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53694B1 - 박형 형상의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박형 형상의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694B1
KR100953694B1 KR1020087006431A KR20087006431A KR100953694B1 KR 100953694 B1 KR100953694 B1 KR 100953694B1 KR 1020087006431 A KR1020087006431 A KR 1020087006431A KR 20087006431 A KR20087006431 A KR 20087006431A KR 100953694 B1 KR100953694 B1 KR 100953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suspension
magnetic circuit
circuit portion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6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7390A (ko
Inventor
미노루 우에다
쇼이치 카네다
켄지 우에노
Original Assignee
나미키 세이미츠 호오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미키 세이미츠 호오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미키 세이미츠 호오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7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69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 B06B1/1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eciprocating masses
    • B06B1/1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eciprocating masses the masses being elastically coupl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한 구조에 의해 박형화가 용이하고, 진동량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폴 피스, 마그넷, 요크로 이루어지는 자기회로부에 대하여, 서스펜션을 자성체로 구성함으로써 서스펜션 내주측면 단부(端部)와 폴 피스 단부와의 사이에 자기 공극을 형성하여, 자기회로부 내에서의 마그넷의 박형화를 방지하고, 박형의 구조이면서 체감하기에 충분한 진동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액츄에이터, 박형화, 서스펜션.

Description

박형 형상의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THIN MULTI-FUNCTION VIBRATION ACTUATOR}
본 발명은, 휴대전화나 소형 휴대 전자 기기 등에 탑재되고, 단체(單體)로 진동 발생 기능과 음향 발생 기능을 갖는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전화로 대표되는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음성이나 알람 등의 음향 발생 기능뿐만 아니라, 매너모드 기능으로서 체감 진동을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 전자 기기 내에 마련한 전기 음향 변환기와, 진동 발생 장치에 의해, 음향과 진동을 개별로 출력하고 있다.
이러한 소형의 전기 음향 변환기 중에는 다이나믹형 구조를 이용한 것이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서,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0-145891호(이하 인용 문헌 1로 표기함)가 출원되어, 공개되어 있다.
상기 인용 문헌 1에서는, 다이어프램(diaphragm)에 마련한 코일로의 입력 신호에 의해, 다이어프램을 진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접시 형상의 단면(斷面) 형상을 갖는 하우징(housing) 내에, 판 두께 방향으로 착자(着磁)한 마그넷과,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폴 피스(pole piece)로 이루어지는 자기(磁氣)회로부를 마련하 고, 상기 자기회로부와 코일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상호의 자력에 의해, 코일이 요동되어, 다이어프램이 진동한다.
인용 문헌 1에서는, 단자판(端子板)을 요크(yoke)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종래의 소형 다이나믹 스피커보다도 얇고, 그리고 배선을 용이하게 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댐퍼(damper)를 통기공(通氣孔)에 부착한 구조로 되어 있어, 케이스 내외의 공기의 이동을 제한하고, 또한 다이어프램의 미(微)진동을 억제한다는 효과를 얻고 있다.
덧붙여, 상기 댐퍼를 부착할 때에, 하우징(인용 문헌 1에서는 프레임으로 표기)과 단자판과의 사이에 끼워서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단자판과 하우징과의 사이에 댐퍼가 끼워지게 되어 있어, 복수의 통기구(通氣口)에 대하여 균일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인용 문헌 1의 실시예 중에 있어서, 프레임 밖으로 단자를 돌출하여 마련한 단자판을 나타내고 있어, 기판 부착 시에 위치 결정이 용이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인용 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음향 변환기에서는, 그 구조상, 진동을 발생하는 기능은 없어, 별도의 진동 발생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과제가 있었다.
이 과제에 대하여, 단체(單體)로 음향과 진동의 양쪽의 출력을 겸비하는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가,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239459호(이하 인용 문헌 2로 표기함)로서 출원되어, 공개되어 있다.
