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935B1 - Monitor lift device - Google Patents
Monitor lift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54935B1 KR100954935B1 KR1020080038681A KR20080038681A KR100954935B1 KR 100954935 B1 KR100954935 B1 KR 100954935B1 KR 1020080038681 A KR1020080038681 A KR 1020080038681A KR 20080038681 A KR20080038681 A KR 20080038681A KR 100954935 B1 KR100954935 B1 KR 1009549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nitor
- groove
- locking
- plate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블의 상판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컴퓨터 모니터가 상하로 이동하여, 컴퓨터 사용시에는 상판의 상부로 모니터가 노출되게 하고,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판의 하부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적은 힘으로도 완전하게 모니터를 개방할 수 있고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모니터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lift apparatus, and in particular, a computer monitor moves up and down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an upper plate of a table so that the monitor is expos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when a computer is us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when a computer is not us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ccommodated in,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monitor lift device that can open the monitor completely with a small force and can maintain a stable fixed state.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리프트 장치는, 테이블의 상판 일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모니터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에 장착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모니터의 상하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되 그 상면에는 모니터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드 본체와; 상기 슬라이드 본체를 항상 상부로 탄성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 본체와 케이스 본체 사이에 설치된 태엽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드 본체와 케이스 본체 사이에 개재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면판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본체의 전면판의 전면에 설치된 록킹축이 안내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홈플레이트와; 상기 홈플레이트의 가이드홈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모니터가 상판의 하부로 수납된 상태에서 완전히 고정되도록 하는 록킹홈과 상기 모니터를 하방으로 누르면 상기 록킹홈에 걸려있던 록킹축이 해제되도록 하는 해제홈을 포함하는 캠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nitor lift apparatus comprising: a case body mounted to the opening so that the monitor can move up and down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a part of the upper plate of the table;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shangdong of the monitor, a slide main body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ail, the monitor being rotatably fixed to an upper surface thereof; The spring is provided between the slide main body and the case main body so as to elastically press the slide main body at all times, and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late of the case main body so as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slide main body and the case main body. A groove plate having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locking shaft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plate; The locking groove which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guide groove of the home plate to completely lock in the state that the monitor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the release groove for releasing the locking shaft that is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by pressing the monitor downwar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m groove including.
따라서, 본 발명은, 록킹축이 록킹홈에 삽입되면 모니터의 닫힌 위치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모니터의 상단 누름을 통해 록킹축이 록킹홈으로부터 이탈된 후, 태엽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모니터가 상판의 상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ocking shaft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the monitor maintains the closed position and the user presses the top of the monitor by hand, the locking shaft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the monitor is the top plate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Will be exposed to the top of the.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니터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테이블의 상판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컴퓨터 모니터가 상하로 이동하여, 컴퓨터 사용시에는 상판의 상부로 모니터가 노출되게 하고,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판의 하부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적은 힘으로도 완전하게 모니터를 개방할 수 있고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모니터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lift apparatus, and in particular, a computer monitor moves up and down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an upper plate of a table so that the monitor is expos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when a computer is us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when a computer is not us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ccommodated in,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monitor lift device that can open the monitor completely with a small force and can maintain a stable fixed state.
본 발명은 컴퓨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컴퓨터 모니터를 테이블 내부에 수납하고 필요시에만 모니터가 테이블의 상판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with which a computer can be conveniently us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nitor lift apparatus for storing a computer monitor inside the table and allowing the monitor to be exposed to the table top only when necessary.
