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059B1 - 강재 케이싱 토류벽을 이용한 도로확장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강재 케이싱 토류벽을 이용한 도로확장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48059B1 KR100948059B1 KR1020090022659A KR20090022659A KR100948059B1 KR 100948059 B1 KR100948059 B1 KR 100948059B1 KR 1020090022659 A KR1020090022659 A KR 1020090022659A KR 20090022659 A KR20090022659 A KR 20090022659A KR 100948059 B1 KR100948059 B1 KR 1009480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ad
- wall
- casing
- casings
- excav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02D2250/0076—Dril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8)
- (a) 확장되는 도로 차선수를 고려하여 기존의 도로부지 경계(72)와 비탈면(70) 사이에 도로 양측으로 일정 길이와 높이로 제작된 선단부 내·외벽 케이싱(20,21)을 토류벽 설치위치에 거치하는 단계와;(b) 상기 선단부 내·외벽 케이싱(20,21) 사이의 지반을 굴착하면서 굴착토를 외부로 반출하고, 굴착과 동시에 선단부 내·외벽 케이싱(20,21)은 그 자중으로 굴착 바닥면(50)까지 침하굴진하는 단계와;(c) 상기 선단부 내·외벽 케이싱(20,21)의 높이보다 일정 정도 적은 심도의 굴착 및 선단부 내·외벽 케이싱(20,21)의 굴진이 완료되면, 상기 선단부 내·외벽 케이싱(20,21)의 상부에 동일한 길이 및 형상의 중간 연결부 내·외벽 케이싱(30,31)을 설치한 후 결합부위를 이음 처리하는 단계와;(d) 상기 선단부 내·외벽 케이싱(20,21)과 중간 연결부 내·외벽 케이싱(30,31) 간의 이음이 완료되면, 다시 상기 선단부 내·외벽 케이싱(20,21) 사이의 지반을 굴착하고 굴착과 동시에 내·외벽 케이싱 구체(10)는 굴착 바닥면(50)까지 침하굴진하는 단계와;(e) 상기 중간 연결부 내·외벽 케이싱(30,31) 간의 이음과 굴착과정을 토류벽의 설계 심도까지 반복하고, 도로확장을 위해 비탈면(70)과 도로 양측 토류벽 사이를 케이싱 구체(10) 내부 굴착토를 활용하여 성토하고 아스콘으로 기존 도로(73)의 레벨을 고려하여 포장시공하는 단계, 및(f) 강재 케이싱 토류벽 상부에 복층 도로의 시공을 하는 경우에는, 도로 양측으로 설치된 상기 중간 연결부 내·외벽 케이싱(30,31)을 설계 높이까지 반복이음 시공하고, 기존의 도로부지 경계(72)와 비탈면(70) 사이에 도로 양측으로 설치된 강재 케이싱 토류벽 시공방법과 동일하게 도로 중앙분리대 부분에도 이중 강재 케이싱(11)을 이용하여 지중과 지상부에 설계 심도 및 높이까지 토류벽을 설치하되, 지상에 노출되는 도로 양측과 중앙 분리대 부분의 이중 강재 케이싱(10,11)은 기둥이나 교각 형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부 구간에서만 시공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케이싱 토류벽을 이용한 도로확장 시공방법.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토류벽인 케이싱 구체(10) 내부 굴착 바닥면(50)에는 지하수 유입 차단을 위해 수밀 콘크리트(60)를 타설하고, 케이싱 구체(10) 내부의 일정 높이 이하로는 외부 지중 응력에 대한 지지력의 증가를 위해 조약돌 콘크리트(61)나 골재로 채우는 단계가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케이싱 토류벽을 이용한 도로확장 시공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수직 굴착면(51)의 붕괴방지와 케이싱 외부에서 작용하는 지중 응력의 분산 및 케이싱과 수직 굴착면(51) 사이의 마찰감소를 위해 케이싱과 수직 굴착면(51) 사이의 여굴부(52)에 충진재(53)를 채우기 위해 상기 선단부 내·외벽 케이싱(20,21) 각각의 외면에 충진재(53)를 굴착 전에 미리 쌓아 놓아두는 단계가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케이싱 토류벽을 이용한 도로확장 시공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복층도로 상판(80)이 교각 역할을 하는 도로 양측의 중간 연결부 내·외벽 케이싱(30,31)과 중앙부 이중 강재 케이싱(11) 상단에 교좌장치(83)와 함께 거치되는 단계가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케이싱 토류벽을 이용한 도로확장 시공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도로 양측의 중간 연결부 내·외벽 케이싱(30,31)과 중앙부 이중 강재 케이싱(11) 사이의 기존 도로(73)를 굴착하고 다시 일정 높이로 슬라브 콘크리트(84)를 타설하게 되면, 슬라브 콘트리트(84)는 다시 도로로 활용할 수 있고 상기 도로 하부에는 공동구(63)가 형성되는 단계가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케이싱 토류벽을 이용한 도로확장 시공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도로 양측과 중앙 분리대 부분의 케이싱 구체(10,11)는 일정한 두께의 고인장·고강도 강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케이싱 토류벽을 이용한 도로확장 시공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싱 구체(10) 내부에 조약돌 콘크리트(61)를 채우고 난 후에 형성된 공간인 공동구(62)를 오·폐수관로 등 각종 관로의 통로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케이싱 토류벽을 이용한 도로확장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2659A KR100948059B1 (ko) | 2009-03-17 | 2009-03-17 | 강재 케이싱 토류벽을 이용한 도로확장 시공방법 |
