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50584B1 - 전지 일체형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 Google Patents

전지 일체형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584B1
KR100950584B1 KR1020080032331A KR20080032331A KR100950584B1 KR 100950584 B1 KR100950584 B1 KR 100950584B1 KR 1020080032331 A KR1020080032331 A KR 1020080032331A KR 20080032331 A KR20080032331 A KR 20080032331A KR 100950584 B1 KR100950584 B1 KR 100950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ly conductive
conductive layer
electrode layer
contac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6926A (ko
Inventor
김남인
정명우
임승규
김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로케트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로케트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로케트전기
Priority to KR1020080032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584B1/ko
Priority to EP09731355.5A priority patent/EP2266659B1/en
Priority to JP2011502870A priority patent/JP5540437B2/ja
Priority to PCT/KR2009/001780 priority patent/WO2009125960A2/ko
Priority to US12/936,633 priority patent/US9072883B2/en
Priority to ES09731355.5T priority patent/ES2576680T3/es
Publication of KR20090106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32Anode and cathode
    • A61N1/0436Material of the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30Apparatu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or catapho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32Anode and cathode
    • A61N1/044Shape of the electro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Prim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토포레시스 패치와 전지를 일체화하여 제조 생산성이 향상되고, 피부와의 접촉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어 높은 효율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이온토포레시스 패치의 관심물질이 전극 반응에 참여하여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 화학적 내성이 약한 관심 물질도 적용할 수 있는 전지 일체형 이온토포레시스 패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형상이 가변될 수 있는 서브스트레이트(Substrate),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와 접촉하는 제1 전기 전도층, 상기 제1 전기 전도층의 일부와 접촉하는 제1 전극층,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와 접촉하고 제1 전기 전도층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제2 전기 전도층, 상기 제2 전기 전도층과 접촉하는 집전체, 상기 제2 전기 전도층과 집전체에 접촉하는 전기 전도성 접착제, 상기 집전체와 접촉하고 상기 제1 전극층과 반대 극성인 제2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 사이에 위치하는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및 상기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을 밀봉하는 접착제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전지 일체형 이온토포레시스 패치{Patch with Battery for Iontophoresis}
본 발명은 약물이나 미용 물질 등 관심 물질을 피부로 침투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온토포레시스 원리를 이용하는 패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는 피부에 미세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하를 가진 관심 물질을 전기적 반발력에 의해 피부 속으로 침투하게 하는 기술을 말한다. 관심 물질을 탑재한 패치를 피부에 부착하면 회로가 형성되어 전류가 발생하고 전기적 반발력에 의해 관심 물질이 피부 속으로 침투한다. 관심 물질의 침투속도는 흐르는 전류 양과 전압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패치는 박형 전지와 전기 전도성 전극이 부착된 패치가 서로 독립 상태로 제작된 후 전기 전도성 전극과 박형 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조립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전류가 흐를 때 저항이 커지고, 조립 절차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낮아 제조원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2007년 제99132호 "이온토포레시스용 패치"에서는 패치 내의 전도층에 전극 물질을 직접 도포함으로서 패치와 전지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패치의 전도층이 전지의 전극 역할을 하고 피부와의 접촉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이온 전도성 하이드로 젤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관심 물질이 직접 전지의 전극과 접촉하여 전기화학적 내성이 약한 관심물질은 반응에 관여하여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이온토포레시스 패치와 전지를 일체화 하여 제조 생산성을 향상하고, 전류 