일반적으로 테이블 위에 컴퓨터의 모니터를 올려놓으면 상당한 면적을 차지하게 되어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른 업무를 수행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회의용 테이블의 경우에도 테이블 위에 모니터를 올려놓으면 앞사람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가리기 때문에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회의를 하는 경우에는 매우 불편하였다. 따라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책상이나 테이블에 모니터를 구비 하되,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모니터를 책상이나 테이블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In general, placing a computer monitor on a table takes up a significant area, making it very difficult to perform other tasks when the computer is not in use.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 conference table, if a monitor is placed on the table so that the person in front of it is invisible, it is very inconvenient when the meeting is performed without using a computer. Therefore, the monitor is provided on the desk or table so that the computer can be used, but when the computer is not in use, the monitor can be stored inside the desk or table so that the space can be used efficiently.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컴퓨터용 책상이나 테이블은 모니터를 승강시키기 위해서 마력 수가 높은 모터를 사용해야 하므로 전력의 소비가 많고 승강 작동시 상당한 소음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모니터를 승강시키는 데는 적절한 안정장치가 필요하고 승강장치의 설비가 복잡해지므로 상당한 제작비가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mputer desk or tab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o use a motor having a high horsepower in order to elevate the monitor, so there is a problem of high power consumption and significant noise during the elevating operation.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monitor requires an appropriate stabilizer and the installation of the lifting device becomes complicated, which requires a considerable production cos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테이블의 상판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하로 이동(슬라이딩)함으로써 컴퓨터 모니터가 상판의 상부로 노출되거나 상판의 하부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적은 힘으로도 완전하게 모니터를 개방할 수 있고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모니터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monitor lift by moving up and down (sliding) through the opening formed in the upper plate of the table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or stored under the upper plat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lift apparatus capable of completely opening the monitor with a small force and maintaining a stable fixed state.
본 발명은 책상이나 테이블에 설치된 모니터를 하방으로 1회 누른 후 해제하는 조작을 통해 모니터가 책상이나 테이블 위로 완전히 올라올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 리프트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nitor lift apparatus that allows the monitor to fully rise above the desk or table by pressing and releasing the monitor installed on the desk or table once downward.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의 닫힌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able to firmly mainta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monit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리프트 장치는, 테이블의 상판 일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모니터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에 장착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모니터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되 그 상면에 상기 모니터를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슬라이드 본체; 상기 슬라이드 본체를 항상 상부로 탄성 가압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 본체와 케이스 본체 사이에 설치된 태엽스프링; 상기 슬라이드 본체와 케이스 본체 사이에 개재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면판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본체의 전면판의 전면에 설치된 록킹축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홈플레이트; 상기 홈플레이트의 가이드홈 하단부에 연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모니터가 상판의 하부로 수납된 상태에서 완전히 고정되도록 하는 록킹홈과 상기 모니터를 하방으로 누르면 상기 록킹홈에 걸려있던 록킹축이 해제되도록 하는 해제홈을 포함하는 캠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nitor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body mounted to the opening so that the monitor can be moved up and down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a part of the upper plate of the table; A guide rail installed inside the case body to guide the shanghai of the monitor; A slide main body which moves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ail but rotatably fixes the monitor to an upper surface thereof; A spring mounted between the slide body and the case body to elastically press the slide body upward; A groove plate provided at a rear surface of the front plate of the case body so as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slide body and the case body and having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locking shaft installed at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late of the slide body; The locking groove which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end of the guide groove of the home plate and the locking groove to be completely fixed in the state that the monitor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pressing the monitor downward to release the locking shaft that is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am groove comprising 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본체가 상부로 이동할 때 상기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을 완충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 본체와 케이스 본체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ushion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spring when the slide body moves upward, a coil spring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lide body and the case body.
상기 슬라이드 본체의 전면판의 전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회전핀과, 상기 회전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있는 판 형상의 회전체를 포함하는 록킹부가 설치되고, 록킹축은 상기 회전체의 타측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핀을 중심으로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late of the slide body, a locking portion including a rotary pin protruding toward the front of the slide body and a plate-like rotating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ry pin is installed, the locking shaft is It is installed to protrude rearward on the other side of the whole to rotate with the rotating body about the rotation pin.
