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318B1 - Buoyant Water Level Sensor - Google Patents
Buoyant Water Level Sens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55318B1 KR100955318B1 KR1020070110596A KR20070110596A KR100955318B1 KR 100955318 B1 KR100955318 B1 KR 100955318B1 KR 1020070110596 A KR1020070110596 A KR 1020070110596A KR 20070110596 A KR20070110596 A KR 20070110596A KR 100955318 B1 KR100955318 B1 KR 1009553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water level
- support
- difference
- level sen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5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5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echan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01F23/585—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echan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using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7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flo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의 양측 수위 차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부력식 수위 차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부력식 수위 차 감지장치는 보 또는 댐과 같은 구조물에 의해 상호 구획된 내수와 외수의 경계부에 마련된 현가수단과, 상기 현가수단에 설치된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내수와 외수에 각각 위치하여 내수와 외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 제2 수위감지부재와, 상기 내수와 외수의 수위 차에 따른 제1, 제2 수위감지부재의 높이 차를 감지하는 측정하는 센싱부재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ancy level difference detection device capable of quickly and accurately measuring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two sides of a beam, and the buoyancy level differenc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internal water partitioned by a structure such as a beam or a dam. First and second water level sensing members which are supported by a suspension means provided at the boundary of the external water, and a supporting member installed on the suspension means, respectively located in the internal water and the external water to sense the level of the internal water and the external water; It is provided with a sensing member for measuring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first, second water level sensing member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difference of the external water.
본 발명에 따른 부력식 수위 차 감지장치는 조수 간만의 차 또는 홍수와 같은 내수와 해수의 높이 차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수위차에 따른 수문의 개문 또는 폐문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buoyancy level differenc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accurately detect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water and the seawater such as the tidal wave or the flood, so that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water gate according to the level difference can be made quickly.
수문, 자동, 수위차 Water gate, automatic, water level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력식 수위 차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보의 양측 수위 차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부력식 수위 차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ancy level difference det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oyancy level difference detection device capable of quickly and accurately measuring the water level difference on both sides of a beam.
일반적으로 수문은 농수로, 하천, 콘크리트 보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수량에 따라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농경지의 침수를 방지하거나, 해수와 인접한 지역에서 해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In general, the sluice is installed in agricultural waterways, rivers and concrete beams, and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flowing in, thereby preventing flooding of farmland or preventing backflow of seawater in an area adjacent to the seawater.
특히 해수와 인접한 지역에 설치되는 수문은 해수와 내수를 구획하게 되는데, 강우와 같은 요인에 의해서 내수의 수량이 많아지면 농경지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 수문을 개방하여 내수의 수위를 낮추고, 해수측의 수위가 높은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해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수문을 닫는다. In particular, the water gate installed in the area adjacent to the seawater divides the seawater and the inland water. When the amount of the inland water increases due to factors such as rainfall, the water gate is opened to lower the water level of the seawater by preventing the flooding of farmland. When the water level is high, the water gate is closed to prevent the backflow of seawater as described above.
이렇게 해수와 인접한 지역에 설치되는 수문은 특히 수문의 개폐시점을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조수 간만의 차에 의해 해수의 수위가 주기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In this way, it is important to know the tim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luice in the area adjacent to the sea, because the water level changes periodically due to the tidal tide.
썰물일 때는 해수의 수위가 낮아 수문이 개방되어 있어도, 내수측으로 해수 가 유입되지 않지만, 밀물일 때는 해수측의 수위가 높아져 수문이 개문되어 있을 경우, 내수측으로 해수의 유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문의 개,폐문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수문의 개,폐문을 관리할 필요가 있었다.At low tide, even if the water gate is open due to low seawater level, the seawater does not flow into the inland side, but when the tide is high, the seawater level rises, so that the inflow of seawater occurs to the inland side. Therefore, it was necessary for the manager who manag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gate to pay attention to the manage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gate.
