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50006B1 - Ims 네트워크 환경의 콜 연속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Ims 네트워크 환경의 콜 연속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006B1
KR100950006B1 KR1020070080550A KR20070080550A KR100950006B1 KR 100950006 B1 KR100950006 B1 KR 100950006B1 KR 1020070080550 A KR1020070080550 A KR 1020070080550A KR 20070080550 A KR20070080550 A KR 20070080550A KR 100950006 B1 KR100950006 B1 KR 100950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rn
call
network node
messag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4686A (ko
Inventor
애드리안 버클리
Original Assignee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14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61Pools of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84Providing for device mo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23Media gateways
    • H04L65/103Media gateway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33Signalling gateways
    • H04L65/104Signalling gateway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95Inter-network session transfer or 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서, 회선교환(CS) 네트워크 및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네트워크(112)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콜 연속성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기기(UE) 디바이스(302)에 의해 공급되는 고유 아이덴티티(ID) 정보가 이용되는 방식이 개시된다. IMS 네트워크 노드(308)에 유지되어 있는 동적 할당 가능한 IP 멀티미디어 라우팅 번호(IMRN)의 풀이 사용되어 IMRN을 UE 디바이스(302)로부터 수신된 콜 정보와 연관시키며, 콜 정보는 콜에 관하여 GRUU, 인스턴스 ID 및 착신측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적 할당된 IMRN이 UE 디바이스(302)에 의해 리턴될 때, 네트워크 노드(308)는 IMRN 매핑을 이용하여 착신측에 대하여 콜 연속성을 달성한다.

Description

IMS 네트워크 환경의 콜 연속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ALL CONTINUITY IN IMS NETWORK ENVIRONMEN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콜 처리(call processing)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회선 교환(CS) 네트워크 및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콜 연속성(call continuity)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VoIP(voice-over-IP) 핸드오버는 사용자가 IP 기반 네트워크[예컨대, 무선 LAN(WLAN) 또는 Wi-MAX 네트워크 등]와 회선 교환 셀룰라 네트워크 사이를 이동할 때 보이스 콜을 연속시키는 프로세스이다. 이러한 핸드오버를 달성하기 위하여, 현행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은, 듀얼 모드 무선 사용자 기기(UE) 디바이스가 도메인 간 연속성(inter-domain continuity)을 필요로 하는 콜을 발신하는 경우, 이 콜은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IP multimedia subsystem)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IP 기반 네트워크 아키텍쳐에 배치되어 있는 콜 연속성 제어 펑션(CCCF: call continuity control function) 요소에 라우팅될 것을 규정하고 있다. 콜 라우팅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해 제안된 해결책 중 하나는, IP 멀티미디어 라우팅 번호(IMRN: IP multimedia routing number)를 발생하기 위해 콜 참조 아이덴티티가 첨부될 수 있는 E.164 번호(예컨대, 착신측 번호) 형태의 공공 서비스 아이덴티티(Public Service Identity)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콜 참조 아이덴티티의 번호 자릿수가 E.164 번호에 추가될 때, ITU-T 표준에서 규정하는 15 자리 길이의 한도보다 더 긴 번호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번호가 네트워크를 통해 라우팅되는 경우, 초과 자릿수는 유실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IMS 네트워크의 CCCF 요소에 제공되고 있는 발신자 ID 정보에 의지하는 경우, 이 정보는 ISDN 사용자부(ISUP; ISDN User Part) 시그널링을 사용하는 인터내셔널 ISDN 기반구조에서는 유실될 수 있다. 또한, IMS는 상이한 사용자 기기(UE) 디바이스들로부터 공통의 공공 아이덴티티의 다수의 등록을 지원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콜 연속성을 달성하는 데 있어서 올바른 콜 레그(call leg)를 확립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것이 되었다.
본 발명은 넓은 의미에서 회선 교환(CS) 네트워크 및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콜 연속성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기기(UE) 디바이스에 의해 공급되는 특정 고유의 아이덴티티(ID) 정보가 이용된다. 고유 ID 정보는 인스턴스 ID(instance ID) 및/또는 글로벌 라우팅 사용자 에이전트 URI(GRUU: Globally Routable User agent 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스턴스 ID는 IMEI, IMEISV, MIN, ESN, MAC 어드레스 또는 UE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고유의 레이어-2(Layer-2) 어드레스일 수 있다. 콜이 UE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될 때, 고유의 ID 정보를 포함하는 콜과 연관된 콜 정보는 IMS 네트워크에 배치되어 있는 노드에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에서, E.164 번호의 풀(pool)은 UE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콜 정보의 적어도 일부와의 연관을 위해 동적으로 할당될 수 있는 IP 멀티미디어 라우팅 번호(IMRN: IP multimedia routing number)로서 유지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선택 IMRN과 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매핑(mapping) 관계로 연관시키며, 여기서 고유의 ID 정보는 진행중인 콜에 대응하고,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선택 IMRN을 UE 디바이스에 리턴한다. 동적 할당된 IMRN이 UE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될 때, 네트워크 노드는 IMRN 매핑을 이용하여 착신측에 대하여 콜 연속성을 달성한다. 그 다음 IMRN은 추후 사용을 위해 IMRN 풀에 다시 반환될(release) 수 있다. 콜과 연관된 콜 참조 번호가 유효한 상태에 남아있는지(예컨대, 시간 만료되지 않았는지), 또는 동적 할당된 IMRN이 유효한 상태에 남아있는지(예컨대, 시간 만료되지 않았는지)의 여부를 검증할 수 있도록, 디바이스 및 CCCF 종단점에 적합한 타이머가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반환된 IMRN은 소정 기간동안 차단될(quarantined) 수 있다.
