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56438B1 -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438B1
KR100956438B1 KR1020080064599A KR20080064599A KR100956438B1 KR 100956438 B1 KR100956438 B1 KR 100956438B1 KR 1020080064599 A KR1020080064599 A KR 1020080064599A KR 20080064599 A KR20080064599 A KR 20080064599A KR 100956438 B1 KR100956438 B1 KR 100956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bag
cover member
suction device
hollow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437A (ko
Inventor
전순이
안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로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로팩
Priority to KR1020080064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438B1/ko
Publication of KR20100004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43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닐봉투를 밀봉시켜 보관할 때 비닐봉투 내부를 용이하게 진공시켜 장시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는, 비닐봉투와, 상기 비닐봉투의 내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비닐봉투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비닐봉투 내부에 배치된 상기 베이스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비닐봉투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부에 유동로가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비닐봉투의 외부로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공이 형성된 중공 형상의 중공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중공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열융착에 의해 상기 비닐봉투의 내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비닐봉투의 내부의 공기는 상기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닐봉투, 흡입장치, 일체,

Description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 { AIR SUCTION APPARATUS WITH VINYL BAG }
본 발명은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닐봉투를 밀봉시켜 보관할 때 비닐봉투 내부를 용이하게 진공시켜 장시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비닐봉투용 밀봉장치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미국특허제3,141,221호 참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봉투용 밀봉장치는 긴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측봉(12)과, 상기 내측봉(12)을 감싸는 홀더(13)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13)에는 상기 내측봉(1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13)는 단면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밀봉장치를 이용하여 비닐봉투(B)를 밀봉하는 방법은, 먼저 상기 내측봉(12)을 상기 비닐봉투(B)의 개구부에 가까이 배치한 후, 상기 내측봉(12)을 감 싸도록 상기 비닐봉투(B)의 개구부를 접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13)가 상기 내측봉(12) 및 비닐봉투(B)를 감싸도록 끼운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내측봉(12)이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홀더(13)에 고정시키고, 상기 내측봉(12)과 홀더(13) 사이의 공간에 상기 비닐봉투(B)가 배치되도록 상기 비닐봉투(B)의 개구부를 접은 상태에서 상기 내측봉(12)과 홀더(13)를 상기 비닐봉투(B)에 밀어서 끼우도록 한다.
이때, 상기 홀더(13)에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비닐봉투(B)는 상기 끼움공을 통해 상기 내측봉(12)과 홀더(13) 사이에 배치되고, 개구부는 홀더(13)의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 비닐봉투(B)의 개구부에 인접한 부위가 상기 홀더(13)와 내측봉(12) 사이에 가압되면서 끼워져 있는바, 상기 비닐봉투(B)의 개구부는 밀봉되게 된다.
이때, 상기 홀더(13) 또는 내측봉(12)에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비닐봉투(B)를 더욱 가압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밀봉장치는 비닐봉투(B)를 단순히 밀봉하는 기능만 수행하기 때문에, 비닐봉투(B) 안에 있는 음식물 등을 장시간 보관할 경우 비닐봉투(B) 내부에 있는 공기에 의해 음식물 등이 상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닐봉투를 밀봉시켜 보관할 때 비닐봉투 내부를 용이하게 진공시켜 장시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는, 비닐봉투와, 상기 비닐봉투의 내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비닐봉투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비닐봉투 내부에 배치된 상기 베이스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비닐봉투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부에 유동로가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비닐봉투의 외부로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공이 형성된 중공 형상의 중공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중공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열융착에 의해 상기 비닐봉투의 내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비닐봉투의 내부의 공기는 상기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중공돌기가 삽입되는 중공원통형상의 끼움가스켓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끼움가스켓은 상기 커버부재의 저면까지 확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중공돌기의 외주면 둘레 또는 상기 끼움가스켓의 내주면 둘레 중 어느 하나에는 밀폐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밀폐돌기가 안착되는 밀폐홈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에는 다공질 필터가 배치된다.
상기 삽입공의 상부에는 상기 삽입공을 통해 상기 배출공으로 공기가 이동할 때에만 개방되는 체크밸브가 장착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상면에 장착된 상부가스켓이 배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베이스부재가 비닐봉투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서, 베이스부재와 비닐봉투 사이의 간극이 없으므로 비닐봉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때 진공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관통공에 다공질 필터가 배치되어 있어 비닐봉투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서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 고, 도 7은 도 6에서 진공펌프와 연결된 호스를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닐봉투(100)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는, 비닐봉투(100)와, 베이스부재(200)와, 커버부재(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비닐봉투(100)는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는 지퍼수단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베이스부재(200)는 상기 비닐봉투(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써, 지지부(210)와, 중공돌기(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21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비닐봉투(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부에 유동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10)는 상면이 상기 비닐봉투(100)의 내면에 열융착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위와 같이 상기 지지부(210)를 상기 비닐봉투(100)에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재(200)를 상기 비닐봉투(100)에 조립할 경우 상기 베이스부재(200)와 상기 비닐봉투(100) 사이의 존재하는 간극을 최소화하여 진공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중공돌기(220)는 중공원통형상으로 상기 지지부(2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중공돌기(220)는 상기 비닐봉투(100)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공(22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관통공(221)은 상기 지지부(210)의 하부와 상기 중공돌기(220)의 상부를 상호 연통시킨다.
