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58387B1 - 건축용 조립 패널 및 이의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조립 패널 및 이의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387B1
KR100958387B1 KR1020090014539A KR20090014539A KR100958387B1 KR 100958387 B1 KR100958387 B1 KR 100958387B1 KR 1020090014539 A KR1020090014539 A KR 1020090014539A KR 20090014539 A KR20090014539 A KR 20090014539A KR 100958387 B1 KR100958387 B1 KR 100958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panel
opening
guide member
front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사평
이준혁
Original Assignee
(주)삼선판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선판넬 filed Critical (주)삼선판넬
Priority to KR1020090014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387B1/ko
Priority to JP2010036426A priority patent/JP2010196465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38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조립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건축용 조립 패널은 내장재가 충진되는 내부 공간을 갖도록 전면판과 후면판 그리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의 측면을 둘러싸는 측면 프레임;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이웃하는 패널과의 파스너 체결을 위한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는 상기 전면판과 인접한 일단에 파스너 삽입을 위한 제1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과 인접한 타단에 파스너의 나사부가 상기 이웃하는 패널에 체결될 수 있도록 파스너의 나사부가 관통되는 제2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로부터 상기 제2개구까지 파스너의 이동을 위한 통로가 형성된다.
패널,파스너,안내부재

Description

건축용 조립 패널 및 이의 설치 방법{ prefabricated panel for construction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panel}
본 발명은 공장이나 창고 등의 벽체를 구성하는 건축용 조립식 패널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 및 육가공 기타 저온에서의 보관이 필요로하는 식품들은 냉장, 냉동고에서 보관하게 되며, 대형 음식점이나 중간 유통 업체에서는 대형화된 냉장, 냉동 설비를 구비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냉동, 냉장 설비는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단열 패널들을 가로세로 방향으로 연결하여 조립식으로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건축용 조립식 패널들의 상호 결합은 측면을 서로 밀착시킨 후 렌치로 한쪽 패널의 걸이용 고리를 회전시켜 다른쪽 패널의 고정핀에 걸림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걸이용 고리를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플라스틱 압출물인 고리가 고정핀에 정확하게 걸리지 않으면 회동시키는 힘에 의해 고리가 파손될 수 있다. 특히, 걸리용 고리와 고정핀의 위치(높이)가 정확하게 맞지 않으면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패널 제작시 걸이용 고리와 고정핀의 위치를 정확히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에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건축용 조립식 패널 및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가 용이한 건축용 조립식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용 조립 패널은 제1면; 상기 제1면과 평행하지 않은 제2면; 및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으로 파스너(fastener)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는 상기 통로를 갖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일단은 상기 제1면과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몸체의 타단은 상기 제2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 라운드진 곡선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단에는 파스너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제1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타단에는 파스너의 나사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개구보다 작은 제2개구가 형성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은 서로 수직하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건축용 조립 패널은 내장재가 충진되는 내부 공간을 갖도록 전면판과 후면판 그리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의 측면을 둘러싸는 측면 프레임;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이웃하는 패널과의 파스너 체결을 위한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는 상기 전면판과 인접한 일단에 파스너 삽입을 위한 제1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과 인접한 타단에 파스너의 나사부가 상기 이웃하는 패널에 체결될 수 있도록 파스너의 나사부가 관통되는 제2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로부터 상기 제2개구까지 파스너의 이동을 위한 통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는 그 단면이 파이프 형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판은 상기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의 일단과 마주하는 부분에 파스너 삽입을 위한 제1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2관통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는 상기 제2관통구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측면 프레임의 내측면에 면접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스너는 끝이 뽀족한 나사 또는 볼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는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 곡선부분과 직선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곡선부분은 상기 일단과 가깝게 제공되고, 상기 직선 부분은 상기 타단에 가깝게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직선 부분에 해당되는 통로는 상기 곡선부분에 해당되는 통로보다 좁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건축용 조립 패널은 제1관통공을 갖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후면판;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제2관통공을 갖는 측면 프레임;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을 연결하는 그리고 파스너(fastener)가 통과하는 통로를 갖는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볼트 체결용 안내부재는 파스너가 투입되는 제1개구를 갖고 상기 전면판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일단; 파스너의 나사부가 통과하는 제2개구를 갖고 상기 측면 프레임의 외측면으로 노출되는 타단; 및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그리고 상기 제1개구를 통해 삽입된 파스너가 상기 타단까지 이동되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파스너의 방향을 바뀌기 위해 라운드진 통로를 갖는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건축용 조립 패널 설치 방법은 제1개구와 마주 하는 상기 전면판에 파스너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제1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파스너를 상기 제1관통공을 통해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의 제1개구로 삽입하는 단계; 플렉시블한 공구를 상기 제1개구에 삽입하여 상기 파스너를 제2개구까지 밀어넣는 단계; 및 플렉시블한 공구를 회전시켜 파스너의 나사부를 제2개구를 통해 이웃하는 부재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스너(나사) 체결 방식으로 패널들의 결합 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체결 위치를 서로 맞추지 않아도 패널들의 연결 설치 작업이 가능하다. 특히, 파스너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깨끗한 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고리 체결 방식에 비해 제작 단가가 현저하게 저렴할 뿐만 아니라 제작성이 용이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 패널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실시 예 )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용 조립 패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의 건축용 조립 패널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용 조립 패널이 다른 패널에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 패널(1)은 냉동, 냉장 설비(창고)의 벽체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단열 패널 이외에도 사무실의 파티션을 위한 칸막이용 패널, 건축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건축용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건축용 조립 패널(10)(이하 조립 패널이라고 함)들은 가로세로 방향으로 서로 연결됨으로써 조립식으로 하나의 벽체가 만들어진다.
