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49183B1 -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한 사용패턴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한 사용패턴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183B1
KR100949183B1 KR1020100000823A KR20100000823A KR100949183B1 KR 100949183 B1 KR100949183 B1 KR 100949183B1 KR 1020100000823 A KR1020100000823 A KR 1020100000823A KR 20100000823 A KR20100000823 A KR 20100000823A KR 100949183 B1 KR100949183 B1 KR 100949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program
monitoring
tit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호
Original Assignee
(주)지란지교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란지교소프트 filed Critical (주)지란지교소프트
Priority to KR1020100000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183B1/ko
Priority to JP2010141953A priority patent/JP4960481B2/ja
Priority to US13/510,199 priority patent/US20120227046A1/en
Priority to PCT/KR2010/006257 priority patent/WO2011083902A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38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monitoring of user 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2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is a software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65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 G06F11/3072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where the reporting involves data filtering, e.g. pattern matching, time or event triggered, adaptive or policy-based repor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09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 G06F11/3419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by assessing ti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09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 G06F11/3419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by assessing time
    • G06F11/3423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by assessing time where the assessed time is active or idle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한 사용패턴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컴퓨팅 장치가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패턴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임의의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윈도우(window)가 생성되면, 윈도우의 타이틀을 취득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비교데이터를 참조하여 타이틀에 따른 윈도우 상세정보를 인식하고, 윈도우 상세정보에 상응하도록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이력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하는 단계; 및 각 응용프로그램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사용이력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사용패턴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의 사용에 따른 응용프로그램의 사용 패턴을 프로그램 종류, 파일명, 웹사이트 종류, URL, 작업시간 등에 따라 모니터링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여 컴퓨팅 장치의 사용시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업무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한 사용패턴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pattern of using by window title}
본 발명은 컴퓨터의 사용패턴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컴퓨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사용에 따른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컴퓨터 사용패턴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직장뿐 아니라 대부분의 집에 컴퓨터가 보급되어 있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한다거나 업무에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직장인들 대다수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한글, MS워드 등의 워드 프로그램, 파워포인트 프로그램 등의 업무용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뿐 아니라, 익스플로러(explorer), 파이어폭스(FireFox) 등 인터넷 이용을 위한 인터넷 탐색 프로그램(웹 브라우저)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활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해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범람으로 업무시간에도 업무와는 상관없는 개인적인 용도로 메신저 등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직장인들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MS사의 익스플로러(explorer)와 같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 쇼핑몰, 온라인 신문사이트 등의 웹사이트(website)에 접속하는 직장인들이 많아져, 직원들의 인터넷 사이트 접속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기업들이 많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업무시간에는 싸이월드(www.cyworld.co.kr)와 같은 특정 사이트(site)에 접속하지 못하도록, 사내 네트워크의 통신데이터를 감시(monitoring)하여 해당 사이트의 접속주소인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통한 인터넷 통신을 차단하는 기능을 설정하기도 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단순히 인터넷 URL을 이용한 특정 사이트로의 접속을 차단할 수 있을 뿐, 해당 컴퓨터 사용자들이 업무시간 동안 컴퓨터를 이용한 어떠한 작업 즉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있는지를 면밀히 감시하기는 쉽지 않았다.
물론, 기존에도 사용자가 이용한 프로그램에 따른 로그(log)파일이 생성되기는 하나, 해당 로그파일을 통해 해당 사용자가 어떠한 프로그램을 이용했으며 어떠한 작업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이력을 알기 위해서는 로그파일에 따른 로데이터(raw data)를 일일이 분석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하였으며, 더욱이 사용자가 각 프로그램을 주로 어떠한 용도로 또한 얼마만큼의 시간 동안 사용했는지 등에 대한 사용 경향(pattern)을 알 수가 없다.
그리고, 기존의 사용 이력을 감시하는 기술들은 대부분 운영체제 커널(kernel)의 필드 드라이브 영역을 이용한다. 따라서, 운영체제 버전에 따라 새로운 필터 드라이버를 개발해야 하고 그로 인해 시간 및 인력에 따른 비용이 발생한다.
