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54399B1 -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399B1
KR100954399B1 KR1020047018953A KR20047018953A KR100954399B1 KR 100954399 B1 KR100954399 B1 KR 100954399B1 KR 1020047018953 A KR1020047018953 A KR 1020047018953A KR 20047018953 A KR20047018953 A KR 20047018953A KR 100954399 B1 KR100954399 B1 KR 100954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time
viewing
suppor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4210A (ko
Inventor
쓰루타야스시
마쓰자키가쓰로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04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제공되는 시청지원 정보를 기초로 녹화된 비디오 컨텐츠의 시청 재생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청지원 정보는 각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을 특정하는 채널 정보나 프로그램내의 특정의 장면에 대한 코멘트, 및 코멘트한 장면의 온에어(on air) 시각이 포함된다. 시청지원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측에서는 마음에 드는 코멘트의 장면을 그 온에어 시각을 단서로 하여 자동적으로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CONTENT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CONTENT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REON A COMPUTER PROGRAM}
본 발명은 음성이나 영상 등의 컨텐츠를 기록 재생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송국 등으로부터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 등의 컨텐츠를 기록 재생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또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녹화된 방송 컨텐츠 중의 장면(scene)을 특정하고 재생할 때의 처리를 자동화하여 편안한 시청을 지원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보 제공자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특정된 장면을 재생할 때의 처리를 자동화하여 편안한 시청을 지원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의해, 영상이나 음성으로 이루어지는 오디오/비디오(AV) 데이터를 열화 없이 대량으로 축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수십 기가바이트(GB) 또는 그 이상의 용량을 가지는 하드디스크 장치(HDD)가 비교적 염가로 이용 가능하게 되어, HDD 베이스의 녹화기도 등장하고 있다.
HDD는 기록 데이터에 대한 랜덤 액세스가 가능한 장치이다. 따라서, 녹화 컨텐츠를 재생할 때는 종래의 비디오 테이프의 경우와 같이, 녹화해 둔 프로그램을 선두로부터 차례대로 재생할 필요가 없으며, 원하는 프로그램부터 직접 재생을 개시할 수 있다.
그러나, HDD의 대용량화에 따라 다수의 프로그램이 축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어느 프로그램부터 먼저 보아야 하는지의 컨텐츠의 선택에 대해 사용자는 고민을 하게 된다. 모처럼 축적한 컨텐츠가 사장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효한 활용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시청(視聽) 지원을 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정보화가 고도로 진행된 현대 사회에 있어서는, 다양한 정보가 디지털 화되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공유 및 유통이 되고 있다. 따라서,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사이에서 각자의 지식이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다. 인터넷상에서는 다양한 전자 게시판(BBS: Bu1letin Board System)이 구축되어 있고,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코멘트를 기입함으로써, 같은 테마에 관한 문제점이나 의견을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관한 인터넷상의 전자 게시판은 이미 존재해 있는데, 일반인이 방송된 프로그램에 관하여 기입에 의해 비평하거나, 그것을 다른 사람이 열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인 전자 게시판은 투고자명(또는 핸들명)과 투고 일시 및 코멘트 기입 필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어떤 프로그램」에 관한 포괄적인 정보/감상/코멘트를 기입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중의 특정의 장면 등에 대하여 언급하려고 하는 경우, 게시판에 기입하는 사람은, 예를 들면「시작해서 10분 30초 정도 경과한 부분의 장면」이라고 하는 것처럼, 장면을 특정하기 위한 시각의 정보를「문자열」로서 기입해야 한다. 한편, 게시판을 열람하는 사람은 그 장면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에는 VTR 등의 비디오 녹화 장치를 사용하여,「몇 시부터 녹화했는가」라고 하는 정보(기억)와, 기기의 경과 시각 카운터를 사용하여 그 장면을 검색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녹화된 방송 컨텐츠 중의 장면을 특정하고 재생할 때의 처리를 자동화하여 편안한 시청을 지원할 수 있는 우수한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보 제공자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특정된 장면을 재생할 때의 처리를 자동화하여 편안한 시청을 지원할 수 있는 우수한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참작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제1 특징은 예정 시각에 따라 분배된 컨텐츠를 기록하는 동시에 시청을 지원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또는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으로서,
분배 컨텐츠를 분배 채널 및 보존시의 시각 정보와 함께 보존하는 컨텐츠 축적 수단 또는 단계와,
컨텐츠의 분배 채널, 컨텐츠의 분배 일시 및 상기 컨텐츠의 재생 개시점 정 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시청지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또는 단계와,
시청지원 정보를 해석하는 정보 해석 수단 또는 단계와,
해당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축적 수단으로부터 추출하여 재생 개시점으로부터 재생 출력하는 컨텐츠 제시 수단 또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또는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이다.
여기서, 분배 컨텐츠란, 예를 들면 각 방송국으로부터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음성 및 영상 컨텐츠이다. 또, 시청지원 정보는, 예를 들면 다른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각 장면에 대한 코멘트 등의 정보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관한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또는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에 의하면, 수신한 시청지원 정보를 해석하고, 해당 컨텐츠를 추출하여, 재생 개시점으로부터 재생 출력함으로써, 정보 제공자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특정된 장면을 재생할 때의 처리를 자동화하여 편안한 시청을 지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관한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또는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정보 제공자로부터 정보를 받은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많은 비디오 컨텐츠 중에서 자동적으로 정보 제공자가 상정하는 비디오 컨텐츠를 찾아내어, 자동적으로 정보 제공자가 상정하는 장면으로부터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처리를 행할 때, 사용자는 복잡한 조작을 할 필요가 없고, 버튼을 선택하는 등의 단일의 조작만으로 처리가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또, 사용자간의 비디오 컨텐츠의 녹화 개시 시간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으면서도, 정보 제공자가 상정하는 장면으로부터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 통상의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등의 시청지원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사용자는 복잡한 조작을 할 필요가 없으며, 예를 들면 리모콘의 버튼을 누르는 등의 단일의 조작만으로 시청지원 정보의 제공을 받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관한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또는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은 재생 개시점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의 재생 개시점을 보정하는 재생 개시점 보정 수단 또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이 재생 개시점 보정 수단 또는 단계는 컨텐츠의 보존 개시 일시와 분배 개시 일시를 비교하여, 보존 개시 일시가 분배 개시 일시보다 과거인 경우에는 재생 개시점 정보에 그 시간차를 추가하고, 분배 개시 일시가 보존 개시 일시보다 과거인 경우에는 재생 개시점 정보로부터 그 시간차를 공제하도록 해도 된다.
