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44495B1 - 옥외함체용 단열부재 - Google Patents

옥외함체용 단열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495B1
KR100944495B1 KR1020090053173A KR20090053173A KR100944495B1 KR 100944495 B1 KR100944495 B1 KR 100944495B1 KR 1020090053173 A KR1020090053173 A KR 1020090053173A KR 20090053173 A KR20090053173 A KR 20090053173A KR 100944495 B1 KR100944495 B1 KR 100944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utdoor enclosure
heat insulating
outdoor
hea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탁
Original Assignee
(주)지티일렉트로닉스
(주)엘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티일렉트로닉스, (주)엘지산업 filed Critical (주)지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9005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49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09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ound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외함체의 내부열 상승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하며, 기존의 옥외함체에도 용이하게 부착가능한 옥외함체용 단열부재에 관한 것으로, 단열재가 내장되어 옥외함체를 구성하는 양측의 판과 상부의 판의 내측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단열판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함체용 단열부재를 제공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함몰공간에 단열재가 내장된 단열판넬을 옥외함체의 각 판에 고정수단을 통해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단열부재의 부착이 용이하며, 단열부재가 없는 옥외함체에도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옥외함체, 단열부재, 단열재, 단열판넬

Description

옥외함체용 단열부재{heat insulating material for outdoor cabinet}
본 발명은 옥외함체용 단열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옥외함체의 내부열 상승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하며, 기존의 옥외함체에도 용이하게 부착가능한 옥외함체용 단열부재에 관한 것이다.
옥외함체는 그 내부에 전기선로나 통신선로의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와 선택적인 접속을 위한 스위칭 소자 등을 내장한 상태로 옥외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옥외함체로는 각종 차단기들을 내장하는 분전반이나, 특고압의 전기를 일반 수용가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저압으로 변환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인 수배전반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옥외함체는 각종 건축물, 공공시설, 공사현장, 학교, 전신주 등의 옥외에 설치되는 것으로, 통상 함체상의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에 철판 등을 용접 또는 볼트, 너트 고정시키고, 그 내부에 각종 전기 기기 등이 내장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옥외함체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철판을 통과하여 외부로 전파되기 때문에 옥외함체 주위에 소음이 심했다. 또한, 옥외함체의 경우 하절기에 외부온도의 상승으로 인하여 내부온도가 급격히 상승됨에 따라 기기가 오 작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종래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94207호의 "저소음 배전반"(이하, "종래의 배전반"이라 한다.)이 알려져 있다.
즉 종래의 배전반은, 측벽을 이중벽으로 형성하여 단열효과와 소음의 차단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배전반의 측벽을 이중벽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많은 제작비용이 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중벽의 측벽을 통해 어느 정도의 방음 효과는 얻을 수 있으나, 하절기에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의 차단 효과가 낮아 기기의 오작동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옥외함체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단열 및 흡음 효과를 갖는 옥외함체용 단열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열재 내에 습기발생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옥외함체의 전방에서도 단열 및 흡음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든 벽부가 옥외에 노출된 옥외함체의 단열 및 흡음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열재가 내장되어 옥외함체를 구성하는 양측의 판과 상부의 판의 내측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단열판넬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옥외함체용 단열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열판넬은 상기 판에 밀착되는 바깥쪽이 개방되게 안쪽으로 함몰되어 단열재가 내장되는 함몰공간과,
