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47364B1 - robotic vacuum - Google Patents

robotic vacu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364B1
KR100947364B1 KR1020070138125A KR20070138125A KR100947364B1 KR 100947364 B1 KR100947364 B1 KR 100947364B1 KR 1020070138125 A KR1020070138125 A KR 1020070138125A KR 20070138125 A KR20070138125 A KR 20070138125A KR 100947364 B1 KR100947364 B1 KR 100947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device
robot cleaner
main body
sensing
clea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1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70205A (en
Inventor
윤형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8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364B1/en
Publication of KR20090070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2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364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26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condition of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18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 A47L9/0027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the suction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robot cleaner.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휠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측에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구석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 장치; 상기 청소 장치가 운동되는 과정에서 작동하며, 바닥면의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 및 상기 상태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drive motor for driving a wheel; A cleaning devic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movable, for cleaning a corner; A state detector which operates during the movement of the cleaning device and detects a state of a bottom surfac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rive the driving motor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tate detector.

로봇, 청소기 robotic vacuum

Description

로봇 청소기{Robot cleaner}Robot cleaner

본 실시예는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robot cleaner.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In general, a cleaner is a device that sucks air containing dust by using suction power generated by a suction motor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n filters the dust inside the main body.

상기 청소기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조작되는 수동 청소기와 사용자의 조작없이 스스로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로 분류된다. The cleaners are classified into manual cleaners which are directly operated by a user and robot cleaners which perform cleaning by themselves without the user's manipulation.

한편, 상기 로봇 청소기는 충전된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하여, 입력된 프로그램을 따라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의 바닥을 이동하면서 스스로 청소를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the robot cleaner performs cleaning by moving the bottom of the area to be cleaned according to the input program using the charged battery as a power source.

상기 로봇 청소기는 본체에 설치된 센서를 통하여 벽이나 장애물로 둘러싸인 청소 영역의 외곽을 주행하여 청소할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청소 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 경로를 계획한다. 그런 다음, 바퀴의 회전수 및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통해 검출된 신호로부터 주행거리 및 현재 위치를 산출하면서 계획된 청소경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바퀴를 구동시킨다. The robot cleaner determines the area to be cleaned by driving the outside of the cleaning area surrounded by a wall or an obstacle through a senso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plans a cleaning path for cleaning the determined cleaning area. Then, the wheel is driven to travel the planned cleaning path while calculating the mileage and the current position from the detected signal through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and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wheel.

실시예는 구석의 청소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Embodiments aim to propose a robot cleaner capable of smoothly cleaning corners.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장애물 및 낭떠러지를 감지하여 용이하게 장애물 및 낭떠리지를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로봇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propose a robot cleaner that can detect obstacles and cliffs to easily avoid obstacles and cliffs.

일 측면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휠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청소 장치;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청소 장치가 일 방향으로 움직인 상태에서 상기 청소 장치에 의해서 온되는 제 1 감지 스위치; 상기 제 1 감지 스위치와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청소 장치가 타 방향으로 움직인 상태에서 상기 청소 장치에 의해서 온되는 제 2 감지 스위치; 및 상기 각 감지 스위치의 온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Robot cleaner according to one aspect,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drive motor for driving a wheel; A cleaning devic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 first sensing switch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turned on by the cleaning device while the cleaning device is moved in one direction; A second sensing switch positioned apart from the first sensing switch and turned on by the cleaning apparatus while the cleaning apparatus is moved in another directio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rive the driving motor in response to an on state of each of the sensing switches.

삭제delete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에 결합되는 청소 장치에 의해서 구석의 먼지가 로봇 청소기 중앙부 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구석 청소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since the dust of the corner is moved to the center of the robot cleaner by the cleaning device coupled to the main bod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rner cleaning can be made smoothly.

또한, 청소 장치가 상하 회전에 의해서 낭떠러지 및 문턱과 같은 장애물이 감지할 수 있으므로, 낭떠러지 및 문턱을 별도로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감지 센서가 불필요하므로,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leaning device can detect obstacles such as cliffs and thresholds by vertical rotation,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for separately detecting the cliffs and thresholds are unnecessary, and thus the cost is reduc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로봇 청소기의 측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and FIG. 2 is a side view of the robot cleane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휠(14)이 포함된다. 1 and 2,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0 forming an external shape and a pair of wheels coupled to the main body 10 to allow the main body to move. (14) is included.