또한, 상기 홈플레이트에 형성된 캠홈은, 록킹축을 고정하는 록킹홈과 록킹축을 해제하는 해제홈이 연통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록킹홈은 가이드홈의 하단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설치된 제1경사홈과,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설치된 제2경사홈 및 상기 제1경사홈의 시작부에 형성된 제1 함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해제홈은 상기 제2 경사홈과 연통되는 수직홈과, 일단은 상기 수직홈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되는 경사홈 및, 상기 수직홈의 시작부에 형성된 제2 함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am groove formed in the groove plate, the locking groove for fixing the locking shaft and the release groove for releasing the locking shaft is formed in communication, the locking groove is a first inclined groove inclined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guide groove, the upper A second inclined groove inclined downward and a first depression formed at the beginning of the first inclined groove; The release groove includes a vertical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inclined groove, one end of the inclined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vertical groove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groove, and a second recess formed at the start of the vertical groove. It is composed.
또, 상기 슬라이드 본체의 상판 가운데에는 상기 모니터를 고정함과 아울러 전후로 회동시킬 수 있는 힌지고정부재가 설치되는데, 상기 힌지고정부재는 모니터의 하단을 지지하는 수평면이 형성되고, 그 하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수평회전축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면의 일측 상부로는 된 체결판이 일체로 형성된 힌지축부와, 상기 힌지축부의 수평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 본체의 상판에 결합되는 축받이부와, 상기 수평회전축을 탄성 가압하여 모니터를 회동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a hinge fixing member which is fixed to the monitor and rotates back and forth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plate of the slide body. The hinge fixing member has a horizontal surface supporting a lower end of the monitor, and a lower surface thereof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 horizontal rotating shaft is integrally formed, the hinge shaft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a fastening plate form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bearing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plate of the slide body while also rotatably fixing the horizontal rotating shaft of the hinge shaft portion; And a spring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horizontal rotating shaft to fix the monitor to the rotational 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태엽스프링은 롤 형태로 감겨 질 수 있는 테이프 형상의 판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이 감겨 지는 권취롤을 포함하는 태엽스프링 본체로 이루어지지, 상기 태엽스프링 본체는 상기 슬라이드 본체의 전면판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선단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일정 길이를 갖는 코일형 인장 스프링으로서, 상단은 상기 슬라이드 본체의 전면판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ing is made of a spring body main body including a tape-shaped leaf spring that can be wound in the form of a roll and the spring roll, the spring body main body is Fixed to a rear surface of the front plate of the slide body, and an end of the leaf spring is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body case; The coil spring is a coiled tension spring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plate of the slide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case.
따라서, 록킹부가 록킹홈에 삽입되면 모니터의 닫힌 위치를 유지하고 모니터의 상단 누름 작용을 통해 록킹축이 록킹홈으로부터 이탈된 후 누름 해제를 통해 태엽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모니터가 상판의 상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lock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the monitor is kept i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monitor is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late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spring through the pressing release after the locking axis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by pressing the upper end of the monitor. It is characterized b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니터를 상단으로 1회 누른 후 해제하는 조작을 통해 모니터가 상판의 상면으로부터 완전히 개방되게 함으로서 모니터의 개방을 간편하게 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implifying the opening of the monitor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by allowing the monitor to be completely open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through an operation of pressing the monitor to the upper end once and then releasing it.
