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296B1 - Sewing machine - Google Patents
Sew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44296B1 KR100944296B1 KR1020070085987A KR20070085987A KR100944296B1 KR 100944296 B1 KR100944296 B1 KR 100944296B1 KR 1020070085987 A KR1020070085987 A KR 1020070085987A KR 20070085987 A KR20070085987 A KR 20070085987A KR 100944296 B1 KR100944296 B1 KR 1009442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oth
- sewing
- link
- sewing machine
- spe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2—Presser-control device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9/00—Take-up devices, e.g. levers, for the needle thread
- D05B49/02—Take-up devices, e.g. levers, for the needle thread operated by cams or linkage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5/00—Operations on the work before or after sewing
- D05D2305/32—Meas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봉제 동작에 동기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천 누르개의 이동 범위를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하로 변경 가능한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기구를 구비하는 상하 이동 변경 기구의 액츄에이터를 제어하여, 봉제 개시로부터 소정 침수의 재봉 동안에 천 누르개의 이동 범위를 하방으로 변경하는 천 누르개 제어부를 구비한다. 하방의 이동 범위에서 상하 이동하는 천 누르개에 의해 재봉침의 땀 구멍으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실의 단부를 가공천으로 밀어붙여 마찰 저항을 가한다. 본 발명의 재봉틀은, 가공천의 하측으로의 상부 실의 단부의 발출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 실 누름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봉제 개시의 첫 번째 땀부터 확실하게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다.The actuator of the up / down movement change mechanism having a cloth press up / down movement position changing mechanism which can change the movement range of the cloth press moving up and dow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ewing operation is changed up and down by an actuator, thereby controlling the sewing of the predetermined immersion from the start of sewing. A cloth pressing control unit for changing the moving range of the cloth pressing downward is provided. The end of the upper thread which extends from the sweat hole of the sewing needle is pushed by the work cloth by the cloth press which moves up and down in the downward movement range, and a frictional resistance is applied. The sew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ejection of the end of the upper thread to the lower side of the processing cloth, and can form the stitch reliably from the first sweat of sewing start by a simple configuration that does not require the upper thread pressing mechanism. Can be.
재봉틀, 천 누르개, 누름 봉, 침 봉, 상하 구동 장치, 레버 요동 기구 Sewing machine, cloth pusher, push rod, needle rod, up and down drive, lever swing mechanism
Description
본 발명은, 재봉침의 상하 이동에 동기시켜 천 누르개를 상하 이동시키는 천 누르개 상하 구동 장치를 구비한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ing machine provided with a cloth pawl vertical drive device for moving the cloth pawl up and dow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ewing needle.
재봉침의 상하 이동에 동기하여 상하 이동하는 통형의 천 누르개를 구비하는 재봉틀이 보급되어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A sewing machine having a cylindrical cloth stopper that moves up and dow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up and down movement of a sewing needle is prevalent.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22230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2006-122230(2006)]에 기재된 재봉틀은, 원통형의 천 누르개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하 구동 장치는 재봉침의 상하 이동에 동기시켜 원통형의 천 누르개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동작한다. 하강한 천 누르개는 재봉침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가공천의 상면을 눌러, 이 가공천의 부상(浮上)을 방지한다. 천 누르개는, 천 이송시에는 가공천의 이송에 지장이 없도록 상승한다.For example, the sewing machin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122230 has a vertical drive device for vertically moving a cylindrical cloth stopper. The vertical driving device operates to vertically move the cylindrical cloth stopper in synchronization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ewing needle. The lowered fabric presser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fabric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wing needle, thereby preventing the floating of the fabric. The cloth stopper is rais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transfer of the workpiece during the cloth transfer.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22230호 공보에 기재된 재봉틀에 있어서, 재봉침이 하강하여 가공천을 통과할 때에 천 누르개는 가공천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다. 이 천 누르개는, 봉제 개시시의 첫 번째 땀에 있어서 하강하는 재봉침이 보유 지지하는 상부 실의 단부를 누르고 있지 않다.In the sewing machin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6-122230, the cloth presser is positioned away from the processing cloth when the sewing needle descends and passes through the processing cloth. This cloth stopper does not hold down the end of the upper thread held by the sewing needle that descends in the first stitch at the start of sewing.
따라서, 상부 실의 루프를 걸어 회전하는 회전 북집의 뾰족부가 마찰 저항이 적은 상부 실의 단부를 인장하여, 이 단부가 가공천의 하부로 발출되는 경우가 있다. 상부 실 단부의 발출이 발생한 경우, 첫 번째 땀의 스티치를 형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발출된 상부 실 단부에 두 번째 땀 이후의 하부 실이 복수회에 걸쳐서 얽혀, 재봉 초기의 가공천의 이면측에 새 둥지 형상의 결함(Bird Nest)이 발생하여 봉제품의 미관이 악화되는 문제도 있다.Therefore, the pointed part of the rotary drum which rotates by rotating the loop of an upper thread may tension the edge part of the upper thread with little frictional resistance, and this end part may be extracted to the lower part of a process cloth. If the ejection of the upper thread end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rst stitch can not be formed. The lower thread after the second stitch is entangled at the end of the extracted upper thread a plurality of time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bird nest shape occurs on the back side of the processed fabric at the beginning of sewing, and the aesthetics of the sewing product is deteriorated. .
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일부 재봉틀에 있어서는, 봉제 개시시에 상부 실의 단부를 끼움 지지하는 상부 실 누름 기구를 설치하여 가공천의 하측으로의 발출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In order to cope with this problem, some sewing machines are provided with an upper thread pressing mechanism for clamping the end portion of the upper thread at the start of sewing to prevent the drawing out of the lower side of the fabric.
본 발명의 목적은, 봉제 개시시에 가공천의 하측으로 상부 실의 단부가 발출되는 것을, 상부 실 누름 기구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천 누르개의 상하 구동 장치를 이용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확실하게 방지하여, 첫 번째 땀부터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liably prevent the end of the upper thread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processing cloth at the start of sewing by a simple configuration using a top and bottom drive device of a thousand presses, without separately installing the upper thread pressing mechanism. It is to be able to form a stitch from the first sweat.
