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51240B1 -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 - Google Patents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240B1
KR100951240B1 KR1020020054751A KR20020054751A KR100951240B1 KR 100951240 B1 KR100951240 B1 KR 100951240B1 KR 1020020054751 A KR1020020054751 A KR 1020020054751A KR 20020054751 A KR20020054751 A KR 20020054751A KR 100951240 B1 KR100951240 B1 KR 100951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rod
collection
casing
plating ce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3123A (ko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54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240B1/ko
Publication of KR20040023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24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6Regeneration of process solutions
    • C25D21/18Regeneration of process solutions of electrol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06Filtering particles other than 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25D7/0657Conducting ro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강판의 내식성등을 향상시키거나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강판을 특정성분으로 도금하는 강판의 도금시 도금셀내의 전해액을 청정시키는 도금셀내 전해액 청정장치가 제공한다.
상기 도금셀내 전해액 청정장치는, 강판의 전기도금시 컨덕터롤의 롤축에 고정된 커버사이에 배출구를 형성토록 제공된 케이싱에 전해액을 수집토록 설치되고 다수의 수집안내구를 갖추고,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에는 노즐을 갖춘 분사관이 연결되는 전해액 수집봉;과, 상기 케이싱에 전해액 수집봉의 일측으로 수직 설치되고 불순물의 수집을 위하여 반호형으로 형성되고, 내측 중앙에 신장 배치된 나사봉에는 체결되어 회전하면서 수거된 불순물을 케이싱내부로 유도하는 브러쉬가 부착된 회전체가 체결되며, 상기 전해액 수집봉의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패킹봉이 나사봉의 하부측으로 스프링이 지지된 누름판과 연결되는 수집판;과, 상기 도금셀의 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 배출구가 내측에 위치되며, 내부에는 컨덕터롤축에 고정된 구동캠으로 펌핑되는 펌프가 배치되고, 상기 펌프 하측으로 토출밸브가 제공되는 불순물 수집조; 및, 상기 불순물 수집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펌핑되는 전해액내의 불순물을 여과하는 스크린망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강판의 도금시 도금셀내의 전해액에 포함된 슬러지등의 불순물들이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효과적으로 제거됨으로 도금셀내의 전해액이 보다 청정하게 유지되어 전해액을 통한 강판의 전기도금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강판, 강판도금, 컨턱터롤, 도금셀, 도금용액, 아노드, 전해액 슬러지

Description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AN APPARATUS FOR CLEANING AN ELECTORLYTIC SOLUTION IN A PLATING SHELL}
도 1은 종래 강판의 전기도금시 도금셀내에 발생되는 슬러지등에 의한 도금전해액의 혼탁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인 강판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강판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에서 불순물 수집조를 도시한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인 강판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에서 전해액 수집봉 및 수집판을 도시한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인 강판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에서 회전체와 나사봉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요부도
도 7은 본 발명인 강판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에서 회전체 및 불순물 수집판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도금셀 전해액 청정장치 10.... 전해액 수집봉
12.... 커버 14,20.... 배출구
16.... 케이싱 18.... 수집안내구
20.... 배출구 22.... 노즐
24.... 분사관 30.... 수집판
32.... 나사봉 34.... 브러쉬
36.... 회전체 38.... 패킹봉
40.... 누름판 50.... 불순물 수집조
52.... 구동캠 54.... 펌프
56.... 토출밸브 70.... 스크린망
본 발명은 강판의 내식성등을 향상시키거나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냉연강판을 특정성분으로 도금하는 강판의 전기도금시 도금셀내에 저장된 전해액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등의 각종 불순물을 걸러내어 전해액을 청정하게 하는 도금셀내의 전해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로는 강판의 전기도금시 도금셀내의 전해액에 포함된 불순물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전해액을 청정시킴으로서 강판의 도금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강판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 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냉연강판의 제조시 강판의 표면에 도금을 수행하는데, 이와 같은 강판의 도금작업은 융용금속이 저장된 도금욕조에 강판을 통과시키어 강판의 표면도금을 수행하거나 또는, 도금셀내에 전해액을 충진시키고 도금하고자 하는 + 성분의 아노드들과 - 전극을 띠는 밴드가 설치된 컨덕터롤을 거치도록 하여 강판을 진행시키면서 강판의 표면도금을 수행하는 전기도금방식이 있는데, 이와 같은 강판의 도금작업은 강판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강판의 사용환경에 따라 수요자가 원하는 성분을 도금하는 것이고, 이와 같은 강판의 전기도금작업을 도1 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해액 공급관(112)을 통하여 전해액(100)이 충진된 도금셀(110)내에 브릿지(122)를 통하여 아노드(120)들이 설치되고, 상기 아노드(120)와 일정간격으로 강판(S)이 감기어 이송되는 - 전극의 밴드(132)가 갖추어진 컨덕터롤(130)이 제공된다.