하나의 양상에서는, IMS 네트워크에서 콜과 연관되어 UE 디바이스와 동작가능한 방법의 실시예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 동작, 즉 UE 디바이스에 의해 IMS 네트워크에 배치되어 있는 네트워크 노드에 콜과 연관된 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동적 할당된 IMRN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콜과 연관된 콜 참조 번호가 유효함을 검증하는 동작으로서, 상기 동적 할당된 IMRN은 상기 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매핑되는 것인, 검증 동작; 및 검증시, 상기 동적 할당된 IMRN과 상기 콜 정보와의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콜 연속성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동적 할당된 IMRN을 상기 UE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제공하는 동작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는, IMS 네트워크에서 콜을 발신하도록 동작가능한 UE 디바이스의 실시예가 여기에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음 구성요소, 즉 IMS 네트워크에 배치되어 있는 네트워크 노드에 콜과 연관된 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동적 할당된 IMRN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콜과 연관된 콜 참조 번호가 유효함을 검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동적 할당된 IMRN은 상기 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매핑되는 것인, 검증 수단; 및 상기 검증에 응답하여, 상기 동적 할당된 IMRN과 상기 콜 정보와의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콜 연속성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동적 할당된 IMRN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다른 양상에서는, 다음 구성요소, 즉 IMRN 풀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선택 IMRN은 UE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콜에 대하여 상기 UE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동적 할당 가능한 것인, 수단; 상기 선택 IMRN을 상기 UE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고유 ID 파라미터(즉, GRUU, IMEI, IMEISV, MIN, ESN, MAC 어드레스 또는 임의의 기타 고유의 레이어-2 어드레스 등)와 연관시키고, 상기 선택 IMRN을 상기 UE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콜에 대하여 콜 연속성 프로세스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선택 IMRN이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리턴될 때 상기 선택 IMRN이 유효한 상태에 남아있음을 검증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IMS 네트워크 노드의 실시예가 여기에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선 교환(CS) 네트워크 및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콜 연속성을 관리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다 완전한 이해가 이루어질 것이다.
이제 실시예들이 어떻게 바람직하게 형성되어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다양한 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과 여러 도면에 걸쳐 유사한 참조 부호는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다양한 요소들이 반드시 비율에 맞추어 도시되는 것은 아니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네트워크 환경(100)이 도시되며 여기서 UE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되는 콜에 대하여 콜 연속성을 관리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실행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환경(100)은 복수의 UE 디바이스(102-1 내지 102-N)에 대해 이용할 수 있는 다수의 액세스 기술로 구성된 액세스 공간(10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개시를 위해, UE 디바이스는 임의의 속박(tethered) 또는 비속박(untethered)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고, 적당한 무선 모뎀 또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예컨대, 메시지의 송수신, 웹 브라우징 등이 가능한 셀룰라 폰 또는 데이터 송수신 가능 핸드헬드 디바이스)를 갖춘 임의의 퍼스널 컴퓨터(예컨대, 데스크톱, 랩톱, 팜톱, 또는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이메일, 비디오 메일, 인터넷 액세스, 통합 데이터 액세스, 메시징, 캘린더링 및 스케쥴링, 정보 관리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임의의 향상된 PDA 디바이스 또는 통합형 정보 어플라이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UE 디바이스는 회선 교환(CS) 뿐 아니라 패킷 교환(PS) 통신 모두에 참여할 수 있는 다중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고, 연속성(continuity)의 손실 없이 하나의 통신 모드에서 다른 통신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액세스 공간(104)은 무선 기술, 유선 기술, 광대역 액세스 기술 등을 수반할 수 있는 CS 및 PS 네트워크의 양자 모두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 부호 106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네트워크 및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기술을 지칭하지만, 이것의 교시는 임의의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따른 셀룰라 네트워크(예컨대, 3GPP 또는 3GPP2)에도 확장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참조 부호 108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또는 WLAN, Wi-MAX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광대역 액세스 네트워크 뿐 아니라 DSL, 케이블 광대역 등과 같은 고정 네트워크를 지칭한다. 또한 액세스 공간(104)의 부분으로서 예시된 것은 종래의 유선 PSTN 기반구조(110)이다.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IP multimedia subsystem) 코어 네트워크(112)는 임의의 CS 기반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상기 설명한 다양한 액세스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3GPP에 의해 정의되는 IMS 표준은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임의의 네트워크 유형을 통해 IP를 거쳐 전달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며, 여기서 IP는 베어러 트래픽(bearer traffic) 및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 시그널링 트래픽의 양자 모두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넓은 의미로, IMS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즉, 서비스) 및 네트워크(즉, 액세스)를 관리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이다. IMS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가입자들이 사용하는 서비스, 예컨대, VCC(voice call continuity), PTT(Push-To-Talk) 등을 전달하는 네트워크 요소로서 정의한다. IMS는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서버(AS)가 예를 들어, 가입자 프로파일, IMS 모빌리티, 네트워크 액세스, 인증, 서비스 인가, 요금 및 과금, 오퍼레이터 간 기능, 및 레가시 폰 네트워크의 상호운용기능(interoperation)을 가져야 한다고 공통 제어 컴포넌트를 정의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한다.