청구항 1의 재봉틀은, 재봉틀 모터의 회전에 의한 봉제 동작에 동기하여 상하로 이동하고, 가공천을 상방으로부터 누르는 통형의 천 누르개를 구비한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천 누르개의 이동 범위를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하로 변경 가능한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기구와, 재봉 초기의 소정 침수를 봉제할 때까지의 동안의 상기 천 누르개의 이동 범위를, 상기 소정 침수를 봉제한 후의 상기 천 누르개의 이동 범위보다도 하방으로 변경하고, 상기 천 누르개가 상기 가공천을 누르는 시간을 상기 소정 침수를 봉제한 후에 상기 천 누르개가 상기 가공천을 누르는 시간보다도 길게 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천 누르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천 누르개 제어부는, 재봉 초기의 소정 침수(예를 들어 3침분)를 봉제할 때까지 천 누르개의 이동 범위를 하방으로 변경한다. 천 누르개는, 침판 상의 가공천을 항상 눌러, 재봉침의 땀 구멍으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실의 단부를 가공천으로 밀어붙여 마찰 저항을 가한다. 침판의 하부의 회전 북집의 뾰족부가 상부 실의 루프를 걸고 확대할 때, 마찰 저항이 가해지는 상부 실의 단부는 가공천의 하측으로 발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봉제 개시 후의 첫 번째 땀부터 스티치를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The cloth pawl control unit changes the movement range of the cloth pawl downward until sewing the predetermined number of stitches (for example, three stitches) at the beginning of sewing. The cloth press always presses the work piece on the needle plate, and pushes the end of the upper thread extending from the sweat hole of the sewing needle to the work piece to apply frictional resistance. When the point of the rotary drum bottom of the needle plate extends over the loop of the upper thread, the end of the upper thread to which the frictional resistance is applied is not ej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abric. Therefore, the stitch can be surely formed from the first stitch after the start of sewing.
청구항 2의 재봉틀은, 상기 재봉틀 모터의 회전을 변환하여 전달하는 제1 링크와, 상기 제1 링크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천 누르개에 상기 제1 링크가 변환한 힘을 전달하는 제2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링크를 기기 프레임에 지지하는 제3 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sewing machine of
천 누르개를 상하 이동시키는 기구를, 제1 링크, 제2 링크 및 제3 링크를 구비하는 링크 기구에 의해 구성한다. 제1 링크, 제2 링크 및 제3 링크는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의 변경을 흡수하여 동작할 수 있다.A mechanism for moving the cloth stopper up and down is configured by a link mechanism including a first link, a second link, and a third link. The first link, the second link, and the third link may operate by absorbing the change of the cloth pawl vertical movement position.
청구항 3의 미싱은, 상기 상부 실을 내보내는 실채기의 상하 이동 위치를 검출하는 실채기 위치 검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소정 침수를 봉제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천 누르개 제어부는, 상기 실채기가 최상위치 부근에 도달한 것을 상기 실채기 위치 검출기가 검출하였을 때 상기 천 누르개의 상하 이동 범위를 상방으로 변경하여, 상기 가공천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천 누르개를 이격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sewing machine of
천 누르개 제어부는, 소정 침수를 봉제할 때까지의 동안이라도 실채기가 최상위치 부근에 있는 경우, 천 누르개의 이동 범위를 상방으로 변경한다. 천 누르개는, 가공천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여 가공천의 이송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가공천의 이동 중, 실채기는 하강하여, 상부 실을 인장하지 않고 상부 실의 단부가 가공천의 하측으로 발출되지 않는다.The cloth pawl control unit changes the moving range of the cloth pawl upward when the thread take-up is in the vicinity of the highest value even until the predetermined water is sewn. The cloth stopper is positioned awa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abric an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transfer movement of the fabric. During the movement of the workpiece fabric, the thread take-up descends so that the end of the upper yarn is not pulled out below the workpiece cloth without tensioning the upper yarn.
청구항 4의 재봉틀은, 상기 가공천을 이송 이동시키는 천 이송 기구와, 상기 실채기가 최상위치 부근에 도달한 것을 상기 실채기 위치 검출기가 검출하였을 때, 상기 가공천을 이송 이동시키도록 상기 천 이송 기구를 제어하는 천 이송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sewing machine of
천 이송 제어부는 실채기가 최상위치 부근에 도달한 시점에서 가공천을 이송 이동시킨다. 이송 이동은 천 누르개가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발생하고, 짧은 이송 기간이라도 확실히 실행할 수 있다.The cloth transfer control unit transfers and moves the processed cloth when the thread take-up reaches the highest value. The transfer movement occurs in a state where the cloth stopper is moved upward, and can be surely executed even in a short transfer period.
청구항 5의 재봉틀은, 상기 소정 침수를 봉제할 때까지의 동안의 봉제 개시 속도와, 상기 소정 침수의 봉제를 종료한 후의 통상 봉제 속도를 기억하고, 또한 상기 통상 봉제 속도는 상기 봉제 개시 속도보다도 빠른 속도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재봉 초기로부터 상기 소정 침수의 봉제 후에 상기 봉제 개시 속도로부터 통상 봉제 속도로 절환하도록 상기 재봉틀 모터를 제어하는 봉제 속도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sewing machine of Claim 5 memorizes the sewing start speed until it sews the said predetermined immersion, and the normal sewing speed after finishing sewing of the said predetermined immersion, and the said normal sewing speed is faster than the said sewing start speed. And a sewing speed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the sewing machine motor so as to switch from the sewing start speed to the normal sewing speed after sewing of the predetermined immersion from the beginning of sewing, after sewing the predetermined immersion.
봉제 속도 제어부는 재봉 초기로부터 소정 침수를 봉제한 후, 봉제 개시 속도로부터 통상 봉제 속도로 절환한다. 봉제 개시 속도는 통상 봉제 속도보다도 늦어, 가공천의 이송 이동의 기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이송량이 많은 경우에도 이송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송 기간의 전후에 있어서 천 누르개의 이동 범위를 지연시키지 않고 변경할 수 있다.The sewing speed control unit sews predetermined immersion from the beginning of sewing, and then switches from the sewing start speed to the normal sewing speed. The sewing start speed is usually slower than the sewing speed, and the period of the feed movement of the work cloth becomes longer. Therefore, even when the transfer amount is large, the transfer can be reliably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conveyance period, it can change without delaying the moving range of a thousand presses.
