문이며, 딱딱한 맨바닥에서 골프를 치라고 한다면 돈을 지불하면서 골프를 하라고 해도 아무도 운동하는 이가 없을 정도로 우리생활에서 발바닥의 충격도를 저감시키는 시스템은 그만큼 중요도가 높다할 것이다.
또한 신발을 장기간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신발 내부의 온도가 높아짐으로서 많은 땀이 발생하게 되어 신발 내부가 항상 습한 상태가 되고, 특히 많은 땀이 발생할 때 땀이 일시적으로 신발과 양말에 축적되고, 장기간 착용시에는 신발에 땀이 축적되어 심한 악취를 발생하게 되는 풀어야 될 숙제를 갖고 있었다.
본원은 발바닥이 받는 충격도를 저감시켜 완충효과를 높인 기능성 신발을 제공하기 위하여 네오디뮴 영구자석을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네오디뮴 영구자석은 희토류 자석의 일종으로 가장 강력한 영구자석 중의 하나로서 네오디뮴 자석은 경량이고 약 80℃범위를 넘지 않으면 자석의 효과가 5~10년에 이르며, 아주 소형부터 대형까지 원하는 크기로 제공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네오디뮴 자석은 다습한 환경에서는 자력을 쉽게 잃게되는바 습기침투를 방어하기 위한 코팅이 필요한바, 에폭시코팅이나 니켈 도금이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외부 변화에 내식성을 높여주고, 80℃ 이상의 고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오랫동안 자력을 유지하며 본래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종래의 신발분야 선행기술에서 영구자석을 신발에 적용하여 완충 및 쿠션기능을 높여주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개시된 선행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 제180501호에 개시된 기술사상은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신발의 탄력을 증대시킨 자기부상 신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과제를 인식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무판을 성형하여 표면에 우레탄 발포수지를 형성하고 그 표면에 요입홈을 형성하고 요입홈에 단면 양극자석을 형성하고 그위에 생고무 흡착 스폰지를 자력이 통할수 있는 구멍을 천공후 테두리 옆면을 삼각형 모양으로 성형한후 생고무액으로 흡착시켜 건조후 형성하고 그 위에 우레탄 발포수지를 그 밑면 표면에 요입홈을 형성하고 요입홈에 단면 양극 자석을 형성하고 우레탄 발포수지의 표면에 단단한 고무판을 형성하고 그 위에 가죽을 형성하고 뒤굽을 형성한 복잡한 구성의 자기부상 신발이 개시되어 있었으나, 이는 출원만 되고 실제 현장적용에는 생산코스트가 높아 상품화에는 이르지 못한 하나의 영구자석을 신발류에 적용할 수 있다는 모델을 제시한 것으로 파악된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 신발구조에 영구자석을 적용시킨 것으로 등록특허 제 434684호 특허기술에서는 신발의 밑창과 안창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창에 영구자석을 내장하는 구조를 이루고 창부재에 하중이 가해지면 중간창이 압축변형되면서 하중에 의한 충격이 1차적으로 완충되고, 이와 동시에 영구자석의 반발력에 의해서 하중에 의한 충격이 2차적으로 완충되도록 하는 신발에서 영구자석의 하부에 자력차폐수단이 구비되어 제공되는 신발이 개시되고, 상,하 영구자석 사이에 변형유도홀 및 에어쿠션튜브가 내설되어 지는 구성의 신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에서는 마주보는 영구자석 사이의 중간창 부분에 발포층 수지가 채워진 상태로 제공됨으로 실제적으로 착용자가 걸으면서 지면을 밟을 때 상하 영구자석이 압압되거나 지면에서 발걸음을 뗄 때 신발 내부의 영구자석이 주는 반발력을 발포수지층이 붙잡고 있는 결과가 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영구자석사이의 높이(t)가 고정되어 있는 결과가되어 실제적으로는 자석이 주는 완충효과를 절감시키는 구조적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상기의 선행특허에서는 영구자석이 갖는 제반 특성을 감안하지 않고 무조건 적용을 시도하여 처음 얼마동안 시작품만이 제시되고 결과적으로 곧 영구자석의 특성을 상실하여 유명무실한 신발로 전락하여 상업화에 실패한 사례가 있었다.
