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51320B1 - 레이저 조사에 의한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층의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 조사에 의한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층의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320B1
KR100951320B1 KR1020080022135A KR20080022135A KR100951320B1 KR 100951320 B1 KR100951320 B1 KR 100951320B1 KR 1020080022135 A KR1020080022135 A KR 1020080022135A KR 20080022135 A KR20080022135 A KR 20080022135A KR 100951320 B1 KR100951320 B1 KR 100951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cuprous oxide
particles
pattern layer
disper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029A (ko
Inventor
이우람
김상호
김태수
김소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US12/452,812 priority Critical patent/US8394465B2/en
Priority to JP2010518120A priority patent/JP5449154B2/ja
Priority to EP08778929A priority patent/EP2183767B1/en
Priority to AT08778929T priority patent/ATE529886T1/de
Priority to PCT/KR2008/004340 priority patent/WO2009014391A2/en
Priority to CN2008800256237A priority patent/CN101790777B/zh
Publication of KR20090012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32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8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laser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3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 H01L21/288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liquid, e.g. electrolytic deposi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bonding of conductive powder, i.e. metallic powd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0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conversion of non-conductive material on or in the support into conductive material, e.g. by using an energy bea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83After-treatment of the printed patterns, e.g. sintering or c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9Use of materials for the conductive, e.g. metallic pattern
    • H05K1/092Dispersed materials, e.g. conductive pastes or in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9Use of materials for the conductive, e.g. metallic pattern
    • H05K1/092Dispersed materials, e.g. conductive pastes or inks
    • H05K1/097Inks comprising nanoparticles and specially adapted for being sintered at low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2Fillers; Particles; Fibers;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03Fillers and particles
    • H05K2201/0206Materials
    • H05K2201/0209Inorganic, non-metallic p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0Using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s; Using laser light
    • H05K2203/107Using laser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1Treatm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e.g. heating, cooling, roughening
    • H05K2203/1131Sintering, i.e. fusing of metal particles to achieve or improve electrical conducti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 Parts Pri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Chemically Coating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리 배선층, 구리 전극층 등과 같은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층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텝. 1) 구리 입자, 산화구리 입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구리계 입자의 분산액을 준비하는 단계; (스텝. 2) 상기 구리계 입자의 분산액을 기재에 소정 형상으로 인쇄 또는 충전하여 구리계 입자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스텝. 3) 상기 구리계 입자 패턴층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구리계 입자 패턴층에 함유된 구리계 입자들을 소성하면서 서로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층의 형성방법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단시간 내에 강한 에너지로 구리계 입자 패턴층을 소성하므로, 공기 중에도 전기전도성이 양호한 구리 패턴층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저 조사에 의한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층의 형성방법{Preparation method of electroconductive copper patterning layer by laser irradiation}
본 발명은 회로 기판이나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층, 각종 디스플레이의 구리 전극층 등과 같은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층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리 입자 또는 산화구리 입자와 같은 구리계 입자를 이용하여 전기전도성을 갖는 구리 패턴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회로 기판, 반도체 소자, 각종 디스플레이는 구리, 니켈, 은 등과 같은 금속으로 된 배선층이나 전극층 등의 패턴층을 구비한다. 특히 구리를 이용한 패턴층은 전기전도성이 좋고 가격이 저렴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구리 입자, 산화제일구리와 같은 산화구리 입자들은 미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수 나노미터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작은 입경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층 형성에 유용하게 이용된다.
구리계 입자들을 이용하여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층을 형성하는 종래의 방법을 살펴 보면, 구리계 입자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페이스트를 기재 표면에 인쇄하거나 기재의 관통공에 충전하여 구리계 입자 패턴층을 형성한다음 이를 비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고온에서 열처리하여 소성한다. 이에 따라, 구리계 입자 패턴층에 함유된 구리계 입자들 중 산화구리는 구리로 환원되면서 서로 연결되고 페이스트에 포함된 유기물들은 제거되므로,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층이 형성된다(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93003호 참조).
