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477B1 - Beverage container with chin rest - Google Patents
Beverage container with chin res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47477B1 KR100947477B1 KR1020090075676A KR20090075676A KR100947477B1 KR 100947477 B1 KR100947477 B1 KR 100947477B1 KR 1020090075676 A KR1020090075676 A KR 1020090075676A KR 20090075676 A KR20090075676 A KR 20090075676A KR 100947477 B1 KR100947477 B1 KR 1009474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nk
- locking jaw
- beverage
- beverage container
- drinking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0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0349 pul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1100327917 Caenorhabditis elegans chup-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02 health probl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음료 섭취를 위한 사용상의 편의성과 위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용자가 그립 가능한 크기를 가지되, 내부에 음료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단에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몸체; 및 상기 배출부에 근접한 상기 몸체의 상부 소정위치에서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상기 배출부가 상기 음용자의 입과 이격된 채로 상기 음료가 배출되도록 상기 음용자의 아랫 입술 하측으로부터 턱까지의 일측 부분에 접촉 지지되는 소정 크기의 걸림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걸림턱을 구비한 음료용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ze that can be gripped by the drink in order to improve the ease of use and hygiene for the drink intake, the space is formed therein is accommodated in the drink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ion is discharged at the top; And one side from the lower lip to the chin of the drink so that the beverage is discharged while the outlet is protruded outwardly from the body at an upper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ody proximate to the outlet so that the outlet is spaced apart from the drinker's mouth. It provides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locking jaw comprising a locking jaw of a predetermined size supported in contact with.
Description
본 발명은 걸림턱을 구비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 섭취를 위한 사용상의 위생성과 편의성이 향상되는 걸림턱을 구비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locking jaw,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locking jaw to improve the hygiene and convenience in use for drinking.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는 사용자가 섭취하는 물이나 음료수 등의 음료를 수용하는 용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음료의 수용 용량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진다.In general, the beverage container refers to a container for receiving a beverage such as water or beverages ingested by the user, and has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storage capacity of the beverage.
특히, 이러한 음료용기는 사용자가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휴대가능한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보편적이다.In particular, such a beverage container is generally manufactured to be portable siz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rink from the outsi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음료용기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도 1은 종래의 음료용기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음료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여기서, 도 1의 (a)는 음료병이며, 도 1의 (b)는 커버부를 구비한 커버물병이고, 도 2는 도 1의 (a)의 음료병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and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Here, Figure 1 (a) is a beverage bottle, Figure 1 (b) is a cover water bottle provided with a cover portion, Figure 2 shows the state of use of the beverage bottle of Figure 1 (a).
도 1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음료용기인 음료병(10)은 내측에 음료가 수용되는 몸체(12)와, 상기 몸체(12)의 상단에 상기 몸체(12)의 내측에 수용 된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부(13a)가 형성된 병목부(13)와, 상기 병목부(13)와 스크류 결합되어 상기 배출부(13a)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뚜껑부(미도시)로 구성된다.As shown in (a) of FIG. 1, the
한편, 도 1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다른 음료용기인 커버물병(20)은 상술한 음료병(10)과 동일명칭의 몸체(22), 병목부(23), 배출부(23a)의 구성이 동일하되, 몸체(22) 내부에 음료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몸체(22)의 상단부가 분리되어 스크류 결합되게 이루어진 커버부(26)와, 상기 커버부(26)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어 끼움결합에 의한 압착으로 상기 배출부(23a)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뚜껑부(24)로 구성되며, 상기 병목부(23)와 배출부(23a)는 커버부(26)에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b), the other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이와 같이, 종래의 음료용기들(10, 20)은 음용자가 컵없이 음료를 섭취할 경우에 음료를 흘리지 않도록 병목부(13, 23)의 일측에 입을 접촉시킨 후 몸체(12, 22)를 들어올려 음료를 섭취한다.(도 11 및 도 12의 각 (a) 참조) 이러한 것은 컵의 경우에도 동일하다.(도 10의 (a) 참조)As described above, the
그러나, 이러한 음료용기(10, 20)는 재활용되어 사용되거나 여러 번에 걸쳐 나눠 마시는 것이 보편적이므로 병목부(12, 23)가 이물질로 쉽게 오염될 수 있으며 오염된 병목부(13, 23)에 사용자의 입이 접촉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더욱이, 사용자가 병목부(13, 23)에 입을 접촉시켜 음료를 섭취하면 입 속의 침과 음료가 혼합되어 다시 몸체(12, 22)에 수용되는데, 이때 침 속에 전염성 세균이 있을 경우에는 다른 사용자가 음용함에 따라 질병이 전염되는 위생상 심각한 문 제점이 있었다.Furthermore, when the user contacts the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러한 비위생적인 것을 우려하여 여러 사용자가 음용할 경우에 병목부(13, 23)와 간격을 두고 입에 붓는 방식으로 음료를 섭취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배출부(13a, 23a)가 입과 떨어져 정확하게 조준할 수 없음에 따라 입 주위로 흘러내리는 음료에 의해 비위생적이 음용을 유발하며 병목부(13, 23)의 좁은 배출부(13a, 23a)에 의한 병목 현상으로 몸체(12, 22) 내측의 음료가 맥동 유동으로 배출됨에 따라 음료가 입 안에 과다하게 유입되어 기침을 유발하고, 의류가 오염되는 등의 음료 섭취를 위한 사용상의 많은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in the case of drinking by several users due to such an unsanitary concern, the beverage may be ingested by pouring into the mouth at intervals from the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음용자가 음료용기에 입을 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음료를 섭취함으로써 사용상의 위생성과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걸림턱을 구비한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by drinking the drink to support the drink stably without drinking in the beverage container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hygiene and convenience in us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locking jaw.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음용자가 그립 가능한 크기를 가지되, 내부에 음료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단에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몸체; 및 그의 단부가 상기 음용자의 아랫 입술 하측으로부터 턱까지의 일측 부분에 접촉된 채로 상기 몸체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배출부가 입과 이격된 채로 상기 음료가 상기 음용자의 입으로 배출되도록, 그의 단부로부터 상기 배출부에 이르는 회전반경이 상기 음용자의 입으로부터 그의 단부가 지지되는 지점까지의 거리에 대응되게 상기 몸체의 외측에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구비되는 소정 크기의 걸림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걸림턱을 구비한 음료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의 외측부에는 상기 음용자와의 접촉 부위가 증가되도록 상기 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함몰된 밀착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걸림턱의 상단부는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몸체 상단의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걸림턱의 외측부에는 상기 음용자와의 접촉 밀착력이 증대되도록 마찰수단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됨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ze that can be gripped by the drink, the body is formed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everage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ion is discharged at the top; And the discharge portion from its end such that the beverage is discharged into the drinker's mouth with the discharge portion spaced from the mouth by rotating the body with its end in contact with a portion from the lower lip to the chin of the drink. The beverage container having a locking jaw comprises a locking jaw of a predetermined size protruding round the outer side of the body to correspond to the distance from the mouth of the drinker to the point where the end is supported. to provide.