이에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원은 사람이 걸을 때 신발이 지면과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인체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피로감을 감소하여 관절 및 발목 등을 보호하는 신발을 제공하되 내구성을 높인 영구자석을 내장하고 또한 항균기능을 높인 신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따라서 본원은 발바닥면을 보호하면서 체중을 지탱하는 바닥창부재와 발등을 보호하는 외피부재를 갖고 바닥창부재가 지면에 접하는 밑창과 발바닥에 접하는 안창사이에 중간창 구조를 갖는 신발구조에서, 신발바닥층을 이루는 중간창을 상중간층과 하중간층으로 구분하고 중간창을 포함한 신발바닥창 소재에 1~3 wt% 범위의 항균원료를 추가하여 항균성을 높인 상중간층과 하중간층을 얻고, 상중간층과 하중간층 사이에는 영구자석이 서로 대향되도록 내장되고, 영구자석이 내장된 상중간층과 하중간층은 전자파차단기능 및 방수기능을 갖는 보호연결부재로 감싸지는 구성으로 제공되어 영구자석의 활성을 오래도록 유지하면서 동시에 항균기능을 갖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원은 상중간층 및 하중간층의 외측을 감싸주도록 제공되는 보호연결부재가 플라스틱, 고무, 섬유, 가죽 소재 중에서 선택되고, 선택되는 소재에 도전성 탄소용액이 코팅/침적되어 전자파차단기능을 갖도록 제공되며, 도전성 탄소욕액은 M.E.K(메칠에틸케톤)와 우레탄수지 바인더와 분산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산 용액에 정제탄소 및 도전성 금속분을 혼합하여 얻은 도전성 탄소용액을 이용하여 영구자석을 내장하는 신발에서 전자파차단 효과를 갖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원에서는 발바닥면을 보호하면서 체중을 지탱하는 바닥창부재와 발등을 보호하는 외피부재를 갖고 바닥창부재가 지면에 접하는 밑창과 발바닥에 접하는 안창사이에 중간창 구조를 갖는 신발에 서, 상기 중간창(40)은 상중간층(10)과 하중간층(20)으로 구분되도록 제공되고, 상중간층(10)은 저부로 앞굼치부분(a)과 뒷굼치부분(b)에 영구자석(12a, 12b)이 내장되는 오목홈부(11a, 11b)를 갖고, 하중간층은 상부로 앞굼치부분(a)과 뒷굼치부분(b)에 영구자석(22a, 22b)이 내장되는 오목홈부(21a, 21b)를 갖도록 제공되고, 각각의 오목홈부에 영구자석이 대향되도록 내설되어 대향된 영구자석이 상호 반발되는 구조를 이루되, 상중간층과 하중간층의 간격(t)이 2~7㎜ 범위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외연이 전자파차단기능 및 방수기능을 갖는 보호연결부재(30)로 감싸서 지지되는 구조를 이루고, 하중간층을 감싼 보호연결부재(30)는 지면에 접하는 밑창(11)과 접착/결합되고, 상중간창을 감싸는 보호연결부재(30)는 외피부재의 저부와 접착/결합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신발착용자가 걸을 때 하중에 의해 뒷굼치부분(b)을 먼저 밟을 때에도 영구자석의 반발력으로 카펫트나 잔디 위를 밟듯이 부력을 받으며 밟게되고 앞굼치부분(a)으로 옮기면서도 부력을 받게 되며, 발을 지면에 서 뗄 때에도 신발의 저부에서 발바닥을 밀어주도록 영구자석이 작용하는 구성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상중간층 및 하중간층의 외연을 감싸주도록 제공되는 보호연결부재 (30)는 플라스틱, 고무, 섬유, 가죽 소재 중에서 선택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선택되는 소재에 도전성 탄소용액이 코팅되어 전자파차단기능을 갖도록 제공되고 외피면으로 방수코팅되어 사용됨으로 인하여 영구자석을 안정적으로 보호하여 내구성능을 높인 기능성 신발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또한 본원의 신발구조에서 중간창을 이루는 상중간층과 하중간층에 항균처리를 이루기 위해 특정온도로 소성된 후 미세분말화된 패각소성분말을 사용원료 수지에 1~3 wt% 범위로 추가하여 항균성은 높여 신발에서 악취를 없이하고 내구년수를 높인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실시양태는 아래의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 기재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신발은 영구자석의 특성을 감안하여 영구자석을 내장하는 상중간층과 하중간층의 외연을 방수코팅된 보호연결부재로 감싸서 제공되기 때문에 반 영구자석의 수명을 길게 하여 사람이 걸을 때 신발이 지면과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인체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피로감을 감소하여 관절 및 발목 등을 보호함과 동시에 뇌충격을 경감하여 피로도를 없이하는 신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원에서는 신발을 장기간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신발 내부의 온도가 높아짐으로서 많은 땀이 발생하게 되고 땀이 신발에 축적되어 심한 악취를 발생하고 무좀균이 서식하는 환경을 