이러한 소성방법에 따르면 전기전도성이 어느 정도 양호한 구리 패턴층을 얻을 수 있으나, 비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소성공정을 수행하는 것은 산업적으로 채택하기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통상적인 공기 분위기에서 소성공정을 채택하는 경우, 구리의 산화가 진행되어 형성되는 구리 패턴층의 전기전도성이 불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시간 내에 구리계 입자 패턴층을 소성하여 공기 중에도 전기전도성이 양호한 구리 패턴층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구리 패턴층의 형성방법은,
(스텝. 1) 구리 입자, 산화구리 입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구리계 입자의 분산액을 준비하는 단계;
(스텝. 2) 상기 구리계 입자의 분산액을 기재에 소정 형상으로 인쇄 또는 충 전하여 구리계 입자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스텝. 3) 상기 구리계 입자 패턴층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구리계 입자 패턴층에 함유된 구리계 입자들을 소성하면서 서로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구리 패턴층의 형성방법에 있어서, 산화제일구리 입자로는 평균입경이 1 내지 100 nm인 다수의 산화제일구리 초미립자들이 서로 응집되어 형성된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의 평균입경이 0.1 내지 10 μ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산화제일구리 입자는 평균입경이 1 내지 100 nm이고 입경에 대한 표준편차가 0 내지 10%인 다수의 산화제일구리 초미립자들이 서로 응집되어 형성된 구형(球形)의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이고, 상기 구형(球形)의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들의 평균입경이 0.1 내지 10 μm이며 입경에 대한 표준편차가 0 내지 40%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구리 패턴층의 형성방법에 있어서,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들의 표면은 -OH, -COOH, -SH 및 -N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능기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기능기를 갖는 단분자,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된 계면활성제로 피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구리 패턴층의 형성방법에 있어서, 구리계 입자로는 구리 입자 및 산화제일구리 입자를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구리 패턴층의 형성방법에 있어서, 구리계 입자의 분산액은 구리계 입자가 분산매에 분산된 액상의 분산액 또는 구리계 입자가 바인더 수지 용액에 분산된 페이스트상의 분산액일 수 있고, 레이저 조사는 공기 중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층의 형성방법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단시간 내에 강한 에너지로 구리계 입자 패턴층을 소성한다. 이에 따라, 공기 중에도 산화가 거의 진행되지 않은 구리 패턴층을 얻을 수 있으므로, 전기전도성이 양호한 구리 패턴층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층의 형성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리 입자, 산화제일구리와 같은 산화구리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입자들과 같은 구리계 입자들이 분산된 분산액을 준비한다(스텝. 1).
분산액은 구리계 입자들을 터피네올(terpineol) 등과 같은 공지의 분산매에 분산시킨 액상의 분산액일 수 있고, 분산매에 바인더 수지를 용해시킨 바인더 수지 용액에 분산시킨 페이스트상의 분산액일 수 있다. 분산액에 첨가된 바인더 수지는 패턴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분산액에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난소결 재료인 산화알루미늄, 니켈 등을 더 첨가할 수 있다.
구리 입자는 기계적으로 그라인딩하는 방법, 공침법, 분무법, 졸-겔법, 전기분해법 등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산화구리 입자의 제조방법 역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2006-96655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84099호에는 산화제일구리 초미립자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리계 입자들은 후술하는 레이저 조사에 의해 소성되어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한데, 바람직하게는 구리 입자 및 산화제일구리 입자를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제일구리 입자로는 평균입경이 1 내지 100 nm인 다수의 산화제일구리 초미립자들이 서로 응집되어 형성된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초미립자들이 서로 응집된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를 사용하면, 융착 온도가 낮아져서 후술하는 레이저 소성시 보다 빠르게 구리 패턴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의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10)는 다수의 산화제일구리 초미립자(1)들이 서로 응집되어 형성된다. 산화제일구리 초미립자(1)들은 평균입경이 1 내지 10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제일구리 초미립자(1)들의 평균입경이 1 nm 미만이면 입자 형성 자체가 어려우며, 그 평균입경이 100 nm를 초과하면 초미립자 특유의 물성을 발현 시키기 어려워진다. 바람직한 초미립자(1)들의 평균입경은 1 내지 10 nm이다. 또한, 산화제일구리 초미립자(1)들의 입경에 대한 표준편차는 0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준편차가 10%를 초과하면 균일한 크기와 형상의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들을 형성하기 용이치 않다.
