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376B1 - Power supply for led traffic light able to adjust brightness - Google Patents
Power supply for led traffic light able to adjust brightnes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59376B1 KR100959376B1 KR1020090120825A KR20090120825A KR100959376B1 KR 100959376 B1 KR100959376 B1 KR 100959376B1 KR 1020090120825 A KR1020090120825 A KR 1020090120825A KR 20090120825 A KR20090120825 A KR 20090120825A KR 100959376 B1 KR100959376 B1 KR 1009593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 output
- power supply
- unit
- transform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전압의 형태에 대응하여 두가지의 정전압을 출력함으로써 광도 조절이 가능한 LED 신호등용 파워 서플라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supply for an LED signal lamp capable of adjusting the brightness by outputting two constant voltages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input voltage.
본 발명에 따른 광도 조절 가능한 LED 신호등용 파워 서플라이는, 입력되는 교류전원에 포함되는 과전류 및/또는 과전압을 방지하는 보호회로부; 상기 보호회로부의 출력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로부터 출력되는 정류전압을 2차측에 유기시키도록 변압기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변압기의 1차측에 접속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의 역률을 조정하는 역률조정부; 상기 교류전원의 입력교류전압과 기준전압의 비교에 따라 온오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온오프 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변압기의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을 정류하는 2차 정류부; 상기 온오프 제어신호에 제어되어 출력단의 저항값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출력단의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출력전압 조절부; 상기 변압기의 2차측에 출력되는 출력전류의 변동에 따라 광량을 달리하는 제2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2차 전압 피드백부; 및 상기 제2 포토 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의 변화에 대응하여 PWM신호의 듀티비를 제어하는 PWM신호 발생부를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supply for an LED signal lamp having a brightness control, comprising: a protection circuit unit for preventing overcurrent and / or overvoltage included in an AC power input; A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output of the protection circuit; A power supply unit including a transformer to induce the rectified voltage output from the rectifying unit to the secondary side; A power factor adjusting unit connected to the primary side of the transformer to adjust the power factor of the power supply unit; An on-off control signal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n on-off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comparison between the input AC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AC power supply; A secondary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voltage induced on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An output voltage adjusting unit controlled by the on-off control signal to adjust an output voltage of the output terminal by adjusting a resistance value of the output terminal; A secondary voltage feedback unit including a second photo diode having a different amount of light according to a change in an output current output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And a PWM signal generator for controlling a duty ratio of the PWM signal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output from the second photodiode.
Description
본 발명은 LED 신호등용 파워 서플라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광도 조절이 가능한 LED 신호등용 파워 서플라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for LED traffic ligh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supply for LED traffic lights that can adjust the brightness.
LED(Light Emitting Diode) 신호등은 백열 신호등에 비하여 소비 전력이 8분의 1 수준인 15W 미만인 고효율 제품으로서, 동일 광도에서 80 내지 90% 정도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갖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이러한 LED 신호등은 종래의 백열 신호등에 비하여 수명이 10배 이상으로 거의 반영구적이며, 발열에 의한 열손실이 매우 적으며 특정 단색광을 발광함으로써 무색 렌즈 사용에 따른 빛 손실이 적은 장점이 있다.LED (Light Emitting Diode) traffic light is a high efficiency product with less than 15W of power consumption compared to incandescent signal light, and has an energy saving effect of about 80 to 90% at the same brightness. In addition, the LED traffic light is almost semi-permanent with a lifespan of 10 times or more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incandescent signal light, has a very low heat loss due to heat generation and has a light loss by using a colorless lens by emitting a specific monochromatic light.
이러한 특징과 장점을 갖는 LED 신호등은 현재, 에너지 절감이라는 국가적 시책에 의거 점차적으로 백열 신호등을 대체하고 있다.LED traffic lights with these features and advantages are now gradually replacing incandescent signals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policy of energy saving.
