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370B1 - Relief damper - Google Patents
Relief damp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44370B1 KR100944370B1 KR1020080035297A KR20080035297A KR100944370B1 KR 100944370 B1 KR100944370 B1 KR 100944370B1 KR 1020080035297 A KR1020080035297 A KR 1020080035297A KR 20080035297 A KR20080035297 A KR 20080035297A KR 100944370 B1 KR100944370 B1 KR 1009443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closing plate
- pressure
- vent
- relief damp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6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pneuma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규정압력이 변경되거나 실외압력이 감소 또는 증가하여 실내와 실외의 압력차가 변하는 경우에 간단한 조작으로 통풍구의 개방조건을 변경할 수 있는 릴리프 댐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풍구(10)가 형성된 본체(15); 힌지축(30)에 의해 상기 본체(15)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통풍구(10)를 개폐하는 개폐판(25); 및 상기 개폐판(25)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중량체(55)로 구성되는 릴리프 댐퍼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ief damper that can change the opening condition of the vent by simple operation in the case where the specified pressure in the room is changed or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nd the outdoor is changed due to the decrease or increase in the outdoor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5 is formed with a vent 10;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25)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5) by a hinge shaft (30) to open and close the air vent (10); And a weight damper 55 which is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5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개폐판, 중량체, 잠금나사, 가이드홀, 가이드 Opening and closing plate, heavy body, locking screw, guide hole, gu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내를 규정압력으로 유지시키는 릴리프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규정압력이 변경되거나 실내와 실외의 압력차가 변하는 경우에 변경된 환경에 맞게 통풍구의 개방조건을 조정할 수 있는 릴리프 댐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ief damper for maintaining a room at a specified pressur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ief damper that can adjust opening conditions of a vent according to a changed environment when a specified pressure in a room is changed or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a room and an outside is changed. It is about.
일반적으로 릴리프 댐퍼는 실내를 규정압력으로 유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릴리프 댐퍼는 클린룸(Clean room) 등에 설치되어 실내압력을 규정압력으로 유지시키고, 공기의 흐름방향을 규제하여 실외의 오염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즉, 실내압력이 규정압력보다 낮은 경우에는 릴리프 댐퍼의 통풍구가 폐쇄되어 실외의 부유분진이나 미생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실내압력이 규정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릴리프 댐퍼의 통풍구가 개방되어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고 실내공기의 배출로 실내압력이 규정압력으로 하강하면 통풍구는 다시 폐쇄된다.In general, a relief damper is a device used when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room at a specified pressure. For example, the relief damper is installed in a clean room and the like to maintain the indoor pressure at the specified pressure, and regulates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to prevent the outdoor polluted air from entering the room. In other words, if the indoor pressure is lower than the specified pressure, the vent of the relief damper is closed to prevent the inflow of suspended dust or microorganisms into the room. If the indoor pressure is higher than the specified pressure, the vent of the relief damper is opened. If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indoor pressure drops to the specified pressure by the discharge of the indoor air, the vent is closed again.
이러한 역할을 하는 릴리프 댐퍼는 규정압력이 변경되는 경우나 실외환경의 변화로 인해 실외압력이 증가 또는 감소하여 실내와 실외의 압력차가 변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통풍구가 개방되는 조건이 변경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작업환경의 변화로 인해 실내의 규정압력이 높아진 경우에는 릴리프 댐퍼의 통풍구가 개방되는 조건을 높아진 규정압력에 맞게 변경하여야 한다. 하지만, 종래 릴리프 댐퍼는 통풍구가 개방되는 조건을 변경하기가 용이하지 않아서 실내의 규정압력이 변경되는 경우나 실외압력이 변하는 경우에는 불편함이 뒤따랐다. 따라서 통풍구의 개방조건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릴리프 댐퍼가 요구되었다.Relief dampers that play this role should change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vents are opened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areas changes due to an increase or decrease in outdoor pressure due to a change in the specified pressure or a change in the outdoor environment. For example, if the specified pressure in the room is increased due to changes in the working environment, the condition under which the ventilator opening of the relief damper is opened should be changed to meet the higher specified pressure. However, the conventional relief damper is not easy to change the conditions in which the vent opening is open, which is inconvenient when the specified pressure in the room or the outdoor pressure chang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relief damper that can easily change the opening conditions of the vents.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의 규정압력이 변경되거나 실외압력이 감소 또는 증가하여 실내와 실외의 압력차가 변하는 경우에 간단한 조작으로 통풍구의 개방조건을 변경할 수 있는 릴리프 댐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relief damper that can change the opening conditions of the vents by a simple operation in the case of chang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due to the change in the specified pressure in the room or decrease or increase the outdoor pressure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나사결합에 의해 중량체가 개폐판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릴리프 댐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lief damper in which a weight is movably coupled to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by screwing.