한편,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10)의 평균입경은 0.1 내지 10 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10)들의 평균입경이 0.1 μm 미만이면 응집체로 형성시키는 의미가 저하될 수 있고, 10 μm를 초과하면 크기가 커짐에 따라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10)들의 평균입경은 0.3 내지 2 μm 이다. 또한,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10)들의 입경에 대한 표준편차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로서, 구형(球形)의 형상을 갖는 것이 좋다. 표준편차가 40%를 초과하면 크기의 불균일성으로 인하여 배선 형성 시 패터닝에 대한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형(球形)은 각 단면의 종횡비(aspect ratio)가 1인 완벽한 구체 외에, 각 단면의 종횡비(aspect ratio)가 2이하인 타원형 구체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된다.
전술한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평균입경과 표준편차를 갖는 구형(球形)의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리카르복실화합물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복실기 함유 화합물과 구리염을 용매에 용해시켜 구리(Ⅱ) 전구체 용액을 준비한다.
(R1-COO)2Cu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가 1 내지 18인 알킬기임.
R1-COOH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탄소수가 1 내지 18인 알킬기임.
화학식 1의 구리카르복실화합물로는 (CH3COO)2Cu를 예시할 수 있고, 화학식 2의 카르복실기 함유 화합물로는 CH3COOH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구리염으로는 구리의 질산화물, 구리의 할로겐화물, 구리의 수산화물, 구리의 황산화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들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매로는 전술한 구리카르복실 화합물 또는 카르복실기 함유 화합물과 구리염을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로서, 약환원제 첨가시 산화제일구리응집체 입자를 형성할 수 있는 용매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물, C1-C6 저급 알코올,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설폭사이드,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토니트릴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준비한 구리(Ⅱ) 전구체 용액에 표준환원전위가 -0.2 내지 -0.05 V인 약환원제를 투입하여, 평균입경이 1 내지 100 nm이고 입경에 대한 표준편차가 0 내지 10%인 다수의 Cu2O 초미립자들이 서로 응집되어 형성되며 평균입경이 0.1 내지 10 μm이고 입경에 대한 표준편차가 0 내지 40%인 구형(球形)의 Cu2O 응집체 입자들을 형성한다. 응집체 입자 및 산화제일구리 초미립자의 크기는 용매의 종류, 계면활성제 첨가 등의 반응조건을 변화시켜 조절할 수 있다. 약환원제는 구리(Ⅱ) 전구체를 용매에 용해시키기 전에 먼저 투입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용매에 약환원제를 용해시킨 다음 구리(Ⅱ) 전구체 용액에 투입할 수도 있다. 약환원제로는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를 균일하게 형성하는데 유리하도록 표준환원전위가 -0.2 내지 -0.05 V인 약환원제를 사용한다. 이러한 약환원제로는 아스콜빈산(ascorbic acid), 디올 화합물, 시트르산(citric acid), 프럭토오스(fructose), 아민 화합물, 알파-히드록시 케톤(α-hydroxy ketone) 화합물, 숙신산(succinic acid), 말토오스(maltose)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 크기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리(Ⅱ) 전구체 용액에 계면활성제를 더 첨가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사용량 등에 따라 응집체 입자의 크기가 조절되는데, 첨가된 계면활성제는 구형(球形)의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들의 표면에 피복되는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계면활성제로는 하나의 분자 내에 친수성기와 친유성기를 모두 갖는 양친매성 물질로서, 산화제일구리 입자 제조시 사용되는 통상적인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OH, -COOH, -SH, -NH등의 기능기를 하나 이상 갖는 단분자 계면활성제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과 같은 고분자 계면활성 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아크릴아미드를 사용하면, 얻어지는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의 형상과 크기가 더욱 균일해져서, 입경에 대한 표준편차가 매우 낮아진 구형(球形)의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들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의 제조단계가 종료되면, 원심분리 등의 방법으로 용액으로부터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들을 분리하여 구형(球形)의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들을 얻는다.
