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51891B1 - 저장탱크용 작업대차 - Google Patents

저장탱크용 작업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891B1
KR100951891B1 KR1020080056493A KR20080056493A KR100951891B1 KR 100951891 B1 KR100951891 B1 KR 100951891B1 KR 1020080056493 A KR1020080056493 A KR 1020080056493A KR 20080056493 A KR20080056493 A KR 20080056493A KR 100951891 B1 KR100951891 B1 KR 100951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work
tank
rail
work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0731A (ko
Inventor
이승학
서병순
Original Assignee
모노레일 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69013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5189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모노레일 이엔씨(주) filed Critical 모노레일 이엔씨(주)
Priority to KR1020080056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891B1/ko
Publication of KR20090130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93Devic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of the container and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저장탱크 내부의 유지보수 및 점검이 매우 용이하여 작업기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저장탱크용 작업대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탱크(10) 내부 또는 외부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레일(20)과, 이 레일(2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10)의 상하로 연장 형성되는 작업대(30)와, 이 작업대(3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10)의 벽면에 지지된 상태로 구름운동되는 측벽롤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저장탱크용 작업대차가 제공된다.
저장탱크, 레일, 작업대, 측벽롤러, 작업발판

Description

저장탱크용 작업대차{Worktable carriage for a storage tank}
본 발명은 저장탱크용 작업대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저장탱크 내부의 유지보수 및 점검이 매우 용이하여 작업기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저장탱크용 작업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휘발유나 경유 등과 같은 유류의 저장탱크는 정기적으로 검사 또는 청소 등을 위한 유지보수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종래에는 탱크 내부 또는 외부의 전면에 걸쳐 틀비계를 설치한 후에 탱크 내벽의 이물질을 세척해 내거나 또는 비파괴 검사장비 등을 이용하여 탱크의 안전검사를 행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처럼 틀비계를 설치하여 탱크의 유지보수를 행할 경우에는 틀비계를 탱크 내벽의 전면에 걸쳐 설치하거나 또는 설치된 틀비계를 해체할 때에 그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장시간에 걸쳐 설치 및 해체작업을 행하야 하며, 그에 따라 탱크 내에서 장시간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가 탱크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에 노출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한 탱크 내벽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고압분사기를 든 상태에서 틀비계 상에서 탱크 내의 상하 및 둘레로 이동하면서 세척작업을 행해야 하므로 틀비계의 이동시나 고압분무기의 사용시에 추락의 위험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그에 따른 작업시간 및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저장탱크 내부의 유지보수 및 점검이 매우 용이하여 안전상의 위험 및 작업상의 번거로움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저장탱크용 작업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탱크(10) 내부 또는 외부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레일(20)과, 이 레일(2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10)의 상하로 연장 형성되는 작업대(30)와, 이 작업대(3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10)의 벽면에 지지된 상태로 구름운동되는 측벽롤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용 작업대차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작업대(30)는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 다수의 분할대(31~34)로 구비되고, 이 분할대(31~34) 중의 일부는 그 높이를 달리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분할대(31~34)는 상기 저장탱크(10)의 벽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용 작업대차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작업대(30)의 양측에는 일단이 상기 작업대(30)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레일(20) 상에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체결수단(60)에 의해 결합되는 지지와이어(50)가 구비되고, 이 지지와이어(50)의 일측에는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레버(5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용 작업대차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작업대(30)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승강대(37) 및 다층으로 구비되는 작업발판(3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용 작업대차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장탱크(10)의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20) 상에서 이동 가능한 작업대(30)가 구비됨으로써, 종래처럼 저장탱크(10)의 내부 또는 외부 전면에 걸쳐 설치되는 틀비계에 비해 그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 및 해체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작업시간 및 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설치 및 해체작업을 위한 시간을 줄임에 따라 작업자가 탱크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에 노출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작업대(30)는 다수의 분할대(31~34)로 구비되어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구비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탱크(10)의 벽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 이가 