본 발명은 조수 간만의 차에 따른 해수와 내수측의 수위 차 또는 보나 댐을 경계로 양측의 수위가 다른 곳에 설치하여 수위 차를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는 부력식 수위 차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oyant water level difference detection device that can quickly measure the water level difference by installing the water level on both sides of the sea water and the water level difference or Bona Dam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 between tidal tide and water. There is a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식 수위 차 감지장치는 보 또는 댐과 같은 구조물에 의해 상호 구획된 내수와 외수의 경계부에 마련된 현가수단과, 상기 현가수단에 설치된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내수와 외수에 각각 위치하여 내수와 외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 제2 수위감지부재와, 상기 내수와 외수의 수위 차에 따른 제1, 제2 수위감지부재의 높이 차를 감지하는 센싱부재를 구비한다.The buoyancy level difference det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supported by a suspension means provid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water partitioned by a structure such as a beam or a dam, and a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suspension means. And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ater level sensing members positioned in the inner water and the outer water, respectively, and detecting the level of the inner water and the outer water, and the first and second water level sensing members according to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water and the outer water. A sensing member is provided.
상기 제1, 제2 수위감지부재는 수면에 부양될 수 있는 부력부재로 되어 있고, 일정길이를 갖는 로프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제2 수위감지부재가 연결된 양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현가수단은 상기 지지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부와, 상기 회동지지부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에 설치되며 가이드롤러가 장착된 지지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회동지지부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롤러에 가이드되어 타단이 하방으로 연장된 현가로프와, 상기 현가로프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회동지 지부보다 상대적으로 무겁고, 상기 지지부재와 회동지지부 및 상기 제1, 제2 수위감지부재를 합한 무게보다는 가벼운 무게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and second water level sensing members are buoyant members capable of being float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ing member by rope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respectively, and the supporting members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levels. It is formed to be rotatable so that both ends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sensing member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spension means is installed on the beam so as to be located above the rotation support and the rotation support for supporting the support member to be rotatable And a support bracket on which a guide roller is mounte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otation support part and extended upward, guided to the guide rolle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extended downward,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spension rope. It is relatively heavier than a support member and the pivot support part, and the support member, the pivot support part, and the first and second water level sensing members are combined. Rather it is preferable to having a lighter weight.
또한 상기 보를 중심으로 내수와 외수의 수위 차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보에 지지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의 하단에 연결되며, 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높이에서 상기 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관과, 상기 제1 연장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내수 또는 외수의 수중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관 및 상기 지지관과 상기 제1 연장관의 결합부분 및 상기 제1, 제2 연장관의 결합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양 단부와 상기 제1, 제2 수위감지부재를 각각 연결하는 로프의 연장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보호통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pport pipe which is supported on the beam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tube so as to accurately detect the difference in water level between the inner water and the outer water around the beam, and at a height spaced apart from the wat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first extension tube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eam, a second extension tube extending downward from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tube and extending into the water of internal or external water; and a coupling portion of the support tube and the first extension tube and the first extension tub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container which is installed 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ipes and includes a guide roller for guidi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rope connecting the both ends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first and second water level sensing members, respectively. Do.
