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58877B1 -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 - Google Patents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877B1
KR100958877B1 KR1020090022580A KR20090022580A KR100958877B1 KR 100958877 B1 KR100958877 B1 KR 100958877B1 KR 1020090022580 A KR1020090022580 A KR 1020090022580A KR 20090022580 A KR20090022580 A KR 20090022580A KR 100958877 B1 KR100958877 B1 KR 100958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food
packaging
ingredients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철
안주연
Original Assignee
안현철
안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현철, 안주연 filed Critical 안현철
Priority to KR1020090022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rking or coding completed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요리기반 식재료 세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식재료 세트는 요리를 손쉽게 조리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손질된 복수의 식재료들을 조리 순서, 포장요령 및 보관방법에 따라 서로 분리 포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재료 포장단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배달된 식재료 세트를 포장단위의 조리순서에 따라 손쉽게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으며 포장단위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식재료의 보관 등이 매우 간편하다.

Description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 {Food Ingredient Set on the basis of Order Dish}
본 발명은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문요리의 식재료들을 반가공 상태로 배달함에 있어서 식재료의 조리 특성에 맞는 포장단위로 포장된 식재료 세트에 관한 것이다.
공통 주택 등의 주거공간의 변화와 핵가족화의 경향으로 현대인들의 식생활 형태도 간편성과 편리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달라지고 있다.
따라서 인스턴트 식품, 반재료 요리 등 다양한 형태의 상품들이 출시, 활성화되고 있으며, 사용자들의 이용률과 빈도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여가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주말이나 공휴일뿐만 아니라 평일 저녁식사를 가족단위로 외식하는 외식문화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휴대폰 및 인터넷 등의 통신기술의 발달로 집에서 요리를 주문하여 집으로 배달받는 음식 배달 서비스도 증가 추세에 있다. 또한 집에서 요리를 해먹더라도 편리성과 간편성에 부합하는 상품과 조리법이 선호되고 있으며, 선진국일수록 이러한 경향은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음식문화는 편리성과 간편성을 충족시켜주지만 인스턴트, 즉석 요리 식품은 비만 등과 같은 건강 문제가 지적되고 있으며 외식문화는 일련의 식품 파동과 원산지 허위 표시, 일부 식당의 부도덕한 행태로 인해 식재료에 대한 불신과 불안, 식당 음식에 대한 불만족도 등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이런 이유로 일부 소비자들, 특히 자녀를 둔 주부들은 대중 트랜드에 역행하면서까지 집에서의 직접 요리를 고집하는 소비자들이 증가되고 있다. 집에서 요리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식단을 짜야 하고 식단에 맞는 식재료를 사야 한다. 특정한 요리를 위해 식재료들을 사려고 할 때 요리를 위해 필요한 만큼씩의 재료를 판매하지 않기 때문에 남은 재료 처리가 문제가 된다.
음식점들 중 일부는 고객이 전화로 주문하면 해물탕, 동태찌개, 버섯찌개 등의 탕류나 찌개류를 만들기 위한 식재료 세트를 전골 냄비 등에 포장해서 배달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식재료 세트는 모든 식재료 세트가 섞인 채로 배달되기 때문에 즉시 요리해서 먹어야 하고, 양념의 정. 또한 이러한 방식은 몇 개의 요리들을 위한 식재료를 제공할 뿐 다양한 종류의 요리를 위한 식재료를 제공하지 못한다.