저항을 최소화하여 높은 효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이온토포레시스 패치의 관심물질이 전극 반응에 참여하여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 화학적 내성이 약한 관심 물질도 적용할 수 있는 이온토포레시스 패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형상이 가변될 수 있는 서브스트레이트(Substrate)(110,210); 상기 서브스트레이트(110)와 접촉하는 제1 전기 전도층(120); 상기 제1 전기 전도층(120)의 일부와 접촉하는 제1 전극층(130); 상기 서브스트레이트(110)와 접촉하고 제1 전기 전도층(120)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제 2 전기 전도층(220); 상기 제2 전기 전도층(220)과 접촉하는 집전체(240); 상기 제2 전기 전도층(220)과 집전체(240)에 접촉하는 전기 전도성 접착제(250); 상기 집전체(240)와 접촉하고 상기 제1 전극층(130)과 반대 극성인 제2 전극층(230); 상기 제1 전극층(130)과 제2 전극층(230) 사이에 위치하는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300); 및 상기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300)을 밀봉하는 접착제(260)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지 일체형 이온토포레시스 패치는 제1 전기 전도층, 제1 전극층, 제2 전기 전도층, 제2 전극층 및 고분자 전해질로 구성하고 전극 가장자리를 밀봉하여 전극물질과 전해액을 패치의 전기 전도층과 격리함에 따라 관심물질이 전극 반응에 참여하여 파괴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전기 화학적 내성이 약한 관심 물질도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패치의 효율을 높이고 제조 생산성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형상이 가변될 수 있는 서브스트레이트(Substrate)(110,210), 상기 서브스트레이트(110)와 접촉하는 제1 전기 전도층(120), 상기 제1 전기 전도층(120)의 일부와 접촉하는 제1 전극층(130), 상기 서브스트레이트(110) 접촉하고 제1 전기 전도층(120)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제2 전기 전도층(220), 상기 제2 전기 전도층(220)과 접촉하는 집전체(240), 상기 제2 전기 전도층(220)과 집전체(240)에 접촉하는 전기 전도성 접착제(250), 상기 집전체(240)와 접촉하고 상기 제1 전극층(130)과 반대 극성인 제2 전극층(230), 상기 제1 전극층(130)과 제2 전극층(230) 사이에 위치하는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300); 및 상기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300)을 밀봉하는 접착제(260)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편의상 제1 전극부(100)와 제2 전극부(200)로 나누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로 나누어지는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전극부(100)는 서브스트레이트(110), 제1 전기 전도층(120), 상기 전기 전도층 위에 제1 전극층(130), 제1 전기 전도층(120)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고 전기 전도성을 갖는 제2 전기 전도층(220), 상기 제2 전기 전도층(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전극층(130)과 마주하는 제2 전극층(230)이 구성되고, 상기 제1 전극층(130)과 제2 전극층(230) 사이에는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300)이 배치된다.
서브스트레이트(110) 상에 카본 분말의 카본 잉크, 은 분말의 은 잉크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전도성 물질로 코팅하여 제1 전기 전도층(120)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전기 전도층(120)의 일부에는 전기를 발생시키는 물질, 도전제 및 바인더로 이루어진 슬러리를 도포한 후 제1 전극층(130)을 구성하여 양극으로 작동하게 한다.
전기를 발생시키는 물질로는 이산화망간 분말과 도전제로는 카본 분말이 바람직하다. 바인더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기 전도층(220)은 제1 전기 전도층(120)과 동일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카본 분말의 카본 잉크, 은 분말의 은 잉크, 니켈 분말의 니켈 잉크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전도성 물질로 코팅하여 제1 전기 전도층(120)과 전기적으로 상호 분리되도록 설계한다.
제2 전극부(200)는 서브스트레이트(210) 위에 카본 분말의 카본 잉크를 도포하여 집전체(240)를 구성한다.
제2 전극층(230)은 집전체(240)와 접촉하며 전기를 발생시키는 물질과 도전제, 그리고 바인더로 이루어진 슬러리를 추가 도포하여 구성하여 음극으로 작동하 게 한다.
전기를 발생시키는 물질로는 아연 분말과 도전제는 카본 분말이 바람직하다. 바인더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접착제(250)는 집전체(240)와 제2 전기 전도층(22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카본 분말과 금속 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함유한다. 특히 양극으로 동작하는 제1 전극층(130)과 음극으로 동작하는 제2 전극층(230)인 경우에는 각각 이산화망간 분말과 아연 분말 상태로 사용하여 높은 전류 밀도와 제조 공정상 편리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제1 전극층(130)과 제2 전극층(230) 사이에는 이온이 흐를 수 있는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300)이 배치된다. 고분자 전해질(300)은 염화아연, 염화암모늄, 염화나트륨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을 녹인 수용액에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 pyrrolidon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을 녹여 젤 형태로 제조한 다음, 부직포나 크라프트지(kraft paper)에 적셔서 사용된다.