따라서, 컨덕터롤(130)의 - 전극 밴드(132)와 밀착되어 이송되는 강판(S)은 - 전극을 띠게되고, 상기 아노드(120)의 + 이온 예를 들어, 아연이온은 전해액 (100)을 통하여 이동하여 강판(S)의 표면에 부착되면서 강판의 도금작업이 수행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강판의 전기도금시에는, 브릿지(122)와 금속성분의 아노드(120)에서 발생하는 각종 슬러지(140)와 사용할수록 부피가 감소하는 아노드(120)의 교환시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등의 불순물이 전해액(100)에 함유되기 쉬운데, 이와 같은 불순물은 강판의 도금을 불량하게 하고 특히, 후공정에서 강판표면의 결함을 제공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전해액(100)에 포함된 불순물(140)은 전류가 불균일하게 되는 원인을 초래하여 전기도금강판의 도금불량을 초래하고, 결국 강판(S)의 표면 결함과 더불어 도금불량으로 강판의 도금품질을 저하시키고, 이는 수요가의 제품 신뢰성을 떨어드리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와 같은 도금셀(110)내의 전해액(100)에 포함된 불순물 (140)을 제거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별도의 치구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도금라인의 가동을 중단시킨 상태에서 전해액(100)상의 불순물(140)들을 제거하였지만, 이는 그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높은 것이고, 특히 작업이 지연되기 때문에, 강판 도금조업자체가 지연되는 문제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강판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거나 또는 수요가의 요구에 따라 강판의 도금작업을 수행하는 때에, 도금셀내의 전해액에 포함된 슬러지 및 이물질등의 불순물을 걸러내어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온라인상태에서 전해액을 보다 청정하게 하도록 한 강판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판도금시 도금셀내의 전해액이 청정하게 유지됨으로서, 전해액에 포함된 불순물에 의한 강판의 표면결함발생이나 도금불량을 방지시키어 강판의 도금품질을 향상시키면서 수요가의 제품신뢰성을 높이는 강판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강판의 전기도금시 컨덕터롤이 배치된 도금셀내의 전해액을 청정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롤의 롤축에 고정된 커버사이에 배출구를 형성토록 제공된 케이싱에 전해액을 수집토록 설치되고 다수의 수집안내구를 갖추고,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에는 노즐을 갖춘 분사관이 연결되는 전해액 수집봉; 과,
상기 케이싱에 전해액 수집봉의 일측으로 수직 설치되고 불순물의 수집을 위하여 반호형으로 형성되고, 내측 중앙에 신장 배치된 나사봉에는 체결되어 회전하면서 수거된 불순물을 케이싱내부로 유도하는 브러쉬가 부착된 회전체가 체결되며, 상기 전해액 수집봉의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패킹봉이 나사봉의 하부측으로 스프링이 지지된 누름판과 연결되는 수집판; 과,
상기 도금셀의 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 배출구가 내측에 위치되며, 내부에는 컨덕터롤축에 고정된 구동캠으로 펌핑되는 펌프가 배치되고, 상기 펌프 하측으로 토출밸브가 제공되는 불순물 수집조; 및,
상기 불순물 수집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펌핑되는 전해액내의 불순물을 여과하는 스크린망;으로 구성된 강판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3은 강판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며, 도 4는 강판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에서 불순물 수집조를 도시한 요부도이고, 도 5는 강판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에서 수집봉 및 수집판을 도시한 요부도이며, 도 6은 강판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에서 회전체와 