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45152B1 -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 Google Patents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5152B1
KR100945152B1 KR1020090020423A KR20090020423A KR100945152B1 KR 100945152 B1 KR100945152 B1 KR 100945152B1 KR 1020090020423 A KR1020090020423 A KR 1020090020423A KR 20090020423 A KR20090020423 A KR 20090020423A KR 100945152 B1 KR100945152 B1 KR 100945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vibration
crushing agent
free
explos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호
최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디마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디마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디마이트
Priority to KR1020090020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5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15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BEXPLOSIVES OR THERMIC COMPOSITIONS; MANUFACTURE THEREOF; USE OF SINGLE SUBSTANCES AS EXPLOSIVES
    • C06B29/00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oxygen-halogen salt, e.g. chlorate, perchlorate
    • C06B29/02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oxygen-halogen salt, e.g. chlorate, perchlorate of an alkali metal
    • C06B29/04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oxygen-halogen salt, e.g. chlorate, perchlorate of an alkali metal with an inorganic non-explosive or an inorganic non-thermic component
    • C06B29/06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oxygen-halogen salt, e.g. chlorate, perchlorate of an alkali metal with an inorganic non-explosive or an inorganic non-thermic component the component being a cyanide; the component being an oxide of iron, chromium or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BEXPLOSIVES OR THERMIC COMPOSITIONS; MANUFACTURE THEREOF; USE OF SINGLE SUBSTANCES AS EXPLOSIVES
    • C06B29/00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oxygen-halogen salt, e.g. chlorate, perchlorate
    • C06B29/02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oxygen-halogen salt, e.g. chlorate, perchlorate of an alkali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BEXPLOSIVES OR THERMIC COMPOSITIONS; MANUFACTURE THEREOF; USE OF SINGLE SUBSTANCES AS EXPLOSIVES
    • C06B29/00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oxygen-halogen salt, e.g. chlorate, perchlorate
    • C06B29/02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oxygen-halogen salt, e.g. chlorate, perchlorate of an alkali metal
    • C06B29/04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oxygen-halogen salt, e.g. chlorate, perchlorate of an alkali metal with an inorganic non-explosive or an inorganic non-thermic compon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에 관한 것으로, 수화반응을 일으키는 산화칼슘(CaO) 분말 70∼90 중량%과 분말 형태로 이루어지며, CaCO3, SiO2, Fe2O3, Al2O3, MgO, SO3를 포함하는 첨가제 10∼30 중량%를 혼합하여 구성되는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의 수화반응시 발생되는 팽창압이 기존 파쇄제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여 천연 암반 뿐 아니라 고강도 콘크리트로 구성된 구조물도 용이하게 파쇄하는 것이 가능한 바 적용성 및 시공성,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Non-Explosive Demolition mortar}
본 발명은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화칼슘의 수화반응시 발생되는 팽창력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파쇄하는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에 관한 것이다.
인공 및 천연 구조물 등을 사전 계획된 대로 형상화 하거나 처리하는 기술은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이와 동시에, 건설, 건축, 토목 공사 등에서 목적물을 파괴 및 파쇄하는 기술 또한 발전하여 왔다. 특히 밀집된 구조물의 특정 부위를 파쇄하거나, 밀집된 구조물 사이에서 특정 구조물을 파쇄하기 위하여 정교하고 정밀한 파괴 및 파쇄 공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파괴 및 파쇄 공법으로서, 구조물 내측에 폭발성 제품을 주입하여 가스나 열에 의한 순간적인 팽창압을 이용하는 발파 공법, 콘크리트나 암반을 절단할 수 있는 특수한 와이어를 이용하는 DWS(Diamond wire saw) 공법 등이 제안되었으나, 발파 공법의 경우 소음 및 진동이 심하고 밀집된 지역에서 공사가 불가한 단점이 있었고, DWS 공법의 경우 와이어 마모로 인해 교체 빈도가 잦고 공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절단시 발생하는 슬러지가 환경 오염원이 되어 처리시 설이 추가로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구조물에 천공을 형성하고 천공 내측에 파쇄제를 투입하여 산화칼슘의 수화반응시 발생되는 팽창압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파괴 및 파쇄하는 공법이 연구되고 있다. 