IMS가 주로 GSM 네트워크를 어드레스하는 3GPP 표준 바디에 의해 정의되는 반면에, 다른 그룹인 3GPP2는 멀티미디어 도메인(MMD: Multimedia Domain)으로 지칭되는 매우 유사한 아키텍쳐를 정의하는 데 관련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MMD는 본질적으로 CDMA 네트워크를 위한 IMS이고, MMD 및 IMS는 대체로 동등하므로, 본 발명의 개시에서 용어 “IMS”는 적용 가능한 경우에 IMS 및 MMD의 양자 모두를 총칭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을 참조하면, 참조 부호 114-1 내지 114-N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한 서비스, 예컨대 VCC, PTT 등을 지원하도록 동작 가능한 복수의 AS 노드를 지칭한다. 특히, VCC AS 노드(114-N)는 VCC 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되는 콜에 대하여 콜 연속성 및 적합한 도메인 선택을 달성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AS(114-N)는 CCCF(call continuity control function)(116) 및 NeDS(network domain selection)(118)으로 지칭되는 기능성을 구현하는 가입자의 홈 IMS 코어 네트워크의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질적으로, AS(114-N)의 CCCF부(116)는, 홈 IMS 네트워크에 상주하며 CS와 IMS 도메인 사이의 콜 핸드오버/라우팅을 포함하여 모든 콜 세션과 관련 모바일 VoIP(voice-over-IP) 베어러 트래픽을 추적하는 새로운 IMS 애플리케이션 서버 요소로서 동작 가능하다. AS(114-N)의 NeDS부(118)는 특히, IMS와 CS 네트워크(예컨대, GSM 또는 CDMA) 사이에서의 등록/등록말소 관리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잠재적으로 별개의 기능임에 불구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CF 및 NeDS 기능성의 양자 모두를 단일 IMS 호환 네트워크 요소(114-N)에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적용가능한 무선 액세스 기술 에 대한 VCC AS 노드(114-N)의 부분으로서 적당한 세션 제어 펑션(SCF: session control function)(120), 예컨대 gsmSCF가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인 VCC 관련 기능적 엔티티로서 다음, 즉 도메인 전달 펑션(DTF: Domain Transfer Function)(기능적 엔티티 FE-A라고도 지칭됨), CS 적응 펑션(CSAF: CS Adaptation Function)(FE-B라고도 지칭됨), CAMEL 서비스(FE-C라고도 지칭됨) 및 도메인 선택 펑션(DSF: Domain Selection Function)(FE-D라고도 지칭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VCC 애플리케이션”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시를 위해, [예컨대, AS(114-N)과 같은] IMS 코어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용어 “네트워크 노드”는 다음의 기능성, 즉 FE-A 내지 FE-D, gsmSCF, CCCF 및 NeDS 중 하나 이상의 기능성을 적용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조합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홈 가입자 서버 또는 HSS(Home Subscriber Server)로 지칭되는 마스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는 VCC 노드(114-N)와 같이 콜이나 세션을 실제로 관리하는 다양한 IMS 네트워크 엔티티를 지원하기 위해 홈 IMS 네트워크(112)의 부분으로서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HSS 데이터베이스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TMSI(Tempor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MSISDN(Mobile Subscriber ISDN Number)와 같은 사용자 및 장치 식별자 뿐 아니라, Tel-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또는 SIP-URI로서 구현되는 IMPI(IM Multimedia Private Identity) 및 IMPU(IP Multimedia Public Identity)와 같은 추가적인 IMS 특정 아이덴티티를 포함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즉, 가입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MPI는 특정 UE 디바이스에 대하여 고유한 것인 반면에, IMPI마다 다수의 공공 아이덴티티(즉, IMPU)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둘 이상의 디바이스가 동일한 아이덴티티(예컨대, 전 가족을 위한 하나의 전화 번호)를 가지고 도달될 수 있도록 IMPU는 또한 다른 UE 디바이스와 공유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VCC 디렉토리 번호 또는 VDN(VCC Directory Number)이라고도 지칭되는 IP 멀티미디어 라우팅 번호(IMRN)의 풀(pool)을 구성 및 관리하기 위해 적합한 데이터베이스 구조[예컨대, DB(122)], 타이머 메커니즘[예컨대, 타이머(124)] 및 적당한 로직(126)이 AS(114-N)와 연관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아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콜 라우팅 및 콜 연속성을 관리하기 위해 IMRN 풀로부터 선택 IMRN/VDN이 동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종래 기술 항목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UE 디바이스가 콜이 진행 중인 동안 콜 연속성을 요구하는 콜을 발신할 때, 그 콜은 가입자의 홈 IMS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에 라우팅된다. 그러나, 이러한 콜 라우팅 프로세스는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단점들을 갖는다.
본 발명 개시의 교시에 따르면, CCCF 성능을 갖는 IMS 네트워크 노드에 다음 단계, 즉 네트워크 노드에서 종료하는 IMRN으로서 동작 가능한 E.164 번호의 풀을 유지하는 단계; UE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착신측 번호 및/또는 특정 고유의 ID 정보에 선택 IMRN을 동적으로 할당하고, 그 선택 IMRN을 발신측 UE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단계; 착신측 번호에 대하여 콜 라우팅/연속성 프로세스를 달성하기 위해 그 선택 IMRN이 네트워크 노드에 리턴되었을 때 선택 IMRN이 시간 만료되지 않았음을 검증하는 단계; 및 선택적으로, 추후 사용을 위해 선택 IMRN을 IMRN 풀로 다시 반환하면 소정 시간 동안 선택 IMRN을 차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적합한 로직/구조/소프트웨어/펌웨어 모듈(들)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적 할당 가능한 IMRN 풀을 관리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예컨대, AS(114-N)]는 E.164 번호에 대하여 다수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E.164 번호는 IMRN 범위의 “시작 어드레스” 번호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E.164 번호는 IMRN 범위에 대하여 범위 구분 문자로서 동작할 수 있다. 유연성을 허용하기 위해, 다양한 IMRN 풀이 다양한 번호 범위로부터 구성되도록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할당된 IMRN이 유효한 상태에 남아있는지(예컨대, 시간 만료되지 않았는지, 즉, 적합한 제한 시간 내에 사용되었는지), 또는 적당한 차단 시간이 적용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적합한 타이머 메커니즘(들)이 네트워크 노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IMRN과 연관된 타이머 및 발신측 UE 디바이스에서의 콜 참조 번호와 연관된 타이머의 관리는 IMRN을 생성하기 위해 E.164 번호에 초과 자릿수를 추가할 필요 없이 콜 라우팅/연속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IMRN의 동적 프로비져닝(provisioning)을 허용한다.
도 2a는 UE 디바이스에 의한 콜에 대하여 콜 라우팅/연속성을 관리하기 위한 본 발명 개시의 전반적인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블록 202에서, 콜과 연관된 콜 참조 번호, 착신측 번호(또는, B 번호), 서브어드레스 정보 등과 같은 콜에 관한 다양한 정보 조각(여기에서는 “콜 정보”라고 총칭될 수 있 음) 뿐 아니라 UE와 연관된 고유 ID 정보가 발신측 UE 디바이스에 의해 IMS 네트워크 노드, 예컨대 AS 네트워크 노드(114-N)에 제공된다. 여기에서의 교시에 따르면, 고유 ID 정보는 UE 디바이스와 연관된 인스턴스 식별자(ID)(Instance Identifier) 및/또는 GRUU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인스턴스 ID는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IMEI, IMEISV(IMEI Software Version), MAC 어드레스나 고유의 레이어-2(Layer-2) 어드레스,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및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모니터하기 위해 사용되는 타이머가 UE 디바이스에서 개시될 수 있다. 특히, 타이머는 특정 콜 참조 번호가 발생되어 네트워크 노드에 전송된 이래로 경과된 시간을 모니터하기 위해 구현된다. 네트워크 노드에서, IMRN 풀로부터 선택된 IMRN은 콜 참조 번호에 대하여 동적으로 연관되며, 여기서 IMRN은 콜 정보의 적어도 일부, 예컨대, 수신된 착신측 번호, 또는 인스턴스 ID 및/또는 GRUU에 매핑된다(블록 204). 또한, 동적 할당된 IMRN과 연관된 활동 시간(time-to-live) 변수를 모니터하기 위한 타이머가 네트워크 노드에서 시작될 수 있다. 이후, 아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동적 할당된 IMRN은 적합한 메시징을 사용하여 UE 디바이스에 제공된다. UE 디바이스에서 동적 할당된 IMRN을 수신하면, 콜 참조 번호와 연관된 경과 시간을 모니터하여 그것이 무효화되지 않았는지 확인한다(블록 206). 경과 시간이 선택 조건을 충족시키면, 예컨대 활동 시간 값 내에 있다면, 동적 할당된 IMRN은 UE 디바이스에 의해 수락된다(블록 208). 그 다음 동적 IMRN을 사용하여 UE 디바이스에 의해 적합한 설정이 개시되며, 그에 의해 수락된 IMRN은 네트워크 노드에 대해 종료하였으므로 네트워 크 노드로 리턴된다. 네트워크 노드에서 IMRN을 수신하면, 그것의 활동 시간 변수를 모니터하여 그것이 시간 만료되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이후, 동적 할당된 IMRN과 연관된 착신측 번호, GRUU 및/또는 인스턴스 ID(즉, 고유 ID 데이터)는 콜 레그(call leg) 사이에 적합한 접속을 형성함으로써 콜을 라우팅하기 위해 이용된다(블록 210). 일 구현예에서, 동적 IMRN은 선택적으로 IMRN 풀에 다시 리턴될 수 있으며, 그것은 재사용되거나 추후 사용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되기 이전에 일정 기간 동안 차단될 수 있다(블록 212).