또한 모니터의 닫힌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외부 충격등으로 인하여 모니터가 쉽게 개방되는 현상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by keeping the closed position of the monitor firmly, there is also an effect to prevent the monitor from being easily opened due to external shock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은 컴퓨터용 책상(100)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 도 1a는 컴퓨터 모니터(200)가 책상의 상판 위로 돌출되어 완전히 노출된 경우이고, 도 1b는 컴퓨터 모니터(200)가 책상 안쪽으로 완전히 수납된 경우를 보여준다.First,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리프트 장치(500)가 적용되는 컴퓨터용 책상(100)의 상판(110)에는 판형 모니터(200)가 상하로 승, 하강할 수 있도록 개구부(10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01)에는 경첩을 통해 개구부(101)를 개폐하는 덮개(120)가 설치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an
바람직하게 덮개(120)에는, 덮개(120)가 개구부(101)를 닫고 있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모니터(200)의 상단을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반원형 개방부(122)가 형성된다. Preferably, the
따라서, 도 1b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니터(200)의 상단을 손으로 누르면, 책상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모니터 리프트 장치(500)의 작용으로 모니터(200)가 상판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state of FIG. 1B, when the user presses the upper end of the
또한, 상판(110)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의 모니터(200)는, 전후방으로 회동시켜서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Moreover, the
그리고, 도 1a의 상태에서 상판(110)의 상부로 돌출된 모니터(200)를 책상 속으로 밀어 넣고자 할 때는 모니터(200)를 아래로 가압하여 하강시키면 내부에 설치된 본 발명의 모니터 리프트 장치(500)의 걸림 작용에 의해서 상기 모니터(200)가 테이블의 내부에서 안전하게 고정되게 된다. 이때, 덮개(120)는 모니터(200)의 상하 움직임에 연동하여 개구부(101)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항상 탄압되어 있다.And, in order to push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서 모니터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모니터 리프트 장치(500)를 보여주는 사시도로, 도 2a는 모니터가 본체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이고, 도 2b는 모니터가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보여준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 리프트 장치(500)는 모니터(200)가 완전히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사각 박스형상의 본체 케이스(510)를 포함한다. 본체 케이스(510)는 금속판을 구부려서 용접한 것이며, 그 상단에는 본체 케이스 (510)를 상판(110)의 개구부(101)의 테두리에 걸쳐서 안착하기 위한 플랜지(5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120)는 이 플랜지(520')에 설치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플랜지(520)를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덮개(120)는 플랜지(5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테이블(100)의 상판에 모니터(20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모니터 리프트 장치(500)를 설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테이블은 모니터 리프트 장치(500)를 설치할 수 있는 개구부(101)가 형성된 상판을 포함하는 한 어떠한 형태나 구조의 테이블이라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도면에서 도시된 형태의 테이블이나 책상의 형태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리프트 장치(5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 리프트 장치(500)(이하, 리프트 장치라 한다)는, 모니터(200)가 완전히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사각 박스형상의 본체 케이스(510)와, 상기 본체 케이스(5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모니터(200)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슬라이드 본체(6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체 케이스(510)에는 착탈 가능한 도어(510')가 더 설치되어 내부구성 부품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As shown in FIG. 3, th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 케이스(510)의 양측 내벽(511)에는 외측 가이드레일(522)이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510)의 전면판의 후면(512)에는 소정 길이의 홈플레이트(4)가 상하로 설치된다. 상기 홈플레이트(4)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46)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46)의 하단부에는 록킹홈(433) 을 포함하는 캠홈(41)이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outer