상기 함몰공간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수단을 통해 각 판에 고정되는 둘레 결합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둘레 결합판에 다수로 구비된 조립홀과,
각 판에 상기 조립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탭홀과,
각 조립홀에 관통되어 탭홀에 체결되는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둘레 결합판과 각 판을 상호 연결하는 용접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몰공간의 내측판에는 다수의 관통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열판넬은 옥외함체의 전방에 개폐되는 판의 내측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열판넬은 옥외함체를 구성하는 후방의 판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옥외함체용 단열부재는 제작이 용이하고, 함몰공간에 단열재가 내장된 단열판넬을 옥외함체의 각 판에 고정수단을 통해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단열부재의 부착이 용이하며, 단열부재가 없는 옥외함체에도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고, 단열부재를 통해 옥외함체의 단열은 물론, 옥외함체의 소음을 감소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열판넬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단열재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옥외함체의 전방에 개폐되는 판에 단열판넬이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 는 옥외함체의 모든 벽부에서 외부열이 옥외함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든 벽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옥외함체의 후방에 단열판넬이 구비됨에 따라 옥외함체의 양측 및 상부, 전방, 후방이 모두 단열판넬에 의해 외부 열을 차단시켜주어 보다 효과적인 단열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옥외함체용 단열부재가 부착된 옥외함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옥외함체용 단열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10)가 내장되어 옥외함체(1)를 구성하는 양측의 판(1a)과 상부의 판(1a)의 내측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단열판넬(20)을 포함한다.
상기 옥외함체(1)는 통상 옥외에 설치되는 사각함체 형상의 옥외함체(1)로, 그 내부에는 각종 전기기기들이 내장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옥외함체(1)는 후방의 판(1a)이 건물의 외벽에 밀착되게 형성된 분전반 함체를 예시로 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 단열재(10)는 옥외함체(1) 내부로 직사광선 등으로 인한 열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단열재(10)로는 석면, 유리솜, 석영솜, 면, 펠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열재(10)는 판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단열판넬(20)에 용이하게 내장시킬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열재(10)는 외부 열이 옥외함체(1)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단열재(10)가 옥외함체(1) 내부에서 작동되는 각종 기기들에서 발생된 소음을 흡수시켜 주어 옥외함체(1) 주변의 소음을 감소시켜주는 역할도 한다.
상기 단열판넬(20)은 상기 단열재(10)를 보호하고, 용이하게 옥외함체(1)의 각 판(1a)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단열판넬(20)은 절연성을 갖는 재질의 판넬이 모두 사용가능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연이 도금된 강판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열판넬(20)은 상기 판(1a)에 밀착되는 바깥쪽이 개방되게 안쪽으로 함몰되어 단열재(10)가 내장되는 함몰공간(21)과, 상기 함몰공간(21)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수단을 통해 각 판(1a)에 고정되는 둘레 결합판(2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몰공간(21)은 단열재(10)가 내장되는 부분으로, 안쪽, 즉, 본 발명의 단열부재가 옥외함체(1)의 판(1a)에 부착되었을 때 옥외함체(1)의 내부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상기 함몰공간(21)에 단열재(10)가 내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함몰공간(21)은 단열재(10)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여 단열재(10)가 상기 함몰공간(21)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추후 단열부재를 판(1a)에 부착시킬 때에 단열재(10)가 함몰공간(21)에서 이탈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둘레 결합판(22)은 함몰공간(21)의 둘레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옥외함체(1)의 각 판(1a)과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각 판(1a)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둘레 결합판(22)과 각 판(1a)을 고정시키기 위한 상기 고정수단은 둘레 결합판(22)에 다수로 구비된 조립홀(22a)과, 각 판(1a)에 상기 조립홀(22a)과 상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탭홀과, 각 조립홀(22a)에 관통되어 탭홀에 체결되는 