이제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여, 상기 방법의 디바이스 중심 및 네트워크 중심 부분을 예시적인 적용예에서 추가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블록 222에서, UE 디바이스의 적합한 로직은 콜에 관한 콜 정보를 도 1의 AS(114-N)와 같은 VCC 노드에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동적 할당된 IMRN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UE 디바이스는 콜과 연관된 콜 참조 번호가 유효한 상태에 남아있음을 검증하도록 동작 가능하다(블록 224). 검증되면, 이후 UE 디바이스는 IMRN을 VCC 노드에 제공하여, 상이한 도메인에서 현존하는 콜과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발신 콜 레그(outgoing call leg)를 설정한다(블록 226). 네트워크 노드, 예컨대 AS(114-1)에서의 동작에 대하여, GRUU 및/또는 인스턴스 ID 정보를 포함하는 콜 정보를 수신하면, 노드에서의 적합한 로직은 다수의 검증을 수행하도록 그것의 데이터베이스에 문의한다. 사용자가 VCC 서비스를 얻도록 허가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검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검증으로는 UE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고유 ID 정보가 네트워크 노드의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관한 것이고, 만약 그러 하면 동적 IMRN이 할당되어, 수신된 고유 ID 정보에 대응하여 진행중인 콜과 연관된다(블록 252). 이후, 동적 IMRN은 적당한 메시징을 통해 UE 디바이스에 제공된다(블록 254). 동적 IMRN이 UE의 VCC 콜 레그 설정의 부분으로서 네트워크 노드에 리턴될 때, 네트워크 노드는 진행중인 콜에 대하여 VCC 콜 레그를 연결하기 위하여 이전에 생성되었던 GRUU/인스턴스 ID 기록에 대항하여 리턴된 IMRN을 상관시킨다(블록 256). 또한,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된 IMRN이 시간 만료되지 않았음을 검증하기 위한 적합한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기초하여, 당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콜 정보, 즉 착신측 번호, 콜 참조 번호, 고유 ID 정보 등이 UE 디바이스에 의해 서빙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될 때,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적합한 로직은 수신된 콜 정보를, UE 디바이스에 다시 송신될 E.164-기반 IMRN에 매핑하는 기록을 생성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예시적인 적용예에서는, 진행중인 SIP 다이얼로그가 존재하며 UE 디바이스가 그 다이얼로그에 대한 SIP Invite 메시지에 자신의 고유 ID 정보를 제공한 경우, UE 디바이스가 도메인 간 전달을 달성하기 위해 자신의 VCC 요청 메시징에서 GRUU 및/또는 인스턴스 ID를 VCC 노드에 송신할 때, VCC 노드는 그 요청을 진행중인 다이얼로그에 상관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동적 IMRN은 진행중인 콜 세션에 연결될 수 있다. 디바이스 측에서, 수신된 IMRN을 콜 참조 번호와 연관시키면, UE는 네트워크 노드에 대해 종료하는 IMRN을 사용하여 콜을 설정한다. 그 다음, 착신측에 진행중인 콜을 연속시키기 위해 IMRN/콜 정보 매핑에 대항하여 그 IMRN을 문의한다.
UE 디바이스와 홈 IMS 네트워크의 VCC/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메시지 흐름은 다수의 기타 적합한 네트워트 기반구조 요소를 통해 전달될 수 있고, 디바이스 성능 뿐 아니라 네트워크 특성 및 사용될 프로토콜에 따라 다수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 의해 인지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메시지 흐름은 UE 디바이스와 그것의 홈 IMS VCC/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배치되는 모바일 교환 센터(MSC: mobile switching center) 및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요소와 같은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MGCF 노드와 VCC 노드 사이에 배치되는 I-CSCF(Interrogat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노드 및 S-CSCF(Serving CSCF) 노드와 같이 추가적인 IMS 제어 플레인이 존재할 수 있다. 하기에 설명되는 것은 CS 도메인에서 발신된 콜에 대하여 콜 라우팅/연속성을 달성하기 위해 동적 할당된 IMRN이 이용되는 경우의 메시지 흐름의 다수의 예시적인 구현예이다.
