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285B1 - 키 입력 유닛을 구비한 디지털 처리 장치 및 키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키 입력 유닛을 구비한 디지털 처리 장치 및 키 입력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58285B1 KR100958285B1 KR1020080065961A KR20080065961A KR100958285B1 KR 100958285 B1 KR100958285 B1 KR 100958285B1 KR 1020080065961 A KR1020080065961 A KR 1020080065961A KR 20080065961 A KR20080065961 A KR 20080065961A KR 100958285 B1 KR100958285 B1 KR 1009582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r
- key button
- unit
- base
- mov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ECAHXYUAAWDEL-UHFFFAOYSA-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N.C=CC1=CC=CC=C1 XECAHXYUAAWD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1 electrolumin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49 size re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44)
- 이동 방향에 따른 사용자 조작 명령이 입력되도록 하는 키 버튼 유닛으로서,상기 키 버튼 유닛의 중심 위치에 고정되는 베이스;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수평면에 평행하도록 평행 이동하는 슬라이더;상기 슬라이더가 평행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및상기 슬라이더의 평행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고, 평행 이동된 상기 슬라이더가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원 처리부를 포함하되,상기 복원 처리부는,C자형으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의 외부 측면을 동시에 감싸는 와이어; 및상기 와이어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이동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빗면을 따라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가 수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한 상기 키 버튼 유닛의 수직 이동을 감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에 결합되는 정보 판을 더 포함하는 키 버튼 유닛.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정보 판은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PCB(Printed Circuit Board), FPC(Flexible Printed Circuit)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베이스의 대응하는 모서리 위치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에 각각 형성된 C자 홈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를 동시에 감싸는 와이어; 및상기 와이어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이동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 제1항에 있어서,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 주위부에 이격적으로 배치되는 n(임의의 자연수)개의 센서를 더 포함하는 키 버튼 유닛.
- 제7항에 있어서,상기 n개의 센서는 상기 슬라이더의 평행 이동에 따른 와이어의 늘어남을 감지한 이동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의해 동작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베이스의 중심부는 외곽부에 비해 높게 형성되고,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 홈에 상기 중심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 제9항에 있어서,상기 복원 처리부는 상기 중심부의 외측 주위부 및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 주위부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중심부의 외측 주위부 또는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 주위부에 이격적으로 배치되는 n(임의의 자연수)개의 센서를 더 포함하는 키 버튼 유닛.
- 제7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센서는 접촉 센서, 압력 센서, 거리 감지 센서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상기 이동 감지부는 택트 스위치, 장력(tension) 감지기, 가변 저항기, 탄성을 가지는 터미널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상기 와이어는 신율(伸率, 늘어나는 비율)이 0(zero)이거나 소정 값 이하로 제한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 제7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상기 키 버튼 유닛의 수직 방향 이동에 따른 누름 상태를 감지하는 누름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상기 n개의 센서는 누름 감지부의 누름 상태 감지 신호 출력에 의해 동작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 제7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상기 키 버튼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키 버튼 덮개; 및상기 키 버튼 덮개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포함하되,상기 n개의 센서는 터치 감지부의 터치 상태 감지 신호 출력에 의해 동작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슬라이더의 외곽부 소정 개소에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키 버튼 덮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슬라이더의 외곽부 소정 개소에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는 키 버튼 덮개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슬라이더의 외곽부 소정 개소에 구멍(hole) 또는 돌기와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키 버튼 덮개가 배치되며, 상기 키 버튼 덮개 하부에 형성된 돌기부 또는 구멍이 상기 슬라이더의 구멍 또는 돌기와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 사이의 소정 개소에 배치되는 외측 수평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키 버튼 유닛.
