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867B1 - Pneumatic interlocking controlling device and system - Google Patents
Pneumatic interlocking controlling device and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54867B1 KR100954867B1 KR1020090135403A KR20090135403A KR100954867B1 KR 100954867 B1 KR100954867 B1 KR 100954867B1 KR 1020090135403 A KR1020090135403 A KR 1020090135403A KR 20090135403 A KR20090135403 A KR 20090135403A KR 100954867 B1 KR100954867 B1 KR 1009548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neumatic
- pressure
- way valve
- piston
- inl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0000002572 peristal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involving features specific to the use of a compressible medium, e.g. air, steam
- F15B11/072—Combined pneumatic-hydraulic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05—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low control means or valv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2—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 및 시스템으로서, 그 구성은 레귤레이터에 의해 조정된 공압이 유입되는 공압 유입부와; 공압 유입부와 제1 축이 연결되어 공압의 유입을 조절하는 3 웨이 밸브와; 3 웨이 밸브의 제2 축과 연결되고, 공압이 배출되는 공압 배출구와; 3 웨이 밸브의 제3 축과 연결되고, 유입되는 공압으로 인해 상하 운동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상측 실린더와; 피스톤 하부에 연결되고, 유입되는 공압으로 인한 피스톤의 압력 면적에 대한 힘(F1)이 외경으로 전달되는 로드와; 일측면에 구비되어 1차 유체 압력(F2)이 유입되는 제1 개구, 타측면에 구비되어 2차 유체 압력이 유출되는 제2 개구, 및 로드 하부에 구비되고 공압 유입 시 볼의 1 차 유체 압력이 가해지는 니들 볼 밸브를 포함하고, 공압 유입 시 F1과 F2의 합력이 내부의 2차 유체 압력과 작용되어 니들 볼 밸브의 온/오프를 조절하며, 유입되는 공압의 조정 시 2 차 유체 압력이 변경되는 하우징; 및 F1과 F2의 합력보다 더 큰 힘이 작용되고, 유체의 압력을 유지시키고, 3 웨이 밸브 닫힘 시 저항력이 소진되는 피스톤 밸브를 포함하는 하측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인 장치로서, 에어 압력을 통해 유체 압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원격 제어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neumatic interlock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the configuration of which is a pneumatic inlet for introducing the pneumatic pressure adjusted by the regulator; A three-way valve connected to the pneumatic inlet and the first shaft to regulate the inflow of pneumatic pressure; A pneumatic outlet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of the three-way valve and through which pneumatic pressure is discharged; An upper cylinder connected to the third shaft of the three-way valve and including a piston which is vertically moved due to the inlet air pressure; A rod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piston and transmitting a force F1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ressure area of the piston due to the inflow air pressure; A first opening provided at one side to receive the primary fluid pressure F2, a second opening provided at the other side to the secondary fluid pressure to flow out, and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rod and provided with a primary fluid pressure of the ball at the pneumatic inlet It includes a needle ball valve to be applied, the force of F1 and F2 is acted on the secondary fluid pressure inside when the pneumatic inlet to control the on / off of the needle ball valve, the secondary fluid pressure when adjusting the inlet air pressure A housing to be changed; And a lower cylinder including a piston valve to which a force greater than the combined force of F1 and F2 is applied, maintains the pressure of the fluid, and exhausts the resistance when the three-way valve is 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chanical device,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fluid pressure through the air pressu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압력 유입 시, 공압의 조정에 따라 유체 압력을 연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peristaltic control device an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neumatic peristaltic control device and system that can control the fluid pressure in accordance with the adjustment of the pneumatic pressure at a constant pressure inlet.
