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50260B1 - 수액백용 산소차단성 다층필름 - Google Patents

수액백용 산소차단성 다층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260B1
KR100950260B1 KR1020070136008A KR20070136008A KR100950260B1 KR 100950260 B1 KR100950260 B1 KR 100950260B1 KR 1020070136008 A KR1020070136008 A KR 1020070136008A KR 20070136008 A KR20070136008 A KR 20070136008A KR 100950260 B1 KR100950260 B1 KR 100950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adhesive
layer made
polym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8418A (ko
Inventor
이성만
문진성
Original Assignee
케미타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미타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미타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6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260B1/ko
Publication of KR20090068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2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4Oxygen barrier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수액용 고차단성 다층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기산화물이 증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차단막층인 제1층;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중합체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인 제2층, 에틸렌 비닐알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차단막층인 제3층;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중합체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인 제4층, 폴리아미드 중합체로 이루어진 중간층인 제5층,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중합체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인 제6층,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로 이루어진 제7층으로 구성된 기능성 수액용 고차단성 다층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다층 필름은 의료용 용액을 포장 및 투여하기 위한 백의 외포장재를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기능성 수액용 고차단성 다층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무기산화물, 에틸렌 비닐알콜 공중합체, 라미네이트

Description

수액백용 산소차단성 다층필름{High Barrier Multilayer Film for Functional Medical Solution}
본 발명은 기능성 수액용 고차단성 다층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기산화물이 증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차단막층인 제1층;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중합체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인 제2층, 에틸렌 비닐알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차단막층인 제3층;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중합체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인 제4층,폴리아미드 중합체로 이루어진 중간층인 제5층,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중합체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인 제6층,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로 이루어진 제7층으로 구성된 기능성 수액용 고차단성 다층필름에 관한 것이다.
약액을 포장하기 위한 플라스틱 백은 유연성, 투명성, 기체차단성, 약제적합성, 멸균내열성, 열밀봉성, 낙하내충격성등의 특성을 요구하고 있다. 본 발명은 다수(2개 이상)의 방을 가진 백형태의 고차단성 유연성(Flexible) 플라스틱 용기, 즉 기능성 수액을 담는 내부백(Inner Bag) 및 이 내부백을 감싸 보호하며 차단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는 외부백(Outer Bag)으로 구성된 기능성 수액용 유연성 용기 시 스템중 외부백에 사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 필름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차단성이란 기능성 수액의 사용기한내 표면누출에 대한 포장재로서의 차단성으로 통상 “산소 및 수증기”에 대한 차단성으로 대신하여 평가하고 있다.
상기 언급한 다수(2개 이상)의 방을 가진 백형태의 고차단성 유연성 플라스틱 용기는 장기 보관시 상호 반응 우려가 있는 기능성 수액 성분을 백의 다수의 방에 잘 밀폐된 상태로 각각 별도로 보관하다가 필요시 각 방을 손으로 눌러 각 방의 격막을 쉽게 개방시킨 뒤 이 백을 잘 흔들어 각 성분을 혼합시켜 생성되는 기능성 수액 혼합물을 스파이크 포트(Spike Port)로부터 주사기(수액 Set)로 취해 환자에게 위생적이며, 안전하게 투입하게 함으로써 그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다수의 방을 가진 내부백과 외부백으로 구성되는 기능성 수액용 고차단성 유연성 용기 개발은 약 10여년전부터 유럽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차단성뿐 아니라 낙하 내충격성을 보완하려는 연구가 가속되고 있다. 내부백은 산소 및 수분 차단성, 멸균내열성, 투명성, 낙하내충격성, 유연성 등이 요구되고, 외부백은 산소 및 수분 차단성, 멸균내열성, 투명성이 요구되나 낙하내충격성, 유연성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고, 오히려 진공성형(Vacuum Forming)공정에 용이한 적절한 탄성율이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Outer Bag은 Vacuum Forming 공정을 통상 거치므로 열에 의한 연신 및 열접착이 가능하여야 하며, 연신 후에도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여 차단성 변화가 없어야 하고 진공성형후에도 내구성이 유지되어야 하는 기술이 요청된다. 외부백으로서 최고의 품질로 평가받고 있는 독일 팩티브(Pactiv)사 제품은 외층(폴리프로필렌)/접착층(폴리올레핀계 접착제)/산소 차단성 중간층(에틸렌 비닐알 코올중합체)/접착층(폴리올레핀계 접착제)/열봉합내층(폴리프로필렌)의 다층(5층) 단면구조를 가진 공압출 필름이다. 