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073B1 - Flexible cable connector - Google Patents
Flexible cable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51073B1 KR100951073B1 KR1020070027949A KR20070027949A KR100951073B1 KR 100951073 B1 KR100951073 B1 KR 100951073B1 KR 1020070027949 A KR1020070027949 A KR 1020070027949A KR 20070027949 A KR20070027949 A KR 20070027949A KR 100951073 B1 KR100951073 B1 KR 1009510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exible cable
- housing
- terminal
- support means
- actu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플렉시블 케이블이 안착 고정되는 안착슬롯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터미널 삽입부가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 상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서 하우징 내로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삽입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을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액츄에이터로 구성된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접지단자에 접촉되는 제 1지지수단(91)이 양측면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플렉시블 케이블(100)의 단자에 접촉되어 접지를 수행하는 제 2지지수단(92)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슬롯(22)의 상부에 결합되는 접지커버(9)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접지 커버에 의해 커넥터를 인쇄 회로기판상에 보다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고, 접지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플렉시블 케이블의 결속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cable connector, the seating slot is formed is fixed to the flexible cable, the terminal end is formed in the rear end of the housing is fix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rear of the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fixed In a flexible cable connect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n actuator for fixing a flexible cable inserted into the front of the housing to the housing, first supporting means 91 contacting the ground terminal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re formed on both sides. The second support means 92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lexible cable 100 to contact the terminal to perform grounding, and includes a ground cover 9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slot 22. The grounding cover allows the connector to be more firmly attach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increasing grounding performance It can be mad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inding state of the flexible cable can be secured.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 터미널, 접지, 커버 Flexible cable, connector, terminal, ground, cover
Description
도 1은 종래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의 일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flexible cable connector.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에 대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도 5는 도 3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FIG. 3.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사용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examples of use of FIG. 3.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에 대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8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FIG. 7.
도 9는 도 7의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7.
도 10은 도 7에서 접지커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FIG. 10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ground cover in FIG. 7.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하우징2: housing
4 : 터미널4: terminal
6 : 액츄에이터6: Actuator
8 : 고정구8: Fixture
9 : 접지커버9: grounding cover
22 : 안착슬롯22: seating slot
24 : 터미널 삽입부24: terminal insertion unit
26 : 터미널 끼움부26: terminal fitting
42 : 상부측 리브42: upper side rib
44 : 하부측 리브44: bottom side rib
62 : 회전축62: rotation axis
91 : 제 1지지수단91: first supporting means
92 : 제 2지지수단92: second supporting means
95: : 제 3지지수단95:: third support means
본 발명은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PCB)과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보강할 수 있고 접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cable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exible cable connector capable of firmly reinforcing the bonding state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improving the grounding performance.
일반적으로, 플렉시블 케이블은 FFC타입(Flexible Flat Cable)과 FPC타입(Flexible Printed Circuit)로 구분 되어지는 비교적 얇은 필름형의 케이블이다.In general, the flexible cable is a relatively thin film type cable that is divided into FFC type (Flexible Flat Cable) and FPC type (Flexible Printed Circuit).
또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을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가 장착되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lexible cable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이하, 이러한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에 대한 하나의 예를 도 1을 참조하여 간략시 기술하도록 한다.Hereinafter, one example of such a flexible cable connector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고정되며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후방에서 하우징(10) 내로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터미널(20)과, 하우징(10)의 전방으로 삽입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을 하우징(10)에 고정시키는 액츄에이터(30), 및 액츄에이터(30)를 터미널(20)의 피벗홈(20a)에 삽입하기 위해 상승시키는 피팅네일(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a
이때, 하우징(10)의 전단부에는 FPC/FFC가 안착 고정되는 안착슬롯(11)이 형성되고, 하우징(10)의 후단부 내에는 터미널(20)이 삽입 고정되는 터미널 삽입부(12)가 형성되며, 하우징(10)의 양측에는 고정암(13)이 각각 형성되고, 고정암(13)의 내측에는 액츄에이터(30)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홈(13a)이 형성된다.In this case, a
그리고, 액츄에이터(30)의 후단부 양측에는 상기 고정홈(13a)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돌기(31)가 돌출되며, 액츄에이터(30)의 전단부 양측에는 액츄에이터(30)를 폐쇄 위치에 위치시킬 때 하우징(10)의 전면부 양측에 걸려 액츄에이터(30)가 회전되지 않도록 록킹하는 록킹돌부(32)가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xing protrusions 31 rotatably fixed to the fixing grooves 13a protrude from both rear ends of the