상세히,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 모터와, 상기 흡입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In detail, although not shown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a suction moto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suction motor are embedded. In addition, an inlet (not shown) through which the air containing dust is sucked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흡입된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집진 장치(15)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ust collecting device 15 is stored dust separated from the sucked air.

상기 본체(10)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로봇 청소기(1)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11)와, 상기 로봇 청소기(1)의 작동 상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12)가 구비된다.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11 for allowing a user to operate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 and a display unit 12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robot cleaner 1 do.

상기 본체(10)의 하측에는 구석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 쌍의 청소 장치(20)가 제공된다.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pair of cleaning device 20 to enable the cleaning of the corner.

상세히, 상기 청소 장치(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봇 청소기(1)의 진행 방향(A)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0)의 전단부 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청소 장치(20)는 상기 본체(10)를 좌우로 이등분하는 선(L)과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청소 장치(20)는 상기 본체(10)의 측면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In detail, the cleaning device 20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side of the main body 10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A of the robot cleaner 1 as shown in FIG. 1. In addition, the pair of cleaning devices 20 are dispos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a line L that bisects the main body 10 from side to side. The pair of cleaning devices 20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t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그리고, 상기 청소 장치(20)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면, 상기 청소 장치(20)의 일부는 상기 본체(10)의 측면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된다. When the cleaning device 20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a part of the cleaning device 20 protrudes outwardly ba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따라서, 상기 로봇 청소기(1)가 전진(A방향)하면, 바닥면의 먼지(D)는 상기 한 쌍의 청소 장치(20)에 의해서 상기 로봇 청소기(10)의 중앙부로 이동된다.Therefore, when the robot cleaner 1 moves forward (A direction), the dust D on the bottom surface is mov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robot cleaner 10 by the pair of cleaning devices 20.

도 3은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1,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 of FIG. 3.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의 하측에는 상기 청소 장치(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청소 장치(20)가 수용되는 수용부(120)가 형성되는 베이스(11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20)는 상기 베이스(110)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3 and 4, the cleaning device 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In detail, the main body 10 includes a base 110 in which an accommodation part 120 in which the cleaning device 20 is accommodated is formed. The receiving part 120 is recess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base 110.

상기 청소 장치(120)의 상면은 상기 수용부의 상면(121)과 이격되고, 상기 청소 장치의 후면은 상기 수용부(120)의 후면(122)과 이격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ing device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121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leaning device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122 of the accommodating part 120.

따라서, 상기 청소 장치(20)의 상면과 상기 수용부(120)의 상면(121) 사이에는 상기 청소 장치(20)가 상측(도 3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청소 장치(20)의 후면과 상기 수용부(120)의 후면(122)사이에는 상기 청소 장치(20)가 하측(도 3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Therefore,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ing device 20 and the upper surface 121 of the accommodating part 120 such that the cleaning device 20 can be rotated upward (clockwise in FIG. 3). . In addition,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cleaning device 20 and the rear surface 122 of the accommodating part 120 such that the cleaning device 20 can be rotated downward (counterclockwise when viewed in FIG. 3). do.

한편, 상기 청소 장치(20)는, 상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부재(210)와, 상기 회전 부재(210)의 하측에 결합되는 청소 요소(220)가 포함된다. Meanwhile, the cleaning device 20 includes a rotating member 210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and a cleaning element 220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member 210.

상세히, 상기 회전 부재(210)의 전면에는 상기 회전 부재(210)가 장애물에 의해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면(21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212)은 상기 회전 부재(210)의 상면에서 후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에서 볼 때, 상기 회전 부재(210)의 상측 길이는 하측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In detail, a guide surface 212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210 to guide the rotating member 210 to be easily rotated by an obstacle. The guide surface 212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210 to the rear side. Therefore, as shown in Figure 3, the upper length of the rotating member 210 is formed larger than the lower length.