도 3a는 CAMEL(Customized Applications for Mobile Enhanced Logic)을 수반한 사용자간(User-to-User) 시그널링이 구현되는 경우의 메시지 흐름 실시예(300A)를 도시한다. CS 도메인 및 IMS 도메인 모드의 기능성을 갖는 예시적인 UE 디바이스(302)는 setup 메시지(310)를 피방문 MSC(304)에 발생시키도록 동작 가능하며, 여기서 setup 메시지는 콜 참조 아이덴티티나 번호, 착신측 번호, 서브어드레스 정보 등과 같은 적용 가능한 콜 정보 뿐 아니라 GRUU 및/또는 인스턴스 ID 정보를 포함한다. 콜 참조 번호와 연관된 활동 시간 변수를 모니터하기 위해 적당한 타이머 메커니즘(309)이 UE 디바이스에서 개시될 수 있다. setup 메시지(310)에 응답하여, MSC(304)는 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의 홈 IMS 네트워트에 배치되는 네트워크 노드(308)에 수송하는, CAP(CAMEL Application Part) 호환 메시지(312), Initial DP(Detection Point) 메시지를 발생시킨다. 사용자에게 VCC 콜을 하는 것이 허가됨을 검증하면, 네트워크 노드의 gsmSCF 기능은 수신된 착신측 번호에 기초하여 선택 IMRN을 동적으로 할당하고, 그것을 CAP Connect 메시지(314)를 통해 MSC(304)에 다시 리턴한다. 동적 할당된 IMRN과 연관된 활동 시간 변수를 모니터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308)에서 적당한 타이머 메커니즘이 시작될 수 있다(블록 316). UE 디바이스의 타이머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콜 참조가 시간 만료되지 않았음을 검증한 후에, CAP Connect 메시지(314)의 수신에 응답하여, MSC(304)는 콜 라우팅을 위해 MGCF(306)를 향하여 사용자간 시그널링에서 동적 IMRN 뿐 아니라 GRUU 및/또는 인스턴스 ID를 포함하는 IAM(Initial Address Message)(318)을 개시한다. MGCF(306)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308)를 향하여 RFC 3033에 따른 사용자간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SIP Invite 메시지(320)가 발생되고, 네트워크 노드(308)는 착신측(도시되지 않음)에 콜을 연속시키기 위해 GRUU 및/또는 인스턴스 ID를 사용하며 동적 IMRN을 이용한다. 네트워크 노드(308)는 GRUU 및/또는 인스턴스 ID가 발견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그것의 진행중인 콜을 검색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여기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양한 중간 SIP 메시지 및 리소스 할당/예약 교섭이 MGCF(306)와, SIP Invite(320)에 후속되는 착신측과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UE 디바이스(302)와 착신측 사이에 베어러 경로가 확립되기 전에 발생하는 추가적인 ISUP 메시징은 여기에 도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노드(308)에서 SIP Invite(320)를 통해 동적 할당된 IMRN을 수신하면, IMRN이 시간 만료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타이머 메커니즘은 정지될 수 있다(블록 322). 만약 그러하면, SIP Invite 메시지는 폐기될 수 있고, 콜 라우팅 프로세스는 종료될 수 있다. IMRN이 시간 만료되지 않았다면, CCCF는 원래의 착신 번호를 사용하여 콜 레그를 설정하고, 고유의 ID-IMRN 관계에 기초하여 그것을 진행중인 세션에 연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SIP invite 메시지(320)에서 아무런 CallerID(CID)도 수신되지 않은 경우, 네트워크 노드(308)는 적합한 프라이버시 옵션으로 CID를 삽입할 수 있다. CCCF 노드에 의해 콜 라우팅을 위해 IMRN을 사용한 후에, 그 IMRN은 IMRN 풀에 리턴될 수 있으며, 여기서 차단(quarantine) 타이머가 시작될 수 있고(블록 324), 이에 따라 소정 시간 후에 차단 타이머가 정지될 때까지 IMRN이 더 이상 사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블록 326).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콜 참조 번호가 시간 만료되지 않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디바이스 측에서의 타이머 메커니즘이 또한 사용될 수 있고, 참조 번호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정보(예컨대, 동적 IMRN)와 서로 상관시키도록 UE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다. 동일한 참조 번호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다시 수신되기 전에 타이머가 만기되면, UE 디바이스는 콜 프로세스를 소정 횟수(예컨대, 다섯 번의 시도) 재시도할 수 있으며, 그 후에 아무런 응답도 수신되지 않은 경우 콜 절차는 실패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UE 디바이스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참조 번호를 수신하는 경우, 그것은 폐기될 수 있고 콜 절차는 종료될 수 있다.
메시지 흐름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300B)가 도 3b에 도시된다. 이 메시지 흐름 실시예(300B)는, 고유 ID 데이터를 얻기 위해 추가적인 메시징이 UE 디바이스(302)와 MSC(304)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300A)와 유사하다. UE(302)로부터의 setup 메시지(352)는 콜 정보의 다양한 조각을 포함하지만, GRUU/인스턴스 ID 정보는 포함하지 않는다. setup 메시지(352)에 응답하여, MSC(304)에 의해 UE(302)를 향하여 그것의 고유 ID의 요청(354)이 발생된다(예컨대, 3GPP에서 IMEI 제공). 응답으로, UE(302)는 메시지(356)를 통해 자신의 고유 ID를 MSC(304)에 제공하고, MSC(304)는 네트워크 노드(308)를 향하여 UE 디바이스의 고유 ID 데이터를 포함하는 CAP-Initial DP 메시지(358)를 발생시킨다. 사용자에게 VCC 콜을 하는 것이 허가됨을 검증하면, 네트워크 노드(308)의 gsmSCF 기능은 고유 ID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신된 고유 ID에 대한 진행중인 콜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그러하면, 전과 같이 동적 IMRN을 포함하는 CAP-Connect 메시지(314)가 네트워크 노드(308)에 의해 제공된다. UE 디바이스의 타이머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콜 참조가 시간 만료되지 않았음을 검증한 후에, CAP Connect 메시지(314)의 수신에 응답하여, MSC(304)는 콜 라우팅을 위해 MGCF(306)를 향하여 IAM(318)을 개시한다. MGCF(306)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308)를 향하여 SIP Invite 메시지(362)가 발생되고, 네트워크 노드(308)는 착신측(도시되지 않음)에 콜을 연속시키기 위해 동적 IMRN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설명된 실시예(300A)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추가적인 중간 SIM 메시지 및 타이머 메커니즘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메시징에 대해 SIP 통보(Notify) 절차가 구현된 경우의 메시지 흐름 실시예(400)를 도시한다. 상기 설명된 CAMEL 기반 메시징 절차와 마찬가지로, CS 도메인 및 IMS 도메인 모드의 기능성을 갖는 UE 디바이스(302)는 MSC(304)에 setup 메시지를 발생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이에 응답하여 SIP Notify 메시지(404)가 네트워크 노드(308)에 직접 전송될 수 있다. 