나사봉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요부도이고, 도 7은 강판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에서 회전체 및 불순물 수집판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인데, 이하에서 종래 도금셀과 관련된 동일구성은 동일부호로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본 발명인 강판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1)의 전체 구성을 정면 및 측면구성도로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슬러지 제거장치(1)는 크게 전해액 수집봉(10)과 수집판(30)과 불순물 수집조(50) 및 스크린망(70)으로 나누어 질 수 있고, 이들 각 구성요소(10)(30)(50)(70)들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청정장치(1)가 설치되는 도금셀(110)을 살펴보면, 상기 도금셀(110)내에는 전해액(100)이 일정레벨 즉,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망(70)의 하측으로 컨덕터롤(130)이 일부분 침지토록 충진되어 있고, 도금되는 강판(S)은 굴절롤(150)과 컨덕터롤(130)의 밴드(132)를 통하여 진행되고, 전해액(100)내의 아노드(120)로서 강판의 표면이 도금되는데, 이때 상기 컨덕터롤 (130)의 롤축(134)은 별도의 부호로 나타내지 않은 감속기어와 구동모터(M)등으로 된 구동부와 연결되어 있다.
다음, 도 2,도 3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청정장치(1)의 상기 전해액 수집봉(1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해액 수집봉(10)은, 상기 컨덕터롤(130)의 롤축(134)에 고정된 커버(12)사이에 배출구(14)를 형성토록 제공된 케이싱(16)에 전해액(100)을 수집토록 다수개가 롤축(134)의 방사상으로 90도 간격으로 수직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전해액 수집봉(10)은 내부가 중공되어 있고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개구에는 깔때기 형상의 수집안내구(18)들이 배치되어 상기 전해액 수집봉(10)이 컨덕터롤축(134)의 회전으로 일체로 회전하면, 도 3에서와 같이 전해액(100)을 전해액 수집봉(10)내에 유입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해액 수집봉(10)과 케이싱(16)의 연결부위는 별도의 부호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브라켓트로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해액 수집봉(1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20)에는 노즐(22)을 갖춘 분사관(24)이 연결되는데, 결국 상기 전해액 수집봉(10)은 내부로 유입되는 전해액(100)을 다음에 설명하는 수집판(30) 하부에 분사시키어 수집된 불순물(140)들을 불순물 수집조(50)측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갖춘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에 설명하는 누름판(40)에 연결되는 절곡된 패킹봉(38)의 단부는 상기 전해액 수집봉(10)의 하부를 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패킹봉(38)의 상단부에는 상기 전해액 수집봉(1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배출구(20)를 지나서 이를 통한 전해액 배출을 조정하는 패킹(38a)이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 누름판(40)의 작동에 따라 전해액 수집봉(10)내의 수집된 전해액의 배출이 이루어 진다.
다음, 도 2, 도 5 및 도 6에서는 본 발명인 도금셀 전해액 청정장치(1)의 상기 수집판(3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수집판(30)은 상기 케이싱 (16)에 전해액 수집봉(10)의 일측으로 수직 설치되고 불순물의 수집을 위하여 반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호형으로 된 수집판(30)의 내측 중앙에 신장 배치된 나사봉(32)에는 체결되어 회전하면서 수거된 불순물(140)을 케이싱(12)내부로 유도하는 브러쉬(34)가 부착된 회전체(36)가 체결된다.