따라서, 상기 로봇 청소기(1)가 주행하는 중에, 상기 회전 부재(210)가 장애물을 만나면, 상기 가이드면(212)이 장애물과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 부재(210)가 용이하게 들리게 된다(상측으로 회전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rotating member 210 encounters an obstacle while the robot cleaner 1 is running, the rotating member 210 is easily lifted while the guide surface 212 slides with the obstacle (upper side). To rotate.)

그리고, 상기 청소 요소(220)는 상기 회전 부재(210)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 회전 부재(210)의 하측에는 상기 청소 요소(22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 리브(216)가 형성되고, 상기 청소 요소(220)에는 상기 결합 리브(216)가 삽입되는 리브 삽입홈(222)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cleaning element 220 is slidingly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210. A coupling rib 216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member 210 to couple the cleaning element 220 to the cleaning element 220, and a rib insertion groove 222 into which the coupling rib 216 is inserted. Is formed.

따라서, 상기 청소 요소(220)는 상기 회전 부재(21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 리브(216)가 상기 리브 삽입홈(222)에 삽입된다. Accordingly, the cleaning element 220 is inserted into the rib insertion groove 222 while the cleaning element 220 is slidingly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21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 리브(216)와 리브 삽입홈(222)에 의해서 상기 청소 요소(220)와 회전 부재(210)가 결합되도록 하나, 상기 청소 요소(220)와 상기 회전 부재(210)의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In this embodiment, the cleaning element 220 and the rotating member 210 are coupled by the coupling rib 216 and the rib insertion groove 222, but the cleaning element 220 and the rotating member 210 of the Note that there is no limit to the binding scheme.

상기 청소 요소(220)로는, 일 례로 고무 재질이 사용되거나, 브러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청소 요소(220)로 고무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청소 요소(220)의 저면이 바닥면에 밀착된다. As the cleaning element 220, for example, a rubber material or a brush may be used. When rubber is used as the cleaning element 220, the bottom of the cleaning element 2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상기 청소 요소(220)로 브러시가 사용되는 경우 실질적으로 상기 청소 요소(220)는 브러시 모와 모 결합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브러시 모가 바닥면에 밀착된다. 이 때, 상기 모 결합부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When a brush is used as the cleaning element 220, the cleaning element 220 may be substantially composed of a brush bristle and a bridging part, and the brush brim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In this case, the mother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한편, 상기 베이스(110)에는 상기 회전 부재(210)와 결합되기 위한 축(114)이 형성된다. 상기 축(114)은 상기 수용부(120)로 돌출된다. 상기 회전 부재(210)의 상측에는 상기 축(114)이 결합되기 위한 축 결합부(21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부재(210)는 상기 축(114)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ase 110 is formed with a shaft 114 for coupling with the rotating member 210. The shaft 114 protrudes into the receiving portion 120. An upper side of the rotating member 210 is provided with a shaft coupling portion 214 for coupling the shaft 114. Thus, the rotating member 210 may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haft 114.

상기 회전 부재(210)의 상측에는 탄성 부재(240)의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120)의 상면(122)에는 탄성 부재(240)의 타측이 결합된다. 상기 탄성 부재(240)는 상기 청소 요소(220)가 바닥면(F)에 밀착되도록 상기 청소 장치(20)로 힘을 가한다.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24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rotating member 210, and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24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122 of the receiving part 120. The elastic member 240 exerts a force on the cleaning device 20 such that the cleaning element 2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F).

또한, 상기 청소 장치(20)에는, 상기 베이스(110)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110)내부로 삽입되는 감지 가이드(230)가 포함된다. In addition, the cleaning device 20 includes a sensing guide 230 penetrating the base 110 and inserted into the base 110.

상기 감지 가이드(230)는 상기 회전 부재(210)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 또는 상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에는 상기 감지 가이드(230)가 관통되는 관통홀(112)이 형성된다. The sensing guide 230 is integrally formed with or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rotating member 210. In addition, the base 110 has a through hole 112 through which the sensing guide 230 penetrates.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문턱과 같은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감지 스위치(140)와, 낭떠러지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감지 스위치(150)가 제공된다. The first sensing switch 140 for detecting an obstacle such as a threshold and the second sensing switch 150 for detecting a cliff ar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상세히, 상기 베이스(110)의 내측에는 상기 각 감지 스위치(140, 15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16)는 상기 감지 가이드(230)의 일부가 위치하기 위한 공간부(117)를 형성한다. In detail, a support 116 is formed inside the base 110 to support each of the sensing switches 140 and 150. In addition, the support part 116 forms a space part 117 on which a part of the sensing guide 230 is located.