또, 시청지원 정보가 컨텐츠에 관한 코멘트를 포함하는 등의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 제시 수단 또는 단계는 해당 제시 위치에서 코멘트를 병렬로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또, 시청지원 정보에 의해 특정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축적 수단으로부터 추출할 수 없는 것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경고를 표시하는 경고표시 수단 또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그리고, 이 경고표시 수단 또는 단계는 다음 분배 분의 컨텐츠의 예약 방법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관한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또는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은 하나 이상의 시청지원 정보를 취득하는 시청지원 정보 요구 수단 또는 단계와, 상기 취득된 시청지원 정보를 일람표시하는 시청지원 정보 일람표시 수단 또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시청지원 정보 요구 수단 또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시청지원 정보를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상기 시청지원 정보 요구 수단 또는 단계는 자동적으로 또한 정기적으로 외부 장치로부터 시청지원 정보를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시청지원 정보 축적 수단 또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시청지원 정보 일람표시 수단 또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시청지원 정보 축적 수단으로부터 시청지원 정보를 추출하여 일람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 제시 수단 또는 단계에 의한 컨텐츠의 재생 출력을 정지한 후에, 상기 시청지원 정보 일람표시수단 또는 단계에 의한 시청지원 정보의 일람표시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시청지원 일람표시 수단 또는 단계에 의한 시청지원 정보의 일람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정보 해석 수단 또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시청지원 정보를 해석하고, 상기 컨텐츠 제시 수단은 해당하는 컨텐츠를 재생 개시점으로부터 재생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처리를 행할 때, 사용자는 복잡한 조작을 할 필요가 없고, 버튼을 선택하는 등의 단일의 조작만으로 처리가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또, 사용자간의 비디오 컨텐츠의 녹화 개시 시간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으면서, 정보 제공자가 상정하는 장면으로부터의 재생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예정 시각에 따라 분배된 컨텐츠를 기록하는 동시에 시청을 지원하기 위한 처리를 컴퓨터 시스템상에서 실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형식으로 기술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분배 컨텐츠를 분배 채널 및 보존시의 시각 정보와 함께 보존하는 컨텐츠 축적 단계와,
컨텐츠의 분배 채널과 컨텐츠의 분배 일시와 상기 컨텐츠의 재생 개시점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시청지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시청지원 정보를 해석하는 정보 해석 단계와,
해당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축적 단계에서 축적한 것으로부터 추출하여 재생 개시점으로부터 재생 출력하는 컨텐츠 제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상에서 소정의 처리를 실현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형식으로 기술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정의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설치함으로써, 컴퓨터 시스템상에서는 협동적 작용이 발휘되어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관한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또는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나 첨 부하는 도면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소정 프로그램에 대하여 장면마다의 코멘트를 모은 게시판의 화면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에 있어서 시청지원 정보에 따라 녹화된 컨텐츠의 재생 위치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시청지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시청지원 정보에 따라 녹화된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검색 모듈에 있어서 비디오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처리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
도 6은 비디오 컨텐츠 정보의「녹화 개시 일시」와 프로그램 정보의「방송 개시 일시」가 상이한 경우를 상정한, 시청지원 정보에 따른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 위치 제어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시청지원 정보로부터 추출한 문자열 정보(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코멘트 등)를 비디오 재생 화상과 동시에 표시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비디오 컨텐츠 정보의「녹화 개시 일시」와 프로그램 정보의「방송 개시 일시」가 상이한 경우, 재생 개시점을 보정하기 위한 처리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
도 9는 시청지원 정보에 따라 선택된 비디오 컨텐츠의 검색에 실패한 경우의 사후 처리를 행하기 위한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검색 처리에 실패한 때의 사후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
도 11은 시청지원 정보 사이트가 사용자, 즉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시청지원 정보 일람을 제공하는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사용자, 즉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가 시청지원 정보 사이트로부터 시청지원 정보 일람을 자동적으로 또한 정기적으로 취득하는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3은 시청지원 정보의 프로그램의 다음 방송분을 예약하는 방법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는 프로그램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튜너, 비디오 컨텐츠와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베이스를 보관할 수 있는 기억장치, 및 네트워크상의 다른 사람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기본 구성 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는 튜너(1), 음성신호 처리회로(2), 영상신호 처리회로(3),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부호화기/복호화기/버퍼 VRAM(6), 광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 모뎀(8), 리모콘 수광부(9), 리모콘(10), CPU(Central Processing Unit)(11), 일시 기억용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12), 영구 데이터용의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 0nly Memory)(13), 불휘발성 RAM(14), 기억장치(15), 키보드(16), 마우스(17) 및 시계(18)를 구비하고 있다. 음성신호 처리회로(2) 및 영상신호 처리회로(3)에는 통상적으로, 스피커(4)나 디스플레이(5) 등의 재생 출력 장치가 외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 키보드(16)나 마우스(17)는 다른 사용자 입력 장치로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CPU(11)는 해당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 전체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이며, 운영 체제(OS)가 제공하는 실행 환경하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CPU(11)는 버스(19)를 통하여 각 부품에 상호 접속되어 있다.
RAM(12)은 기입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 구성되며, 예를 들면 OS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전개하거나, 프로그램 실행시의 작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 ROM(13)은 유지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기입된 판독 전용 메모리이며, 예를 들면 해당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의 전원 투입시의 자기 진단 프로그램이나, 하드웨어 조작용의 코드, 부트스트랩 모듈(OS 기동을 위한 모듈) 등이 저장되어 있다.
불휘발성 RAM(14)에는, 예를 들면 해당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의 하드웨어 세트 고유의 ID 정보나, 사용자의 ID 정보, 사용자가 거주하고 있는 지역 정보 등이 저장된다. 또, 이들 정보는 기억장치(l5)에 저장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불 휘발성 RAM(14)을 제거할 수 있다.
기억장치(15)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장치(HDD)나 재기입 가능한 DVD 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며, 비디오 컨텐츠의 축적이나 비디오 컨텐츠 녹화시의 정보 데이터(방송 일시나 채널 등)를 보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 기억장치(15)의 다른 용도로서, 운영 체제(OS)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네트워크 접속 프로그램(범용의 웹브라우저) 등의 실행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고유의 데이터를 보존하는데 사용된다. 단, OS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기억장치(15) 대신에 ROM(13)에 저장하여 두어도 된다.