통상적으로, 종래 기술에 의한 LED 신호등은 LED 신호제어기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라는 전원 방식을 채택하여 전원의 안정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SMPS 전원 방식은 복수 개의 변압기, 콘덴서 및 저항 등이 매우 복잡하게 실장되어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제조 단가가 높음은 물론, 전기적인 피로 하중에 의해 변압기 또는 콘덴서의 내구성이 저하되어 빈번한 유지보수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the LED signal la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adopts a power supply method called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to the AC voltage applied from the LED signal controller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power supply. However, such a SMPS power system has a complex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formers, capacitors, and resistors are mounted in a complicated structure, and thus,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the durability of the transformer or capacitor is degraded due to electrical fatigue load. There is a problem that is required.
더욱이, 시인성이 우수한 종래 기술에 의한 LED 신호등은 야간 작동시 광도를 낮추는 조광 기능이 제공되지 않아 눈부심에 의한 운전 또는 운행 방해는 물론,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전력 손실이 야기되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LED signal light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th excellent visibility is not provided with a dimming function to lower the brightness at night opera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driving or driving disturbance caused by glare, thereby causing unnecessary power loss.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조광제어 기능을 가진 LED 신호등용 제어회로가 다수 제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number of control circuits for LED traffic lights having a dimming control function have recently been propos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조광제어 기능을 가진 LED 신호등용 제어회로 블럭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조광제어 기능을 가진 LED 신호등용 제어회로의 상세 회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circuit for LED traffic light with a dimming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control circuit for LED traffic light with a dimming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LED 신호등용 전원장치(2)는 정류부(10), 전압 검출부(20), 정전압유지부(30), 온도 보상부(40), 부하 제어부(50) 및 더미 부하(60 : dummy loa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정류부(10)는 교통신호 제어기(1)로부터의 구동 전원이 입력되는 부분으로서, 전원장치의 선단에 위치한다.The
전압 검출부(20)는 정류부(10)에서 정류된 전압을 검출하여 검출된 전압이 정상 전압이 아닌 경우(선로 노후화 및 시공불량에 따른 누설전류 발생,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등 개폐여부 검지를 위한 미약전류 등), LED 신호등(3)으로의 전압 공급을 차단한다.The
정전압 유지부(30)는 정류부에서 정류된 전압을 적정한 전압으로 유지되도록 한다.The constant
온도 보상부(40)는 온도 변화에 의한 LED의 전류변화 특성을 상대적으로 보상하여 전류량을 제어한다.The
더미 부하(60)는 일단이 정류부(10)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타단이 부하 제어부(50)의 제어 스위치(57)의 출력단에 접속된다.One end of the
부하 제어부(50)는 정류부(10) 및 더미 부하(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정류부(10)에서 정류된 전압의 파형을 분석하여 파형이 정상 점등신호인 경우에는 더미 부하(60)에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하고, 파형이 조광 제어신호인 경우에만 더미 부하(60)에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것이다.The
부하 제어부(50)는 보다 세부적으로 보조전원부(51), 펄스 변환부(53), 파형 검출부(55) 및 제어 스위치부(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more detail, the
보조전원부(51)는 정류부(10)에서 정류된 전압을 강하시킨 후 일정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부하 제어부(50)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보조전원부(5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B지점에 접속되어 300V의 전압을 12V로 강하시키는 저항 R13과 저항 R13에 직렬연결되어 DC12V를 유지하는 제너다이오드(Z8) 및 커패시터 C2로 구성된다.The
펄스 변환부(53)는 정류부(10)에서 정류된 전압을 펄스 형태의 구형파로 변 환하는 부분으로서, A 지점(정류부(10)의 출력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류 전압을 저항 R14를 통해 전압강하시킨 후 구형파로 변환한다.The
파형 검출부(55)는 펄스 변환부(53)에서 변환된 구형파의 방전 시간을 검출하여 방전시간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조광제어신호로 판단하여 제 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오프 타임의 크기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정상 점등신호로 판단하여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보다 상술하면, 다이오드 D3 및 D4와 저항, 커패시터 C3이 조합되어 충방전회로를 구성하게 되며, 펄스 변환부(53)에서 인가되는 구형파가 정상 점등신호(전파신호)인 경우 펄스와 펄스 사이의 간격(휴지 기간)이 짧아 방전 시간이 짧게 되어 HIGH 신호(제 2 제어신호)가 출력되고, 구형파가 조광제어신호(반파신호)인 경우 펄스와 펄스 사이의 간격(휴지 기간)이 길어 LOW 신호(제1제어신호)가 출력된다.The
제어 스위치부(57)는 파형 검출부(55)로부터 LOW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스위치Q4가 턴온되어 더미 부하(60)에 전류가 흐르게 하고 파형 검출부(55)로부터 HIGH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턴오프되어 더미 부하(60)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차단하게 된다.When the LOW signal is input from the