배척하기 위해 신발 바닥창의 소재에 1~3 wt% 범위의 항균원료를 추가하여 항균성을 높인 신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발명의 구현 실시 양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바,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발명의 기술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일반 신발에 적용되는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에서는 신발의 바닥을 구성하는 밑창(50)과 발등을 보호하기 위한 외피부재(60)사이로 본원의 특징부인 중간층(4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1b에서는 상중간층(10)과 하중간층(20)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중간층에 영구자석이 내장되는 구성을 분해사시도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도 1a를 통하여 본원의 신발구조는 통상의 신발구조와 마찬가지로 지면과 접 하는 밑창(50)과 발등을 보호하기 위한 외피부재(60)를 가지며 그 중간부에 충격완화를 위한 중간층(40)을 갖는 구조로 제공되는 부분에서는 유사한 구조이며, 다만 본원에서 제공되는 중간층(40)은 상중간층(10)과 하중간층(20)으로 구분되고, 상중간층(10)에 영구자석(12b)가 내장되고 하중간층(20)에 영구자석(22b)가 내장되고 상중간층(10)과 하중간층(20)의 외측을 방수코팅된 보호연결부재(30)가 감싼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1b를 통해서는 본원에서 제고되는 중간층이 상중간층(10)과 하중간층(20)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중간층에 영구자석이 내장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바, 상중간층(10)은 저부로 앞굼치부분(a)과 뒷굼치부분(b)에 영구자석(12a, 12b)이 내장되는 오목홈부(11a, 11b : 실제 도 1b의 도면에서는 상부 일측에서 보는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어서 도면부호 오목홈부가 표시되고 있지 않음)를 갖도록 제공되고, 하중간층은 상부로 앞굼치부분(a)과 뒷굼치부분(b)에 영구자석(22a, 22b)이 내장되는 오목홈부(21a, 21b)를 갖도록 제공되어서, 각각의 오목홈부에 영구자석이 각각 대향되도록 내설되어 대향된 영구자석이 상호 반발되는 구조를 이루며 조립될 수 있는 상태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 영구자석의 외곽으로는 탄성을 갖는 실리콘재로 외곽테두리부(12c,22c)가 감싸지는 형태로 제공되어 영구자석끼리의 마찰을 피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중간층(10)과 하중간층(20)의 외측부로 탄성재질의 보강대(13,23)가 보강된 후 그 외부를 방수코팅된 보호연결부재(30,30a)로 감싸는 구조로 중간층(40)을 이루게 되는바, 보호연결부재(30) 내부에 각각의 영구자석을 내장 한 상중간층(10)과 하중간층(20)이 적층된 후 상,하의 영구자석 간격(t)이 2~7㎜ 범위로 예를들면 5㎜ 간격을 유지하도록 방수처리된 보호연결부재(30)로 감싸고 상부의 보호연결부재(30a)를 덮고 씰링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신발이 착용되어 걸을 때 상중간층(10)과 하중간층(20)의 간격(t)이 조절되는 범위를 나타내고자 한 것으로, 도 2a에서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신발이 착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중간층(10)과 하중간층(20)의 간격(t)사이를 투시하여 도시한 것이고, 2b에서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신발이 착용되어 먼저 뒷굼치가 바닥면에 접하여 눌린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2c에서는 뒷굼치에 이어 앞굼치까지 연장되어 체중이 실려 압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2d에서는 지면에서 먼저 뒷굼치가 들려지고 앞굼치만 눌린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원에서는 상기의 상중간층(10) 및 하중간층(20)의 외연을 감싸주도록 제공되는 보호연결부재(30)는 플라스틱, 고무, 섬유, 가죽 소재 중에서 선택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선택되는 소재에 도전성 탄소용액이 코팅되어 전자파차단기능을 갖도록 제공되고 외피면으로 방수코팅되어 사용됨으로 인하여 영구자석을 안정적으로 보호하여 내구성능을 높이도록 제공되는바, 전자파차단기능을 갖는 도전성 탄소용액은 M.E.K(메칠에틸케톤)와 우레탄수지 바인더와 분산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산용액에 정제탄소 및 도전성 금속분을 혼합하여 얻은 도전성 탄소용액을 이용하여 전자파 차단효과를 얻을 수 있는바 출원인은 아래의 방법으로 도전성 탄소용액을 얻어 이용하였다.