조립 패널(10)은 전면판(110)과 후면판(120), 측면을 둘러싸는 측면 프레임(130)들로 이루어지는 패널몸체(12), 패널몸체(12)의 내부 공간에 충진되는 단열재(140; 도 5에 도시됨) 그리고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200)를 포함한다. 물론, 단열이 필요하지 않은 현장에서 사용되는 조립 패널에서는 단열재를 충진하지 않은 상태로 제작하게 된다. (도 2에는 도면 편의상 단열재를 생략하였다.)
여기서 단열재(140)는 발포성 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열재(140)는 전면판(110)과 후면판(120) 그리고 측면 프레임(130)들의 결합에 의해 만들어지는 패널몸체(12)의 내부 공간으로 주입된다. 물론,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200)는 단열재를 주입하기 전에 미리 조립 패널 내부에 설치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조립패널들은 이웃하는 측면 프레임들(130)이 밀착된 상태에서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200)에 삽입된 나사와 같은 파스너(20)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200)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 며, 그 설치 위치는 제작 과정에서 임의로 설정하고 변경할 수 있다.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200)는 제1끝단(220)이 전면판(110)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제2끝단(230)이 측면 프레임(130)에 형성된 제2관통공(132)에 위치된다. 전면판(110)에는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200)의 제1끝단(220)과 마주하는 위치에 제1관통공(112)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제1관통공(112)은 조립 패널 제조 공장에서 출하시에 형성하거나 또는 조립 패널을 시공하는 현장 작업자가 제2관통공(132)의 위치와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200)의 길이 등을 따져서 형성할 수 도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측면 프레임(130)들은 패널(10)들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벽체가 만들어지도록 암수 결합을 위한 오목한(또는 볼록함) 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판(110)과 후면판(120)은 금속 소재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6은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200)는 이웃하는 조립패널과의 파스너(20) 체결을 위한 것으로,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200)는 조립 패널(10)의 전면판(110)으로부터 측면 프레임(130)으로 파스너(20)를 안내하는 통로(240)가 제공된다.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2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단면 형상이 원형인 통로(240)를 갖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210)로 이루어지는데, 몸체(210)의 제1끝단(220)은 전면판(110)과 인접하게 위치되고, 몸체(210)의 제2끝단(230)은 측면 프레임(13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특히, 몸체(210)의 제2끝단은 측면 프레임(130)에 형성된 제2관통공(132)에 위치된다. 도면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몸체(210)의 제1끝단(220)과 제2끝단(230)은 서로 수직하다.
한편, 몸체(210)의 제1끝단(220)에는 파스너(20)를 삽입할 수 있는 크기의 제1개구(222)가 형성되고, 몸체(210)의 제2끝단(230)에는 파스너(20)의 나사부(24)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1개구(222)보다 작은 제2개구(232)가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210)에는 제1개구(222)로부터 제2개구(232)까지 파스너(20)의 이동을 위한 통로(240)가 형성된다.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200)의 몸체(210)는 제1끝단(220)과 제2끝단(230) 사이에 직선부(214)와 라운드진 곡선부(212)를 갖는다. 곡선부(212)는 제1끝단(220)과 가깝게 제공되고, 직선부(214)는 제2끝단(230)에 가깝게 위치된다. 직선부(214)에는 직선 통로(244)가 제공되고, 곡선부(212)에는 곡선 통로(242)가 제공된다. 특히, 직선부(214)에 해당되는 통로(244)는 곡선부(212)에 해당되는 통로(242)보다 좁게 형성됨으로써, 직선부(214)에서는 파스너(20)의 위치 틀어짐이 적게 발생되고 따라서 파스너(20)의 나사부(24)가 제2개구(232)에 쉽게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조립 패널(10)에 사용되는 파스너(20)는 육각 머리부(22)와 나사부(24)로 이루어지며, 육각 머리부(22)에는 육각 머리부(22)보다 넓은 원판형의 와셔부(26)를 갖는다. 와셔부(26)는 직선부(214)의 직선 통로(244)와 거의 동일한 지름을 갖음으로써, 육각 머리부(22)가 통로의 내측면에 닿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플렉시블 공구(30)(도 7c에 도시됨)의 육각홈이 있는 소켓(32)이 파스너(20) 의 육각 머리부(22)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 표시된 화살표에서와 같이,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200)는 파스너(20)가 삽입되는 방향(X)과 파스너가 체결되는 방향(Y)이 상이하기 때문에 몸체(210)에 곡선부(212)를 갖는 것이다. 한편, 몸체(210)는 제2관통구(132)에 삽입되는 삽입부(236)와, 측면 프레임(130)의 내측면에 면접하는 플랜지(234)를 갖는다.