In addition, the outer side of the locking jaw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lose contact recessed roun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to increase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drinking.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step is inclined to be dispos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friction means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locking step to increase the contact adhesion with the drinking. The locking jaw is preferably protru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삭제delete
상기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걸림턱을 구비한 음료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beverage container with a locking jaw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음용자가 음료를 섭취할 때 음용자의 아랫 입술과 턱 사이의 일측 부분에 접촉 지지되어 회전축이 되는 걸림턱이 음료용기에 구비됨으로써, 안정적인 음료 섭취가 가능함과 동시에 음료를 섭취할 때 음용자의 입이 음료용기에 닿지 않으므로 음용자가 여러 번에 걸쳐 음용할 시 기존의 음료용기에 묻은 입속의 침이 변질되어 발생하는 세균증식과 악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처리하기 위한 살균소독이 불필요하여 사용상의 위생성과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First, when a drinker ingests a drink, the jaw that is supported by one side between the lower lip and the chin of the drink and is rotated therein is provided in the drink container. Because it does not touch the beverage container, it can prevent bacterial growth and odor caused by deterioration of the saliva in the mouth of the existing beverage container when drinking the drink several times. Performance and convenienc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더욱이, 여러 사람이 입을 대지 않고 함께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러 사람이 교차 음용하더라도 불쾌감이나 거부감이 없어 소비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다.Moreover, since several people can use together without having to wear it, even if several people cross drink, there is no discomfort or rejection, which can give satisfaction to consumers.
둘째, 걸림턱의 외측부에는 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함몰된 밀착부가 구비됨으로써, 음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음료용기의 부위가 증가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Second, the outer portion of the locking jaw is provided with a close contact recessed round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so that the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in contact with the drinker's skin can be increased to be stably supported.
셋째, 걸림턱의 외측부에는 패드가 구비됨으로써, 음용자와의 접촉 밀착력이 증대되어 음료용기가 음용자의 피부로부터 미끄러짐 등이 방지될 수 있다.Third, the pad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locking jaw, the contact adhesion with the drink is increased to prevent the beverage container from slipping from the drinker's ski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인데, 도 3의 (a)는 사시도이며 (b)는 측면도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음료용기 중 컵에 관한 것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is a perspective view and (b) is a side view. Here,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cup of a beverage container.
도 3의 (a) 및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는 몸체(110), 걸림턱(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3, the
상세히, 상기 몸체(110)는 음용자가 그립 가능한 크기를 가지는데, 상기 몸체(110)는 내부에 음료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단에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부(111)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부(111)는 컵(100)의 경우에는 상단의 개구부를 말하며 기타 음료병(도 4의 300 참조), 커버물병(도 5의 400 참조) 등의 용기에서는 상단의 홀 형상을 말한다.In detail, the
여기서, 상기 몸체(110)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제한없이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 종이, 합성수지, 합금 등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그의 형상 및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몸체의 외면에는 손잡이(미도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몸체(110)의 상단에는 상기 배출부(111)를 둘러싼 외형의 일측이 음료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변형된 배출안내부(11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의 접촉 부위에 대한 안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는 음용자가 그립 가능한 크기를 가진다는 것은 음용자의 한 손 또는 두손으로 잡을 수 있는 크기를 말한다.Here, the
한편, 상기 배출부(111)에 근접한 상기 몸체(110)의 상부 소정위치에서 상기 몸체(110)의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상기 배출부(111)가 상기 음용자의 입 과 이격된 채로 상기 음료가 배출되도록 상기 음용자의 아랫 입술 하측으로부터 턱까지의 일측 부분에 접촉 지지되는 소정 크기의 걸림턱(120)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beverage is protruded round the outside of the
여기서, 상기 걸림턱(120)은 그의 상단부가 음용자의 아랫 입술과 턱 사이의 일측 부분에 지지되도록 상기 배출부(111)의 하측에 배치되어 돌출된다. 이러한 돌출 형상은 음료용기(100)의 재질에 따라 사출 성형, 주물 성형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되는데, 이의 구현이 용이하므로 제작이 편리하다. 상기 걸림턱(120)은 음용자의 턱뼈 주위에 지지될 수 있는 소정의 폭을 가진다. 또한, 상기 걸림턱(120)이 음용자의 아랫 입술 하측으로부터 턱까지의 일측 부분에 접촉 지지된다는 것은 걸림턱(120)이 음용자의 입에 접촉되지 않게 음용자의 아랫 입술의 하측으로부터 턱 까지의 어느 한 부분에 접촉 지지됨은 물론 음용자의 턱을 걸림턱(120)에 받치는 것도 포함한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111)가 상기 음용자의 입과 이격된 채로 상기 음료가 배출된다는 것은 상기 몸체(110)가 음료 섭취를 위해 회전될 때 상기 걸림턱(120)에 지지되어 회전됨으로써 음용자의 입에 닿지 않게 회전됨을 말한다.Here, the