그리고, 상기 공간부(117)에 위치한 감지 가이드(230)를 기준으로 상기 감지 가이드(230)의 상방에는 상기 제 1 감지 스위치(140)가 위치되고, 상기 감지 가이드(230)의 하방에는 제 2 감지 스위치(150)가 위치된다. The first sensing switch 140 is positioned above the sensing guide 230 based on the sensing guide 230 positioned in the space 117, and the second sensing switch 140 is located below the sensing guide 230. The sense switch 150 is located.

그리고, 상기 감지 가이드(230)는 상기 청소 장치(20)의 저면과 바닥면(F)이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각 감지 스위치(140, 150)와 이격된다. In addition, the sensing guide 230 is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sensing switches 140 and 150 in a state where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F of the cleaning device 20 are parallel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감지 가이드(230)는 상기 청소 장치(20)의 회전시 상기 공간부(117) 내에서 상하 이동되어 상기 각 감지 스위치(140, 150)를 누르게 된다. In addition, the sensing guide 230 is moved up and down in the space 117 when the cleaning device 20 is rotated to press the respective sensing switches 140 and 150.

즉, 상기 청소 장치(20)가 상방으로 회전되면, 상기 감지 가이드(230)는 상기 제 1 감지 스위치(140)를 누르고, 상기 청소 장치(20)가 하방으로 회전되면, 상기 감지 가이드(230)는 상기 제 2 감지 스위치(150)를 누른다. That is, when the cleaning device 20 is rotated upward, the detection guide 230 presses the first detection switch 140, and when the cleaning device 20 is rotated downward, the detection guide 230 is applied. Presses the second detection switch 150.

상기 각 감지 스위치(140, 150)는 상기 로봇 청소기(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Each of the sensing switches 140 and 1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ler 16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로봇 청소기(1)는, 상기 한 쌍의 휠(14)을 구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구동 모터(170)와, 바닥면의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130)와, 상기 상태 감지부(130)에서 감지된 상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160)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robot cleaner 1 may include a pair of driving motors 170 for driving the pair of wheels 14, and a state sensing unit 130 for detecting a state of a bottom surface. The controller 160 may drive the driving motor in response to the stat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tate detector 130.

상세히, 상기 상태 감지부(130)는, 바닥면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제 1 감지 스위치(140)와 제 2 감지 스위치(150)가 포함된다. 상기 각 감지 스위치(140, 150)는 상기 청소 장치(20)의 회전 과정에서 작동한다. 즉, 상기 감지 가이드(230)가 상기 감지 스위치(140, 150)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 스위치(140, 150)는 OFF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감지 가이드(230)가 상기 감지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감지 스위치(140, 150)는 ON된다. In detail, the state detection unit 130 is a part for detecting a state of the bottom surface, and includes the first detection switch 140 and the second detection switch 150. Each of the sensing switches 140 and 150 operates during the rotation of the cleaning device 20. That is, when the sensing guide 230 is spaced apart from the sensing switches 140 and 150, the sensing switches 140 and 150 maintain the OFF state, and when the sensing guide 230 presses the sensing switch, The sensing switches 140 and 150 are turned on.

상기 한 쌍의 구동 모터(170)는 상기 한 쌍의 휠(14)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휠(14)이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 모터(170)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다. The pair of drive motors 170 are connected to the pair of wheels 14, respectively, so that the wheels 14 rotate. The drive motor 170 operates independently, and bidirectional rotation is possible.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상태 감지부(130)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170)의 회전 방향이 변화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 모터(17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1)가 전진하는 중에, 문턱에 의해서 상기 청소 장치(20)가 상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 1 감지 스위치(140)가 눌러지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구동 모터(17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로봇 청소 기(1)가 후진하도록 한다. The controller 160 change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ing motor 17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tate detector 130. For example, while the driving motor 17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robot cleaner 1 moves forward, the cleaning device 20 is rotated upward by a threshold, so that the first sensing switch 140 is rotated. When pressed, the controller 160 rotates the drive motor 170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robot cleaner 1 moves backward.

