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158B1 - 렌즈 초점 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렌즈 초점 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44158B1 KR100944158B1 KR1020070114661A KR20070114661A KR100944158B1 KR 100944158 B1 KR100944158 B1 KR 100944158B1 KR 1020070114661 A KR1020070114661 A KR 1020070114661A KR 20070114661 A KR20070114661 A KR 20070114661A KR 100944158 B1 KR100944158 B1 KR 1009441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l
- moving
- permanent magnet
- control signal
- contr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2789 length control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5291 magne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BGPVFRJUHWVFKM-UHFFFAOYSA-N N1=C2C=CC=CC2=[N+]([O-])C1(CC1)CCC21N=C1C=CC=CC1=[N+]2[O-] Chemical compound N1=C2C=CC=CC2=[N+]([O-])C1(CC1)CCC21N=C1C=CC=CC1=[N+]2[O-] BGPVFRJUHWVFK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3302 ferro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5294 ferromagne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3
- 239000000306 compon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58 core compon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976 Electrical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8 dental enam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8 plas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071 polychlorinated bipheny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3 suppor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02—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motor
- H02P25/06—Linear motors
- H02P25/064—Linear motors of the synchronous typ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006—Controlling linear mo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otor
- H02P2207/05—Synchronous machines, e.g. with permanent magnets or DC exci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Description
이 과정에서 초기위치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제어신호(13)의 펄스의 갯수는 초기위치에서 최종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펄스의 갯수와 감마(여유분)이다. 사유는 이동체의 위치가 이동 구간 내 어떠한 곳에 놓여 있는지 모르기 때문이며, 추가적인 사유는 초기 위치 상태로 이동하려면 코일에 전류를 인가해야 하고 전류 인가로 인하여 코일에 발생한 열은 스토퍼와 코어의 영구자석으로 인한 자화 상태를 격감시킬 수 있는 장점 또한 생긴다.
초기 위치 상태로 이동 후 제 1제어신호(11)의 상태( 반대방향 이동)를 바꾸고 제 2제어신호(13)으로 이동구간의 끝점까지 스캔 이동시키며 초점센서의 최고값과 그 위치의 제 2제어신호(13)의 펄스수를 기억한다. 이동구간 전체를 스캔 한후 기억되어 있는 최고 세기의 센서 값이 있는 위치 지점과 가까운 곳으로 이동하며, 초점센서로부터 가장 큰 값이 출력되는 임의의 지점에서 초점을 맞춘다.
Claims (23)
- 이동체 동작과 관련된 제 1,2제어신호(11)(13)를 출력하는 제어원(31)과; 상기 제어원으로부터 제 1,2제어신호(11)(13)를 입력받아 동작구동신호를 출력하며, 밧데리 혹은 타전압공급원으로부터 입력전압(8)을 공급받아서 일정한 크기의 출력 전압(12)을 풀브릿지회로(5)에 공급 혹은 차단하는 정전압원(6), 제어원(31)에서 입력받은 제 1제어신호(11)의 극성을 바꾸어 출력신호(10)로 출력하는 인버터회로(7) 및, 인버터회로(7)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10) 혹은 제어원(31)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1제어신호(11)를 입력받아 코일(3)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변경하는 풀브릿지회로(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동회로와; 이동체 혹은 고정체를 구성하는 코일(3)을 포함하는 코일 구성체와, 영구자석(4)을 포함하는 영구자석 구성체와, 상기한 코일 구성체와 영구자석 구성체가 결합되는 이동체 사출물 및, 고정체 사출물을 포함하고, 고정체 사출물은 또한 이동체 사출물이 설치될 수 있는 이동체 장착공간이 구성되는 렌즈 초점 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에 있어서,상기한 코일 구성체는 코일(3)과 