전술한 방법으로 준비한 구리계 입자의 분산액을 기재 표면에 소정 형상으로 인쇄 또는 충전하여 구리계 입자 패턴층을 형성한다(스텝. 2).
기재로는 구리 전극, 구리 배선과 같은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층이 요구되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구리계 입자 패턴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스크린 인쇄법, 디스펜스법, 잉크젯법, 스프레이법 등, 구리계 입자의 분산액을 이용하여 목적하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그런 다음, 구리계 입자 패턴층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구리계 입자 패턴층에 함유된 구리계 입자들을 소성하면, 구리 입자들 또는 산화구리의 상이 구리로 변하면서 구리 입자들이 서로 연결되어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층이 형성된다. 레이저를 이용하여 단시간 내에 강한 에너지로 구리계 입자 패턴층을 소성하므로, 공기 중에서 진행하여도 구리 입자의 산화가 거의 진행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전기전도성이 양호한 구리 패턴층을 얻을 수 있다. 레이저는 구리계 입자 패턴층에 조사되어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출력을 갖는 것이라면 공지의 다양한 레 이저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의 합성예
(CH3COO)2Cu·H2O 50 mg과 폴리아크릴아미드 200 mg 을 증류수 4.5 ml 에 녹여 제1 용액을 준비하고, 아스콜빈산 22 mg을 증류수 0.5 ml에 녹여 제2 용액을 준비하였다. 실온, 상압 및 공기 중에서 상기 두 용액을 혼합하고 10분 간 정치하였다. 이어서, 2000 rpm에서 3분 간 원심분리한 후, 위층의 상청액을 버리고 남은 침전물을 물 20 ml에 재분산한 후 원심분리 과정을 한 번 더 반복하여 산화제일구리 입자를 얻었다.
상기 산화제일구리 입자에 대해 SEM 사진(도 2), TEM 사진(도 3), XRD 분석 그래프(도 4), HRTEM을 이용한 산화제일구리 입자의 구조 분석 사진(도 5) 및 산화제일구리 입자 끝부분의 TEM 사진(도 6), FIB로 잘라서 촬영한 산화제일구리 입자의 단면 SEM 사진(도 7)을 도면에 나타내었다.
도 4의 XRD 패턴에 대한 Scherrer equation 계산법에 의해서 얻은 결정 크기는 4.4 nm였으며, 이것은 도 6에서 TEM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5 nm의 입자 크 기와도 일치한다.
형성된 응집체들의 크기는 SEM 이미지(도 2)를 기초로 그래픽 소프트웨어(MAC-View)를 사용하여 200개 이상의 입자에 대해 측정하였고, 얻어진 통계 분포를 통해 평균 크기가 504.7 nm, 표준편차는 91.8 (18%)로 계산되었다.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층의 형성
실시예 1
전술한 방법으로 제조한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들을 터피네올에 분산시켜 고형분 함량이 50~85중량비가 되도록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스크린 프린팅 방법을 이용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판 위에 두께가 10~20 μm이고 너비가 2 mm인 선을 프린팅한 다음, 40kHz, 60% / 0.01m/sec /0.2 mm mesh/ 6 mm offset의 조건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소성하였다. 얻어진 구리선의 비저항 값을 측정한 결과4.96E-4 Ωm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레이저 조사 조건을 40kHz, 60% / 0.01m/sec / 0.02 mm mesh/ offset 3 mm의 조건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얻어진 구리선의 비저항 값을 측정한 결과 3.96E-5 Ωm 의 비저항 값을 얻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산화제일구리 분산액을 패터닝한 후, 일부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형성한 구리 패턴층의 모식도이다. 도 8에 있어서, ①은 레이저로 소성하지 않은 부분으로서, 도 9의 SEM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화제일구리 입자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도 8의 ②는 레이저로 소성한 부분과 소성하지 않은 부분의 경계선으로서, 도 10의 SEM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레이저로 소성한 부분과 소성하지 않은 부분의 경계가 뚜렷이 나타난다. 도 8의 ③은 레이저로 소성한 부분으로서, 도 11의 SEM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화제일구리의 입자 형상이 남아있지 않고 서로 잘 연결되어 전기전도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2의 (a)는 실시예의 구리 패턴층 형성에 사용된 산화제일구리 입자의 XRD 그래프로서, 큐빅 구조의 산화제일구리 패턴과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는 레이저로 소성한 부분과 소성하지 않은 부분의 경계선인 도 8의 ② 부분을 긁어서 채취한 샘플의 XRD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구리에 대한 피크(빨간색)와 산화제일구리에 대한 피크(파란색)가 혼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2는 합성예에 따라 제조된 산화제일구리 입자의 SEM 사진이다.