슬라이드 본체(610)는 상기 본체 케이스(510)의 내부에는 상하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모니터(200)를 고정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사각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드 본체(610)의 좌우 양단에는 외측 가이드레일(522)에 대응하는 내측 가이드레일(622)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본체(610)는 내측 가이드레일(622)와 외측 가이드레일(522)의 슬라이드 작용에 의해 상하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본체(610)의 전면판의 전면과 상기 본체 케이스(510)의 전면판의 후면 사이에는 태엽스프링(5)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태엽스프링(50)은 롤 형태로 감겨질 수 있는 테이프 형태의 판스프링(51)과, 상기 판스프링(51)를 감을 수 있는 권취롤을 포함하는 태엽스프링 본체(5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태엽스프링 본체(52)는 슬라이드 본체(610)의 전면판의 후면에 브라켓(54)을 이용하여 고정되고, 상기 판스프링(51)의 선단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510)의 상단부에 형성된 관통홈(55)에 걸쳐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본체(610)가 내,외측 가이드레일(522)(622)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 상기 태엽스프링(5)에는 상기 슬라이드 본체(610)를 상부로 올리려는 복원력이 생기게 된다.A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본체(610)의 전면판의 전면에는, 케이스본체(510)의 전면판의 후면(512) 가운데에 설치된 홈플레이트(4)의 가이드홈(46)을 따라 안내됨과 아울러 홈플레이트(4)의 하단부에 설치된 록킹홈(433)에 걸림 작용하는 록킹부(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록킹부(6)와 록킹홈(433)을 포함하는 캠홈(41)에 대 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기 설명될 것이다.The front plate of the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 본체(610)의 상판 가운데에는 상기 모니터(200)를 고정함과 아울러 전후로 회동시킬 수 있는 힌지고정부재(700)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힌지고정부재(700)는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해 슬라이드 본체(610)와 모니터(200)를 일체로 고정한다.In addition, a
바람직하게, 상기 힌지고정부재(700)는 모니터(200)의 하단을 지지하는 수평면(710)이 형성되고, 그 하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수평회전축(720)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면(710)의 일 측 상부로는 된 체결판(730)이 일체로 형성된 힌지축부(740)와, 상기 힌지축부(740)의 수평회전축(720)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 본체(610)의 상면에 결합되는 축받이부(750)로 구성된다. 상기 축받이부(750)에는 상기 수평회전축(720)을 탄성 가압하여 모니터(200)를 회동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과 힌지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프링과 힌지 구조는 당해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Preferably, the
이어,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홈플레이트(4)과 록킹부(6)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홈플레이트(4)에는 가이드홈(46)과 캠홈(41)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본체(610)의 후면 가운데에는 상기 홈플레이트(4)에 형성된 캠홈(41)과 가이드홈(46)에 삽입되는 록킹부(6)가 구비되어 있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4, the structure of the
상기 록킹부(6)는, 슬라이드 본체(610)의 전면판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회전핀(61)과, 이 회전핀(6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후면에는 록킹축(621)가 형성된 판 형상의 회전체(62)로 구성된다. The locking
상기 회전체(62)는 회전핀(61)의 일단이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관통홀(623)과, 록킹축(621)의 일단이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관통홀(625)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The rotating
그리고, 상기 회전체(62)의 록킹축(621)은 상기 캠홈(41) 및 가이드홈(46)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체(62)와 상기 슬라이드 본체(610) 사이에는 상기 회전체(62)를 항상 일 측(수직홈)으로 회전시켜주는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더 설치될 수 있다.The locking
따라서, 상기 회전체(62)의 록킹축(621)이 캠홈(41)에 형성된 록킹홈(433)에 삽입되면 모니터(200)의 닫힌 위치가 유지되고, 사용자가 상기 모니터(200)를 하방으로 눌러 슬라이드 본체(610)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록킹홈(433)으로부터 록킹축(621)이 이탈되게 되고, 태엽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해서 록킹부(6)가 가이드홈(46)을 따라 상부로 이동됨에 따라서 모니터(200)를 상판의 상부로 노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본체(610)가 상하로 슬라이드 하는 상태에서, 상기 태엽스프링(5)은 슬리이드 본체(610)을 상부로 이동시키려는 탄성력을 발생하게 한다. Therefore, when the locking
한편, 상기 슬라이드 본체(610)와 케이스 본체(51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코일스프링(57)이 더 설치된다. 