사용자는 리모콘(10) 또는 키보드(16)나 마우스(17) 등의 사용자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해당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리모콘(10)에 의한 조작 지시는 리모콘 수광부(9)에 의해 수신되어 버스(19)를 경유하여 CPU(11)에 전송된다. 또, 키보드(16)나 마우스(17)에 의한 조작 지시도 마찬가지로 CPU(11)에 전송된다. CPU(11)는 이들 입력 장치로부터 보내진 조작 지시를 처리하여,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의 동작을 결정한다.
디스플레이(5)에는, 온에어(on air) 중 또는 녹화 재생의 영상 이외에, 사용자 조작용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화면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재생 가능한 비디오 컨텐츠 일람 등이 표시된다. 이와 같은 경우, CPU(11)에서 GUI 처리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버퍼 VRAM(6)에 표시용 이미지가 생성되어, 영상신호 처리회로(3)를 경유하여 디스플레이(5)에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5)를 경유하여 기기 상태나 가능한 조작을 알 수 있다. 단, 모든 조작 일람이 디스 플레이(5)에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온에어(on air) 프로그램을 시청할 때, 튜너(1)에서 영상 및 음성파 또는 프로그램 정보(EPG: Electric Program Guide), 프로그램 내부에 관한 정보(메타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CPU(11)의 제어하에서, 음성신호 처리회로(2) 및 영상신호 처리회로(3)에 의해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가 복조되어, 스피커(4) 및 디스플레이(5)로부터 외부 출력된다.
프로그램을 녹화할 때는, 수신한 영상 및 음성신호를 MPEG 부호화기(6)에서 디지털 압축 처리하고, CPU(11)의 제어하에서 기억장치(15)에 저장된다. 기억장치(15)에 저장되는 경우, 일시적인 데이터의 저장 장소로서 RAM(12)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 프로그램을 녹화할 때, 영상신호, 음성신호 외에 녹화되는 프로그램의 EPG 정보, 녹화 개시 시각이나 녹화하는 시간의 길이, 채널, 프로그램이 속하는 장르, 프로그램 내부에 관한 정보(메타 데이터) 등도 함께 기억장치(15)에 기록한다. 여기서, 메타 데이터는, 구체적으로는 프로그램 내의 인덱스(어떤 시각과 그 시각에 관한 코멘트, 아이콘을 하나의 세트로 한 프로그램 내의 지표와 같은 것임), 프로그램 내의 세그먼트(개시 시각, 종료 시각, 코멘트, 아이콘을 세트로 한 프로그램 내의 일부분, 하이라이트 장면 등)이나, 1개 이상의 프로그램 내의 세그먼트, 코멘트, 아이콘으로 이루어지는 스토리, 그 이외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 등이다. 또, 이들 정보는 불휘발성 RAM(14)에 기록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는 온에어 프로그램의 시청과 그 녹 화를 동시에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튜너(1)에서 수신한 방송파를 MPEG 부호화기(6), 음성신호 처리회로(2) 및 영상신호 처리회로(3)에 각각 출력하는 것으로 된다.
녹화한 프로그램을 재생할 때는, CPU(11)의 제어하에서 기억장치(15)로부터 압축된 영상 및 음성 데이터가 MPEG 복호화기(6)에 전송되고, MPEG 복호화기(6)에서 복호된 후, 음성신호 처리회로(2) 및 영상신호 처리회로(3)에서 복조되어 스피커(4) 및 디스플레이(5)로 외부 출력된다. 여기서, 기억장치(15)로부터 MPEG 복호화기(6)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일시 기억 영역으로서 RAM(12)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 MPEG 복호화기(6)에서 압축 데이터를 전개할 때, 일시 기억 영역으로서 버퍼 VRAM(6)이 사용되어도 된다.
프로그램 재생 중, CPU(11)는 어느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지, 현재 어느 시각 부분을 재생하고 있는지 등의 정보를 관리하고, 일시적으로 RAM(12)상에 기록한다. 또, 프로그램을 재생할 때에, 이용하고 있는 프로그램 내부에 관한 정보(메타 데이터)에 관한 정보도 CPU(11)에 의해 관리되어 일시적으로 RAM(12)상에 기록된다.
온에어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을 때도, 튜너(1)로부터 취득한 재생 중의 채널 정보가 CPU(11)에 의해 관리된다. 또, 시스템 시계(l8)로부터 취득되는 실제 시각도 CPU(11)에 의해 관리된다.
모뎀(8)은 공중 전화 회선에 접속되고, 해당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와 외부 호스트와의 통신을 실현한다. 모뎀(8)은 OS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갱신 정보의 수신이나, 시청자로부터 방송국이나 데이터 서버 등에의 데이터 송신에 이용된다. 전술한 튜너(1)에서 얻어지는 프로그램 내부에 관한 정보(메타 데이터)를, 모뎀(8)을 통하여 수신해도 된다.
광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는, 예를 들면 DSL(Digital Subscriber Line)이나 CATV, 광 섬유 등의 광대역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해당 비디오 녹화 재생장치와 외부 호스트와의 통신을 실현한다. 광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는 OS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갱신 정보의 수신이나, 시청자로부터 방송국이나 데이터 서버 등에의 데이터 송신에 이용된다. 전술한 튜너(1)에서 얻어지는 프로그램 내부에 관한 정보(메타 데이터)를 광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에 의해 수신해도 된다.
모뎀(8)이나 광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를 이용하여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는 웹브라우저 등의 범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다. 즉, 이들 프로그램은 기억장치(15) 또는 ROM(13)이나 불휘발성 RAM(14)에 저장되고, 적절하게 RAM(l2)에 전개하여 실행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제공되는 시청지원 정보에 따라 녹화된 비디오 컨텐츠의 시청 재생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시청지원 정보란 각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을 특정하는 채널 정보나, 프로그램 내의 특정의 장면에 대한 코멘트 및 코멘트한 장면의 온에어 시각이 포함된다. 따라서, 시청지원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측에서는, 마음에 드는 코멘트의 장면을 그 온에어 시각을 단서로 하여 용이하게 또는 자동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청지원 정보를, 예를 들면 사용자 사이에서 서로 교환하도록 해도 된다. 즉, 어느 방송 프로그램을 온에어시에 시청한 사용자 또는 그 녹화 컨텐츠를 먼저 시청한 사용자가, 프로그램의 시청을 통하여 취득 또는 작성된 시청지원 정보를, 아직 시청하고 있지 않은 사용자에 대해서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네트워크상의 특정의 서버가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각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지원 정보를 수집하여, 이것을 공개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서버는, 예를 들면 BBS(전자 게시판)와 같은 형식으로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공개 해도 된다. 각 사용자로부터 보내 오는 정보에는, 프로그램을 특정하는 채널 정보나, 프로그램 내의 특정의 장면에 대한 코멘트 및 코멘트한 장면의 온에어 시각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서버 측에서는, 예를 들면 각 프로그램마다 게시판을 설정하여, 각 프로그램에 대하여 보내 온 코멘트를 온에어 시각에 따라 정렬하여, 코멘드 일람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사용자는 인터넷과 같은 WWW(월드와이드웹) 정보 공간을 탐색하여, 이와 같은 게시판 사이트를 방문하는 것으로 다른 사용자가 투고한 시청지원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도 2에는, 소정 프로그램에 대하여 장면마다의 코멘트를 모은 게시판의 화면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코멘트의 등록 일시와, 코멘트의 등록자명, 코멘트, 즉 기입 외에,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으로부터 개입이 행해진 장면까지의 오프셋 시간 또는 재생 개시점 정보가 나타나 있다.