이때, 상기 나사봉(32)의 하부는 상기 케이싱(16)에 형성된 개구(16a)를 통하여 컨덕터롤축(134)에 브라켓트(32a)로서 견고하게 수직 고정되고, 상기 누름판 (40)에 연결되는 상기 패킹봉(38)에는 전해액 수집봉(10)의 하부 배출구(20)를 지나서 이를 통한 전해액 배출을 차단하는 패킹(38a)이 부착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36)의 내부에는 상기 나사봉(32)의 나사홈(32b)에 삽입되고 볼(36a)로 지지되는 가이드(36b)가 내장되어 상기 회전체(36)는 나사봉(32)의 위치에 따라 회전토록 구성되는데,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36b)는 회전체(36)의 내부에 고정판(36d)이 볼팅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도 6 및 도 7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36)의 상부에는 나사봉(32)의 단부에 형성된 스토퍼(33)와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판(37)이 배치되고, 상기 회전체(36)의 하부에는 연결블록(36e)을 통하여 상기 누름판(40)을 압착시키어 일체로 전해액 수집봉(10)내의 패킹봉(38)을 이동시키는 누름부 (36c)가 볼팅 고정되고, 또한 상기 볼(36a)은 가이드(36b)에 볼팅 고정되는 고정판 (36f)으로 이탈 방지토록 고정된다.
다음, 도 2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청정장치(1)의 상기 불순물 수집조(5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불순물 수집조(50)는, 상기 도금셀(110)의 측벽에 견고하게 볼팅 고정되는 브라켓트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이와 같은 불순물 수집조(50)는 그 우측부분이 컨덕터롤축(134)의 커버(12)와 케이싱(16)사이의 배출구(14)가 내측으로 위치되도록 신장되고, 상기 불순물 수집조(50)의 내부에는 상기 컨덕터롤축(134)에 고정된 구동캠(52)으로 구동되는 펌프(54)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펌프(54)하측으로 불순물 수집조 (50)측에는 토출밸브(56)가 제공된다.
즉,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불순물 수집조(50)내에 배치된 펌프(54)는, 상기 불순물 수집조(50)내에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54a)과, 그 내부에 상기 구동캠(52)으로 작동토록 배치되는 작동아암(54b)의 하부에 고정되는 피스톤(54c) 및 상기 하우징(54a)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개구(54d)에 설치된 밸브(54e)를 갖추고 있는데, 상기 작동아암(54b)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캠(52)과 접촉하는 가이드롤(5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아암(54b)에는 하우징(54a)사이에 탄성 지지되는 스프링 (57a)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57a)의 외곽에는 신축관(57b)이 덮여지며, 상기 밸브(54e)는 그 내부에 체크볼이 내장되어 있어 역류를 차단하고, 상기 토출밸브(56)도 별도의 부호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승하는 토출볼이 내장되어 피스톤(54c)이 구동캠(52)의 회전 작동에 따라 강제로 하강하는 작동아암(54b)과 일체로 하강하여 밸브(54e)를 통하여 유입된 불순물을 포함하는 전해액이 가압 배출되는 경우에만 토출 작동토록 된다.
이때,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캠(52)과 펌프(54)는 각각 상기 컨덕터롤축(134)과 불순물 수집조(50)에 각각 복수개가 병렬로 배치되고, 특히 상기 구동캠(52)들은 서로 작동아암(54b)의 하강을 교대로 이루어 지도록 제공되어 상기 펌프(54)는 교대로 작동되도록 설치된다.
다음, 도 2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청정장치(1)의 상기 스크린망(7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스크린망(70)은 상기 불순물 수집조(50)의 하부에 설치되어 펌핑되는 전해액에 포함된 불순물(140)을 여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의 도금작업시 도금셀(110)내에 충진된 전해액에 포함된 슬러지와 같은 불순물(140)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간단하게 제거토록 하여 도금셀(110)내의 전해액을 보다 청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강판의 도금품질을 향상시키는 본 발명의 강판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1)는 다음 과 같은데, 종래 도금셀(110)에 관련된 구성들은 동일부호로 나타낸다.