낮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작업대(30)는 그 무게 중심이 상기 저장탱크(10)의 벽면에 근접되는 하부측에 형성되어 이동시나 작업 도중에 전복될 염려가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 및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작업대(30)의 양측에는 지지와이어(50)가 구비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 및 작업을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와이어(50)는 조절레버(61)에 의해 간편하게 그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작업대(30)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승강대(37)가 구비됨으로써, 이 승강대(37)에 의해 작업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상기 저장탱크(10)의 내외로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에 필요한 자재 및 도구를 손쉽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승강대(37)의 일측에 청소를 위한 고압분사기를 설치하여 상하로 이동하면서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안전상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유회사나 화학공장 등과 같은 곳에서 유류를 대량으로 저장하는 데에 사용되는 저장탱크(10) 내외부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작업대차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탱크(10)의 내부에서 작업이 가능한 작업대차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저장탱크(10)의 외부에도 상기 레일(20)이 설치되어 본 발명의 작업대차가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일(20)은 대략 원통형상의 저장탱크(10) 내부의 바닥면에는 탱크 내벽에 근접된 둘레를 따라 폐곡선의 궤도를 형성하도록 설치되고, 이 레일(20) 상에는 상기 저장탱크(10)의 상하로 연장 형성되는 작업대(30)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작업대(30)에는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로 상기 레일(20) 상에서 이동되면서 저장탱크(10)의 내부를 검사 또는 세척작업을 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작업대(30)의 저면에는 상기 레일(20) 상에서 구름운동되는 구동롤러(23)가 구비되고, 이 구동롤러(23)는 구동수단(22)과 이 구동수단(22)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트롤리시스템(21)에 의해 작동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전원트롤리시스템(21) 및 구동수단(22)은 상기 작업대(30)의 일측에 구비되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비된다. 이때에, 상기 레일(20)은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작업대(30)에 구비되는 구동롤러(23)는 작업대(30)의 저면에 4점 지지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구비되면서도 소정의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곡선의 레일(20) 상에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작업대(30)의 상단측에는 이동시에 상기 저장탱크(10)의 내벽면에 지지된 상태로 구름운동되는 측벽롤러(40)가 구비되며, 이 측벽롤러(40)는 상기 작 업대(30)의 구동에 의해 종동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작업대(30)가 보다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작업대(30)가 이동할 때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업대(30)는 저장탱크(10)의 내벽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높이가 순차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되며, 이에 의해 상기 작업대(30)는 그 무게중심이 상기 저장탱크(10)의 내벽면에 근접되는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작업대(30)의 전복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데,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30)는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다수의 분할대(31~34)로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30)는 대략 4개의 분할대(31~34)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각 분할대(31~34)는 격자형상으로 결합되는 프레임(35)과 이 프레임(35)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대(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분할대(31~34)는 저장탱크(10)의 내벽면 측에 위치되는 제1 및 제2 분할대(31,32)는 대략 상기 저장탱크(1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상하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분할대(31,32)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제3 및 제4 분할대(33,34)는 저장탱크(10)의 중앙부 측에 위치될수록 그 높이가 순차적으로 낮아지도록 구비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할대(31~34)에는 작업자가 이동하거나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다층을 형성하여 설치되는 작업발판(38)이 구비되고, 상기 분할대(31~34)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대(37)가 설치되어 작업자 또는 자재 등의 운반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검사 또는 세척작업 시에 각 장비를 장착하여 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업대(30)는 전술된 바와 같은 구성 및 형상에 의해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한 상태로 구비된 것이지만, 이에 더하여 상기 작업대(3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30) 중에서 제1 분할대(31)의 양측에는 다수의 지지와이어(5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와이어(50)는 그 일단이 상기 제1 분할대(31)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레일(20) 상에서 작업대(30)의 이동에 따라 종동되도록 구비되는 종동롤러(61)를 포함하는 체결수단(60)에 결합되며, 이 지지와이어(50)의 일측에는 조절레버(51)가 구비되어 지지와이어(50)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조절레버(51)는 상기 지지와이어(50)의 일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아이볼트(52,53)를 너트레버(54)에 의해 상호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너트레버(54)의 조임 또는 풀림에 의해 상기 지지와이어(50)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된 통상적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업대를 분해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업대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Claims (4)