고분자 전해질(300)의 가장자리에는 전해질의 증발을 막고 제2 전극부(200)를 패치에 부착하기 위해 도입되는 접착제(260)는 제2 전극부(200)와 동일한 모형으로 제작 될 수 있으며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300)과 전기 전도성 접착 제(250)가 위치할 부분은 오려내어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한다. 접착제(260)는 다른 실시예로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제2 전극층(230)의 집전체(240)와 제2 전기 전도층(220) 사이에 전기 전도성 접착제(250)을 도입하여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한다.
제1 전기 전도층(120)의 일부에 도포될 전극 물질은 제1 전기 전도층(120)에 탑재할 관심물질의 전하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 인체에 투여할 관심 물질이 음전하를 띨 경우 음극 물질을 도포하게 되고 양전하를 띤 물질이라면 양극 물질을 도포하여 전기적 반발력을 일으키도록 설계한다.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전극층(130)이 양극으로 동작하고, 제2 전극층(230)이 음극으로 동작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동작 원리는 전지 반응의 결과로 나오는 전자 흐름(전류)을 이용한 전기적 반발력으로 극성을 가진 관심물질을 피부 속으로 침투시키는 것이다.
이온토포레시스 패치의 제1 전기 전도층(120)에 직접 도포된 제1 전극층(130)과 제2 전기 전도층(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극층(230) 사이에 전해액이 존재하게 되고 접착제(260)로 전지와 패치 전도층을 격리하는 구조인 것이다.
관심 물질을 제1 전기 전도층(120) 위에 탑재하여 이온토포레시스 패치를 피부에 부착하면 회로가 형성되어 관심물질이 피부로 침투한다. 회로가 구성될 때 음극에서 나온 전자는 집전체(240)와 전기 전도성 접착제(250)를 경유하여 제2 전기 전도층(220) 표면에서 전하이동(charge transfer) 과정을 거친 후, 음 이온 형태로 제1 전기 전도층(120)을 향해 피부 속으로 이동하게 된다. 피부 속을 이동하는 음 이온은 피부와 제1 전기 전도층(120) 계면에서 전하이동단계를 거쳐 전자 형태로 양극으로 이동하여 환원반응에 참여하게 되며 동일한 원리로 양 이온은 음 이온과 반대방향으로 피부 속을 이동하게 되며 이때 동일한 극성을 가진 관심물질을 피부속으로 움직이게 한다. 이때 전자와 등가의 이온들이 접착제(260)로 격리된 고분자 전해질(300)을 매개로 하여 양극과 음극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전기 전도층(120) 위에 바로 전극을 도포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발생되는 저항 증가를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심 물질과 전극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 화학적 내성이 취약한 관심물질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패치와 전지를 동일한 공정상에서 제조 하는 것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온토포레시스 패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1 전기 전도층(120), 제1 전극층(130)을 포함하여 구성된 제1 전극부(100)와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300)로 구성된 이온토포레시스 패치에 제2 전극층(230), 집전체(240)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2 전극부(200)를 접착제(260)인 양면 테이프로 밀봉하였다..
도 2a는 서브스트레이트(110)에 제1 전기 전도층(120)과 제2 전기 전도 층(220)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서브스트레이트(110,210)는 10~50㎛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나 폴리아크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필름이 바람직하고, 이를 부직포에 붙여 패치를 제작할 수 도 있다.
제1 전기 전도층(120)과 제2 전기 전도층(220)은 카본 분말의 카본 잉크, 은 분말의 은 잉크 등 금속 분말 또는 카본 성분과 고분자로 이루어진 슬러리를 사용하여 실크 인쇄, 오프셋 인쇄, 물질 증발 그리고 슬러리 코팅 기술 등을 적용한다.
