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531B1 - Video monitoring system - Google Patents
Video monitor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44531B1 KR100944531B1 KR1020080017440A KR20080017440A KR100944531B1 KR 100944531 B1 KR100944531 B1 KR 100944531B1 KR 1020080017440 A KR1020080017440 A KR 1020080017440A KR 20080017440 A KR20080017440 A KR 20080017440A KR 100944531 B1 KR100944531 B1 KR 1009445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 input
- oadm
- drop multiplexing
-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6—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2—Adaptations for optical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모니터링 대상의 위치마다 카메라 및 전광 변환부가 설치된다. 전광 변환부들로부터의 서로 다른 파장의 광 신호들은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소자들에 입력됨에 의하여 하나의 광 섬유 라인을 통하여 상황실에 전송되어, 사용자가 상황실에서 영상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하나의 광 섬유 라인의 일단은 제1 상황실에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광 섬유 라인의 타단은 제2 상황실에 연결된다.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소자들은 제1 상황실 또는 제2 상황실로부터의 방향 제어 신호에 따라 양방향성으로 동작하여, 광 신호들이 상기 하나의 광 섬유 라인을 통하여 제1 상황실 또는 제2 상황실로 전송된다.
OADM
In the imag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mera and an all-optical converting unit are installed for each position of the monitoring target. Optical signals of different wavelengths from the all-optical converters are input to optical add / drop multiplexing (OADM) elements and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room through one optical fiber line, so that the user performs image monitoring in the operation room. One end of the one optical fiber line is connected to the first situation cha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one optical fiber line is connected to the second situation chamber. Optical Add / Drop Multiplexing (OADM) devices operate bidirectionally in accordance with direction control signals from the first or second situation room so that optical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first or second situation room through the one optical fiber line. .
OADM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링 대상의 위치마다 카메라 및 전광 변환부가 설치되고, 상기 전광 변환부들로부터의 서로 다른 파장의 광 신호들이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소자들에 입력됨에 의하여 하나의 광 섬유 라인을 통하여 상황실에 전송되는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monito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 camera and an all-optical converting unit are installed at each position to be monitored, and optical signals of different wavelengths from the all-optical converting units are OADM (Optical Add / Drop Multiplexing). An image monitoring system is transmitted to a situation room via one optical fiber line by being input into the devices.
도 1은 통상적인 전철에서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in a typical train.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적인 전철에서는 제1 기관사실(101)과 제2 기관사실(121) 사이에 제1 객실(101) 내지 제N 객실(120)이 위치한다. 여기에서, 제1 객실(101) 내지 제N 객실(120)에서의 상황을 제1 기관사실(101) 또는 제2 기관사실(121)에서 모니터링하는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이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1, in a typical train, the
도 2는 도 1의 전철에 설치되는 종래의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을 보여준다.FIG. 2 shows a conventional video monitoring system installed in the train of FIG. 1.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 예를 들어, 도 1의 전철에 설치되는 종래의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and 2, a conventional video monitoring system, for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the conventional video monitoring system installed in the train of Figure 1 as follows.
제1 내지 제N 객실들(102 내지 120)에는 모니터링 대상의 위치마다 카메라(102 내지 120) 및 전광 변환부(E/O1 내지 E/O(N), 152 내지 170)가 설치된다. 즉, 제1 내지 제N 객실들(102 내지 120)에서는 카메라들(102 내지 120)로부터의 영상 신호들이 전광 변환부들(E/O1 내지 E/O(N), 152 내지 170)을 통하여 서로 다른 파장의 광 신호들로 변환된다. The
이 전광 변환부들(E/O1 내지 E/O(N), 152 내지 170)로부터의 서로 다른 파장의 광 신호들이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소자들(131 내지 149)에 입력됨에 의하여 하나의 광 섬유 라인을 통하여 상황실로서의 제2 기관사실(121)에 전송된다.Optical signals of different wavelengths from the all-optical converters E / O1 to E / O (N), 152 to 170 are input to the optical add / drop multiplexing (OADM)
즉,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소자들(131 내지 149)의 동작으로 인하여 객실들 각각(102 내지 120)으로부터의 영상들이 합류되어 하나의 광 변조 신호로서 제2 기관사실(121)에 전송된다. That is, due to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add / drop multiplexing (OADM)