이 인용 문헌 2에서는, 요크, 마그넷, 폴 피스로 이루어지는 자기회로부를 서스펜션에 의해 하우징 내벽에 지지하고 있고, 음향 발생 시는 코일을 마련한 다이어프램측이, 진동 발생 시는 자기회로부측이 각각 진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인용 문헌 2에서는, 한 쌍의 조합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음향 발생 시의 코일로의 입력 신호와, 진동 발생 시의 코일로의 입력 신호를, 동일한 코일로 입력하는 공진주파수를 구별하여 사용하는 제어 방법에 의해 실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인용 문헌 2에서는, 진동과 음향의 양쪽을 출력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입력하는 주파수에 의해 진동과 음향 재생을 구별하여 사용함으로써, 음향 재생과 진동 발생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인용 문헌 2에서는, 구동 시에 높은 자기 효율로 구동할 수 있는 개소(箇所)로의 배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코일을 보빈(bobbin)에 권회(卷回)하여 다이어프램에 고정하고 있어, 제조 시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면서, 높은 자기 효율로 구동할 수 있는 개소에 코일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 상에 있어서, 코일의 고정 위치를 오목 구조로 하고 있어, 조립 시에 있어서의 코일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낙하 등의 충격에 대하여, 코일이 다이어프램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효과를 얻고 있다.
덧붙여, 진동 시에 요크를 중량체(重量體)로서 기능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요크에 대하여 별도의 분동(分銅)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조립의 용이화와 제조 비용의 삭감이 가능하다.
상기 열거한 이점 외에, 인용 문헌 2는 그 실시예 중에서, 요크에 경사부를 마련하여, 구동 시에 있어서의 서스펜션 이탈부를 형성하고 있어, 장치 전체의 두께를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상 기술한 이점을 구비함으로써, 인용 문헌 2에서는, 높은 자기 효율로 구동시킬 수 있고, 낙하 등의 충격 시에도, 코일이 탈락하는 일이 없는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를 얻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0-145891호
[특허 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239459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최근, 전술한 인용 문헌의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에 관하여, 탑재하는 휴대 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더한층의 박형화(薄型化)가 요구되고 있고,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그 구조상, 더한층의 박형화가 곤란하다는 과제가 있다.
즉, 인용 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음향 변환기에서는, 박형 그리고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반면, 별도로 마련하는 진동 발생 장치의 부착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어, 결과적으로 인용 문헌 2로 대표되는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보다도 큰 부착 면적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탑재하는 휴대 전자 기기의 소형화가 곤란했었다.
또한, 인용 문헌 2에 기재된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에서는, 요크를 중량체로서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박형화했을 때에, 진동량이 저하되어 버려, 진동량을 얻기 어렵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박형화가 용이하고, 진동량이 충분히 얻어지는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두께 방향으로 착자(着磁)된 판상(板狀) 형상을 갖는 마그넷의 일측 표면에 판상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폴 피스를 부착하고, 타측 표면에 판상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요크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폴 피스 단부(端部)와 상기 요크와의 사이에 자기 공극(空隙)을 형성한 자기회로부를 갖고, 상기 자기회로부를 서스펜션에 의해 상기 자기회로부를 수납하는 하우징 내벽에 지지하고, 그리고 상기 자기 공극에 배치하고, 다이어프램에 부착된 코일로 교류 전류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자기회로부 또는 다이어프램을 진동시키는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을 자성체에 의해 구성하고, 서스펜션 내주(內周) 측면 단부가 자기 공극의 일단(一端)을 구성하도록, 상기 서스펜션을 상기 자기회로부의 테두리부상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2에서는, 두께 방향으로 착자된 판상 형상을 갖는 마그넷의 일측 표면에 판상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폴 피스를 부착하고, 타측 표면에 판상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요크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폴 피스 단부와 상기 요크와의 사이에 자기 공극을 형성한 자기회로부를 갖고, 상기 자기회로부를 서스펜션에 의해 상기 자기회로부를 수납하는 하우징 내벽에 지지하고, 그리고 상기 자기 공극에 배치하고, 다이어프램에 부착된 코일로 교류 전류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자기회로부 또는 다이어프램을 진동시키는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을 자성체에 의해 구성하고, 서스펜션 내주 측면 단부가 자기 공극의 일단을 구성하도록, 상기 서스펜션을 상기 자기회로부의 테두리부상에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 내주에 계단부를 마련하여 상기 서스펜션 외주(外周) 표면을 계단부로 지지하고, 상기 계단부와 서스펜션을 관통하여 음향 발생 구멍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3에서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자기회로부에 중량체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4에서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자기회로부 측면과 원통형을 갖는 하우징 내벽과의 간격이, 하우징 내벽 반경의 0초과∼2.