도 7A 내지 도 7C는 조립 패널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동방식의 플렉시블 공구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전동방식이 아닌 수동방식의 플렉시블 공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패널(10)들의 측면 프레임(130)을 서로 맞붙인 상태에서 드릴 공구(미도시됨)를 이용하여 전면판(110)에 제1관통공(112)을 뚫어 놓는다. 그리고 파스너(20)를 제1관통공(112)을 통해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200)의 제1개구(222)로 밀어 넣는다. 그리고, 플렉시블 공구(30)의 소켓(32)을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200)의 통로(240)로 밀어 넣으면 소켓(32)이 파스너(20)를 곡선 통로(242)에서 직선 통로(244)의 끝단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파스너(20)가 직선 통로(244)에 진입하게 되면 직선 통로(244)의 공간이 좁아지기 때문에 플렉시블 공구(30)의 소켓(32)에 파스너(20)의 육각 머리부(22)가 자연스럽게 끼워지게 되고, 결국 파스너(20)의 나사부(24)가 직선 통로(244)와 수평하게 위치되면서 제2개구(232)에 삽입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플렉시블 공구(30)를 작동시키면 구동부(34)의 회전력이 플렉시블 케이블(36)을 통해 소켓(32)으로 전달되면서 소켓(32)이 회전되고, 따라서 파스너(20)가 회전하면서 인접한 조립 패널(10)의 측면 프레임(130)을 파고 들어가면서 체결된다. 최종적으로 플렉시블 공구(30)를 제거하고 제1관통공(112)에 캡(400)을 끼워 넣으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 패널(10)은 종전의 고리 방식이 아닌 파스너(나사) 체결 방식으로 패널들의 결합 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체결 위치를 서로 맞추지 않아도 패널들의 연결 설치 작업이 가능하다. 특히, 파스너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깨끗한 벽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용 조립 패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용 조립 패널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용 조립 패널이 다른 패널에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6은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조립 패널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
210 : 몸체
220 : 일단
222 : 제1개구
230 : 타단
232 : 제2개구
240 : 통로

Claims (15)

  1. 삭제
  2. 건축용 조립 패널에 있어서:
    내장재가 충진되는 내부 공간을 갖도록 전면판과 후면판 그리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의 측면을 둘러싸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육면체 형상의 패널몸체; 및
    상기 전면판으로부터 상기 측면 프레임까지 파스너(fastener)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패널몸체 내에 설치되는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는
    상기 통로를 갖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양끝단 중에 하나인 제1끝단은 상기 통로의 입구인 제1개구를 갖으며 상기 전면판에 위치되고,
    상기 몸체의 양끝단 중에 다른 하나인 제2끝단은 상기 통로의 출구인 제2개구를 갖으며 상기 측편 프레임에 위치되며,
    상기 몸체는 양끝단 사이에 곡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 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는 상기 파스너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으며,
    상기 제2개구는 상기 파스너의 나사부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 패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과 상기 측면 프레임은 서로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 패널.
  5. 건축용 조립 패널에 있어서:
    내장재가 충진되는 내부 공간을 갖도록 전면판과 후면판 그리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의 측면을 둘러싸는 측면 프레임;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되고, 이웃하는 패널과의 파스너 체결을 위한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는
    상기 전면판과 인접한 제1끝단에 파스너 삽입을 위한 제1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과 인접한 제2끝단에 파스너의 나사부가 상기 이웃하는 패널에 체결될 수 있도록 파스너의 나사부가 관통되는 제2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로부터 상기 제2개구까지 파스너의 이동을 위한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 패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는
    파이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 패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은
    재1관통구를 갖으며, 상기 제1관통구를 상기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의 제1끝단과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은
    제2관통구를 갖으며, 상기 제2관통구는 상기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의 제2끝단과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 패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는
    상기 제2관통구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측면 프레임의 내측면에 면접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 패널.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는 나사 또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 패널.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는
    상기 제1끝단과 상기 제2끝단 사이에 곡선부분과, 상기 곡선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직선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곡선부분은 상기 직선부분에 비해 상기 전면판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 패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부분에 해당되는 통로의 단면적은 상기 곡선부분에 해당되는 통로의 단면적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 패널.