많은 사람들이 손쉽게 다양한 요리를 가정에서 손수 해먹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각 요리를 만드는데 필요한 식재료들이 요리를 만드는데 필요한 만큼씩 판매되어야 한다. 또한 가정에서 손쉽게 보관할 수 있도록 각각의 식재료 특성에 맞게 포장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에서 주문 배달받아 손쉽게 요리할 수 있는 식재료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리하게 식재료들을 보관할 수 있는 식재료 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남는 식재료들을 재활용 할 수 있는 정보가 표시된 식재료 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요리기반 식재료 세트는 요리를 손쉽게 조리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손질된 복수의 식재료들을 조리 순서, 포장요령 및 보관방법에 따라 서로 분리 포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재료 포장단위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식재료 포장단위들 각각은 조리 순서 표시가 인쇄되거나 라벨링 될 수 있다. 조리순서표시는 동일 요리의 식재료 세트임을 나타내도록 동일 컬러로 채색된 것 바람직하다. 컬러 이외에도 특정한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의 변형 표시도 가능하다. 여기서 조리순서는 요리를 하는 데 들어가는 식재료의 혼합 순서를 의미한다. 포장요령은 식재료의 특성에 맞게 진공포장, 밀봉포장, 비닐포장, 종이포장, 산소포장 및 완충제 포장 등 다양한 식품 포장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보관방법으로는 냉동보관, 냉장보관, 실온보관, 저온보관 및 신선실보관 등 가정의 냉동 및 냉장고를 이용한 보관요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포장단위는 개별 식재료 별로 각각 포장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재료들이 동일 조리순서이거나 동일 포장요령이거나 동일 보관방법일 경우 동일 포장된다. 당연히 동일 조건이지만 식재료 특유의 특성에 의해 상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도 고려하여 포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식재료 포장단위는 요리 명칭과 포장된 식재료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포장단위정보가 표시된다. 포장단위정보는 표시된 조리 순서에 따른 해당 포장단위의 조리 정보, 다른 요리로 재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찾는데 필요한 재활용 정보, 원산지, 유통기한, 중량, 칼로리 및 이들의 조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정보는 포장지에 인쇄되거나 라벨 표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리기반 식재료 세트의 변형예는 요리를 손쉽게 조리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손질된 복수의 식재료들을 조리순서 및 포장요령에 따라 서로 분리 포장한 복수의 식재료 기초포장단위들과, 복수의 식재료 기초포장단위들을 식재료들의 보관방법에 따라 서로 분리 포장한 복수의 식재료 보관포장단위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식재료 보관포장단위들 각각에는 대응하는 보관요령정보가 표시된다. 보관방법으로는 냉동보관, 냉장보관, 실온보관, 저온보관 및 신선실보관 등 가정의 냉동 및 냉장고를 이용한 보관요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변형예는 배달 받은 식재료세트를 냉장고 등에 보관할 때 편리성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리기반 식재료 세트의 다른 변형예는 요리를 손쉽게 조리 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손질된 복수의 식재료들을 포장요령 및 보관방법에 따라 서로 분리 포장한 복수의 식재료 기초포장단위들 및 복수의 식재료 기초포장단위들을 식재료들의 조리순서에 따라 서로 분리 포장한 복수의 식재료 조리포장단위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식재료 조리포장단위들 각각에는 대응하는 조리순서정보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변형예는 배달 즉시 조리할 때 편리성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재료 세트는 조리 순서, 포장요령, 보관방법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복수의 식재료들이 분리 포장되므로 배달 즉시 조리 순서에 따른 포장단위들로 손쉽게 즉석요리가 가능하다. 또한, 배달된 식재료들을 보관 방법에 따른 포장단위들로 손쉽게 구별이 가능하므로 냉장고 등에 보관이 편리하다. 그러므로 요리를 전혀 몰라도 포장에 표시된 조리순서에 따라 요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식재료들의 보관요령을 전혀 몰라도 포장에 표시된 보관 요령에 따라 손쉽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돼지고기 찌개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돼지고기 찌개 요리는 다음 표1의 레시피를 가진다.
< 표 1 >
Figure 112009016053019-pat00001
<표 1>의 레시피를 참조하여 돼지고기 찌개 요리의 식재료 세트(100)가 생성된다.
식재료 세트(100)는 6개의 식재료 포장단위(110, 120, 130, 140, 150, 160)를 포함한다. 식재료 포장단위(110, 120, 130, 140, 150, 160)들 각각은 빨간색으로 채색된 포장단위 라벨(111, 121, 131, 141, 151, 161)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빨간색 포장단위들은 모두 돼지고기 찌개 요리의 식재료 세트임을 나타낸다.