코일의 중심에 삽입되는 강자성체로 만들어진 코어(2)와 스토퍼(1)로 구성하고, 상기한 영구자석 구성체는 상기한 영구자석(4)과 강자성체로 만들어진 브라켓(21)으로 구성하여 코일 구성체와 영구자석 구성체의 모듈화를 구현하고, 이동체 사출물과 고정체 사출물의 일측 공간에 영구자석 구성체 장착공간과 코일 구성체 장착공간을 형상화하고 코일 구성체와 영구자석 구성체를 장착 공간에 장착하며, 장착 방향은 코일 경계면(25)을 기준으로 코일과 영구 자석이 서로 마주보게 장착시킴으로써 고정체 사출물에 형상화 되어 있는 이동체 장착공간에 상기한 이동체를 설치하였을 때 코일 구성체와 영구자석 구성체의 일측 공간 밀집 배치 구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초점 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영구자석(4)은 사각형으로 형성하여 사각형 일면의 두 꼭지점을 대각선으로 나누어 대각선을 경계로 N극과 S극을 대칭적으로 착자하여 각 자극의 거리별 자속 밀도 분포가 대각선의 기울기와 같이 선형(일차함수)적으로 증가 혹은 감소되게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초점 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 제 2항에 있어서, 사각형의 대각선을 기준으로 착자된 영구자석을 대각선을 따라 이분 형성한 것과 같은 삼각형의 형상으로 영구자석을 두 개로 제작하고 서로 일정간격만큼 이격하거나, 대각선을 중심으로 중심위치가 어긋나도록 위치시켜 양단부의 위치가 다르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초점 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 제 3항에 있어서, 삼각형 형상을 가진 두 개의 영구자석의 이격거리 사이에는 비자성체 물질을 넣어 두 개의 영구자석, 브라켓, 이격공간 형상의 비자성체로 영구 자석 구성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초점 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코일 구성체를 인서트 사출하여 하나의 부품처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초점 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체 사출물 혹은 이동체 사출물에서 코일 구성체 장착공간과 영구자석 구성체 장착공간을 코일 경계면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고 장착공간에 결합되는 영구자석은 광축과 비교하여 서로 평행에 가깝게( 170°~ 190°) 배치하며 코일은 코일의 긴축이 광축(렌즈의 수직 중심선)과 비교하여 서로 직각에 가깝게( 80°~100°)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초점 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동체와 고정체 사이에는 에어 갭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초점 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 제 1항에 있어서, 이동체 사출물에 두 개의 이동 기준선(159)을 형상화 하고, 이동체에 형상화할 위치는 상기한 코일 구성체와 영구자석 구성체들이 집중적으로 배치된 일측공간에 두 개의 지점을 두고 두 개의 지점을 가상의 선(184)으로 연결했을 때 이동체의 무게가 평형을 이루는 위치와 코일 경계면 사이에 위치시키고, 이동기준선은 고정체 사출물의 이동체 장착공간에 상기한 이동체의 이동 기준선에 대응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형상을 만들고, 에어 갭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동체사출물과 고정체 사출물에서 코일 구성체 장착공간과 영구자석 구성체 장착공간을 구성하고 각 사출물의 구성체 장착 공간 외곽은 격벽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초점 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 제 1항에 있어서, 제어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1,2제어신호(11)(13)를 입력받아,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차단 혹은 공급하는 정전압원(6)과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변경해 주는 인버터(7)와 풀브릿지 회로(5)로 구성된 구동회로를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 구성한 렌즈 초점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 제 1항에 있어서,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변경해 주는 인버터회로(7)와 풀브릿지 회로(5)로 구성된 회로를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 구성한 렌즈 초점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 제1항에 있어서, 제어원(31)과 인버터회로(7)와 풀브릿지 회로(5)와 정전압원(6)을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 구성한 렌즈 초점 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 제 1항에 있어서, 고정체는 영구자석 구성체가 결합되고 이동체는 코일 구성체가 결합되어 고정체 사출물의 이동체 장착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초점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한 코일 구성체가 이동체로 결합될 경우, 이동체의 이동시에도 코일에 전류를 계속 공급하기 위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이하 F-PCB라 