유압을 제어시키는 장치는 산업 전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유압 제어 장치는 일반적인 스프링 장력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 압력 및 용량 제어를 위해 작업자가 직접 개별 장치들을 일일이 돌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작업이 길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압력제어장치(FLUID REGULATOR)와 압력제거장치(RELIEF VALVE)가 독립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Hydraulic control devices are widely used throughout the industry. The existing hydraulic control device is controlled by the general spring tension.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orker has to manually turn the individual devices for pressure and capacity control, and the work is lengthened. In addition, the FLUID REGULATOR and RELIEF VALVE are used independently.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공기의 압력으로 유체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pneumatic interlock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that can easily control the fluid by the pressure of ai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 제어가 가능한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neumatic interlock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capable of remote contro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력제어장치와 압력제거장치의 두 가지의 기능을 한 개의 기기에서 수행할 수 있는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neumatic interlock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two functions of a pressure control device and a pressure removing device in a single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 는 레귤레이터에 의해 조정된 공압(air pressure)이 유입되는 공압 유입부와; 상기 공압 유입부와 제1 축이 연결되어 공압의 유입을 조절하는 3 웨이 밸브(3 way valve)와; 상기 3 웨이 밸브의 제2 축과 연결되고, 공압이 배출되는 공압 배출구와; 상기 3 웨이 밸브의 제3 축과 연결되고, 유입되는 공압으로 인해 상하 운동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상측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유입되는 공압으로 인한 피스톤의 압력 면적에 대한 힘(F1)이 외경으로 전달되는 로드(rod)와; 일측면에 구비되어 1 차 유체 압력(F2)이 유입되는 제1 개구, 타측면에 구비되어 2 차 유체 압력이 유출되는 제2 개구, 및 상기 로드 하부에 구비되고 공 압 유입 시 볼에 상기 1 차 유체 압력이 가해지는 니들 볼 밸브(needle ball valve)를 포함하고, 공압 유입 시 상기 F1과 F2의 합력이 내부의 2차 유체 압력과 작용되어 상기 니들 볼 밸브의 온/오프를 조절하며, 상기 유입되는 공압의 조정 시 상기 2 차 유체 압력이 변경되는 하우징; 및 상기 F1과 F2의 합력보다 더 큰 힘이 작용되고, 유체의 압력을 유지시키고, 상기 3 웨이 밸브 닫힘 시 저항력이 소진되는 피스톤 밸브를 포함하는 하측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Pneumatic interlock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neumatic inlet that is supplied with air pressure (air pressure) adjusted by the regulator; A three-way valve connected to the pneumatic inlet and a first shaft to regulate inflow of pneumatic pressure; A pneumatic discharge port connected to a second shaft of the three-way valve and discharging pneumatic pressure; An upper cylinder connected to a third shaft of the three-way valve and including a piston that is vertically moved due to the inflow of pneumatic pressure; A rod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piston and configured to transmit a force F1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ston due to the inflow air pressure; A first opening provided at one side and having a first fluid pressure F2 introduced therein, a second opening provided at the other side and having a secondary fluid pressure flowed out; And a needle ball valve to which a differential fluid pressure is applied, and when a pneumatic inflow is performed, a force of the F1 and F2 acts on the internal secondary fluid pressure to control on / off of the needle ball valve. A housing in which the secondary fluid pressure is changed when adjusting the inlet air pressure; And a lower cylinder including a piston valve to which a force greater than the combined force of F1 and F2 is applied, maintains the pressure of the fluid, and exhausts the resistance when the three-way valve is clos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시스템은, 전술한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와; 레귤레이터에 의해 조정된 공압이 유입되는 제2 공압 유입부와; 상기 제2 공압 유입부와 제1 축이 연결되어 공압의 유입을 조절하는 상측 3 웨이 밸브와; 상기 상측 3 웨이 밸브의 제2 축과 연결되고, 상기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의 공압 유입부와 연결되는 에어 모터; 및 상기 에어 모터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에어 모터로부터 공압에 의한 힘이 전달되면 유체의 비율적인 고압을 형성하는 공압식 피스톤 펌프;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And the pneumatic interlock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pneumatic interlocking control device; A second pneumatic inlet for introducing pneumatic pressure adjusted by the regulator; An upper three-way valve