먼저,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금셀(110)상의 일측으로 배치된 모터(M)를 가동시키면, 컨덕터롤(130)의 롤축(134)이 일체로 회전하고, 결국 상기 롤축(134)에 조립된 커버(12)와 케이싱(16)은 일체로 회전 작동되고, 결국 상기 케이싱(16)에 수직하게 조립된 전해액 수집봉(10) 및 수집판(30)은 전해액(100)을 통하여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도 2 및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해액 수집봉(10)의 수집안내구(18)들을 통하여 도금셀(110)내의 전해액(100)은 전해액 수집봉(10)의 내부에 유입되고,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누름판(40)이 눌려져 하측의 패킹봉(38)이 하강 이동하여 패킹봉(38)의 패킹(38a)이 전해액 수집봉(10)의 하부 배출구(20)를 지나게 되면, 전해액 수집봉(10)내의 전해액(100)은 배출구(20)에 연결된 분사관(24)의 노즐(22)을 통하여 케이싱(16)내부에 분사됨으로서, 다음에 설명하는 회전체(36)의 브러쉬(34)가 호형의 수집판(50)에 걸려진 불순물(140)들이 케이싱(16)의 개구(16a)를 통하여 유입되면 이를 케이싱 배출구(14)를 통하여 불순물 수집조(50)측으로 보내는 것이다.
한편, 도 2,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컨덕터롤축(134)의 회전으로 일체로 회전하는 케이싱(16)에 부착된 수집판(50)은 반호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스크린망으로 설치되어 반복적으로 회전하여 전해액(100)내의 불순물(140)들을 걸러내면, 상기 수집판(50)의 회전에 따라 그 내측으로 상기 롤축(134)에 브라켓트 (32a)로서 케이싱(16)을 통하여 수집판(50)의 단부까지 신장되어 스토퍼(33)가 갖추어진 나사봉(32)을 따라 회전체(36)와 일체로 브러쉬(34)가 회전하면서 상승 및 하강하여 걸러진 불순물(140)들을 케이싱(16)의 개구(16a)측으로 유도한다.
이때, 상기 회전체(36) 내측의 가이드(36b)가 나사봉(32)의 나사홈(32b)에 가이드볼(36a)로서 지지되는 상태로 삽입되어 있어, 상기 나사봉(32)이 수집판(30)과 일체로 회전하면 상기 나사봉(32)에 체결되는 가이드(36b)를 갖춘 상기 회전체 (36)는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그 외주면에 부착된 브러쉬(34)들은 수집판(30)의 표면에 걸러진 불순물들을 케이싱(16)의 내부로 유도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체(36)가 하강하여 그 하부의 누름부(36c)가 누름판(40)을 가압하면, 일체로 패킹봉(38)이 이동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해액 수집봉(10)내의 전해액(100)이 분사관 노즐(22)을 통하여 분사되면서 회전체(36)의 브러쉬(34)로서 수집판(30)상에서 부터 모아진 불순물(140)들은 분사되는 전해액과 섞이면서 커버 (12)와 케이싱(16)사이의 배출구(14)를 통하여 하측 불순물 수집조(50)내로 모이게 된다.