함)를 설치하고, 상기한 F-PCB는 절개하여 홈을 형성한 판스프링 형상 부분과 코일 단자와 납땜을 위한 납땜부분과 이동체에 형상화된 F-PCB 장착공간에 고정시키기 위한 F-PCB 길이 연장부와 풀브릿지 회로 출력단의 연장 단자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초점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 제 1항에 있어서, 고정체는 코일 구성체가 결합되고 이동체는 영구자석 구성체가 결합되어 고정체 사출물의 이동체 장착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초점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 제 15항에 있어서, 고정체는 코일 구성체가 결합됨으로 코일 구성체의 스토퍼를 두 개로 분리하여 두 개의 코일 단자와 분리된 두 개의 스토퍼는 각각 일대일 납땜처리하고 두 개의 풀브릿지 회로 출력단의 연장 단자와 일대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초점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 1항에 있어서, 고정체 사출물에 하나의 영구자석 구성체가 결합되고 코일 구성체가 결합된 둘이상의 이동체가 고정체 사출물의 이동체 장착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초점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 1항에 있어서, 고정체 사출물의 하나의 영구자석 구성체 장착공간에 둘 이상의 영구자석 구성체가 결합되고 코일 구성체가 결합된 둘 이상의 이동체가 고정체 사출물의 이동체 장착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초점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 제 17항 또는 제 18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코일 구성체를 갖는 이동체들이 고정체 사출물의 이동체 장착공간에 설치될 경우, 상기한 이동체 사출물에는 F-PCB가 각각의 이동체에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도록 장착공간을 두 개 형성하고, F-PCB의 형상은 이동체 갯수만큼 F-PCB 길이 연장부와 납땜단과 이동부분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초점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체 사출물의 상/하에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한 고정체 사출물의 형상화된 이동체 사출물 장착공간에 이동체 사출물 외에 카메라 렌즈의 오염 및 파손에 대한 보호 물질, IR필터, 별도 사출물을 포함하는 카메라 관련 부품 혹은 이들을 조합한 구성체를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혹은 고정체와 결합시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초점 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 이미지센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초점센서, 입출력 신호 처리기,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체의 동작과 관련된 제 1,2제어신호(11)(13)를 출력하는 제어원(31)으로부터 제 1,2제어신호(11)(13)를 입력받아 코일(3)로 동작구동신호를 출력하며, 제어원(31)으로부터 입력된 제 2제어신호(13)에 따라 밧데리 혹은 타전압공급원으로부터 입력전압(8)을 공급받아서 일정한 크기의 출력 전압(12) 출력하는 정전압원(6)과 상기한 제 1제어신호(11)에 의해 코일(3)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변경하는 인버터(7)와 풀브릿지 회로(5)로 구성되는 구동회로와, 코일(3)의 중심에 강자성체 코어(2)를 삽입하고 강자성체인 스토퍼(1)로 구성되는 코일 구성체와, 영구자석(4)의 일면에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브라켓(21)을 설치하여 형성되는 영구자석 구성체와 상기한 코일 구성체와 영구자석 구성체가 설치되는 이동체 사출물 및 고정체 사출물을 포함하는 렌즈 초점 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의 초점거리 제어방법에 있어서,상기한 제 2제어신호(13)를 주파수는 동일하며, 듀티(Duty)비가 각각 차이가 있는 세 가지 성분의 전기적 제어신호로 출력하여 자동 초점 거리(AF)를 제어하기 위하여, 먼저 이동체를 초점거리 제어를 위한 초기위치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제 1제어신호(11)를 초기 위치 상태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태를 설정하고, 가장 큰 듀티비 값을 갖는 제 2제어신호(13)를 초기위치에서 최종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펄스 갯수와 여유분의 펄스 갯수만큼 인가하여 이동체가 초기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하고 , 초기위치로 이동체를 이동시킨 후 제 1제어신호(11)의 상태를 바꾸고 두 번째로 큰 듀티비 값을 갖는 제 2제어신호(13)으로 이동구간의 끝점까지 스캔 이동하며, 제어원의 일부 회로인 초점센서의 출력 값이 가장 큰 지점을 찾고 그 지점의 제 2제어신호(13)의 펄스갯수를 기억하며, 이동구간 전체를 스캔한 후 제 1제어신호(11)의 상태를 바꾸고 두 번째로 큰 듀티비 값을 갖는 제 2제어신호(13)으로 기억되어 있는 가장 큰 출력 값이 발생한 지점의 가까운 지점으로 이동한 후 가장 작은 듀티비 값을 갖는 제 2제어신호(13)으로 미소 거리 이동하며 초점센서로부터 가장 큰 출력값이 발생한 임의의 지점에서 초점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거리 제어방법.