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박형화 시에, 서스펜션 내측 단부(端部)를 자기 공극의 편단(片端)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자기 효율을 유지하고, 소비 전력을 낮게 억제하면서 양호한 진동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에서는, 서스펜션을 자성체에 의해 구성하고, 또한 그 내주 측벽을 자기 공극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요크 형상의 간략화라는 효과를 얻고 있다. 이 때문에, 요크의 두께를 더욱 얇게 구성하여, 하우징 내부에 있어서 진동 발생 시에 구동하는 자기회로부의 구동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 계단부에 서스펜션 외연부(外緣部)를 고정하고, 상기 하우징과 서스펜션을 관통하여 음향 발생 구멍을 마련함으로써, 서스펜션에 자기회로, 지지부, 음향 발생 구멍으로서의 기능을 부가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의 자기회로부에 있어서, 별도의 분동을 마련함으로써 박형화했을 때의 진동량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에 있어서의 자기회로부 측벽과 하우징 내벽과의 간격을, 하우징 내벽 반경의 0을 초과하여 2.5%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자기회로부를 사이에 둔 상하 공간에 있어서의 공기의 이동량을 제한하여, 구동 시에 상하 간의 공기를 댐퍼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측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b : 수용면
2 : 다이어프램
3 : 코일
4 : 폴 피스(pole piece)
5 : 마그넷
6 : 요크
7 : 서스펜션
8 : 분동(分銅)
H, h : 음향 발생 구멍(放音孔)
m : 자기 공극(空隙)
g : 간극(間隙)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도1 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1 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측단면도이다.
도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는, 하우징(1), 상기 하우징(1)의 계단부 수용면(1b)에, 바깥쪽 주연부(周緣部)를 부착하고, 하우징(1)의 관통한 음향 발생 구멍(H)과 동일한 위치에 음향 발생 구멍(h)을 마련한 서스펜션(7), 상기 서스펜션(7)의 내측 주연부(周緣部)에 마련한 요크(6), 상기 요크(6) 중심 부근에 마련하고, 진동 방향으로 착자된 마그넷(5), 상기 마그넷(5)의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서스펜션(7)의 내측 주연(周緣) 측면과의 사이에 자기 공극(m)을 형성하는 폴 피스(4) 및, 중심부에 부착한 코일(3)이, 상기 자기 공극(m)에 위치하도록 상기 서스펜션(7)의 외측 주연부에 부착된 다이어프램(2), 그리고 상기 요크(6)의 하부에 부착한 링 형상의 분동(8)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1 에 있어서, 폴 피스(4), 요크(6), 서스펜션(7)은 자성체로 이루어져, 마그넷(5)의 자속(磁束)을 자기 공극(m)에 집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는 박형이면서 높은 자기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하우징(1)과 서스펜션(7)을 관통하여, 음향 발생 구멍(H, h)을 마련함으로써, 음향 특성을 조정하고, 스피커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에서는, 하우징(1)을 일체(一體)로 성형한 것에 의해 부품점수를 줄이고, 제조 비용의 삭감이라는 효과를 얻고 있다.
덧붙여, 서스펜션(7)에 의해 지지된 요크(6), 마그넷(5), 폴 피스(4), 분동(8)으로 구성된 자기회로부 측면과 하우징(1) 내벽과의 간극(g)을, 하우징(1)의 내벽 반경의 0초과∼2.5%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자기회로부 구동 시에 자기회로부를 사이에 둔 상하 공간에 있어서의 공기의 이동량을 제한하여, 안정된 진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실제의 치수 설정에서는, 하우징 내벽 반경에 의해 최적치가 변 화하고, 반경이 작아짐에 따라 간극의 최적치는 0%에 가까워지지만, 반경이 커진 경우에도 2.5%를 초과하면 에어 댐퍼로서의 효과가 충분히 얻어질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3)에 다이어프램(2)의 공진주파수 부근의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음향 발생 기능을 발생하고, 또한 상기 자기회로부의 공진주파수 부근의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진동 기능을 발생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음향 재생과 진동 발생 기능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자기회로부에 관하여 분동(8)을 별체(別體)로서 설치한 구조 때문에, 진동 특성의 조정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나타낸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를 이용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에 의해 박형화가 용이하게 되고, 분동을 부착함으로써 진동량의 저하를 억제하여, 충분한 진동량을 발생하는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로 할 수 있다.