더욱이, 커널은 컴퓨터를 구동시킬 수 있는 기본적인 장치들을 연결 관리 하는 시스템으로, 커널 영역은 호환성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운영체제와 충돌이 나는 큰 위험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운영체제 커널을 건드리지 않고, 컴퓨터 어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에 따른 각종 로그데이터 중 텍스트 형식의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이용한 프로그램 및 해당 프로그램으로 어떠한 작업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이력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용한 프로그램 종류, 파일명(file name), 웹사이트 종류, URL, 작업시간 등을 실행중인 프로그램에 따른 윈도우의 타이틀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컴퓨터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가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패턴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윈도우(window)가 생성되면, 상기 윈도우의 타이틀을 취득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비교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타이틀에 따른 윈도우 상세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윈도우 상세정보에 상응하도록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이력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하는 단계; 및 각 응용프로그램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사용패턴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한 사용패턴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윈도우 상세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른 속성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틀에 포함된 텍스트로부터 상기 속성에 상응하는 항목을 갖는 윈도우 상세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가 실행되는 시간 또는 상기 윈도우가 활성화된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이력정보로써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이 웹 브라우저인 경우 상기 윈도우 상세정보로써 접속한 사이트명(site name)이 인식되고, 도구프로그램인 경우 상기 윈도우 상세정보로써 파일명(file name)이 인식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트명 또는 상기 파일명 각각에 따른 윈도우의 실행시간 또는 실행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 패턴으로써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이 웹 브라우저인 경우 상기 타이틀에 포함된 텍스트 중 검색 키워드 또는 뉴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윈도우 상세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트명의 URL을 인식하여 상기 윈도우 상세정보로 이용할 수도 있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한 사용패턴 모니터링 방법.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패턴을 모니터링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임의의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윈도우(window)가 생성되면 상기 윈도우의 타이틀을 취득하고, 미리 설정된 비교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타이틀에 따른 윈도우 상세정보를 인식하는 프로그램인식부; 상기 윈도우 상세정보에 상응하도록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이력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하는 이력관리부; 및 각 응용프로그램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사용패턴을 모니터링하는 패턴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사용패턴을 모니터링하는 컴퓨팅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인식부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이 어떠한 프로그램인지에 대한 프로그램정보를 운영체제 또는 상기 타이틀로부터 취득할 수 있으며, 상기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이 웹 브라우저인 경우 접속한 사이트명을, 도구프로그램인 경우 파일명을 상기 윈도우 상세정보로써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력관리부는 상기 윈도우가 실행된 총 시간 또는 상기 윈도우가 활성화된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이력정보로써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사용패턴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메인 관리 서버에 백업(backup)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의 사용에 따른 응용프로그램 사용 패턴을 프로그램 종류, 파일명, 웹사이트 종류, URL, 작업시간 등에 따라 모니터링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여 컴퓨팅 장치의 사용시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업무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들이 이용한 프로그램 및 해당 프로그램으로 어떠한 작업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이력을 컴퓨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에 따른 각종 로그데이터 중 텍스트 형식의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함으로써, 운영체제 커널의 조작에 따른 문제가 전혀 발생될 염려가 없으며, 더욱이 처리속도에 영향을 미칠만한 부하 없이도 컴퓨팅 장치의 사용 패턴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패턴 모니터링을 위한 전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사용 패턴을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4 내지 도 7은 대중에게 보편화된 MS(microsoft)사의 윈도우즈 운영체제에서 이용되는 윈도우(창)를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데이터를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브라우저 프로그램의 사용이력정보를 예시한 테이블.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패턴이 모니터링되어 표시되는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패턴 모니터링을 위한 전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체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1, 10-2, ...10-n, 이하 10으로 통칭), 네트워크(30) 및 메인 관리 서버(5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데스크탑, 랩탑 등의 일반 컴퓨터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개인휴대장치(PDA) 등 컴퓨팅 기능이 탑재된 모든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에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함에 있어, 웹 브라우저, 워드프로그램, 멀티미디어 재생기(예를 들어 곰플레이어 등), 메신저프로그램(예를 들어 MSN메신저, 네이트메신저 등) 등의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함에 따른 사용 이력을 관리하고 그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그 처리 방식 및 상세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메인 관리 서버(50)는 상기한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네트워크(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에 제공하도록 기능한다. 물론, CD, USB메모리장치 등의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에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도 있으나, 메인 관리 서버(50)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될 수도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메인 관리 서버(5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연결된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상기한 사용 이력 및/또는 사용 패턴을 수신하여, 관리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기업에서 본 시스템이 구축된 경우를 가정한 하나의 예를 들면, 각 직원의 사용자 단말기(10)에 상기한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그 사용 패턴에 대한 정보들이 메인 관리 서버(50)에 백업됨으로써, 기업 관리자는 각 직원들이 사용자 단말기(10)를 어떠한 패턴을 가지고 이용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네트워크(30)는 LAN(Local Area Network)과 같은 일반 개인 사설망일 수 있으며, 또는 인터넷망과 같은 공유망일 수도 있다.
