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56514B1 - 보관함 - Google Patents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514B1
KR100956514B1 KR1020080047081A KR20080047081A KR100956514B1 KR 100956514 B1 KR100956514 B1 KR 100956514B1 KR 1020080047081 A KR1020080047081 A KR 1020080047081A KR 20080047081 A KR20080047081 A KR 20080047081A KR 100956514 B1 KR100956514 B1 KR 100956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torage case
storage
storage box
rot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1002A (ko
Inventor
박혜정
Original Assignee
박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혜정 filed Critical 박혜정
Priority to KR1020080047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514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51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ylindric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45Rigid or semi-rigid luggage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ble elements which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5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interchangeable elements forming the storage space, e.g. mod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with several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둘레면에 수직방향으로 노출되게 형성된 회전홈(11)을 갖춘 본체(10)와; 상면이 개구된 수납부(21)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회전홈(g)을 갖추고서, 수납부(21)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본체(10)의 회전홈(11)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부(22)를 구비한 수납케이스(20)와; 수납케이스(20)를 구성하는 수납부(21)의 개구면을 개폐하는 덮개부(31)와, 수납케이스(20)를 구성하는 회전부(22)의 회전홈(g)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s)을 갖추고서, 덮개부(31)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수납케이스(20)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부(32)를 구비한 캡(30)으로 이루어져,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하여 물품을 보관할 수 있으며, 수납케이스만 별도로 분리하여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관함{Keeping case}
본 발명은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보석류, 장식류와 같은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보관함이 이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보관함은 보통 사각형상을 갖는 서랍식으로 제조되어, 서랍 안에 물품 등을 넣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서랍 안에 물품을 넣을 시, 보통 사용자는 물품의 구별 없이 마구잡이로 물품을 넣는다. 따라서, 후에 사용자가 물품을 찾으려면 오랜 시간이 걸리고, 물품을 찾다 다른 물품까지 섞어져, 많은 물품이 섞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더욱더 찾고자 하는 물품을 찾기 어렵게 된다.
또한, 종래의 보관함은 서랍과 보관함 본체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서랍만 별도로 분리하여 물품을 보관할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물품을 용도에 맞게 구별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수납케이스만 별도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보관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둘레면에 수직방향으로 노출되게 형성된 회전홈을 갖춘 본체와; 상면이 개구된 수납부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회전홈을 갖추고서, 수납부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본체의 회전홈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부를 구비한 수납케이스와; 수납케이스를 구성하는 수납부의 개구면을 개폐하는 덮개부와, 수납케이스를 구성하는 회전부의 회전홈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을 갖추고서, 덮개부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수납케이스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부를 구비한 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하단에 베이스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에 베이스판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저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밀착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에 상면으로 개구된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하여 물품을 보관할 수 있으며, 수납케이스만 별도로 분리하여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의 수납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착판이 설치된 본체의 저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은 본체(10)와,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수납케이스(20)와, 수납케이스(20)를 개폐하는 캡(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수직으로 형성된 다수의 회전홈(11)이 본체(10)의 외면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회전홈(11)의 내면은 원형으로 라운드 진다.
상기 수납케이스(20)는 원기둥 형상으로, 내부에 상면이 개구된 수용부(21a)가 형성된 수납부(21)와, 수납부(21)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부(22)로 구성되어, 본체(10) 외면에 다수 개가 다단으로 설치된다.
상기 회전부(22)는 판 형상으로 수납부(21)의 외면에 고정되는 이음부(22a)와, 이음부(22a)의 선단에 구비되어 이음부(22a) 보다 더 큰 폭을 갖는 원기둥 형 상의 삽입부(22b)로 구성된다.
따라서, 회전부(22)의 삽입부(22b)가 본체(10)의 회전홈(11)에 수직으로 삽입되면, 회전부(22)는 회전홈(11)으로부터 빠지지 않으면서 회전홈(11)을 중심으로 본체(10)의 외면을 따라 회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부(22)의 삽입부(22b) 상면에는 수직으로 회전홈(g)이 형성된다.
