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243B1 - Light guide plate for mobile overlapping keypad - Google Patents
Light guide plate for mobile overlapping keypa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47243B1 KR100947243B1 KR1020080061761A KR20080061761A KR100947243B1 KR 100947243 B1 KR100947243 B1 KR 100947243B1 KR 1020080061761 A KR1020080061761 A KR 1020080061761A KR 20080061761 A KR20080061761 A KR 20080061761A KR 100947243 B1 KR100947243 B1 KR 1009472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pad
- guide plate
- light guide
- light
- patter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2310 reflectometry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5401 electrolumin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149 argon plasma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22 bl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0 silicon-bas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턴을 형성하는 도트와 도트가 상호 미세하게 겹치도록 형성함으로써 이격 거리를 없게 하여 빛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도트의 반사율이 향상될 수 있어 휘도가 더욱 밝아질 수 있는 모바일 중첩형 키패드용 도광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dots forming the pattern and the dots overlap each other finely to prevent the leakage of light by eliminating the separation distance, the reflectivity of the dots can be improved, the brightness of the mobile superposition type can be further brightened A light guide plate for a keypad.
본 발명은 숫자나 문자가 인쇄된 키패드의 후면에 설치되어 일측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키패드에 공급하기 위한 도광판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반사되어 상기 키패드에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패턴(111)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패턴(111)은 다수개의 도트(1112)가 서로 일부분씩 겹쳐져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light guide plate for supply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of one side to the keypad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keypad printed numbers or letters, a plurality of lights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reflected and supplied to the keypad The pattern 111 is formed, and the pattern 111 is formed by a plurality of dots 1112 overlapping with each other.
모바일, 키패드, 도광판, 패턴, 도트, 중첩 Mobile, Keypad, Light Guide Plate, Pattern, Dot, Overlay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바일 중첩형 키패드용 도광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원의 빛을 더욱 향상시켜 보다 밝은 휘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중첩형 키패드용 도광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guide plate for a mobile superimposed keyp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 guide plate for a mobile superimposed keypad to further improve the light of a light source to realize brighter brightness.
주지된 바와 같이 키패드 모듈은 휴대폰, 리모콘, PDA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되어 신호 발생이나 여러 가지 부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스위치 장치로서 사용되는데,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숫자나 문자 등의 키 식별을 위한 별도의 조명장치를 구비하고 있다.As is well known, the keypad module is used as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remote controller, or a PDA, and is used as a switch device for performing a signal generation or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It is equipped with a separate lighting device.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는 종래 키패드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을 살펴보기로 한다.1 to 4 are views illustrating a conventional keypad modul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ior art.
먼저 도 1은 종래 직접조명 방식의 LED 키패드 모듈 단면도로서, 인쇄회로기판(10), 돔(20), 직접조명용 LED(30), 및 키패드(70)로 구성된다. First,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ED keypad module of a conventional direct lighting method, and includes a printed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은 소정의 접점단자(11)를 구비하는데,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전면에는 상기 돔(20) 및 직접조명용 LED(30)가 복수개 설치된다. The printed
그리고, 상기 돔(20) 및 직접조명용 LED(30)의 전방으로는 상면에 숫자나 문자가 인쇄되어 있고 하면에는 돌기(71)를 구비한 키패드(70)가 설치된다.And, in front of the
이러한 직접조명 방식의 LED 키패드 모듈은 인쇄회로기판(10)의 전면에 설치된 직접조명용 LED(30)가 발광하여 키패드(10)를 조명하게 된다. The LED keypad module of the direct lighting method is a
즉, 사용자에 의해 키패드(70)가 눌러지게 되면 키패드(70)의 돌기(71)에 의해 돔(20)과 인쇄회로기판(10)의 접점단자(11)가 연결됨으로써 소정의 전기신호를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된 전기신호에 의해 LED(30)가 발광하여 점광원 형태로 키패드(70)를 직접 비추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그런데, 상술한 LED 키패드 모듈은 칩 형태의 LED를 사용하더라도 현실적으로 LED의 특성상 슬림 형태의 제품 제작이 어렵고, 많은 수의 LED를 사용함으로써 발광에 따른 전력 소모량이 많아서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LED의 설치 위치에 따라 발광의 균일도가 일정치 않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LED keypad module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 slim produc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D even when using a chip-shaped LED, and by using a large number of LED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ight emission is high, which shortens the use time of the battery. hav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niformity of light emission is not constan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ED.