여기에서, 제2 기관사실(121)에는, 제1 내지 제N 모니터들(702 내지 720), 제1 내지 제N 광전 변환부들(602 내지 620), 및 제2 광 복조부(501)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광 복조부(501)는 가장 가깝게 위치한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소자(149)로부터의 최종적인 광 변조 신호를 복조하여 N 개의 광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Here, the first to Nth monitors 702 to 720, the first to Nth
제2 광 복조부(501)로부터의 N 개의 광 신호들은 제1 내지 제N 광전 변환부들(602 내지 620)에서 각각의 전기적 영상 신호들로 변환되어 모니터들(702 내지 720) 각각에 입력된다. The N optical signals from the second
이에 따라, 기관사는 상황실로서의 제2 기관사실(121)에서 각 객실의 영상을 볼 수 있다. Accordingly, the engineer may view an image of each cabin in the second engineer's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다른 쪽 상황실(101)에도 모니터링 시설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관사실(101)에서도, 제1 내지 제N 모니터들(202 내지 220), 제1 내지 제N 광전 변환부들(302 내지 320), 및 제1 광 복조부(401)가 설치되어 있다. However, in most cases, the
따라서, 종래의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하나의 광 섬유 라인을 통하여 영상 신호들을 전송할 경우에 어느 한 쪽에 위치한 상황실에서만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나의 광 섬유 라인을 통하여 영상 신호들을 전송할 경우에 서로 먼 거리에 위치한 두 곳의 상황실들 모두에서 사용자가 모니터링을 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video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is possible only in the situation room located at either side when transmitting video signals through one optical fiber line. Therefore, when transmitting image signals through one optical fiber line,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user cannot monitor in both of the situation rooms located at a long distance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광 섬유 라인을 통하여 영상 신호들을 전송할 경우에도 서로 먼 거리에 위치한 두 곳의 상황실들 모두에서 사용자가 모니터링을 할 수 있게 하는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monitoring system that enables a user to monitor in both situation rooms locat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even when transmitting image signals through one optical fiber line.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모니터링 대상의 위치마다 카메라 및 전광 변환부가 설치된다. 상기 전광 변환부들로부터의 서로 다른 파장의 광 신호들은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소자들에 입력됨에 의하여 하나의 광 섬유 라인을 통하여 상황실에 전송되어, 사용자가 상황실에서 영상 모니터링을 수행한다.In the image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amera and an all-optical converting unit are installed for each position of the monitoring target. Optical signals of different wavelengths from the all-optical converters are input to optical add / drop multiplexing (OADM) elements and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room through one optical fiber line, so that the user performs image monitoring in the operation room.
상기 하나의 광 섬유 라인의 일단은 제1 상황실에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광 섬유 라인의 타단이 제2 상황실에 연결된다. 상기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소자들이 상기 제1 상황실 또는 상기 제2 상황실로부터의 방향 제어 신호에 따라 양방향성으로 동작하여, 상기 광 신호들이 상기 하나의 광 섬유 라인을 통하여 상기 제1 상황실 또는 상기 제2 상황실로 전송된다.
상기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소자들 각각은 제1 입출력 단자(I/O1), 제1 입력 단자(IN1), 제2 입출력 단자(I/O2), 제2 입력 단자(IN2), 및 방향 제어 단자(DIR)를 구비한다.
상기 방향 제어 단자(DIR)에 낮은 논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입출력 단자(I/O2) 및 제2 입력 단자(IN2)에 인가되는 신호들에 대하여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방향 제어 단자(DIR)에 높은 논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입출력 단자(I/O1) 및 제1 입력 단자(IN1)에 인가되는 신호들에 대하여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동작을 수행한다. One end of the one optical fiber line is connected to the first situation cha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one optical fiber line is connected to the second situation chamber. The optical add / drop multiplexing (OADM) elements operate bidirectionally according to a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situation room or the second situation room, such that the optical signals pass through the one optical fiber line to the first situation room or the It is sent to the second situation room.
Each of the optical add / drop multiplexing (OADM) devices includes a first input / output terminal I / O1, a first input terminal IN1, a second input / output terminal I / O2, a second input terminal IN2, and The direction control terminal DIR is provided.
When a low logic signal is input to the direction control terminal DIR, OADM (Optical Add / Drop Multiplex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signals applied to the second input / output terminal I / O2 and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To perform.
When a high logic signal is input to the direction control terminal DIR, an optical add / drop multiplexing (OADM) operation is performed on signals applied to the first input / output terminal I / O1 and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To perform.