그러나, Pactiv 사 제품은 멸균후(121℃, 30분) 흐림도가 50%이상으로 육안으로도 상당히 흐린 특성을 가지고 있어 백내부의 이물질들 내용물 관찰 및 확인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투명성이 미흡하여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투명성을 개선한 제품으로 무기산화물이 증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필름으로 제조된 백이 식품 및 의료용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원료자체의 유연성이 부족하고 차단성은 우수하나 멸균전후 또는 백의 취급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접힘이 발생하면 증착된 무기산화물층이 깨지는 현상으로 인하여 산소차단성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중간층에 EVOH(에틸렌 비닐알콜 공중합체)층을 추가로 구성하여 증착층이 손상을 받더라도 EVOH에 의해 산소투과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증착방식이 기존의 물리적 기상증착법이 아닌 화학적 기상증착법에 의한 증착필름을 사용하여 유연성을 향상시켰으며 고온 멸균에 적합한 접착제의 사용으로 멸균전후에 접착력저하로 필름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기능성 수액용 백은 기존의 일반 수액용 백에 비하여 우수한 기체차단성, 낙하내충격성 및 투명성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외부백의 경우 기능성 수액내 이물 혼입 여부 등이 확인 가능한 고 투명성 필름이 요구된다. 특성상 121℃ 높은 온도의 멸균처리후 투명성 확보가 가능한 필름 제조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산소와 반응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영양수액 등이 백에 충전되므로 높은 산소차단성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층은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사용한 무연신 필름으로 구성되고, 두께가 40~120㎛로 형성되어 있고, 중간층은 폴리아미드 중합체(나일론 6 및 나일론 MXD)를 사용한 이축연신필름 10~25㎛ 및 에틸렌 비닐알콜공중합체 10~25㎛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외층은 금속산화물이 증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이축연신필름으로 구성되고 두께가 5~20㎛로 형성된 의료용 다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기산화물이 증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차단막층인 제1층;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중합체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인 제2층; 에틸렌 비닐알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차단막층인 제3층;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중합체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인 제4층; 폴리아미드 중합체로 이루어진 중간층인 제5층,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중합체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인 제6층,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로 이루어진 제7층으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내층은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사용한 무연신 필름으로 구성되고, 두께가 40~120㎛로 형성되어 있고, 중간층은 폴리아미드 중합 체(나일론 6 및 나일론 MXD)를 사용한 이축연신필름 10~25㎛ 및 에틸렌 비닐알콜공중합체 10~25㎛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외층은 금속산화물이 증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이축연신필름으로 구성되고 두께가 5~20㎛로 형성된 의료용 다층 필름은 수액, 혈액 등 의료용 용액을 담는 파우치(pouch) 형태의 백을 외포장하기에 적합하며 투명성, 내열성, 밀봉성, 내구성 및 원가경쟁력이 우수하여 의료산업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본 발명은 내부 백과 외부 백의 2개로 구성된 기능성 수액을 보관, 사용하는 백에서 외부백에 사용될 수 있는 필름으로서 무기산화물이 증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차단막층인 제1층;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중합체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인 제2층; 에틸렌 비닐알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차단막층인 제3층;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중합체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인 제4층; 폴리아미드 중합체로 이루어진 중간층인 제5층,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중합체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인 제6층,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로 이루어진 제7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수액용 고차단성 다층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수액용 고차단성 다층필름에 있어서 차단막층은 가장 바깥쪽 층으로 무기산화물이 증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되며 필름에 증착된 무기산화물로는 산화규소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수액용 고차단성 다층필름에 있어서 중간층은 에틸렌 비닐 알콜 공중합체(EVOH) 및 폴리아미드 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수액용 고차단성 다층필름에 있어서 내층은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수액용 고차단성 다층필름에 있어서 접착제층은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수액용 고차단성 다층필름에 있어서 필름층은 청정한 실내 조건에서 함께 라미네이트되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 백과 외부 백의 2개로 구성된 기능성 수액을 보관, 사용하는 백에서 외부백에 사용될 수 있는 필름으로서 무기산화물이 증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차단막층인 제1층(1),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중합체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인 제2층(2), 에틸렌 비닐알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차단막층인 제3층(3);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중합체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인 제4층(4); 폴리아미드 중합체로 이루어진 중간층인 제5층(5),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중합체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인 제6층(6),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로 이루어진 제7층(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필름이다.