식재료 포장단위(110)는 돼지고기 목살 100g을 30mm 크기로 깍둑썰기(A30-100)한 후 진공 포장(a)한 것으로 냉동보관(ㄱ)용임이 A30-100-a-ㄱ으로 표기되고 숫자"1"은 돼지고기 찌개 요리를 할 때 첫 번째로 냄비에 넣는 식재료임을 나타낸다. 인쇄된 식별코드 "Bb01"은 재활용 방법 식별코드이다. 라벨(111)에는 조리순서(1), 포장요령(a), 보관방법(ㄱ)을 나타내는 식별코드가 인쇄되고 바탕은 빨간색으로 채택된다.
식재료 포장단위(120)는 감자 150g을 50mm 크기로 깍둑썰기(A50-150)한 후 진공 포장(a)한 것으로 냉장보관(ㄴ)용임이 A50-150-a-ㄴ으로 표기되고 숫자"1"은 돼지고기 찌개 요리를 할 때 첫 번째로 냄비에 넣는 식재료임을 나타낸다. 라벨(121)에는 조리순서(1), 포장요령(a), 보관방법(ㄴ)을 나타내는 식별코드가 인쇄되고 바탕은 빨간색으로 채택된다.
식재료 포장단위(130)는 고추, 호박, 양파, 당근, 대파 등 찌개 요리에 넣는 각종 야채류 포장단위를 나타낸다. 고추는 30g을 20mm 크기로 채썰기(B20-30)한 후 밀봉 포장(b)한 것으로 냉장보관(ㄴ)용임이 B20-30-b-ㄴ으로 표기된다. 호박은 50g 을 10mm 크기로 반달썰기(E10-50)한 후 밀봉 포장(b)한 것으로 하여 냉장보관(ㄴ)용임이 E10-50-b-ㄴ으로 표기된다. 양파는 30g을 10mm 크기로 깍둑썰기(A10-30)한 후 밀봉 포장(b)한 것으로 냉장보관(ㄴ)용임이 A10-30-b-ㄴ으로 표기된다. 당근은 50g을 5mm 크기로 깍둑썰기(A5-50)한 후 밀봉 포장(b)한 것으로 냉장보관(ㄴ)용임이 A5-50-b-ㄴ으로 표기된다. 대파는 30g을 20mm 크기로 어슷썰기(I30-20)한 후 밀봉 포장(b)한 것으로 냉장보관(ㄴ)용임이 I30-20-b-ㄴ으로 표기된다. 이와 같이 야채류들은 손질방법은 다르지만 조리순서(2), 포장요령(b), 보관방법(ㄴ)이 동일하므로 하나의 포장단위로 포장되고 포장에 빨간색 라벨(131)이 부착되게 된다.
식재료 포장단위(140)는 마른고추, 생강, 마늘 등 찌개 요리에 넣는 각종 향신료 포장단위를 나타낸다. 마른고추(고추가루)는 20g을 가루내기(F-20)한 후 비닐 포장(c)한 것으로 실온보관(ㄷ)용임이 F-20-b-ㄷ으로 표기된다. 생강은 5g을 갈기(D-5)한 후 비닐 포장(c)한 것으로 하여 실온보관(ㄷ)용임이 D-5-c-ㄷ으로 표기된다. 마늘은 10g을 갈기(D-10)한 후 비닐 포장(c)한 것으로 실온보관(ㄷ)용임이 D-10-c-ㄷ으로 표기된다. 이와 같이 향신료들은 손질방법은 다르지만 조리순서(2), 포장요령(c), 보관방법(ㄷ)이 동일하므로 하나의 포장단위로 포장되고 포장에 빨간색 라벨(141)이 부착되게 된다. 향신료 포장단위(140)는 야채류 포장단위(130)와 조리순서는 "2"로 동일하지만 포장방법과 보관방법이 달라 별개 포장단위로 포장된다.