다만, 이에 의할 경우 산화칼슘의 수화반응시 천공 내벽을 따라 충분한 팽창압이 가해지지 않고 천공 상측으로 분출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고강도 콘크리트로 구성된 구조물에 적용하는 경우, 수화반응시 파쇄제의 팽창압이 부족하여 이러한 공법을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강도의 재료로 구성된 구조물이더라도 충분한 팽창압을 제공하여 구조물을 파쇄 및 파괴할 수 있는 파쇄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화반응을 일으키는 산화칼슘(CaO) 분말 70∼90 중량%과 분말 형태로 이루어지며, CaCO3, SiO2, Fe2O3, Al2O3, MgO, SO3를 포함하는 첨가제 10∼30 중량%를 혼합하여 구성되는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는 전체 중량 대비 CaCO3 1∼10 중량%, SiO2 2∼10 중량%, Fe2O3 2∼6 중량%, Al2O3 1∼5 중량%, MgO 1∼5 중량%, SO3 0.5∼5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첨가제는 상기 산화칼슘의 수화반응을 촉진시키는 알칼리금속 산화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알칼리금속 산화물은 Na2O 또는 K2O로 구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알칼리금속 산화물은 전체 중량 대비 Na2O 0.01∼1 중량% 및 K2O 0.01∼1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첨가제는 MnO, P2O5 및 TiO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때, MnO, P2O5 및 TiO2는 각각 전체 중량 대비 0.01∼1 중량%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산화칼슘(CaO) 70∼90 중량%; CaCO3 1∼10 중량%; SiO2 2∼10 중량%; Fe2O3 2∼6 중량%; Al2O3 1∼5 중량%; MgO 1∼5 중량%; SO3 0.5∼5 중량%; Na2O 0.01∼1 중량%; K2O 0.01∼1 중량%; MnO 0.01∼1 중량%; P2O5 0.01∼1 중량%; 및 TiO2 0.01∼1 중량%를 혼합하여 구성되는 분말 형태의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에 의해 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파쇄제의 수화반응시 발생되는 팽창압이 현저히 증가하여 천연 암반 뿐 아니라 고강도 콘크리트로 구성된 구조물도 용이하게 파쇄하는 것이 가능한 바 적용성 및 시공성, 경제성 개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 및 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는 물에 대한 반응성이 좋은 산화칼 슘(CaO)을 주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산화칼슘(CaO)은 일반적으로 생석회라 불리는 것으로, 액체 또는 기체상태의 수분과 결합하여 수화반응을 일으킨다. 이때, 산화칼슘(CaO)가 물과 반응하는 경우 비중이 3.4에서 2.24로 크게 변화하면서 1.5∼2.0 배의 부피 팽창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산화칼슘(CaO)은 석회석 또는 탄산칼슘을 약 900℃로 가열하여 얻어질 수 있고, 1000℃∼1500℃의 범위 내에서 석회석을 소성하는 경우 초기에 유효한 수화 반응성 및 우수한 팽창압 발현특성을 갖는 산화칼슘(CaO)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400℃ 전후의 온도로 8∼10시간 가열하여 산화칼슘(CaO)를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의 주성분인 산화칼슘(CaO)을 획득한 이후에는 이외의 첨가물을 추가적으로 더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는 산화칼슘(CaO)의 수화반응시 반응특성을 이용하고 있고, 산화칼슘(CaO)는 수분이 존재하는 경우 다른 금속과도 반응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소정의 첨가제를 추가하여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의 반응특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첨가제는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삼산화황(SO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에는 CaO-Al2O3-SO3 계의 물질 미리 배합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CaO-Al2O3-SO3 계의 물질은 수화반응시 에트링가이트(Ettringite)란 물질을 생성한다. 상기 에트링가이트는 산화칼슘만이 수화반응할 때에 비해, 팽창이 폭발 적으로 발생하는 바 팽창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에 CaO-Al2O3-SO3 물질을 미리 배합하는 경우, 수화반응이 일어나면서 에트링가이트의 결정이 보다 조밀하게 코팅되어 덮이게 되는데 이러한 코팅은 자체 팽창을 일으키는 토포케미칼(topochemical) 반응의 성질을 띄면서, 팽창압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전술한 에트링가이트는 폭발적인 팽창물질이므로 수화반응시 천공홀 상측으로 솟아오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는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첨가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는 이산화규소(SiO2), 산화철(Fe2O3), 탄산칼슘(CaCO3) 및 산화마그네슘(MgO) 등의 첨가물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여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는 잠재수경성과 포졸란 반응성을 발연하여 파쇄제의 급격한 반응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수경성을 발휘하여 팽창압에 의해 파쇄제가 상부로 유출되지 않고 대상 구조물에 유효한 팽창압을 장시간 발현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도 2참조)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는 추가적으로 소정의 알칼리금속 산화물을 첨가물로서 추가하여 혼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산화 나트륨(Na2O) 및 산화칼륨(K2O)를 추가하여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를 형 성하였으며, 이 경우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의 팽창압이 증가하는 것을 실험을 통해 발견하였다.