그런데, 도 1과 같은 조광제어 기능을 가진 LED신호등용 제어회로는 LED 신호등이 입력측과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전압이 변동함에 따라 LED 신호등의 광량도 변화하게 된다. 즉, 국내의 상용교류전압은 220 볼트로 규정되어 있지만, 지역에 따라 상황에 따라 입력전압은 190 내지 250볼트로 다양하게 변화하게 되는데, 도 1과 같은 제어회로는 LED 신호등과 입력측이 직접 연결되어 있어 심 하게 변동하는 입력전압에 비례하여 LED 신호등에 인가되는 전압도 영향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LED 신호등의 광량도 변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However, since the LED signal lamp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nput side, the light quantity of the LED signal lamp also changes as the input voltage changes. In other words, the domestic commercial AC voltage is regulated as 220 volts, but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input voltage is varied from 190 to 250 volts. According to the control circuit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voltage applied to the LED signal lamp is also affected in proportion to the input voltage which is severely changed, and thus, the amount of light of the LED signal lamp also change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광도 조절이 가능한 LED 신호등용 파워 서플라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supply for brightness control LED signal light.
또한, 본 발명은 입력전압의 형태에 대응하여 두가지의 정전압을 출력함으로써 광도 조절이 가능한 LED 신호등용 파워 서플라이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supply for LED signal lamps capable of controlling brightness by outputting two constant voltages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input voltage.
본 발명에 따른 광도 조절 가능한 LED 신호등용 파워 서플라이는, 입력되는 교류전원에 포함되는 과전류 및/또는 과전압을 방지하는 보호회로부; 상기 보호회로부의 출력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로부터 출력되는 정류전압을 2차측에 유기시키도록 변압기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변압기의 1차측에 접속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의 역률을 조정하는 역률조정부; 상기 교류전원의 입력교류전압과 기준전압의 비교에 따라 온오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온오프 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변압기의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을 정류하는 2차 정류부; 상기 온오프 제어신호에 제어되어 출력단의 저항값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출력단의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출력전압 조절부; 상기 변압기의 2차측에 출력되는 출력전류의 변동에 따라 광량을 달리하는 제2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2차 전압 피드백부; 및 상기 제2 포토 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의 변화에 대응하여 PWM신호의 듀티비를 제어하는 PWM신호 발생부를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supply for an LED signal lamp having a brightness control, comprising: a protection circuit unit for preventing overcurrent and / or overvoltage included in an AC power input; A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output of the protection circuit; A power supply unit including a transformer to induce the rectified voltage output from the rectifying unit to the secondary side; A power factor adjusting unit connected to the primary side of the transformer to adjust the power factor of the power supply unit; An on-off control signal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n on-off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comparison between the input AC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AC power supply; A secondary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voltage induced on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An output voltage adjusting unit controlled by the on-off control signal to adjust an output voltage of the output terminal by adjusting a resistance value of the output terminal; A secondary voltage feedback unit including a second photo diode having a different amount of light according to a change in an output current output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And a PWM signal generator for controlling a duty ratio of the PWM signal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output from the second photodio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가 소정치 이하이면 상기 PWM신호 발생부에 제어전원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는 저전압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output from the rectifier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may further include a low voltage blocking unit for blocking the control power supply voltage applied to the PWM signal generating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오프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입력교류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on-off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input AC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A switching element switched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omparator; And a first photodiode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switching elem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전압 조절부는, 상기 제1 포토 다이오드와 쌍으로 결합되는 제1 포토 트랜지스터; 상기 출력단에 상기 제1 포토 트랜지스터와 직렬연결되는 가변저항; 및 상기 제1 포토 트랜지스터 및 가변저항과 병렬연결된 제1 저항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output voltage control unit, the first photo transistor coupled in pairs with the first photo diode; A variable resistor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in series with the first photo transistor; And a first resis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photo transistor and a variable resistor.