예를 들면, 이 게시판의 오프셋 시간의 문자열에 방송 컨텐츠의 해당 재생 위치를 가리키는 앵커, 또는 방송 컨텐츠의 해당 재생 위치를 검색하기 위한 처리를 기동하는 앵커를 끼워 둔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게시판을 열람하여, 마음에 드는 코멘트가 발견되었을 때, 그 오프셋 시간을 마우스(18)로 클릭하여, 녹화된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해당하는 장면까지 자동적으로 점프(jump)시킬 수가 있다.
도 3에는 본 실시예에 관한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에 있어서, 이와 같은 시청지원 정보에 따라 녹화된 컨텐츠의 재생 위치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비디오 녹화 재생 지원은 네트워크상의 다른 사람이 제공하는 시청지원 정보를 수신하여 해석함으로써, 프로그램 정보와 재생 개시점 정보를 얻는다. 이어서, 얻어진 프로그램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하는 비디오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다. 그리고, 재생 개시 시간 정보에 의해 지정된 시점으로부터 재생을 행한다.
시청지원 정보는 제공자가 상정하는 시점으로부터 비디오를 재생시키기 위한 정보이며,「방송국」,「방송 개시 일시」,「오프셋」이 최소한의 구성 요소이다. 여기서,「방송국」은 프로그램을 방송한 방송국명이다. 「방송 개시 일시」는 프로그램이 방송된 일시의 시간 정보이다. 「오프셋」은 비디오 내의 어느 위치로부터 재생을 개시할지에 대한 정보이며, 프로그램 개시점으로부터 재생을 개시시키고자 하는 위치까지의 시간 간격이 기재되어 있다.
또, 프로그램 정보는 시청지원 정보의「방송국」과「방송 개시 일시」에 의해 구성된다. 프로그램 정보는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의 설치 지역에 맞춘 정보가 보내지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하나로 정할 수 있다.
재생 개시점 정보는 시청지원 정보의「오프셋」에 의해 구성된다.
도 3에 나타낸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게시판을 열람하는 중에 웹브라우저상에 표시되어 있는 시청지원 정보의 일람(도 2를 참조) 중에서 1개를 선택한다고 하는 1회의 조작만으로, 자동적으로 시청지원 정보 제공자가 상정하는 비디오 재생이 개시된다.
도 4에는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시청지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있어서, 시청지원 정보에 따라 녹화된 컨텐츠의 재생 위치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시청지원 정보가 웹브라우저에 의해 수신되면, 비디오 컨텐츠 검색 모듈(이하, 간단히「검색 모듈」이라 함)에 전달된다. 이 때, 검색 모듈은 웹브라우저에 의해 자동적으로 기동된다. 검색 모듈은 시청지원 정보를 해석하여, 대응하는 비디오 컨텐츠를 본 장치 내의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검색하고, 비디오 컨텐츠 재생 모듈(이하, 간단히「재생 모듈」이라 함)로 전달한다. 또, 재생 개시점 정보도 동시에 재생 모듈로 전달된다.
재생 모듈은 검색된 비디오 컨텐츠를 시청지원 정보에 포함되는 재생 개시점 정보에 의해 나타난 재생 위치로부터 재생한다.
여기서, 검색 모듈이나 재생 모듈은 실제로는 기억장치(15)나 불휘발성 RAM(14), ROM(13)으로부터 RAM(12)에 전개되어 CPU(11)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실장할 수 있다.
검색 모듈은 시청지원 정보 제공자가 상정하는 프로그램을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검색한다. 검색시에는, 프로그램 정보와 비디오 컨텐츠 정보를 비교하여 검색한다. 비디오 컨텐츠 정보는 최소한「방송국」,「녹화 개시 일시」,「녹화 종료 일시」로 구성되어 있다. 「방송국」은 녹화 프로그램을 방송한 방송국명이다. 또,「녹화 개시 일시」 및「녹화 종료 일시」는 각각 녹화를 개시 및 종료한 시간 정보이다.
도 5에는 검색 모듈에 있어서 비디오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처리 순서를 플로차트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먼저,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최초의 비디오 컨텐츠를 획득하여(단계 S1), 시청지원 정보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정보와 해당 비디오 컨텐츠 내의 정보에 각각 포함되어 있는「방송국」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
「방송국」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비디오 컨텐츠가 데이터베이스의 끝인지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7). 데이터베이스의 끝이 아니면, 다음 비디오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여(단계 S8), 단계 S2로 돌아와, 상기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또, 데이터베이스의 끝이면, 본 처리 루틴 전체를 종료한다.
한편, 프로그램 정보와 비디오 컨텐츠 내 정보의「방송국」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이어서 재생 개시점의 실제 시간을 산출한다(단계 S3). 재생 개시점의 실제 시간은 프로그램 정보의「방송 개시 일시」에 재생 개시점 정보의「오프셋」의 시간을 추가하는 것에 의해 요구된다.
그리고, 재생 개시점의 실제 시간이 비디오 컨텐츠 정보의「녹화 개시 일시」와「녹화 종료 일시」의 사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것은 비디오 컨텐츠의 녹화 개시 시각이 재생 개시점의 실제 시간보다 과거인지 여부(단계 S4) 및 재생 개시점의 실제 시간이 비디오 컨텐츠의 녹화 종료시간보다 과거인지 여부(단계 S5)에 의해 판단된다.