  1. 저장탱크(10) 내부 또는 외부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레일(20)과, 이 레일(2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10)의 상하로 연장 형성되는 작업대(30)와, 이 작업대(3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10)의 벽면에 지지된 상태로 구름운동되는 측벽롤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작업대(30)는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 다수의 분할대(31~34)로 구비되고, 이 분할대(31~34) 중의 일부는 그 높이를 달리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분할대(31~34)는 상기 저장탱크(10)의 벽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용 작업대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30)의 양측에는 일단이 상기 작업대(30)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레일(20) 상에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체결수단(60)에 의해 결합되는 지지와이어(50)가 구비되고, 이 지지와이어(50)의 일측에는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레버(5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용 작업대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30)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승강대(37) 및 다층으로 구비되는 작업발판(3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용 작업대차.
KR1020080056493A 2008-06-16 2008-06-16 저장탱크용 작업대차 KR100951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493A KR100951891B1 (ko) 2008-06-16 2008-06-16 저장탱크용 작업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493A KR100951891B1 (ko) 2008-06-16 2008-06-16 저장탱크용 작업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731A KR20090130731A (ko) 2009-12-24
KR100951891B1 true KR100951891B1 (ko) 2010-04-12

Family

ID=4169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493A KR100951891B1 (ko) 2008-06-16 2008-06-16 저장탱크용 작업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8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325B1 (ko) 2021-07-28 2021-12-21 주식회사 신흥기공 안전 작업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38962A (zh) * 2020-12-28 2021-03-23 大连福佳·大化石油化工有限公司 立式储罐外壁施工吊架及其安装方法
CN114856150A (zh) * 2021-02-04 2022-08-05 中国核工业二三建设有限公司 一种核电站反应堆压力容器、蒸汽发生器连钩操作平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9156A (ja) * 2002-06-13 2004-01-22 Itoki Crebio Corp 什器等に架設する移動式梯子
KR20040024358A (ko) * 2002-09-14 2004-03-20 주식회사 지엔에프 터널형 방음벽 설치용 작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9156A (ja) * 2002-06-13 2004-01-22 Itoki Crebio Corp 什器等に架設する移動式梯子
KR20040024358A (ko) * 2002-09-14 2004-03-20 주식회사 지엔에프 터널형 방음벽 설치용 작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325B1 (ko) 2021-07-28 2021-12-21 주식회사 신흥기공 안전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731A (ko)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716124U (zh) 移动式可拆料位计检修平台
JP2014505616A (ja) 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KR100951891B1 (ko) 저장탱크용 작업대차
CN105926921A (zh) 一种自动定位的建筑吊篮装置
US20050247008A1 (en) Scaffolding device for work on inner wall face of tower vessel body, and method of work on inner wall face using the scaffolding device
KR20160109081A (ko) 교량 작업용 대차 장치
JP2003326390A (ja) 塔槽体の内壁面作業装置及び該作業装置を用いた内壁面作業方法
KR101028631B1 (ko) 이동식 교량점검장치
CN103803422B (zh) 一种用于核电站的起重装置及其安装方法
KR101616385B1 (ko) 풍력발전기의 유지보수용 작업대
JP2003326390A5 (ko)
KR101794205B1 (ko) 교량 작업용 대차 장치
RU2607721C1 (ru) Манипуляционное контро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4741403B2 (ja) ガスホルダー用ゴンドラ装置,ガスホルダー側壁に対するアクセス方法
JP2011153479A (ja) 外壁改修方法
CN206529691U (zh) 桥梁检修系统钢结构检修平台
KR102338934B1 (ko) 격납건물의 돔부 라이너플레이트 접근설비
JPS5837498A (ja) 洗浄装置
KR20190001635A (ko) 보일러용 이동식 비계장치
KR200494188Y1 (ko) 격납건물의 쉘부 라이너플레이트 접근설비
KR100581500B1 (ko) 구형 탱크의 외부 검사 및 보수용 조립식비계시스템에서의 작업대 흔들림 방지장치
JP4839052B2 (ja) 貯槽の回転解体工法
CN214935423U (zh) 简易龙门架
CN218931585U (zh) 一种机电安装用升降设备
US20230173732A1 (en) Service platform for collapsing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