한편, 액츄에이터(30)의 후단부에는 터미널(20)의 피벗홈(20a)에 삽입되어 액츄에이터(3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33)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end of the
전술한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는, 액츄에이터(30)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그 후단부를 고정암(13)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돌기(31)가 하우징(10)의 고정 홈(13a)에 각각 삽입되도록 한 다음, 다수의 터미널(20)을 터미널 삽입부(12)에 각각 삽입하고, 피팅네일(40)을 하우징(10)의 양측에 각각 삽입하여 액츄에이터(30)의 회전축(33)을 터미널(20)의 피벗홈(20a)에 삽입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The above-mentioned flexible cable connector inserts the rear end portion between the fixed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커넥터 상에 플렉시블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액츄에이터(30)를 회전시켜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고, 플렉시블 케이블의 단부를 하우징(10)의 안착슬롯(11)에 안착시킨 후, 마지막으로 액츄에이터(30)를 회전시켜 폐쇄 위치에 위치시킨다.In order to connect the flexible cable on the assembled connector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는, 접지를 위해 접지용 터미널이 구비되고, 접지용 터미널은 인쇄회로기판에 솔더링되어 고정되는데, 플렉시블 케이블의 단부를 하우징에 접속시켰을때 그 단부가 파손되거나 변형되어 접지가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flexible cable connec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grounding terminal for grounding, and the grounding terminal is soldered and fix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When the end of the flexible cable is connected to the hous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round is not made correctly due to damage or deformation.
또한, 종래의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는, 납땜에 의해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는 조립구조를 갖기 때문에 커넥터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조립강도가 매우 낮아 주변의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를 피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 상에 별도의 구조를 더하는 경우 조립구조와 조립작업 자체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flexible cable connector has an assembly structur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by soldering, the assembly strength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very low, and may be damaged by surrounding vibration or external force. In order to avoid this, when adding a separate structure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assembly structure and the assembly work itself is complicated.
또한, 종래의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는, 액츄에이터가 폐쇄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그 전단부 양측에 돌출된 록킹돌부에 의해서만 록킹되도록 이루어지므로, 고정력이 약하여 FPC/FFC를 터미널에 접속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의 전단부를 위로 조금만 잡아당기거나 하우징에 충격을 주게 되면 액츄에이터의 록킹상태가 쉽게 해 제될 우려가 있으며, 결국 플렉시블 케이블을 고정해주는 고정력이 약화하여 접속력이 약해지거나 완전 해제될 염려가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flexible cable connector is configured to be locked only by the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actuator while the actuator is placed in the closed position,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actuator has a weak fixing force and the FPC / FFC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If you pull up the part a little or give a shock to the hou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actuator may be easily released. In the end, the fixing force to fix the flexible cable may be weakened and the connection force may be weakened or released completely.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우징의 안착슬롯에 접지 커버를 장착함으로써, 접지성능을 강화시킬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에 실장시 조립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접속된 플렉시블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mounting a ground cover in the seating slot of the housing,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grounding performance and to increase the assembly strength when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exible cable connector which can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flexible cable so that the performance can be improv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안착슬롯과, 터미널이 설치되는 터미널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인쇄회로기판 상에 고정되는 하우징;A seating slot into which the flexible cable is inserted and a terminal inserting portion into which the terminal is installed, the housing being fix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하우징의 터미널 삽입부에 끼워지는 다수개의 터미널;A plurality of terminals inserted into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of the housing;
상기 안착슬롯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접지단자에 접촉하기 위해 양측면에 형성된 제 1지지수단과, 플렉시블 케이블의 단자에 접촉되어 접지를 수행하기 위해 상부에 형성된 제 2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접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supporting means formed on both sides to contact a ground terminal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second supporting mean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lexible slot to contact the terminal of the flexible c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round cover comprising a.
여기서, 상기 제 1지지수단은 접지커버의 양단부 일부를 아래쪽으로 절곡시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rst support means is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both ends of the ground cover downward.
그리고, 상기 접지커버는 상기 제 1지지수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밀착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ground cover is preferably the first support mean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그러나, 상기 접지커버의 제 1지지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형성된 홈에 밀착되게 끼워지도록 해도 된다.However, the first supporting means of the ground cover may be fit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formed at the tip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제 2지지수단은 접지커버의 평판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되, 아래쪽으로 "L"자 형상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means is formed by cutting the flat plate of the ground co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in the "L" shape downward.