다음,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불순물 수집조(50)내에 수집판(30)에서 걸려진 불순물(140)들이 섞여진 전해액(100)이 유입되면, 상기 컨덕터롤(134)에 설치된 구동캠(52)이 상기 불순물 수집조(50)내에 배치된 펌프(54)의 작동아암 가이드롤 (55)를 누르고, 이때 상기 작동아암(54b)의 하부로 하우징(54a)내에 배치된 피스톤 (54c)은 하우징(54a)의 일측으로 밸브(54e)를 통하여 유입되는 불순물 수집조(50)내의 불순물이 포함된 전해액(100)을 가압하여 하우징 토출밸브(56)를 통하여 상기 전해액 (100)이 불순물 수집조(50) 하측의 스크린망(70)에 분사되도록 하고, 결국 최종적으로 불순물은 상기 스크린망(70)에서 제거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망(70)에 걸러진 불순물(140)의 양이 많으면 이를 진공흡입기등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제거하면 되고, 결국 본 발명의 강판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1)에 의하면 도금셀(110)내의 전해액(100)에 포함된 슬러지 및 이물질등의 불순물(140)들을 자동적으로 항상 제거함으로서 전해액(100)의 청정도가 향상되고, 이는 결국 강판의 도금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도금셀내의 도금용액 슬러지 제거장치에 의하면, 강판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거나 또는 수요가의 요구에 따라 강판의 도금작업을 수행하는 때에, 도금셀내의 전해액에 포함된 슬러지 및 이물질등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온라인상태에서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전해액에 포함된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토록 함으로서, 도금강판의 표면결함이나 도금불량을 미연에 방지시키어 강판의 도금품질을 향상시키고 수요가의 제품 신뢰성을 높이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강판의 전기도금시 컨덕터롤(130)이 배치된 도금셀(110)내의 전해액(100)을 청정시키기 위한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롤(130)의 롤축(134)에 고정된 커버(12)사이에 배출구(14)를 형성토록 제공된 케이싱(16)에 전해액(100)을 수집토록 설치되고 다수의 수집안내구 (18)를 갖추고,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20)에는 노즐(22)을 갖춘 분사관(24)이 연결되는 전해액 수집봉(10); 과,
    상기 케이싱(16)에 전해액 수집봉(10)의 일측으로 수직 설치되고 불순물의 수집을 위하여 반호형으로 형성되고, 내측 중앙에 신장 배치된 나사봉(32)에는 체결되어 회전하면서 수거된 불순물(140)을 케이싱(12)내부로 유도하는 브러쉬(34)가 부착된 회전체(36)가 체결되며, 상기 전해액 수집봉(10)의 배출구(20)를 개폐시키는 패킹봉(38)이 나사봉(32)의 하부측으로 스프링(42)이 지지된 누름판(40)과 연결되는 수집판(30); 과,
    상기 도금셀(110)의 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 배출구(14)가 내측에 위치되며, 내부에는 컨덕터롤축(134)에 고정된 구동캠(52)으로 펌핑되는 펌프(54)가 배치되고, 상기 펌프(54)하측으로 토출밸브(56)가 제공되는 불순물 수집조(50); 및,
    상기 불순물 수집조(50)의 하부에 설치되어 펌핑되는 전해액내의 불순물을 여과하는 스크린망(70);으로 구성된 강판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봉(32)의 하부는 상기 케이싱(16)에 형성된 개구(16a)를 통하여 컨덕터롤축(134)에 브라켓트(32a)로서 견고하게 수직 고정되고, 상기 누름판(40)에 연결되는 상기 패킹봉(38)에는 전해액 수집봉(10)의 하부 배출구 (20)를 지나서 이를 통한 전해액 배출을 차단하는 패킹(38a)이 부착되고,
    상기 회전체(36)의 내부에는 상기 나사봉(32)의 나사홈(32b)에 삽입되고 볼(36a)로 지지되는 가이드(36b)가 내장되어 상기 회전체(36)는 나사봉(32)의 위치에 따라 회전토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체(36)의 하부에는 상기 누름판(40)을 누르는 누름부(36c)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수집조(50)내에 배치된 펌프(54)는, 상기 불순물 수집조(50)내에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54a)과, 그 내부에 상기 구동캠(52)으로 작동토록 배치되는 작동아암(54b)의 하부에 고정되는 피스톤(54b) 및 상기 하우징 (54a)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개구(54c)에 설치된 밸브(54d)를 갖추고,
    상기 구동캠(52)과 펌프(54)는 상기 컨덕터롤축(134)과 불순물 수집조(50)에 각각 복수개가 병렬로 배치되면서 서로 교대로 상기 불순물 수집조의 전해액을 하측의 스크린망(70)으로 펌핑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