식재료 포장단위(150)는 달걀로 50g(달걀1개)을 원상태 그대로(J-50)완충재 포장(e)한 것으로 실온보관(ㄷ)용임이 J-50-e-ㄷ으로 표기되고 숫자"3"은 돼지고기 찌개 요리를 할 때 세 번째로 냄비에 넣는 식재료임을 나타낸다. 라벨(151)에는 조리순서(3), 포장요령(e), 보관방법(ㄷ)을 나타내는 식별코드가 빨간색 바탕에 인쇄된다.
식재료 포장단위(160)는 참기름, 고추장, 국간장, 깨소금 등 찌개 요리에 넣는 각종 양념류 등을 혼합한 양념장 포장단위를 나타낸다. 참기름은 30g을 원상태 그대로(J-30) 비닐 포장(c)한 것으로 냉장보관(ㄴ)용임이 J-30-c-ㄴ으로 표기된다. 고추장은 50g을 원상태 그대로(J-50) 비닐 포장(c)한 것으로 냉장보관(ㄴ)용임이 J-50-c-ㄴ으로 표기된다. 국간장은 20g을 원상태 그대로(J-20) 비닐 포장(c)한 것으로 냉장보관(ㄴ)용임이 J-20-c-ㄴ으로 표기된다. 깨소금은 10g을 원상태 그대로(J-30) 비닐 포장(c)한 것으로 냉장보관(ㄴ)용임이 J-10-c-ㄴ으로 표기된다. 이와 같이 양념류들은 조리순서(1), 포장요령(c), 보관방법(ㄴ)이 동일하므로 하나의 포장단위로 포장되고 포장에 식별코드가 인쇄된 빨간색 라벨(141)이 부착되게 된다. 양념장 포장단위(160)는 고기류 포장단위(110)와 감자 포장단위(120)와 조리순서는 "1"로 동일하지만 포장방법이 달라 별개 포장단위로 포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식재료 세트(100)는 조리순서, 포장요령, 보관방법 등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포장단위들로 포장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의한 식재료 세트의 포장단위의 각종 식별코드 테이블들을 나타낸다.
도 2a는 식재료 세트 식별 컬러 테이블이고 도 2b는 손질방법 식별 코드 테이블이고 도 2c는 포장방법 식별코드 테이블이고 도 2d는 보관방법 식별코드 테이 블이고 도 2e는 재활용 방법 식별코드 테이블을 나타낸다.
식재료 세트들의 포장단위들에 표시된 식별코드들은 도 2a 내지 도 2e의 식별코드 테이블을 참조하여 작성된다. 식별코드들 중 조리순서 및 재활용 코드는 주문자들이 주로 사용하지만 나머지 식별코드들은 식재료 손질가공 및 포장업체에서 손질 포장 작업시 유용하게 사용된다.
재활용 방법 식별코드는 주문자가 식재료를 가지고 다른 요리에 재활용하고자 할 경우에 해당 배달 서비스 업자의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재활용 코드를 조회하면 재활용 가능한 요리 레시피들을 제공받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식재료 세트를 사용요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문자는 본 발명의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 배달 서비스의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팩스밀리, 전화 등으로 두 가지 요리를 주문한다(210단계) 주문된 식재료 세트가 담겨진 택배상자(200)가 주문자에게 배달된다(220). 택배상자(200)는 종이상자이거나 스티로폼 상자로 구성될 수 있고 내부에는 주문된 두 가지 요리에 대응한 식재료 세트(202) 및 식재료 세트(204)가 담겨져 있다. 두 식재료 세트(202, 204)는 서로 구분하기 위하여 각 포장단위들은 빨간색과 하늘색으로 채색되거나 컬러 라벨링 된다.