상기 서브스트레이트(110) 위에 카본 잉크를 인쇄한 후 건조하여 두께 약 15㎛ 정도의 전기 전도층을 제조한다. 이때 제1 전기 전도층(120)과 제2 전기 전도층(220)의 구성물이 동일할 경우 동시에 제조 할 수도 있다.
도 2a와 도 2b는 제1 전기 전도층(120)에서 제2 전기 전도층(220)으로 둘러 쌓인 원형 부분에 양극 복합 물질을 코팅하고 건조하여 제1 전극층(130)을 구성한 제1 전극부(100)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양극 복합 물질은 이산화망간 분말, 카본 분말 및 바인더로 이루어진다.
전기를 발생하는 양극 활물질은 여러 가지 물질이 검토되었지만 전기용량과 전압, 그리고 전기화학적 특성 및 제품의 유통환경 등을 고려할 때 이산화망간이 바람직하다.
양극 복합 물질에 적용된 바인더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2-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2-hydroxyethyl cellulose), 폴리메틸메타 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이루어진다.
전극 제조 시 단일 바인더보다는 두 종류 이상의 바인더를 함께 혼합하는 다 성분 바인더 시스템이 전기적 효율, 기계적 강도, 전도성 전극과의 접착력 측면에서 유리하다. 특히 전극 바인더로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의 조합은 전극의 내구성과 제조 공정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도 2c는 제조된 제1 전극층(130) 위에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300)을 위치시켜 놓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300)은 이온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해 전해질을 녹인 수용액에 고분자를 혼합하여 젤 형태로 제작된다.
고분자 젤은 일반적으로 친수성 젤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로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 pyrrolidone), 폴리비닐알코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전해질은 염화아연, 염화암모늄, 염화나트륨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함유한 것이 바람직하다.
젤 상태의 고분자 전해질(300)은 자체에 기계적 강도가 취약할 수 있어 부직포나 크라프트지에 적신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도 3a와 도 3b는 서브스트레이트(210) 위에 카본 잉크를 도포한 집전체(240)와 위에 제2 전극층(230)인 음극 복합 물질을 도포한 제2 전극부(200)를 나타낸 그 림이다.
집전체(240)는 발생된 전류를 제2 전기 전도층(2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집전체(240)의 중앙 부위는 원형으로 유지한 다음 제2 전극층(230)인 음극 복합 물질을 스크린 인쇄 기술로 도포 한다.
음극 복합 물질은 아연 분말, 카본분말 및 바인더로 구성된다. 전기를 발생시키는 음극 활물질로는 여러 가지 물질이 검토되었지만 전기용량과 전압, 전기화학적 특성 및 제조 공정성 등을 고려하여 분말 형태의 아연이 바람직하다.
음극 복합 물질의 바인더는 양극의 바인더와 유사한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이루어진 고분자로 구성되고, 특히 음극 바인더로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그리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의 조합은 전기적 효율과 제조 공정성, 그리고 전도성 전극 층과의 결착력 면에서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양극 층과 음극 층의 두께는 전기적 용량 등을 고려하여 정하여지고 일반적으로 80~100㎛ 정도의 두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c와 도 3d 는 제2 전극층(230)인 음극 부분을 나타낸 것으로 제1 전극층(130)과 제2 전극층(230) 사이에 위치한 고분자 전해질(300)의 보존을 위해서 제2 전극층(230)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양면 테이프(260)를 접착한다. 양면 테이 프(260)에서 제2 전극층(230)과 집전체(240) 부분을 오려 낸 후, 제2 전극층(230)은 고분자 전해질(300)을 사이에 두고 제1 전극층(130)과 맞닿게 하고 집전체(240) 부위에 전기 전도성 접착제(250)를 도포하여 제2전도층 몸체를 패치 본체에 부착하는 것으로 제2 전기 전도층(220)과 접하도록 한다. 전기 전도성 접착제(250)는 카본 분말과 금속 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이온토포레시스 패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a는 제1 전기 전도층과 제2 전기 전도층을 나타낸 평면도
도 2b는 제1 전기 전도층 위에 도포된 제1 전극층을 나타낸 제1 전극부의 평면도.
