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52332B1 -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 - Google Patents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332B1
KR100952332B1 KR1020090047354A KR20090047354A KR100952332B1 KR 100952332 B1 KR100952332 B1 KR 100952332B1 KR 1020090047354 A KR1020090047354 A KR 1020090047354A KR 20090047354 A KR20090047354 A KR 20090047354A KR 100952332 B1 KR100952332 B1 KR 100952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hook
elastic holder
lens
security le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to KR1020090047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3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2Assembling eyepieces, lenses or vision-correction means in or on gas-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독면의 마스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단일체로 형성되어 마스크의 투시렌즈를 전체적으로 차폐하며, 유해광선으로부터 시력을 보호하는 보안렌즈 및; 이 보안렌즈 및 마스크에 암수형태로 제각기 마련되어 서로 결합되면서 보안렌즈의 일부분을 전술한 마스크의 일부분에 걸림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착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보안렌즈의 양단부에 돌출상태로 연장형성되어 보안렌즈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후크 및; 상기 마스크의 양측에 동일체로 연결되어 마스크의 일부분을 이루면서 상기 후크와 대향하고, 후크가 끼워지는 끼움공 및 후크가 걸려서 고정되는 단턱형태의 스토퍼를 끼움공의 내측에 가지며, 탄성재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하면서 스토퍼에 걸린 후크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탄성홀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보안렌즈가 후크 및 탄성홀더로 이루어진 착탈부재에 의해 방독면의 마스크에 원터치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므로 보안렌즈를 쉽고 편리하게 마스크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후크, 걸림, 단일, 결합, 차폐

Description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 { DETACHABLE GOGGLE FOR GAS MASK }
본 발명은 방독면용 보안경에 관한 것으로, 방독면에 분리가능하게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방독면용 보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독면은 착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오염지역의 유독가스로부터 인체를 보호한다. 이러한 방독면은 마스크에 결합된 정화통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착용자의 호흡기에 제공한다. 따라서, 착용자는 오염지역에서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독면은 강한 일광이나 자외선 등과 같은 유해광선으로부터 시력을 보호하기 위해 때때로 보안경이 장착된다. 이러한 보안경은 방독면의 투시렌즈가 손상됨을 방지하는 동시에, 유해광선으로부터 착용자의 시력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방독면용 보안경이 대한민국 특허청의 실용신안등록 제154879호에 의해 제안된 바가 있다.
전술한 종래기술에 의한 방독면용 보안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에 동일체로 형성된 투시렌즈(2)의 테두리(8)에 보안렌즈(13)를 갖는 보안경(A)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보안경(A)은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어뎁 터(10)의 결합테(11)가 투시렌즈(2)의 테두리(8)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따라서, 방독면의 마스크(1)에 형성된 투시렌즈(2)는 보안경(A)에 의해 유해광선으로부터 보호된다.
한편, 전술한 보안렌즈(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테(11)에 체결되는 체결테(14)에 의하여 보안경(A)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즉, 보안렌즈(13)는 체결테(14)에 의해 보안경(A)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보안렌즈(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테(10)에서 연장형성되어 체결테(14)가 결합되는 고정테(12)의 고정홈(12a)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방독면용 보안경(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에 제각기 형성된 투시렌즈(2)로 인하여 2개로 분할되어 구성되므로 제각기 하나씩 제조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렌즈(13)를 고정테(12)에 끼운 후 체결테(14)를 장착하여야 하므로 조립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으로 형성된 결합테(11)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투시렌즈(2)의 테두리(8)에 결합하거나 분리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미설명부호 3은 음성을 전달하는 전성구이고, 4는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구이며, 5는 정화통이고, 6은 미도시된 수통과 연결되는 취수구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통유리식으로 형성되어 방독면의 투시렌즈를 한꺼번에 차폐할 수 있는 단일체의 보안렌즈를 가지며, 투시렌즈의 일부분을 방독면의 마스크에 원터치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부재를 갖는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특히, 탄성변형하면서 투시렌즈의 일부분을 마스크의 일부분에 걸림상태로 고정하거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심플한 형태의 부재를 갖는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반복적으로 탄성변형하는 부위의 내구성을 보강하는 부재가 마련된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탄성변형에 이용되는 