본 발명에서 외층은 산소를 차단시키는 기능을 부여시킨 층으로 무기산화물이 증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여 제조되며 무기산화물은 산화규소가 사용된다. 산화규소는 갈색고체인 일산화규소(SiO)와 무색고체인 이산화규소(SiO2, 실리카)로 구성되는데 산화규소증착필름은 이러한 산화규소를 높은 에너 지 전자선으로 가열증착한 것인데, SiOx의 차단성은 함유하는 산소(O)의 양이 많으면 나빠지게 되므로, 증착가공시 산소의 양 분위기를 조정하여 SiO증기의 산소(O)를 1.5~1.8 범위의 조성으로 하여 베이스재료 필름 위에 증착시킨다. 가스차단성은 SiO1.5가 SiO1.8 보다 상당히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데, 반대로 SiO1.5 가 증착된 필름의 색은 일산화규소의 영향으로 갈색을 띠게 된다. 또한 증착방법에는 고체를 직접 전자선등에 의하여 가열산화시켜 증착시키는 물리적 방법과 기체상태의 전구체를 만들어 플라즈마상태로 증착시키는 화학적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내구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여 백의 취급시 발생되는 필름의 증착층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학기상증착법에 의한 필름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증착층의 두께는 40~200㎚가 바람직하다. 40㎚이하가 되면 균일한 증착이 어려워 가스차단성이 충분하게 나오지 않고 200㎚이상으로 너무 두꺼울 경우 크랙발생가능성 등 필름전체의 내구성이 떨어지게 된다. PET필름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0~25㎛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중간층은 백의 취급시 크랙등의 손상이 발생했을 경우 산소차단성을 보존시킬 수 있는 층으로 에틸렌 비닐알콜 공중합체를 사용하며 두께는 일반적으로 10~25㎛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또 하나의 중간층은 전체필름에 강성 및 내열성등의 특성을 부여하는 층으로 폴리 아미드로 된 이축연신필름을 사용하며 폴리아미드는 폴리아미드 6 또는 폴리아미드 MXD (메타자일렌디아민과 아디핀산 중합체)로 표시되고 두께는 일반적으로 10~25㎛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내층은 필름에 열밀봉성 등의 특성을 부여하는 층으로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사용한 무연신필름을 사용하며 두께는 40~120㎛가 바람직하다. 40㎛이하가 되면 라미네이트된 전체필름의 두께가 너무 얇게 되어 강도가 제대로 나오기 어렵고 120㎛이상이 되면 필름의 유연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외층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중간층에 사용되는 EVOH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및 내층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하나의 제품으로 만들기 위하여 서로 접착시키기 위해 각 층 사이에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중간층이 존재하며 여기에는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수지가 사용된다. 접착층의 두께는 1~10㎛가 바람직하며 이 경우 접착제의 도포량은 1~10g/m2가 되며, 1g/m2이하일 경우는 접착제의 균일한 도포가 어려워 박리발생, 불균일한 물성등의 결과가 나타나며 10g/m2이상이 되면 필요이상의 접착제 도포로 투명성이 저하되고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물 냉각 또는 공기 냉각식 공압출 관형의 인플레이션법, 공압출 T-다이법, 라미네이션법과 같은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특히 각 층이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으며 높은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라미네이션 방법이 적당하며 라미네이션 방법에는 웨트 라미네이트법,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무용제 라미네이트법, 왁스 라미네이트법, 서멀 라미네이트법, 압출코팅 라미네이트법등과 같은 종류가 있는데 의료용 필름을 제작하는데 있어서는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및 무용제형 라미네이트법이 적당하다.
무용제형 라미네이트법에 있어서 라미네이팅 공정은 제1급지 공급(권출), 무 용제접착제 도포, 제2급지 공급(권출), 라미네이트, 제품 권취, 경화, 슬리팅(Slitting)으로 구성되며 최종필름이 3겹 이상으로 구성시에는 2겹의 제품권취후 접착제가 어느 정도 경화되도록 한 후 다시 1겹의 필름을 위와 같은 공정으로 작업한 후 최종경화시킨다. 작업속도, 즉 필름이 라미네이트되는 속도는 필름의 종류 및 기계상태에 따라 다르나 분당 30~200m가 바람직하다. 필름이송속도가 너무 느릴 경우 장력조절이 어려워 물성저하가 일어날 수 있고 생산효율이 너무 떨어지게 되며 속도가 너무 빠를 경우 역시 장력조절이 어려워지고 접착제의 적정량 도포가 어려워질 수 있다.