이하, 사용자 단말기(10)의 구성을 통해 사용패턴 모니터링 방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는 통신모듈(210), 메모리(220), 제어모듈(230) 및 디스플레이 모듈(240)을 포함한다.
통신모듈(210)은 네트워크(30)를 통해 메인 관리 서버(50)와 같은 타 통신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모듈(240)은 분석된 사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LCD일 수 있다.
메모리(220)에는 제어모듈(230)이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다. 추후 설명하겠으나, 제어모듈(230)이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하여 어떠한 파일명을 갖는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중이며 또는 어떠한 웹사이트에 접속하였는지를 인식하기 위해 필요한 비교데이터가 메모리(220)에 저장된다. 물론, 이외에도 메모리(220)에는 사용자 단말기(10)가 실행하는 상기한 모니터링 프로그램과 같은 여러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어모듈(230)은 프로그램인식부(231), 이력관리부(233), 패턴모니터링부(235) 및 메인제어부(23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모듈(230)의 각 기능부는 프로그램과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프로그램인식부(231)는 특정 프로그램 실행에 의한 윈도우(window, 컴퓨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에서 쓰이는 창을 뜻함)가 활성화되면, 해당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즉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종류를 인식하고, 윈도우의 타이틀을 취득하여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됨에 따라 생성된 윈도우의 상세정보(이하, 윈도우 상세정보라 칭함)를 인식하도록 기능한다. 여기서, 윈도우 상세정보로는 접속 사이트명 또는 파일명과 실행유지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도 4 내지 도 6 참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프로그램인식부(231)는 실행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는데, 프로그램 정보에는 프로그램 종류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문서작성 또는 웹브라우저 등 어떠한 기능을 위한 프로그램인지에 대한 속성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인식부(231)는 해당 프로그램 정보를 운영체제로부터 취득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타이틀로부터 취득할 수도 있다. 차후 설명하겠으나, 윈도우 타이틀에는 실행된 해당 프로그램이 어떠한 프로그램인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도 4 내지 도 7 참조)되므로, 프로그램인식부(231)는 윈도우 타이틀로부터 해당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력관리부(233)는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인식된 윈도우 상세정보에 따른 사용이력정보를 각 응용프로그램에 상응하도록 생성 또는 갱신하여 메모리(220)에 저장하도록 기능한다. 사용이력정보로는 상기한 윈도우 상세정보 외에도,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 시작된 시각(時刻)정보, 실행이 유지되는 시간정보, 실제 활성화된 상태(즉, 해당 윈도우가 최상위에 보여지는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정보, 해당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된 횟수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브라우저 프로그램의 사용이력정보를 예시한 테이블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력관리부(233)는 웹브라우저와 같은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이력정보로써, 접속한 사이트명, 해당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생성된 윈도우(창)의 실행시간, 윈도우 활성시간, 해당 사이트로의 접속 횟수 및 해당 사이트에서 입력한 키워드 등을 생성 및 갱신한다. 도면에 도시된 사용이력정보의 다수 필드 중 접속 사이트 및 키워드 필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윈도우 타이틀로부터 취득되는 것이다. 물론, 다른 필드의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된 시간을 카운트하는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상기한 시간정보가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한 횟수정보의 경우 별도의 필드를 생성하여 해당 응용프로그램(또는 해당 윈도우)가 실행된 횟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윈도우 실행시간이란 해당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생성된 윈도우가 닫히지 않고 유지되는 시간이며, 멀티태스킹(multitasking)에 따라 복수개의 윈도우가 실행되고 있을 경우 최상위에서 실행되는 윈도우를 활성상태라 하며 이에 따라 활성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을 윈도우 활성시간으로 정의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패턴모니터링부(235)는 이력관리부(233)에 의한 사용이력정보를 이용하여 사용패턴을 모니터링하록 기능한다. 즉, 패턴모니터링부(235)는 각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사용이력정보들을 취합하여 일정기간 동안의 사용패턴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 실행횟수, 접속한 사이트별 접속페이지/접속횟수/접속유지시간/입력검색어 등이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의 사용이력정보로써 저장되고, 패턴모니터링부(235)는 상기한 사용이력정보와 같은 각 프로그램들의 사용이력정보를 바탕으로 전체 사용시간대비 각 프로그램 사용시간 등의 사용패턴을 산출하도록 기능하는 것이다. 물론, 각 프로그램 각각의 사용이력정보 자체가 사용패턴이 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입장에서는 전체시간대비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기간에 따른 사용이력을 확인하기를 원할 수 있으므로, 설명 및 이해의 편의상 사용이력정보와 사용패턴을 분리하여 정의 및 설명하는 것이다.