본 발명에 따른 부력식 수위 차 감지장치는 조수 간만의 차 또는 홍수와 같은 내수와 해수의 높이 차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수위에 따른 수문의 개문 또는 폐문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buoyancy level differenc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accurately detect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water and the seawater such as the tidal wave or the flood, so that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water gat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can be made quickly.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력식 수위 차 감지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동 수문 조작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buoyancy level differenc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utomatic hydrological control device using the same.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동 수문 조작장치(10)는 내수와 해수를 구분하기 위해 설치된 보(11)에 마련되어 해수의 역류를 방지하고, 내수를 해수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1, the automatic
보(11)는 해수와 내수의 경계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보(11)의 일측에는 내수를 해수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내수와 해수를 선택적으로 연통할 수 있는 수문(12)이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수문(12)은 보(11)를 따라 승,하강 되게 설치되며, 보(11)의 상부에는 수문(12)을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구동부로서 윈치(13)가 마련되어 있다. 윈치(13)는 구동모터(14)에 의해 회동하며, 윈치(13)에 권취되는 와이어(15)의 하단에 수문(12)이 연결되어 와이어(15)의 감김 또는 풀림에 따라 수문(12)이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개문 또는 폐문이 이루어진다.Th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보(11)의 일측에는 수문(12)을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수문개폐 제어수단(20)이 마련되어있는데, 수문개폐 제어수단(20)은 해수와 내수 측의 수위 차를 감지하는 부력식 수위 차 감지장치(21)와, 해수와 내수 측의 수위 차에 따라 수문(12)을 개폐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1 to 4, the one side of the
상기 부력식 수위 차 감지장치(21)는 해수와 내수의 수면에 부양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제1, 제2 수위감지부재(22,23)와, 상기 제1, 제2 수위감지부재(22,23)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5)와, 상기 보(11)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25)를 현가시키는 현가수단(30) 및 상기 제1, 제2 수위감지부재(22,23)의 높이 차를 측정하는 센싱부재(27)를 구비하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재(27)에서 측정된 제1, 제2 수위감지부재(22,23)의 높이 차에 따라 상기 수문(12)을 개폐한다.The buoyancy level
제1, 제2 수위감지부재(22,23)는 각각 해수와 내수의 수면에 부양되게 설치되는데, 수면에 부양될 수 있는 부력부재이기 때문에 해수와 내수의 수위의 변화에 따라 그 높이가 함께 변화하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water level sensing
지지부재(25)는 후술하는 현가수단(30)의 회동지지부(35)에 중앙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양 단부에 제1, 제2 수위감지부재(22,23)로부터 연장되는 일정길이를 갖는 로프(24)가 각각 연결된다. 지지부재(25)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해수와 내수의 수위 차가 발생하게 되면, 제1, 제2 수위감지부재(22,23)의 높이 차에 의해 지지부재(25)는 회동하게 된다.The
상기 제1, 제2 수위감지부재(22,23)는 보호통(26)이 감싸고 있으며, 보호통(26)의 내부에서 수면의 높이에 따라 승강 및 하강하게 된다. The first and second water level sensing
보호통(26)은 해수와 내수의 수위 차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제1, 제2 수위감지부재(22,23)를 보(11)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까지 연장되게 가이드한다.The
일반적으로 내수가 해수측으로 배출되는 경우 보(11)와 인접한 부분은 수문(12)을 통해 배출되는 내수에 의해 수위가 실제보다 다소 높게 측정될 수 있으며, 해수측의 경우 바닥면이 보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더 깊어지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 보와 인접한 지점은 해수면의 높이가 낮아질 경우 제1 수위감지부재(22)가 해수측의 바닥면과 접촉하게 될 수도 있다. In general, when the domestic water is discharged to the seawater side, the portion adjacent to the
따라서 해수와 내수의 정확한 수위 차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보(11)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제1, 제2 수위감지부재(22,23)각 해수면과 내수면에 각각 부양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order to detect the exact difference in water level between the seawater and the domestic wa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water level sensing
따라서 보호통(26)이 제1, 제2 수위감지부재(22,23)가 보(11)로부터 소정거 리 이격된 지점에서 부양되도록 가이드하게 되는데, 보호통(26)은 보(11)의 측면에 지지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관(26a)과, 지지관(26a)의 하단에서 보(11)로부터 멀어지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관(26b)과, 제1 연장관(26b)의 단부에서 해수 또는 내수의 수중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관(26c)을 구비한다.Therefore, the