도 6은 청소 장치가 상측으로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청소 장치가 하측으로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apparatus is rotated upward, and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apparatus is rotated downward.

여기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청소 장치(20)가 상측으로 회전된다는 것은 상기 축(114)을 기준으로 상기 청소 장치(20)의 전면(가이드면)이 상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청소 장치(20)가 하측으로 회전된다는 것은 상기 축(114)을 기준으로 상기 청소 장치(20)의 전면(가이드면)이 하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Here, 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that the cleaning device 20 is rotated upward means that the front surface (guide surface) of the cleaning device 20 is rotated upward based on the shaft 114. Rotating the cleaning device 20 downward means that the front surface (guide surface) of the cleaning device 20 is rota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shaft 114.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1 to 7,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조작부(11)를 이용하여 로봇 청소기(1)를 온시키면 흡입 모터 및 구동 모터가 동작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1)가 사용자가 입력한 주행 모드에 따라 동작된다. When the user turns on the robot cleaner 1 by using the manipulation unit 11, the suction motor and the driving motor are operated to operate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input by the user.

상기 구동 모터(170)의 축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휠(14)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1)가 이동, 예를 들면 전진하게 된다. 그러면, 도 1과 같이 상기 청소 장치(20)에 의해서 상기 로봇 청소기(10)의 양측 부분의 먼지가 상기 로봇 청소기(1)의 중앙부에 모이게 된다. When the axis of the drive motor 170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wheel 14 is rotate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robot cleaner 1 moves, for example, moves forward. Then, as shown in FIG. 1, dust on both sides of the robot cleaner 10 is collected by the cleaning device 20 at the center of the robot cleaner 1.

여기서, 상기 로봇 청소기(1)가 벽면과 인접한 위치에서 이동하는 경우에는 구석(바닥면과 벽면 사이 부분)의 먼지가 상기 청소 장치(20)에 의해서 상기 로봇 청소기(1)의 중앙부로 이동되므로, 구석의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Here, when the robot cleaner 1 moves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wall surface, the dust of the corner (part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wall surface) is mov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robot cleaner 1 by the cleaning device 20, Cleaning of the corner becomes possible.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가 작동하면 흡입력이 발생되고, 발생된 흡입력에 의 해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구를 통하여 상기 본체(1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본체(10)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집진 장치(15)로 유입되어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먼지는 상기 집진 장치(15)에 저장되고, 공기는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When the suction motor is operated, suction force is generated, and air containing dust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suction port by the generated suction force. The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10 enters the dust collecting device 15 and undergoes a dust separation process. In addition, dust is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device 15, an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상기와 같이 로봇 청소기(1)가 이동하는 중에 바닥면에 문턱과 같은 장애물을 만나면, 문턱과 같은 장애물(O)에 의해서 도 6과 같이 상기 청소 장치(20)가 들리게 된다. 상세히, 상기 청소 장치(20)는 상기 축(114)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탄성 부재(240)는 수축된다. When the robot cleaner 1 encounters an obstacle such as a threshold while the robot cleaner 1 moves as described above, the cleaning device 20 is heard as shown in FIG. 6 by an obstacle O such as a threshold. In detail, the cleaning device 20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haft 114, and the elastic member 240 is retracted.

그리고, 상기 청소 장치(20)가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감지 가이드(230)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감지 스위치(140)를 누르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감지 스위치(140)에서 상기 제어부(160)로 신호가 송신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구동 모터(170)의 축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로봇 청소기(1)는 후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봇 청소기(1)가 후진하게 되면, 상기 청소 장치(20)를 들어올리는 힘은 제거되고 상기 탄성 부재(240)가 신장된다. When the cleaning device 2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detection guide 230 is moved upward to press the first detection switch 140. Then,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sensing switch 140 to the controller 160. Then, the controller 160 causes the axis of the drive motor 170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n, the robot cleaner 1 moves backward. When the robot cleaner 1 moves backward, the force for lifting the cleaning device 20 is removed and the elastic member 240 is extended.

그러면, 상기 탄성 부재(240)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청소 장치(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감지 가이드(230)가 상기 제 1 감지 스위치(140)에서 떨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60)는 다시 상기 구동 모터(17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Then, the cleaning device 2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40 so that the sensing guide 23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ensing switch 140. Then, the controller 160 causes the driving motor 170 to rotate in one direction again.