메인제어부(237)는 제어모듈(230)이 임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또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사용이력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하도록 하며, 해당 사용이력정보를 이용한 사용 패턴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인식부(231), 이력관리부(233) 및 패턴모니터링부(235)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 패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10)의 각 구성부의 기능을 간략하게 설명하였으나, 이하 설명되는 사용 패턴 모니터링 수행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 각 구성부가 어떻게 기능하는지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가 단독으로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관리 서버(50)와 연동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를 들자면, 비교데이터가 메인 관리 서버(50)에 저장되고 윈도우 타이틀에 따른 윈도우 상세정보의 인식이 메인 관리 서버(50)에 의해 수행되어 해당 사용자 단말기(10)에 해당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한 사용이력정보도 메인 관리 서버(50)에 저장되며, 사용자 단말기(10)는 해당 사용이력정보를 수신하여 사용패턴에 대한 정보들을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240)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기능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0)가 단독으로 처리하는 것과, 네트워크(30)를 통해 연결된 타 장치와 연동하여 처리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가 단독으로 사용 패턴을 분석 및 모니터링하고 해당 정보가 메인 관리 서버(50)에 백업되는 형태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사용자 단말기(10)가 상술한 바와 같은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활성화된 각 윈도우에 따른 사용이력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하며, 사용 패턴을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에서의 사용 패턴을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대중에게 보편화된 MS(microsoft)사의 윈도우즈 운영체제에서 이용되는 윈도우(창)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데이터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패턴이 모니터링되어 표시되는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사용 패턴 모니터링 과정을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 패턴 모니터링 방법은 크게 윈도우 타이틀 취득단계(S310), 사용이력정보 갱신단계(S320) 및 사용 패턴 모니터링 단계(S330)을 포함한다.
먼저, 윈도우 타이틀 취득단계에서는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생성된 윈도우의 타이틀을 취득하는 것인데, 특정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로그데이터로부터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해당 프로그램에 따른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에 의해 취득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다른 방법에 의해 윈도우 타이틀에 따른 텍스트 정보를 취득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상 윈도우 타이틀은 '문자열'과 '사용프로그램 고유키'를 갖는다. 실행된 응용프로그램이 한글, MS워드, 멀티미디어재생기 등 특정 파일을 생성하거나 실행하는 도구 프로그램인 경우 문자열은 해당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파일의 명칭에 대한 정보를 갖는다. 또는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이 웹사이트 접속 프로그램인 웹 브라우저인 경우, 문자열은 접속한 사이트의 명칭(사이트명)을 포함한다.