도 2는 직접조명 방식의 LED 키패드 모듈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EL(Electro Luminescence) 키패드 모듈 단면도로서. 인쇄회로기판(10), 돔(20), EL 시트(40), 및 키패드(70)로 구성된다.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 (Electro Luminescence) keypad module to supplement the problem of the LED keypad module of the direct lighting method. It consists of a printed
작용을 살펴보면, 사용자에 의해 키패드(70)가 눌러지게 되면 키패드(70)의 돌기(71)에 의해 돔(20)과 인쇄회로기판(10)의 접점단자(11)가 연결됨으로써 소정의 전기신호를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된 전기신호에 의해 EL 시트(40)가 발광하여 키패드(70)를 균일하게 비추게 된다.Looking at the operation, when the
그런데, 상술한 EL 키패드 모듈은 슬림 형태의 제품 제작은 가능하지만, EL 시트(40)의 특성상 LED보다 수명이 짧고, LCD모듈에 노이즈를 일으키며,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LED 키패드 모듈의 제작시보다 제작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although the above-described EL keypad module can be manufactured in a slim form, it has a shorter life than LED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도 3은 EL 키패드 모듈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간접조명 방식의 LED 키패드 모듈 단면도로서. 인쇄회로기판(10), 돔(20), 간접조명 LED(50), 도광판(導光板(60)), 및 키패드(70)로 구성된다.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D keypad module of the indirect lighting method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 of the EL keypad module. It consists of a printed
여기서, 상기 간접조명 LED(50)는 슬림 형태의 키패드 모듈 제품 제작이 가능하도록 인쇄회로기판(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Here, the
작용을 살펴보면, 사용자에 의해 키패드(70)가 눌러지게 되면 키패드(70)의 돌기(71)에 의해 돔(20)과 인쇄회로기판(10)의 접점단자(11)가 연결됨으로써 소정의 전기신호를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된 전기신호에 의해 측면의 간접조명 LED(50)가 발광하게 되면 도광판(60)의 빛 분산 작용으로 키패드(70)를 면광원 형태로 균일하게 비추게 된다.Looking at the operation, when the
상술한 간접조명 방식의 LED 키패드의 종래 기술로서, 국내실용신안출원 제2004-7273호가 있는데, 도 4는 상기 제2004-7273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As a prior art of the above-described indirect lighting type LED keypad, there is a domestic utility model application 2004-7273,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2004-727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판(60)에는 간접조명 LED(50)의 빛을 키패드(70)로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해 전송 특성이 우수한 광파이버(61)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그런데, 이러한 형태의 도광판(60)은 기본적으로 실리콘 재질로서 슬림화가 어렵고,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the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10336호에는 " 키패드 백라이트용 도광판 및 그 제조 방법 "이 공개되어 있다.Meanwhile, Korean Patent No. 0610336 discloses a light guide plate for a keypad backligh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첨부된 도 5는 상기 등록특허 제0610336호에 도시된 키패드 백라이트용 도광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view illustrating a light guide plate for a keypad backlight shown in the registered Patent No. 0610336.
도 5를 참조하면, 도광판(110)은 플렉시블한 특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서 후면에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반사되어 확산 또는 산란에 의하여 키패드에 면광원 형태로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광원(100)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밀도가 증가되는 소정의 패턴(11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5, the
상기 패턴(111)은 다수개의 도트(1112a)를 밀집시켜 형성된 것인데, 이를 좀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다.The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도트(1112a)가 밀집되어 있으나 도트(1112a)와 도트(1112a) 사이의 이격된 거리(t)가 존재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따라서, 도광판(110a)에 전달된 빛의 일부는 상기한 도트(1112a)와 도트(1112a)의 이격된 거리(t)에 의해 누설되어 손실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some of the light transmitted to the light guide plate 110a may leak and be lost due to the distance t between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패턴을 형성하되 도트와 도트가 상호 미세하게 겹치도록 형성함으로써 이격 거리를 없게 하여 빛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도트의 반사율이 향상될 수 있어 휘도가 더욱 밝아질 수 있도록 한 모바일 중첩형 키패드용 도광판을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pattern but to form a dot and the dot overlap each other finely so that there is no separation distance to prevent the leakage of light. In addition, the reflectance of the dot can be improved to provide a light guide plate for a mobile superimposed keypad to make the brightness even brighter.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양태는, 숫자나 문자가 인쇄된 키패드의 후면에 설치되어 측면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키패드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반사되어 상기 키패드에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도트가 돌출되어 밀집된 패턴이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패턴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도트는 서로 일부분씩 겹쳐져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keypad, the number or letter is printed to supp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of the side to the keypad,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is reflected A plurality of dots protrude so as to be supplied to the keypad, and a dense pattern is formed on one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dots constituting the pattern are formed by being partial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패턴은 핫 스탬핑, 사출 성형, 마이크로 브라스트 중 어느 하나의 가공 방법에 의하여 상기 도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patter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ot is formed by any one of the processing method of hot stamping, injection molding, micro blast.