도 2c는 제1 전극층 위에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을 나타낸 평면도.
도 3a는 집전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3b는 집전체 위에 도포된 제2 전극층을 나타낸 제2 전극부의 평면도.
도 3c와 도 3d는 제2 전극층에 접착제와 전기 전도성 접착제가 배치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10 : 서브스트레이트 100 : 제1 전극부
120 : 제1 전기 전도층 130 : 제1 전극층
200 : 제2 전극부 220 : 제2 전기 전도층
230 : 제2 전극층 240 : 집전체
300 :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250 : 전기 전도성 접착제
260 : 접착제

Claims (12)

  1. 형상이 가변될 수 있는 서브스트레이트(Substrate);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와 접촉하는 제1 전기 전도층;
    상기 제1 전기 전도층의 일부와 접촉하는 제1 전극층;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와 접촉하고 제1 전기 전도층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제2 전기 전도층;
    상기 제2 전기 전도층과 접촉하는 집전체;
    상기 제2 전기 전도층과 집전체에 접촉하는 전기 전도성 접착제;
    상기 집전체와 접촉하고 상기 제1 전극층과 반대 극성인 제2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 사이에 위치하는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및
    상기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을 밀봉하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일체형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스트레이트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아크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전지 일체형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전도층은 카본 분말과 은 분말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일체형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은 이산화망간 분말, 카본 분말 및 바인더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일체형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일체형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기 전도층은 카본 분말, 은 분말 및 니켈 분말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일체형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는 카본 분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일체형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양면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일체형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은 아연 분말, 카본 분말 및 바인더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일체형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일체형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은 염화아연, 염화암모늄, 염화나트륨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일체형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접착제는 카본 분말과 금속 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일체형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KR1020080032331A 2008-04-07 2008-04-07 전지 일체형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KR100950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331A KR100950584B1 (ko) 2008-04-07 2008-04-07 전지 일체형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EP09731355.5A EP2266659B1 (en) 2008-04-07 2009-04-07 Iontophoresis patch integrated with a battery
JP2011502870A JP5540437B2 (ja) 2008-04-07 2009-04-07 電池一体型イオントフォレシスパッチ
PCT/KR2009/001780 WO2009125960A2 (ko) 2008-04-07 2009-04-07 전지 일체형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US12/936,633 US9072883B2 (en) 2008-04-07 2009-04-07 Battery-integrated iontophoresis patch
ES09731355.5T ES2576680T3 (es) 2008-04-07 2009-04-07 Parche de iontoforesis integrado con una baterí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331A KR100950584B1 (ko) 2008-04-07 2008-04-07 전지 일체형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926A KR20090106926A (ko) 2009-10-12
KR100950584B1 true KR100950584B1 (ko) 2010-04-01

Family

ID=41162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331A KR100950584B1 (ko) 2008-04-07 2008-04-07 전지 일체형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72883B2 (ko)
EP (1) EP2266659B1 (ko)
JP (1) JP5540437B2 (ko)
KR (1) KR100950584B1 (ko)
ES (1) ES2576680T3 (ko)
WO (1) WO200912596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977B1 (ko) 2009-10-22 2011-07-26 주식회사로케트전기 박형전지를 구비하는 장치 및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KR20160029908A (ko) 2014-09-05 2016-03-16 주식회사 비엠피 치료를 위한 피부 마사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1875A1 (en) 2011-04-08 2012-11-29 Tyco Healthcare Group Lp Iontophoresis drug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denervation of the renal sympathetic nerve and iontophoretic drug delivery