전자파차단기능을 갖는 도전성 탄소용액의 제조 실시예.
M.E.K(메칠에틸케톤) 60 중량부, 우레탄수지 바인더 35 중량부, 분산제로 트리폴인산소다를 5 중량부 범위에서 혼합하여 100 중량부 분산용액을 얻고, 흑연을 800~1200℃의 고온에서 소성시켜 불순물을 제거시킨 고순도 흑연을 분쇄하여 400~500 mesh 범위의 정제탄소를 얻고 상기 분산용액 100 중량부에 정제탄소 60 중량부, 알루미늄 미세분말 금속분을 20 중량부를 추가하고 충분히 혼련하여 도전성 탄소용액을 얻었으며, 상기 도전성 탄소용액을 EVA 등의 합성수지 시트나 고무시트 소재나 또는 섬유시트나 가죽시트에 침적 또는 코팅시키는 수단을 통하여 전자파나 유해파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보호연결부재를 얻을 수 있으며, 보호연결부재의 외측으로 에폭시코팅을 실시하여 방수코팅된 보호연결부재를 얻어 본원에서 중간층을 감싸주는 소재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신발을 장기간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신발 내부의 온도가 높아짐으로서 많은 땀이 발생하게 되고 땀이 신발에 축적되어 심한 악취를 발생하고 무좀균이 서식하는 환경을 배척하기 위해 신발 바닥창의 소재에 1~3 wt% 범위의 항균원료를 추가하여 항균성을 높인 신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도 포함하고 있는바, 신발은 그 제공형태에 따라서 운동화, 농구화, 단화, 워카 등 다양한 종류가 제공될 수 있고, 신발구조는 통상 발바닥을 보호하면서 체중을 지탱하는 바닥창부재와, 발등을 보호하기 위한 외피부재로 구분되고, 바닥창부재는 또 다시 밑창과 중창 쿠션층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바, 본원에서는 신발 바닥창부재의 전체에 인체에는 무해하고 무좀 등의 박테리아균에 항균특성을 나타내는 소성패각분말을 신발 바닥창 소재, 특히 영구자석을 감싸는 상중간층(10)과 하중간층(20)을 만드는 원료 물질에 중량비 1~3 wt% 범위로 소성패각분말을 사용하여 항균효능을 높이고자 하는 바, 출원인은 아래의 방법으로 소성패각분말을 얻어 이용하였다.
소성패각분말의 제조 실시예.
대략 100mm×80mm 이상이 되는 북방대합의 패각을 수집하여 세라믹-볼을 투입한 연마기에 넣고 표면에 부착된 오니, 해초 등의 이물을 깨끗이 세정 한 후 세정된 북방대합 패각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10~20mm의 정도의 크기로 조 분쇄하고 소성로에 투입하여 약 400~50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2~3시간 동안 1차 소성시킨 후소성된 패각분말을 10% 염산용액으로 약 3~5분 정도 짧은 시간 동안 침적시키고 이를 다시 약 600~700℃의 온도를 유지하는 소성로에서 3~4시간 동안 2차소성시켰다.