외력을 전달하는 부재가 마련된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은, 투시렌즈를 갖는 방독면의 마스크에 장착되는 보안경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단일체로 형성되어 마스크의 투시렌즈를 전체적으로 차폐하며, 유해광선으로부터 시력을 보호하는 보안렌즈 및; 상기 보안렌즈 및 마스크에 암수형태로 제각기 마련되어 서로 결합되면서 보안렌즈의 일부분을 상기 마스크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착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보안렌즈의 양단부에 돌출상태로 연장형성되어 보안렌즈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후크 및; 상기 마스크의 양측에 동일체로 연결되어 마스크의 일부분을 이루면서 상기 후크와 대향하고, 후크가 끼워지는 끼움공 및 후크가 걸려서 고정되는 단턱형태의 스토퍼를 끼움공의 내측에 가지며, 탄성재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하면서 스토퍼에 걸린 후크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탄성홀더;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 후크는, 상기 끼움공을 관통하여 상기 스토퍼에 밀착되면서 걸리는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일측면과 연결된 상태로 일측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타측면이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면서 볼록한 곡선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일측면에 의해 일측이 경사지게 절개된 반구형태로 곡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홀더는, 상기 마스크에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표면적이 다른 부위의 표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다른 부위를 향해 갈수록 표면적이 협소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홀더는, 상기 마스크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고, 다른 부위의 두께 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두께보강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홀더는, 상기 두께보강턱에 형성되어 두께보강턱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감소시키는 동시에 두께보강턱의 탄성력을 약화시키는 그루브형태의 탄성력 약화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탄성홀더에 날개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당겨지면서 탄성홀더를 변형시키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필요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손잡이에 동일체로 형성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돌기형태의 논슬립을 더 포함할 필요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은, 보안렌즈가 통유리식의 단일체로 형성되어 방독면의 마스크에 형성된 투시렌즈를 전체적으로 한꺼번에 차폐하므로 착용자의 시력을 완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보안렌즈가 후크 및 탄성홀더를 갖는 착탈부재에 의해 방독면의 마스크에 원터치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므로 보안렌즈를 쉽고 편리하게 마스크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보안렌즈가 통유리식으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시계를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더하여 보안렌즈의 성형시 후크가 함께 성형되고, 마스크의 성형시 탄성홀더가 함께 성형되므로 제조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후크 및 탄성홀더로 이루어진 착탈부재가 종래에 비해 심플하게 구성됨에 따라 제조비용을 더더욱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삭제
또한, 탄성홀더의 연결부위가 다른 부위 보다 큰 표면적으로 마스크에 연결되므로 탄성홀더가 외력에 의해 당겨져도 탄성홀더가 마스크에서 분리되지 않으며, 더 나아가 탄성홀더에 두께보강턱이 마련됨에 따라 더욱 더 분리되지 않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탄성홀더에 외력을 전달하는 손잡이가 마련됨에 따라 탄성홀더를 용 이하게 당길 수 있으며, 손잡이에 논슬립이 형성됨에 따라 손잡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 나아가, 탄성홀더의 두께보강턱에 그루브가 마련될 경우 그루브를 통해 실질적으로 두께보강턱이 형성된 부위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보안렌즈의 후크를 탄성홀더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홀더에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후크에 형성된 돌기의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타측면이 곡선지게 형성될 경우 보안렌즈를 탄성홀더에서 매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안경의 결합상태를 절개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보안경의 탈거상태를 절개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체로 형성된 보안렌즈(32)가 후술되는 착탈부재에 의해 방독면(20)의 고무재 마스크(2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보안렌즈(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21)의 투시렌즈(20a)를 전체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통유리식의 단일체로 형성되어 대략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또, 보안렌즈(32)는 마스크(21)의 비강부위에 대응하도록 하측의 중간부위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개형성된다. 또한, 보안렌즈(32)는 통상의 보안경과 같이 플라스틱이나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투광재로 구성되며, 유해광선으로부터 시력을 보호하기 위해 유색으로 형성되거나, 이와 달리 표면에 유해광선으로부터 시력을 보호하는 코팅재가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보안렌즈(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21)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곡선지게 형성된다.