그리고, 상기 걸림턱(120)은 상기 몸체(110)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이 되되, 그의 단부로부터 상기 배출부(111)에 이르는 회전반경이 상기 몸체의 회전으로 상기 음용자의 입과 이격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걸림턱(120)은 상기 회전반경이 상기 음용자의 입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최소한의 길이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실질적으로 얼굴 크기가 제각각인 사람들도 아랫 입술로부터 턱 사이의 특정 부분(예컨대, 움푹한 곳)까지의 거리가 거의 동일함에 기인하므로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턱(120)의 입과의 간격은 길이와 각도에 있어서 인간 공학적 설계가 반영됨이 바람직하다.And, the
즉, 상기 걸림턱(120)은 음용이 용이하도록 음료용기(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축이 됨과 동시에 상기 몸체(110)의 상단부 즉 상기 배출부(111)의 주위가 음용자의 입에 닿지 않도록 회전반경이 유지되는 회전축이 된다.That is, the
따라서, 걸림턱(120)은 음용자의 입이 음료용기(100)의 배출부(111) 주위에 닿지 않게 하며 안정적인 음료 섭취가 가능하게 한다.Therefore, the
이를 통하여, 음용시 음료용기(100)에 음용자의 입이 접촉되지 않으므로 위생적인 음용이 가능하며 대신 음용자의 아랫 입술과 턱 사이의 일측 부분에 걸림턱(120)을 지지하여 음료의 흘림없이 안정적으로 음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위생성과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drinker's mouth is not in contact with the
상세히, 음용자가 음료를 섭취할 때 음용자의 입이 음료용기(100)에 닿지 않으므로 음용자가 여러 번에 걸쳐 음용할 시 기존의 음료용기에 묻은 입 속의 침이 변질되어 발생하는 세균증식과 악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처리하기 위한 살균소독이 불필요하여 사용상의 위생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음료용기(100)는 여러 사람이 입을 대지 않고 함께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러 사람이 교차 음용하더라도 불쾌감이나 거부감이 없어 소비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다.In detail, the drinker's mouth does not touch the
한편, 상기 걸림턱(120)의 외측부에는 상기 음용자와의 접촉 부위가 증가되도록 상기 몸체(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함몰된 밀착부(121)가 구비됨 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ide of the locking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부(121)는 상기 걸림턱(120)의 소정의 폭을 갖는 외측부에 음용자의 턱뼈 주위의 굴곡에 맞춰 라운드지게 홈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음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음료용기(100)의 부위가 증가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음료용기(100)가 음용자에게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음료의 흘림없이 음용을 가능하게 한다.That is, as shown, the
한편, 상기 걸림턱(120)의 하측에는 상기 걸림턱(12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음료가 자연스럽고 안정적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몸체(110)의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12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즉, 상기 함몰부(122)는 상기 배출부(111) 측으로 일시에 유입되는 음료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음료의 과다 배출에 따른 음용자의 음용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물론, 걸림턱은 함몰부의 구성없이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완만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the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인데, 도 4의 (a)는 사시도이며 (b)는 측면도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음료용기 중 음료병에 관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side view. Here,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beverage bottle in a beverage container.
도 4의 (a) 및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300)는 몸체(310) 및 걸림턱(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시되진 않았지만 뚜껑(미도시)이 몸체(310)의 상단부에 구비된 병목부(도 1의 13 참조)에 스크류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은 주지 관용되는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4, the
상세히, 상기 몸체(310)는 음용자가 그립 가능한 크기를 가지되, 내부에 음료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단에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부(311)가 구비된다.In detail, the
여기서, 상기 몸체(310)는 상부의 외주가 상향으로 좁아지는 병목 부위를 갖는 원통형상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PET, 유리 등의 재질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그의 재질은 한정되지 아니한다.Here, the
한편, 상기 배출부(311)에 근접한 상기 몸체(310)의 상부 소정위치에서 상기 몸체(310)의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상기 배출부(311)가 상기 음용자의 입과 이격된 채로 상기 음료가 배출되도록 상기 음용자의 아랫 입술 하측으로부터 턱까지의 일측 부분에 접촉 지지되는 소정 크기의 걸림턱(320)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beverage is protruded round the outer side of the
여기서, 상기 걸림턱(320)은 그의 상단부가 음용자의 아랫 입술과 턱 사이의 일측 부분에 지지되도록 상기 배출부(311)의 하측에 배치되어 돌출된다. 이러한 돌출 형상은 음료용기(300)의 재질에 따라 사출 성형, 주물 성형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되는데, 이의 구현이 용이하므로 제작이 편리하다. 상기 걸림턱(320)은 음용자의 턱뼈 주위에 지지될 수 있는 소정의 폭을 가진다. 물론, 걸림턱은 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테두리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latching
그리고, 상기 걸림턱(320)은 상기 몸체(310)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이 되되, 그의 단부로부터 상기 배출부(311)에 이르는 회전반경이 상기 몸체의 회전으로 상기 음용자의 입과 이격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걸림턱(320)은 상기 회전반경이 상기 음용자의 입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최소한의 길이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턱(320)은 병목부(도 1의 13 참조)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됨이 바람직하다.And, the locking
즉, 상기 걸림턱(320)은 음용이 용이하도록 음료용기(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축이 됨과 동시에 상기 몸체(310)의 상단부 즉 상기 배출부(311)의 주위가 음용자의 입에 닿지 않도록 회전반경이 유지되는 회전축이 된다.That is, the locking
따라서, 걸림턱(320)은 음용자의 입이 음료용기(300)의 배출부(311) 주위에 닿지 않게 하며 안정적인 음료 섭취가 가능하게 한다.Therefore, the locking