Claims (4)

  1. 두께 방향으로 착자(着磁)된 판상 형상을 갖는 마그넷의 일측 표면에 판상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폴 피스(pole piece)를 부착하고, 타측 표면에 판상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요크(yoke)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폴 피스 단부(端部)와 상기 요크와의 사이에 자기 공극을 형성한 자기회로부를 갖고, 상기 자기회로부를 서스펜션에 의해 하우징 내벽에 지지하고, 그리고 상기 자기 공극에 배치하고, 다이어프램(diaphragm)에 부착된 코일로 교류 전류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자기회로부 또는 다이어프램을 진동시키는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을 자성체에 의해 구성하고, 서스펜션 내주(內周) 측면 단부가 자기 공극의 일단(一端)을 구성하도록, 상기 서스펜션을 상기 자기회로부의 테두리부상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
  2. 두께 방향으로 착자된 판상 형상을 갖는 마그넷의 일측 표면에 판상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폴 피스를 부착하고, 타측 표면에 판상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요크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폴 피스 단부와 상기 요크와의 사이에 자기 공극을 형성한 자기회로부를 갖고, 상기 자기회로부를 서스펜션에 의해 하우징 내벽에 지지하고, 그리고 상기 자기 공극에 배치하고, 다이어프램에 부착된 코일로 교류 전류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자기회로부 또는 다이어프램을 진동시키는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을 자성체에 의해 구성하고, 서스펜션 내주 측면 단부가 자기 공극의 일단을 구성하도록, 상기 서스펜션을 상기 자기회로부의 테두리부상에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 내주에 계단부를 마련하여, 상기 서스펜션 외주(外周) 표면을 계단부로 지지하고, 상기 계단부와 서스펜션을 관통하여 음향 발생 구멍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자기회로부에 중량체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자기회로부 측면과 원통형을 갖는 하우징 내벽과의 간격이, 하우징 내벽 반경의 0초과∼2.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
KR1020087006431A 2005-12-13 2006-12-13 박형 형상의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 Expired - Fee Related KR1009536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59507 2005-12-13
JP2005359507A JP4803361B2 (ja) 2005-12-13 2005-12-13 薄型形状の多機能型振動アクチュエ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390A KR20080047390A (ko) 2008-05-28
KR100953694B1 true KR100953694B1 (ko) 2010-04-19

Family

ID=38162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43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53694B1 (ko) 2005-12-13 2006-12-13 박형 형상의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22799B2 (ko)
EP (1) EP1970129A4 (ko)
JP (1) JP4803361B2 (ko)
KR (1) KR100953694B1 (ko)
CN (1) CN101330987B (ko)
WO (1) WO20070696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510B1 (ko) * 2011-12-14 2012-10-02 부전전자 주식회사 고출력 마이크로스피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1381B2 (ja) * 2010-12-17 2014-04-0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US8692635B2 (en) * 2012-04-18 2014-04-08 Nokia Corporation Sound generating apparatus
USD705830S1 (en) * 2013-02-15 2014-05-27 Namiki Seimitsu Houseki Kabushiki Kaisha Vibration actuator
JPWO2018051920A1 (ja) * 2016-09-13 2019-06-24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可動子、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電子機器
CN108024182B (zh) * 2017-11-23 2020-07-14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微型发声器及其装配方法
CN108337614B (zh) * 2018-02-24 2020-05-19 歌尔股份有限公司 电声转换器
USD865824S1 (en) * 2018-08-22 2019-11-05 Lofelt Gmbh Compact vibration actu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7472A (ja) 1996-10-14 1998-05-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機器用振動発生装置