착탈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렌즈(32)의 양측 단부에 돌출상태로 연장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보안렌즈(32)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후크(30)를 갖는다. 또한, 착탈부재는 방독면(20)의 마스크(21)에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마스크(21)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전술한 후크(30)가 끼워져서 고정되는 탄성홀더(22)를 갖는다. 즉, 착탈부재는 서로 결합되는 암형의 탄성홀더(22) 및 수형의 후크(30)를 갖는다.
후크(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렌즈(32)의 양단부에서 직각상태로 돌출형성된다. 후크(30)는 보안렌즈(32)의 성형시 함께 성형된다. 따라서, 후크(30)는 보안렌즈(32)와 동일체를 이룬다.
탄성홀더(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투시렌즈(20a)의 양측과 인접한 마스크(21)의 양측 단부에 제각기 형성되어 전술한 후크(30)와 대향한다. 탄성홀더(22)는 탄성재로 구성된다. 탄성홀더(22)는 마스크(21)의 성형시 함께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탄성홀더(22)는 마스크(21)에 동일체로 구성되는 고무재이다.
탄성홀더(22)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21)의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을 형성한다. 이러한 탄성홀더(22)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공(21a)을 갖는다. 또, 탄성홀더(22)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21)와 연결되는 부위에 두께보강턱(22b)을 갖는다. 또한, 탄성홀더(22)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보강턱(22b)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날개형태의 손잡이(22d)를 갖는다.
탄성홀더(22)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갈수록 표면적이 좁아진다. 따라서, 탄성홀더(22)는 마스크(21)와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표면적(AR)이 반대측에 위치하는 다른 부위 보다 크다. 즉, 탄성홀더(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21)와 연결되는 부위의 표면적(AR)이 다른 부위의 표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다른 부위를 향해 갈수록 표면적(AR)이 협소해진다.
여기서, 전술한 두께보강턱(22b)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부위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탄성홀더(22)의 연결부위측 두께를 보강한다.
한편, 도면상 미설명 부호 24는 음성을 전달하면서 공기를 배기하는 전성배기구이고, 25는 미도시된 정화통이 연결되는 정화통 연결구이며, 26은 미도시된 헤어스트랩이 고정되는 고정밴드이다.
다른 한편, 전술한 손잡이(22d)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손잡이(22d)는 콤팩트하면서 슬림한 형태를 갖는다.
삭제
도 4를 참조하면, 후크(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렌즈(32)에 연장상태로 연결되는 연결편(34) 및 이 연결편(34)의 단부에 형성되는 돌기(33)를 갖는다. 돌기(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33a) 및 타측면(33b)을 갖는다. 일측면(33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편(34)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상태로 평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타측면(33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33a)에서 연결된 상태로 일측면(33a)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탄성홀더(22)는 절개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공(21a)의 내측에 단턱형태의 스토퍼(22c)를 갖는다. 또, 탄성홀더(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2d)의 내측면에 돌기형태의 논슬립(22a)이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홀더(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보강턱(22b)에 의해 마스크(21)와 연결되는 부위의 두께가 다른 부위 보다 더 두껍다.
도 5를 참조하면, 후크(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33)의 일측면(33a)이 연결편(34)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일측면(33a)은 연결편(34)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 후크(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33)의 타측면(33b)이 곡선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후크(30)는 타측면(33b)이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면서 볼록한 곡선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일측면(33a)에 의해 일측이 경사지게 절개된 반구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의 작용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안렌즈(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30)가 탄성홀더(22)의 끼움공(21a)에 끼워짐에 따라 방독면(20)의 마스크(2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탄성홀더(22)는 끼움공(21a)에 끼워지는 후크(30)에 의해 탄성변형한다.