connected to the second pneumatic inlet and a first shaft to regulate inflow of pneumatic pressure; An air motor connected to a second shaft of the upper three-way valve and connected to a pneumatic inlet of the pneumatic interlock control device; And a pneumatic piston pump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air motor and forming a proportional high pressure of the fluid when the force by the pneumatic pressure is transmitted from the air mot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시스템은, 상기 상측 3 웨이 밸브 열림 상태에서 상기 3 웨이 밸브 닫힘 시, 상기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의 공압은 상기 상측 3 웨이 밸브를 통해 해제되고, 상기 에어 모터 내부 공압과 하부 펌프 내부 유체 고압력이 동시에 해제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pneumatic interlock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ree-way valve is closed in the upper three-way valve open state, the pneumatic pressure of the pneumatic interlocking control device is released through the upper three-way valv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ir mot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 pressure of the fluid inside and the lower pump is released simultaneously.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인 장치로서, 에어 압력을 통해 유체 압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원격 제어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chanical device,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fluid pressure through the air pressu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도이다. 그리고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의 구동 순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Hereinafter, a pneumatic interlock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pneumatic interlock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and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neumatic interlock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a driving sequence of the pneumatic interlock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100)는 공압(air pressure) 유입부(10), 3 웨이 밸브(3 way valve; 20), 공압 배출구(30), 상측 실린더(45), 로드(rod; 47), 하우징(55), 및 하측 실린더(65)로 구성된다.1, 2A and 2B, the pneumatic
공압 유입부(10)는 레귤레이터에 의해 조정된 공압이 유입된다. The
3 웨이 밸브(20)는 3 축으로 구성된다. 즉, 공압 유입부(10)와 연결되는 제1 축(21), 공압 배출구(30)와 연결되는 제2 축(22), 및 피스톤(40)과 연결되는 제3 축(23)으로 구성된다. 3 웨이 밸브(20)는 공압 유입부(10)에서 유입되는 공압의 유입을 조절한다. The three
공압 배출구(30)는 3 웨이 밸브(20)의 제2 축(22)과 연결된다. 공압 배출 구(30)는 공압이 배출된다. 즉, 공압 배출구(30)는 전술한 3 웨이 밸브(20)가 닫히는 경우, 상/하측 실린더(45, 65)의 공압이 배출되는 부분이다. 이로 인해, 하우징(55) 내부의 압력이 해제될 수 있다.The
상측 실린더(45)는 3 웨이 밸브(20)의 제3 축(23)과 연결된다. 상측 실린더(45)는 피스톤(40)을 포함한다. 피스톤(40)은 유입되는 공압으로 인해 상하 운동을 한다. The
로드(47)는 피스톤(40) 하부와 연결된다. 공압 유입부(10)로 공압이 유입되면, 로드(47)에는 유입되는 공압으로 인한 피스톤(40)의 압력 면적에 대한 힘(F1)이 외경으로 전달된다. The
하우징(55)은 측면에 제1 개구(51)와 제2 개구(52)가 형성되고, 니들 볼 밸브(needle ball valve; 50)를 포함한다. 제1 개구(51)는 하우징(55)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1 차 유체 압력(F2)이 유입되는 부분이다. 제2 개구(52)는 하우징(55)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2 차 유체 압력이 유출되는 부분이다. 니들 볼 밸브(50)는 로드(47) 하부에 구비되고, 공압 유입 시, 유체의 온/오프 기능을 한다.The
하우징(55)의 내부에서는 공압 유입 시, F1과 F2의 합력이 내부의 2 차 유체 압력과 작용되어, 니들 볼 밸브(50)의 온/오프가 조절된다. 그리고 유체가 이동 중에, 레귤레이터를 통해 유입되는 공압을 조정하면, 2 차 유체 압력을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다.At the inside of the
하측 실린더(65)는 피스톤 밸브(60)를 포함한다. 피스톤 밸브(60)는 F1과 F2의 합력보다 더 큰 힘이 작용되어 저항이 된다. 피스톤 밸브(60)는 유체의 압력을 유지시킨다. 피스톤 밸브(60)는 3 웨이 밸브(20)의 닫힘 시, 저항력이 소진된다. 즉, 3 웨이 밸브(20)가 닫히는 경우, 상/하측 실린더(45, 65)의 공압이 공압 배출구(30)로 배출되고, 피스톤 밸브(60)의 저항력은 소진되어, 결국 하우징(55) 내부의 압력이 연동적으로 해제될 수 있다.The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100)의 구동 순서를 살펴보면,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 웨이 밸브(20)의 열림 상태에서 공압 유입부(10)를 통해 조정된 공압이 유입된다(S301).Referring to the driving sequence of the pneumatic
유입된 공압에 의해, 로드(47)의 외경으로 전달되는 피스톤(40)의 압력 면적에 대한 힘(F1)과(S303), 동시에 니들 볼 밸브(50)의 볼의 1 차 유체 압력이 만나는 면적의 힘(F2)(S305)의 합력이 하우징(55) 내부의 2 차 유체 압력과 작용한다(S307). 이로써, 니들 볼 밸브(50)를 온/오프시키는 작용을 하게된다(S309).The area where the force F1 with respect to the pressure area of the
이어서, 도 3b를 참조하면, 유체 압력의 이송 중에, 3 웨이 밸브(20)를 닫으면(S331), 상/하측 실린더(45, 65)의 공압이 공압 배출구(30)로 배출된다(S333). 그리고 피스톤 밸브(60)의 저항력은 소진되고, 하우징(55) 내부의 압력은 연동적으로 해제된다(S337).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3B, when the thre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100)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에어라인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즉, 특정 위치에서 복수 개의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pneumatic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100)에서 하우징(55) 내부의 고압력을 제어하는 구조를 살펴본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압 식 연동 제어 장치에서 하우징 내부 유체 고압력을 상측 및 하측 실린더의 공압식 피스톤에 의해 제어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controlling the high pressure inside the