본 발명에 따르면, 봉제 개시시에 가공천의 하측으로 상부 실의 단부가 발출 되는 것을, 상부 실 누름 기구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천 누르개의 상하 구동 장치를 이용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확실하게 방지하여 첫 번째 땀부터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f the upper thread is ej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processing cloth at the start of sewing, by a simple configuration using the upper and lower driving devices of the fabric press without first installing the upper thread pressing mechanism. Stitches can be formed from sweat.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which show preferable embodiment.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봉틀(1)은 베드(2), 다리 기둥(3) 및 아암(4)을 구비하고 있다. 다리 기둥(3)은 베드(2)의 후단부(도1에 있어서 좌측 상부를 후방으로 함)에 상방으로 수직 상승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아암(4)은 다리 기둥(3)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아암(4)의 내부에는, 재봉틀 모터(63)(도12 참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주축(5)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1,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4)의 전단부에는 침 봉(8) 및 누름 봉(7)이 설치되어 있다. 아암(4)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침 봉(8)의 하단부에는, 착탈 가능하게 재봉침(9)이 설치되어 있다. 아암(4)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누름 봉(7)의 하단부에는 천 누르개(6)가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천 누르개(6)를 상하 이동시키는 천 누르개 상하 구동 장치(10)에 대해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cloth pawl
천 누르개 상하 구동 장치(10)는 레버 요동 기구(11)와 천 누르개 상하 이동 기구(12)와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기구(13)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 요동 기구(11)는 주축(5)의 회전에 의해 제1 레버(24)를 요동시킨다. 천 누르개 상하 이동 기구(12)는 제1 레버(24)의 선단의 요동에 의해 천 누르개(6)를 상하 이동시킨다.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기구(13)는 천 누르개 상하 이동 기구(12)에 의한 천 누르개(6)의 상하 이동 범위를 변경한다.The cloth presser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요동 기구(11)는 편심 캠(20), 고리 형상 부재(21), 회전축(22) 및 레버 부재(23)를 구비하고 있다. 편심 캠(20)은 주축(5)의 전단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고리 형상 부재(21)는 편심 캠(20)에 끼워 맞춘 고리 형상부(21b)와, 고리 형상부(21b)의 외주로부터 돌출되는 아암부(21a)를 갖는다.As shown in FIG. 6, the
회전축(22)은 고리 형상 부재(21)의 전방측에, 전후 방향을 향해 기기 프레임(F)(도1 참조)으로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22)의 후단부에는 레버 부재(23)의 상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22)의 전단부에는 제1 레버(24)의 상단부가 고정되어 있다.The rotating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부재(23)는 편심 캠(20)의 중심 주위로 반경(R)의 원호 형상을 갖는 원호 구멍(23a)이 마련되어 있다. 원호 구멍(23a)에는, 고리 형상 부재(21)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는 아암부(21a)의 선단부가 핀(2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아암부(21a)의 연결 위치는 원호 구멍(23a)의 길이 범위 내에서 핀(25)을 움직임으로써 변경 가능하다.As shown in Fig. 6, the
봉제 작업을 개시하면, 주축(5)은 소정 방향(정면으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주축(5)의 회전에 의해 편심 캠(20)이 회전하고, 고리 형상 부재(21)는 편심 캠(20)의 편심분만큼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고리 형상 부 재(21)의 이동에 의해, 아암부(21a)에 연결된 레버 부재(23)는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하여 도6 중 화살표에 의해 나타내는 각도 범위 내에서 요동한다. 레버 부재(23)의 요동은 회전축(22)에 의해 연결된 제1 레버(24)에 전달되고, 제1 레버(24)도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한다. 레버 부재(23) 및 제1 레버(24)의 요동 각도는, 레버 부재(23)에 마련된 원호 구멍(23a) 내에서 핀(25)을 이동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When starting a sewing operation, the
제1 레버(24)의 요동에 의해 천 누르개(6)를 상하 이동시키는 천 누르개 상하 이동 기구(12)에 대해 설명한다.The cloth pusher up-and-down
도1, 도3, 도4,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 누르개 상하 이동 기구(12)는 제1 링크(30), 제2 링크(31) 및 제3 링크(3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링크(30)는 횡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링크(30)의 좌단부는 제1 레버(24)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2 링크(31)는 종링크부(31a)와 횡링크부(31b)를 일체로 갖는 L자형의 링크이다. 종링크부(31a)의 상단부는 제1 링크(30)의 우단부에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Fig. 3, Fig. 4, and Fig. 7, the cloth pawl
횡링크부(31b)의 좌단부는 도3, 도4,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배향의 연결 링크(33)에 의해 누름 봉 파지기(34)에 연결되어 있다. 누름 봉 파지기(34)는 누름 봉(7)의 중간부에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 4 and 7, the left end of the
누름 봉(7)의 하단부에 설치된 천 누르개(6)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누름부(6a)를 갖고 있다. 재봉침(9)은 누름부(6a)의 중앙부를 통과한다. 재봉침(9)의 땀 구멍으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실(15)도 누름부(6a)의 내부를 통해 가공천(W)(도2 참조)의 스티치로 연결할 수 있다.The
제3 링크(32)는 제2 링크(31)의 횡링크부(31b)의 전방부에 중첩되도록 횡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3 링크(32)의 우단부는 제2 링크(31)의 종링크부(31a) 및 횡링크부(31b)의 교차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제3 링크(32)의 좌단부는 기기 프레임(F)에 설치한 지지부(도시 생략)에 연결되어 있다.The