본 발명에 따르면 패턴을 형성하는 도트와 도트가 상호 미세하게 겹치도록 형성함으로써 이격 거리를 없게 하여 빛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도트의 반사율이 향상될 수 있어 휘도가 더욱 밝아질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dot and the dot forming a fine overlap with each other to prevent the leakage of light by eliminating the separation distance, the reflectance of the dot can be improved, the brightness can be further brightened Expressed.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uch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중첩형 키패드용 도광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모바일 중첩형 키패드용 도광판에서 패턴을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확대도면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ight guide plate for a mobile overlapping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the light guide plate for the mobile overlapping keypad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110)은 플렉시블한 특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서 후면에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반사되어 확산 또는 산란에 의하여 키패드에 면광원 형태로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광원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밀도가 증가되는 소정의 패턴(111)이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패턴(111) 및 도광판(110)에 대한 구체적인 형상은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참조한다.Specific shapes of the
상기 패턴(111)은 핫 스탬핑, 사출 성형, 마이크로 브라스트, 레이저 등의 가공 방법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The
즉, 핫 스탬핑에 의한 패턴 가공 방법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임의의 패턴이 형성된 스탬퍼 금형을 가열 처리한 후 소정 압력을 가하여 도광판을 누름으로써 스탬퍼 금형에 형성된 패턴을 도광판에 전사시켜서 요철 형태의 패턴을 형성시키는 것이다.That is, in the pattern processing method by hot stamping, as is widely known, a pattern formed in the stamper die is transferred to the light guide plate by pressing a light guide plate by applying a predetermined pressure after heating a stamper mold having an arbitrary pattern formed thereon to form an uneven pattern. It is to let.
또한, 사출 성형에 의한 패턴 가공 방법은 제작된 패턴 금형(틀)을 사용함으로써 도광판에 요철 형태의 패턴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attern processing method by injection molding forms a pattern of an uneven | corrugated form in a light guide plate by using the produced pattern metal mold | die (frame).
또한, 마이크로 브라스트에 의한 패턴 가공 방법은 스프레이로 모래 알갱이, 유리 알갱이 등과 같은 미세 물질을 도광판에 분사시킴으로써 요철 형태의 패턴을 형성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a pattern processing method by micro blasting is to form a pattern of irregularities by spraying fine material such as sand grains, glass grains, etc. to the light guide plate by spraying.
한편, 상기 패턴(111)은 광산란제가 함유된 잉크의 인쇄 방법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즉, 도광판 후면에 광산란제가 함유된 잉크를 점 무늬 형태로 인쇄함으로써 도트 형태의 패턴을 형성시키는 것이다.That is, a dot-shaped pattern is formed by printing the ink containing the light scattering agent on the back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in the form of a dot pattern.
상기 패턴(111)은 빛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키패드의 숫자나 문자와 대응하는 특정 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이며, 다수의 도트(1112)를 볼록하게 돌출시켜 이루어지게 된다.The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도트(1112)들은 서로 일부분이 겹쳐져서 형성된다.In particular, as illustrated in FIG. 8, the plurality of
즉, 종래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트(1112a)와 도트(1112a) 사이에 이격 거리(t)가 존재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격 거리가 존재하지 않도록 도트(1112)와 도트(1112)가 일정 부분씩 서로 겹쳐져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separation distance t exists between the
상기 도트(1112)는 반구형 또는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약 40㎛으로 형성되는데, 양측단에서 약 1/5~2/5 가량이 상호 겹쳐지도록 한다.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성능을 "스페오스(SPEOS)"를 통해 시뮬 레이션시켜 보았다.Such performance of the light guid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simulated through "SPEOS".
"스페오스"는 OPTIS에서 제작한 프로그램으로 광학과 조명 적용에 필요한 분석과 디자인 툴이다."Spheos" is a program created by OPTIS that is an analysis and design tool for optical and lighting applications.