도 4a는 하우징(55) 내부의 유체 고압력을 상측 실린더(45)의 피스톤(40)과 하측 실린더(65)의 피스톤 밸브(60)를 동일한 에어 압력으로 제어시키는 구조이고, 도 4b는 하우징(55) 내부의 유체 고압력을 상측 실린더(45)의 피스톤(40)과 하측 실린더(65)의 피스톤 밸브(60)를 각각 독립적인 에어 압력으로 제어시키는 구조이다. 4A is a structure for controlling the high pressure of the fluid inside the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공압식 연동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시스템의 구동 순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Hereinafter, a pneumatic interlock control system including a pneumatic interlock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neumatic interlock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a driving sequence of the pneumatic interlock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시스템(500)은 도장용 또는 고점도 씰린트 등의 유체 분사 또는 이송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안정적인 토출 압력과 작동상의 안전을 위해 유체를 연동적으로 제어시킬 수 있다. The pneumatic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시스템(500)은 전술한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100), 제2 공압 유입부(110), 상측 3 웨이 밸브(120), 에어 모터(air motor; 130), 및 공압식 피스톤 펌프(displacement pump; 14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pneumatic
제2 공압 유입부(110)는 레귤레이터(150)에 의해 조정된 공압이 유입된다.The second
상측 3 웨이 밸브(120)는 3 개의 축으로 구성되고, 예컨대 제2 공압 유입 부(110)와 연결되는 제1 축(121), 에어 모터(130)와 연결되는 제2 축(122), 및 공기 배출을 위한 배기구로서의 제3 축(123)으로 구성된다. 상측 3 웨이 밸브(120)는 공압의 유입을 조절한다. 상측 3 웨이 밸브(120)의 열림으로 공압 유입 시, 하기되는 에어 모터(130)와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100)의 상/하측 실린더(45, 65)로 동일한 압력이 들어가게 된다.The upper three-
에어 모터(130)는 상측 3 웨이 밸브(120)의 제2 축(122)과 연결된다. 에어 모터(130)는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100)의 공압 유입부(10)와 연결된다. 전술한 상측 3 웨이 밸브(120)의 열림으로 공압 유입 시, 에어 모터(130) 내부의 실린더로 압력이 들어간다.The
공압식 피스톤 펌프(140)는 에어 모터(130) 하부에 연결된다. 공압식 피스톤 펌프(140)는 에어 모터(130)로부터 공압에 의한 힘이 전달되면, 유체의 비율적인 고압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하부, 즉 공압식 피스톤 펌프(140)는 행정 전환되는 시점에서 토출 유체압력이 떨어지는 불안정한 특성이 있으며, 이것은 토출압력의 최저압력보다 낮은 압력으로 제어기를 셋팅하게 되면, 안정적인 토출압력으로 변환될 수 있다.The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100)의 3 웨이 밸브(20)는 유체 압력을 수동으로 드레인 조작이 가능하다. 3 웨이 밸브(20)의 열림 상태에서 상측 3 웨이 밸브(120)닫힘 시,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100)의 공압은 상측 3 웨이 밸브(120)를 통해 해제된다. 그리고 연동적으로 에어 모터(130) 내부의 공압과 공압식 피스톤 펌프(140) 내부의 유체 고압력이 동시에 해제되어, 안전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The 3-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시스템(500)도 전술한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에어라인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즉, 특정 위치에서 복수 개의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 및/또는 시스템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neumatic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시스템(500)의 구동 순서를 살펴보면,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압 유입부(110)로 공압이 유입되면(S601), 레귤레이터(150)로 에어 압력이 조정된다(S603).Looking at the driving sequence of the pneumatic
그리고 상측 3 웨이 밸브(120)의 에어 모터(130) 연결 축, 즉 제2 축(122)을 열면(S605), 에어 모터(130)의 내부 실린더로 압력이 유입됨(S607)과 동시에,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100)의 상/하측 실린더(45, 65)로 압력이 유입된다(S609).In addition, when the connecting shaft of the
여기서, 에어 모터(130)로 유입된 압력은 공압식 피스톤 펌프(140)로 전달되어, 유체의 비율적 고압이 형성될 수 있다(S611).Here, the pressure introduced into the
이어서, 도 6b를 참조하면, 3 웨이 밸브(20)가 열리고(S631), 상측 3 웨이 밸브(120)가 닫히는 경우(S633), 상측 3 웨이 밸브(120)에 의해 공압이 해제된다(S635). 그리고 에어 모터(130)의 내부 공압과 공압식 피스톤 펌프(140)의 내부 유체 고압이 동시에 해제될 수 있다(S635).6B, when the thre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은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neumatic interlock control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form, it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pneumatic interlock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도이다.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pneumatic interlock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의 구동 순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3A and 3B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a driving sequence of the pneumatic interlock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에서 하우징 내부 유체 고압력을 상측 및 하측 실린더의 공압식 피스톤에 의해 제어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4a and 4b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controlling the fluid high pressure in the housing in the pneumatic peristalt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pneumatic piston of the upper and lower cylinder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neumatic interlock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연동 제어 시스템의 구동 순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6A and 6B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a driving sequence of the pneumatic interlock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공압식 연동 제어 장치 10, 110; 공압 유입부100; Pneumatic