바람직하게는, 상기 2차 전압 피드백부는, 상기 변압기의 2차측에 병렬결합되는 제2 포토 다이오드; 상기 제2 포토 다이오드에 병렬결합된 제2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포토 다이오드는 상기 출력단에 흐르는 출력전류의 크기에 대응하여 광량을 달리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ary voltage feedback unit, a second photo diode coupled in parallel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And a second resistor coupled to the second photodiode in parallel, wherein the second photodiode may vary the amount of light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output current flowing through the output termi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PWM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2 포토 다이오드의 광량의 변화에 대응하여 통과되는 전류의 크기를 달리하는 제2 포토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포토 트랜지스터를 통과하는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PWM신호의 듀티비를 제어하는 PWM 콘트롤러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PWM signal generation unit, the second photo transistor to vary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passing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of the second photodiode; And a PWM controller controlling the duty ratio of the PWM signal in proportion to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passing through the second photo transistor.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회로부의 입력에는 상용교류전압의 전파정류분 또는 상용교류전압의 반파정류분이 인가된다.Preferably, full-wave rectification of a commercial AC voltage or half-wave rectification of a commercial AC voltage is applied to the input of the protection circuit unit.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광도 조절이 가능한 LED 신호등용 파워 서플라이를 제공할 수 있고, 특히, 입력전압의 형태에 대응하여 두가지의 정전압을 출력함으로써 광도 조절이 가능한 LED 신호등용 파워 서플라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wer supply for LED signal lamps with adjustable brightness,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wer supply for LED signal lamps with adjustable brightness by outputting two constant voltages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input voltag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 (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many specific details are show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ich is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Will be self-evident.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도 조절 가능한 LED 신호등용 파워 서플라이의 상세 회로도이다.Figure 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power supply for the brightness adjustable LED traffic 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도 조절 가능한 LED 신호등용 파워 서플라이는, 보호회로부(110), 정류부(120), 전원공급부(130), PWM신호 발생부(140), 저전압 차단부(150), 역률조정부(160), 2차 정류부(170), 2차 전압 피드백부(180), 출력전압 조절부(190), 및 온오프 제어신호 생성부(200)를 포함한다.The power supply for the brightness adjustable LED signal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보호회로부(110)는 퓨즈와 바리스터 그리고 라인필터를 포함하여 과전류 및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함과 아울러 인가되는 입력교류전압에서 전자파를 제거한다. 보호회로부(110)내 바리스터는 교류전원단에서 입력될 수 있는 서지(surge)를 접지(ground)로 흘려보내 SMPS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리액턴스 성분의 라인 필터(line filter)는 과전류 성분을 억제한다.The
정류부(120)는 보호회로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며, 브릿지 다이오드 형태를 취할 수 있다.The