도 3은 합성예에 따라 제조된 산화제일구리 입자의 TEM 사진이다.
도 4는 합성예에 따라 제조된 산화제일구리 입자의 XRD 분석 그래프이다.
도 5는 HRTEM을 이용한, 합성예에 따라 제조된 산화제일구리 입자의 구조 분석 사진이다.
도 6은 합성예에 따라 제조된 산화제일구리 입자 끝부분의 TEM 사진이다.
도 7은 합성예에 따라 제조된 산화제일구리 입자를 FIB로 잘라서 촬영한 산화제일구리 입자의 단면 SEM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라 산화제일구리 분산액을 패터닝한 후, 일부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형성한 구리 패턴층의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8의 ① 부분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
도 10은 도 8의 ② 부분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
도 11는 도 8의 ③ 부분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
도 12의 (a)는 실시예의 구리 패턴층 형성에 사용된 산화제일구리 입자의 XRD 그래프이고,
도 12의 (b)는 도 8의 ② 부분을 긁어 채취한 샘플의 XRD 그래프이다.

Claims (10)

  1. (스텝. 1) 평균입경이 1 내지 100 nm이고 입경에 대한 표준편차가 0 내지 10%인 다수의 산화제일구리 초미립자들이 서로 응집되어 형성된 구형(球形)의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들로서, 상기 구형(球形)의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들의 평균입경이 0.1 내지 10 μm이며 입경에 대한 표준편차가 0 내지 40%인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들의 분산액을 준비하는 단계;
    (스텝. 2) 상기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들의 분산액을 기재에 소정 형상으로 인쇄 또는 충전하여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스텝. 3) 공기 중에서 상기 패턴층에 레이저를 소정 출력으로 조사하여, 상기 패턴층에 함유된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들을 소성하면서 서로 연결시켜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으로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층의 형성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들의 표면이 계면활성제로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층의 형성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OH, -COOH, -SH 및 -N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능기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기능기를 갖는 단분자,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층의 형성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아크릴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층의 형성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들의 분산액은 상기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들이 분산매에 분산된 액상의 분산액 또는 상기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들이 바인더 수지 용액에 분산된 페이스트상의 분산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층의 형성방법.