제3 링크(32)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링크(31)의 후방측에 스프링 받침부(32a)를 갖고 있다. 스프링 받침부(32a)는 누름 봉(7)의 외측에 장착한 압축 코일 스프링(35)의 스프링력에 의해 하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수평 방향에 대한 제3 링크(32)의 경사 각도는, 후술하는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기구(13)의 동작에 의해, 압축 코일 스프링(35)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제3 링크(32)를 밀어 올림으로써 변경할 수 있다. 제3 링크(32)의 경사 각도의 변경에 의해, 천 누르개(6)의 높이 위치도 변경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제1, 제2, 제3 링크(30 내지 32)는 침 봉(8)이 최상위치보다도 약간 하부의 위치에 있는 봉제 정지시에 평행 링크가 된다. 도7,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레버(24)와 제1 링크(30)의 연결점을 P1, 제1 링크(30)와 제2 링크(31)의 연결점을 P2, 제2 링크(31)와 제3 링크(32)의 연결점을 P3, 제3 링크(32)와 기기 프레임(F)의 연결점을 P4라 하면, 변 P1-P2와 변 P4-P3이 평행이 되고, 변 P2-P3과 변 P1-P4가 평행이 된다.The 1st, 2nd, 3rd links 30-32 become a parallel link at the time of the sewing stop in which the
주축(5)이 회전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레버(24)가 요동한다. 제1 레버(24)의 요동은 제1 링크(30)에 의해 제2 링크(31)에 전달된다. 제2 링크(31)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링크(32)와의 연결점(P3)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고, 횡링크부(31b)의 단부가 상하로 움직인다. 횡링크부(31b)의 단부에 연결 링크(33) 및 누름 봉 파지기(34)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누름 봉(7) 및 천 누르개(6)가 상하 이동한다. 침 봉(8) 및 재봉침(9)도 주축(5)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한다. 따라서, 천 누르개(6)의 상하 이동은 재봉침(9)의 상하 이동과 동기하여 발생한다. 천 누르개(6)의 상하 이동 범위의 기준 위치는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기구(13)에 의해 변경할 수 있다. 천 누르개(6)의 상하 이동 범위의 기준 위치라 함은, 천 누르개(6)의 상하 이동 범위의 대략 상단을 나타내고 있다.As the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기구(13)에 대해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 기둥(3)의 내부에는 구동부 케이스(40)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 케이스(40)의 내부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체(42)를 갖는 캠축(4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캠축(41) 및 캠체(42)는 구동부 케이스(40)의 외측에 설치한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모터(43)(도1 참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한다.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모터(43)는 스테핑 모터이고, 구동 펄스수에 따라서 회전 위치를 고정밀도로 변경할 수 있다. 캠체(42)의 캠면은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모터(43)를 구동하는 구동 펄스수에 비례하여, 천 누르개(6)가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모터(43)는 청구항 1의액츄에이터에 상당한다.The cloth lever vertical movement
구동부 케이스(40)의 내부에는, 캠축(41)의 상방에 있는 지지축(44)에 의해 대략 L자형의 레버(45)가 지지되어 있다. 캠축(41)과 지지축(44)은 평행하다. 레버(45)의 하단부에는 캠체(42)의 외주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종동륜(46)이 설치되어 있다. 레버(45)의 상단부에는 연결 봉(47)의 후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연결 봉(47)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4)의 내부에 있어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 봉(47)의 전단부는 지지 레버(48)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지지 레버(48)는 기기 프레임(F)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 레버(48)의 전단부(48a)는 제3 링크(32)의 스프링 받침부(32a)에 하측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In the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모터(43)의 구동에 의해 캠축(41) 및 캠체(42)가 정회전한 경우, 연결 봉(47)은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지지 레버(48)는 도5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다. 지지 레버(48)의 전단부(48a)는 상승하여, 압축 코일 스프링(35)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제3 링크(32)를 상방으로 밀어 올린다. 도7은 제3 링크(32)를 밀어 올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제3 링크(32)와 제2 링크(31)의 연결점(P3)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천 누르개(6)를 끌어 올린다. 천 누르개(6)의 상하 이동은, 도7에 실선에 의해 나타내는 천 누르개(6)의 위치를 상단(상위치)으로 하는 소정의 범위에서 발생한다. 천 누르개(6)의 상하 이동 범위의 기준 위치는 도7에 실선에 의해 나타낸 천 누르개(6)의 위치이다.When the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모터(43)의 구동에 의해 캠축(41) 및 캠체(42)가 역회전한 경우, 연결 봉(47)은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지지 레버(48)는 도5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다. 지지 레버(48)의 전단부(48a)는 하강한다. 제3 링크(32)는 압축 코일 스프링(35)의 스프링력에 의해 밀 려 내려간다. 도8은 제3 링크(32)가 내려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제3 링크(32)와 제2 링크(31)의 연결점(P3)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천 누르개(6)를 밀어 내린다. 천 누르개(6)의 상하 이동은 도8에 실선에 의해 나타내는 천 누르개(6)의 위치를 상단(하위치)으로 하는 소정의 범위에서 발생한다.When the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 누르개(6)의 상하 이동 범위의 기준 위치를 침판(2a)에 하위치를 설정해도, 침판(2a)이 천 누르개(6)의 이동을 저지하므로, 기판(2a)보다도 하부로 천 누르개(6)가 이동하는 일은 없다. 침판(2a)이 천 누르개(6)의 이동을 저지하지 않는 경우, 제2 링크(31)는 연결점(P3)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한다. 천 누르개(6)는 제2 링크(31)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As shown in Fig. 8, even if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up / down movement range of the
침판(2a)이 천 누르개(6)의 이동을 저지하는 경우, 제2 링크(31)는 연결점(P3)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할 수 없다. 이 경우 제2 링크(31)는 연결 링크(33)와 제2 링크(31)[횡링크(31b)]의 연결점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한다. 연결 링크(33)와 제2 링크(31)[횡링크(31b)]의 연결점을 지지점으로 하는 제2 링크(31)의 회전은 연결점(P3)을 상하로 이동시킨다.When the