이를 통하여, 음용시 음료용기(300)에 음용자의 입이 접촉되지 않으므로 위생적인 음용이 가능하며 대신 음용자의 아랫 입술과 턱 사이의 일측 부분에 걸림턱(320)을 지지하여 음료의 흘림없이 안정적으로 음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위생성과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한편, 상기 걸림턱(320)의 외측부에는 상기 음용자와의 접촉 부위가 증가되도록 상기 몸체(310)의 외주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함몰된 밀착부(32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ide of the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부(321)는 상기 걸림턱(320)의 소정의 폭을 갖는 외측부에 음용자의 턱뼈 주위의 굴곡에 맞춰 라운드지게 홈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음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음료용기(300)의 부위가 증가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음료용기(300)가 음용자에게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음료의 흘림없이 음용을 가능하게 한다.That is, as shown, the
한편, 상기 걸림턱(320)의 하측에는 상기 걸림턱(32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음료의 맥동 유동에 의한 배출이 완화되도록 상기 몸체(310)의 내측으로 함몰된 함 몰부(32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즉, 상기 함몰부(322)는 상기 배출부(311) 측으로 일시에 유입되는 음료의 양을 일시적으로 완화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음료의 맥동 유동에 의한 배출에 따른 음용자의 음용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That is, the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인데, 도 5의 (a)는 사시도이며 (b)는 측면도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상측에 커버부가 구비되는 커버물병에 관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 is a perspective view and (b) is a side view. Here,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cover water bottle provided with a cover portion on the upper side.
도 5의 (a) 및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400)는 몸체(410), 커버부(430) 및 걸림턱(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a) and (b) of FIG. 5, the
상세히, 상기 몸체(410)는 음용자가 그립 가능한 크기를 가지되, 내부에 음료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단에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부(431)가 구비된다.In detail, the
여기서, 상기 몸체(410)는 상측에 음료의 수용을 위한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410)의 상단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커버부(4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430)에 배출부(431)가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몸체(410)와 이의 상부에 대응되는 커버부(430)의 형상 및 재질은 한정되지 아니한다.Here, the
한편, 상기 배출부(431)에 근접한 상기 몸체(410)의 상부 소정위치에서 상기 몸체(410)의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상기 배출부(431)가 상기 음용자의 입과 이격된 채로 상기 음료가 배출되도록 상기 음용자의 아랫 입술 하측으로부터 턱까지의 일측 부분에 접촉 지지되는 소정 크기의 걸림턱(420)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beverage is protruded round the outer side of the
여기서, 상기 걸림턱(420)은 그의 상단부가 음용자의 아랫 입술과 턱 사이의 일측 부분에 지지되도록 상기 배출부(431)의 하측에 배치되어 돌출된다. 이러한 돌출 형상은 음료용기(400)의 재질에 따라 사출 성형, 주물 성형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되는데, 이의 구현이 용이하므로 제작이 편리하다. 상기 걸림턱(420)은 음용자의 턱뼈 주위에 지지될 수 있는 소정의 폭을 가진다. 물론, 걸림턱은 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전반에 걸쳐 형성되는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locking
그리고, 상기 걸림턱(420)은 상기 몸체(410)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이 되되, 그의 단부로부터 상기 배출부(431)에 이르는 회전반경이 상기 몸체의 회전으로 상기 음용자의 입과 이격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걸림턱(420)은 상기 회전반경이 상기 음용자의 입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최소한의 길이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And, the locking
즉, 상기 걸림턱(420)은 음용이 용이하도록 음료용기(4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축이 됨과 동시에 상기 몸체(410)의 상단부 즉 상기 배출부(431)의 주위가 음용자의 입에 닿지 않도록 회전반경이 유지되는 회전축이 된다.That is, the locking
따라서, 걸림턱(420)은 음용자의 입이 음료용기(400)의 배출부(431) 주위에 닿지 않게 하며 안정적인 음료 섭취가 가능하게 한다.Therefore, the locking
이를 통하여, 음용시 음료용기(400)에 음용자의 입이 접촉되지 않으므로 위생적인 음용이 가능하며 대신 음용자의 아랫 입술과 턱 사이의 일측 부분에 걸림턱(420)을 지지하여 음료의 흘림없이 안정적으로 음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위생성과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drinker's mouth is not in contact with the
한편, 상기 걸림턱(420)의 외측부에는 상기 음용자와의 접촉 부위가 증가되도록 상기 몸체(410)의 외주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함몰된 밀착부(42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ide of the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부(421)는 상기 걸림턱(420)의 소정의 폭을 갖는 외측부에 음용자의 턱뼈 주위의 굴곡에 맞춰 라운드지게 홈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음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음료용기(400)의 부위가 증가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음료용기(400)가 음용자에게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음료의 흘림없이 음용을 가능하게 한다.That is, as shown, the close contact portion 421 is formed in a groove structure round the outer portion of the drinking jaw around the jawbone in the outer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f the
물론, 본 실시예에서 커버부를 분리하여 몸체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음료를 섭취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러한 경우에도 걸림턱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것처럼 걸림턱(420)의 하측은 몸체(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완만하게 경사짐은 물론 음료 배출을 완화시키는 함몰부(도 4의 322 참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ingest the beverage through the opening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by removing the cover in this embodiment, in which case the locking jaw can be usefully used. In addition, as shown,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인데, 도 6의 (a)는 사시도이며 (b)는 측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a) is a perspective view and (b) is a side view.