또한, 개폐판의 회동을 용이하게 하여 실내를 정확하게 정압으로 유지시키는 릴리프 댐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lief damper that facilitates rot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to accurately maintain the room at a constant pressu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풍구(10)가 형성된 본체(15)와, 힌지축(30)에 의해 상기 본체(15)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통풍구(10)를 개폐하는 개폐판(25)과, 상기 개폐판(25)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중량체(55)로 구성되는 릴리프 댐퍼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상기 릴리프 댐퍼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25)에는 가이드홀(50)이 형성된 가이드(45)가 상하방향으로 부착되고, 상기 중량체(55)는 상기 가이드(45)와 개폐판(25) 사이에 위치하여 잠금나사(60)에 의해 상기 가이드(45)에 상하로 이동가능 함과 동시에 위치고정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the relief damper, a
또한 상기 릴리프 댐퍼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25)의 상단에는 상기 중량체(55)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무게추(40)가, 상기 본체(15)의 상측에는 상기 개폐판(25)의 회동으로 개폐판(25)의 상부가 통풍구(10) 일부를 폐쇄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폐판(25)의 회동을 제어하는 상벽(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e relief damper, the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댐퍼는 실내의 규정압력이 변경되는 경우 등에 개폐판에 결합된 중량체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릴리프 댐퍼를 변경된 환경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Relief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adjusted to suit the changed environment by a simple operation to move the position of the weight body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up and down when the specified pressure in the room chang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와 잠금나사를 이용하여 중량체를 개폐판에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간단한 구성과 더불어 저렴한 제작비용으로 통풍구의 개방조건을 변경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pening conditions of the ventilation openings can be changed at a low cost, as well as a simple configuration for movably coupling the weight to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by using the guide hole and the guide screw is form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판의 상단에 무게추를 부착하여 미세한 압력변화에도 통풍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압력을 정확하게 규정압력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ttaching a weight on the top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to open the vent even in the slight pressure chang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accurately maintain the room pressure at the specified pressur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댐퍼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댐퍼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댐퍼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댐퍼는 실내를 정압으로 유지시킬 필요가 있는 룸에 설치되며, 릴리프 댐퍼의 전면은 실내를 향하고 후면은 실외를 향한다. 이러한 릴리프 댐퍼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릴리프 댐퍼는 하부에 통풍구(10)가 형성된 본체(15)와, 본체(15)의 전면에 부착되어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망(5)과, 본체(15)의 상측에 형성된 힌지공(17)에 고정된 힌지축(30)에 브래킷(3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통풍구(10)를 개폐시키는 개폐판(25)과, 개폐판(25)에 부착되어 개폐판(25)이 통풍구(10)를 개방시키는 조건을 변경시키는 중량체(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lief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lief damper is assem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lief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 The relief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room where it is necessary to keep the room at a constant pressure, and the front of the relief damper faces the interior and the back faces the exterior. Referring to FIG. 1, the relief damper has a
또한 본체(15)에는 통풍구(10)의 둘레를 따라 경사지지부(20)가 형성된다. 경사지지부(20)는 통풍구(10)를 폐쇄시킬 때 개폐판(25)과 경사지지부(20)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5)의 바닥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또한 경사지지부(20) 상에 O-링(도시되지 않음)을 부착하여 개폐판(25)이 통풍구(10)를 폐쇄시킬 때 개폐판(25)과 경사지지부(20)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경사지지부(20)의 상벽(23)은 개폐판(25)이 일정각도 이상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개폐판(25)은 통풍구(10)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회동할 때 일정각도 이상 회동하는 경우에는 개폐판(25)의 상단이 경사지지부(20)의 상벽(23)에 걸림으로써 더 이상 회동하지 않게 된다. 개폐판(25)의 상단에는 개폐판(25)의 회동을 용이하게 하는 무게추(40)가 부착된다. 