코일스프링(57)은 길이방향으로 신장 될수록 탄성력이 증가하는 인장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스프링(57)의 상단은 슬라이드 본체(610)의 전면판 하단에 고정되고, 그 하단은 상기 케이스 본체(510)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스프링(57)은 상기 슬라이드 본체(610)가 태엽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부로 이동할 때, 신장하여 탄성력이 증가하여 상 기 태엽스프링(5)의 탄성력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슬라이드 본체(610)가 태엽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해서 초기에는 상단으로 신속히 이동하나 후기에는 서서히 올라가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드 본체(610)가 케이스 본체(510)의 플랜지 등에 강하게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Meanwhile, one or more coil springs 57 are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상기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configuration is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부(6)는, 상기 슬라이드 본체(610)의 전면판의 전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회전핀(61)과, 이 회전핀(6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62)와, 상기 회전체(62)의 일측 선단에는 돌출되게 설치된 록킹축(621)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핀(61)은 회전체(62)를 상기 슬라이드 본체(610)의 전면에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체(62)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록킹축(621)은 소정 길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캠홈(41) 및 가이드홈(46)에 삽입된다.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4, and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locking
그리고 상기 캠홈(41)은, 상기 가이드홈(46)의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설치된 제1경사홈(431)과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설치된 제2경사홈(434)으로 구성된 록킹홈(433)을 포함하다. 따라서 상기 록킹홈(433)은 전체적으로 삼각형 형상을 이룬다. 상기 삼각형의 꼭지점 부에 상기 록킹축(621)이 위치한다. 그리고, 제1경사홈(431)의 시작부에는 록킹축(6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더욱 깊게 파여 진 제1 함몰부(43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록킹홈(433)으로 들어온 록킹축(621)은 다시 들어온 방향으로 돌아갈 수 없다. 또한, 상기 록킹축(621)은 태엽스프링(5)의 탄성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상기 록킹축(621)은 사용자가 하방으로 누르지 않는 한 상기 록킹홈(433)의 꼭지점 부분에서 아래로 내려오지 못한다.The
상기 록킹홈(433)의 일 측에는 수직홈(441)과 경사홈(442)으로 구성된 해지홈(4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홈(441)의 일단은 상기 제2경사홈(434)와 연통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경사홈(442)과 연통되어 있다. 상기 경사홈(442)은 하방에서 상방으로 경사진 홈으로써 상기 가이드홈(46)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홈(441)의 시작부에는 록킹축(6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더욱 깊게 파여진 제2 함몰부(44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홈(441)으로 이동된 록킹축(621)은 록킹홈(433)으로 되돌아갈 수 없는 반면에 상 방향으로 가압하는 태엽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경사홈(442)을 따라 가이드홈(46)으로 복귀하게 된다.One side of the locking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500)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가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그리고,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도로서, 도 7a는 모니터가 수납되어 유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7b는 모니터가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6, in which FIG. 7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monitor is accommodated and FIG. 7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monitor is opened.
이에, 도 6a와 도 7a를 참조하여 모니터(200)가 수납되어 유지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c)는 모니터(200)가 케이스 본체(51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슬라이드 본체(610)에 장착된 록킹부(6)의 록킹축(621)이 홈플레이트(4)에 형성된 캠홈(41)의 록킹홈(433)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본체(610)와 케이스 본체(510) 사이에 설치된 태엽스프링(5)은 최대로 신장한 상태를 유지한다. Thus, a state in which the
이와 같이, 모니터(2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a) 내지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니터(200)의 상단을 하부로 가압하여 테이블 내부로 밀어 넣으면, 슬라이드 본체(610)에 구비된 록킹부(6)의 록킹축(621)이 홈플레이트(4)에 형성된 가이드홈(46)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다가 그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캠홈(41)의 록킹홈(433)에 걸려져 있음에 따라 모니터(200)의 닫힌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As such, when the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를 사용하기 위해서 상부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d)는 사용자가 모니터를 하방으로 한 번 누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되어 고정된 모니터를 개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모니터(200)를 하방으로 약간 누르면, 슬라이드 본체(610)의 후면에 고정되어 있는 록킹축(621)이 하단으로 약간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록킹부(6)를 구성하는 회전체(62)의 록킹축(621)이 록킹홈(433)으로부터 이탈하여 제2 경사홈(434)을 따라 수직홈(441)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Figure 7b shows a process of moving upward to use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 shows a state where the user pressed the monitor downward once. As shown, when the user slightly presses the