상위치[도7에 실선에 의해 나타내는 천 누르개(6)의 위치]를 상단으로 하는 천 누르개(6)의 상하 이동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드(2)의 상면의 침판(2a)에 접촉하지 않는 범위에서 발생한다. 천 누르개(6)가 가장 아래로 되는 위치는,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모터(43)의 회전량의 변경에 의해 침판(2a)의 상면으로부터 적합한 길이(5 ㎜ 내지 10 ㎜)로 이격되도록 설정한다.As shown in FIG. 9, the up-and-down movement of the
하위치[도8에 실선에 의해 나타내는 천 누르개(6)의 위치]를 상단으로 하는 천 누르개(6)의 상하 이동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판(2a)보다도 하측의 범위에서 발생한다. 도10에 나타내는 이동 범위는, 침판(2a) 등의 장해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이동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범위를 이동하는 천 누르개(6)는 침판(2a) 상의 가공천(W)을 항상 누른다.The vertical movement of the
도10에 있어서는, 제1 링크(30), 제2 링크(31) 및 제3 링크(32)가 천 누르개(6)를 하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동시키려고 하지만, 침판(2a)이 천 누르개(6)의 이동을 저지한다. 천 누르개(6)를 이동시키는 힘은 제1 링크(30), 제2 링크(31) 및 제3 링크(32)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천 누르개(6)는 침판(2a)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제1 링크(30), 제2 링크(31) 및 제3 링크(32)만이 동작한다. 도11은 천 누르개(6)의 하위치를 도10과 같이 설정하고, 천 누르개(6)를 최하단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8과 비교하면, 제1 링크(30), 제2 링크(31) 및 제3 링크(32)의 상태가 다른 것을 알 수 있다.In Fig. 10, the
재봉틀(1)의 제어계에 대해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control system of the
제어 장치(50)(천 누르개 제어부, 봉제 속도 제어부 및 천 이송 제어부에 상당함)는 입력 인터페이스(51), CPU(52), ROM(53), RAM(54) 및 출력 인터페이스(55)를 갖는 컴퓨터와, 구동 회로(56 내지 59)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51)에는 족답 페달(60)과, 조작 패널(61)과, 회전 위치 검출 센서(62)가 접속되어 있다.The control device 50 (corresponding to the cloth pressing control unit, the sewing speed control unit, and the cloth conveying control unit) has an
족답 페달(60)은 봉제의 개시 및 종료를 지시하기 위해 작업자가 족답 조작한다. 조작 패널(61)은 봉제 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작업자가 조작한다. 회전 위치 검출 센서(62)는 주축(5)의 회전 위치를 검출한다. 검출한 주축(5)의 회전 위치는 실채기(14)(도2 참조)의 위치에 대응하므로, 회전 위치 검출 센서(62)가 실채기 위치 검출기에 상당한다.The stepping pedal 60 is stepped by an operator to indicate the start and end of sewing. The operation panel 61 is operated by an operator to set sewing conditions. The rotation position detection sensor 62 detects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출력 인터페이스(55)에는, 재봉틀 모터(63)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56)와,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모터(43)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57)와, X축 구동 모터(64)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58)와, Y축 구동 모터(65)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59)가 접속되어 있다.The
재봉틀 모터(6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축(5)을 회전 구동한다.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모터(4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천 누르개(6)의 상하 이동 범위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변경시킨다. X축 구동 모터(64)는 X 이송 기구(66)를 동작시킨다. Y축 구동 모터(65)는 Y 이송 기구(67)를 동작시킨다. X 이송 기구(66) 및 Y 이송 기구(67)는 가공천(W)을 좌우 방향(X 방향) 및 전후 방향(Y 방향)으로 이송 이동시키는 천 이송 기구를 구성한다.The
ROM(53)(기억부에 상당함)은 각종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한 봉제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ROM(53)은 후술하는 천 누르개 동작 제어의 제어 프로그램도 기억하고 있다. ROM(53)은 천 누르개 동작 제어에 사용하는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모터(43)의 구동 펄스수의 데이터도 기억하고 있다. 구동 펄스수의 데이터는 봉제를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 천 누르개(6)를 침판(2a)의 상방으로 약 20 ㎜ 이격된 퇴피 위치(도2, 도5 참조)로 퇴피시키기 위한 퇴피용 펄스수를 포함하고 있다. 구동 펄스수의 데이터는, 봉제 중에 천 누르개(6)를 전술한 상위치(도9, 도15 참 조)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봉제용 펄스수, 및 봉제의 개시시에 천 누르개(6)를 전술한 하위치(도10, 도14)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실 누름용 펄스수도 포함하고 있다.The ROM 53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unit) stores sewing data for forming various stitches. The
ROM(53)에는 재봉 초기시 및 통상 봉제시의 재봉틀 모터(63)의 회전 속도도 기억되어 있다. 재봉 초기시의 회전 속도는 예를 들어 400 rpm이다. 통상 봉제시의 회전 속도(통상 봉제 속도)는 예를 들어 2000 rpm으로, 재봉 초기시의 회전 속도보다도 고속으로 되어 있다.The
제어 장치(50)가 실행하는 제어 동작에 대해 도1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부호 Si(i = 11, 12, 13…)는 CPU(52)의 동작 스텝을 나타내는 스텝 번호이다.The control operation performed by the
제어 장치(50)는 재봉틀(1)의 전원을 투입하면 제어 동작을 개시한다. 제어 장치(50)는,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모터(43)를 퇴피용 펄스수에 의해 정회전 구동하여 천 누르개(6)를 퇴피 위치로 상승시킨다(S11).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 누르개(6)가 퇴피 위치에 있는 봉제 대기시에는, 실채기(14)는 최상위치에 있다.The
제어 장치(50)는 봉제 개시 지령의 입력이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S12). 작업자는 베드(2) 상에 가공천(W)을 배치하고, 족답 페달(60)을 밟는 조작하여 봉제의 개시를 지령한다. 족답 페달(60)의 밟는 조작에 의해 봉제 개시 지령의 입력이 있는 경우(S12 : 예), 제어 장치(50)는 재봉틀 모터(63)를 봉제 개시시의 저속도로 구동한다(S13). 동시에 제어 장치(50)는 침수 카운터의 카운트치(N)에 초기치「0 」을 세트한다(S14).The
제어 장치(50)는 천 누르개(6)를 하위치(상부 실 누름 위치)로 하강시킨다(S15). 상부 실 누름 위치로의 하강은, 전술한 실 누름용 펄스수의 구동 펄스에 의해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모터(43)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실현한다. 상부 실 누름 위치로 하강한 천 누르개(6)는 침판(2a) 상의 가공천(W)에 압력을 가한다. 천 누르개(6)는 재봉침(9)의 땀 구멍으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실(15)의 단부도 가공천(W) 상으로 밀어붙인다.The