  10. 삭제
KR1020080022135A 2007-07-26 2008-03-10 레이저 조사에 의한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층의 형성방법 Active KR100951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52,812 US8394465B2 (en) 2007-07-26 2008-07-24 Preparation method of electroconductive copper patterning layer by laser irradiation
JP2010518120A JP5449154B2 (ja) 2007-07-26 2008-07-24 レーザー照射による電気伝導性銅パターン層の形成方法
EP08778929A EP2183767B1 (en) 2007-07-26 2008-07-24 Preparation method of electroconductive copper patterning layer by laser irradiation
AT08778929T ATE529886T1 (de) 2007-07-26 2008-07-24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 elektroleitfähige kupferstrukturierungsschicht durch laserbestrahlung
PCT/KR2008/004340 WO2009014391A2 (en) 2007-07-26 2008-07-24 Preparation method of electroconductive copper patterning layer by laser irradiation
CN2008800256237A CN101790777B (zh) 2007-07-26 2008-07-24 通过激光照射制备导电铜图形层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75340 2007-07-26
KR1020070075340 2007-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029A KR20090012029A (ko) 2009-02-02
KR100951320B1 true KR100951320B1 (ko) 2010-04-05

Family

ID=40683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135A Active KR100951320B1 (ko) 2007-07-26 2008-03-10 레이저 조사에 의한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층의 형성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94465B2 (ko)
EP (1) EP2183767B1 (ko)
JP (1) JP5449154B2 (ko)
KR (1) KR100951320B1 (ko)
CN (1) CN101790777B (ko)
AT (1) ATE529886T1 (ko)
WO (1) WO200901439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67617A (ja) * 2012-09-26 2014-04-17 Fujifilm Corp 導電膜の製造方法および導電膜形成用組成物
EP2930722B1 (en) * 2012-12-07 2019-03-20 FUJIFILM Corporation Process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film and printed wiring board
US10622244B2 (en) 2013-02-18 2020-04-14 Orbotech Ltd. Pulsed-mode direct-write laser metallization
JP2016516211A (ja) 2013-02-18 2016-06-02 オルボテック リミテッド ツーステップの直接描画レーザ・メタライゼーション
JP2014199720A (ja) * 2013-03-29 2014-10-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膜形成用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る導電膜の製造方法
CN104185378A (zh) * 2013-05-21 2014-12-03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导电线路的制备方法、以及具有导电线路的装置
TWI471071B (zh) * 2013-05-21 2015-01-21 Innolux Corp 導電線路之製備方法、以及具有導電線路之裝置
US10537027B2 (en) 2013-08-02 2020-01-14 Orbotech Ltd. Method producing a conductive path on a substrate
JP2015050107A (ja) * 2013-09-03 2015-03-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膜の製造方法
US20170105287A1 (en) * 2015-10-12 2017-04-1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rocess of Producing Electronic Component and an Electronic Component
US10793965B2 (en) 2016-08-29 2020-10-06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rkansas Light-directed electrochemical patterning of copper structures
WO2018212345A1 (ja) * 2017-05-18 2018-11-22 学校法人芝浦工業大学 導体の製造方法、配線基板の製造方法及び導体形成用組成物
TWI681872B (zh) 2017-07-18 2020-01-11 日商旭化成股份有限公司 具有導電性圖案區域之構造體及其製造方法、積層體及其製造方法
EP3922451B1 (en) 2017-07-27 2023-06-28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Copper oxide ink and method for producing conductive substrate using same, product containing coating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product using same, method for producing product with conductive pattern, and product with conductive pattern
JP7430483B2 (ja) * 2017-11-10 2024-02-13 旭化成株式会社 導電性パターン領域付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9006709A1 (de) * 2019-09-25 2021-03-25 Heraeus Deutschland GmbH & Co. KG Kontaktierung flexibler Elektrod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4099A (ko) * 2002-12-03 2005-08-26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산화구리 초미립자
KR20060112025A (ko) * 2005-04-26 2006-10-31 주식회사 잉크테크 금속 잉크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2187A (ja) * 1990-03-13 1991-11-21 Fujitsu Ltd パターン形成方法
JPH0537126A (ja) * 1991-07-30 1993-02-12 Toshiba Corp 金属酸化物を用いた配線基板および情報記録媒体