또한, 윈도우 타이틀의 사용프로그램 고유키를 통해 해당 응용프로그램의 종류와 같은 프로그램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따라 활성화된 윈도우를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410과 같이 윈도우의 상단에는 해당 윈도우의 타이틀(title)이 명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윈도우 타이틀에는 웹 브라우저에 의해 접속한 사이트의 명칭이 포함된다. 따라서, 생성된 윈도우의 타이틀에 따른 텍스트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해당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윈도우 상세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미리 저장된 비교데이터를 예시한 도 8을 참조하면, 취득된 윈도우 타이틀에 '네이버'란 텍스트가 포함된 경우, 비교데이터와 비교해 보면 접속한 사이트가 네이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윈도우 타이틀의 텍스트에 '검색' 및 '뉴스'란 단어가 없다면 접속된 사이트는 네이버 포탈이며, '검색' 및 '뉴스'란 단어가 있으면 네이버 검색사이트 또는 네이버뉴스 사이트임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비교데이터로 각 사이트의 접속주소(URL)가 설정되어 윈도우 타이틀에 따른 접속한 사이트의 접속주소(즉, www.naver.com)가 윈도우 상세정보로 함께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타이틀에 포함된 사용프로그램 고유키가 'Microsoft Internet Explorer'이므로, 해당 응용프로그램이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제공하는 웹브라우저인 것이 인식될 수 있다.
또한, 도 5 또는 도 6에 따르면, 접속한 사이트에서 검색 또는 뉴스보기가 수행된 경우, 윈도우 타이틀(참조번호 510 및 610 참조)로부터 해당 검색 키워드 또는 뉴스 제목 등이 윈도우 상세정보로 인식 및 활용될 수 있다.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워드 작성 프로그램 등의 도구 프로그램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윈도우 타이틀을 통해 해당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및 어떠한 파일이 실행되는 것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른 도 7을 참조하면, '한글'이라는 문서 작성을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었으며 '오피스키퍼.hwp'란 명칭을 갖는 파일이 실행됨을 윈도우 타이틀(참조번호 710 참조)을 통해 인식되며 윈도우 상세정보로써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도구 프로그램 중 메신저 프로그램과 같이 파일이 이용되지 않아 윈도우 타이틀로부터 파일명을 추출할 수 없는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해당 프로그램 명칭과 사용시간이 윈도우 상세정보로 이용될 수 있으며, 또는 대화창과 같은 윈도우가 활성화되는 경우 윈도우 타이틀에 존재하는 상대방의 대화명이 윈도우 상세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즉, 메신저프로그램 총 사용시간, 상대 대화명별 채팅창 이용시간 등이 해당 응용프로그램에 따른 이력정보 및 사용패턴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정리하자면,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마다 그 속성이 있으며, 그 속성에 따라 서로 상이한 항목을 갖는 윈도우 상세정보가 취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제공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파이어폭스 등은 인터넷을 통한 웹사이트를 접속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 프로그램으로 웹 브라우저라는 속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워드, 한글, 파워포인트, 액셀 등은 문서작성이라는 속성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MSN메신저, 네이트메신저 등은 타인과 채팅할 수 있는 메신저라는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각 속성마다 서로 상이한 항목의 윈도우 상세정보를 가질 수 있으며,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예를 들자면, 웹 브라우저는 사이트명/검색어/기사제목/실행시간 등이 그 윈도우 상세정보 항목으로써 이용될 수 있으며, 문서작성의 경우 프로그램명/파일제목/실행시간 등이 윈도우 상세정보 항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9를 참조하면, 속성이 웹 브라우저인 경우, 윈도우 상세정보로써 검색 키워드, 블로그 주인 아이디, 뉴스 기사 제목 등이 하나의 상세정보 항목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차후 설명하겠으나 도 10을 미리 참조하면, 각 응용프로그램이 가진 속성에 상응하는 항목을 갖는 윈도우 상세정보가 이용되어 그에 따른 사용패턴이 모니터링될 수 있음은 도면을 통해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이력정보 갱신단계(S320)에서는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하여 실행된 응용프로그램에 따른 윈도우의 상세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이력정보를 생성하거나 이전 사용이력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갱신한다. 사용이력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한 작업에 대한 여러 항목들을 갖는다. 즉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시작하는 시각(時刻), 실행유지 시간, 활성 시간, 윈도우 상세정보 등이 사용이력정보로써 저장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상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하나의 예를 들자면, 웹 브라우저인 익스플로러(explorer)라는 응용프로그램의 이력정보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털 사이트별, 검색사이트별 및 뉴스사이트별로 접속한 횟수, 접속유지 시간과, 또한 사용한 키워드 또는 검색한 기사 제목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도 3에 따른 마지막 단계로 사용 패턴 모니터링 단계(S330)에서는 각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저장된 사용이력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 패턴이 모니터링된다.