상기 2차 소성된 패각분말을 20%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약 3~5분 정도 짧은 시간 동안 침적시키고 이를 다시 약 900~1000℃의 온도를 유지하는 소성로에서 3~4시간 동안 3차 소성시킨 후 250~300메쉬로 미분쇄 하여 얻은 소성패각분말을 상중간층(10) 및 하중간층(20) 원료수지에 무게중심으로 1~3 wt% 범위로 혼합하여 항균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기타 본원의 기술사상을 바탕으로 신발가공업에 종사하는 분이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 신발구조의 중간창을 상중간층과 하중간층으로 구분되는 구성을 만들되 기본원료에 소성패각분말을 1~3 wt% 범위로 추가 혼합하여 항균특성을 부여하고, 상중간층과 하중간층 사이에는 영구자석이 서로 대향되도록 내장시키고, 영구자석이 내장된 상중간층과 하중간층은 전자파차단기능 및 방수기능을 갖는 보호연결부재로 감싸지는 구성으로 제공되어 영구자석의 활성을 오래도록 유지하는 구조의 신 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하는데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신발류 제조업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다른 어려움이 없이 발명의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원의 기술사상은 신발의 제공형태에 따라서 운동화, 농구화, 단화, 워카 등 다양한 신발류에 적용되어 상하의 영구자석 구조를 보호연결부재로 감싸 간격을 조절하도록 제공되는 기술구성을 포함하는 것은 본원의 기술사상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도 1a : 본원 신발구조의 특징부를 나타낸 외부사시도
도 1b : 본원 특징부의 분해사시도
도 2a ~ 도 2d : 본원의 신발이 사용 시 상중간층과 하중간층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고 좁혀지는 실시양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중간층 11 : 오목홈부(상중간층용)
12a : 영구자석(앞굼치용) 12b : 영구자석(뒷굼치용)
12c : 실리콘테두리부 13 : 상중간층 보호대
20 : 하중간층 21 : 오목홈부(하중간층용)
22a : 영구자석(앞굼치용) 22b : 영구자석(뒷굼치용)
22c : 실리콘테두리부 23 : 하중간층 보호대
30 : 보호연결부재(하부) 30a : 보호연결부재(상부)
40 : 중간층 50 : 밑창
60 : 외피부재 100 : 본원의 기능성 신발

Claims (4)

  1. 발바닥 면을 보호하면서 체중을 지탱하는 바닥창부재와 발등을 보호하는 외피부재를 갖고 바닥창부재가 지면에 접하는 밑창과 발바닥에 접하는 안창사이에 중간창 구조를 갖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중간창(40)은 상 중간층(10)과 하 중간층(20)으로 구분되고,
    상 중간층(10)은 저부로 앞굼치부분(a)과 뒷굼치부분(b)에 영구자석(12a, 12b)이 내장되는 오목홈부(11a, 11b)를 갖고,
    하 중간층은 상부로 앞굼치부분(a)과 뒷굼치부분(b)에 영구자석(22a, 22b)이 내장되는 오목홈부(21a, 21b)를 갖도록 제공되며,
    각각의 오목홈부에 영구자석이 대향되도록 내설되어 대향된 영구자석이 상호 반발되는 구조를 이루고,
    상 중간층과 하 중간층의 간격(t)이 2~7㎜ 범위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보호연결부재(30)로 지지되는 구조를 이루고,
    하 중간층을 감싸는 보호연결부재(30)는 지면에 접하는 밑창(11)과 접착/결합되고, 상 중간창을 감싸는 보호연결부재(30)는 외피부재의 저부와 접착/결합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신발착용자가 걸을 때 하중에 의해 앞굼치부분(a)이나 뒷굼치부분(b)부분이 눌리고 난 후 즉시 밀어주는 부력을 갖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 중간층 및 하 중간층의 외측을 감싸주도록 제공되는 보호연결부재(30)는 플라스틱, 고무, 섬유, 가죽 소재 중에서 선택되고, 선택되는 원료소재에 소성패각분말을 1~3 wt% 범위로 추가 혼합하여 항균특성을 갖도록 제공되는 소재를 도전성 탄소용액에 코팅/침적시켜 전자파차단기능을 갖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3. 삭제
  4. 삭제
KR1020090036760A 2009-04-27 2009-04-27 발바닥이 받는 충격도를 저감시켜 완충효과를 높인 기능성 신발 Expired - Fee Related KR100959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760A KR100959670B1 (ko) 2009-04-27 2009-04-27 발바닥이 받는 충격도를 저감시켜 완충효과를 높인 기능성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760A KR100959670B1 (ko) 2009-04-27 2009-04-27 발바닥이 받는 충격도를 저감시켜 완충효과를 높인 기능성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9670B1 true KR100959670B1 (ko) 2010-05-26