무게추(40)로 인해 미세한 압력차에도 개폐판(25)이 통풍구(10)를 개방시키므로 실내를 규정압력으로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릴리프 댐퍼에서 중량체(55)와 개폐판(25)의 결합은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홀(50)이 형성된 가이드(45)를 개폐판(25)과 이격되도록 개폐판(25)에 부착한 후, 개폐판(25)과 가이드(45) 사이의 이격공간에 중량체(55)를 위치시키고, 가이드홀(50)을 통과하는 잠금나사(60)를 중량체(55)의 중앙부에 형성된 나사홈(57)에 나사결합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중량체(55)는 개폐판(25)에 부착된 가이드(45)에 결합됨으로써 간접적으로 개폐판(25)에 부착된다. 고정된 중량체(55)를 상하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잠금나사(60)를 왼쪽으로 돌려서 푼 다음에 중량체(55)를 가이드홀(50)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잠금나사(60)를 오른쪽으로 돌려 조이면 중량체(55)는 그 위치에서 가이드(45)에 고정된다. 중량체(55)를 개폐판(25)에 부착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기술된 방법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Combination of the
이하에서는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댐퍼의 요부단면도를 참조하여 릴리프 댐퍼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릴리프 댐퍼는 실내압력이 규 정압력을 유지하고 있을 때에는 통풍구(10)를 개방하기 위해 실내공기가 개폐판(25)에 가하는 압력과 통풍구(10)를 폐쇄하기 위해 실외공기가 개폐판(25)에 가하는 압력 및 중량체(55)가 개폐판(25)에 가하는 힘이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구(10)는 개폐판(25)에 의해 폐쇄되며 폐쇄된 상태가 유지된다. 하지만 실내압력이 규정압력보다 높아지는 경우에는 통풍구(10)를 개방하기 위해 실내공기가 개폐판(25)에 가하는 압력이 커지므로 상기 균형이 깨진다. 따라서 개폐판(25)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구(10)를 개방시키게 되고, 실내공기가 통풍구(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높아진 실내압력이 규정압력으로 하강하면 개폐판(25)은 다시 통풍구(10)를 폐쇄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릴리프 댐퍼는 실내를 규정압력으로 유지시킨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elief damp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main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lief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3A and 3B. The relief damper is a pressure applied by the indoor air to the opening and closing
만약 실외환경의 변화로 인해 실외압력이 감소하여 실내와 실외의 압력차가 커진다면, 개폐판(25)을 폐쇄하기 위해 실외공기가 개폐판(25)에 가하는 압력이 감소하므로 개폐판(25)은 실내압력이 규정압력보다 높지 않을 때에도 통풍구(10)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에는 실외공기가 개폐판(25)에 가하는 압력이 감소된 만큼 개폐판(25)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중량체(55)의 위치를 아래로 이동시켜 중량체(55)가 개폐판(25)에 가하는 힘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개폐판(25)은 실내압력이 규정압력보다 높을 때에 통풍구(10)를 개방하게 된다.If the outdoor pressure decreases due to a change in the outdoor environment, and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increas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open /
또한 작업환경변화나 생산하는 물품의 변화 등으로 인해 실내의 규정압력이 10% 정도 높아진 경우에는, 높아진 압력(즉, 10 %)만큼 개폐판(25)에 결합된 중량체(55)의 위치를 아래로 이동시켜 중량체(55)가 개폐판(25)에 가하는 힘을 증가시 킨다. 따라서 개폐판(25)은 실내압력이 변경된 규정압력보다 높을 경우에 통풍구(10)를 개방하게 되어 실내압력을 변경된 규정압력 유지시킨다. 즉, 개폐판(25)에 결합된 중량체(55)의 위치를 조정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통풍구(10)가 개방되는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중량체(55)를 가이드홀(50)의 상단에 위치시키면 개폐판(25)은 통풍구(10)를 항상 개방시키므로 릴리프 댐퍼는 환기구로서도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pecified pressure in the room is increased by about 10% due to a change in the working environment or a product to be produced, the position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댐퍼의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lief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댐퍼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lief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댐퍼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Figure 2b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lief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도 3a는 개폐판이 통풍구를 폐쇄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댐퍼의 요부단면도Figure 3a is a main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lief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closed the vents
도 3b는 개폐판이 통풍구를 개방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댐퍼의 요부단면도 Figure 3b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relief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open the vent opening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5297A KR100944370B1 (en) | 2008-04-16 | 2008-04-16 | Relief damp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5297A KR100944370B1 (en) | 2008-04-16 | 2008-04-16 | Relief damp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9859A KR20090109859A (en) | 2009-10-21 |
KR100944370B1 true KR100944370B1 (en) | 2010-03-02 |
Family