제어 장치(50)는 실채기(14)가 최상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6). 실채기(14)가 최상위치에 도달하였다고 판정한 경우(S16 : 예), 제어 장치(50)는 천 누르개(6)를 상위치(봉제 높이 위치)로 상승시킨다(S17). 실채기(14)가 최상위치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S16 : 아니오), 제어 장치(50)는 최상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한다. 실채기(14)의 위치의 판정은 회전 위치 검출 센서(62)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행한다. 봉제 높이 위치로의 상승은 전술한 봉제용 펄스수의 구동 펄스에 의해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모터(43)를 정회전시킴으로써 실현한다.The
제어 장치(50)는 가공천(W)의 이송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8). 가공천(W)의 이송이 종료되었다고 판정한 경우(S18 : 예), 제어 장치(50)는 침수 카운트치(N)를 조사한다(S19). 가공천(W)의 이송의 종료는, 예를 들어 X축 구동 모터(64) 및 Y축 구동 모터(65)의 정지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X축 구동 모터(64) 및 Y축 구동 모터(65)의 정지는 각각에 설치한 회전 검출기의 검출 결과로 부터 판정할 수 있다. 도11에 나타내는 제어계의 블록도에 있어서는, X축 구동 모터(64) 및 Y축 구동 모터(65)의 회전 검출기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The
침수 카운트치(N)가 소정치(예를 들어 3침)인 경우 또는 소정치보다도 작은 경우(S19 : 예), 제어 장치(50)는 카운트치(N)를「1」만큼 증가시키고(S20), S15로 처리를 이행시킨다.When the immersion count value N is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three stitches) or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S19: YES), the
이상의 동작에 의해, 봉제의 개시 후의 3침분에 대해서는, 천 누르개(6)가 상부 실 누름 위치로 하강하여 상부 실(15)을 가공천(W) 상으로 밀어붙인다. 따라서, 상부 실(15)의 단부와 가공천(W)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여, 가공천(W)의 하측으로 상부 실(15)의 단부가 발출되지 않는다. 천 누르개(6)는 실채기(14)가 최상위치에 도달한 후 가공천(W)의 이송이 실행되는 기간만큼 봉제 높이 위치로 상승한다. 따라서, 가공천(W)의 이송을 천 누르개(6)가 방해하지 않는다. 가공천(W)의 이송 동안에 실채기(14)는 최상위치로부터의 하강 중이고, 상부 실(15)은 이완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송 동안의 상부 실(15)의 인장에 의해 가공천(W)의 하측으로 상부 실(15)의 단부가 발출되는 일은 없다.By the above operation, about three stitches after the start of sewing, the
침수 카운트치(N)가 소정치보다도 큰 경우(S19 : 아니오), 제어 장치(50)는 재봉틀 모터(63)를 통상 봉제시의 고속도(설정 속도)로 구동한다(S21). 이 구동은 봉제 종료 지령의 입력이 있을 때까지 계속한다. 봉제 종료 지령의 입력이 있는 경우(S22 : 예), 제어 장치(50)는 S11로 처리를 이행시키고, 천 누르개(6)를 퇴피 위치로 상승시켜 대기한다.When the immersion count value N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S19: No), the
이상의 동작에 의해 네 번째 땀 이후에 있어서는, 천 누르개(6)는 봉제 높이 위치에 있어서, 재봉침(9)과 동기하여 고속도로 상하 이동한다. 상부 실(15)과 하부실(도시 생략)의 얽힘이 확실히 발생하여, 봉제 종료까지 차례로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다. 천 누르개(6)는 재봉침(9)이 상승할 때, 가공천(W)을 상방으로부터 누른다. 천 누르개(6)의 상하 이동 범위는 침판(2a)의 상면보다도 상부에 있어, 가공천(W)의 이송을 저해하지 않는다.After the fourth stitch by the above operation, the
천 누르개 상하 구동 장치(10)의 작용에 대해, 실채기(14), 재봉침(9) 및 천 누르개(6)의 동작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16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cloth pawl
도2에 도시하는 봉제 대기 중에 있어서, 천 누르개(6)는 침판(2a)의 상방으로 약 20 ㎜만큼 이격된 퇴피 위치에 있다. 실채기(14)는 최상위치에 있다. 작업자는, 족답 페달(60)을 밟는 조작함으로써 봉제를 개시할 수 있고, 도16 중 t0의 시점에서, 재봉틀 모터(63)가 저속도로 회전을 개시한다. 천 누르개(6)는 도14에 나타내는 상부 실 누름 위치로 하강한다. 상부 실 누름 위치로 하강한 천 누르개(6)는, 도10에 나타내는 범위에서 상하 이동하여 가공천(W) 및 상부 실(15)에 압력을 가한다.In the sewing atmosphere shown in FIG. 2, the
천 누르개(6)는 실채기가 최상위치에 도달하는 도16 중 t1의 시점에서 도15에 나타내는 봉제 높이 위치로 상승한다. 봉제 높이 위치로 상승한 천 누르개(6)는 도9에 나타내는 범위에서 상하 이동하여, 가공천(W)에 접촉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가공천(W)을 이송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동안 실채기(14)는 최상위치를 통과하여 하강 중이고 상부 실(15)을 인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부 실(15)의 단부는 가공천(W)의 하측으로 발출되지 않는다. 가공천(W)의 이송에 필요한 상부 실(15)은 실채기(14)로부터 저항 없이 인출하여 공급할 수 있다.The
천 누르개(6)는 재봉침(9)이 가공천(W)에 꽂히기 직전의 도16 중 t2의 시점에서 상부 실 누름 위치로 하강한다. 상부 실 누름 위치로 하강한 천 누르개(6)는 이송을 종료하고 있는 가공천(W) 및 상부 실(15)에 압력을 가한다. 상부 실(15)과 가공천(W)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여, 상부 실(15)의 단부가 가공천(W)의 하측으로 발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봉제 개시 후의 첫 번째 땀부터 하부 실과의 얽힘에 의해 확실하게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의 동작은, 봉제의 개시로부터 소정 침수(3침)분의 재봉을 형성할 때까지 반복한다.The
재봉틀 모터(63)는 소정 침수의 재봉을 종료할 때까지 저속도(예를 들어 400 rpm)로 회전한다. 가공천(W)의 이송 기간이 길어져, 이송 기간의 전후에 있어서 천 누르개(6)는 지연시키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기구(13)는 천 누르개(6)의 상하 이동 위치의 변경을,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모터(43)를 구동 및 정지시키는 간단한 제어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The
천 누르개(6)는 네 번째 땀의 재봉을 개시하는 도16 중 t3의 시점에서, 봉제 높이 위치로 상승한다. 이 시점 t3 이후의 천 누르개(6)는 가공천(W)의 이송이 종료되는 도16 중 t4의 시점을 경과해도 봉제 높이 위치를 유지한다. 봉제 높이 위치에 있는 천 누르개(6)는, 도9에 나타내는 범위에서 상하 이동한다. 최하위치에 있는 천 누르개(6)는 가공천(W)과의 사이에 작은 간극을 갖고 대향한다. t3의 시점 이후의 통상 봉제 중에 있어서, 천 누르개(6)는 가공천(W)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고, 재봉침(9)이 상승할 때에 가공천(W)을 누를 수 있다.The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를 부분적으로 변경한 변경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The modified form which partially change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demonstrated.