보안렌즈(32)는 후크(30) 및 탄성홀더(22)에 의해 마스크(21)에 결합되어 마스크(21)의 투시렌즈(20a)를 전체적으로 차폐한다. 따라서, 보안렌즈(32)는 착용자의 시력으로 유해광선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안렌즈(32)는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30)의 돌기(33)가 탄성홀더(22)에 걸려서 고정됨에 따라 방독면(20)의 마스크(2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돌기(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33a)이 탄성홀더(22)의 스토퍼(22c)에 걸려서 고정된다. 따라서, 보안렌즈(32)는 마스크(2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후크(30)는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면(33b)이 곡선지게 형성됨에 따라 탄성홀더(22)의 끼움공(21a)에 원활하게 삽입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후크(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홀더(22)가 당겨지면서 탄성변형할 경우 탄성홀더(22)에서 분리된다. 이때, 탄성홀더(22)는 착용자에 의해 손잡이(22d)가 후방으로 당겨짐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한다. 즉, 손잡이(22d)는 착용자에 의한 외력을 탄성홀더(22)에 전달하여 탄성홀더(22)를 탄성변형시킨다. 따라서, 후크(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33)의 일측면(33a)이 탄성홀더(22)의 스토퍼(22c)에서 자연적으로 이탈됨에 따라 탄성홀더(22)로부터 분리된 다.
이렇게, 돌기(33)가 탄성홀더(22)에서 이탈될 경우 착용자는 보안렌즈(32)를 앞으로 잡아당긴다. 따라서, 보안렌즈(22)는 탄성홀더(22)에서 용이하게 분리된다. 이때, 후크(30)는 돌기(33)의 타측면(33b)이 곡선지게 형성됨에 따라 탄성홀더(22)의 끼움공(21a)에서 원활하게 이탈된다.
여기서, 전술한 손잡이(22d)는 착용자에 의해 당겨질 경우 논슬립(22a)에 의해 착용자의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손잡이(22d)는 원활하게 당겨진다.
한편, 탄성홀더(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마스크(21)에 연결된 연결부위의 표면적(AR)이 다른 부위 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착용자에 의해 당겨져도 연결부위가 찢지거나 뜯기지 않는다. 즉, 탄성홀더(22)는 연결부위가 마스크(21)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탄성홀더(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보강턱(22b)에 의해 연결부위측의 두께가 다른 부위 보다 더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더욱 마스크(21)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후크(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33a)이 경사지게 형성될 경우 돌기(33)가 전술한 탄성홀더(22)에서 보다 원활하게 이탈된다. 왜냐하면, 돌기(33)는 경사진 일측면(33a)이 탄성홀더(22)의 변형시 탄성홀더(22)의 내측면에 대하여 슬라이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돌기(33)는 일측면(33a)이 경사지게 형성되어도 탄성홀더(22)에 삽입된 후 탄성홀더(22)에서 잘 빠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탄성홀더(22)가 마찰력이 우 수한 고무재로 형성됨에 따라 탄성홀더(22)의 마찰력에 의해 쉽게 빠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탄성홀더(22)가 수축하면서 일측면(33a)을 실질적으로 파지하기 때문이다. 물론, 일측면(33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편(34)에 대해 약 110° 내지 140° 이내의 각도(θ)로 형성되어야 탄성홀더(22)에서 잘 빠지지 않는다. 만약, 일측면(33a)이 140°이상의 각도(θ)로 형성될 경우 돌기(33)는 일측면(33a)이 너무 경사가 완만함에 따라 탄성홀더(22)에 고정되지 못한다. 돌기(33)는 약 120° 내지 130°의 각도(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120°정도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첨부된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탄성홀더의 다른 실시예를 절개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탄성홀더(22)는 그루브(22f)를 갖는다. 그루브(22f)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보강턱(22b)의 내측면이나 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이나 삼각 또는 도시된 바와 달리 반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루브(22f)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보강턱(22b)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감소시켜서 두께보강턱(22b)의 탄성력을 약화시킨다. 따라서, 탄성홀더(22)는 그루브(22f)에 의해 탄성력이 약화된다.