또한, 이외에도 기타의 중금속 산화물 또는 오산화인(P2O5)을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에 추가적으로 첨가하는 경우, 팽창압의 강도가 더욱 증가하고 증가하는 것을 실험을 통해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산화망간(MnO), 산화티타늄(TiO2) 및 오산화인(P2O5)을 추가적으로 첨가하여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를 형성하였다.
전술한 구성 성분들을 혼합하여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의 성분비는 아래의 표와 같다.
구성성분 중량%
CaO 70∼90 중량%
CaCO3 1∼10 중량%
SiO2 2∼10 중량%
Fe2O3 2∼6 중량%
Al2O3 1∼5 중량%
MgO 1∼5 중량%
SO3 0.5∼5 중량%
Na2O 0.01∼1 중량%
K2O 0.01∼1 중량%
MnO 0.01∼1 중량%
P2O5 0.01∼1 중량%
TiO2 0.01∼1 중량%
상기와 같은 성분비는 반복적인 실험을 통하여 상용 가능한 범위의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를 형성할 수 있는 구성 성분비를 도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적정한 비율로 첨가물을 혼합한 후, 이를 분쇄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성분이 수화반응시 충분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미세분말의 형태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미세분말의 형태로 가공된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는 약 1000℃의 온도에서 2∼3 시간동안 2차 열처리가 이루지면서 완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파쇄하는 실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제조된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는 물과 함께 모르타르 형태로 혼합된다. 그리고, 파쇄하고자 하는 구조물에 소정 간격으로 천공을 형성한 후, 물과 혼합된 모르타르 형태의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를 주입한다.
천공에 주입된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혼합물은 수화반응에 의해 천공 내벽을 따라 팽창압을 가하면서 구조물을 파쇄할 수 있다. 이 경우, 천공의 구경이 클수록 구조물에 가해지는 팽창압이 증가하나, 실험 결과 천공의 구경이 100mm이상인 경우에는 천공의 내벽으로 가해지는 팽창압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팽창압의 크기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50mm∼75mm의 범위로 천공을 형성하고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혼합물을 주입하였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를 이용하여 실험을 한 결과, 시간에 따라 구조물에 가해지는 팽창압의 크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는 수화반응이 시작된 후 장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팽창압이 증가한다. 수화반응이 시작된 1시간 이후부터 12시간에 인접하는 구간까지는 상대적으로 가파르게 팽창압이 증가한 후, 이후에는 수화반응이 종료될 때까지 완만하게 팽창압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는 종래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된 팽창압을 보이게 된다. 종래의 경우, 팽창압의 300kg/cm2을 초과하지 못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수화반응이 시작된 후 12시간이 지난 이후부터 400kg/cm2에 근사한 팽창압을 갖고, 이후에도 수화반응이 종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600kg/cm2 에 이르는 팽창압을 갖게 된다.
따라서, 천연 암석의 파괴에만 국한되었던 종래의 파쇄제에 비하여, 고강도 콘크리트 등을 이용한 인공 구조물에도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를 적용한 구조물의 해체가 가능하다. 일 예로서, 도 3은 교각의 기초로 사용되는 고강도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실험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a는 천공상에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를 주입한지 12시간이 경과한 후의 사진, 도 3b는 천공상에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를 주입한지 18시간이 경과한 후의 사진, 도 3c는 천공상에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를 주입한지 24시간이 경과한 후의 사진이며, 도 3d는 도 3c의 균열의 모습을 확대한 사진이다.