WO2013006799A1 (en) * 2011-07-06 2013-01-10 Isis Biopolymer, Inc. Iontophoretic patch with side tab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980B2 (ja) * 1989-10-27 1994-03-02 コリア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ケミカル テクノロジイ タンパク及びペプチド性薬物の経皮投与器具
US5897522A (en) 1995-12-20 1999-04-27 Power Paper Ltd. Flexible thin layer open electrochemical cell and applications of same
KR20080003814A (ko) * 2005-04-15 2008-01-08 트란스큐 리미티드 외용제, 외용제의 도포방법, 이온토포레시스장치, 및경피패치
KR100816554B1 (ko) 2006-10-20 2008-03-25 최상식 피부를 통한 약물의 전달을 위한 일회용 이온토포레시스패치 및 이온토포레시스 패치를 이용한 저가조절주입 패치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2042A (en) * 1988-07-05 1992-11-10 Alza Corporation Electrotransport transdermal system
US4927408A (en) * 1988-10-03 1990-05-22 Alza Corporation Electrotransport transdermal system
KR930000062B1 (ko) * 1990-05-22 1993-01-08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단백 및 펩타이드성 약물의 경피투여조성물
KR930000062A (ko) 1991-06-19 1993-01-15 송철수 파이론 밑창 디핑 세척방법 및 세척장치
US5387189A (en) * 1993-12-02 1995-02-07 Alza Corporation Electrotransport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978701A (en) * 1995-06-02 1999-11-02 Alza Corporation Electrotransport device with separable controller and drug unit and method of setting controller output
US6355025B1 (en) * 1995-06-07 2002-03-12 Alza Corporation Adjustable electrotransport drug delivery using a fixed output controller
US6086572A (en) * 1996-05-31 2000-07-11 Alza Corporation Electrotransport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output
US5871461A (en) * 1996-07-12 1999-02-16 Empi, Inc. Method of making an iontophoresis electrode
US5857993A (en) * 1996-07-12 1999-01-12 Empi, Inc. Process of making an iontophoresis electrode
US5797867A (en) * 1996-09-27 1998-08-2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ontophoretic drug delivery system, including method for activating same for attachment to patient
JP3997573B2 (ja) * 1997-01-28 2007-10-24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66548B2 (ja) * 1997-02-26 2003-01-14 久光製薬株式会社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デバイス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5947920A (en) * 1997-03-20 1999-09-07 Dermion, Inc. Self-contained hydrating system and iontophoresis bioelectrode
US5865860A (en) * 1997-06-20 1999-02-02 Imra America, Inc. Process for filling electrochemical cells with electrolyte
EP1117461B1 (en) * 1998-10-28 2003-01-15 Cygnus, Inc. Kit and method for quality control testing of an iontophoretic sampling system
AU3985200A (en) * 1999-04-14 2000-11-14 Power Paper Ltd. Functionally improved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855441B1 (en) * 1999-04-14 2005-02-15 Power Paper Ltd. Functionally improved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421561B1 (en) * 1999-12-30 2002-07-16 Birch Point Medical, Inc. Rate adjustable drug delivery system
WO2001073957A2 (en) * 2000-03-24 2001-10-04 Cymbet Corporation Battery-operated wireless-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EP1387671A1 (en) * 2001-05-03 2004-02-11 MASSACHUSETTS EYE &amp; EAR INFIRMARY Implantable drug delivery device and use thereof
CN1606461B (zh) * 2001-10-24 2011-03-23 纸型电池有限公司 一种用制剂作皮肤治疗的装置、一种成套器具及皮肤贴片
JP4728235B2 (ja) * 2003-07-14 2011-07-20 パワー ペーパー リミティド 物質の界面動電輸送を用いた爪甲真菌症治療の方法、器具、およびキット
EP1673139A2 (en) * 2003-09-10 2006-06-28 Power Paper Ltd. Disposable electric bandage
US7209399B2 (en) * 2004-07-13 2007-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ircuit and method of driving bitlines of integrated circuit memory using improved precharge scheme and sense-amplification scheme
US20090143761A1 (en) * 2005-06-03 2009-06-04 Transdermal Patents Company, Llc Agent delivery system and uses of same
EP1893278A2 (en) * 2005-06-03 2008-03-05 Trans-Dermal Patents Company, LLC Agent delivery system