PCT/KR2009/001558 WO2010104234A1 (ko) | 2009-03-09 | 2009-03-27 | 강재 케이싱 토류벽 구조와 그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하천제방정비와 도로확장 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2659A KR100948059B1 (ko) | 2009-03-17 | 2009-03-17 | 강재 케이싱 토류벽을 이용한 도로확장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48059B1 true KR100948059B1 (ko) | 2010-03-19 |
Family
ID=42183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2659A KR100948059B1 (ko) | 2009-03-09 | 2009-03-17 | 강재 케이싱 토류벽을 이용한 도로확장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48059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0250A (ko) | 2014-06-24 | 2016-01-04 | 전순남 | 가공 장치와 이에 의해 가공되는 가공물, 및 가공 방법 |
CN107100046A (zh) * | 2017-06-26 | 2017-08-29 | 江苏中路工程技术研究院有限公司 | 一种无障碍道路通道结构 |
CN112081131A (zh) * | 2020-08-06 | 2020-12-15 | 中交二公局东萌工程有限公司 | 一种钢护筒承台工艺 |
KR102649546B1 (ko) * | 2023-08-11 | 2024-03-20 | 박정일 | 케이싱을 통한 연약 지반 굴착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141207U (ko) | 1976-04-22 | 1977-10-26 | ||
US5902075A (en) | 1994-09-12 | 1999-05-11 | Wolfgang Richter | Trench falsework system |
JP2001207445A (ja) * | 2000-01-24 | 2001-08-03 | Ki Kyo | 地下連続壁の施工方法 |
JP2007009562A (ja) | 2005-06-30 | 2007-01-18 | Kumagai Gumi Co Ltd | 拡幅部を有するシールドトンネル内道路の施工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セグメント |
-
2009
- 2009-03-17 KR KR1020090022659A patent/KR10094805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141207U (ko) | 1976-04-22 | 1977-10-26 | ||
US5902075A (en) | 1994-09-12 | 1999-05-11 | Wolfgang Richter | Trench falsework system |
JP2001207445A (ja) * | 2000-01-24 | 2001-08-03 | Ki Kyo | 地下連続壁の施工方法 |
JP2007009562A (ja) | 2005-06-30 | 2007-01-18 | Kumagai Gumi Co Ltd | 拡幅部を有するシールドトンネル内道路の施工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セグメント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0250A (ko) | 2014-06-24 | 2016-01-04 | 전순남 | 가공 장치와 이에 의해 가공되는 가공물, 및 가공 방법 |
CN107100046A (zh) * | 2017-06-26 | 2017-08-29 | 江苏中路工程技术研究院有限公司 | 一种无障碍道路通道结构 |
CN112081131A (zh) * | 2020-08-06 | 2020-12-15 | 中交二公局东萌工程有限公司 | 一种钢护筒承台工艺 |
KR102649546B1 (ko) * | 2023-08-11 | 2024-03-20 | 박정일 | 케이싱을 통한 연약 지반 굴착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042716B (zh) | 泡沫轻质土高填方路基拓宽施工方法 | |
CN101509263A (zh) | 钢盖板盖挖法基坑结构及其施工方法 | |
CN107740339A (zh) | 一种用于运营公路治理桥头跳车的刚度加强型桥头结构及施工方法 | |
CN101215815A (zh) | 适于陡峻山区的整体式悬挑结构复合道路的修筑方法 | |
CN111411637A (zh) | 高陡地形泡沫混凝土轻质路堤结构及施工方法 | |
KR20210078779A (ko) | 강제지중연속벽으로 시공완료 후 상부슬래브 상단과 노면 사이의 상부연속벽체구조물을 제거한 탑-다운 방식의 지하차도 및 그의 시공 방법 | |
KR100948059B1 (ko) | 강재 케이싱 토류벽을 이용한 도로확장 시공방법 | |
CN111441789B (zh) | 高陡地形桥隧衔接先填后挖泡沫混凝土过渡结构及施工方法 | |
KR20080025478A (ko) | 비개착식 터널굴착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설치된터널구조체 | |
CN111705576A (zh) | 一种采用高密度eps填料的陡坡高填路基结构 | |
CN114575208A (zh) | 一种便于预制安装的陡坡路基结构 | |
CN108708290A (zh) | 小半径铁路曲线单元的箱桥架空结构及现浇施工方法 | |
CN109853624B (zh) | 一种针对既有高速公路矩形涵洞的扩建施工方法 | |
KR100963880B1 (ko) | 강재 케이싱 토류벽을 이용한 지하광장 굴착공법 | |
CN110230238B (zh) | 铁路线路防护装置及防护方法 | |
KR100948060B1 (ko) | 강재 케이싱 토류벽을 이용한 하천제방 정비공법 | |
WO2010104234A1 (ko) | 강재 케이싱 토류벽 구조와 그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하천제방정비와 도로확장 공법 | |
KR101234091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직접 설치를 통한 철도지하횡단 공법 | |
CN112900181B (zh) | 沥青路面薄层加宽的施工方法 | |
CN212247676U (zh) | 一种既有铁路路基地下排水系统重建结构 | |
CN212130501U (zh) | 高陡地形桥隧衔接先填后挖泡沫混凝土过渡结构 | |
CN110364958B (zh) | 一种在路基上布设电缆槽的方法 | |
CN210561510U (zh) | 铁路线路防护装置 | |
CN114351567A (zh) | 一种新型路桥衔接结构及施工方法 | |
CN114922017B (zh) | 一种新建悬臂式挡土墙-既有桩板墙路基帮宽组合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4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3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