ID=41537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5297A Active KR100944370B1 (en) | 2008-04-16 | 2008-04-16 | Relief damp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44370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0696B1 (en) | 2012-05-07 | 2013-07-29 | 최부순 | Damper for fire and air control of building ventilationduct |
KR101389159B1 (en) | 2012-12-27 | 2014-04-25 |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 Air pressure regulating apparatus for interior of a building |
KR101415268B1 (en) * | 2014-05-12 | 2014-07-07 | 신동출 | Piston relief damper for air duct system |
KR101494674B1 (en) * | 2013-11-22 | 2015-03-04 | 홍익이엔지 (주) | Over pressurisation vent with orifice reduction unit and installation position fixing blade |
US20210123598A1 (en) * | 2019-10-25 | 2021-04-29 | The Marley Company Llc | Variable Orifice Restoration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8244B1 (en) * | 2020-03-20 | 2022-02-25 | 박지성 | the non-electric damper for extractor fa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57298A (en) * | 1996-03-26 | 1997-09-30 | Toyo Netsu Kogyo Kk | Reflief damper |
KR19990041315U (en) * | 1998-05-16 | 1999-12-15 | 김석봉 | Flap damper |
JP2001165340A (en) | 1999-09-27 | 2001-06-22 |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 Differential pressure holding damper |
JP2002162092A (en) | 2001-10-03 | 2002-06-07 | Takenaka Komuten Co Ltd | Constant pressure release damper |
-
2008
- 2008-04-16 KR KR1020080035297A patent/KR10094437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57298A (en) * | 1996-03-26 | 1997-09-30 | Toyo Netsu Kogyo Kk | Reflief damper |
KR19990041315U (en) * | 1998-05-16 | 1999-12-15 | 김석봉 | Flap damper |
JP2001165340A (en) | 1999-09-27 | 2001-06-22 |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 Differential pressure holding damper |
JP2002162092A (en) | 2001-10-03 | 2002-06-07 | Takenaka Komuten Co Ltd | Constant pressure release damper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0696B1 (en) | 2012-05-07 | 2013-07-29 | 최부순 | Damper for fire and air control of building ventilationduct |
KR101389159B1 (en) | 2012-12-27 | 2014-04-25 |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 Air pressure regulating apparatus for interior of a building |
KR101494674B1 (en) * | 2013-11-22 | 2015-03-04 | 홍익이엔지 (주) | Over pressurisation vent with orifice reduction unit and installation position fixing blade |
KR101415268B1 (en) * | 2014-05-12 | 2014-07-07 | 신동출 | Piston relief damper for air duct system |
US20210123598A1 (en) * | 2019-10-25 | 2021-04-29 | The Marley Company Llc | Variable Orifice Restorat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9859A (en) | 2009-10-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44370B1 (en) | Relief damper | |
JP6324505B2 (en) | Ventilation equipment | |
US20150159906A1 (en) | Barometric relief air zone damper | |
GB2073404A (en) | Dampers | |
JP4460887B2 (en) | Natural ventilation equipment | |
KR102087826B1 (en) | Ventilator for window installation | |
KR102016911B1 (en) |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Ventilation Fan Cover | |
KR20060033432A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damper for air duct | |
JP3799469B2 (en) | Differential pressure holding damper | |
KR100832912B1 (en) | Clean Room Air Pressure Damper | |
JP4314635B2 (en) | Ventilation equipment | |
KR101760440B1 (en) | Automatic 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 | |
KR100917264B1 (en) | Ventilation | |
KR200316848Y1 (en) | Switching apparatus of damper | |
KR200150524Y1 (en) | Variable Relief Damper | |
KR101194721B1 (en) | Back flow prevention device of air supply diffuser | |
JP2018159209A (en) | Ventilator and joinery | |
JP5148979B2 (en) | Wind direction adjustment device | |
KR200461323Y1 (en) | indoor air intake | |
KR200452110Y1 (en) | Air volume control device of multi-branch exhaust fan | |
JP4857966B2 (en) | Ventilation equipment | |
KR102681273B1 (en) | Backflow prevention damper device for ventilation fan | |
KR101336312B1 (en) | Damper having guide veil | |
KR200371266Y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open-and-shut damper for air duct | |
EP1903285A1 (en) | An air ventil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1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1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