JP2004266384A (ja) 2003-02-27 2004-09-24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多機能型アクチュエータ及び携帯端末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39843A1 (fr) * 1998-02-06 1999-08-12 Namiki Seimitsu Houseki Kabushiki Kaisha Actionneur electromagnetique et structure de support destinee a ce dernier
WO2000002303A1 (fr) * 1998-07-06 2000-01-13 Sanyo Electric Co., Ltd. Generateur de sons/vibrations
JP4520547B2 (ja) 1999-05-19 2010-08-04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多機能型発音体とその製造方法
EP1145592A3 (en) * 1999-12-02 2002-07-03 Tokin Corporation Vibration actuator having an elastic member between a suspension plate and a magnetic circuit device
KR100354376B1 (ko) * 1999-12-08 2002-09-28 에스텍 주식회사 진동 발생과 음향 발생의 겸용 장치를 구비하는 스피커
JP2001353471A (ja) * 2000-04-14 2001-12-25 Tokin Corp 多機能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2002251278A (ja) 2001-02-26 2002-09-06 Honda Motor Co Ltd プレビューシステム
US6608541B2 (en) * 2001-09-28 2003-08-19 Shicoh Engineering Co., Ltd. Electromagnetic actuator
US6847139B2 (en) * 2001-12-28 2005-01-25 Namiki Seimitsu Houseki Kabushiki Kaisha Multi-functional vibrating actuator
JP2003251278A (ja) * 2002-03-07 2003-09-09 Nec Tokin Corp 多機能振動アクチュエータ
CN1327975C (zh) * 2003-09-22 2007-07-25 思考电机(上海)有限公司 电磁式促动器
US7358633B2 (en) * 2004-02-23 2008-04-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inear vibration motor using resonance frequency
JP2005244743A (ja) 2004-02-27 2005-09-08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多機能型振動アクチュエータ並びに携帯用通信機器
KR100558456B1 (ko) * 2004-06-29 2006-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표면실장이 가능한 선형 진동자
JP2008225690A (ja) * 2007-03-09 2008-09-25 Sony Corp 振動体、触覚機能付きの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7472A (ja) 1996-10-14 1998-05-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機器用振動発生装置
JP2004266384A (ja) 2003-02-27 2004-09-24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多機能型アクチュエータ及び携帯端末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510B1 (ko) * 2011-12-14 2012-10-02 부전전자 주식회사 고출력 마이크로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70129A4 (en) 2012-03-14
US8022799B2 (en) 2011-09-20
JP2007160208A (ja) 2007-06-28
CN101330987B (zh) 2010-12-08
EP1970129A1 (en) 2008-09-17
JP4803361B2 (ja) 2011-10-26
CN101330987A (zh) 2008-12-24
US20090278644A1 (en) 2009-11-12
KR20080047390A (ko) 2008-05-28
WO2007069619A1 (ja)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03816B (zh) 具有电磁扬声器和微型扬声器的扬声器单元
KR100417017B1 (ko) 전기 신호를 휴대 전자 장치의 소자의 진동으로 변환하는다기능 컨버터
KR100953694B1 (ko) 박형 형상의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
KR100990706B1 (ko)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
CN100369384C (zh) 使用振动膜的超小型骨振动扬声器和具有它的移动电话
KR20050030183A (ko) 음향 및 진동발생용 마이크로스피커
JP2005354297A (ja) 動電型エキサイタおよびスピーカー装置。
JPH11192455A (ja) 電気−機械−音響変換器及びその製造法
JP4219732B2 (ja) パネル型スピーカ付き表示端末装置
CN113286232A (zh) 扬声器结构
KR100413374B1 (ko) 스피커 일체형 리시버
CN217088147U (zh) 扬声器
KR200338060Y1 (ko) 보이스 코일이 결합된 피에조 세라믹 진동판을 이용한 다기능 전자 음향 변환기의 구조
JP2008288635A (ja) 電気音響変換器
JP2002112387A (ja)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システム
KR100932754B1 (ko) 다기능 스피커
JP2008258794A (ja) 多機能型音響装置
KR101014190B1 (ko) 전자음향변환기
JP3924777B2 (ja) フラットスピーカ
JP2000059879A (ja) スピーカ装置
KR200271674Y1 (ko) 스피커 일체형 리시버
WO2011013462A1 (ja) 振動機能付電気音響変換器
JP2004221887A (ja) スピーカ
JPH11191795A (ja) 電話機用多機能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搭載した電話機
KR100807704B1 (ko)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