1) 봉제 개시시에 있어서의 재봉틀 모터(63)의 회전 속도는,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400 rpm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회전 속도는, 통상 봉제시의 회전 속도보다도 낮은 적절한 회전 속도로 할 수 있다.1) The rotation speed of the
2) 봉제 개시시에 상부 실(15)을 누르기 위한 천 누르개(6)의 동작은, 봉제개시 후, 미리 정한 임의의 침수 동안 실행할 수 있다.2) The operation of the
3)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기구(13)의 구성은,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모터(43)에 의해 천 누르개(6)의 상하 이동 범위를 변경하는 다른 구성의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천 누르개(6)의 상하 이동 범위를 변경하는 액츄에이터로서는, 예를 들어 에어 실린더, 솔레노이드, 서보모터를 이용해도 좋다.3) The structure of the cloth pusher up-and-down movement
4) 실채기(14)의 위치를 검출하는 실채기 위치 검출기는 주축(5)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 위치 검출 센서(62)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하 이동하는 침 봉(8)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실채기 위치 검출기로서 채용할 수 있다.4) The thread take-up position detector which detects the position of the thread take-
5) 천 누르개(6)의 누름부(6a)는 원통형이 아닌, 예를 들어 사각형, 삼각형 등의 형상을 갖는 통이라도 좋다.5) The
6) 천 누르개(6)의 상하 이동 범위의 기준 위치는 천 누르개(6)의 상하 이동 범위의 하단으로 해도 좋다. 천 누르개(6)의 상하 이동 범위의 기준 위치를 천 누르개(6)의 상하 이동 범위의 하단으로 하는 경우, 천 누르개 상하 이동 위치 변경 모터(43)의 구동 펄스수를, 상단으로 한 경우의 구동 펄스수에 상하 이동 범위분의 구동 펄스수를 더하는 것만으로도 좋다. 6)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vertical movement range of the
이상의 상세한 설명에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재봉틀에 있어서는, 재봉 초기의 소정 침수를 봉제할 때까지의 동안에 천 누르개 제어부가 동작하고, 재봉틀 모터의 회전에 의한 봉제 동작에 동기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천 누르개의 이동 범위를 하방으로 변경시킨다. 천 누르개는, 재봉침의 땀 구멍으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실의 단부를 가공천의 상면으로 밀어붙인다. 상부 실의 단부는 밀어붙임에 의한 마찰 저항에 의해 가공천의 하측으로 발출되지 않아, 봉제 개시 후의 첫 번째 땀부터 확실하게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다.As apparent from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in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th pressing control unit operates while sewing the predetermined immersion in the initial stage of sewing, and moves up and dow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ewing operation by the rotation of the sewing machine motor. Change the movement range of the cloth press downward. The cloth stopper pushes the end of the upper thread extending from the stitch hole of the sewing needl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abric. The end of the upper thread is not drawn out to the lower side of the fabric by frictional resistance by pushing, so that the stitch can be surely formed from the first sweat after the start of sewing.
도1은 본 발명의 재봉틀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w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봉제 대기시에 있어서의 재봉틀의 정면도.Fig. 2 is a front view of the sewing machine at the time of sewing wait.
도3은 천 누르개 상하 구동 장치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th stopper up and down drive device.
도4는 천 누르개 상하 구동 장치의 주요부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a cloth pawl vertical drive.
도5는 천 누르개 상하 구동 장치의 우측면도.Fig. 5 is a right side view of the cloth presser vertical drive device.
도6은 요동 기구의 정면도.6 is a front view of the rocking mechanism.
도7은 천 누르개가 상위치의 천 누르개 상하 이동 기구의 정면도.Fig. 7 is a front view of the cloth pawl up and down mechanism in which the cloth pawls are upper teeth;
도8은 천 누르개가 하위치에 있을 때의 천 누르개 상하 이동 기구의 정면도.Fig. 8 is a front view of the cloth pawl vertical movement mechanism when the cloth pawl is at the lower position.
도9는 봉제시에 있어서의 천 누르개의 상하 이동 궤적을 나타내는 선도.Fig. 9 is a diagram showing the vertical movement trajectory of the cloth tab at the time of sewing.