본 실험에 사용된 구조물은 고강도 콘크리트로 구성된 것으로서, 500kg/cm2 이상의 팽창압이 가해지는 경우에 한해 구조물이 파쇄되도록 설계된 것이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를 통해 본 실시예에 의한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의 팽창압이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는 소음 및 진동이 적으면서 안전하게 구조물의 해체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첨가제를 이용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팽창압을 개선하여, 고강도의 인공구조물에 대한 해체작업에도 적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의 수화반응에 따른 시간별 팽창압의 크기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파쇄하는 실험 결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Claims (9)

  1. 산화칼슘(CaO) 분말 70∼90 중량%과
    분말 형태로 이루어지며, Al2O3, SO3, SiO2 및 Fe2O3를 포함하는 첨가제 10∼30 중량%를 혼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첨가제는 MnO, P2O5 및 TiO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CaCO3 및 MgO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전체 중량 대비 CaCO3 1∼10 중량%, SiO2 2∼10 중량%, Fe2O3 2∼6 중량%, Al2O3 1∼5 중량%, MgO 1∼5 중량%, SO3 0.5∼5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알칼리금속 산화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금속 산화물은 Na2O 또는 K2O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금속 산화물은 전체 중량 대비 Na2O 0.01∼1 중량% 및 K2O 0.01∼1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nO, P2O5 및 TiO2는 각각 전체 중량 대비 0.01∼1 중량%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9. 산화칼슘(CaO) 70∼90 중량%; CaCO3 1∼10 중량%; SiO2 2∼10 중량%; Fe2O3 2∼6 중량%; Al2O3 1∼5 중량%; MgO 1∼5 중량%; SO3 0.5∼5 중량%; Na2O 0.01∼1 중 량%; K2O 0.01∼1 중량%; MnO 0.01∼1 중량%; P2O5 0.01∼1 중량%; 및 TiO2 0.01∼1 중량%를 혼합하여 구성되는 분말 형태의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KR1020090020423A 2009-03-10 2009-03-10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Expired - Fee Related KR100945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423A KR100945152B1 (ko) 2009-03-10 2009-03-10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423A KR100945152B1 (ko) 2009-03-10 2009-03-10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632A Division KR101077259B1 (ko) 2009-08-13 2009-08-13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5152B1 true KR100945152B1 (ko) 2010-03-08

Family

ID=42182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42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45152B1 (ko) 2009-03-10 2009-03-10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51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761B1 (ko) * 2013-05-27 2014-07-21 주식회사 씨엔킴 방진 발파 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216A (ko) * 2001-01-15 2002-07-24 주식회사 인트켐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한 정적 파쇄제
KR20050108078A (ko) * 2004-05-11 2005-11-16 기초소재 주식회사 비폭성 정적파쇄제
KR20070001626A (ko) * 2005-06-29 2007-01-04 기초소재 주식회사 비폭성 정적파쇄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216A (ko) * 2001-01-15 2002-07-24 주식회사 인트켐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한 정적 파쇄제
KR100403913B1 (ko) 2001-01-15 2003-10-30 주식회사 인트켐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한 정적 파쇄제
KR20050108078A (ko) * 2004-05-11 2005-11-16 기초소재 주식회사 비폭성 정적파쇄제
KR20070001626A (ko) * 2005-06-29 2007-01-04 기초소재 주식회사 비폭성 정적파쇄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761B1 (ko) * 2013-05-27 2014-07-21 주식회사 씨엔킴 방진 발파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1905B2 (ja) 脆性物体の破壊剤
US20160137551A1 (en) Geosynthsesis binder comprising a calcium- alkaline activator and a silico-aluminous compound
GB2095657A (en) Destructive cementitious composition
CN102765906A (zh) 一种利用萤石矿渣生产加气空心砖方法
KR101077259B1 (ko)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KR100945152B1 (ko)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CN110885222B (zh) 一种高效无声破碎剂及其生产方法
JPS5925876A (ja) 薬液注入工法
KR102297320B1 (ko) 조강형 팽창재와 이를 함유한 콘크리트 보수용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보수용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공법
JP5126486B2 (ja) 超大孔径用静的破砕剤
KR100942729B1 (ko)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파쇄방법
JP6110749B2 (ja) 破砕材
CN114436614B (zh) 一种静态破碎剂及其制备方法和破碎方法
CN103396058B (zh) 一种水硬性微膨胀水泥胶砂岩塞炮孔堵材及配制方法
CN106380157A (zh) 一种防冻裂路面施工材料制备方法及其应用
KR102764304B1 (ko) 카트리지형 정적 파쇄제와 이를 활용한 무진동 파쇄공법
JP5004757B2 (ja) 人工石材の製造方法
JP5356473B2 (ja) 人工石材の製造方法
JPS58103572A (ja) 化学的破砕剤
KR100710907B1 (ko) 비폭성 정적파쇄제
JP2004261723A (ja) 膨張性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破砕剤
KR100603643B1 (ko) 비폭성 정적파쇄제
RU2206532C2 (ru) Невзрывчатый разрушающий состав нрс-1
JPH03912B2 (ko)
JPS5887177A (ja) 化学的破砕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81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