이렇게, 탄성홀더(22)에 그루브(22f)가 형성될 경우 보안렌즈(32)의 후크(33)는 탄성홀더(22)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뿐만 아니라 탄성홀더(22)에서 보다 용이하게 이탈된다. 물론, 그루브(22f)는 탄성홀더(22)가 후크(33)의 이탈을 방 지할 정도의 탄성력을 확보하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즉, 그루브(22f)의 수량이나 크기는 후크(33)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두께보강턱(22b)이 형성된 탄성홀더(22)에 그루브(22f)를 마련할 경우, 그루브(22f)를 통해 탄성홀더(22)의 탄성력을 원하는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물론, 탄성홀더(22)는 그루브(22f)에 의해 한번 결정된 탄성력을 변경할 수 없다. 왜냐하면, 탄성홀더(22)는 마스크(21)의 성형시 함께 성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탄성홀더(22)는 성형이 완료된 후에는 그루브(22f)의 수량이나 크기를 변형시킬 수 없으므로 탄성력을 변경할 수 없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안렌즈(32)가 통유리식의 단일체로 형성되어 방독면(20)의 마스크(21)에 형성된 투시렌즈(20a)를 전체적으로 한꺼번에 차폐하므로 착용자의 시력을 완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보안렌즈(32)가 후크(30) 및 탄성홀더(22)를 갖는 착탈부재에 의해 방독면(20)의 마스크(21)에 원터치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므로 보안렌즈(32)를 쉽고 편리하게 마스크(21)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특히, 보안렌즈(32)가 통유리식으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시계를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보안렌즈(32)의 성형시 후크(33)가 함께 성형되고, 마스크(21)의 성형시 탄성홀더(22)가 함께 성형되므로 제조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후크(33) 및 탄성홀더(22)로 이루어진 착 탈부재가 종래에 비해 심플하게 구성됨에 따라 제조비용을 더더욱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탄성홀더(22)의 연결부위가 다른 부위 보다 큰 표면적(AR)으로 마스크(21)에 연결되므로 탄성홀더(22)가 외력에 의해 당겨져도 탄성홀더(22)가 마스크(21)에서 분리되지 않으며, 더 나아가 탄성홀더(22)에 두께보강턱(22b)이 마련됨에 따라 더욱 더 분리되지 않는다.
아울러, 탄성홀더(22)에 외력을 전달하는 손잡이(22d)가 마련됨에 따라 탄성홀더(22)를 용이하게 당길 수 있으며, 손잡이(22d)에 논슬립(22a)이 형성됨에 따라 손잡이(22d)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탄성홀더(22)의 두께보강턱(22b)에 그루브(22f)가 마련될 경우 그루브(22f)를 통해 실질적으로 두께보강턱(22b)이 형성된 부위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보안렌즈(32)의 후크(33)를 탄성홀더(22)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홀더(22)에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게다가, 후크(30)에 형성된 돌기(33)의 일측면(33a)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타측면(33b)이 곡선지게 형성될 경우 보안렌즈(32)를 탄성홀더(22)에서 매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안경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안경의 결합상태를 절개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Ⅰ-Ⅰ´선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보안경의 탈거상태를 절개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탄성홀더의 다른 실시예를 절개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 방독면
21: 마스크
22 : 탄성홀더
30 : 후크
32 : 보안렌즈

Claims (8)

  1. 투시렌즈(20a)를 갖는 방독면(20)의 마스크(21)에 장착되는 보안경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2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단일체로 형성되어 마스크(21)의 투시렌즈(20a)를 전체적으로 차폐하며, 유해광선으로부터 시력을 보호하는 보안렌즈(32); 및
    상기 보안렌즈(32) 및 마스크(21)에 암수형태로 제각기 마련되어 서로 결합되면서 보안렌즈(32)의 일부분을 상기 마스크(21)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착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보안렌즈(32)의 양단부에 돌출상태로 연장형성되어 보안렌즈(32)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후크(30); 및
    상기 마스크(21)의 양측에 동일체로 연결되어 마스크(21)의 일부분을 이루면서 상기 후크(30)와 대향하고, 후크(30)가 끼워지는 끼움공(21a) 및 후크(30)가 걸려서 고정되는 단턱형태의 스토퍼(22c)를 끼움공(21a)의 내측에 가지며, 탄성재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하면서 스토퍼(22c)에 걸린 후크(30)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탄성홀더(22);를 포함하는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30)는,
    상기 끼움공(21a)을 관통하여 상기 스토퍼(22c)에 밀착되면서 걸리는 일측면(33a)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일측면(33a)과 연결된 상태로 일측면(33a)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타측면(33b)이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면서 볼록한 곡선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일측면(33a)에 의해 일측이 경사지게 절개된 반구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홀더(22)는,