더욱이, 상기 제 2지지수단은 2가닥 이상 나란히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second supporting means is preferably formed in two or more side by side.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단부를 가압하는 액츄에이터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ctuator for pressing the end of the flexible cable is rotatably coupled.
또한, 상기 안착슬롯은 전면에 형성되어 있고, 터미널 삽입부는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ating slot is formed on the front,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rear.
한편, 상기 접지커버의 상부 전단(前端)에는 아래쪽으로 절곡되는 제 3지지수단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third support means that is bent downward in the upper front end of the ground cover may be formed.
이 경우, 상기 제 3지지수단은 2단 곡형으로 연속적으로 굽혀져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third supporting means is preferably formed by continuously bending in a two-stage curved shap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서 케이블(100)이 끼워지는 쪽을 앞쪽, 그 반대쪽을 뒤쪽으로 각각 정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ide in which the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A)는,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안착슬롯(22)이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슬롯(22)의 후방에는 터미널 삽입부(24)가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 고정되는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의 후방에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 삽입부(24)에 끼워지는 다수개의 터미널(4)과, 플렉시블 케이블(100)의 단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액츄에이터(6)와, 상기 액츄에이터(6)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우징(2)에 설치된 된 고정구(8)와, 상기 하우징(2)의 안착슬롯(22)에 결합되어 인쇄회로기판에 접촉되며, 플렉시블 케이블(100)의 단자에 접촉되는 접지커버(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and 4, in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Looking more closely,
하우징(2)은 합성수지재를 성형하여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며, 전면에는 플렉시블 케이블(100)이 삽입되는 안착슬롯(22)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슬롯(22)의 후측 에는 후술될 터미널(4)의 상부측 리브(42)가 끼워지도록 다수개의 홈(240)으로 이루어진 터미널 삽입부(24)가 형성된다.The
안착슬롯(22)은 플렉시블 케이블(10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2)의 전면에 요입 형성되며, 그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된다. The
플렉시블 케이블(100)은 다수개의 도선을 연속 배열한 후 합성수지에 멜팅시켜 판상으로 성형함으로써 굴신이 용이하도록 한 것으로, 도선들의 단부는 일정 구간의 피복이 제거되어 전기적인 접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The
터미널 삽입부(24)의 후측으로는 전술한 홈(240)과 일치되며 후술될 터미널(4)의 하부측 리브(44)가 삽입되는 장홈(264)으로 이루어진 터미널 끼움부(26)가 형성된다.On the rear side of the
터미널 끼움부(26)는 액츄에이터(6)가 결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양측벽에는 액츄에이터(6)의 회전축(62)이 삽입되는 피벗홈(262)이 형성되고, 상기 피벗홈(262)에 통하는 직선형태의 절개홈(266)이 양측벽의 상면에 형성된다.The terminal
터미널(4)은 상부측 리브(42)와 하부측 리브(44)가 형성된 대략 "⊃" 형상으로 된 전도성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부측 리브(42)의 길이는 하부측 리브(44)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부측 리브(42)가 터미널 삽입부(24)의 홈(240)에 끼워지고, 하부측 리브(44)가 터미널 끼움부(26)의 장홈(264)에 삽입되어 결합된다.The
액츄에이터(6)는 터미널 끼움부(26)에 결합되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외부 양측에는 상기 피벗홈(262)에 삽입되는 회전축(62)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플렉 시블 케이블(100)의 단자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장홈(264)과 동일 직선상에 놓이도록 다수개의 슬릿(64)이 형성된다.
고정구(8)는 상기 터미널 끼움부(26)의 절개홈(266)에 끼워져 그 선단이 피벗홈(262)의 상부에 위치됨으로써, 피벗홈(262)에 삽입된 액츄에이터(6)의 회전축(62)을 지지하게 되어 액츄에이터(6)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형상은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편재이다.The
접지커버(9)는 상기 하우징(2)의 안착슬롯(22)에 결합되어 인쇄회로기판에 접촉되며, 플렉시블 케이블(100)의 단자 상부에 접촉되는 전도성 금속판재로써, 평판부(9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접지단자(미도시)에 접촉하기 위해 상기 평판부(9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제 1지지수단(91)과, 상기 평판부(90)의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플렉시블 케이블(100)의 단자 상부를 지지하여 접지되도록 하는 제 2지지수단(92)으로 이루어진다.The
즉, 접지커버(9)는 장방형의 전도성 금속판재의 양단부를 아래쪽으로 절곡시켜 탄성을 갖는 제 1지지수단(91)을 형성하고, 평판부(90)를 펀칭시켜 형성된 제 2지지수단(92)을 아래쪽으로 "L"자 형상으로 절곡시켜 탄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도면에서, 상기 제 2지지수단(92)은 2가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figure, the second supporting means 92 is formed of two strands, but may be formed of one or three or more.