도10은 하위치를 침판에 설정하였을 때의 천 누르개의 상하 이동 궤적을 나타내는 선도(침판이 있을 때와 없을 때).Fig. 10 is a diagram showing the vertical movement trajectory of the cloth press when the lower value is set on the needle plate (with and without needle plate).
도11은 천 누르개의 하위치를 도10과 같이 설정하여 천 누르개를 최하단부로 이동시켰을 때의 재봉틀의 정면도.Fig. 11 is a front view of the sewing machine when the lower end of the cloth press is set as shown in Fig. 10 to move the cloth press to the lowest end;
도12는 재봉틀의 제어계의 블록도12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system of a sewing machine
도13은 천 누르개 동작 제어의 흐름도.Fig. 13 is a flowchart of cloth stopper operation control.
도14는 천 누르개가 상부 실 누름 위치에 있을 때의 재봉틀의 정면도.Figure 14 is a front view of the sewing machine when the cloth presser is in the upper thread pressing position.
도15는 천 누르개가 봉제 높이 위치에 있을 때의 재봉틀의 정면도.Figure 15 is a front view of the sewing machine when the cloth stopper is in the sewing height position.
도16은 실채기, 침 및 천 누르개의 동작의 모습을 나타내는 타임차트.Fig. 16 is a time chart showing the action of thread take-up, needle and cloth tap.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재봉틀1: sewing machine
4 : 아암4: arm
6 : 천 누르개6: cloth press
7 : 누름 봉7: push rod
8 : 침 봉8: saliva rod
10 : 상하 구동 장치10: vertical drive
11 : 레버 요동 기구11: lever rocking mechanism
20 : 편심 캠20: eccentric cam
21 : 고리 형상 부재21: annular member
22 : 회전축22: rotating shaft
23 : 레버 부재23: lever member
63 : 재봉틀 모터63: sewing machine motor
Claims (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6-00229986 | 2006-08-28 | ||
JP2006229986 | 2006-08-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19561A KR20080019561A (en) | 2008-03-04 |
KR100944296B1 true KR100944296B1 (en) | 2010-02-24 |
Family
ID=39159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85987A KR100944296B1 (en) | 2006-08-28 | 2007-08-27 | Sewing machin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944296B1 (en) |
CN (2) | CN101135091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780314B (en) * | 2016-04-28 | 2019-05-14 |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 The driving mechanism and sewing machine of presser foot lifter loose ends routing in sewing machine |
CN110528194A (en) * | 2018-05-23 | 2019-12-03 | 天津宝盈电脑机械有限公司 | A kind of synchronous presser foot device for transverse joint hea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00988A (en) * | 1992-04-28 | 1993-11-16 | Mitsubishi Electric Corp | Automatic sewing machine |
JPH08215457A (en) * | 1995-02-14 | 1996-08-27 | Brother Ind Ltd | Sewing machine presser foot control device |
JPH10305182A (en) | 1997-05-09 | 1998-11-17 | Barudan Co Ltd | Cloth presser foot device of sewing machine |
KR20070000990A (en) * | 2005-06-28 | 2007-01-03 |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 Sewing equipment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35729B2 (en) * | 2003-08-01 | 2008-01-23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Sewing system |
JP2006014835A (en) * | 2004-06-30 | 2006-01-19 | Brother Ind Ltd | sewing machine |
CN2752289Y (en) * | 2004-07-02 | 2006-01-18 |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 Automatic sewing device |
JP2006087808A (en) * | 2004-09-27 | 2006-04-06 | Brother Ind Ltd | Eyelet holing sewing machine |
JP2006102396A (en) * | 2004-10-08 | 2006-04-20 | Juki Corp | sewing machine |
JP4605448B2 (en) * | 2004-10-27 | 2011-01-05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Intermittent presser vertical drive device and sewing machine |
JP2006122231A (en) * | 2004-10-27 | 2006-05-18 | Brother Ind Ltd | Intermittent presser vertical drive device and sewing machine |
-
2007
- 2007-08-27 KR KR1020070085987A patent/KR100944296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7-08-27 CN CN200710148211XA patent/CN101135091B/en active Active
- 2007-08-27 CN CN2011100943721A patent/CN102121176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00988A (en) * | 1992-04-28 | 1993-11-16 | Mitsubishi Electric Corp | Automatic sewing machine |
JPH08215457A (en) * | 1995-02-14 | 1996-08-27 | Brother Ind Ltd | Sewing machine presser foot control device |
JPH10305182A (en) | 1997-05-09 | 1998-11-17 | Barudan Co Ltd | Cloth presser foot device of sewing machine |
KR20070000990A (en) * | 2005-06-28 | 2007-01-03 |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 Sewing equip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121176A (en) | 2011-07-13 |
CN102121176B (en) | 2012-10-03 |
CN101135091B (en) | 2011-06-08 |
CN101135091A (en) | 2008-03-05 |
KR20080019561A (en) | 2008-03-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710905B (en) | Buttonholing machine | |
KR100790665B1 (en) | Sewing machine with sequin seal | |
JP2008079998A (en) | sewing machine | |
JP2007244721A (en) | sewing machine | |
CN106283422B (en) | sewing machine | |
CN1854368B (en) | Sewing machine | |
JP2006102396A (en) | sewing machine | |
JP6045392B2 (en) | sewing machine | |
JPH05192464A (en) | Fabric holder driving device of sewing machine | |
JP2008080110A (en) | sewing machine | |
KR100944296B1 (en) | Sewing machine | |
KR101184462B1 (en) | A sewing machine | |
KR100928103B1 (en) | Sewing machine and its control device | |
JP2007159619A (en) | Sewing machine | |
KR101240386B1 (en) | Sewing machine | |
JP2006149440A (en) | sewing machine | |
JP2006102399A (en) | sewing machine | |
CN1603502B (en) | Sew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ewing object holding member of sewing device | |
JP2005087251A (en) | sewing machine | |
JP2006239301A (en) | Sewing machine | |
JP4860178B2 (en) | sewing machine | |
JP2841299B2 (en) | Zero feed setting start sewing machine | |
JP6603525B2 (en) | sewing machine | |
JP2006020757A (en) | Embroidery sewing machine | |
JP2005137694A (en) | sew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