주문자는 배달된 택배상자를 개방하여 주문내용물을 확인하고(230)포장 단위별로 보관방법에 따라 냉장고(260)에 분류 보관한다(240). 냉동실(262)에는 세트(202, 204)의 "1"표기된 포장단위들을 보관되고 냉장실(264)에는 세트(202, 204)의 "2" 및 "3" 표기된 포장단위들을 보관된다. 주문자는 세트(202)의 포장단위들을 조리순서에 따라 냄비 등에 넣고 레시피에 기재된 조리요령에 따라 조리를 하여 요리를 완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리기반 식재료 세트는 동일 요리의 식재료들이라도 보관 방법에 따라 서로 구별되게 포장단위로 포장되므로 식재료에 가장 적합한 보관을 사용자가 손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주문자가 요리를 못한다 하더라도 각 포장단위들에 표시된 조리순서에 따라 그대로 조리하면 맛있는 요리를 손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식재료 세트들을 보관할 때 서로 섞여서 보관되더라도 세트별로 서로 다른 컬러로 구분되므로 요리시 손쉽게 분리해 낼 수 있어서 사용상 매우 편리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식재료 세트의 포장단위 라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세트들(310, 320, 330, 340)은 실제 주문자들은 포장을 위한 식별코드 보다는 동일 세트 포장단위 구별을 위한 컬러표시(312), 조리요령(314), 동일 포장 단위의 보관요령 및 재활용 정보 등을 포함하는 식재료 관련 정보(316) 등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돼지찌개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변형예 세트(400)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보관방법에 따라 기초 포장된 식재료 포장단위들을 한번 더 포장하여 보관포장단위들(410, 420)를 구성한 점이 다르다. 식재료 보관포장단위들(410, 420) 각각에는 대응하는 보관요령정보(냉장보관-㉡, 실온보관-㉢)가 표시된다. 그러므로 변형예 세트(400)는 배달 받은 식재료 세트를 냉장고 등에 보관할 때 보관포장단위로 보관이 가능하므로 분류 보관시 편리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돼지찌개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변형예 세트(500)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조리순서에 따라 기초 포장된 식재료 포장단위들을 한번 더 포장하여 조리포장단위들(510, 520)을 구성한 점이 다르다. 식재료 조리포장단위들(510, 520) 각각에는 대응하는 조리순서(①, ②)가 표시된다. 그러므로 다른 변형예 세트(500)는 배달 받은 식재료 세트를 냉장고에 분류 보관하지 않고 배달 받은 즉시 요리를 할 경우 조리 순서별로 포장되어 있어서 사용상 편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는 반가공되어 분리 포장 배달되므로 가정에서 손쉽게 맛있는 요리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는 조리순서, 포장방법, 보관방법 등에 따라 식재료 포장단위를 구성하므로 통째 배달되는 즉석요리에 비하여 불필요한 식재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모든 식재료를 개별적으로 포장하는 것에 비하여 식재료 특성에 맞게 적절한 모듬 포장으로 포장 쓰레기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돼지찌개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의한 식재료 세트의 포장단위의 각종 식별코드 테이블들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식재료 세트를 사용요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식재료 세트의 포장단위 라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돼지찌개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돼지찌개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Claims (10)

  1. 요리를 손쉽게 조리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손질된 복수의 식재료들을 조리 순서, 포장요령 및 보관방법에 따라 서로 분리 포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재료 포장단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재료 포장단위들 각각은 조리 순서 표시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식재료 포장단위에 표시되는 조리순서표시는 동일 요리의 식재료 세트임을 나타내도록 동일 컬러로 채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식재료 포장단위는 요리 명칭과 포장된 식재료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포장단위정보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단위정보의 표시는 동일 요리의 식재료 세트임을 나타내도록 동일 컬러로 채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단위정보는 상기 표시된 조리 순서에 따른 해당 포장단위의 조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단위정보는 해당 포장단위의 식재료들을 다른 요리로 재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찾는데 필요한 재활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단위정보는 해당 포장단위의 식재료들의 원산지, 유통기한, 중량, 칼로리 및 이들의 조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
  8. 요리를 손쉽게 조리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손질된 복수의 식재료들을 조리 순서, 포장요령 및 보관방법에 따라 서로 분리 포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재료 포장단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
  9. 요리를 손쉽게 조리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손질된 복수의 식재료들을 조리순서 및 포장요령에 따라 서로 분리 포장한 복수의 식재료 기초포장단위들; 및