재생 개시점의 실제 시간이 비디오 컨텐츠 정보의「녹화 개시 일시」와「녹화 종료 일시」의 사이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 비디오 컨텐츠가 프로그램 정보에 해당하는 비디오 컨텐츠라고 간주하고(단계 S6), 비디오 컨텐츠의 검색 처리를 종료한다.
또, 재생 개시점의 실제 시간이 비디오 컨텐츠 정보의「녹화 개시 일시」와「녹화 종료 일시」의 사이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해당 비디오 컨텐츠가 데이터베이스의 끝인지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7). 데이터베이스의 끝이 아니면, 다음 비디오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여(단계 S8), 단계 S2로 돌아와, 상기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또, 데이터베이스의 끝이면, 본 처리 루틴 전체를 종료한다.
여기서, 검색된 비디오 컨텐츠의「녹화 개시 일시」에 재생 개시점 정보의 「오프셋」시간을 그대로 추가해도, 시청지원 정보 제공자가 상정하는 재생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왜냐하면, 비디오 컨텐츠 정보의「녹화 개시 일시」와 프로 그램 정보의 「방송 개시 일시」는 상이한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도 6에는 이와 같은 경우를 상정한 시청지원 정보에 따른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 위치 제어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예에서는, 비디오 컨텐츠 정보의「녹화 개시 일시」와 프로그램 정보의「방송 개시 일시」가 상이한 경우, 비디오 재생을 행하기 이전 단계에서 재생 개시점 정보를 보정하도록 되어 있다.
시청지원 정보가 웹브라우저에 의해 수신되면, 검색 모듈에 전달된다. 그 때, 검색 모듈은 웹브라우저에 의해 자동적으로 기동된다. 검색 모듈은 시청지원 정보를 해석하여, 대응하는 비디오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검색하고, 재생 모듈로 전달한다. 또, 시청지원 정보로부터 추출한 문자열 정보(예를 들면, 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코멘트 등)를 재생 모듈로 전달한다. 또, 재생 개시점 정보는 검색 모듈 내에서 재생 개시점에 대한 보정이 행해지고 나서 재생 모듈로 전달한다. 보정 방법은「녹화 개시 일시」와「방송 개시 일시」의 시간차를 획득하고,「녹화 개시 일시」가「방송 개시 일시」보다 과거인 경우에는,「오프셋」에 시간차를 추가하여 보정을 행한다. 그 반대인 경우에는「오프셋」으로부터 시간차를 공제한다.
재생 모듈은 검색된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 개시점 정보의「오프셋」에 의해 지정된 위치로부터 재생한다. 재생 모듈의 기동은 검색 모듈이 자동적으로 행한다. 이 때, 시청지원 정보로부터 추출한 문자열 정보(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코멘트 등)를 비디오 재생 화상과 동시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도 7을 참조).
도 8에는 검색 모듈에 있어서 비디오 컨텐츠 정보의「녹화 개시 일시」와 프로그램 정보의「방송 개시 일시」가 상이한 경우에, 재생 개시점을 보정하기 위한 처리 순서를 플로차트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먼저, 녹화 개시 일시와 방송 개시 일시의 차(差)의 절대값을 산출하고(단계 S11), 이어서 비디오 컨텐츠의 녹화 개시 일시가 프로그램 정보의 방송 개시 일시보다 과거인지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2).
그리고, 비디오 컨텐츠의 녹화 개시 일시가 프로그램 정보의 방송 개시 일시보다 과거인 경우에는, 재생 개시점 정보에 시간차를 추가한다(단계 S13). 또, 프로그램 개시 일시가 비디오 컨텐츠의 녹화 개시 일시보다 과거인 경우에는, 재생 개시점 정보로부터 시간차를 공제한다(단계 S14).
또,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검색 모듈에 의한 검색 처리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내의 모든 비디오 컨텐츠가 모두 검색 대상으로 되지 못한 경우에는, 사후 처리로 하여 검색 실패 정보를 사용자에 전달한다. 예를 들면, 시청지원 정보 프로그램의 다음 방송분을 예약하는 방법의 표시(도 13을 참조)를 행한다.
도 9에는 시청지원 정보에 따라 선택된 비디오 컨텐츠의 검색에 실패한 때의 사후 처리를 행하기 위한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시청지원 정보가 웹브라우저에 의해 수신되면, 비디오 컨텐츠 검색 모듈(이하, 간단히「검색 모듈」이라 함)에 전달된다. 그 때, 검색 모듈은 웹브라우저에 의해 자동적으로 기동된다.
검색 모듈 내에서는 시청지원 정보를 해석하여, 대응하는 비디오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검색한다. 여기서, 비디오 컨텐츠의 검색에 실패하면, 검색 실패 정보로서, 예를 들면 다음 방송분의 예약 방법 등을 디스플레이(5)의 화면상에 표시한다.
도 10에는, 검색 처리에 실패한 때의 사후 처리의 순서를 플로차트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먼저, 비디오 컨텐츠의 검색을 실행한다(단계 S21). 비디오 컨텐츠의 검색 처리는, 도 5에 나타낸 처리 순서에 따라 실현되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이어서, 해당하는 비디오 컨텐츠를 발견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2).
비디오 컨텐츠를 발견할 수 있었을 경우에는, 해당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 개시점 정보와 함께 재생 모듈에 전달하여, 시청지원 정보에 포함되는 재생 개시점 정보에 의해 나타난 재생 위치로부터 재생한다(단계 S23).
한편, 비디오 컨텐츠를 발견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다음 방송분의 예약 방법 등을 디스플레이(5)의 화면상에 표시한다(단계 S24). 이 예약 방법은, 예를 들면 시청지원 정보에 포함되어 있다.
복수개의 시청지원 정보 제공자가 작성 및 송신한 시청지원 정보는, 예를 들면 광역 네트워크상에 구축된 시청지원 정보 제공 사이트상에서 방송 프로그램마다 정리하여 일괄 관리되어 있고, 각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제공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1에는, 시청지원 정보 사이트가 사용자, 즉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 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시청지원 정보를 제공하는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통상의 비디오 녹화를 재생하는 중 또는 시청지원 정보에 의한 비디오를 재생하는 중에, 사용자가 시청지원 정보의 일람표시를 비디오 컨텐츠의 시청지원을 행하는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에 요구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 제어 정보의 해석이 행해져 비디오 정지 제어와 정보 일람표시 요구라는 동작으로 복호화된다. 그리고, 비디오 컨텐츠 재생 모듈이 비디오 재생을 일단 정지하는 동시에, 웹브라우저가 기동하여, 시청지원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대해서 시청지원 정보 일람 요구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송신된다.