제1 연장관(26b)은 해수 또는 내수의 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연장관(26c)은 해수 또는 내수의 수위가 최저점에 이르러도 하단이 수중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1 연장관(26b)으로부터 충분히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연장관(26c)의 하단에는 제1, 제2 수위감지부재(22,23)가 실제 해수 및 내수의 수위와 일치하게 부양되도록 하기 위해, 해수 또는 내수가 제2 연장관(26c)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 유입홀(6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관(26a)과 제1 연장관(26b)의 연결지점 및 제1 연장관(26b)과 제2 연장관(26c)의 연결지점에서는 로프(24)의 진행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롤러(61)가 설치되어 있다.The
이렇게 제1, 제2 수위감지부재(22,23)가 보호통(26)에 의해 가이드 되어 보(11)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부양되기 때문에 해수와 내수측의 수위 차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제1, 제2 수위감지부재(22,23)가 보호통(26)에 의해 감싸져 있으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이 발생하거나 물결에 의해 제1, 제2 수위감지부재(22,23)의 높이 차가 실제 해수와 내수의 수위 차보다 더 크게 벌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Thus, since the first and second water level sensing
현가수단(30)은 지지부재(25)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11)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31)과, 상기 지지부재(25)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부(35)와, 지지브라켓(31)에 설치된 가이드롤러(32)에 가이드되어 일단이 상기 회동지지부(35)와 연결되고 타단이 하방으로 연장되는 현가로프(37)와, 현가로프(37)의 타단에 연결된 무게추(38)를 구비한다.Suspension means 30 is for supporting the
회동지지부(35)는 하단에 지지부재(25)와 결합되는 힌지브라켓(36)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재(25)는 이 힌지브라켓(36)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수위차에 따른 제1, 제2 수위감지부재(22,23)의 높이차에 대응하여 일단 또는 타단이 하방으로 내려가도록 회동하게 된다. The
회동지지부(35)는 지지브라켓(31)에 설치된 두 개의 가이드롤러(32)에 의해 가이드되는 현가로프(37)에 연결되어, 해수와 내수의 수위에 따라 회동지지부(35) 전체가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된다. 지지부재(25)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1, 제2 수위감지부재(22,23)가 각각 보(11)를 기준으로 해수와 내수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지지부재(25) 및 이를 지지하는 회동지지부(35)는 보(11)의 상측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동지지부(35)가 승강 또는 하강하는 과정에서 해수측 또는 내수측으로 흔들리지 않고 수직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브라켓(31)의 하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33)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레일(33)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바(34)가 회동지지부(35)에 결합되어 회동지지부(35)가 수직상으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The
무게추(38)는 회동지지부(35)와 지지부재(25)를 합한 무게보다는 무겁고, 회동지지부(35)와 지지부재(25) 및 제1, 제2 수위감지부재(22,23)를 합한 무게보다는 가볍게 형성된다. 따라서 무게추(38)에 의해 회동지지부(35)와 지지부재(25)는 상방으로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제1, 제2 수위감지부재(22,23)의 무게가 더해지면 무게추(38)의 무게가 더 가벼우므로 결과적으로 무게추(38)에 의해 제1, 제2 수위감지부재(22,23)가 수면에 부양된 상태에서 이를 연결하는 로프(24)가 일정길이가 유지되도록 지지부재(25)와 회동지지부(35)를 승강시키게 된다. 따라서 해수와 내수의 수위가 높아지거나 낮아져도 무게추(38)에 의해 회동지지부(35)가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지지부재(25)와 제1, 제2 수위감지부재(22,23)를 연결하는 로프(24)가 항상 일정길이를 갖게 된다.The
센싱부재(27)는 회동지지부(35)에 설치되는 제1, 제2 접촉센서(28,29)를 구비하는데, 제1, 제2 접촉센서(28,29)는 회동지지부(35)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부재(25)의 회동상태를 감지한다. 밀물이 되어 해수측의 수위가 높아지면 제1 수위감지부재(22)의 높이가 제2 수위감지부재(23)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며, 이 높이 차에 의해 지지부재(25)는 제1 수위감지부재(22)가 연결된 일측 단부가 상방으로 올라가도록 회동하게 된다. 지지부재(25)의 일단이 상승하여 회동지지부(35)의 하단에 접촉하면, 제1 접촉센서(28)에서 이를 감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수측의 수위가 올라가면 제2 수위감지부재(23)의 높이가 더 높아져 지지부재(25)는 타단이 상방으로 올라가도록 회동하게 되며, 지지부재(25)의 타단이 회동지지부(35)의 하부에 접촉할 때, 이를 제2 접촉센서(29)가 감지한다.The sensing
제어부는 상기 제1, 제2 접촉센서(28,29)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구 동모터(14)를 구동시킴으로써 수문(12)을 개폐하는 컨트롤러(40)를 구비한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제1, 제2 접촉센서(28,29)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는 컨트롤러(40)로 전달되는데, 제1 접촉센서(28)에서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컨트롤러(40)는 구동모터(14)를 구동시켜 윈치(13)에 감긴 와이어(15)를 풀어서 해수가 내수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수문(12)을 닫는다. 반대로 제2 접촉센서(29)의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내수를 해수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14)를 구동시켜 와이어(15)가 윈치(13)에 감기게 함으로써 수문(12)을 개방한다.The detection signals detected by the first and