볼트(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조립홀(22a)은 둘레 결합판(22)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립홀(22a)의 개수는 단열판넬(20)이 판(1a)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정도의 개수가 구비되면 되고, 상기 탭홀은 각 판(1a)에 고정되는 단열판넬(20)에 형성된 조립홀(22a)과 상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크기와 개수를 갖는 탭홀이 형성되며, 볼트(30)에 의해 서로 상응되는 조립홀(22a)과 탭홀이 체결되어 용이하게 단열판넬(20)을 각 판(1a)에 부착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수단은 둘레 결합판(22)과 각 판(1a)을 상호 연결하는 용접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둘레 결합판(22)과 각 판(1a)이 용접을 통해 서로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수단은 별도로 옥외함체(1)에 탭홀등을 형성하지 않아도 단열판넬(20)을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 단열부재가 구비되지 않은 옥외함체(1)에 단열부재를 부착하고자 할 경우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옥외함체용 단열부재는 제작이 용이하고, 함몰공간에 단열재가 내장된 단열판넬을 옥외함체의 각 판에 고정수단을 통해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단열부재의 부착이 용이하며, 단열부재가 없는 옥외함체에도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고, 단열부재를 통해 옥외함체의 단열은 물론, 옥외함체의 소음을 감소시켜준다.
한편, 상기 함몰공간(21)의 내측판(23)에는 다수의 관통홀(23a)이 더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홀(23a)은 단열부재와 옥외함체(1)사이에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관통홀(23a)은 함몰공간(21)의 안쪽으로 형성되는 내측판(23)에 형성되고, 그 형상은 원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관통홀(23a)은 단열부재와 옥외함체(1)사이에 공기가 유통되어 옥외함체(1)의 내부온도와 외부온도 차로 인하여 단열재(10)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23a)은 상기 함몰공간(21)의 내측판(23)에 좌,우 및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격자형식으로 배열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단열재(10)의 모든 표면에 고르게 공기가 유통되어 습기가 균일하게 제거될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옥외함체용 단열부재가 부착된 옥외함체 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판넬(20)은 옥외함체(1)의 전방에 개폐되는 판(1a)의 내측에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옥외함체(1)의 전방에 개폐되는 판(1a)에 옥외함체(1) 내부에 내장된 각종 차단기 등의 기기의 작동상태나 조작버튼이 구비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옥외함체(1)의 전방에 개폐되는 판(1a)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옥외함체(1)의 전방을 통해 전달되는 직사광선으로 인한 외부열 등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단열판넬(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판(1a)에 밀착되는 바깥쪽이 개방되게 안쪽으로 함몰되어 단열재(10)가 내장되는 함몰공간과, 함몰공간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수단을 통해 각 판(1a)에 고정되는 둘레 결합판(22)으로 구성되고, 볼트체결이나 용접에 의해 상기 둘레 결합판(22)이 각 판(1a)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옥외함체의 전방에 개폐되는 판에 단열판넬이 구비되면 외부로 노출되는 옥외함체의 모든 벽부에서 외부열이 옥외함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옥외함체용 단열부재가 부착된 옥외함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한편, 모든 벽부가 옥외에 노출되어 있는 옥외함체(1)의 경우 옥외함체(1)의 후방에 직사광선 등으로 인해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단열판넬(20)은 옥외함체(1)를 구성하는 후방의 판(1a)에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판넬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판(1a)에 밀착되는 바깥쪽이 개방되게 안쪽으로 함몰되어 단열재(10)가 내장되는 함몰공간과, 함몰공간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수단을 통해 각 판(1a)에 고정되는 둘레 결합판(22)으로 구성되고, 볼트체결이나 용접에 의해 상기 둘레 결합판(22)이 옥외함체(1)의 후방의 판(1a)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옥외함체의 후방에도 단열판넬이 구비됨에 따라 옥외함체의 양측 및 상부, 전방, 후방이 모두 단열판넬에 의해 직사광선 등에서 전달되는 열을 차단시켜주어 보다 효과적인 단열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옥외함체용 단열부재가 부착된 옥외함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옥외함체용 단열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옥외함체용 단열부재가 부착된 옥외함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옥외함체용 단열부재가 부착된 옥외함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 옥외함체
1a: 판
10: 단열재
20: 단열판넬
21: 함몰공간
22: 둘레 결합판 22a: 조립홀
23: 내측판 23a: 관통홀
30: 볼트