첨부된 도 9 및 도 10은 "스페오스"를 통해 본 발명의 도광판을 시뮬레이션 해본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도광판을 상부에서 내려다 본 상태의 밝기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도광판을 상부에서 내려다 보았을때 시야각에 따라 밝기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9 and 10 show simulation results of the light guid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speose", FIG. 9 show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guid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top, and FIG. 10 shows the present invention. When looking at the light guide plate from above, it shows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도 11은 상기 도 10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FIG. 11 is a graph illustrating the simulation result of FIG. 10.
한편, 첨부된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과 대비해 보기 위해 종래 기술에 따른 도광판을 "스페오스"를 통해 시뮬레이션 해본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상기 도 13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12 and 13 are diagrams illustrating simulation results of a light guide plat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rough a "speus" for comparis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graph illustrating the simulation results of FIG. 13. .
이제 본 발명과 종래 기술과의 차이를 각 도면을 대비하여 살펴본다.Now looks 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or art in contrast to each figure.
참고로 도 9 내지 도 13에서 붉은색은 가장 밝은 부분이고, 파란색은 가장 어두운 부분을 의미한다.For reference, in FIGS. 9 to 13, red is the brightest part and blue is the darkest part.
먼저 도 9와 도 12를 대비해보면, 도 9에 나타낸 본 발명의 도광판은 광원에서 멀게 형성된 패턴의 밝기가 종래 기술보다 훨씬 밝은 휘도를 갖게 됨을 알 수 있다.9 and 12, it can be seen that the light guid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9 has a brightness that is much brighter than that of the prior art.
즉, 도 9의 붉은색 부분이 도 12의 종래 기술에 비해 더 넓은 영역이면서 더 선명한 색상을 띠게 됨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휘도가 훨씬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red part of FIG. 9 has a wider area and more vivid colors than the prior art of FIG. 12, and it can be seen that the luminance is much improved.
한편, 도 10 및 도 13은 도광판을 어안렌즈와 같은 볼록렌즈를 통해 전체 형상을 평면상으로 바라본 것이다.10 and 13 show the light guide plate in plan view through a convex lens such as a fisheye lens.
이를 대비해보면, 도 10의 본 발명은 도 13의 종래 기술에 비해 붉은 색이 더욱 선명하고 커졌으며 보다 밀접되었음을 알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휘도가 종래 기술에 비해 훨씬 향상되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In contrast,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0 shows that the red color is clearer, larger, and clos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art of FIG.
한편, 도 11 및 도 14는 도 10 및 도 13을 토대로 가장 밝은 지점의 인식되는 시야각과 밝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11 and 14 are graphs showing recognized viewing angles and brightnesses of the brightest spots based on FIGS. 10 and 13.
도 11과 도 14에서 좌측의 수직선이 사람이 도광판(110)을 놓고 수직 상방에서 내려다보는 최정점이고 이때가 0°이다.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In FIG. 11 and FIG. 14, the vertical line on the left is the highest point where a person views the
도 11 및 도 14를 대비해보면, 도 11의 본 발명은 시야각이 보다 넓은 각도에서도 종래 보다 밝은 휘도를 갖게 됨을 알 수 있다.11 and 14,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1 has a brighter brightness than the prior art even at a wider viewing angle.
즉, 종래에는 거의 수직에 가까운 75°의 시야각에서 가장 밝은 휘도를 갖게 되며, 이때의 휘도는 83 칸델라(cd)인 것이다(도 14 참조).That is, conventionally, it has the brightest brightness at a viewing angle of approximately 75 °, and the brightness at this time is 83 candelas (cd) (see FIG. 14).
이에 반하여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종래보다 낮은 각도인 78°의 시야각에서도 98칸델라(cd)의 밝은 휘도를 구현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contrary, referring to FIG. 11, the present invention may realize bright brightness of 98 candelas (cd) even at a viewing angle of 78 °, which is lower than that of the related art, and thus may be more easily identified.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the preferable embodimen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and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ttached claim.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직접조명 방식의 LED 키패드 모듈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D keypad module of the conventional direct lighting method.
도 2 는 직접조명 방식의 LED 키패드 모듈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EL(Electro Luminescence) 키패드 모듈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 (Electro Luminescence) keypad module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 of the LED keypad module of the direct lighting method.
도 3은 EL 키패드 모듈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간접조명 방식의 LED 키패드 모듈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D keypad module of the indirect lighting method for supplementing the problem of the EL keypad module.
도 4는 종래 특허 제2004-7273호를 나타낸 도면.4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atent 2004-7273.