전원공급부(130)는 정류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정류전압을 1차측에 마련된 PWM신호 발생부(140)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2차측에 유기시키도록 변압기를 포함한다. 전원공급부(130) 내 제1 써미스터(TH1, NTC Themistor: 부온도계수 써미스터)는 최초에 정류부(120)와 병렬연결된 커패시터(C1)에 충전된 전하가 없어 순간적으로 단락상태이므로 커패시터(C1)에 흐를 수 있는 무한대의 돌입전류를 방지하나, 일정시간이 지나고 커패시터(C1)에 일단 충전된 후에는 제1 써미스터를 흐르는 전류에 따라 제1 써미스터에는 열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제1 써미스터의 온도가 올라가고, 따라서 부온도계수 써미스터의 특성상 저항값이 매우 작아지게 된다. 즉, 제1 써미스터는 교류전원의 인가에 따른 돌입전류 방지를 위하여 사용된다. 여기 서, 커패시터(C1)는 커패시턴스가 매우 작아 최초 전류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교류전류의 노이즈를 흡수한다. 한편, 다이오드(D5)를 통과한 전류는 인덕터(L2)에 의하여 급격한 상승이 방지되고 전원공급부(130)의 1차측(T1)을 거쳐 커패시터(C3)에 충전되는데, 다이오드(D5)는 블럭킹용으로서 콘트롤러(U1)내 MOSFET가 오프되는 경우 전원공급부(130)의 트랜스 전압의 상승으로 인한 전압이 커패시터(C1)에 역충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다이오드(D6)도 블럭킹용으로서 콘트롤러(U1)내 MOSFET가 오프되는 경우 인덕터(L2)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콘트롤러(U1)내 MOSFET가 턴온되는 경우 커패시터(C3)의 충전 전압이 전원공급부(130)의 1차측을 거쳐 전류가 흐름으로써 2차측에 유기된다.The
역률조정부(160)는 전원공급부(130)의 변압기 1차측에 접속되어 전원공급부(130)의 역률을 조정한다. 여기서, 역률조정부(160)내 인덕터(L2)가 커패시터(C1)와 연관되어 역률을 향상시키게 되는데, 리액터(L2)의 인덕턴스는 크게 하고,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는 작게 한다. 종래에는 역률조정부(160)내 커패시터(C2, C3)와 저항(R2) 그리고 최상단의 1차측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를 크게 할 수밖에 없었으나, 이들을 추가함으로써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를 작게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역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ower
역률조정부(160)내 커패시터(C2)는 스너버(Snubber)용으로 사용되며, 커패시터(C3)는 무극성인 커플링 커패시터를 사용하는 바, 이는 유극성의 커패시터를 사용하는 경우 신호등의 속성상 요구되는 반복적인 온오프로 인해 절연파괴 현상이 발생하여 고장이 잦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The capacitor C2 in the power
온오프 제어신호 생성부(200)는 인가되는 교류전압과 기준전압의 비교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포토 다이오드(UA2A)를 포함하여 온오프 제어신호를 생성한다.The on-off
구체적으로, OP AMP(UA1)는 비반전단자(+)에 인가되는 교류전압을 반전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교류전압이 기준전압보다 크면 "H"신호를, 교류전압이 기준전압보다 작으면 "L"신호를 출력하며, PNP 트랜지스터(TR1)는 "H"신호에 턴오프되고, "L"신호에 턴온된다. Specifically, the OP AMP UA1 compares an AC voltage applied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 with a reference voltage applied to the inverting terminal (−), and when the AC voltag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es an “H” signal. If it is smaller than this reference voltage, the "L" signal is output, and the PNP transistor TR1 is turned off by the "H" signal and turned on by the "L" signal.
즉, 입력교류전압이 220볼트이면 OP AMP가 "H"신호를 출력하여 PNP 트랜지스터(TR1)가 턴오프되므로 제1 포토 다이오드(UA2A)가 턴오프되며, 입력교류전압이 110볼트이면 OP AMP가 "L"신호를 출력하여 PNP 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되므로 제1 포토 다이오드(UA2A)가 턴온된다.That is, when the input alternating voltage is 220 volts, the OP AMP outputs a "H" signal and the PNP transistor TR1 is turned off, so the first photodiode UA2A is turned off. When the input alternating voltage is 110 volts, the OP AMP is turned off. Since the PNP transistor TR1 is turned on by outputting the "L" signal, the first photodiode UA2A is turned on.
2차 정류부(170)는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을 정류 및 필터링한다.The
출력전압 조절부(190)는 온오프 제어신호에 제어되어 출력단 저항을 조정함으로써 출력단의 출력전압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110볼트의 입력교류전압이 인가되면, 제1 포토 다이오드(UA2A)의 턴온에 따라 제1 포토 트랜지스터(UA2B)가 턴온되므로 병렬연결된 저항(R9)와 가변저항(RA7)의 합성저항값에 상응하는 전압이 출력단에 인가된다. 한편, 220볼트의 입력교류전압이 인가되면, 제1 포토 다이오드(UA2A)의 턴오프에 따라 제1 포토 트랜지스터(UA2B)가 턴오프되므로 저항(R9)에 상응하는 전압이 출력단에 인가된다.The output
결국, 입력교류전압이 220볼트인 경우에 비하여 110볼트인 경우에 더 낮은 전압이 출력된다. 예컨대, 입력교류전압이 220볼트인 경우에 22볼트가 출력되고, 110볼트인 경우에 14볼트가 출력될 수 있다.As a result, a lower voltage is output when the voltage is 110 volt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input alternating voltage is 220 volts. For example, 22 volts may be output when the input alternating voltage is 220 volts, and 14 volts may be output when the input alternating voltage is 220 volts.