접착제는 폴리우레탄 중합체(우레탄결합(-NHCO)을 가지는 고분자물질)로 이소시아네이트(-NCO) 작용기와 하이드록시(-OH) 작용기 사이의 반응으로 형성되는 2액형 접착제이다. 이들을 적당한 배합비로 혼합하여 필름에 도포하여 사용하게 되면 필름을 접착(라미네이션에 의한)시킬 수 있다. 주제 및 경화제 모두 액체상태이나 100%고형분이므로 상온에서는 점도가 대단히 높은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하기 2~3시간전에 적절한 온도로 가열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온도가 너무 높을 경우 접착제의 경화시간이나 사용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너무 낮을 경우 제대로 토출되지 않아 정해진 배합비로 혼합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접착제가 공급되어 이송되는 각 Roll도 접착제의 점도를 유지하도록 적정온도로 사용하기 전에 미리 가열해 두어야 한다. 이 역시 온도가 너무 높을 경우 접착제의 경화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에 지장을 줄 수 있고 너무 낮을 경우 점도가 높아져 필름에 적절하게 도포가 되지 않게 된다.
접착제는 주제와 경화제를 규정된 배합비에 따라 혼합하여 도포하여야 한다. 배합비는 중량기준으로 주제 100에 경화제 30~50의 비율로 혼합해 주어야 한다. 경화제의 비율이 낮을 경우 경화가 제대로 되지 않아 물성이 저하되고 비율이 높을 경우 미경화 반응물이 잔류하게 되어 역시 물성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의 경우 공정은 무용제법과 같고 다만 접착제 도포후에 용제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공정이 추가된다. 유기용제에 녹인 접착제를 사용하여 필름에 도포하고 열풍으로 도포된 접착제의 용제를 증발건조시킨 후 다른 필름과 접착시켜 제품을 얻게 된다. 여기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1액반응형과 2액반응형이 있다. 1액형은 이소시아네이트작용기를 고분자의 말단에 지닌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사용하고 공기중의 수분 또는 필름표면에 흡착하고 있는 수분과 반응하여 요소결합을 형성하여 경화한다. 2액형은 고분자 말단에 하이드록시 작용기를 지닌 주제와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를 지닌 경화제의 2액으로 구성되며 두 작용기의 반응에 의해 우레탄결합을 형성하여 경화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7개의 층으로 된 복합필름을 무용제 라미네이트법으로 제조하였다. 외층은 두께 12㎛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구성되며 필름의 한쪽면에 무기산화물인 산화규소가 증착되어 있다. 중간층은 두께 15㎛의 EVOH 필름 및 두께 15㎛의 폴리아미드 필름으로 구성되며 접착력 향상을 위하여 필름양면이 코로나 방전처리되어 있다. 내층은 프로필렌 중합체로 제조된 필름으로 구성되며 60㎛의 두께를 가진다. 각각의 필름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층은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중합체로 구성되며 3㎛의 두께를 가진다. 접착제는 주제 및 경화제로 구성되는 무용제 2액형으로 사용전에 두 성분을 잘 혼합하여 공급하여야 한다. 접착제의 주제 및 경화제 보관탱크의 예열온도는 60℃, 접착제 이송라인 및 연결부의 온도는 60℃, 각 이송 롤(Roll)의 온도는 60℃, 라미네이팅 롤(Laminating Roll)의 온도는 65℃로 설정하여 작업한다. 접착제 배합비는 중량비로 주제 100에 경화제 40의 비율로 혼합한다. 접착제의 경화를 위해서 각 필름을 접착시킨 후 각각 45℃에서 1일, 라미네이트완료된 필름을 45℃에서 3일 방치시킨다. 제조된 필름에 대하여 인장강도, 모듈러스, 멸균시험후의 흐림도, 산소투과도 등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
외층을 구성하는 PET필름에 무기산화물이 화학기상법으로 증착된 것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중간층에 폴리아미드 필름을 제외하고 폴리아미드 6 / 폴리아미드 MXD6 / 폴리아미드 6 의 폴리아미드계 3층 필름으로 구성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중간층에 EVOH 필름을 제외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표2. 실시예의 물성평가 결과
항목 단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구성 외층 PET/SiOx (PVD) PET/SiOx (CVD) PET/SiOx (CVD) PET/SiOx (PVD)
중간층 EVOH EVOH EVOH -
PA PA PA/MXD/PA PA
내층 PP PP PP PP
접착제 2액형 무용제 무용제 무용제 무용제
인장강도 kg/cm2 781 724 776 699
인장탄성율 kg/cm2 17,200 18,092 17,465 15,028
멸균후 Haze % 6.1 6.3 6.3 10.3
산소투과도(접힘전) cc/m2ㆍdayㆍatm 2.0 1.5 1.0 3.0
산소투과도(접힘후) cc/m2ㆍdayㆍatm 3.0 2.5 1.4 10.1
도1는 본 발명에 따른 7층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1층 2: 제2층 3: 제3층 4: 제4층
5: 제5층 6: 제6층 7: 제7층

Claims (6)