  12. 삭제
  13. 건축용 조립 패널에 있어서:
    제1관통공을 갖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후면판;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제2관통공을 갖는 측면 프레임;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을 연결하는 그리고 파스너(fastener)가 통과하는 통로를 갖는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 체결용 안내부재는
    파스너가 투입되는 제1개구를 갖고 상기 전면판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1끝단;
    파스너의 나사부가 통과하는 제2개구를 갖고 상기 측면 프레임의 외측면으로 노출되는 제2끝단; 및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그리고 상기 제1개구를 통해 삽입된 파스너가 상기 타단까지 이동되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 패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파스너의 방향을 바뀌기 위해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라운드진 통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 패널.
  15. 제5항의 건축용 조립 패널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개구와 마주하는 상기 전면판에 파스너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제1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파스너를 상기 제1관통공을 통해 파스너 체결용 안내부재의 제1개구로 삽입하는 단계;
    플렉시블한 공구를 상기 제1개구에 삽입하여 상기 파스너를 제2개구까지 밀어넣는 단계; 및
    플렉시블한 공구를 회전시켜 파스너의 나사부를 제2개구를 통해 이웃하는 부재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 패널의 설치 방법.
KR1020090014539A 2009-02-20 2009-02-20 건축용 조립 패널 및 이의 설치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58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539A KR100958387B1 (ko) 2009-02-20 2009-02-20 건축용 조립 패널 및 이의 설치 방법
JP2010036426A JP2010196465A (ja) 2009-02-20 2010-02-22 建築用組立パネル及びこれの設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539A KR100958387B1 (ko) 2009-02-20 2009-02-20 건축용 조립 패널 및 이의 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387B1 true KR100958387B1 (ko) 2010-06-08

Family

ID=42369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539A Expired - Fee Related KR100958387B1 (ko) 2009-02-20 2009-02-20 건축용 조립 패널 및 이의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0196465A (ko)
KR (1) KR1009583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300B1 (ko) 2014-01-10 2014-10-22 주식회사 한남냉동산업 화스너 조립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53244A (zh) * 2023-04-07 2023-06-13 浙大城市学院 一种装配式墙体智能定向吊装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9289A (ja) * 1995-08-07 1997-02-18 Misawa Homes Co Ltd 貫通孔を有する建築用パネル
JPH09195493A (ja) * 1996-01-19 1997-07-29 Misawa Homes Co Ltd 外壁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300B1 (ko) 2014-01-10 2014-10-22 주식회사 한남냉동산업 화스너 조립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96465A (ja) 201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65545B1 (en) Heat exchange device
KR100958387B1 (ko) 건축용 조립 패널 및 이의 설치 방법
KR20180000560U (ko)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 장치
JP2008082648A (ja) 断熱パネルの接続構造
JP2017057603A (ja) 外装構造
JP2016223190A (ja) 貫通孔カバー、及び区画貫通孔の防火構造
WO2016125211A1 (ja) パネルの接合構造
JP5232995B2 (ja) プレハブ式建築物のパネル連結手段
JP5156425B2 (ja) 断熱パネル
KR101453300B1 (ko) 화스너 조립 패널
KR101968121B1 (ko) 간격유지부재와 주입기를 이용한 내벽 단열재 시공방법
KR20140011581A (ko) 내외장 단열패널 시공방법과 그에 사용되는 하지 프레임 및 내,외장 단열패널
KR101709707B1 (ko) 냉동 및 냉장 창고용 칸막이 패널 설치구조
KR101738662B1 (ko) 건축물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277274Y1 (ko) 단열패널
CN215001890U (zh) 空调
JP6145037B2 (ja) 断熱開口部の開口枠および開口枠の組付け方法
KR101536352B1 (ko) 단열패널 고정철물 및 그를 이용한 단열패널 시공방법
KR101665305B1 (ko) 건물 외벽용 루버
KR102410593B1 (ko) 밀착체결구조를 가지는 단열패널 및 이에 사용되는 측면프레임
KR100367309B1 (ko) 단열 패널 및 패널조립체의 제조방법
JP2010090636A (ja) 平板状パネルの取付具、平板状パネルの取付構造
JP4895746B2 (ja) 断熱パネルの接続構造
CN219572386U (zh) 冰箱
KR102450494B1 (ko) 진공을 이용한 단열재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3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2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905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6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5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4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