시청지원 정보 제공 사이트 측에서는, 시청지원 정보를 수신하면, 시청지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요구된 시청지원 정보를 추출하고 시청지원 정보 일람을 작성하여, 이것을 요구를 행한 곳으로 회신한다.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시청지원 정보의 일람을 취득하면, 디스플레이(5)의 화면상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 조작을, 예를 들면 리모콘상의 버튼을 누르는 등의 간단한 조작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시청지원 정보에는「코멘트」를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게 할 수 있다. 「코멘트」는 시청지원 정보 제공자가 정보 작성시에 자유롭게 부가할 수 있는 문자열이다. 따라서, 통상의 비디오 녹화를 재생 중 또는 시청지원 정보에 의한 비디오 재생 중에, 시청지원 정보를 제공 사이트에 요구하는 것에 의해, 재생 모듈은 시청지원 정보에 의해 재생된 녹화 화상과 동시에「코멘트」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도 11에 나타낸 시청 일람 정보의 취득 처리를 자동적 또한 정기적으로 행하여 시청지원 장치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해 둠으로써, 사용자 요구시에 오프라인으로 시청지원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도 12에는, 사용자 즉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가 시청지원 정보 사이트로부터 시청지원 정보 일람을 자동적 또한 정기적으로 취득하는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 측에서는, 자동적 또한 정기적으로 웹브라우저가 기동되어 시청지원 정보 일람 요구가 시청지원 정보 제공 사이트에 송신된다.
시청지원 정보 제공 사이트 측에서는, 시청지원 정보를 수신하면, 시청지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요구된 시청지원 정보를 추출하고 시청지원 정보 일람을 작성하여, 이것을 요구를 행한 곳으로 회신한다.
그리고,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시청지원 정보의 일람을 취득하면, 이것을 해당 장치 내의 시청지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해 둔다. 이 때, 수신한 시청지원 정보 일람 중 갱신한 부분을 새롭게 도달한 정보로서 디스플레이(5)로부터 외부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통상의 비디오 녹화를 재생 중 또는 시청지원 정보에 의한 비디오 재생 중에, 사용자가 시청지원 정보의 일람의 표시를, 비디오 컨텐츠의 시청지원을 행하는 비디오 녹화 재생 장치에 요구한 것으로 한다. 이 때, 제어 정보의 해석이 행해져 비디오 정지 제어와 정보 일람표시 요구라는 동작으로 복호화된다. 그리 고, 비디오 컨텐츠 재생 모듈이 비디오 재생을 일단 정지하는 동시에, 해당 장치 내의 시청지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이 행해지고, 해당하는 시청지원 정보가 추출되어 디스플레이(5)의 화면상에 표시된다.
이 때, 해당 장치 내의 시청지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해당하는 시청지원 정보를 발견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웹브라우저가 기동하여, 시청지원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대해서 시청지원 정보 요구를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측에서 시청지원 정보 일람을 자동적 또한 정기적으로 취득하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지연에 의한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경감하는 동시에 새로운 정보의 유무를 표시할 수 있다.
추가 보충
이상,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해설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상기 실시예의 수정이나 대체 이용을 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즉, 예시의 형태로 본 발명을 개시한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특허 청구의 범위를 참작해야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녹화된 방송 컨텐츠 중의 장면을 특정하여 재생할 때의 처리를 자동화하여 편안한 시청을 지원할 수 있는, 우수한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 제공자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특정된 장면을 재생할 때의 처리를 자동화하여 편안한 시청을 지원할 수 있는, 우수한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정보 제공자로부터 정보를 받은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많은 비디오 컨텐츠 중에서 자동적으로 정보 제공자가 상정하는 비디오 컨텐츠를 찾아내어, 정보 제공자가 상정하는 장면으로부터의 재생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처리를 행할 때, 사용자는 복잡한 조작을 할 필요가 없고, 버튼을 선택하는 등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처리가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또, 사용자간의 비디오 컨텐츠의 녹화 개시 시간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정보 제공자가 상정하는 장면으로부터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통상의 비디오 컨텐츠 재생 중 등의 시청지원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때에도, 사용자가 복잡한 조작을 할 필요가 없으며, 예를 들면 리모콘의 버튼을 누르거나 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시청지원 정보의 제공을 받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Claims (23)

  1. 예정 시각에 따라 분배된 컨텐츠를 기록하는 동시에 시청을 지원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로서,
    분배 컨텐츠를 분배 채널 및 보존시의 시각 정보와 함께 보존하는 컨텐츠 축적 수단과,
    컨텐츠의 분배 채널, 컨텐츠의 분배 일시 및 상기 컨텐츠의 재생 개시점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시청지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시청지원 정보를 해석하여, 컨텐츠의 분배 채널과 컨텐츠의 분배 일시, 및 상기 컨텐츠의 재생 개시점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해석 수단과,
    상기 컨텐츠 축적 수단을 검색하여, 상기 정보 해석 수단에 의해 시청 지원 정보로부터 취득한 컨텐츠의 분배 채널과 컨텐츠의 분배일시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취출하는 컨텐츠 검색 수단과,
    상기 컨텐츠 검색 수단에 의해 취출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의 분배 일시에 대한 재생 개시점 정보에 상당하는 오프셋의 시간을 가한 재생 개시점으로부터 재생 출력하는 컨텐츠 제시 수단과,
    상기 컨텐츠 제시 수단에 있어서 컨텐츠를 재생 출력하는 이전의 단계에서, 컨텐츠의 보존 개시 일시와 분배 개시 일시를 비교하여, 보존 개시 일시가 분배 개시 일시보다도 과거인 경우에는 재생 개시점 정보에 그 시간차를 추가하고, 분배 개시 일시가 보존 개시 일시보다도 과거인 경우에는 재생 개시점 정보로부터 그 시간차를 공제하는 것에 의해, 컨텐츠의 재생 개시점을 보정하는 재생 개시점 보정 수단,
    을 구비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시청지원 정보는 컨텐츠에 관한 코멘트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제시 수단은 해당 제시 위치에 코멘트를 병렬로 출력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시청지원 정보에 의해 특정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축적 수단으로부터 취출할 수 없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경고를 표시하는 경고표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표시 수단은 다음 분배분의 컨텐츠의 예약 방법을 표시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시청지원 정보를 취득하는 시청지원 정보 요구 수단과,
    취득된 시청지원 정보를 일람표시하는 시청지원 정보 일람표시 수단
    을 추가로 구비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지원 정보 요구 수단은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시청지원 정보를 취득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지원 정보 요구 수단은 자동적 또한 정기적으로 외부 장치로부터 시청지원 정보를 취득하고,