모니터링된 정보가 표시되는 형식을 예시한 도 10을 참조하면, 각 응용프로그램 별 사용 이력에 따른 패턴이 모니터링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가 구동되는 총 시간 대비, 유휴시간(아무런 응용프로그램도 실행되지 않는 시간) 또는 실제 응용 프로그램들이 실행된 시간 등에 대한 사용 패턴들이 모니터링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가 60시간 동안 구동된 경우, 유휴시간이 18시간이며, 프로그램 사용시간이 42시간일 경우, 컴퓨터가 구동되는 동안 약 60%만이 실제로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으로 그 패턴이 분석되는 것이며, 그 중 웹브라우저의 사용시간, 문서도구 또는 개발도구에 대한 사용 시간 등에 대한 사용 패턴이 분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응용프로그램의 속성에 따라 각각의 응용프로그램을 분류하여 그 사용패턴이 모니터링되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브라우저, 문서도구 및 개발도구로 응용프로그램이 분류되고, 각 분류된 응용프로그램 마다 총 사용시간, 이용한 파일명, 검색한 키워드, 기사 등이 사용패턴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응용프로그램이 사용된 시간이 전체 구동시간 또는 전체 응용프로그램 사용 시간 대비 퍼센트가 표시될 수도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의 예를 들면, 웹브라우저의 총 사용시간이 15시간인 경우 전체구동시간 대비 25%, 전체 응용프로그램 사용시간 대비 35.7%의 비율을 갖도록 사용되었음이 그 사용패턴으로 분석되는 것이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문서작성 프로그램의 각 파일별 사용시간 비율도 산출되어 표시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한 사용패턴 모니터링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 10-2, ...10-n : 사용자 단말기
30 : 네트워크 50 : 메인 관리 서버
210 : 통신모듈 220 : 메모리
230 : 제어모듈 240 : 디스플레이 모듈

Claims (13)

  1. 컴퓨팅 장치가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패턴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윈도우(window)가 생성되면, 상기 윈도우의 타이틀을 취득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속성을 인식하고, 비교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타이틀에 포함된 텍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속성에 상응하는 항목을 갖는 윈도우 상세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 상세정보에 상응하도록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이력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사용패턴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한 사용패턴 모니터링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가 실행되는 시간 또는 상기 윈도우가 활성화된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이력정보로써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한 사용패턴 모니터링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이 웹 브라우저인 경우 상기 윈도우 상세정보로써 접속한 사이트명이 인식되고, 도구프로그램인 경우 상기 윈도우 상세정보로써 파일명이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한 사용패턴 모니터링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트명 또는 상기 파일명 각각에 따른 윈도우의 실행시간 또는 실행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 패턴으로써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한 사용패턴 모니터링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이 웹 브라우저인 경우 상기 타이틀에 포함된 텍스트 중 검색 키워드 또는 뉴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윈도우 상세정보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한 사용패턴 모니터링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트명의 URL을 인식하여 상기 윈도우 상세정보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한 사용패턴 모니터링 방법.
  8.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조합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9.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패턴을 모니터링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임의의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윈도우(window)가 생성되면 상기 윈도우의 타이틀을 취득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속성을 인식하고, 비교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타이틀에 포함된 텍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속성에 상응하는 항목을 갖는 윈도우 상세정보를 인식하는 프로그램인식부;
    상기 윈도우 상세정보에 상응하도록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이력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하는 이력관리부; 및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사용패턴을 모니터링하는 패턴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사용패턴을 모니터링하는 컴퓨팅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인식부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이 어떠한 프로그램인지에 대한 프로그램정보를 운영체제 또는 상기 타이틀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패턴을 모니터링하는 컴퓨팅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인식부는 상기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이 웹 브라우저인 경우 접속한 사이트명을, 도구프로그램인 경우 파일명을 상기 윈도우 상세정보로써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패턴을 모니터링하는 컴퓨팅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관리부는 상기 윈도우가 실행된 총 시간 또는 상기 윈도우가 활성화된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이력정보로써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패턴을 모니터링하는 컴퓨팅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패턴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메인 관리 서버에 백업(backup)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사용패턴을 모니터링하는 컴퓨팅 장치.