이 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장애물(O)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구동 모터(170)의 회전 속도가 달라지도록 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1)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60 caus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air of driving motors 170 to be changed so as to avoid the obstacle O,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 is switched.

상세히, 상기 한 쌍의 구동 모터 중 어느 하나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하면, 늦은 속도로 회전되는 휠(14)으로 자동 청소기의 진행 방향이 바뀌게 된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좌측에 구비되는 휠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하면, 상기 로봇 청소기는 우측으로 회전되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방향이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로봇 청소기는 전진하면서 지속적으로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 In detail, when the rotation speed of any one of the pair of drive motors is increase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utomatic cleaner is changed to the wheel 14 which is rotated at a slow speed. For example, in FIG. 1,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wheel provided on the left side is increased, the robot cleaner rotates to the right side and moves. 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continues to perform cleaning while moving in the changed direction.

한편, 상기와 같이 로봇 청소기(1)가 이동하는 중에 낭떠러지(C)를 만나면, 상기 청소 장치(20)는 도 7과 같이 하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청소 장치(20)는 상기 축(114)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robot cleaner (1) meets the cliff (C) while moving as described above, the cleaning device 20 is rotated downward as shown in FIG. In detail, the cleaning device 2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bout the axis 114.

그리고, 상기 청소 장치(20)가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감지 가이드(230)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2 감지 스위치(150)를 누르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2 감지 스위치(150)에서 상기 제어부(160)로 신호가 송신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구동 모터(170)의 축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로봇 청소기(1)는 후진하게 된다. When the cleaning device 20 is rotated by a counterclockwise angle, the detection guide 230 is moved downward to press the second detection switch 150. Then,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sensing switch 150 to the controller 160. Then, the controller 160 causes the axis of the drive motor 170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n, the robot cleaner 1 moves backward.

그리고, 상기 로봇 청소기(1)가 후진하게 되면, 상기 청소 장치(20)는 다시 상측(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감지 가이드(230)가 상기 제 2 감지 스위치(150)에서 떨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60)는 다시 상기 구동 모터(17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When the robot cleaner 1 moves backward, the cleaning device 20 is rotated upwards (clockwise) so that the detection guide 230 falls from the second detection switch 150. Then, the controller 160 causes the driving motor 170 to rotate in one direction again.

이 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낭떠러지(C)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구동 모터(170)의 회전 속도가 달라지도록 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1)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로봇 청소기는 방향이 전환된 상태에서, 전진하면서 지속적으로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60 causes the rotation speed of the pair of driving motors 170 to be different so as to avoid the cliff C,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 is switched. 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performs cleaning while moving forward while the direction is changed.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한 쌍의 청소 장치에 의해서 구석의 먼지가 로봇 청소기 중앙부 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구석 청소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ust of the corner is moved to the robot cleaner central portion side by a pair of cleaning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rner cleaning can be made smoothly.

또한, 청소 장치(20)가 상하 회전에 의해서 낭떠러지 및 문턱과 같은 장애물이 감지할 수 있으므로, 낭떠러지 및 문턱을 별도로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감지 센서가 불필요하므로,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leaning device 20 may detect obstacles such as cliffs and thresholds by vertical rotation,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for separately detecting the cliffs and thresholds are unnecessary, and thus, the cost may be reduced.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1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각 감지 스위치의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parts, excep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osition of each sensing switch. Therefore, hereinafter, only characteristic part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110)에는 청소 장치(40)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20)에는 문턱과 같은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감지 스위치(310)와, 낭떠러지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감지 스위치(320)가 제공된다. 즉, 상기 각 감지 스위치(310, 320)는 상기 수용부(120)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 스위치(310, 420)는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8, an accommodation part 120 for accommodating the cleaning device 40 is formed in the base 110. In addition, the accommodation part 120 is provided with a first detection switch 310 for detecting an obstacle such as a threshold and a second detection switch 320 for detecting a cliff. That is, each of the sensing switches 310 and 320 protrudes into the accommodation part 120. In addition, the sensing switches 310 and 4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60.