본 실시예의 걸림턱의 배치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커버부(530)의 일측에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이다.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arrangement of the locking step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thir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 characteristic of this embodiment is to have a locking step on one side of the
즉,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음료용기(500)는 몸체(510)가 그의 상부에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미도시)를 커버하는 커버 부(530)에 배출부(531)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530)의 외주에 걸림턱(520)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턱(520)은 병목부(도 1의 23 참조)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됨이 바람직하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6, the
따라서, 걸림턱(520)은 커버부(530)를 갖는 음료용기(500)의 커버부(530)에 구비된다. 이를 통하여, 걸림턱(520)이 형성된 커버부(530)만을 제작하여 기존의 커버물병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을 감소시키며 본 발명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Thus, the locking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인데, 도 7의 (a)는 사시도이며, 도 7의 (b)는 측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a) is a perspective view, Figure 7 (b) is a side view.
본 실시예의 걸림턱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 4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locking step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fourth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의 특징은 음용시 걸림턱의 상면이 음용자의 피부 표면에 접촉되어 발생될 수 있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밀착력을 증대시키는 형상으로 변형된 것이다.The characteristic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jaw during drinking is modified to increase the adhesion in order to prevent the slip that can be generated by contact with the skin surface of the drink.
즉,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걸림턱(720)의 상면에는 돌기 또는 홈이 커버부(73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주름 형상의 변형부(77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형부(770)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걸림턱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변형부(770)는 상기 주름 형상 이외에도 엠보싱 형상 등의 기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것처럼 몸체(710)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몸체(710) 내부에 수용된 음료의 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눈금과 수량표시가 구비됨 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걸림턱(720)의 외측부에는 전술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라운드지게 함몰된 밀착부(도 5의 531 참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7, the upper surface of the
따라서, 음용자가 음용을 위해 음료용기(7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음용자의 피부에 접촉지지되는 걸림턱(720)이 음료용기(700)의 회전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형상 변형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as the drinker rotates the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8 is a side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의 특징은 걸림턱과 음용자의 피부가 접촉성이 향상되도록 접촉 보조 부재인 패드가 더 구비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d is further provided as a contact auxiliary member to improve the contact between the locking jaw and the skin of the drink.
즉,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600)는 걸림턱(620)의 외측부에 상기 음용자와의 접촉 밀착력이 증대되도록 패드(65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650)는 음용자의 피부와 용기 표면 사이의 밀착성 향상을 위한 어떠한 재질이 사용되더라도 무방하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8, the
따라서, 음료용기(600)의 실질적인 접촉 부위가 음용자와의 접촉 밀착력이 증대되어 음료용기(600)가 음용자의 피부로부터 미끄러짐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더욱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다. 이러한 패드(650)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Therefore, a substantial contact portion of the
상술한 제 5 실시예 및 제 6 실시예처럼, 상기 걸림턱(620, 720)의 외측부에는 상기 음용자와의 접촉 밀착력이 증대되도록 마찰수단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 다. 상기 마찰수단은 상술한 변형부(770), 패드(650)를 포함한다.Like the fifth and six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outer side portions of the locking jaw (620, 72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friction means to increase the contact adhesion with the drink. The friction means includes the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인데, 도 9의 (a)는 사시도이며, 도 9의 (b)는 평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a) is a perspective view, Figure 9 (b) is a plan view.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의 특징은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걸림턱(920)이 몸체(9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전반에 걸쳐 형성된 것이다.A feature of this embodiment is that the locking
즉, 도 9의 (a) 및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걸림턱(920)은 몸체(9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920)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테두리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9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함몰된 밀착부(921)와 상기 걸림턱(920)의 상면에 상기 몸체(9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돌기 또는 홈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주름 형상의 변형부(97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밀착부, 함몰부, 패드 및 변형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중복 적용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9, the locking