    상기 복수의 식재료 기초포장단위들을 식재료들의 보관방법에 따라 서로 분리 포장한 복수의 식재료 보관포장단위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식재료 보관포장단위들 각각에는 대응하는 보관요령정보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
  10. 요리를 손쉽게 조리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손질된 복수의 식재료들을 포장요령 및 보관방법에 따라 서로 분리 포장한 복수의 식재료 기초포장단위들; 및
    상기 복수의 식재료 기초포장단위들을 식재료들의 조리순서에 따라 서로 분리 포장한 복수의 식재료 조리포장단위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식재료 조리포장단위들 각각에는 대응하는 조리순서정보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
KR1020090022580A 2009-03-17 2009-03-17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 KR100958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580A KR100958877B1 (ko) 2009-03-17 2009-03-17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580A KR100958877B1 (ko) 2009-03-17 2009-03-17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423A Division KR20100105374A (ko) 2010-02-19 2010-02-19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 및 이들을 포함한 택배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877B1 true KR100958877B1 (ko) 2010-05-20

Family

ID=4228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580A KR100958877B1 (ko) 2009-03-17 2009-03-17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8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090B1 (ko) * 2013-12-10 2014-09-23 마선희 찜닭 조리용 식재료 세트
KR102586864B1 (ko) * 2022-11-24 2023-10-11 농업회사법인 (주) 에이라이프 치킨 스테이크 레스토랑 간편식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자료 (네이버 블로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090B1 (ko) * 2013-12-10 2014-09-23 마선희 찜닭 조리용 식재료 세트
KR102586864B1 (ko) * 2022-11-24 2023-10-11 농업회사법인 (주) 에이라이프 치킨 스테이크 레스토랑 간편식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eenhuis et al. Small, medium, large or supersize: trends in food portion sizes in The Netherlands
US20070250391A1 (en) Merchandising system and method for food and non-food items for a meal kit
US20080274238A1 (en) Single serving packaged potato
KR100958877B1 (ko)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
AU2011325308A1 (en) Cooking method for simultaneously cooking foods
JP2005092261A (ja) 調理済み食品の販売方法
KR20100122145A (ko) 식재료 배달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Azanza AEROBIC PLATE COUNTS OF PHILIPPINE READY‐TO‐EAT FOODS FROM TAKE‐AWAY PREMISES
KR20100105374A (ko) 요리 기반 식재료 세트 및 이들을 포함한 택배 상자
US20110268848A1 (en) Food ingredient set for cooking
Durazzo et al. Development of a Database of LanguaLTM and FoodEx2 Codes of 50 Ready-to-Eat Products
KR20230117958A (ko) 식재료 배달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JP5807798B1 (ja) 容器入り冷凍食品セット
CN102511841A (zh) 干烧鱼划菜品及其制备方法
Barsanti Food in Senegal
CN105984646A (zh) 用于面条类制品的助厨卤料
Denhard et al. Shopping for Health: A Menu for One: FSHN1302/FS224, 2/2013
Wilson Exploring the Role of Grocery Stores in Preventing Food Waste in the US
JP6103732B1 (ja) 食品製品及び食品製品の提供方法
EP1321045A1 (en) Process and product based on fresh meat combined with a solidified sauce, for preparing a gastronomic speciality
Shivapuri et al. Food sustainability: An initiative of IHM Pusa
Ahn et al. Food Safety Tips for the Holiday Season: FSHN14-13/FS260, rev. major 11/2017
Hegerfeld Serving Food Safely in South Dakota’s Great Outdoors
Barker SP719-H Create a" Brown Bag Special
KR20170092277A (ko) 레시피와 기호로 연결된 소분 포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21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21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5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213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30213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