Family

ID=4228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760A Expired - Fee Related KR100959670B1 (ko) 2009-04-27 2009-04-27 발바닥이 받는 충격도를 저감시켜 완충효과를 높인 기능성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67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529B1 (ko) 2013-09-05 2014-02-05 (주)지원에프알에스 기능성 신발물품
KR101388913B1 (ko) 2012-08-20 2014-04-24 정재욱 웰빙운동화용 인솔
CN105029825A (zh) * 2015-07-13 2015-11-11 赵毅敏 一种具有磁疗作用的磁流体发电鞋
CN108272169A (zh) * 2018-01-26 2018-07-13 黄晓红 一种组合鞋底
KR20200022256A (ko) * 2018-08-22 2020-03-03 (주)세광특수화학 앵커링 특성을 가지는 아웃솔
CN114532662A (zh) * 2022-02-25 2022-05-27 殷军 一种通磁场鞋底及具有该鞋底的鞋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733B1 (ko) * 1984-11-05 1990-05-30 다이닛뽄 도료오 가부시끼가이샤 표면에 수지 피막을 갖는 플라스틱 성형방법
KR20030029590A (ko) * 2003-03-20 2003-04-14 주식회사 삼정산업 정전기 방지용 신발
KR100704974B1 (ko) * 2006-10-13 2007-04-09 주식회사 세계산업 자석쿠션이 구비된 신발창
KR20080042222A (ko) * 2006-11-09 2008-05-15 김경미 살균 및 항균성을 가지는 신선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733B1 (ko) * 1984-11-05 1990-05-30 다이닛뽄 도료오 가부시끼가이샤 표면에 수지 피막을 갖는 플라스틱 성형방법
KR20030029590A (ko) * 2003-03-20 2003-04-14 주식회사 삼정산업 정전기 방지용 신발
KR100704974B1 (ko) * 2006-10-13 2007-04-09 주식회사 세계산업 자석쿠션이 구비된 신발창
KR20080042222A (ko) * 2006-11-09 2008-05-15 김경미 살균 및 항균성을 가지는 신선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913B1 (ko) 2012-08-20 2014-04-24 정재욱 웰빙운동화용 인솔
KR101354529B1 (ko) 2013-09-05 2014-02-05 (주)지원에프알에스 기능성 신발물품
CN105029825A (zh) * 2015-07-13 2015-11-11 赵毅敏 一种具有磁疗作用的磁流体发电鞋
CN108272169A (zh) * 2018-01-26 2018-07-13 黄晓红 一种组合鞋底
KR20200022256A (ko) * 2018-08-22 2020-03-03 (주)세광특수화학 앵커링 특성을 가지는 아웃솔
KR102122493B1 (ko) * 2018-08-22 2020-06-12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앵커링 특성을 가지는 아웃솔
CN114532662A (zh) * 2022-02-25 2022-05-27 殷军 一种通磁场鞋底及具有该鞋底的鞋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670B1 (ko) 발바닥이 받는 충격도를 저감시켜 완충효과를 높인 기능성 신발
KR101231022B1 (ko) 진동발생수단이 내장된 구두
CN110785097B (zh) 功能鞋
AU2023222873B2 (en) Health-promoting functional shoe having function of stimulating solar plexus point
KR102603725B1 (ko) 맨발 걷기용 신발형 양말
KR101998706B1 (ko)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KR101294119B1 (ko) 완충식 통기성 신발
KR101983723B1 (ko) 혈류개선과 관절보호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건강신발
JP3129014U (ja) 凸部を有する履き物
CN209769182U (zh) 一种磁性立体多功能健康鞋垫
US11246372B2 (en) Grounding footwear
CN202160741U (zh) 一种保健空调鞋
CN208692373U (zh) 一种pu休闲鞋
CN201775078U (zh) 一种防静电鞋
CN201822046U (zh) 保健鞋垫
CN207693046U (zh) 弓足磁力红外线鞋垫
CN202095643U (zh) 多功能磁力健身鞋垫
WO2014166785A1 (en) Insert for footwear
CN215225106U (zh) 一种磁振动脉冲止滑鞋
CN218737492U (zh) 一种高性能防滑抗震保健鞋垫
CN201938507U (zh) 赤脚鞋
CN211379855U (zh) 一种多功能按摩鞋垫
KR20130004706U (ko) 양말용 깔창
CN209677502U (zh) 一种具有减震功能的保健鞋鞋底
CN202206921U (zh) 一种具有保健功能的鞋底或鞋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5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