    시청지원 정보 축적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시청지원 정보 일람표시 수단은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시청지원 정보 축적 수단으로부터 시청지원 정보를 취출하여 일람표시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시 수단에 의한 컨텐츠의 재생 출력을 정지한 후에, 상기 시청지원 정보 일람표시 수단에 의한 시청지원 정보의 일람표시를 행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지원 일람표시 수단에 의한 시청지원 정보의 일람 중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정보 해석 수단이 상기 선택된 시청지원 정보를 해석하고, 상기 컨텐츠 제시 수단이 해당 컨텐츠를 재생 개시점으로부터 재생 출력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10. 예정 시각에 따라 분배된 컨텐츠를 기록하는 동시에 시청을 지원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으로서,
    분배 컨텐츠를 분배 채널 및 보존시의 시각 정보와 함께 보존하는 컨텐츠 축적 단계와,
    컨텐츠의 분배 채널, 컨텐츠의 분배 일시 및 상기 컨텐츠의 재생 개시점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시청지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시청지원 정보를 해석하여, 컨텐츠의 분배 채널과 컨텐츠의 분배 일시, 및 상기 컨텐츠의 재생 개시점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해석 단계와,
    상기 컨텐츠 축적 단계에서 축적된 것 중에서, 상기 정보 해석 단계에 의해 시청 지원 정보로부터 취득한 컨텐츠의 분배 채널과 컨텐츠의 분배 일시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취출하는 컨텐츠 검색 단계와,
    상기 컨텐츠 검색 단계에 의해 취출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의 분배 일시에 대한 재생 개시점 정보에 상당하는 오프셋의 시간을 가한 재생 개시점으로부터 재생 출력하는 컨텐츠 제시 단계와,
    상기 컨텐츠 제시 단계에 있어서 컨텐츠를 재생 출력하는 이전의 단계에서, 컨텐츠의 보존 개시 일시와 분배 개시 일시를 비교하여, 보존 개시 일시가 분배 개시 일시보다도 과거인 경우에는 재생 개시점 정보에 그 시간차를 추가하고, 분배 개시 일시가 보존 개시 일시보다도 과거인 경우에는 재생 개시점 정보로부터 그 시간차를 공제하는 것에 의해, 컨텐츠의 재생 개시점을 보정하는 재생 개시점 보정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지원 정보는 컨텐츠에 관한 코멘트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제시 단계에서는 해당 제시 위치에 코멘트를 병렬로 출력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지원 정보에 의해 특정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축적 단계에서 축적한 것 중에서 취출할 수 없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경고를 표시하는 경고 표시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표시 단계에서는 다음 분배분의 컨텐츠의 예약 방법을 표시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시청지원 정보를 취득하는 시청지원 정보 요구 단계와,
    취득된 시청지원 정보를 일람표시하는 시청지원 정보 일람표시 단계를추가로 포함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지원 정보 요구 단계에서는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시청지원 정보를 취득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지원 정보 요구 단계에서는 자동적 또한 정기적으로 외부 장치로부터 시청지원 정보를 취득하고,
    시청지원 정보 축적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시청지원 정보 일람표시 단계에서는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시청지원 정보 축적 단계에서 축적한 시청지원 정보를 일람표시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시 단계에서의 컨텐츠의 재생 출력을 정지한 후에, 상기 시청지원 정보 일람표시 단계에 의한 시청지원 정보의 일람표시를 행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지원 일람표시 단계에서의 시청지원 정보의 일람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정보 해석 단계에서 선택된 시청지원 정보를 해석하고, 상기 컨텐츠 제시 단계에서 해당 컨텐츠를 재생 개시점으로부터 재생 출력하는,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
  19. 예정 시각에 따라 분배된 컨텐츠를 기록하는 동시에 시청을 지원하기 위한 처리를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하도록 이루어진,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분배 컨텐츠를 분배 채널 및 보존시의 시각 정보와 함께 보존하는 컨텐츠 축적 처리와,
    컨텐츠의 분배 채널, 컨텐츠의 분배 일시 및 상기 컨텐츠의 재생 개시점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시청지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처리와,
    시청지원 정보를 해석하여, 컨텐츠의 분배 채널과 컨텐츠의 분배 일시, 및 상기 컨텐츠의 재생 개시점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해석 처리와,
    상기 컨텐츠 축적 처리에 의해 축적된 것 중에서, 상기 정보 해석 처리에 의해 시청 지원 정보로부터 취득한 컨텐츠의 분배 채널과 컨텐츠의 분배 일시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취출하는 컨텐츠 검색 처리와,
    상기 컨텐츠 검색 처리에 의해 취출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의 분배 일시에 대한 재생 개시점 정보에 상당하는 오프셋의 시간을 가한 재생 개시점으로부터 재생 출력하는 컨텐츠 제시 처리와,
    상기 컨텐츠 제시 처리에 있어서 컨텐츠를 재생 출력하는 이전의 단계에서, 컨텐츠의 보존 개시 일시와 분배 개시 일시를 비교하여, 보존 개시 일시가 분배 개시 일시보다도 과거인 경우에는 재생 개시점 정보에 그 시간차를 추가하고, 분배 개시 일시가 보존 개시 일시보다도 과거인 경우에는 재생 개시점 정보로부터 그 시간차를 공제하는 것에 의해, 컨텐츠의 재생 개시점을 보정하는 재생 개시점 보정 처리
    를 실행시키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047018953A 2002-05-23 2003-05-19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9543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48569 2002-05-23
JP2002148569A JP3747884B2 (ja) 2002-05-23 2002-05-23 コンテンツ記録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記録再生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CT/JP2003/006188 WO2003101096A1 (fr) 2002-05-23 2003-05-19 Dispositif d'enregistrement et de lecture de contenu, procede d'enregistrement et de lecture de contenu et programme informa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210A KR20050004210A (ko) 2005-01-12
KR100954399B1 true KR100954399B1 (ko) 2010-04-26

Family

ID=29561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953A KR100954399B1 (ko) 2002-05-23 2003-05-19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101491A1 (ko)
JP (1) JP3747884B2 (ko)
KR (1) KR100954399B1 (ko)
CN (1) CN100417214C (ko)
WO (1) WO20031010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41000A1 (en) * 1999-11-30 2001-06-07 New Media Technology, Corp. System and method for computer-assisted manual and automatic logging of time-based media
JP4229035B2 (ja) 2004-09-28 2009-02-25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768282B2 (ja) * 2005-02-08 2011-09-07 Necビッグローブ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JP4710000B2 (ja) * 2005-02-16 2011-06-29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番組提示システム
CA2609827A1 (en) * 2005-06-23 2006-12-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gram execution apparatus and execution method
JP2007052594A (ja) * 2005-08-17 2007-03-01 Toshiba Corp 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7060305A (ja) * 2005-08-24 2007-03-08 Sharp Corp コンテンツ情報提供装置、通信システム、解析サーバ装置、コンテンツ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情報提供方法
JP4848756B2 (ja) * 2005-12-15 2011-12-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07114107A1 (ja) * 2006-03-30 2007-10-11 Pioneer Corporation コンテンツ送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バー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送信方法