상술한 바와 같이 해수와 내수의 수위 차가 발생하게 되면, 각각의 수면에 부양된 제1, 제2 수위감지부재(22,23)에 높이차가 생기게 되며, 이에 따라 지지부재(25)가 회동하게 되는데, 이렇게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수문(12)이 개폐되기 때문에 홍수와 같은 내수의 유량증가 또는 조수 간만의 차에 의한 해수면의 높이 변화에 따라 적절히 수문(12)을 개폐하여 해수의 유입을 차단다고, 내수의 저수량이 적정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water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seawater and the domestic water occurs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difference occurs in the first and second water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문 조작장치는 해수와 내수의 경계부에 마련된 보의 수문을 개폐하도록 실제 산업에서 이용될 수 있다.The automatic hydrologic manipu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actual industry to open and close the hydrologic gate of the beam provided at the boundary between seawater and domestic w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자동 조작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hydrologica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수문개폐 제어수단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gat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means,
도 3은 도 2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FIG. 2;
도 4는 제어부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블럭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of a control uni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자동 수문 조작장치10; Automatic hydro lock
11; 보 12; 수문 13; 윈치 14; 구동모터11;
20; 수문개폐 제어수단 22; 제1 수위감지부재 20; Hydrological opening and closing control means 22; 1st water level sensing member
23; 제2 수위감지부재 25; 지지부재23; Second water
30; 현가수단 31; 지지브라켓 30; Suspension means 31; Support Bracket
35; 회동지지부 38; 무게추35;
40; 제어부40; Control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0596A KR100955318B1 (en) | 2007-10-31 | 2007-10-31 | Buoyant Water Level Sens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0596A KR100955318B1 (en) | 2007-10-31 | 2007-10-31 | Buoyant Water Level Sens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4477A KR20090044477A (en) | 2009-05-07 |
KR100955318B1 true KR100955318B1 (en) | 2010-04-29 |
Family
ID=40855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0596A Expired - Fee Related KR100955318B1 (en) | 2007-10-31 | 2007-10-31 | Buoyant Water Level Sens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55318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67611A (en) * | 1987-12-24 | 1989-07-03 | Hokoku Kogyo Kk | Water level difference detecting device |
-
2007
- 2007-10-31 KR KR1020070110596A patent/KR10095531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67611A (en) * | 1987-12-24 | 1989-07-03 | Hokoku Kogyo Kk | Water level difference detect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4477A (en) | 2009-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35335B1 (en) | Buoy automatic sluice | |
KR102111796B1 (en) | Algae removal and selective water-intake system with floating siphon connected with water-quality sensor, and method for the same | |
CN111188316B (en) | Automatic lifting type flood control structure | |
KR101908577B1 (en) | Roller gate having dual structure with hinge joint and operating machine | |
KR100832924B1 (en) | Bridge scour measuring device | |
JP2007314964A (en) |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water stop gate | |
KR100955318B1 (en) | Buoyant Water Level Sensor | |
KR20170062658A (en) | Flood prevention apparatus for using pulleys | |
CN220521425U (en) | Concrete elevation measuring device for underwater cast-in-place pile | |
CN218724776U (en) | Self-recording water temperature measuring and mounting device | |
KR20110031517A (en) | Floating Bird Generator | |
CN211948234U (en) | Automatic lifting type flood control structure | |
KR102366789B1 (en) | A flap gate with high open performance by buoyancy | |
CN2543041Y (en) | Float hammer tube-separating logging | |
JP3972027B2 (en) | Water-impervious film elevating type selective water intake equipment | |
CN112697223A (en) | Hydrology information water level monitoring device | |
CN108168654A (en) | Float gauge anti-slag device | |
JP3860094B2 (en) | Water-impervious film lift type selective water intake | |
JP3234874B2 (en) | Fall gate device | |
JP2521167Y2 (en) | Water quality measuring device | |
JP2013076294A (en) | Floating body type derricking gate facility | |
KR100996366B1 (en) | Rainwater Storage Facility | |
CN211013164U (en) | Liquid level detection device for liquid level of oil pool | |
CN221260122U (en) | Inland water body pipeline float type water temperature monitoring device | |
JP5661390B2 (en) | Movable gat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5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003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4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