20, 120; 3 웨이 밸브 21, 22, 23, 121, 122; 축20, 120; Three-
30; 공압 배출구 40; 피스톤30;
45; 상측 실린더 47; 로드45;
50; 니들 볼 밸브 51, 52; 개구50;
55; 하우징 60; 피스톤 밸브55; A
65; 하측 실린더 130; 에어 모터65;
140; 공압식 피스톤 펌프 500; 공압식 연동 제어 시스템140;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5403A KR100954867B1 (en) | 2009-12-31 | 2009-12-31 | Pneumatic interlocking controlling device and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5403A KR100954867B1 (en) | 2009-12-31 | 2009-12-31 | Pneumatic interlocking controlling device and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54867B1 true KR100954867B1 (en) | 2010-04-28 |
Family
ID=42220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3540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54867B1 (en) | 2009-12-31 | 2009-12-31 | Pneumatic interlocking controlling device and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54867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15605A (en) * | 1989-09-28 | 1991-05-16 | Mitsubishi Electric Corp | Material crushing device controller |
JPH1037911A (en) * | 1996-05-03 | 1998-02-13 | Etab Caillau | Pneumatic actuator device |
JPH10508679A (en) * | 1994-11-16 | 1998-08-25 | ハイドロラックス ソシエタ ア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タータ | Pilot operated servo valve |
JP2009103304A (en) * | 2007-10-22 | 2009-05-14 |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 Hydraulic control valve for construction machine |
-
2009
- 2009-12-31 KR KR1020090135403A patent/KR10095486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15605A (en) * | 1989-09-28 | 1991-05-16 | Mitsubishi Electric Corp | Material crushing device controller |
JPH10508679A (en) * | 1994-11-16 | 1998-08-25 | ハイドロラックス ソシエタ ア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タータ | Pilot operated servo valve |
JPH1037911A (en) * | 1996-05-03 | 1998-02-13 | Etab Caillau | Pneumatic actuator device |
JP2009103304A (en) * | 2007-10-22 | 2009-05-14 |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 Hydraulic control valve for construction mach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124258B (en) | Double-acting directional fluid flow valve | |
US4444216A (en) | Pressure reducing and regulating valve | |
US8714265B2 (en) | Down hole valve device | |
CN101220821B (en) | Hydraulic valve arrangement | |
US10697476B2 (en) | Actuator controller and method for regulating the movement of an actuator | |
JPH04262072A (en) | Hydraulic motor control device | |
CN101542173A (en) | Exhaust venting for a fluid control device | |
US9976545B2 (en) | Air operated pump | |
CN106043410B (en) | Hydraulic steering system | |
JPH09512329A (en) | Valve operated by its own medium | |
KR100954867B1 (en) | Pneumatic interlocking controlling device and system | |
KR100814497B1 (en) | Logic Valve for Variable Flow Control | |
KR101830165B1 (en) | Actuator for valve | |
RU2314449C2 (en) | Controllable check valve | |
CN106050782A (en) | Multi-way reversing valve capable of remotely switching working pressure | |
US2401397A (en) | Hydraulic apparatus | |
US10100849B2 (en) | Oil exchange in hydraulically operated and electro-hydraulically operated hydraulic valves | |
JP2008514875A (en) | Pneumatic system with one or more piston / cylinder arrangements | |
CN104329309B (en) | Prestressed tensioning system | |
CN206017298U (en) | A kind of uniform-pressure-drop valve on multiple directional control valve | |
KR102088562B1 (en) | Pilot poppet type relief valve | |
CN108506266A (en) | A kind of plug-in proportioning valve | |
CN212616519U (en) | Combined switch | |
CN209557364U (en) | A kind of fully automatic hydraulic verification control device | |
JP3923993B2 (en) | Air venting device in upper pilot oil chamber in vertical spool type switching valv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1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