상기 중공돌기(220)의 내부 즉 상기 관통공(221)에는 스펀지와 같은 다공질의 필터(230)가 배치된다.
상기 커버부재(300)는 상기 비닐봉투(100)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재(200)와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부재(300)를 제1커버부재(301)와 제2커버부재(302)로 분리하여 조립하였다.
상기 커버부재(300)에는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상기 중공돌기(220)가 삽입되는 삽입공(310)과, 상부에 상기 삽입공(310)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배출공(370)이 형성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1커버부재(301)의 하부에 상기 삽입공(3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커버부재(302)의 상부에 상기 배출공(37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3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중공돌기(220)가 삽입되어 접하는 중공원통형상의 끼움가스켓(32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끼움가스켓(320)의 지름은 상기 중공돌기(220)의 지름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여, 상기 끼움가스켓(320)의 내주면과 상기 중공돌기(220)의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끼움가스켓(320)은 상기 커버부재(300)의 저면과 비닐봉투(100) 사이를 보다 잘 밀폐시키기 위해 상기 커버부재(300)의 저면까지 확장되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공돌기(220)의 외주면 둘레에는 밀폐홈(2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가스켓(320)의 내주면 둘레에는 상기 밀폐홈(222)에 안착되는 밀폐돌기(3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폐돌기(322)가 상기 밀폐홈(222)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중공돌기(220)와 끼움가스켓(320) 사이의 간극을 통해 유출입될 수 있는 공기의 유동을 더욱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공돌기(220)의 외주면 둘레에 상기 밀폐돌기(322)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가스켓(320)의 내주면 둘레에 상기 밀폐홈(222)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300)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공(310)의 상부에 체크밸브(330)가 장착된다.
상기 체크밸브(330)는 상기 삽입공(310)을 통해 상기 배출공(370)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할 때에만 개방된다.
이러한 상기 체크밸브(330)는 상기 커버부재(300)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331)와, 상기 고정부(331)에 일단이 결합되어 유동함으로써 상기 삽입공(310)을 개폐하는 이동부(33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300)의 내부에는 상기 배출공(370)을 개폐하는 누름판(350)과, 상기 누름판(350)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340)과, 상기 누름판(350)의 상면에 장착된 상부가스켓(360)이 배치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베이스부재(200)가 일체로 결합된 비닐봉투(100)의 상부에 상기 커버부재(300)를 배치한다.
상기 베이스부재(200)의 중공돌기(220)를 상기 커버부재(300)의 삽입공(310)이 삽입시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200)와 커버부재(30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중공돌기(220)는 삽입공(310)에 장착된 끼움가스켓(320)에 끼워지게 되는데, 상기 끼움가스켓(320)의 지름은 상기 중공돌기(220)의 지름보다 약간 작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부재(200)와 커버부재(300)는 별도의 잠금장치없이 상기 베이스부재(200)와 커버부재(3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돌기의 내주면에 형성된 밀폐돌기(322)가 상기 중공돌기(2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밀폐홈(222)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중공돌기(220)와 끼움가스켓(320) 사이의 간극을 통해 유출입될 수 있는 공기를 더욱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닐봉투(100)에 음식물을 저장하고, 상기 비닐봉투(100)의 개구부를 지퍼수단을 이용하여 밀봉시키거나 열봉합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공(370)을 통해 별도의 진공펌프(미도시)와 연결된 호스(400)를 삽입한다.
상기 호스(400)의 삽입에 의해 상기 상부가스켓(360) 및 누름판(350)은 상기 스프링(340)을 가압하면서 하강한다.
그 후 상기 진공펌프를 작동시키면, 상기 체크밸브(330)의 이동부(332)는 상승하여 상기 삽입공(310)을 상기 커버부재(300)의 내부와 연통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비닐봉투(100)의 내부의 공기는 상기 관통공(221)과 삽입공(310)을 통해 상기 커버부재(300)로 유입되고, 이는 다시 상기 호스(400)를 통해 외부와 배출된다.
이때, 상기 비닐봉투(100)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은 상기 다공질 필터(230)에 의해 필터링되어 상기 커버부재(300) 내부 및 진공펌프로 이동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비닐봉투(100)의 진공이 완료되면, 상기 배출공(370)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호스(400)를 제거한다.
그러면, 압축되어 있던 상기 스프링(3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누름판(350) 및 상부가스켓(360)은 상기 배출공(370)을 폐쇄한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330)의 이동부(332)는 공기압의 차이로 인해 상기 삽입공(310) 방향으로 밀착되어 상기 삽입공(310)을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비닐봉투(10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음식물을 장시간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비닐봉투(100) 내부의 진공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비닐봉투(100)의 개구부를 밀봉하고 있는 지퍼수단을 개방하여 비닐봉투(1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닐봉투용 밀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3에서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진공펌프와 연결된 호스를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비닐봉투, 200 : 베이스부재, 210 : 지지부, 220 : 중공돌기, 221 : 관통공, 222 : 밀폐홈, 230 : 다공질 필터, 300 : 커버부재, 301 : 제1커버부재, 302 : 제2커버부재, 310 : 삽입공, 320 : 끼움가스켓, 322 : 밀폐돌기, 330 : 체크밸브, 331 : 고정부, 332 : 이동부, 340 : 스프링, 350: 누름판, 360 : 상부가스켓, 370 : 배출공, 400 : 호스,