Claims (7)

  1. 단열재(10)가 내장되어 옥외함체(1)를 구성하는 양측의 판(1a)과 상부의 판(1a)의 내측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단열판넬(20)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판넬(20)은 상기 판(1a)에 밀착되는 바깥쪽이 개방되게 안쪽으로 함몰되어 단열재(10)가 내장되는 함몰공간(21)과, 상기 함몰공간(21)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수단을 통해 각 판(1a)에 고정되는 둘레 결합판(22)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둘레 결합판(22)과 각 판(1a)을 상호 연결하는 용접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함체용 단열부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공간(21)의 내측판(23)에는 다수의 관통홀(23a)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함체용 단열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판넬(20)은,
    옥외함체(1)의 전방에 개폐되는 판(1a)의 내측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함체용 단열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판넬(20)은,
    옥외함체(1)를 구성하는 후방의 판(1a)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함체용 단열부재.
KR1020090053173A 2009-06-16 2009-06-16 옥외함체용 단열부재 Expired - Fee Related KR100944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173A KR100944495B1 (ko) 2009-06-16 2009-06-16 옥외함체용 단열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173A KR100944495B1 (ko) 2009-06-16 2009-06-16 옥외함체용 단열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4495B1 true KR100944495B1 (ko) 2010-03-03

Family

ID=4218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17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44495B1 (ko) 2009-06-16 2009-06-16 옥외함체용 단열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4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145B1 (ko) * 2016-10-24 2017-06-07 주식회사 창우 옥외 등주용 진공 이중 배전반
TWI643991B (zh) * 2013-09-10 2018-12-11 Tmt機械股份有限公司 絲線加熱輥的保溫箱及其製造方法
KR20200031191A (ko) * 2018-09-13 2020-03-24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함체용 다기능 도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3306U (ko) 1986-08-12 1988-03-03
KR200295391Y1 (ko) 2002-08-13 2002-11-18 (주) 에스아이이 수배전설비용 큐비클의 불연성 수지를 사용한 단열패널
KR100705284B1 (ko) * 2007-01-22 2007-04-13 주식회사 삼진전기 수/배전반 함체용 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3306U (ko) 1986-08-12 1988-03-03
KR200295391Y1 (ko) 2002-08-13 2002-11-18 (주) 에스아이이 수배전설비용 큐비클의 불연성 수지를 사용한 단열패널
KR100705284B1 (ko) * 2007-01-22 2007-04-13 주식회사 삼진전기 수/배전반 함체용 패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43991B (zh) * 2013-09-10 2018-12-11 Tmt機械股份有限公司 絲線加熱輥的保溫箱及其製造方法
KR101744145B1 (ko) * 2016-10-24 2017-06-07 주식회사 창우 옥외 등주용 진공 이중 배전반
KR20200031191A (ko) * 2018-09-13 2020-03-24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함체용 다기능 도어장치
KR102192296B1 (ko) * 2018-09-13 2020-12-21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함체용 다기능 도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745B1 (ko) 송배전단자 누전방지 보호장치
KR20090040084A (ko) 수배전반
KR100944495B1 (ko) 옥외함체용 단열부재
CN205385260U (zh) 一种防渗水高压穿墙套管板框
CN201075620Y (zh) 防尘防水端子箱
KR102356112B1 (ko)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KR101618498B1 (ko) 슬라이드 연결 타입의 조립식 배전반
KR101205337B1 (ko) 공동주택의 절연형 분전함
CN216085709U (zh) 一种建筑施工用电气定时接通装置
CN212162442U (zh) 一种低噪音稳定型高低压配电柜
CN214478670U (zh) 一种输配电用的防尘环网柜
CN211831607U (zh) 一种高稳定性的系统集成用控制柜
KR100655883B1 (ko) 공동주택용 수배전반의 패널구조
KR200295391Y1 (ko) 수배전설비용 큐비클의 불연성 수지를 사용한 단열패널
KR101230136B1 (ko) 분전반
CN208369009U (zh) 一种具有绝缘功能的高电压配电箱
CN218996471U (zh) 断路器隔离互感器
CN205883749U (zh) 一种户外机柜
CN211655501U (zh) 一种防水配电箱
CN213027096U (zh) 一种便于排线的户外配电箱
CN210778325U (zh) 一种综合电气控制柜带电闭锁装置
CN214013627U (zh) 一种节能型电气设备柜
WO2023079790A1 (ja) 配電盤
CN214703703U (zh) 组合式智慧用电监控探测器
CN217010275U (zh) 一种转接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7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002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