전과 같이, SIP Notify 메시지(404)는 콜 참조 번호, 착신측 번호, 서브어드레스 정보, 및 고유 ID 정보와 같은 적용 가능한 콜 정보를 포함한다. 콜 참조 번호와 연관된 활동 시간 변수를 모니터하기 위해 적당한 타이머 메커니즘(402)이 UE 디바이스에서 개시될 수 있다. SIP Notify 메시지(404)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노드(308)는 UE 디바이스(302)를 향하여 OK 메시지(406)를 발생시킨다. 이후, 사용자에게 VCC 콜을 하는 것이 허가됨을 검증하면, 네트워크 노드는 수신된 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 IMRN을 동적으로 할당하고, 그것을 SIP Notify 메시지(410)를 통해 UE(302)에 다시 리턴한다. 동적 할당된 IMRN과 연관된 활동 시간 변수를 모니터하기 위해, 또다시 적당한 타이머 메커니즘이 네트워크 노드(308)에서 시작될 수 있다(블록 408). OK 메시지(414)는 UE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308)를 향하여 발생되어, SIP Notify 메시지(410)의 수신을 확인 응답(acknowledge)한다. UE 디바이스의 타이머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콜 참조가 시간 만료되지 않았음을 검증한 후에(블록 412), 동적 IMRN을 포함하는 setup 메시지(416)가 UE 디바이스(302)에 의해 MSC(304)에 제공된다. 응답으로, 동적 IMRN을 갖는 IAM 메시지(418)가 콜 라우팅/연속성을 달성하기 위해 MSC(304)에 의해 MGCF(306)를 향하여 발생된다. CAMEL 기반 구현예에서의 메시징과 마찬가지로, SIP Invite 메시지(420)는 MGCF(306)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308)를 향하여 발 생되고, 네트워크 노드(308)는 착신측(도시되지 않음)에 콜을 연속시키기 위해 동적 IMRN - 고유 ID 매핑을 이용한다. 또한, 전과 같이 MGCF(306)와, SIP Invite(420)에 후속되는 착신측과의 사이에서 다양한 중간 SIP 메시지 및 리소스 할당/예약 교섭이 발생할 수 있다. UE 디바이스(302)와 착신측 사이에 베어러 경로가 확립되기 이전에 추가적인 ISUP 메시징이 또한 발생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308)에서 SIP Invite(420)를 통해 동적 할당된 IMRN을 수신하면, IMRN이 아직도 유효한지 모니터하기 위해 타이머 메커니즘이 정지될 수 있다(블록 422). 이후, IMRN이 시간 만료되지 않았다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CCCF는 콜 연속성을 달성하기 위해 콜 레그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프로세스와 마찬가지로, IMRN 반환 및 차단 등과 같은 추가적인 프로세스가 네트워크 노드(308)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적합한 타이머 메커니즘(블록 424, 426)이 네트워크 노드(308)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콜과 연관된 콜 참조 번호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디바이스 측에서의 타이머 메커니즘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5a는 비구조적 부가 서비스 데이터(USSD: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메시징이 구현된 경우의 메시지 흐름 실시예(500A)를 도시한다. 상기 설명한 메시징 절차와 마찬가지로, UE 디바이스(302)는 MSC(404)에 USSD 메시지(504)를 발생시키도록 동작 가능하고, 이에 응답하여 다른 USSD 메시지(506)가 네트워크 노드(308)에 전송될 수 있다. 전과 같이, USSD 메시지(504, 506)는 콜 참조 번호, 착신측 번호, 서브어드레스 정보, 고유 ID 정보 등과 같은 적용 가능한 콜 정보를 포함한다. 콜 참조 번호와 연관된 활동 시간 변수를 모니터하기 위해, 적당한 타이머 메커니즘(502)이 UE 디바이스에서 개시될 수 있다. USSD 메시지(506)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노드(308)는 MSC(304)를 향하여 확인 응답 뿐 아니라 동적 IMRN 및 콜 참조 번호 정보 모두를 포함하는 USSD 메시지(510)를 발생시킨다. 이 USSD 메시지(510)는 UE 디바이스(302)에 전송된다. 동적 할당된 IMRN와 연관된 활동 시간 변수를 모니터하기 위해, 또다시 적당한 타이머 메커니즘이 네트워크 노드(308)에서 시작될 수 있다(블록 508). UE 디바이스의 타이머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콜 참조가 시간 만료되지 않았음을 검증한 후에(블록 514), 동적 IMRN을 포함하는 setup 메시지(516)가 UE 디바이스(302)에 의해 MSC(304)에 제공된다. 응답으로, 동적 IMRN을 갖는 IAM 메시지(518)가 콜 라우팅/연속성을 달성하기 위해 MSC(304)에 의해 MGCF(306)를 향하여 발생된다. 전술한 메시징 흐름과 마찬가지로, 착신측(도시되지 않음)에의 콜 라우팅을 위해 MGCF(306)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308)를 향하여 SIP Invite 메시지(520)가 발생된다. 네트워크 노드(308)에서 SIP Invite(520)를 통해 동적 할당된 IMRN을 수신하면, IMRN이 시간 만료되었는지 모니터하기 위해 타이머 메커니즘이 정지될 수 있다(블록 522). 이후, IMRN이 시간 만료되지 않았다면, CCCF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콜 연속성을 달성하기 위해 콜 레그를 설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술된 프로세스와 마찬가지로, IMRN 반환 및 차단 등과 같은 프로세스가 네트워크 노드(308)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적합한 타이머 메커니즘(블록 524, 526)이 네트워크 노드(308)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콜과 연관된 콜 참조 번호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디바이스 측에서의 타이머 메커니즘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USSD 메시지 흐름의 다른 변형예(500B)가 도 5b에 도시된다. 메시지 흐름 실시예(500B)는, 별개의 USSD 확인 응답 메시지(550, 556)가 UE(302)와 CCCF(308) 사이에 전달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500A)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추가적인 USSD 메시징(554)이 CCCF(308)로부터 UE(302)에 IMRN 정보를 수송하기 위해 제공된다.
예시적인 사용 시나리오를 아래에 설명하며, 여기에 전술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UE A를 갖는 사용자 A(아버지)와 UE B를 갖는 사용자 B(어머니)로 이루어진 가족에게 VCC 서비스가 제공된 것으로 간주한다. 서비스는 각각의 UE가 두 개의 IMPU, 즉 비즈니스 번호 및 공통의 집 번호를 갖도록 구성되었다. 다음의 테이블에서 프로파일을 설명한다.
Figure 112007058120478-pat00001
양쪽 UE 디바이스는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등록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또한 S-CSCF가 그들을 동일한 VCC 애플리케이션에 등록한 경우 양쪽 UE 디바이스가 모두 홈 IMS 네트워크의 동일한 CSCF 기반구조를 사용한다. 이제, UE B가 IMPU Z를 사용하여 자신의 친구에게 전화를 걸기 위해 집에서 WLAN을 사용하고 있다고 간주한다. 어머니가 필요하다면 VCC를 끊을 수 있도록(“VCC out”) 그 콜은 VCC 애플리케이션에 고정된다. 이제 아버지는 일하러 가는 중에 배관공에게 전화를 걸어야 하고, 그래서 동일한 공통의 공공 아이덴티티, 즉 IMPU Z를 또한 사용하여 UE A로부터 콜을 형성해야 한다. 따라서, 네트워크는 다음 정보를 갖는다.