Claims (6)

  1. 비닐봉투와;
    상기 비닐봉투의 내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비닐봉투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비닐봉투 내부에 배치된 상기 베이스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비닐봉투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부에 유동로가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비닐봉투의 외부로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공이 형성된 중공 형상의 중공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중공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열융착에 의해 상기 비닐봉투의 내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비닐봉투의 내부의 공기는 상기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삽입공의 상부에는 상기 삽입공을 통해 상기 배출공으로 공기가 이동할 때에만 개방되는 체크밸브가 장착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상면에 장착된 상부가스켓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중공돌기가 삽입되는 중공원통형상의 끼움가스켓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가스켓은 상기 커버부재의 저면까지 확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돌기의 외주면 둘레 또는 상기 끼움가스켓의 내주면 둘레 중 어느 하나에는 밀폐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밀폐돌기가 안착되는 밀폐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는 다공질 필터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
  6. 삭제
KR1020080064599A 2008-07-03 2008-07-03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56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599A KR100956438B1 (ko) 2008-07-03 2008-07-03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599A KR100956438B1 (ko) 2008-07-03 2008-07-03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437A KR20100004437A (ko) 2010-01-13
KR100956438B1 true KR100956438B1 (ko) 2010-05-06

Family

ID=41814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599A Expired - Fee Related KR100956438B1 (ko) 2008-07-03 2008-07-03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4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832B1 (ko) * 2012-07-26 2014-02-11 (주)써스텍 폐유체 저장조
CN110077712A (zh) * 2019-03-08 2019-08-02 湖南工业大学 一种抽真空保持真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965Y1 (ko) * 2002-07-16 2002-10-04 조명현 고온 유산발효용 배기 포장백
KR200357852Y1 (ko) * 2004-05-20 2004-07-31 한경태 압축팩용 흡입밸브
KR200439696Y1 (ko) * 2007-09-14 2008-04-28 김윤생 포장대의 가스배출용 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965Y1 (ko) * 2002-07-16 2002-10-04 조명현 고온 유산발효용 배기 포장백
KR200357852Y1 (ko) * 2004-05-20 2004-07-31 한경태 압축팩용 흡입밸브
KR200439696Y1 (ko) * 2007-09-14 2008-04-28 김윤생 포장대의 가스배출용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437A (ko)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754B1 (ko) 액체용기의 배출펌프
KR100986313B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KR20120074450A (ko) 진공청소기
KR100956438B1 (ko)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
KR100886414B1 (ko) 펌프가 구비된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20080001523U (ko) 적층식 진공보관장치
KR100852635B1 (ko) 진공클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
JP6770308B2 (ja) 圧縮収納袋用排気具
KR200446241Y1 (ko)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100660611B1 (ko) 자동식 진공포장기
KR200438382Y1 (ko) 진공클립장치
KR200447921Y1 (ko)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20090113157A (ko) 펌프가 구비된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20100124627A (ko)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KR200389425Y1 (ko) 노즐하우징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KR200408427Y1 (ko) 진공포장기
KR200389424Y1 (ko) 노즐하우징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KR200425464Y1 (ko) 상하 슬라이딩식 진공포장기
KR200427792Y1 (ko) 압축 비닐팩용 밸브
KR20090129290A (ko)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20100116501A (ko) 상하 슬라이드형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200441422Y1 (ko) 진공클립장치
KR20100005949A (ko) 유로형성부가 형성된 비닐봉투
KR20100004379A (ko) 펌프부재가 구비된 비닐봉투용 클립장치
KR200441425Y1 (ko) 진공클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912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4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4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