KR1020100000823A 2010-01-06 2010-01-06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한 사용패턴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49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823A KR100949183B1 (ko) 2010-01-06 2010-01-06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한 사용패턴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JP2010141953A JP4960481B2 (ja) 2010-01-06 2010-06-22 ウィンドウタイトルを用いた使用パターンのモニタリング方法及び装置
US13/510,199 US20120227046A1 (en) 2010-01-06 2010-09-14 Method and apparartus for monitoring usage patterns by utilizing window titles
PCT/KR2010/006257 WO2011083902A1 (ko) 2010-01-06 2010-09-14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한 사용패턴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823A KR100949183B1 (ko) 2010-01-06 2010-01-06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한 사용패턴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183B1 true KR100949183B1 (ko) 2010-03-23

Family

ID=42183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82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49183B1 (ko) 2010-01-06 2010-01-06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한 사용패턴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227046A1 (ko)
JP (1) JP4960481B2 (ko)
KR (1) KR100949183B1 (ko)
WO (1) WO201108390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034B1 (ko) * 2016-12-23 2019-01-11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응용프로그램 개체 검색 방법 및 모듈
CN112445556A (zh) * 2019-08-29 2021-03-05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一种演示文稿播放时间提醒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01108A1 (de) * 2014-01-28 2015-07-30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Verfahren zum nutzungsgesteuerten Update eines Softwareprodukts
US20150224268A1 (en) 2014-02-07 2015-08-13 R.J. Reynolds Tobacco Company Charging Accessory Device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and Related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Interactive Services for Aerosol Delivery Devices
KR101690528B1 (ko) * 2015-06-05 2016-12-28 오드컨셉 주식회사 검색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4461233B (zh) * 2014-10-14 2020-07-1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微件widget显示应用的方法及移动终端
JP6806249B2 (ja) * 2017-06-19 2021-01-06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2230406B2 (en) 2020-07-13 2025-02-18 Vignet Incorporated Increasing diversity and engagement in clinical trails through digital tools for health data collection
US12211594B1 (en) 2021-02-25 2025-01-28 Vignet Incorporated Machine learning to predict patient engagement and retention in clinical trials and increase compliance with study aims
US11281553B1 (en) 2021-04-16 2022-03-22 Vignet Incorporated Digital systems for enrolling participants in health research and decentralized clinical trials
US11789837B1 (en) * 2021-02-03 2023-10-17 Vignet Incorporated Adaptive data collection in clinical trials to increase the likelihood of on-time completion of a trial
US11586524B1 (en) * 2021-04-16 2023-02-21 Vignet Incorporated Assisting researchers to identify opportunities for new sub-studies in digital health research and decentralized clinical trials
US12248384B1 (en) 2021-02-25 2025-03-11 Vignet Incorporated Accelerated clinical trials using patient-centered, adaptive digital health tools
US12248383B1 (en) 2021-02-25 2025-03-11 Vignet Incorporated Digital systems for managing health data collection in decentralized clinical tria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726A (ko) * 1998-05-12 1998-07-25 안태균 윈도우 시스템에서의 응용프로그램의 이력관리 방법
KR20050117152A (ko) * 2004-06-09 2005-12-14 주식회사 월드모닝 개인용 컴퓨터에서 유해단어 차단 방법 및 컴퓨터 사용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609839B1 (ko) 2004-06-08 2006-08-08 (주)파인핸즈 인터넷 유해정보 접촉 관제방법
KR20090090678A (ko) * 2008-02-21 2009-08-26 김종근 화면캡쳐 기반 컴퓨터 사용 이력 블랙박스 및 모니터링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5510A (en) * 1995-06-07 1997-10-07 Pc Meter L.P. Computer use meter and analyzer
ES2288467T3 (es) * 1999-10-26 2008-01-16 Iontas Limited Supervision de la utilizacion de ordenadores.