KR1020020054751A 2002-09-10 2002-09-10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51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751A KR100951240B1 (ko) 2002-09-10 2002-09-10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751A KR100951240B1 (ko) 2002-09-10 2002-09-10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123A KR20040023123A (ko) 2004-03-18
KR100951240B1 true KR100951240B1 (ko) 2010-04-05

Family

ID=3732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75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51240B1 (ko) 2002-09-10 2002-09-10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2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5494B (zh) * 2020-09-24 2022-03-18 安徽一佳一科技有限公司 一种电镀用电解槽
CN117265622B (zh) * 2023-11-23 2024-01-30 宁波甬禾电子有限公司 一种手动压板模镀银设备
CN118441166A (zh) * 2024-05-30 2024-08-06 江苏德龙镍业有限公司 一种镍合金铸造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0070A (ja) * 1986-12-03 1988-06-11 Nkk Corp 溶融めつき浴中の微小不純物除去装置
KR200167796Y1 (ko) * 1999-08-10 2000-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스트립 도금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198916Y1 (ko) * 1996-03-26 2000-10-02 이구택 도금전처리용액의 부유물 제거장치
KR100832976B1 (ko) * 2002-05-16 2008-05-27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셀내의 도금용액 슬러지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0070A (ja) * 1986-12-03 1988-06-11 Nkk Corp 溶融めつき浴中の微小不純物除去装置
KR200198916Y1 (ko) * 1996-03-26 2000-10-02 이구택 도금전처리용액의 부유물 제거장치
KR200167796Y1 (ko) * 1999-08-10 2000-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스트립 도금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32976B1 (ko) * 2002-05-16 2008-05-27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셀내의 도금용액 슬러지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123A (ko) 200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215692U (zh) 一种自清洗排污过滤器
CN109015093A (zh) 一种车床铁屑快速回收装置
CN112220407B (zh) 污物清洁装置及具有其的清洁器
CN111054140A (zh) 一种石油化工油水分离装置
KR100951240B1 (ko) 도금셀내의 전해액 청정장치
CN115364548A (zh) 一种刨花板工业废水达标排放的过滤装置及其系统
CN212735524U (zh) 一种高强度不锈钢法兰生产用抛光装置
CN117323727A (zh) 一种光学镜片抛光液循环过滤装置
EP0675855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KR101482260B1 (ko) 슬러지 제거 장치를 구비하는 도금욕조
CN217449108U (zh) 一种重金属废水处理装置
CN215901037U (zh) 绿色环保型可交替式清理的乳化液储罐
KR100832976B1 (ko) 도금셀내의 도금용액 슬러지 제거장치
CN222266374U (zh) 一种用于热镀锌的废液处理装置
CN214160718U (zh) 一种全自动设备清洗机用清洗处理池
CN117798209B (zh) 水箱拉丝机全周向喷淋式水箱结构
CN219964329U (zh) 一种用于脱硫渣带罐打水废气处理装置
CN219747574U (zh) 一种抛光机碎屑过滤收集装置
CN221579892U (zh) 一种金属表面处理剂过滤装置
CN219929731U (zh) 一种适用于石油化工的电化学反应器
CN213433195U (zh) 一种润滑油废料中杂质用过滤除杂设备
CN218248842U (zh) 一种电泳废液净化装置
CN212418317U (zh) 一种钢结构生产用铁屑清理机构
CN221253963U (zh) 一种金属氧化线废水回收装置
CN219595963U (zh) 一种造纸废水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9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09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