따라서, 음료용기(900)는 걸림턱(920)이 배출부(911)의 측근에 음용자의 입에 닿지 않는 회전반경을 유지하는 회전축이 되도록 돌출되되, 몸체(9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테두리 형상으로 돌출됨으로써 음용자는 음료용기(900)의 접촉 방향에 구애됨이 없이 걸림턱(920)을 그의 아랫 입술과 턱 사이의 일측 부분에 접촉시켜 지지하고 몸체(900)를 회전시켜 자연스럽게 음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몸체의 음용을 위한 회전거리를 단축시키기 위해서 걸림턱이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돌출되어 걸림턱의 상단부가 몸체 상단의 상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order to shorten the rotation distance for drinking the body of the locking projection is projected to extend to be inclined upwardly,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jaw is dispos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body. Such a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to all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와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tate of use and effect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용상태를 종래의 것과 비교한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용상태를 종래의 것과 비교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용상태를 종래의 것과 비교한 예시도이다.10 is an exemplary view comparing the use state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conventional one, and FIG. 11 is comparing the use state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conventional one It is an illustration. In addition, Figure 12 is an exemplary view comparing the state of use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음료용기 중 컵의 경우에 도 10의 (a)는 종래의 컵(1)을 음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0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컵(100)을 음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rst, referring to FIG. 10, in the case of a cup in a beverage container, FIG. 10 (a) shows a state of drinking a
도 3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컵(1)은 음용시 컵(1)에 입이 닿게 되므로 컵(1)의 오염 여부와 또한 다수의 음용자의 사용에 의한 감염우려 등의 비위생적인 음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비위생적인 면을 방지하기 위해 일회용 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막대한 자원낭비가 되며, 버려지는 일회용 컵에 의해 환경이 오염된다.As shown in Figures 3 and 10, the conventional cup (1) is in contact with the cup (1) when drinking, so that the contamination of the cup (1) and also the unhealthy, such as infection concerns due to the use of a large number of drinking Drinking takes place. Therefore, when the disposable cup is used to prevent such an unsanitary side, it becomes a huge resource waste, and the environment is polluted by the discarded disposable cup.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컵(100)을 사용하면, 음용자가 걸림턱(120)을 음용자의 아랫 입술과 턱 사이의 일측 부분에 지지한 후 컵(100)을 들어올려 컵(100)이 회전되면서 음료가 입 속으로 유입된다. 이때, 걸림턱(120)이 컵(100)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이 되면서 컵(100)의 상단부 즉 컵(100)의 배출부(111)의 주위가 컵(100)의 회전에 의해 입에 닿지 않도록 최소한의 길이로 돌출된다. 따라서, 음용자는 컵(100)을 입에 대지 않고 안정적으로 음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위생성과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여러 사람이 위생적으로 함께 사용할 수 있어 일회용 컵의 사용으로 인한 막대한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using the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음료용기 중 음료병의 경우에 도 11의 (a)는 종래의 음료병(10)을 음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1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병(300)을 음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1, in the case of a beverage bottle in the beverage container, FIG. 11 (a) shows a state of drinking a
도 4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음료병(10)은 음용시 음료병(10)에 입이 닿게 되므로 비위생적인 음용이 이루어진다. 또한, 음료의 맥동 배출에 따른 음용의 불편이 따른다.As shown in Figures 4 and 11, the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음료병(300)을 사용하면, 음용자가 걸림턱(320)을 음용자의 아랫 입술과 턱 사이의 일측 부분에 지지한 후 음료병(300)을 들어올려 음료병(300)이 회전되면서 음료가 입 속으로 유입된다. 이때, 걸림턱(320)이 음료병(300)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이 되면서 음료병(300)의 상단부 즉 음료병(300)의 배출부(311)의 주위가 음료병(300)의 회전에 의해 입에 닿지 않도록 최소한의 길이로 돌출된다. 따라서, 음용자는 음료병(300)을 입에 대지 않고 안정적으로 음용할 수 있다. 또한, 걸림턱(320)의 하측에 함몰부(322)가 형성되어 음료의 맥동 배출을 일시적으로 완화하여 음용상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using the
한편, 도 12을 참조하면, 음료용기 중 커버부를 갖는 커버물병의 경우에 도 12의 (a)는 종래의 커버물병(20)을 음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2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물병(400)을 음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2, in the case of a cover water bottle having a cover portion of a beverage container, FIG. 12 (a) shows a state of drinking the conventional
도 5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커버물병(20)은 음용시 커버물병(20)에 입이 닿게 되므로 비위생적인 음용이 이루어진다. 또한, 음료의 맥동 배출에 따른 음용의 불편이 따른다.As shown in Figure 5 and Figure 12, the conventional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커버물병(400)을 사용하면, 음용자가 걸림턱(420)을 음용자의 아랫 입술과 턱 사이의 일측 부분에 지지한 후 커버물병(400)을 들어올려 커버물병(400)이 회전되면서 음료가 입 속으로 유입된다. 이때, 걸림턱(420)이 커버물병(400)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이 되면서 커버물병(400)의 상단부 즉 커버물병(400)의 배출부(431)의 주위가 커버물병(400)의 회전에 의해 입에 닿지 않도록 최소한의 길이로 돌출된다. 따라서, 음용자는 커버물병(400)을 입에 대지 않고 안정적으로 음용할 수 있다. 또한, 걸림턱은 커버부(도 6의 530 참조)에 구비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커버물병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using the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100, 300, 400, 500, 600, 700, 900)는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용기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므로 PET병, 캔, 종이팩 등의 모든 용기에 적용가능하며,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 하다.As described above,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300, 400, 500, 600, 700, 900)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ize that the user can hold with one or two hands Since it can be applied to all containers having a can be applied to all containers, such as PET bottles, cans, cartons, and als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it is obvious that such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음료용기들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s.