- 이미지센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초점센서, 입출력 신호 처리기,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체의 동작과 관련된 제1,2제어신호(11)(13)를 출력하는 제어원(31)으로부터 동작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코일(3)로 동작구동신호를 출력하며, 제어원(31)으로부터 입력된 제 2제어신호(13)에 따라 밧데리 혹은 타전압공급원으로부터 입력전압(8)을 공급받아서 일정한 크기의 출력 전압(12) 출력하는 정전압원(6)과 상기한 제 1제어신호(11)에 의해 코일(3)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변경하는 인버터(7)와 풀브릿지 회로(5)로 구성되는 구동회로와 코일(3)의 중심에 강자성체 코어(2)를 삽입하고 강자성체인 스토퍼(1)로 구성되는 코일 구성체와, 영구자석(4)의 일면에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브라켓(21)을 설치하여 형성되는 영구자석 구성체와 상기한 코일 구성체와 영구자석 구성체가 설치되는 이동체 사출물 및 고정체 사출물을 포함하는 렌즈 초점 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의 초점거리 제어방법에 있어,두 가지 성분의 전기적 제 2제어신호( 주파수는 동일하며, Duty비가 각각 차이가 있는 신호)(13)으로 자동 초점 거리(AF)를 제어하기 위해, 먼저 이동체를 초점거리 제어를 위한 초기위치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제 1제어신호(11)을 초기 위치 상태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태를 설정하고, 큰 Duty비 값을 갖는 제 2제어신호(13)을 초기위치에서 최종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펄스 갯수와 여유분의 펄스 갯수만큼 인가하여 이동체가 초기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하고, 초기위치로 이동체를 이동시킨 후 제 1제어신호(11)의 상태를 바꾸고 큰 Duty비 값을 갖는 제 2제어신호(13)으로 이동구간의 끝점까지 스캔 이동하며 제어원의 일부 회로인 초점센서의 출력 값이 가장 큰 지점을 찾고 그 지점의 제 2제어신호(13)의 펄스갯수를 기억하며, 이동구간 전체를 스캔한 후 제 1제어신호(11)의 상태를 바꾸고 큰 Duty비 값을 갖는 제 2제어신호(13)으로 기억되어 있는 가장 큰 출력 값이 발생한 지점의 가까운 지점으로 이동한 후 작은 Duty비 값을 갖는 제 2제어신호(13)으로 미소 거리 이동하며, 초점센서로부터 가장 큰 출력값이 발생한 임의의 지점에서 초점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거리 제어방법.
- 이미지센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초점센서, 입출력 신호 처리기,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체의 동작과 관련된 제 1,2제어신호(11)(13)를 출력하는 제어원(31)으로부터 동작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코일(3)로 동작구동신호를 출력하며, 제어원(31)으로부터 입력된 제 2제어신호(13)에 따라 밧데리 혹은 타전압공급원으로부터 입력전압(8)을 공급받아서 일정한 크기의 출력 전압(12) 출력하는 정전압원(6)과 상기한 제 1제어신호(11)에 의해 코일(3)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변경하는 인버터(7)와 풀브릿지 회로(5)로 구성되는 구동회로와 코일(3)의 중심에 강자성체 코어(2)를 삽입하고 강자성체인 스토퍼(1)로 구성되는 코일 구성체와, 영구자석(4)의 일면에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브라켓(21)을 설치하여 형성되는 영구자석 구성체와 상기한 코일 구성체와 영구자석 구성체가 설치되는 이동체 사출물 및 고정체 사출물을 포함하는 렌즈 초점 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의 초점거리 제어방법에 있어서,한 가지 성분의 전기적 제 2제어신호(13)으로 자동 초점 거리(AF) 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 먼저 이동체를 초점거리 제어를 위한 초기위치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제 1제어신호(11)을 초기 위치 상태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태를 설정하고 제 2제어신호(13)를 초기위치에서 최종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펄스갯수와 여유분의 펄스갯수만큼 인가하여 이동체가 초기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하고 초기위치로 이동체를 이동시킨 후 제 1제어신호(11)의 상태를 바꾸고 제 2제어신호(13)으로 이동구간의 끝점까지 스캔 이동하며 제어원의 일부 회로인 초점센서의 출력 값이 가장 큰 지점을 찾고 출력값을 메모리의 한 영역에 설정값(이때 설정값은 최고 출력값과 같거나 조금 작은 값을 설정한다.)을 설정하며 이동구간 전체를 스캔한 후 제 1제어신호(11)의 상태를 바꾸고 제 2제어신호(13)으로 단위 이동하며 기억되어 있는 설정값과 각각의 단위 이동 지점의 초점센서 출력값과 비교하여 설정값보다 출력값이 작을 때 다음위치로 단위이동하며 같거나 클 때 그 지점에서 초점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거리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4661A KR100944158B1 (ko) | 2007-11-12 | 2007-11-12 | 렌즈 초점 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4661A KR100944158B1 (ko) | 2007-11-12 | 2007-11-12 | 렌즈 초점 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8683A KR20090048683A (ko) | 2009-05-15 |