상기 청소 장치(40)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부재(410) 와, 상기 회전 부재(410)의 하측에 결합되는 청소 요소(420)가 포함된다. The cleaning device 40 includes a rotating member 410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a cleaning element 420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member 410.

그리고, 상기 회전 부재(410)의 상면에는 상기 청소 장치(40)가 상측(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감지 스위치(310)를 누르기 위한 제 1 감지 가이드(42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410)의 후면에는 상기 청소 장치40)가 하측(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감지 스위치(320)를 누르기 위한 제 2 감지 가이드(422)가 돌출 형성된다. In addition, a first sensing guide 42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410 to press the first sensing switch 310 while the cleaning device 40 is rotated upward (clockwise). The second sensing guide 422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410 to press the second sensing switch 320 while the cleaning device 40 is rotated downward (counterclockwise).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청소 장치(40) 및 본체의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of the cleaning device 40 and the main body is simplified.

도 9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1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청소 장치의 작동에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parts, excep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device. Therefore, hereinafter, only characteristic part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로봇 청소기(1)에는 상기 청소 장치(20)와 상기 본체(10)가 연결되도록 하는 제 1 탄성 부재(240) 및 제 2 탄성 부재(250)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9, the robot cleaner 1 includes a first elastic member 240 and a second elastic member 250 for connecting the cleaning device 20 to the main body 10.

상세히, 상기 제 1 탄성 부재(240) 및 제 2 탄성 부재(250)는 일단이 상기 회전 부재의 상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수용부(120)의 상면(122)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탄성 부재(240)와 제 2 탄성 부재(250)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10)와 상기 청소 장치(2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탄성 부재(240)는 상기 본체(10)의 전진 방향 기준으로 상기 제 2 탄성 부재(250)의 전방 에 위치한다. In detail,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240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25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rotating member,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122 of the receiving portion 120. The first elastic member 240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250 ar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and the cleaning device 20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e first elastic member 24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250 on the basis of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따라서, 상기 청소 장치(20)는 상기 수용부(120) 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the cleaning device 20 is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120 and at the same time rotate.

예를 들면, 상기 로봇 청소기(1)가 이동하는 중에 바닥면에 문턱과 같은 장애물을 만나면, 상기 청소 장치(20)는 장애물에 의해서 들리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1 탄성 부재(240)가 상기 제 2 탄성 부재(250)에 비하여 수축되는 양이 크므로, 상기 청소 장치(20)는 상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일정 각도 회전된다. For example, if the robot cleaner 1 encounters an obstacle such as a threshold on the floor while the robot cleaner 1 moves, the cleaning device 20 is heard by the obstacle.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elastic member 240 has a larger amount of shrinkage than the second elastic member 250, the cleaning device 20 moves upward and rotates at an angle.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청소 장치가 상기 수용부 내에서 원활히 이동될 수 있으므로, 장애물에 의한 충격에 의해서 청소 장치와 본체의 연결 부위가 파손되는 현상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cleaning device can be moved smoothly in the receiving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henomenon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cleaning device and the main body is damaged by the impact of the obstacle is reduced.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도 2는 로봇 청소기의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the robot cleaner.

도 3은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1.

도 4는 도 3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3;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6은 청소 장치가 상측으로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device is rotated upwards.

도 7은 청소 장치가 하측으로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device is rotated to the lower side.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1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9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1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Claims (14)