- 제20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중심부 사이의 소정 개소에 배치되는 내측 수평 베어링을 더 포함하되,상기 내측 수평 베어링과 상기 외측 수평 베어링은 각각 상기 중심부를 기준하여 상이한 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 제21항에 있어서,상기 베이스 하부에는 상기 내측 수평 베어링, 상기 외측 수평 베어링,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 베어링 중 하나 이상이 이동 후 원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자석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 이동 방향에 따른 사용자 조작 명령이 입력되도록 하는 키 버튼을 구비한 디지털 처리 장치로서,키 버튼 유닛; 및상기 키 버튼 유닛으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센싱 신호를 출력한 하나 이상의 센서의 배치 위치의 역 방향 또는 벡터 합의 역 방향을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으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상기 키 버튼 유닛은,상기 키 버튼 유닛의 중심 위치에 고정되는 베이스;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수평면에 평행하도록 평행 이동하는 슬라이더;상기 슬라이더가 평행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및상기 슬라이더의 평행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고, 평행 이동된 상기 슬라이더가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원 처리부를 포함하고,상기 복원 처리부는,C자형으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의 외부 측면을 동시에 감싸는 와이어; 및상기 와이어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이동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베이스의 대응하는 모서리 위치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 주위부에 이격적으로 배치되는 n(임의의 자연수)개의 센서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복원 처리부는,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에 각각 형성된 C자 홈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를 동시에 감싸는 와이어; 및상기 와이어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이동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빗면을 따라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가 수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한 상기 키 버튼 유닛의 수직 이동을 감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에 결합되는 정보 판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베이스의 중심부는 외곽부에 비해 높게 형성되고, 고리 형상으로 형성 된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 홈에 상기 중심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 제29항에 있어서,상기 복원 처리부는 상기 중심부의 외측 주위부 및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 주위부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 제29항에 있어서,상기 중심부의 외측 주위부 또는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 주위부에 이격적으로 배치되는 n(임의의 자연수)개의 센서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 제25항에 있어서,상기 n개의 센서는 상기 슬라이더의 평행 이동에 따른 와이어의 늘어남을 감지한 이동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의해 동작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이동 감지부는 택트 스위치, 장력(tension) 감지기, 가변 저항기, 탄성을 가지는 터미널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와이어는 신율(伸率, 늘어나는 비율)이 0(zero)이거나 소정 값 이하로 제한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 제25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상기 키 버튼 유닛의 수직 방향 이동에 따른 누름 상태를 감지하는 누름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상기 n개의 센서는 누름 감지부의 누름 상태 감지 신호 출력에 의해 동작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 제25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상기 키 버튼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키 버튼 덮개; 및상기 키 버튼 덮개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상기 n개의 센서는 터치 감지부의 터치 상태 감지 신호 출력에 의해 동작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디지털 처리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슬라이더의 외곽부 소정 개소에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키 버튼 덮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슬라이더의 외곽부 소정 개소에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는 키 버튼 덮개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슬라이더의 외곽부 소정 개소에 구멍(hole) 또는 돌기와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키 버튼 덮개가 배치되며, 상기 키 버튼 덮개 하부에 형성된 돌기부 또는 구멍이 상기 슬라이더의 구멍 또는 돌기와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 사이의 소정 개소에 배치되는 외측 수평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 제40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중심부 사이의 소정 개소에 배치되는 내측 수 평 베어링을 더 포함하되,상기 내측 수평 베어링과 상기 외측 수평 베어링은 각각 상기 중심부를 기준하여 상이한 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 제41항에 있어서,상기 베이스 하부에는 상기 내측 수평 베어링, 상기 외측 수평 베어링,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 베어링 중 하나 이상이 이동 후 원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자석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5961A KR100958285B1 (ko) | 2008-07-08 | 2008-07-08 | 키 입력 유닛을 구비한 디지털 처리 장치 및 키 입력 방법 |
CN2009801267483A CN102090048B (zh) | 2008-07-08 | 2009-04-03 | 按键输入单元和按键输入方法 |
US12/999,373 US8947269B2 (en) | 2008-07-08 | 2009-04-03 | Key input unit and key input method |
PCT/KR2009/001733 WO2010005159A1 (ko) | 2008-07-08 | 2009-04-03 | 키 입력 유닛 및 키 입력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5961A KR100958285B1 (ko) | 2008-07-08 | 2008-07-08 | 키 입력 유닛을 구비한 디지털 처리 장치 및 키 입력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5872A KR20100005872A (ko) | 2010-01-18 |
KR100958285B1 true KR100958285B1 (ko) | 2010-05-19 |
Family
ID=4150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6596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58285B1 (ko) | 2008-07-08 | 2008-07-08 | 키 입력 유닛을 구비한 디지털 처리 장치 및 키 입력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947269B2 (ko) |