도 2는 종래의 음료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낸 측면도.8 is a side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9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용상태를 종래의 것과 비교한 예시도.10 is an exemplary view comparing the state of use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용상태를 종래의 것과 비교한 예시도.11 is an exemplary view comparing the state of use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용상태를 종래의 것과 비교한 예시도.12 is an exemplary view comparing the state of use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300, 400, 500, 600, 700, 900: 음료용기100, 300, 400, 500, 600, 700, 900: Beverage containers
110, 310, 410, 510, 610, 710, 910: 몸체110, 310, 410, 510, 610, 710, 910: body
120, 320, 420, 520, 620, 720, 920: 걸림턱120, 320, 420, 520, 620, 720, 920: hanging jaw
111, 311, 431, 531, 731, 911: 배출부111, 311, 431, 531, 731, 911: outlet
121, 321, 421, 521, 921: 밀착부121, 321, 421, 521, 921: close contact
430, 530, 730: 커버부430, 530, 730: cover part
122, 322, 622: 함몰부122, 322, 622: depression
650: 패드 770, 970: 변형부650: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5676A KR100947477B1 (en) | 2009-08-17 | 2009-08-17 | Beverage container with chin rest |
US13/384,460 US20120111879A1 (en) | 2009-08-17 | 2010-08-12 | Beverage container with a protrusion, and separable protrusion device for same |
CN201080035992.1A CN102548850B (en) | 2009-08-17 | 2010-08-12 | Beverage container with a protrusion, and separable protrusion device for same |
PCT/KR2010/005313 WO2011021809A2 (en) | 2009-08-17 | 2010-08-12 | Beverage container with a protrusion, and separable protrusion device for same |
JP2012523572A JP5476472B2 (en) | 2009-08-17 | 2010-08-12 | Beverage container having a protruding step and a separate protruding step device for the same |
EP10810117A EP2468644A4 (en) | 2009-08-17 | 2010-08-12 | Beverage container with a protrusion, and separable protrusion device for same |
TW099127458A TWI396650B (en) | 2009-08-17 | 2010-08-17 | Beverage container with chin rest protrusion and separable chin rest protrusion apparatus for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5676A KR100947477B1 (en) | 2009-08-17 | 2009-08-17 | Beverage container with chin res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47477B1 true KR100947477B1 (en) | 2010-03-17 |
Family
ID=42183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5676A KR100947477B1 (en) | 2009-08-17 | 2009-08-17 | Beverage container with chin rest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111879A1 (en) |
EP (1) | EP2468644A4 (en) |
JP (1) | JP5476472B2 (en) |
KR (1) | KR100947477B1 (en) |
CN (1) | CN102548850B (en) |
TW (1) | TWI396650B (en) |
WO (1) | WO2011021809A2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8644B1 (en) | 2010-07-13 | 2013-01-14 | 정수성 | separable chin rest protrusion apparatus for beverage container |
KR101750523B1 (en) * | 2016-02-12 | 2017-06-23 | 정우현 | Drinking assist for cup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840238S1 (en) | 2016-03-21 | 2019-02-12 | Swimc Llc | Storage container |
NL2017117B1 (en) * | 2016-07-06 | 2018-01-15 | Bi2 B V | DRINK BOTTLE |
CN107444769B (en) * | 2017-09-13 | 2018-07-06 | 杨益滔 | A kind of multipurpose bottle cap and bottl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37275U (en) * | 1996-09-06 | 1996-12-16 | 하용주 | Canned Drink |
KR19980034174U (en) * | 1996-12-10 | 1998-09-05 | 김종일 | Sanitary structure used for beverage can containers |
KR20070049289A (en) * | 2005-11-08 | 2007-05-11 | 곽동윤 | Drinking Bottle with Handle Jaw Base |
Family Cites Families (4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337979A (en) * | 1918-11-11 | 1920-04-20 | Henri E Marcil | Bottle |
US1443269A (en) * | 1921-08-13 | 1923-01-23 | Linden John Olov | Massage device |
US2121118A (en) * | 1936-02-24 | 1938-06-21 | Bernard H Cooper | Beverage container |
US2532729A (en) * | 1947-04-14 | 1950-12-05 | Jacob H Millstein | Candy containing novelty |
CH300303A (en) * | 1952-07-07 | 1954-07-31 | Novotny Hans | Drip catcher for bottles. |
US3130725A (en) * | 1962-08-06 | 1964-04-28 | Walter H Griesinger | Lip and jaw molding nipple |
US3297194A (en) * | 1965-02-23 | 1967-01-10 | Dow Chemical Co | Container |
US3696965A (en) * | 1971-01-15 | 1972-10-10 | Jack C Napper | Child{40 s liquid spill container |
USD251826S (en) * | 1977-08-03 | 1979-05-15 | Hartung Philip F | Combined comb and scalp massage bottle |
USD264795S (en) * | 1979-07-09 | 1982-06-08 | Strieber Edward M | Amusement pitcher |
USD268978S (en) * | 1981-06-29 | 1983-05-17 | Strieber Edward M | Amusement pitcher |
USD282442S (en) * | 1983-08-11 | 1986-02-04 | Kohnle Michael P | Beverage container |
USD293290S (en) * | 1985-04-29 | 1987-12-22 | Kim Young O | Mug |
USD302116S (en) * | 1985-05-13 | 1989-07-11 | Cassai Gino H | Beverage can |
US4925050A (en) * | 1986-03-03 | 1990-05-15 | Zhou Yu | Beverage can |
US4679702A (en) * | 1986-10-06 | 1987-07-14 | By Macaroni, Inc. | Sanitary drinking accessory for a metal beverage can |
US4728002A (en) * | 1987-02-02 | 1988-03-01 | Ybanez Israel G | Beverage can |
GB2243136B (en) * | 1989-11-13 | 1993-11-24 | Christos George Ionides | Drinking device and holder |
ES2046059B1 (en) * | 1991-04-20 | 1994-10-16 | Felemang S L | SAFETY DEVICE FOR LIFTING ELECTRIC MAGNETS. |
AU638927B3 (en) * | 1992-02-17 | 1993-07-08 | Graeme V. Landy | Safety drinking cap |
US6354458B1 (en) * | 1993-03-11 | 2002-03-12 | Nini Policappelli | Top for container |
USD366602S (en) * | 1994-06-22 | 1996-01-30 | 3D International Promotions Pty. Ltd. | Drinking straw dispenser |
US6648169B1 (en) * | 1994-09-30 | 2003-11-18 | Kenneth L. Berger | User friendly beverage can |
NL1001111C2 (en) * | 1995-08-31 | 1997-03-03 | Josephus Ignatius Matthias Jan | Beverage packaging. |
USD387622S (en) * | 1996-05-02 | 1997-12-16 | Young Hoon Lee | Container with lips |
USD392560S (en) * | 1996-10-31 | 1998-03-24 | Young Hoon Lee | Container with lips |
US6129687A (en) * | 1997-08-21 | 2000-10-10 | Powell; David | Rollable massaging device |