Figure 112007058120478-pat00002
이제 아버지가 집 밖으로 이동하며, 그가 가입한 셀룰라 네트워크에 VCC를 사용하여 콜을 연속시켜야 한다고 간주하자. 이 VCC 요청은 올바른 진행중인 콜 세션, 즉 UE B의 것이 아니라 UE A의 진행중인 콜에 상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유리하게 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도메인간 콜 세션을 유지할 때 올바른 콜 레그가 지속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시를 위해 무선 UE 디바이스, 예컨대 UE(302)로서 동작 가능한 통신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UE(302)의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배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도시된 다양한 모듈에 대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에서 다수의 변형 및 변경이 존재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인지할 것이다. 따라서, 도 6의 배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UE(302)의 실시예의 전반적인 제어를 제공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602)는 다중 모드 통신(예컨대, CS 도메인, IMS와 같은 IP 도메인 등)이 가능한 통신 서브시스템(604)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다. 통신 서브시스템(604)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수신기(608) 및 하나 이상의 송신기(614) 뿐 아니라, 하나 이상의 국부 발진기(LO: local oscillator) 모듈(610)과 같은 연관 컴포넌트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612)와 같은 프로세싱 모듈을 포함한다. 통신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통신 모듈(604)의 특정 설계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동작하도록 의도되는 통신 네트워크(예컨대, CDMA 네트워크, GSM 네트워크, WLAN 등)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설계에 관계없이, 적합한 액세스 기반구조(605)(예컨대, 셀룰라 기지국 타워, WLAN 핫 스폿 등)를 통해 안테나(606)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수신기(608)에 제공되고, 수신기(608)는 신호 증폭, 주파수 다운 변환, 필터링, 채널 선택, A/D(analog-to-digital) 변환 등과 같은 이러한 보통의 수신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DSP(612)에 의해 변조 및 인코딩을 포함하여 송신될 신호가 처리되고, D/A(digital-to-analog) 변환, 주파수 업 변환, 필터링, 증폭 및 안테나(616)를 거쳐 에어-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송신을 위해 송신기(614)에 제공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602)는 또한 보조 I/O(input/output)(618), 직렬 포트(620), 디스플레이(622), 키보드/키패드(624), 스피커(626), 마이크로폰(628), RAM(random access memory)(630),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632) 및 참조 부호 633으로서 통칭되는 임의의 기타 디바이스 서브시스템, 예컨대 타이머 메커니즘과 같은 부가적인 디바이스 서브시스템과 연결할 수 있다.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해,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RUIM(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인터페이스(634)가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602)와 통신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SIM/RUIM 인터페이스(634)는 다수의 키 구성(644)과, ID(identification) 및 가입자 관련 데이터와 같은 기타 정보(646)를 갖는 SIM/RUIM 카드로써 동작 가능하다.
운영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적용 가능한 서비스 로직 소프트웨어가 플래시 메모리(635)와 같은 영구 저장 모듈(즉,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플래시 메모리(635)는 다양한 영역,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예컨대, 서비스 프로세싱 로직)을 위한 저장 영역(636) 뿐 아니라 디바이스 스태이트(637), 어드레스 북(639), 기타 PIM(personal information manager) 데이터(641), 및 참조 부호 643으로서 통칭되는 기타 데이터 저장 영역과 같은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적합한 무선 패킷 전달 프로토콜을 달성하기 위해 전달 스택(645)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콜 참조 ID 발생, 유효성, 검증, 및 IMRN와의 상관 등을 달성하기 위해 콜 핸드오버/연속성 로직 모듈(648)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 및 구성이 상기 서술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바람직한 것으로 특징될 수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다음의 청구범위에 서술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실행될 수 있는, 회선 교환 네트워크 기반구조 및 IM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기반구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연관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동적 할당된 IP 멀티미디어 라우팅 번호(IMRN)를 채용함으로써 콜 연속성을 달성하기 위한 메시지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동적 할당된 IMRN을 채용함으로써 콜 연속성을 달성하기 위한 메시지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동적 할당된 IMRN을 채용함으로써 콜 연속성을 달성하기 위한 메시지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동작가능한 통신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Claims (15)

  1. 인터넷 프로토콜(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네트워크(112)에서 진행중인 콜(ongoing call)와 연관되어 사용자 기기(UE) 디바이스(302)와 동작 가능한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노드(308)로부터 동적 할당된 IP 멀티미디어 라우팅 번호(IMRN: IP multimedia routing number)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진행중인 콜과 연관된 콜 참조 번호가 유효함을 검증하는 단계로서, 상기 동적 할당된 IMRN은 상기 UE 디바이스(302)에 의해 제공되는 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매핑되는 것인, 검증 단계 ; 및
    검증시, 상기 동적 할당된 IMRN과 상기 콜 정보의 상기 일부와의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콜 연속성(call continuity)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동적 할당된 IMRN을 상기 UE 디바이스(302)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308)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콜 정보는 상기 UE 디바이스(302)와 연관된 고유 아이덴티티(ID) 파라미터 및 착신측의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유 ID 파라미터는 상기 UE 디바이스(302)와 연관된 GRUU(Globally Routable User Agent URI),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IMEISV(IMEI Software Version), ESN(Electronic Serial Number),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및 고유의 레이어-2(Layer-2)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콜 정보는 사용자간 시그널링 메시지,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메시지 및 비구조적 부가 서비스 데이터(USSD: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메시지 중 하나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308)에 제공되는 것인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적 할당된 IMRN은 SIP 메시지 및 USSD 메시지 중 하나를 통해 상기 UE 디바이스(302)에 의해 수신되는 것인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308)는 CCCF 노드 및 VCC 노드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네트워크 노드(308)로부터 동적 할당된 IP 멀티미디어 라우팅 번호(IMRN: IP multimedia routing number)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진행중인 콜과 연관된 콜 참조 번호가 유효함을 검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동적 할당된 IMRN은 UE 디바이스(302)에 의해 제공되는 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매핑되는 것인, 검증 수단; 및
    상기 검증에 응답하여, 상기 동적 할당된 IMRN과 상기 콜 정보의 상기 일부와의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콜 연속성(call continuity)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동적 할당된 IMRN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308)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UE) 디바이스(302).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콜 정보는 상기 UE 디바이스(302)와 연관된 고유 아이덴티티(ID) 파라미터 및 착신측의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유 ID 파라미터는 상기 UE 디바이스(302)와 연관된 GRUU(Globally Routable User Agent URI),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IMEISV(IMEI Software Version), ESN(Electronic Serial Number),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및 고유의 레이어-2(Layer-2)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콜 정보는 사용자간 시그널링 메시지,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메시지 및 비구조적 부가 서비스 데이터(USSD: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메시지 중 하나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308)에 제공되는 것인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
  11.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할당된 IMRN은 SIP 메시지 및 USSD 메시지 중 하나를 통해 상기 UE 디바이스(302)에 의해 수신되는 것인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
  12. IP 멀티미디어 라우팅 번호(IMRN; IP multimedia routing number)의 풀(pool)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선택 IMRN은 사용자 기기(UE) 디바이스(302)에 의해 진행중인 콜에 대하여 상기 UE 디바이스(302)로부터 수신된 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동적 할당 가능한 것인, 유지 수단;
    상기 선택 IMRN을 상기 UE 디바이스(302)로부터 수신된 고유 아이덴티티(ID) 파라미터와 연관시키고, 상기 선택 IMRN을 상기 UE 디바이스(302)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진행중인 콜에 대하여 콜 연속성(call continuity) 프로세스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선택 IMRN이 네트워크 노드(308)에 리턴될 때 상기 선택 IMRN이 유효한 상태에 남아있음을 검증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308).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선택 IMRN은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메시지 및 비구조적 부가 서비스 데이터(USSD: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메시지 중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UE 디바이스(302)에 제공되는 것인 네트워크 노드(308).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CAMEL(Customized Applications for Mobile Enhanced Logic) 애플리케이션 파트(CAP) 메시지, USSD 메시지 및 RFC 3033(Request For Comments 3033)에 따른 메커니즘 중 하나를 통해 상기 고유 ID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308).