JP2007274605A (ja) * 2006-03-31 2007-10-18 Fujitsu Ltd 電子装置、放送番組情報の収集方法、その収集プログラム及びその収集システム
JP2007274604A (ja) * 2006-03-31 2007-10-18 Fujitsu Ltd 電子装置、その情報閲覧方法及び情報閲覧プログラム
JP2007334526A (ja) * 2006-06-14 2007-12-27 Hitachi Ltd コンテンツメタデータ登録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4668875B2 (ja) * 2006-09-20 2011-04-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番組録画再生装置、番組再生位置制御方法及び番組情報提供装置
JP2008154014A (ja) * 2006-12-19 2008-07-03 Hitachi Ltd 受信装置
CN101711392A (zh) * 2007-04-13 2010-05-19 艾法罗媒体有限责任公司 视频检测系统和方法
JP5080368B2 (ja) * 2008-06-06 2012-11-21 日本放送協会 映像コンテンツ検索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10101051A (ko) * 2010-03-05 2011-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북마크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3150220A (ja) * 2012-01-20 2013-08-01 Nec Personal Computers Ltd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26709B2 (ja) 2012-03-13 2014-02-26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プログラム及び情報表示方法
JP5492314B2 (ja) * 2013-01-29 2014-05-14 株式会社東芝 映像再生装置及び映像再生方法
CN109246463B (zh) * 2017-06-02 2020-06-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用于显示弹幕的方法和装置
CN107948761B (zh) * 2017-12-12 2021-01-01 上海哔哩哔哩科技有限公司 弹幕播放控制方法、服务器及弹幕播放控制系统
KR20210114536A (ko) * 2020-06-24 2021-09-23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영상자료 제작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3968A (ja) * 2000-07-19 2002-01-31 Nec Corp 放送番組関連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3046910A (ja) * 2001-07-27 2003-02-14 Nec Corp タイムシフト再生方法及び装置並びにこれらに用いられるブックマーク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7468A (en) * 1994-12-02 1998-02-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recording and displaying comments for a video movie
US20020002562A1 (en) * 1995-11-03 2002-01-03 Thomas P. Moran Computer controlled display system using a graphical replay device to control playback of temporal data representing collaborative activities
US6208800B1 (en) * 1997-03-19 2001-03-27 Sony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system, and recording method
US6427048B2 (en) * 1997-04-28 2002-07-30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reproducing and displaying a video signal received by a signal receiver
JP3826604B2 (ja) * 1998-10-16 2006-09-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プレゼンテーション資料のシナリオ生成装置およびシナリオ生成方法
JP4172079B2 (ja) * 1998-12-28 2008-10-29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を使用した情報システムおよび情報伝送方法
JP2001043215A (ja) * 1999-08-02 2001-02-16 Sony Corp 文書処理装置、文書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WO2002008948A2 (en) * 2000-07-24 2002-01-31 Viv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indexing, searching, identifying, and editing portions of electronic multimedia files
JP4162181B2 (ja) * 2000-11-27 2008-10-08 ヤマハ株式会社 番組作成再生装置及び番組作成再生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2002218363A (ja) * 2001-01-22 2002-08-02 Nec Corp 放送自動記録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3204536A (ja) * 2002-01-07 2003-07-18 Toshiba Corp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方法
US7581238B1 (en) * 2002-04-25 2009-08-25 Microsoft Corporation Program episodes record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3968A (ja) * 2000-07-19 2002-01-31 Nec Corp 放送番組関連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3046910A (ja) * 2001-07-27 2003-02-14 Nec Corp タイムシフト再生方法及び装置並びにこれらに用いられるブックマー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56798A (zh) 2005-08-17
US20060101491A1 (en) 2006-05-11
KR20050004210A (ko) 2005-01-12
WO2003101096A1 (fr) 2003-12-04
JP2003348504A (ja) 2003-12-05
JP3747884B2 (ja) 2006-02-22
CN100417214C (zh) 200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399B1 (ko) 컨텐츠 기록 재생 장치,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80421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1352043B (zh) 用于解决冲突和管理多媒体分发系统中的系统资源的系统和方法
CA2602327C (en) System and method for quality marking of a recording
KR101138396B1 (ko) Iptv 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US20020170068A1 (en) Virtual and condensed television programs
KR20090004490A (ko) 전자기기,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JP200435718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028985A (ja) コンテンツ視聴支援回路およびコンテンツ視聴支援装置
JP2005175850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08001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CN101505384B (zh) 广播接收系统
JP2003339006A (ja) コンテンツ記録再生装置又はコンテンツ記録再生方法、情報処理装置又は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094906A (ja) 番組情報管理サーバ及び番組情報取得装置並びに番組情報取得システム
JP4322745B2 (ja) 録画方法及び録画装置
KR101121762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JP4442311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5120265B2 (ja) 嗜好番組抽出装置
JP2007201680A (ja) 情報管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768282B2 (ja)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KR20060047907A (ko) 녹화 장치, 녹화 예약 시스템, 기사 관리 시스템, 녹화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000060084A (ko) Tv 데이터 운용 장치
JP2005176223A (ja) 映像受信再生装置を動作させるプログラムおよび当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可読である記憶媒体および、映像受信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2005176033A (ja) 映像受信再生装置を動作させるプログラムおよび当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可読である記憶媒体および、映像受信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2002344895A (ja) 映像再生装置、映像再生方法、映像再生システム、記録媒体、及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4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4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4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