JP2002207612A (ja) * 2001-01-12 2002-07-26 Hitachi Ltd ログ解析方法及びその実施装置並びにその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50059516A (ko) * 2003-12-15 2005-06-21 주식회사 니오커뮤니케이션 피씨방에서의 프로그램 사용 행태 분석을 위한 데이터수집 및 통계분석 서비스 제공방법
JP2005332345A (ja) * 2004-05-21 2005-12-02 Lightwell Co Ltd 行動管理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端末、行動管理サーバ、管理者端末、監視プログラム、行動管理プログラム、及び制限設定プログラム
KR100788130B1 (ko) * 2004-09-17 2007-12-21 주식회사 케이티 Dns 서버의 cpu 이용율 관리방법 및 그 이용율관리시스템
JP2007272655A (ja) * 2006-03-31 2007-10-18 Nec Corp プロジェク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ジェクト管理方法
JP2008310514A (ja) * 2007-06-13 2008-12-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ユーザ操作履歴取得表示装置、ユーザ操作履歴取得表示方法、ユーザ操作履歴取得表示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397404B2 (ja) * 2007-07-04 2010-01-13 Sky株式会社 端末管理装置及び端末管理プログラム
US20090132579A1 (en) * 2007-11-21 2009-05-21 Kwang Edward M Session audit manager and method
US9053088B2 (en) * 2008-03-31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Displaying mnemonic abbreviations for commands
US20100095219A1 (en) * 2008-10-15 2010-04-15 Maciej Stachowiak Selective history data structures
US8719820B2 (en) * 2008-12-17 2014-05-06 Safe Outlook Corporation Operating system shutdown reversal and remote web monitor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726A (ko) * 1998-05-12 1998-07-25 안태균 윈도우 시스템에서의 응용프로그램의 이력관리 방법
KR100609839B1 (ko) 2004-06-08 2006-08-08 (주)파인핸즈 인터넷 유해정보 접촉 관제방법
KR20050117152A (ko) * 2004-06-09 2005-12-14 주식회사 월드모닝 개인용 컴퓨터에서 유해단어 차단 방법 및 컴퓨터 사용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90678A (ko) * 2008-02-21 2009-08-26 김종근 화면캡쳐 기반 컴퓨터 사용 이력 블랙박스 및 모니터링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034B1 (ko) * 2016-12-23 2019-01-11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응용프로그램 개체 검색 방법 및 모듈
CN112445556A (zh) * 2019-08-29 2021-03-05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一种演示文稿播放时间提醒方法及装置
CN112445556B (zh) * 2019-08-29 2023-09-12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一种演示文稿播放时间提醒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3902A1 (ko) 2011-07-14
US20120227046A1 (en) 2012-09-06
JP2011141861A (ja) 2011-07-21
JP4960481B2 (ja)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183B1 (ko) 윈도우 타이틀을 이용한 사용패턴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US10275606B2 (en) Indexing and searching documents with restricted portions
US8577846B1 (en) Autosave functionality
US20170075513A1 (en) Surf Software
US8112404B2 (en) Providing search results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TWI566159B (zh) 用於相關網站的決定和顯示的電腦實施方法及系統
US8584001B2 (en) Managing bookmarks in applications
US9697500B2 (en) Presentation of information describing user activities with regard to resources
US20150242474A1 (en) Inline and context aware query box
US20170154121A1 (en) Selectively deleting items that are not of interest to a user
US11657228B2 (en) Recording and analyzing user interactions for collaboration and consumption
Gomes et al. A study of cross-session cross-device search within an academic digital library
CN111339098A (zh) 一种权限管理方法、数据查询方法及装置
US8843882B1 (en) Systems, methods, and algorithms for software source code analytics and software metadata analysis
US11068853B2 (en) Providing calendar utility to capture calendar event
US10360234B2 (en) Recursive extractor framework for forensics and electronic discovery
WO2018057401A1 (en) Preserve input focus while scrolling in a virtualized dataset
CN115577078B (zh) 一种工程造价审计信息检索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US20100057733A1 (en)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apparatus for enabling access to enterprise information
US8132090B2 (en) Dynamic creation of symptom databases from social bookmarks
CN114201157A (zh) 一种低代码定制目标业务模块的方法以及系统
WO2017053155A1 (en) Intelligent tabular big data presentation in search environment based on prior human input configuration
EP3776248A1 (en) Milestones in file history timeline of an electronic document
JP2013171495A (ja) データ管理装置、データ管理方法及び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
US11663542B2 (en) Electronic knowledge creation and management visual transformation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3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3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