본 발명의 상기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소자들이 상기 제1 상황실 또는 상기 제2 상황실로부터의 방향 제어 신호에 따라 양방향성으로 동작하여, 상기 광 신호들이 상기 하나의 광 섬유 라인을 통하여 상기 제1 상황실 또는 상기 제2 상황실로 전송된다.According to the image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add / drop multiplexing (OADM) elements operate bidirectionally in accordance with a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situation room or the second situation room, so that the optical signals The fiber lin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ituation room or the second situation room.
이에 따라, 하나의 광 섬유 라인을 통하여 영상 신호들을 전송할 경우에도 서로 먼 거리에 위치한 두 곳의 상황실들 모두에서 사용자가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Accordingly, even when image signals are transmitted through one optical fiber line, a user can monitor in two situation rooms located at a distant distance from each other.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4는 도 3의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소자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shows an imag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in detail an operation of an optical add / drop multiplexing (OADM) device of FIG. 3.
도 1, 3, 및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 예를 들어, 도 1의 전철에 설치되는 실시예의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3, and 4, an imag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n imag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stalled in the train of FIG.
제1 내지 제N 객실들(102 내지 120)에는 모니터링 대상의 위치마다 카메라(102 내지 120), 전광 변환부(E/O1 내지 E/O(N), 152 내지 170), 및 광 분리기(802 내지 820)가 설치된다. 즉, N 개의 카메라들, N 개의 전광 변환부들(E/O1 내지 E/O(N), 152 내지 170), 및 N 개의 광 분리기들(802 내지 82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광 분리기(802 내지 820)로는 잘 알려진 3 데시벨(dB) 분리기(divider)가 사용된다. In the first to
카메라들(102 내지 120)로부터의 영상 신호들은 전광 변환부들(E/O1 내지 E/O(N), 152 내지 170)을 통하여 서로 다른 파장의 광 신호들로 변환된다. 전광 변환부들(E/O1 내지 E/O(N), 152 내지 170) 각각으로부터의 광 신호는 광 분리기 들(802 내지 820) 각각에서 제1 광 신호 및 제2 광 신호로 분리된다.Image signals from the
광 분리기들(802 내지 820) 각각에서 분리된 제1 광 신호 및 제2 광 신호는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소자들(930 내지 949)의 양 입력 단자들(IN1, IN2)에 각각 입력된다. The first optical signal and the second optical signal separated from each of the
제1 내지 제N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소자들(930 내지 949)은 하나의 광 섬유 라인을 통하여 직렬 연결된다.The first through Nth OADM (Optical Add / Drop Multiplexing)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소자들(930 내지 949)은, 제1 상황실(101) 또는 그 반대 편에 위치한 제2 상황실(121)로부터의 방향 제어 신호에 따라 양방향성으로 동작하여, 광 신호들이 하나의 광 섬유 라인을 통하여 제1 상황실(101) 또는 제2 상황실(121)로 전송된다.Optical Add / Drop Multiplexing (OADM)
이에 따라, 하나의 광 섬유 라인을 통하여 영상 신호들을 전송할 경우에도 서로 먼 거리에 위치한 두 곳의 상황실들(101, 102) 모두에서 사용자가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즉,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소자들(930 내지 949)의 양방향성 동작으로 인하여, 객실들 각각(102 내지 120)으로부터의 영상들이 합류되어 하나의 광 변조 신호로서 제1 상황실(101)로 전송되거나 제2 상황실(121)로 전송된다.Accordingly, even when image signals are transmitted through one optical fiber line, the user may monitor in both of the
보다 상세하게는,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소자들(930 내지 949) 각각은 제1 입출력 단자(I/O1), 제1 입력 단자(IN1), 제2 입출력 단자(I/O2), 제2 입력 단자(IN2), 및 방향 제어 단자(DIR)를 구비한다.More specifically, each of the optical add / drop multiplexing (OADM)
상기 하나의 광 섬유 라인은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소자 들(930 내지 949) 각각의 제1 입출력 단자(I/O1) 및 제2 입출력 단자(I/O2)에 연결된다. 즉, 제1 내지 제N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소자들(930 내지 949)은 하나의 광 섬유 라인을 통하여 직렬 연결된다.The one optical fiber line is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 output terminal I / O1 and the second input / output terminal I / O2 of each of the optical add / drop multiplexing (OADM)