도 5는 상기 등록특허 제0610336호에 도시된 키패드 백라이트용 도광판을 나타낸 도면.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light guide plate for a keypad backlight shown in Patent No. 0610336.
도 6은 상기 도 5에 대한 일부 발췌 단면도.FIG.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중첩형 키패드용 도광판을 나타낸 사시도.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 guide plate for a mobile overlapping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모바일 중첩형 키패드용 도광판에서 패턴을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확대도면.FIG. 8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the light guide plate for the mobile overlap keypad illustrated in FIG.
도 9 및 도 10은 "스페오스"를 통해 본 발명의 도광판을 시뮬레이션 해본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도광판을 상부에서 내려다 본 상태의 밝기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도광판을 상부에서 내려다 보았을때 시야각에 따라 밝기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9 and 10 show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pese", Figure 9 show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guid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top down, Figure 10 is a light guid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looking down from the top shows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도 11은 상기 도 10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FIG. 11 is a graph illustrating the simulation result of FIG. 10.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과 대비해 보기 위해 종래 기술에 따른 도광판을 "스페오스"를 통해 시뮬레이션 해본 결과를 나타낸 도면. 12 and 13 are diagrams showing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rough the "speose" in order to contrast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상기 도 13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14 is a graph showing the simulation result of FIG. 13.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0 : 광원 111 : 패턴100: light source 111: pattern
1112 : 도트 1112: dots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1761A KR100947243B1 (en) | 2008-06-27 | 2008-06-27 | Light guide plate for mobile overlapping keypa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1761A KR100947243B1 (en) | 2008-06-27 | 2008-06-27 | Light guide plate for mobile overlapping keypa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1732A KR20100001732A (en) | 2010-01-06 |
KR100947243B1 true KR100947243B1 (en) | 2010-03-11 |
Family
ID=41812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6176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47243B1 (en) | 2008-06-27 | 2008-06-27 | Light guide plate for mobile overlapping keypa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47243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57335A (en) * | 2001-12-28 | 2003-07-04 |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Light guide pl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llumination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KR20060051190A (en) * | 2004-10-09 | 2006-05-19 | 제일모직주식회사 | Light guide pl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acklight unit and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ame |
KR20060127638A (en) * | 2005-06-08 | 2006-12-13 | 삼성전기주식회사 | Light guide plate with multi-cycle pattern and ligh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using same |
-
2008
- 2008-06-27 KR KR1020080061761A patent/KR10094724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57335A (en) * | 2001-12-28 | 2003-07-04 |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Light guide pl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llumination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KR20060051190A (en) * | 2004-10-09 | 2006-05-19 | 제일모직주식회사 | Light guide pl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acklight unit and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ame |
KR20060127638A (en) * | 2005-06-08 | 2006-12-13 | 삼성전기주식회사 | Light guide plate with multi-cycle pattern and ligh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us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1732A (en) | 2010-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10336B1 (en) | Light guide plate for keypad backligh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4279347B2 (en) | Light guide film and light emitting keypad provided with the same | |
KR100649482B1 (en) | Luminous keypad | |
CN101606090B (en) | Lightguide arrangement and related applications | |
US7736042B2 (en) | Back light unit | |
CN106373812B (en) | The electronic device of press-key structure and applications keys structure | |
KR101475045B1 (en) | Luminescent emblem assembly | |
US20090173607A1 (en) | Thin keymat module with a reflection structure | |
WO2007102633A1 (en) | Light guide film comprising reflecting layer and emitting keypad having the same | |
US8360595B2 (en) | Light-guiding structure of translucent press key | |
CN101803350A (en) | Lighting guide keypad and lighting guide keypad assembly | |
KR101028464B1 (en) | Keypad with Light Guide Pad | |
KR100649484B1 (en) | Light emitting keypad with light guide film | |
KR100947243B1 (en) | Light guide plate for mobile overlapping keypad | |
KR100947244B1 (en) | Light guide plate for mobile dual dot keypad | |
CN201146131Y (en) | Thin key module with reflection structure | |
KR100695017B1 (en) | Luminous keypad | |
KR200439070Y1 (en) | Printed Waveguide Sheet for Light Source | |
KR100649475B1 (en) | Luminous keypad | |
KR100928725B1 (en) | Keypa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201750463U (en) | Mobile phone key components | |
CN101526194A (en) | Light guide membrane and backlight module for key backlight | |
CN212782630U (en) |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100749118B1 (en) | Luminous keypad | |
WO2008082127A1 (en) | Printing type lighting guide sheet for light sour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