JP2006346368A (ja) * 2005-06-20 2006-12-28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088331A1 (en) * 2005-08-18 2007-04-19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ctive agent usage, and active agent injecting device
JP2009509682A (ja) * 2005-09-30 2009-03-12 バイテリ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予め充填された結合電気搬送パッチからの性腺刺激ホルモン放出ホルモンのパルス状搬送
WO2007086057A1 (en) * 2006-01-26 2007-08-02 Power Paper Ltd Power source electrode treatment device
KR100868350B1 (ko) 2007-10-02 2008-11-12 주식회사로케트전기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및 그 제조방법
WO2008114918A1 (en) * 2007-03-19 2008-09-25 Rocket Electric Co., Ltd Iontophoresis patc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51977B1 (ko) * 2009-10-22 2011-07-26 주식회사로케트전기 박형전지를 구비하는 장치 및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980B2 (ja) * 1989-10-27 1994-03-02 コリア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ケミカル テクノロジイ タンパク及びペプチド性薬物の経皮投与器具
US5897522A (en) 1995-12-20 1999-04-27 Power Paper Ltd. Flexible thin layer open electrochemical cell and applications of same
KR20080003814A (ko) * 2005-04-15 2008-01-08 트란스큐 리미티드 외용제, 외용제의 도포방법, 이온토포레시스장치, 및경피패치
KR100816554B1 (ko) 2006-10-20 2008-03-25 최상식 피부를 통한 약물의 전달을 위한 일회용 이온토포레시스패치 및 이온토포레시스 패치를 이용한 저가조절주입 패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977B1 (ko) 2009-10-22 2011-07-26 주식회사로케트전기 박형전지를 구비하는 장치 및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KR20160029908A (ko) 2014-09-05 2016-03-16 주식회사 비엠피 치료를 위한 피부 마사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926A (ko) 2009-10-12
EP2266659B1 (en) 2016-04-06
US20110034858A1 (en) 2011-02-10
WO2009125960A2 (ko) 2009-10-15
EP2266659A4 (en) 2011-12-07
JP5540437B2 (ja) 2014-07-02
EP2266659A2 (en) 2010-12-29
WO2009125960A3 (ko) 2010-01-14
US9072883B2 (en) 2015-07-07
ES2576680T3 (es) 2016-07-08
JP2011516145A (ja)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977B1 (ko) 박형전지를 구비하는 장치 및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CN108601935B (zh) 安装在面膜上的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面膜和成套工具
US7320845B2 (en) Printed battery
US6379835B1 (en) Method of making a thin film battery
JP4309159B2 (ja) 可撓性薄層開放電気化学電池
CA1309456C (en) Solid electrochemical element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CN101515655B (zh) 应用于微系统的三维结构微型锌镍电池及其制备方法
EA200100627A1 (ru) Композиционные электроды для твердотельных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их устройств
KR100950584B1 (ko) 전지 일체형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CN102804465A (zh) 薄电池
NZ514335A (en) Bipolar composite electrodes for use in electrochemical and redox cells, characterised by an electrochemically active layer bonded to a non-conductive substrate material
WO2008114918A1 (en) Iontophoresis patc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68350B1 (ko)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274892B1 (ko) 리튬 2차전지
SG158161A1 (en) Flexible electrochemical cell with controlled optical absorption and reflection having an aqueous electrolyte
KR20190005061A (ko) 미백제를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약물 전달에 장착되는 장치, 그를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약물 전달 장치 및 키트
KR100844103B1 (ko) 이온토포레시스용 패치
KR20190005060A (ko) 건선 치료제를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약물 전달에 장착되는 장치, 그를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약물 전달 장치 및 키트
KR101230006B1 (ko)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KR20240113323A (ko) 미세전류 패치, 그의 동작 방법 및 제조 방법
KR20180051877A (ko) 고효율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KR20190005064A (ko) 여드름 치료제를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약물 전달에 장착되는 장치, 그를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약물 전달 장치 및 키트
KR100669446B1 (ko) 직렬연결 초박형 망간전지의 제조방법
CN104064726A (zh) 电极以及用于制造电极的方法
CN110189926A (zh) 电化学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3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3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