JPH05335725A (ja) * 1992-05-29 1993-12-17 Kusuo Sato レーザ光線照射による電気回路形成方法
US20030148024A1 (en) * 2001-10-05 2003-08-07 Kodas Toivo T. Low viscosity precursor compositons and methods for the depositon of conductive electronic features
TW476073B (en) * 1999-12-09 2002-02-11 Ebara Corp Solution containing metal component,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rming thin metal film
JP2001167633A (ja) * 1999-12-09 2001-06-22 Ebara Corp 金属成分含有溶液及び金属薄膜形成方法
JP2003073591A (ja) * 2001-09-03 2003-03-12 Fuji Photo Film Co Ltd インク組成物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04277868A (ja) * 2003-03-19 2004-10-07 Mitsubishi Paper Mills Ltd 導電性組成物の作製方法
JP2005079010A (ja) * 2003-09-02 2005-03-24 Seiko Epson Corp 導電膜パターンの形成方法、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5281781A (ja) * 2004-03-30 2005-10-13 Kenji Sumiyama 銅ナノ粒子の製造方法
JP2006013321A (ja) * 2004-06-29 2006-01-12 Chubu Electric Power Co Inc 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装置及び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2006096655A (ja) 2004-09-06 2006-04-13 Fuji Photo Film Co Ltd 酸化第一銅粒子の製造方法及び酸化第一銅粒子
JP4782397B2 (ja) 2004-09-27 2011-09-28 京セラ株式会社 導体ペース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2006201538A (ja) * 2005-01-21 2006-08-03 Seiko Epson Corp マスク、マスクの製造方法、パターン形成方法、配線パターン形成方法
JP4337744B2 (ja) 2005-02-04 2009-09-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膜パターンの形成方法、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の製造方法
EP1853671B1 (en) * 2005-03-04 2013-07-31 Inktec Co., Ltd. Conductive ink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4099A (ko) * 2002-12-03 2005-08-26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산화구리 초미립자
KR20060112025A (ko) * 2005-04-26 2006-10-31 주식회사 잉크테크 금속 잉크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29566A1 (en) 2010-05-27
WO2009014391A2 (en) 2009-01-29
CN101790777A (zh) 2010-07-28
EP2183767A4 (en) 2011-01-05
CN101790777B (zh) 2012-05-02
EP2183767A2 (en) 2010-05-12
JP5449154B2 (ja) 2014-03-19
WO2009014391A3 (en) 2009-03-19
EP2183767B1 (en) 2011-10-19
US8394465B2 (en) 2013-03-12
KR20090012029A (ko) 2009-02-02
JP2010534932A (ja) 2010-11-11
ATE529886T1 (de)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320B1 (ko) 레이저 조사에 의한 전기전도성 구리 패턴층의 형성방법
JP4431543B2 (ja) Ag−Pd合金ナノ粒子を用いる配線基板製造方法
CN101805538B (zh) 可低温烧结的导电墨水
JP6349310B2 (ja) 金属接合用組成物
JP2005531679A (ja) 低温焼結導電性ナノイ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182111A (ja) 導電性金属ペースト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512265B (zh) 分散体以及使用其的带导电性图案的结构体的制造方法和带导电性图案的结构体
JP2008176951A (ja) 銀系微粒子インクペースト
TWI661012B (zh) 核殼型金屬微粒子之製造方法、核殼型金屬微粒子、導電性墨水及基板之製造方法
JP2016014181A (ja) 銅微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405683A (zh) 铜粉及使用该铜粉的铜膏、导电性涂料、导电性片
JP2010534280A (ja) 銅粒子組成物の製造方法
US8834957B2 (en) Preparation method for an electroconductive patterned copper layer
TW201615785A (zh) 接合用組成物
KR101947633B1 (ko) 전도성 구리 복합잉크 및 이를 이용한 광소결 방법
JP4662760B2 (ja) 超微粒銅粉、超微粒銅粉スラリー及び超微粒銅粉スラリーの製造方法
CN107614156A (zh) 铜粉及使用其的铜膏、导电性涂料、导电性片以及铜粉的制造方法
JP2006161128A (ja) ニッケルスラリー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ニッケルスラリーを用いたニッケルペースト又はニッケルインキ
KR101196796B1 (ko) 전기 전도성 구리 패턴층의 형성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구리 패턴층
CN109651892B (zh) 一种纳米铜导电墨水的制备方法
US20190104618A1 (en) Method for solvent-free printing conductors on substrate
JP5705150B2 (ja) 金属微粒子分散液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68440B2 (ja) 銅超微粒子の製造方法
JP2014029017A (ja) 金属微粒子組成物の製造方法
TWI551656B (zh) Antioxidant conductive copper ink and its prepar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8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0021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00326

Appeal identifier: 2010101001147

Request date: 20100216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31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10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003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325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