여기서, 가변저항(RA7)의 저항값을 조정함으로써 입력교류전압이 110볼트인 경우의 출력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단에 결합되는 LED신호등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Here, by adjust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RA7, the output voltage when the input alternating voltage is 110 volts can be adjusted. Accordingly, the amount of light of the LED signal lamp coupled to the output terminal can be controlled.
2차 전압 피드백부(180)는 변압기의 2차측에 출력되는 출력전류의 변동에 따라 광량을 달리하는 제2 포토 다이오드(U2-1)를 포함한다.The secondary
구체적으로, 출력단에 결합된 LED 신호등에 흐르는 출력전류가 증가하면 활성 영역에서 동작하는 제2 포토 다이오드(U2-1)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하여 제2 포토 다이오드(U2-1)의 광량이 줄어들고, 출력단에 결합된 LED 신호등에 흐르는 출력전류가 감소하면 제2 포토 다이오드(U2-1)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여 제2 포토 다이오드(U2-1)의 광량이 늘어난다.In detail, when the output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ED signal lamp coupled to the output terminal is increase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cond photodiode U2-1 operating in the active region is decreased,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light of the second photodiode U2-1. When the output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ED signal lamp coupled to the output terminal decrease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cond photodiode U2-1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light of the second photodiode U2-1.
PWM신호 발생부(140)는 제2 포토 다이오드(U2-1)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의 변화에 대응하여 PWM신호의 듀티비를 제어한다.The
구체적으로, 제2 포토 다이오드(U2-1)의 광량이 줄어들면 PWM신호 발생부(140) 내 제2 포토 트랜지스터(U2)를 흐르는 전류가 감소하고, 이는 콘트롤러(U1)내 스위칭소자의 듀티비를 감소시켜 PWM신호의 듀티비가 줄어들게 한다.Specifically, when the amount of light of the second photodiode U2-1 decrease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cond phototransistor U2 in the
반면, 제2 포토 다이오드(U2-1)의 광량이 늘어나면 제2 포토 트랜지스터(U2)를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여 콘트롤러(U1) 내 스위칭소자의 듀티비를 증가시켜 PWM신호의 듀티비가 늘어나게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light of the second photodiode U2-1 increase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cond phototransistor U2 increases to increase the duty ratio of the switching element in the controller U1, thereby increasing the duty ratio of the PWM signal.
저전압 차단부(150)는 정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가 소정치 이하로 강하하는 경우, PWM신호 발생부(140)에 제어전원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차단한다. 예컨대, 정류부(120)의 출력전압이 60볼트이하인 경우, PWM신호 발생부(140)에 제어전원전압(Vcc)이 인가되는 것을 차단한다.When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output from the rectifying unit drops below a predetermined value, the low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specific embodiment (s) have bee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 (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조광제어 기능을 가진 LED 신호등용 제어회로 블럭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circuit for an LED traffic light with a dimming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조광제어 기능을 가진 LED 신호등용 제어회로의 상세 회로도, 및2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control circuit for an LED traffic light with a dimming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도 조절 가능한 LED 신호등용 파워 서플라이의 상세 회로도이다.Figure 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power supply for the brightness adjustable LED traffic 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10: 보호회로부 120: 정류부110: protection circuit 120: rectifier
130: 전원공급부 140: PWM신호 발생부130: power supply unit 140: PWM signal generating unit
150: 저전압 차단부 160: 역률조정부150: low voltage breaking unit 160: power factor adjustment unit
170: 2차 정류부 180: 2차 전압 피드백부170: secondary rectifier 180: secondary voltage feedback
190: 출력전압 조절부 200: 온오프 제어신호 생성부190: output voltage adjusting unit 200: on-off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0825A KR100959376B1 (en) | 2009-12-07 | 2009-12-07 | Power supply for led traffic light able to adjust brightnes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0825A KR100959376B1 (en) | 2009-12-07 | 2009-12-07 | Power supply for led traffic light able to adjust brightnes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59376B1 true KR100959376B1 (en) | 2010-05-24 |