즉, 록킹홈(433)의 시작부에는 제1 함몰부(444)가 형성되어 있고, 제1 경사홈(431)과 제2 경사홈(434)이 상 방향으로 경사져서 꼭지점을 형성하는데, 이 꼭지점은 록킹축(621)이 고정되는 꼭지점 보다 왼쪽으로 치우쳐서 위치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누름 작용에 의해서, 록킹축(621)이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록킹축(621)은 꼭지점의 오른쪽 즉, 제2 경사홈(434)의 경사면과 접하기 때문에 회전 체(62)가 오른쪽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a
다음 록킹축(621)이 제2 경사홈(434)을 통과한 후, 록킹축(621)은 수직홈(441)에 위치하게 되는데, 수직홈(431)의 시작부에는 제2 함몰부(445)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록킹축(621)은 태엽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부로 이동하여 경사홈(442)을 따라 가이드홈(46)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태엽스프링(5)의 복원력은 모니터(200)가 상판의 상부로 완전히 노출될 때까지 작용하게 된다. Next, after the locking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리프트 장치는 책상의 형태와 크기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도시된 책상의 경우에 한하지 않고 각종 테이블에도 적용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lif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shape and size of the desk, and thus, the lif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tabl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책상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1a는 모니터가 책상의 상판 위로 돌출되어 완전히 노출된 경우이고, 도 1b는 모니터가 책상 안쪽으로 완전히 수납된 경우를 보여준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mputer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a is a case where the monitor is projected over the top plate of the desk completely exposed, Figure 1b shows a case where the monitor is completely stored inside the desk. .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서 모니터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리프트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로, 도 2a는 모니터가 본체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이고, 도 2b는 모니터가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보여준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ft device for transporting the monitor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state in which the monitor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case, Figure 2b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nitor is housed inside the main body case. .
도 3은 본 발명의 승,하장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4b는 도 3의 부분 확대 사시도로, 본 발명에 따른 홈플레이트과 가이드레일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보여준다.Figures 4a and 4b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ome plate and the guide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로서 상기 홈플레이트의 캠부와 록킹부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보여준다.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4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am portion and the locking portion of the home plate in more detail.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가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ompletely closed, Figure 6b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6c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ly open.
그리고,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도로서, 도 7a는 모니터가 수납되어 유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7b는 모니터가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6, in which FIG. 7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monitor is accommodated and FIG. 7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monitor is opene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4 : 홈플레이트 5 : 태엽스프링4: Home Plate 5: Manual Spring
6 : 록킹부 41 : 캠홈6: locking part 41: cam groove
46 : 가이드홈 51 : 판스프링46: guide groove 51: leaf spring
52 : 태엽스프링 본체 54 : 브라켓52: spring body 54: bracket
56 : 코일스프링 61 : 회전핀56: coil spring 61: rotary pin
62 : 회전체 100 : 컴퓨터용 책상62: rotating body 100: computer desk
101 : 개구부 110 : 상판101: opening 110: the top plate
120 : 덮개 200 : 모니터120: cover 200: monitor
431 : 제1경사홈 434 : 제2경사홈431: first inclined groove 434: second inclined groove
433 : 록킹홈 434 : 제1 함몰부433: locking groove 434: first depression
441 : 수직홈 442 : 경사홈441
444 : 해지홈 445 : 제2 함몰부444: termination groove 445: second depression