사용자가 제1 상황실(101)에서 제1 푸시버튼 스위치(PB1)를 누르면, OADM 소자들(930 내지 949) 각각의 방향 제어 단자(DIR)에 낮은 논리 신호가 입력된다. 이 경우, OADM 소자들(930 내지 949) 각각은 제2 입출력 단자(I/O2) 및 제2 입력 단자(IN2)에 인가되는 신호들에 대하여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동작을 수행한다. 제2 입출력 단자(I/O2) 및 제2 입력 단자(IN2)에 인가되는 신호들에 대하여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동작을 수행한 결과는 제1 입출력 단자(I/O1)에 출력된다. 이에 따라, 각 제1 내지 제N 객실들(102 내지 120)에서의 영상 정보가 하나의 광 섬유 라인을 통하여 제1 상황실(101)에 전송된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first pushbutton switch PB1 in the
제1 상황실(101)에는, 제1 내지 제N 모니터들(202 내지 220), 제1 내지 제N 광전 변환부들(302 내지 320), 및 제1 광 복조부(401)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광 복조부(401)는 가장 가깝게 위치한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소자(930)로부터의 최종적인 광 변조 신호를 복조하여 N 개의 광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제1 광 복조부(401)로부터의 N 개의 광 신호들은 제1 내지 제N 광전 변환부들(302 내지 320)에서 각각의 전기적 영상 신호들로 변환되어 모니터들(202 내지 220) 각각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상황실(101)에서 각 객실(102 내지 120)의 영상을 볼 수 있다. In the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제2 상황실(121)에서 제2 푸시버튼 스위치(PB2)를 누 르면, OADM 소자들(930 내지 949) 각각의 방향 제어 단자(DIR)에 높은 논리 신호가 입력된다. 이 경우, OADM 소자들(930 내지 949) 각각은 제1 입출력 단자(I/O1) 및 제1 입력 단자(IN1)에 인가되는 신호들에 대하여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동작을 수행한다. 제1 입출력 단자(I/O1) 및 제1 입력 단자(IN1)에 인가되는 신호들에 대하여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동작을 수행한 결과가 제2 입출력 단자(I/O2)에 출력된다. 이에 따라, 각 제1 내지 제N 객실들(102 내지 120)에서의 영상 정보가 상기 하나의 광 섬유 라인을 통하여 제2 상황실(121)에 전송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presses the second pushbutton switch PB2 in the
제2 상황실(121)에는, 제1 내지 제N 모니터들(702 내지 720), 제1 내지 제N 광전 변환부들(602 내지 620), 및 제2 광 복조부(501)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광 복조부(501)는 가장 가깝게 위치한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소자(949)로부터의 최종적인 광 변조 신호를 복조하여 N 개의 광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제2 광 복조부(501)로부터의 N 개의 광 신호들은 제1 내지 제N 광전 변환부들(602 내지 620)에서 각각의 전기적 영상 신호들로 변환되어 모니터들(702 내지 720) 각각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 상황실(121)에서 각 객실(102 내지 120)의 영상을 볼 수 있다. In the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및 개량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and impro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소자들이 제1 상황실 또는 제2 상황실로부터의 방향 제어 신호에 따라 양방향성으로 동작하여, 광 신호들이 하나의 광 섬유 라인을 통하여 제1 상황실 또는 제2 상황실로 전송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mag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add / drop multiplexing (OADM) elements operate bidirectionally in accordance with a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operation room or the second operation room, so that the optical signals I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ituation room or the second situation room through the optical fiber line.
이에 따라, 하나의 광 섬유 라인을 통하여 영상 신호들을 전송할 경우에도 서로 먼 거리에 위치한 두 곳의 상황실들 모두에서 사용자가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Accordingly, even when image signals are transmitted through one optical fiber line, a user can monitor in two situation rooms located at a distant distance from each other.
도 1은 통상적인 전철에서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in a typical train.
도 2는 도 1의 전철에 설치되는 종래의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video monitoring system installed in the train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소자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in detail an operation of an optical add / drop multiplexing (OADM) device of FIG. 3.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 121...기관사실, 101 내지 120...객실,101, 121 ... engine room, 101-120 ...