    상기 마스크(21)에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표면적(AR)이 다른 부위의 표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다른 부위를 향해 갈수록 표면적(AR)이 협소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홀더(22)는,
    상기 마스크(21)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고, 다른 부위의 두께 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두께보강턱(22b)을 더 포함하는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홀더(22)는,
    상기 두께보강턱(22b)에 형성되어 두께보강턱(22b)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감소시키는 동시에 두께보강턱(22b)의 탄성력을 약화시키는 그루브(22f)형태의 탄성력 약화수단을 더 포함하는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홀더(22)에 날개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당겨지면서 탄성홀더(22)를 변형시키는 손잡이(22d)를 더 포함하는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2d)에 동일체로 형성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돌기형태의 논슬립(22a)을 더 포함하는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
KR1020090047354A 2009-05-29 2009-05-29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 Active KR100952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354A KR100952332B1 (ko) 2009-05-29 2009-05-29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354A KR100952332B1 (ko) 2009-05-29 2009-05-29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2332B1 true KR100952332B1 (ko) 2010-04-09

Family

ID=4221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354A Active KR100952332B1 (ko) 2009-05-29 2009-05-29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3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612B1 (ko) * 2014-07-11 2015-04-09 김종기 방독면용 외측렌즈 장착기구
EP2988834A4 (en) * 2013-04-25 2017-07-12 Airboss Engineered Products Inc. Respirator mask for cbrn or other prot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127Y2 (ja) * 1988-02-10 1994-08-24 株式会社三功防具 保護レンズ付防具
US20060201511A1 (en) * 2003-01-22 2006-09-14 Biokidz Usa Biohazard mask suitable for civilia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127Y2 (ja) * 1988-02-10 1994-08-24 株式会社三功防具 保護レンズ付防具
US20060201511A1 (en) * 2003-01-22 2006-09-14 Biokidz Usa Biohazard mask suitable for civilia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88834A4 (en) * 2013-04-25 2017-07-12 Airboss Engineered Products Inc. Respirator mask for cbrn or other protection
KR101509612B1 (ko) * 2014-07-11 2015-04-09 김종기 방독면용 외측렌즈 장착기구
WO2016006836A1 (ko) * 2014-07-11 2016-01-14 김종기 방독면용 외측렌즈 장착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1736B1 (en) Wearable protective device
US7488068B2 (en) Eyewear with mask attachment features
AU2016341973B2 (en) Respirator mask with eyewear interface
JP2012511371A5 (ko)
KR100952332B1 (ko) 방독면용 착탈식 보안경
BRMU8703080Y1 (pt) Equipamento protetor para cabeça com respirador e escudo ótico
CN111166561A (zh) 一种可以更换镜片的医用护目镜
EP1656188A1 (en) Device for covering the eyes
WO2007057470A1 (en) Flexible eyeglasse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JP3159668U (ja) 飛沫噴出を防ぐマスク
US8267513B2 (en) Attachment mechanism for eye glass shield
JP3038946U (ja) 排水機構付き軟質鼻当て部を有する潜水用マスク
KR200392707Y1 (ko) 방진 마스크
AU2009245816B2 (en) Wearable protective device
CN212667624U (zh) 广角潜水面罩
KR20210002053U (ko) 길이가변식 김서림 차단판을 갖는 일회용 마스크
CN212088266U (zh) 一种可防起雾的多功能面罩
KR101036347B1 (ko) 물 안경
US20220225704A1 (en) Face mask shield for prolonged use
KR102504653B1 (ko) 착용성이 향상된 마스크
KR20110005708U (ko) 방한용 모자
WO2017138101A1 (ja) 呼吸装置の全面形面体
KR200415990Y1 (ko) 고정클립 및 분리형 안경테를 갖는 방독면용 렌즈결합체
KR101824393B1 (ko) 슬라이딩 방식으로 렌즈를 장착하는 고글
JP3092724U (ja) 術後用保護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4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