  1. 산화규소를 화학기상증착법에 의하여 진공증착시킨 무기산화물이 증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진 차단막층인 제1층;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중합체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인 제2층; 에틸렌 비닐알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차단막층인 제3층;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중합체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인 제4층; 폴리아미드 6 / 폴리아미드 MXD6 / 폴리아미드 6 의 폴리아미드계 3층 필름으로 이루어진 폴리아미드 중합체 필름으로 이루어진 중간층인 제5층; 무용제 2액형 접착제를 사용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중합체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인 제6층; 폴리프로필렌필름으로 이루어진 제7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산소차단성 다층필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70136008A 2007-12-24 2007-12-24 수액백용 산소차단성 다층필름 Active KR100950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008A KR100950260B1 (ko) 2007-12-24 2007-12-24 수액백용 산소차단성 다층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008A KR100950260B1 (ko) 2007-12-24 2007-12-24 수액백용 산소차단성 다층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418A KR20090068418A (ko) 2009-06-29
KR100950260B1 true KR100950260B1 (ko) 2010-03-31

Family

ID=40995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008A Active KR100950260B1 (ko) 2007-12-24 2007-12-24 수액백용 산소차단성 다층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2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025B1 (ko) * 2017-08-17 2019-03-25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수액제품을 위한 다층 필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5663A (ko) * 2005-09-05 2007-03-08 케미타운 주식회사 기능성 수액용 고차단성 다층필름의 수지조성물
KR20070085296A (ko) * 2004-10-18 2007-08-27 가부시키가이샤 오츠까 세이야꾸 고죠 의료용 가스 배리어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의료용 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5296A (ko) * 2004-10-18 2007-08-27 가부시키가이샤 오츠까 세이야꾸 고죠 의료용 가스 배리어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의료용 백
KR20070025663A (ko) * 2005-09-05 2007-03-08 케미타운 주식회사 기능성 수액용 고차단성 다층필름의 수지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418A (ko) 2009-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278B1 (ko) 기능성 수액 제품을 위한 고차단성 다층 필름
EP1232855B1 (en) Laminate packaging material
EP2837578B1 (en) Cover material for packaging container for retortion
WO2018159649A1 (ja) フランジカルボン酸ユニット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とヒートシール性樹脂層とを備える積層体および包装袋
JP2024050807A (ja) ヒートシール性積層体、包装材料用積層体、および包装材料
KR100950260B1 (ko) 수액백용 산소차단성 다층필름
JP4534658B2 (ja) ガスバリアフィルム積層体
JP2002234101A (ja) ガスバリヤー性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149389A (ja) 積層体
KR20090062739A (ko) 배리어성 포장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0801860B1 (ko) 기능성수액용 고차단성 다층필름
JP7255088B2 (ja) 包装袋の製造方法
KR101289691B1 (ko) 포토레지스트 포장용 파우치
JP3120653B2 (ja) バリアー性積層体
JP2018111242A (ja) 積層体およびパウチ
KR102181170B1 (ko) 수액백 외장 파우치용 필름
US20180361724A1 (en) Diisocyanate-scavenging packaging laminates
JP2002234102A (ja) 輸液容器用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34525A (ja) 積層体
JP2010076220A (ja) 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KR102375434B1 (ko) 시간-온도 이력지시계 포장용 다층 복합필름
KR100741323B1 (ko) 기능성 수액용 고차단성 다층필름의 수지조성물
KR102827751B1 (ko) 바이오 프로세싱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0011413A (ja) 積層体およびパウチ
JP7543800B2 (ja) 医薬品または食品包装用の易手切れ性吸湿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3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