Family
ID=42281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0825A KR100959376B1 (en) | 2009-12-07 | 2009-12-07 | Power supply for led traffic light able to adjust brightnes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59376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9438B1 (en) * | 2013-04-15 | 2013-07-23 | 샤이니테크 주식회사 | A power supply for led traffic light capable of controlling luminous-intensity in dimming control mode |
KR101381273B1 (en) * | 2012-09-12 | 2014-04-04 | (주)차칸섬유 | LED lighting unit for lift |
CN110662331A (en) * | 2019-11-08 | 2020-01-07 |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 Rail Transit Intelligent Filament Current and Filament Voltage Digital Senso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35960B1 (en) | 2005-02-25 | 2005-12-12 | 남상설 | Power supply for traffic signal lamp |
KR100633480B1 (en) | 2004-10-22 | 2006-10-16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Inverter overvoltage protection stabilization circuit |
KR100893193B1 (en) | 2007-06-26 | 2009-04-16 | 주식회사 우영 | Power supply and LED lighting device having the same |
-
2009
- 2009-12-07 KR KR1020090120825A patent/KR10095937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3480B1 (en) | 2004-10-22 | 2006-10-16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Inverter overvoltage protection stabilization circuit |
KR100535960B1 (en) | 2005-02-25 | 2005-12-12 | 남상설 | Power supply for traffic signal lamp |
KR100893193B1 (en) | 2007-06-26 | 2009-04-16 | 주식회사 우영 | Power supply and LED lighting device having the sam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1273B1 (en) * | 2012-09-12 | 2014-04-04 | (주)차칸섬유 | LED lighting unit for lift |
KR101289438B1 (en) * | 2013-04-15 | 2013-07-23 | 샤이니테크 주식회사 | A power supply for led traffic light capable of controlling luminous-intensity in dimming control mode |
CN110662331A (en) * | 2019-11-08 | 2020-01-07 |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 Rail Transit Intelligent Filament Current and Filament Voltage Digital Sens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29819B1 (en) | Enhanced active preload for high performance LED driver with extended dimming | |
RU2560835C2 (en) | Adaptive circuit | |
US9572224B2 (en) | Bleeder protection using thermal foldback | |
US8339055B2 (en) | Inrush current limiter for an LED driver | |
US7772782B2 (en) | Light emitting diode (LED) driving device | |
US8405319B2 (en) | Universal dimmer | |
US8344657B2 (en) | LED driver with open loop dimming control | |
US8315072B2 (en) | Controller for switching power supply | |
US8928235B2 (en) | Damper circuit for switched dimming | |
US20160057822A1 (en) | Driving circuit, lighting device and method of reducing power dissipation | |
TWI556680B (en) | Capacitive step - down type light - emitting diode driver and its capacitive step - down type light - emitting diode driving method | |
KR101252398B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an ac input voltage to a regulated output current | |
JP2012023001A (en) | Lighting circuit and illumination device | |
KR100959376B1 (en) | Power supply for led traffic light able to adjust brightness | |
CN106489303B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hase-cut power control | |
TWM447061U (en) | LED driving device | |
JP5811329B2 (en) | Power supply | |
KR20140104196A (en) | Power supply circuit for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 |
US10306717B1 (en) | Flicker-free LED driving apparatus and voltage regulating method thereof | |
KR100385145B1 (en) | Switched Mode Power Supply Circuit for Driving LED | |
JP5669447B2 (en) | Lighting system | |
TW201349725A (en) | High efficiency power converter | |
JP7029353B2 (en) | Power supply for lighting | |
CN106714410B (en) | Dimmable Instant Start Ballast Dimming Control | |
RU2788629C2 (en) | Driver for led lam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1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3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5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5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