휠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가 구비되는 본체; A main body provided with a driving motor for driving a wheel;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청소 장치; A cleaning device connected to the main body;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청소 장치가 일 방향으로 움직인 상태에서 상기 청소 장치에 의해서 온되는 제 1 감지 스위치; A first sensing switch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turned on by the cleaning device while the cleaning device is moved in one direction; 상기 제 1 감지 스위치와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청소 장치가 타 방향으로 움직인 상태에서 상기 청소 장치에 의해서 온되는 제 2 감지 스위치; 및 A second sensing switch positioned apart from the first sensing switch and turned on by the cleaning apparatus while the cleaning apparatus is moved in another direction; And 상기 각 감지 스위치의 온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로봇 청소기.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rive the driving motor in response to an on state of each of the sensing switches.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상기 청소 장치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cleaning device, 상기 청소 장치는 수용부에서 상하 회전 또는 상하 이동되는 로봇 청소기. The cleaning device is a robot cleaner that is vertically rotated or moved up and down in the receiving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청소 장치와 상기 본체의 사이에 제공되는 탄성 부재가 더 포함되는 로봇 청소기. The robot cleaner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cleaning device and the main body.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청소 장치의 상면과 상기 수용부의 저면은 이격되는 로봇 청소기. The robot cleaner of the cleaning device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청소 장치의 후면과 상기 수용부의 후면은 이격되는 로봇 청소기. Robot cleaner cleaner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cleaning device and the rear of the receiving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청소 장치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부가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로봇 청소기. The cleaning device is a robot cleaner, a part of which i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in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청소 장치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감지 스위치 또는 제 2 감지 스위치를 누르기 위한 감지 가이드가 포함되는 로봇 청소기. The cleaning device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e robot cleaner includes a sensing guide for pressing the first sensing switch or the second sensing switch.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각 감지 스위치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며, Each sensing switch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감지 가이드는 상기 각 감지 스위치 사이에 위치되는 로봇 청소기. The detection guide is a robot cleaner located between each detection switch.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감지 가이드는, 상기 제 1 감지 스위치를 누르기 위한 제 1 감지 가이드와, 상기 제 2 감지 스위치를 누르기 우한 제 2 감지 가이드가 포함되는 로봇 청소기. The sensing guide may include a first sensing guide for pressing the first sensing switch and a second sensing guide for pressing the second sensing switch.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청소 장치는, The cleaning device,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부재와, A rotat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상기 회전 부재의 하측에 결합되는 청소 요소; 및 A cleaning element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member; And 상기 회전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각 감지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감지 가이드가 포함되는 로봇 청소기. And a sensing guide formed on the rotating member and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rate the respective sensing switch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70138125A 2007-12-27 2007-12-27 robotic vacuum Expired - Fee Related KR1009473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125A KR100947364B1 (en) 2007-12-27 2007-12-27 robotic vacu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125A KR100947364B1 (en) 2007-12-27 2007-12-27 robotic vacu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205A KR20090070205A (en) 2009-07-01
KR100947364B1 true KR100947364B1 (en) 2010-03-15

Family

ID=41321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125A Expired - Fee Related KR100947364B1 (en) 2007-12-27 2007-12-27 robotic vacu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36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23757B (en) * 2017-04-27 2019-11-05 江苏锡沂高新区科技发展有限公司 A kind of convenient humanoid robot cleaned based on dining room
KR20210117810A (en) * 2020-03-20 2021-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vacuum cleaner
US20220125265A1 (en) * 2020-10-26 2022-04-28 Guangzhou Thirty Seven Degree Smarthome Co., Ltd. Intelligent vacuum device with extendable and deformable suction ar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860Y1 (en) * 1992-01-07 1994-07-21 강진구 Floor condition detection device of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KR20050010591A (en) * 2003-07-21 2005-01-28 주식회사 한울로보틱스 The control Methode of cleaning path for cleaning robo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860Y1 (en) * 1992-01-07 1994-07-21 강진구 Floor condition detection device of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KR20050010591A (en) * 2003-07-21 2005-01-28 주식회사 한울로보틱스 The control Methode of cleaning path for cleaning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205A (en)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91841B (en) Electric dust collector
KR101513827B1 (en) Vacuum cleaner
US8869342B2 (en) Robot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4522426B2 (en) Robot vacuum cleaner system
US10048695B2 (en) Traveling device
JP5891736B2 (en)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KR101938703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40115891A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81767A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3052238A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927661B2 (en) Vacuum cleaner
KR20130025309A (en) Autonomous clea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71322B1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7445381B2 (en) Autonomous vacuum cleaner and its control method
KR100947364B1 (en) robotic vacuum
JP7231469B2 (en) autonomous vacuum cleaner
KR100982383B1 (en) Driving control method of automatic cleaner
KR100876691B1 (en) Vacuum cleaner charg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KR20070027840A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0283865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obot vacuum cleaner and method there of
KR101196059B1 (en) Charging system of automatic cleaner
JP2006095107A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3036863B2 (en) Traveling robot
KR20070109355A (en) Auto cleaner
KR100928411B1 (en) Auto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