KR (1) | KR100958285B1 (ko) |
CN (1) | CN102090048B (ko) |
WO (1) | WO201000515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294218A (zh) * | 2012-02-22 | 2013-09-11 | 深圳市祈飞科技有限公司 | 一种模拟键盘输入方法及装置 |
KR101499614B1 (ko) * | 2012-12-27 | 2015-03-09 | 정다운 | 이중 자석과 볼 베어링을 이용하여 미세처짐과 오타를 방지하는 슬라이드 입력장치. |
CN106301324B (zh) * | 2015-06-05 | 2023-05-09 | 深圳纽迪瑞科技开发有限公司 | 压力感应按键结构及具有该压力感应按键结构的终端设备 |
CN106251848A (zh) * | 2016-09-30 | 2016-12-21 | 无锡吾成互联科技有限公司 | 一种钢琴弹奏音准的检测装置 |
AU2017424920B2 (en) | 2017-07-27 | 2023-05-18 | Razer (Asia-Pacific) Pte. Ltd. | Slide button actuators |
USD902010S1 (en) * | 2018-09-28 | 2020-11-17 | Schneider Electric (Australia) Pty Ltd | Release key ID |
WO2021075608A1 (ko) * | 2019-10-18 | 2021-04-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CN110957160B (zh) * | 2019-12-17 | 2021-12-24 | 上海摩勤智能技术有限公司 | 一种终端侧按键的安装结构 |
CN113726947B (zh) * | 2020-05-26 | 2022-09-09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语音通话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0400A (ko) * | 2001-07-27 | 2003-02-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
KR200329499Y1 (ko) | 2003-07-15 | 2003-10-10 | 조원형 |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
KR20040068514A (ko) * | 2004-06-18 | 2004-07-31 | 박노수 | 휴대단말기용 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
JP2007052777A (ja) * | 2005-08-12 | 2007-03-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摺動方式の入力装置及び前記入力装置を備えた携帯用機器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67199A (en) * | 1992-05-01 | 1994-11-22 | Triax Technologies | Sliding contact control switch pad |
EP1202311B1 (en) * | 2000-10-31 | 2007-05-09 | Hosiden Corporation | Slide switch |
JP4604423B2 (ja) * | 2001-08-03 | 2011-01-05 | 日本電気株式会社 | 入力装置、それを備えた電子装置、および入力方法 |
EP1433123A1 (en) * | 2001-09-04 | 2004-06-30 | Ziad Badarneh | Operating device for controlling functions in electronic equipment |
JP4108401B2 (ja) * | 2002-07-26 | 2008-06-25 | 日本電気株式会社 | 入力装置及び移動端末 |
US20090009472A1 (en) * | 2004-06-18 | 2009-01-08 | No-Soo Park | Data 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Pda Thereby |
US20060286405A1 (en) * | 2005-06-17 | 2006-12-21 | Eastman Kodak Company | Organic element for low voltage electroluminescent devices |
MX2009000791A (es) * | 2006-07-26 | 2009-04-27 | Eui-Jin Oh | Dispositivo de introduccion de caracteres y su metodo. |
KR101099030B1 (ko) * | 2008-03-19 | 2012-01-16 | 주식회사 자코드 |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
-
2008
- 2008-07-08 KR KR1020080065961A patent/KR10095828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
- 2009-04-03 CN CN2009801267483A patent/CN10209004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4-03 WO PCT/KR2009/001733 patent/WO201000515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4-03 US US12/999,373 patent/US894726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0400A (ko) * | 2001-07-27 | 2003-02-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
KR200329499Y1 (ko) | 2003-07-15 | 2003-10-10 | 조원형 |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
KR20040068514A (ko) * | 2004-06-18 | 2004-07-31 | 박노수 | 휴대단말기용 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
JP2007052777A (ja) * | 2005-08-12 | 2007-03-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摺動方式の入力装置及び前記入力装置を備えた携帯用機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090048B (zh) | 2013-11-20 |
CN102090048A (zh) | 2011-06-08 |
KR20100005872A (ko) | 2010-01-18 |
US20110095917A1 (en) | 2011-04-28 |
WO2010005159A1 (ko) | 2010-01-14 |
US8947269B2 (en) | 2015-0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8285B1 (ko) | 키 입력 유닛을 구비한 디지털 처리 장치 및 키 입력 방법 | |
EP2820590B1 (en) | Key strike determination for pressure sensitive keyboard | |
US10452174B2 (en) | Selective input signal rejection and modification | |
JP5731466B2 (ja) | タッチ表面の端部領域におけるタッチ接触の選択的拒否 | |
US20110193787A1 (en) | Input mechanism for providing dynamically protruding surfaces for user interaction | |
US8816978B2 (en) | Seesaw touchpad with horizontal direction hinge | |
US20110087963A1 (en) | User Interface Control with Edge Finger and Motion Sensing | |
JP2001216084A (ja) | データ入力装置 | |
US20090033620A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ouch Pad Device for the Same | |
WO2009071743A1 (en) | A user interface | |
WO2010144760A1 (en) | Data entry-enhancing touch screen surface | |
US20160253064A1 (en) | Electronic device | |
US11836297B2 (en) | Keyboard with capacitive key position, key movement, or gesture input sensors | |
JPH04125723A (ja) | ポインティング制御装置 | |
KR20100005889A (ko) | 키 입력 유닛을 구비한 디지털 처리 장치 및 키 입력 방법 | |
KR100909546B1 (ko) | 포인팅 디바이스 | |
KR101272340B1 (ko) |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
KR20090125403A (ko) | 키 입력 유닛을 구비한 디지털 처리 장치 및 키 입력 방법 | |
HK1201094A1 (en) | Pointing device for interacting with touch-sensitive devices and method thereof | |
HK1201094B (zh) | 用於與觸敏設備交互的定點裝置以及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3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