500 : 모니터 리프트 장치 510 : 케이스본체500: monitor lift device 510: case body
522 : 외측 가이드레일 600 : 슬라이드 본체522: outer guide rail 600: slide body
610 : 슬라이드본체 621 : 록킹축610: slide body 621: locking axis
622 : 내측 가이드레일 700 : 힌지고정부재622: inner guide rail 700: hinge fixing member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8681A KR100954935B1 (en) | 2008-04-25 | 2008-04-25 | Monitor lift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8681A KR100954935B1 (en) | 2008-04-25 | 2008-04-25 | Monitor lift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2905A KR20090112905A (en) | 2009-10-29 |
KR100954935B1 true KR100954935B1 (en) | 2010-04-27 |
Family
ID=41554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8681A Active KR100954935B1 (en) | 2008-04-25 | 2008-04-25 | Monitor lift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5493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262019B2 (en) | 2018-12-31 | 2022-03-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0685B1 (en) * | 2010-09-02 | 2012-06-28 | 곽수만 | Monitor Auto Lift |
CN108317375A (en) * | 2018-04-16 | 2018-07-24 |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 A kind of Repair of Transformer control cabinet |
CN111724642A (en) * | 2019-03-18 | 2020-09-29 | 云南至圣教育科技有限公司 | Cloud course evaluation and learning system |
KR102201613B1 (en) * | 2020-06-03 | 2021-01-11 | 이재섭 | Device for elevating monitor |
CN114370562B (en) * | 2020-10-15 | 2024-07-26 | 纬联电子科技(中山)有限公司 | Lift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
CN115143371B (en) * | 2021-03-29 | 2024-05-24 | 纬联电子科技(中山)有限公司 | Lif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1318Y1 (en) * | 2002-03-30 | 2002-07-13 | 주식회사 Korea 신예 | Flat monitor stand |
KR200406556Y1 (en) | 2005-10-14 | 2006-01-23 | 이상무 | Functional computer desk with monitor |
KR200413815Y1 (en) * | 2006-01-19 | 2006-04-11 | (주)포스피아 | Desk with adjustable monitor height |
-
2008
- 2008-04-25 KR KR1020080038681A patent/KR10095493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1318Y1 (en) * | 2002-03-30 | 2002-07-13 | 주식회사 Korea 신예 | Flat monitor stand |
KR200406556Y1 (en) | 2005-10-14 | 2006-01-23 | 이상무 | Functional computer desk with monitor |
KR200413815Y1 (en) * | 2006-01-19 | 2006-04-11 | (주)포스피아 | Desk with adjustable monitor heigh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262019B2 (en) | 2018-12-31 | 2022-03-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2905A (en) | 2009-10-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4935B1 (en) | Monitor lift device | |
US8214000B2 (en) | Locking device for internal battery pack cover of mobile phone | |
KR101575929B1 (en) | Button Latch Device of Inner Door Having Double Door Type | |
JP4077421B2 (en) | Member holding device | |
JP2001262907A (en) | Opening/closing lock device | |
JP2011201705A (en) | Printer roll holding unit | |
JPH0728381Y2 (en) | Door opening / closing mechanism | |
KR20180080745A (en) | Mobility container apparatus of vehicle | |
JP5595896B2 (en) | Lifting storage device | |
CN210630768U (en) | Luggage case | |
US20080168481A1 (en) | Cartridge | |
KR200277539Y1 (en) | hose reel | |
KR100603792B1 (en) | Computer desk | |
JP4380090B2 (en) | Door positioning device | |
KR101857197B1 (en) | Lower roller apparatus of sliding door | |
US20180229521A1 (en) | Printer | |
JP3148188U (en) | Footwear moving device that can be link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 |
KR102719765B1 (en) | Vehicle power outlet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KR200390795Y1 (en) | Table for computer | |
JP2610789B2 (en) | Cup holder | |
KR200411520Y1 (en) | Fixed structure of moving guide member of folding door | |
KR101978854B1 (en) | Lower roller apparatus of sliding door | |
JP2023110168A (en) | Storage device for vehicle | |
JP2017133310A (en) | Fixing device of shading material for shading device | |
JP4246137B2 (en) | Pull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1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1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