따라서, 상기 제 1지지수단(91)은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접지단자에 접촉되고, 제 2지지수단(92)은 플렉시블 케이블(100)의 단부에 접촉된다.Therefore, the first support means 91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erminal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second support means 92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100)의 피복이 제거된 단부는 그 선단이 터미널(4)에 접촉되고, 그 중간부는 전술한 제 2지지수단(92)에 접촉됨으로써 전기적으로 통할 수 있게 된다. The ends of the sheath of the
또한, 접지커버(9)는 탄성을 갖는 제 1지지수단(91)이 하우징(2)의 외측면에 탄력적으로 끼워진다. In addition, the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의 결합된 상태에 대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ed state of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의 안착슬롯(22) 상부에 접지커버(9)를 끼워 결합시킨다.As shown in FIG. 5, the
구체적으로, 접지커버(9)를 안착슬롯(22)의 상부에 결합시키되, 제 1지지수단(91)을 하우징(2)의 양측면에 밀착시켜서 끼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접지커버(9)와 하우징(2)의 결합이 매우 견고해지며, 커넥터를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할 때 제 1지지수단(91)의 하단이 인쇄회로기판에 마련된 접지단자에 근접 또는 접촉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이후, 하우징(2)의 터미널 끼움부(26) 및 터미널 삽입부(24)에 다수개의 터미널(4)을 끼워 삽입하고, 터미널 끼움부(26)에 마련된 피벗홈(262)에 회전축(62)을 삽입시켜 액츄에이터(6)를 결합한다.Thereafter, a plurality of
이후, 액츄에이터(6)의 회전축(62)을 지지하도록 하우징(2)의 터미널 끼움부(26) 양측에 형성된 절개홈(266)에 고정구(8)를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A)의 조립이 완료된다. Then,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upling the fastener (8) to the cutting groove (266) formed on both sides of the
첨부된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의 사용예 를 나타낸 단면도이다.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examples of use of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6)를 상방으로 회전시켜 삽입공간을 확보한 후 플렉시블 케이블(100)의 단부를 하우징(2)의 안착슬롯(22)으로 삽입하면, 그 선단이 슬릿(64)을 통과하여 터미널(4)의 하부측 리브(44)와 접촉될때까지 삽입된다.As shown in FIG. 6A, when the
이렇게 플렉시블 케이블(100)을 삽입하면, 접지커버(9)의 제 2지지수단(92)이 플렉시블 케이블(100)의 단부와 접촉됨으로써 접지될 수 있다.When the
이후,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6)를 아래쪽으로 회전시키면 플렉시블 케이블(100)의 단부가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6B, when the
한편, 도 7 내지 도 10에는 접지커버를 전술한 실시예와 다소 다르게 구성한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가 도시되어 있다. 전체적인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Meanwhile, FIGS. 7 to 10 show flexible cable connectors in which the ground cover is configured somewhat differently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the overall structure is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ame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커버(9)의 상부 전단(前端)에는 아래쪽으로 절곡되는 제 3지지수단(95)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the upper end of the ground cover (9) is formed with a third support means (95) bent downward.
도면에서는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6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그 갯수에 있어서 크게 한정할 필요는 없다.In the figure, although six piece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the number does not need to be largely limited.
또한, 상기 제 3지지수단(95)은 2단 곡형으로 굽혀져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초기에 안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hird support means 95 is formed to be bent in a two-stage curved shape, the third support means 95 may be easily guided at the initial stage when the cable is inserted.
상기 제3 지지수단(95)은 제2 지지수단(92)과 마찬가지로 접지를 위한 것으로 접지기능이 보다 확실히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The third supporting means 95 is for grounding like the second supporting means 92 and has an effect of making the grounding function more reliably.