상기 캡(30)은 원판형상으로 수납부(21)의 수용부(21a)를 덮는 덮개부(31)와, 덮개부(31)의 일측에 구비되는 연결부(32)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32)는 판 형상으로 덮개부(31)의 외면에 고정되는 이음부(32a)와, 이음부(32a)의 선단에 구비되어 이음부(32a) 보다 더 큰 폭을 갖는 원판 형상의 삽입부(32b)로 구성된다. 이때, 연결부(32)의 삽입부(32b) 하단에는 회전부(22)의 회전홈(g)에 삽입되는 회전축(s)이 구비되고, 덮개부(31)의 상면에는 캡(30)의 사용 편의를 위한 손잡이(H)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캡(30)을 매개로 수납부(21)의 수용부(21a)를 개폐할 수 있다. 이때, 캡(30)은 수평으로 회동되어 수납케이스(20)를 개폐하거나, 수납케이스(20)으로부터 삽탈되어 수납케이스(20)를 개폐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은 도 1에서와 같이 본체(10)의 저면에 밀착판(P)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밀팍판(P)은 본체(10)가 쉽게 미끄러져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돌부가 형성되거나 스크래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밀착판(P)이 고무재질로 사용될 경우 더 큰 미끄럼 방지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로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은, 본체(10)가 바닥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납케이스(20)의 회전부(22)를 본체(10)의 회전홈(11)에 끼워 넣어, 수납케이스(20)가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이후 또 다른 수납케이스(20)를 이전의 수납케이스(20) 상면에 배치되도록 설치하여, 다수의 수납케이스(20)가 다단을 이루도록 한다. 이때 최상단의 수납케이스(20)의 수용부(21a)는 캡(30)으로 덮는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체(10)의 외면을 따라 수납케이스(20)를 설치하면 도 1과 같이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보관함을 사용하려는 사용자는 최상단에 위치한 수납케이스(20)의 캡(30)을 연 후, 필요한 물품을 수납부(21)에 담거나 수납부(21)로부터 빼서 쓸 수 있다.
이때, 수납케이스(20)는 도 4와 같이 회동가능함으로, 위에 위치한 수납케이스(20)을 회동시킴으로써, 아래에 위치한 수납케이스(20)이 수용부(21a)를 개방하여 필요한 물품을 빼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관함은 수납케이스(20)만 별도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수납케이스(20)을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수납케이스(20)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단면도로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은, 사각패널 형상의 베이스판(B)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판(B)은, 본체(10)에 수납케이스(20)가 설치된 면적보다 더 큰 면적을 가져, 본체(10)가 좌우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판(B)의 저면에는 사각패널 형상의 밀착판(P')이 설치되어, 베이스판(B)이 바닥으로부터 쉽게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밀팍판(P')은 본체(10)가 쉽게 미끄러져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돌부 또는 스크래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밀착판(P')이 고무재질로 사용될 경우 더 큰 미끄럼 방지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베이스판(B)에 탈부착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본체(10)의 저면에 고정축 또는 홈을 형성하고 베이스판(B)의 상면에 홈 또는 고정축을 형성하여, 본체(10)를 베이스판(B)으로부터 탈부착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보관함을 사용하지 않을 시는 본체(10), 수납케이스(20) 및 베이스판(B)을 각각 분리하여 별도로 마련된 저장 케이스에 보관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보관함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은, 본체(10) 내부에 상면이 개구된 수용부(12)가 형성되고, 수용부(12)를 개폐하는 커버(C)가 더 구비될 수 있 다.
따라서, 본체(10)의 수용부(12)에 물품을 보관한 후 커버(C)를 덮어 물품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커버(C)의 상면에는 커버(C)의 사용 편의를 위한 손잡이(H')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수용부(12)에는 화분 또는 기타 장식물을 설치하여, 보관함의 미관을 아름답게 할 수도 있다. 그뿐 아니라 보관함의 본체(10)를 화분 자체로 사용할 수도 있어, 수용부(12)에 화초를 심을 수 있으며, 수납케이스(20)에 모종삽과 같은 공구를 보관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은, 최하단에 위치한 수납케이스(20)가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본체(10)의 회전홈(11)이 본체(10) 저면으로 개구되지 않도록 한 후, 다수의 수납케이스(20)를 본체(10)에 설치하면 최하단의 수납케이스(20)가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다.