  15.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후 사용을 위해 상기 선택 IMRN을 상기 IMRN 풀에 반환(release)하면 상기 선택 IMRN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노드(308).
KR1020070080550A 2006-08-11 2007-08-10 Ims 네트워크 환경의 콜 연속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50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18838.9A EP1887752B1 (en) 2006-08-11 2006-08-11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all continuity in IMS network environment
EP06118838.9 2006-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686A KR20080014686A (ko) 2008-02-14
KR100950006B1 true KR100950006B1 (ko) 2010-03-29

Family

ID=37648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550A KR100950006B1 (ko) 2006-08-11 2007-08-10 Ims 네트워크 환경의 콜 연속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2) EP1887752B1 (ko)
JP (1) JP4762956B2 (ko)
KR (1) KR100950006B1 (ko)
CN (1) CN101141812B (ko)
AU (1) AU2007205728B2 (ko)
CA (1) CA2596774C (ko)
HK (1) HK1112126A1 (ko)
MX (1) MX2007009711A (ko)
SG (2) SG139728A1 (ko)
TW (1) TWI3595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6006018D1 (de) * 2006-01-10 2009-05-14 Research In Motion Ltd Verfahren und System zur Verwaltung der Rufweiterleitung in einer Netzwerkumgebung umfassend ein leitungsvermittelndes Netzwerk und ein IP Multimedia Subsystem IMS
CN101527891B (zh) * 2008-04-30 2011-04-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跨网络呼叫保持方法和设备
CN101610503A (zh) * 2008-06-20 2009-12-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呼叫建立方法及装置
KR101467392B1 (ko) * 2008-08-18 2014-12-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회선교환망과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음성호 통화에 대한 과금 시스템 및 과금 방법
WO2010034879A1 (en) * 2008-09-29 2010-04-01 Nokia Corporation Hiding a device identity
KR101659412B1 (ko) * 2010-06-30 2016-09-23 주식회사 케이티 핸드오버하는 단말기에 선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0498A1 (en) 2003-03-25 2004-09-30 Juha Kallio Method, system and gateway device for enabling interworking between IP and CS networks
US20050058125A1 (en) 2003-09-11 2005-03-17 Nokia Corporation IP-based services for circuit-switched networks
KR20050078597A (ko) * 2004-02-02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이동통신 시스템 사이에서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이용한 음성 호 처리 방법
KR20060090267A (ko) * 2003-10-17 2006-08-10 노키아 코포레이션 패킷 교환 방식 네트워크 시그날링을 통해 회선 교환 방식통신을 설정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4554B2 (ja) * 2003-07-03 2007-06-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ハンドオーバ方法およびゲートウェイ装置
US8694008B2 (en) * 2005-06-16 2014-04-08 At&T Mobility Ii Llc Multi-mode handset services
DE602006006018D1 (de) * 2006-01-10 2009-05-14 Research In Motion Ltd Verfahren und System zur Verwaltung der Rufweiterleitung in einer Netzwerkumgebung umfassend ein leitungsvermittelndes Netzwerk und ein IP Multimedia Subsystem I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0498A1 (en) 2003-03-25 2004-09-30 Juha Kallio Method, system and gateway device for enabling interworking between IP and CS networks
US20050058125A1 (en) 2003-09-11 2005-03-17 Nokia Corporation IP-based services for circuit-switched networks
KR20060090267A (ko) * 2003-10-17 2006-08-10 노키아 코포레이션 패킷 교환 방식 네트워크 시그날링을 통해 회선 교환 방식통신을 설정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050078597A (ko) * 2004-02-02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이동통신 시스템 사이에서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이용한 음성 호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62956B2 (ja) 2011-08-31
KR20080014686A (ko) 2008-02-14
EP1887752A1 (en) 2008-02-13
AU2007205728B2 (en) 2010-02-11
SG159544A1 (en) 2010-03-30
EP2802121A1 (en) 2014-11-12
HK1112126A1 (en) 2008-08-22
AU2007205728A1 (en) 2008-02-28
EP1887752B1 (en) 2015-02-25
TW200818818A (en) 2008-04-16
MX2007009711A (es) 2009-01-27
SG139728A1 (en) 2008-02-29
CN101141812B (zh) 2014-12-24
TWI359599B (en) 2012-03-01
EP2802121B1 (en) 2020-01-22
CN101141812A (zh) 2008-03-12
CA2596774A1 (en) 2008-02-11
JP2008048406A (ja) 2008-02-28
CA2596774C (en) 201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07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all continuity in IMS network environment
US79955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all continuity in IMS network environment using SIP messaging
JP4772021B2 (ja) Sipメッセージ伝達を用いるimsネットワーク環境において、コール連続性を管理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8308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ffecutating a SIP call in a network environment including IMS
EP1816823B1 (en) Method and system for routing a SIP call in a network environment including a circuit-switched network and an IP Multimedia Subsystem IMS
KR100950006B1 (ko) Ims 네트워크 환경의 콜 연속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55495B1 (ko) Ims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의 콜 라우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