본 실시예에 따른 접지커버(9)에서는, 제3 지지수단(9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지지수단(92)은 2개만이 형성된 것으로도 충분하다. 그러나, 그 갯수에 있어서 크게 한정할 필요는 없다.In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지커버(9)의 제 1지지수단(91)이 하우징(2)의 선단에 형성된 홈(28)에 밀착되게 끼워져 있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우징(2)의 외측면에 밀착되어도 상관없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upporting means 91 of the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접지 커버에 의해 커넥터를 인쇄회로기판상에 보다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고, 접지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플렉시블 케이블의 결속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으므로, 플렉시블 케이블의 접속성능을 한층 높게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can be more firmly attach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grounding performance can be increased, and the bonding state of the flexible cable can be strengthened by the ground cover. The connection performance of the cable can be maintained even higher.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7949A KR100951073B1 (en) | 2007-03-22 | 2007-03-22 | Flexible cable connector |
JP2008069221A JP4713604B2 (en) | 2007-03-22 | 2008-03-18 | Flexible cable connector |
TW097110094A TW200845497A (en) | 2007-03-22 | 2008-03-21 | Flexible cable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7949A KR100951073B1 (en) | 2007-03-22 | 2007-03-22 | Flexible cable conn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6163A KR20080086163A (en) | 2008-09-25 |
KR100951073B1 true KR100951073B1 (en) | 2010-04-05 |
Family
ID=3990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79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951073B1 (en) | 2007-03-22 | 2007-03-22 | Flexible cable connecto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4713604B2 (en) |
KR (1) | KR100951073B1 (en) |
TW (1) | TW200845497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63317B2 (en) * | 2009-03-30 | 2012-01-25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
JP4908606B2 (en) * | 2010-03-18 | 2012-04-04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connector |
JP5478556B2 (en) * | 2011-05-27 | 2014-04-23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Electrical connector |
JP5826568B2 (en) * | 2011-09-02 | 2015-12-02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connector |
JP2016076459A (en) * | 2014-10-09 | 2016-05-12 | 第一精工株式会社 | Connector device |
CN109494502B (en) * | 2018-11-23 | 2024-04-23 |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 Flexible cable connector and electronic equipment |
CN111641062B (en) * | 2020-06-05 | 2025-05-09 | 深圳市迈斯康电子科技有限公司 | Electronic connectors and circuit component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50390A (en) * | 2004-08-27 | 2006-05-19 |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 Electrical connectors for flat cables and shield members used for them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72774A (en) * | 2003-03-11 | 2003-09-26 | Yamaichi Electronics Co Ltd | FPC cable connector |
CN100461533C (en) * | 2004-01-07 | 2009-02-11 | 第一电子工业株式会社 | electrical connector |
JP4568561B2 (en) * | 2004-09-01 | 2010-10-27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connector |
-
2007
- 2007-03-22 KR KR1020070027949A patent/KR10095107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
- 2008-03-18 JP JP2008069221A patent/JP471360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3-21 TW TW097110094A patent/TW200845497A/en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50390A (en) * | 2004-08-27 | 2006-05-19 |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 Electrical connectors for flat cables and shield members used for th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0845497A (en) | 2008-11-16 |
JP4713604B2 (en) | 2011-06-29 |
KR20080086163A (en) | 2008-09-25 |
JP2008235272A (en) | 2008-10-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1073B1 (en) | Flexible cable connector | |
US7303429B2 (en) |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 |
EP1949503B1 (en) | Circuit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 |
JP3124245U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FPC | |
EP1235304B1 (en) | Connector for flat circuit member | |
US6135816A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construction for fixing shield plates to a receptacle connector | |
JP2012151021A (en) | Connector | |
US20070155227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3396183B2 (en) | Connector with ground pin for PCB | |
JP2007128876A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0897014B1 (en) | Electric connector | |
JP2009530770A (en) | Receptacle connector assembly | |
KR100490250B1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flexible flat cable | |
US7241167B2 (en) | Connector | |
US6854995B2 (en) | Connector for detachably connect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foil to a contact | |
JP4637137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3122093U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FPC | |
US7144270B2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a flexible printed board | |
US7581974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aining member | |
JP4521351B2 (en) | Board connector | |
JP4558562B2 (en) | connector | |
JP5826482B2 (en) | connector | |
JP4225236B2 (en) | Connector for wire connection | |
WO2008004756A1 (en) | An fpc/ffc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 |
KR20080105659A (en) | Flexible cable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8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4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08101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91224 Appeal identifier: 2008101010800 Request date: 20081017 |
|
AMND | Amendment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111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017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5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PE0801 | Dismissal of amendment |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81202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1117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508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PB0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017 Effective date: 20091224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91228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81017 Decision date: 20091224 Appeal identifier: 2008101010800 |
|
PS0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PS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121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9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