US5897010A (en) * | 1998-06-04 | 1999-04-27 | Soyka, Jr.; Richard Joseph | Bottle assembly |
US6024253A (en) * | 1999-03-29 | 2000-02-15 | Doctor; Alice Marie | Container including bottle for holding liquid and tube for holding a dropper |
US6112932A (en) * | 1999-08-20 | 2000-09-05 | Holdren; Ronald E. | Beverage can with flow enhancing sidewall structure |
US6206229B1 (en) * | 2000-06-01 | 2001-03-27 | Ross B. Harjes | Drinking cup with depressible buttons |
ES2227117T3 (en) * | 2000-12-01 | 2005-04-01 | Bent Hjort Olsen | DEVICE FOR DRINKING AND VERTERING THE CONTENT OF A CAN. |
US6450358B1 (en) * | 2001-01-22 | 2002-09-17 | Carlo Berro | Hygienic beverage can attachment |
KR20020067455A (en) * | 2001-07-16 | 2002-08-22 | 마기형 | Available plastic bottle by a massage tool |
US6612452B2 (en) * | 2001-08-23 | 2003-09-02 | Holly M. Heilner | Bottle bib |
TWM249907U (en) * | 2002-04-02 | 2004-11-11 | Gilberto De Castro Couto | Arrangements introduced in a nozzle adapted to be coupled to a can containing a beverage |
US6672468B1 (en) * | 2002-06-14 | 2004-01-06 | Pvc Container Corporation | Universal container for chemical transportation |
US7028424B2 (en) * | 2003-02-04 | 2006-04-18 | Arroyo John J | Article marker |
JP3848951B2 (en) * | 2004-03-02 | 2006-11-22 | 正士 神志那 | Tableware |
US7143904B2 (en) * | 2004-12-15 | 2006-12-05 | Graham Packaging Company, L.P. | Container and handle assembly |
CA2539528C (en) * | 2005-03-15 | 2014-07-08 | Fort James Corporation | Disposable container with deformable brim and lid therefor |
US20080149650A1 (en) * | 2006-12-20 | 2008-06-26 | Stanley Kim | Hygiene cup barrier |
WO2010048864A1 (en) * | 2008-10-27 | 2010-05-06 | Huang Zifan | Reverse-drinking beverage container |
CN101721095B (en) * | 2008-10-27 | 2012-02-01 | 黄子凡 | Pouring drinking type beverage container |
USD668154S1 (en) * | 2010-10-10 | 2012-10-02 | Milne Lawrence R | Fluid flow modifier for beverage container |
-
2009
- 2009-08-17 KR KR1020090075676A patent/KR100947477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0
- 2010-08-12 WO PCT/KR2010/005313 patent/WO2011021809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8-12 CN CN201080035992.1A patent/CN102548850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8-12 US US13/384,460 patent/US2012011187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08-12 JP JP2012523572A patent/JP547647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8-12 EP EP10810117A patent/EP2468644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0-08-17 TW TW099127458A patent/TWI396650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37275U (en) * | 1996-09-06 | 1996-12-16 | 하용주 | Canned Drink |
KR19980034174U (en) * | 1996-12-10 | 1998-09-05 | 김종일 | Sanitary structure used for beverage can containers |
KR20070049289A (en) * | 2005-11-08 | 2007-05-11 | 곽동윤 | Drinking Bottle with Handle Jaw Bas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8644B1 (en) | 2010-07-13 | 2013-01-14 | 정수성 | separable chin rest protrusion apparatus for beverage container |
KR101750523B1 (en) * | 2016-02-12 | 2017-06-23 | 정우현 | Drinking assist for cu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1021809A2 (en) | 2011-02-24 |
TWI396650B (en) | 2013-05-21 |
WO2011021809A3 (en) | 2011-06-03 |
JP2013500913A (en) | 2013-01-10 |
TW201107194A (en) | 2011-03-01 |
JP5476472B2 (en) | 2014-04-23 |
CN102548850A (en) | 2012-07-04 |
EP2468644A2 (en) | 2012-06-27 |
CN102548850B (en) | 2015-02-04 |
EP2468644A4 (en) | 2013-02-13 |
US20120111879A1 (en) | 2012-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073797A (en) | Sanitary lid for a beverage can that forms a seal with an aperture of the can | |
KR100947477B1 (en) | Beverage container with chin rest | |
EP2089288B1 (en) | Container with lid | |
US5950698A (en) | Holding device for collecting residual contents in a container | |
AU2013348215A1 (en) | Fluid container cover | |
WO2002058518A1 (en) | Hygienic beverage can attachment | |
EP2663215A2 (en) | Hand-holdable mixing container | |
US20100320220A1 (en) | Lid for a container for edible fluids and a protective cover for the lid | |
US7032632B2 (en) | Measuring and dispensing closure | |
US7806298B2 (en) | Multi-compartment dispensing container | |
WO1992012901A1 (en) | Beverage bottle with grip | |
US7497349B2 (en) | Travel mug | |
US3008610A (en) | Receptacles, such as dispensers for salt, pepper, or the like condiments | |
KR102347088B1 (en) | Paper cup holder | |
JP4041682B2 (en) | Commercial bottle adapter | |
US2688422A (en) | Sanitary receptacle attachment for powder dispensing containers | |
KR200434585Y1 (en) | PET bottle cap structure | |
KR20200075322A (en) | Can Drink Sanitary Stand | |
KR20130012796A (en) | Beverage can | |
GB2455855A (en) | A lid for a container | |
KR20100137828A (en) | Straw fixing housing | |
KR101218644B1 (en) | separable chin rest protrusion apparatus for beverage container | |
JP2007168854A (en) | Container with cap | |
KR200468884Y1 (en) | Bottle equipped with a spill-proof pedestal | |
JP4164395B2 (en) | Measuring cup with cap opening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8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002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10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002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0911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3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002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002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0911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3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3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0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10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91209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8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1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