202 내지 220...모니터들, 302 내지 320...광/전 변환부들,202 to 220 monitors, 302 to 320 light / electric conversion units,
401...제1 광 복조부, 702 내지 720...모니터들,401... First optical demodulator, 702 to 720 .. monitors,
602 내지 620...광/전 변환부들, 501...제2 광 복조부,602 to 620 ... light / pre conversion units, 501 ... second optical demodulation unit,
172 내지 190...카메라들, 152 내지 170...전/광 변환부들,172 to 190 cameras, 152 to 170 front / light conversion units,
131 내지 149...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소자들,131 to 149. Optical Add / Drop Multiplexing (OADM) devices,
802 내지 820...광 분리기들, PB1, PB2...제어 스위치들,802 to 820 ... optical splitters, PB1, PB2 ... control switches,
930 내지 949...OADM(Optical Add/Drop Multiplexing) 소자들,930 to 949 .OAtical Optical Add / Drop Multiplexing (OADM) devices,
INV...인버터, I/O1...제1 입출력 단자, INV ... inverter, I / O1 ... first input / output terminal,
IN1...제1 입력 단자, I/O2...제2 입출력 단자, IN1 ... first input terminal, I / O2 ... second input / output terminal,
IN2...제2 입력 단자, DIR...방향 제어 단자.IN2 ... 2nd input terminal, DIR ... direction control terminal.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7440A KR100944531B1 (en) | 2008-02-26 | 2008-02-26 | Video monitor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7440A KR100944531B1 (en) | 2008-02-26 | 2008-02-26 | Video monitoring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2117A KR20090092117A (en) | 2009-08-31 |
KR100944531B1 true KR100944531B1 (en) | 2010-03-03 |
Family
ID=41209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17440A Active KR100944531B1 (en) | 2008-02-26 | 2008-02-26 | Video monitor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4453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0815B1 (en) | 2019-04-02 | 2019-06-19 | 주식회사 케이피엔 | Remote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method and progra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5436B1 (en) * | 2012-11-13 | 2014-06-11 | 정연대 | Communication method of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ing id |
KR101498667B1 (en) * | 2014-04-21 | 2015-03-05 | 주식회사 옵티멀 |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using matrix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47940A (en) * | 2003-05-16 | 2003-06-18 | 주식회사 서일하이텍 | System for monitoring interior of passenger train |
KR20050101930A (en) * | 2004-04-20 | 2005-10-25 | 커미넷 주식회사 | Remote observation system using optical fiber |
KR20060038029A (en) * | 2004-10-29 | 2006-05-03 | 주식회사 우진산전 | Train's internal monitoring system |
KR20070050145A (en) * | 2005-11-10 | 2007-05-15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Automatic Gain Control Optical Amplification System |
-
2008
- 2008-02-26 KR KR1020080017440A patent/KR10094453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47940A (en) * | 2003-05-16 | 2003-06-18 | 주식회사 서일하이텍 | System for monitoring interior of passenger train |
KR20050101930A (en) * | 2004-04-20 | 2005-10-25 | 커미넷 주식회사 | Remote observation system using optical fiber |
KR20060038029A (en) * | 2004-10-29 | 2006-05-03 | 주식회사 우진산전 | Train's internal monitoring system |
KR20070050145A (en) * | 2005-11-10 | 2007-05-15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Automatic Gain Control Optical Amplification Syste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0815B1 (en) | 2019-04-02 | 2019-06-19 | 주식회사 케이피엔 | Remote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method and progra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2117A (en) | 2009-08-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434662A1 (en) | Protec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network | |
KR100944531B1 (en) | Video monitoring system | |
WO2015025518A1 (en) | Power feed line switching circuit, branching device, submarine cable system, and power feed line switching method | |
US20210336694A1 (en) | Path switching apparatus and path switching method | |
JP4111163B2 (en) | Abnormal light detection and blocking device | |
JP2007295506A (en) |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nd optical repeater | |
KR101594793B1 (en) | Optical transmission system | |
JP2009206565A (en) | Optical transmission system, optical transmission method, optical switch device, center device, optical coupler device, subscriber device,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 |
US20210021762A1 (en) | Optical transmission system | |
US9350953B2 (en) | Optical transmission system | |
US8355631B2 (en) | Reducing optical service channel interference in phase modulate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WDM) communication systems | |
JP6881711B2 (en) | Bidirectional signal transmission device | |
US20050207000A1 (en) | Multipoint monitoring method, monitoring point apparatus, and monitoring station apparatus | |
KR100955427B1 (en) | Ring type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its driving method | |
WO2014010151A1 (en) | Wavelength-division multiplex communication device and optical network system | |
JP4999759B2 (en) | Optical path switching device | |
KR20050101930A (en) | Remote observation system using optical fiber | |
EP2234329A1 (en) | The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the shared channel in th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 |
JP6107269B2 (en) | Transponder and optical transmission device | |
KR101433808B1 (en) | ONU having function of fiber line monitoring and switching | |
JPS62168436A (en) | optical transmission equipment | |
JPS628979B2 (en) | ||
JPH05235864A (en) | Automatic transmission line switching device | |
US20230327756A1 (en) | Communication monitor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onitoring system | |
KR200355568Y1 (en) | Remote Observation System using Optical fib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6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1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0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