따라서, 최하단의 수납케이스(20)를 사용할 시 바닥과의 마찰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의 본체(10)는 중심부에 원기둥 형상을 갖는 중심체(10a)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호 형상의 다수의 수납부(10b~10e)가 중심체(10a)를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중심체(10a)에 연결되며, 수납부(10b~10e)의 외면에 다수의 수납케이스(20)가 각각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체(10)는, 중심체(10a)의 저면에 홈이 형성되고 베이스판(B)에 홈에 삽입되는 회전축이 구비되거나, 중심체(10)의 저면에 회전축이 구비되고 베이스판(B)에 홈이 형성되어, 방향의 간섭을 받지 않으며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의 중심체(10a)는 상하로 개구된 관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은, 다수의 수납케이스(20)가 본체(10)에 다단으로 설치되되, 각각의 수납케이스(20)가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좁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본체(10)와 수납케이스(20)의 형상을 원기둥 형상으로 함으로써, 각각의 수납케이스(20)가 회동할 시 본체(10)로부터 최소한의 간섭을 받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은, 베이스판(B)을 본체(10)의 저면에 설치하여, 안정적으로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베이스판(B)의 저면에 밀착판(P')을 구비하여, 보관함이 더욱더 안정적으로 바닥에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에서는 본체(10)에 네 개의 회전홈(11)이 형성된 걸로 하였지만, 본체(10)의 직경에 따라 회전홈(11)의 수를 조절하여, 수납케이스(20)의 설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체(10) 및 수납케이스(20)의 형상을 원기둥 형상으로 하였지만, 다각기둥 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수납케이스(20)를 다단이 아닌 일단으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의 수납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착판이 설치된 본체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10; 본체 10a; 중심체
10b~10e; 수납부 11; 회전홈
12; 수용부 20; 수납케이스
21; 수납부 21a; 수용부
22; 회전부 22a; 이음부
22b; 삽입부 30; 캡
31; 덮개부 32; 연결부
32a; 이음부 32b; 삽입부
B; 베이스판 C; 커버
H,H'; 손잡이 P,P'; 밀착판 g; 회전홈 s; 회전축

Claims (5)

  1. 둘레면에 수직방향으로 노출되게 형성된 회전홈(11)을 갖춘 본체(10)와;
    상면이 개구된 수납부(21)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회전홈(g)을 갖추고서, 수납부(21)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본체(10)의 회전홈(11)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부(22)를 구비한 수납케이스(20)와;
    수납케이스(20)를 구성하는 수납부(21)의 개구면을 개폐하는 덮개부(31)와, 수납케이스(20)를 구성하는 회전부(22)의 회전홈(g)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s)을 갖추고서, 덮개부(31)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수납케이스(20)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부(32)를 구비한 캡(3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의 하단에 베이스판(B)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
  3. 제2항에 있어서,
    본체(10)에 베이스판(B)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10)의 저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밀착판(P,P')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
  5. 제4항에 있어서,
    본체(10)에 상면으로 개구된 수용부(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
KR1020080047081A 2008-05-21 2008-05-21 보관함 Expired - Fee Related KR100956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081A KR100956514B1 (ko) 2008-05-21 2008-05-21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081A KR100956514B1 (ko) 2008-05-21 2008-05-21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002A KR20090121002A (ko) 2009-11-25
KR100956514B1 true KR100956514B1 (ko) 2010-05-06

Family

ID=41604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08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56514B1 (ko) 2008-05-21 2008-05-21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5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243B1 (ko) * 2016-06-22 2016-09-12 이종문 회전 칸막이를 구비한 가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739A (ko) 2018-10-13 2020-04-22 이호열 하루 영양소 어플리케이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670Y1 (ko) 1998-02-17 2000-04-01 서경배 수납식 화장품 용기
KR200403707Y1 (ko) 2005-09-29 2005-12-12 조성일 다종 소물품 보관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670Y1 (ko) 1998-02-17 2000-04-01 서경배 수납식 화장품 용기
KR200403707Y1 (ko) 2005-09-29 2005-12-12 조성일 다종 소물품 보관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243B1 (ko) * 2016-06-22 2016-09-12 이종문 회전 칸막이를 구비한 가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002A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13493B (zh) 行李箱、手提箱、拉杆箱及类似物类型的容器
US7878337B2 (en) Multi-chamber container
US6595609B1 (en) Jewelry chest and box with slidable features
US9420860B2 (en) Hair accessory and jewelry organizer
US20090071867A1 (en) Cosmetic compact with built-in sliding and interactive double base
KR100956514B1 (ko) 보관함
US20080223801A1 (en) Food storage container organizer
US20040188275A1 (en) Hidden compartment jewelry box
KR200442207Y1 (ko) 멀티 팔레트와 다이얼 회전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US10703536B2 (en) Stackable storage device for footwear
US20070125681A1 (en) Decorative multi-compartment storage system and furnishing
KR20090006821U (ko) 화장품수납트레이가 적층 형성된 다단용기
US20120187023A1 (en) Cosmetics container
KR100960079B1 (ko) 수납함
KR102478767B1 (ko) 천연 옻칠로 도장되는 다용도 수납함
US20140190510A1 (en) Makeup case with individual storage compartments
US20040155046A1 (en) Nail polish container
KR200167403Y1 (ko) 다용도소품보관함
WO2017152950A1 (en) Refrigerator having a movable shelf
CN221986168U (zh) 一种可以侧放小物件的陶瓷工艺品
KR200365580Y1 (ko) 진열대가 내장된 포장용 상자
KR200466013Y1 (ko) 구형 파우더 용기
KR102033308B1 (ko) 수용부가 구비된 경사진 덮개
KR200172670Y1 (ko) 수납식 화장품 용기
JP5756222B1 (ja) 小物入れ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4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4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