KR100944158B1 true KR100944158B1 (ko) | 2010-02-24 |
Family
ID=4085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466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44158B1 (ko) | 2007-11-12 | 2007-11-12 | 렌즈 초점 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4415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3111B1 (ko) | 2010-08-30 | 2012-08-14 | (주)태극기전 | 내구성이 향상된 렌즈의 초점거리 조절모듈 |
WO2014073715A1 (ko) * | 2012-11-06 | 2014-05-15 | (주)태극기전 | 방위 제어용 자성모터 및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78681B (zh) * | 2015-01-21 | 2017-03-22 | 朱福善 | 一种触发式无刷直流直线电动机的构成及驱动方法 |
KR102483257B1 (ko) * | 2021-05-18 | 2022-12-29 |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웨지형 자력조절모듈 |
CN117674537B (zh) * | 2024-01-30 | 2024-06-04 | 基合半导体(宁波)有限公司 | 对焦马达、对焦马达的闭环控制方法及摄像设备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47347B1 (ko) | 1997-07-29 | 2000-03-15 | 윤종용 | 리니어모터위치제어장치 |
KR20030094402A (ko) * | 2002-01-24 | 2003-12-11 |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 자동 포커스 장치, 전자 카메라 및 자동 포커스 방법 |
JP2005165058A (ja) | 2003-12-03 | 2005-06-23 | Sharp Corp |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
KR100719799B1 (ko) | 2004-10-09 | 2007-05-18 | 김경욱 | 솔레노이드형 리니어 모터 및 그 구동회로 |
-
2007
- 2007-11-12 KR KR1020070114661A patent/KR100944158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47347B1 (ko) | 1997-07-29 | 2000-03-15 | 윤종용 | 리니어모터위치제어장치 |
KR20030094402A (ko) * | 2002-01-24 | 2003-12-11 |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 자동 포커스 장치, 전자 카메라 및 자동 포커스 방법 |
JP2005165058A (ja) | 2003-12-03 | 2005-06-23 | Sharp Corp |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
KR100719799B1 (ko) | 2004-10-09 | 2007-05-18 | 김경욱 | 솔레노이드형 리니어 모터 및 그 구동회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3111B1 (ko) | 2010-08-30 | 2012-08-14 | (주)태극기전 | 내구성이 향상된 렌즈의 초점거리 조절모듈 |
WO2014073715A1 (ko) * | 2012-11-06 | 2014-05-15 | (주)태극기전 | 방위 제어용 자성모터 및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8683A (ko) | 2009-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98169B1 (ko)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
US7986478B2 (en) | Lens drive device | |
US5541777A (en) | Electromagnetic driving device | |
US9429734B2 (en) | Voice coil mot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US7990625B2 (en) | Camera module | |
KR101221316B1 (ko) |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 |
US20070097532A1 (en) | Optical devices | |
US20070097531A1 (en) | Optical devices | |
KR100944158B1 (ko) | 렌즈 초점 거리 제어용 리니어 모터 및 그 제어방법 | |
CN109889711A (zh) | 摄像模组 | |
KR20160022656A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20080020662A (ko) | 소형 렌즈모듈의 자동 초점조절 장치 | |
KR20140036448A (ko) | 카메라 렌즈 모듈 | |
WO2020243851A1 (zh) | 镜头组件 | |
KR100953750B1 (ko) |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광학장치용 렌즈 구조체와, 이를 탑재한 광학장치 | |
CN202256835U (zh) | 透镜驱动装置、自动对焦相机以及附有相机的移动终端 | |
JP2017187694A (ja) | 駆動装置およびレンズユニット | |
US20160291284A1 (en) | Lens-driving device | |
KR20110100549A (ko) | 렌즈 초점거리 조절용 엑츄에이터 | |
CN2831165Y (zh) | 对焦装置 | |
KR20190137730A (ko) | 렌즈 조립체 | |
US11340420B2 (en) | Lens driving device | |
KR20080006723A (ko) | 할바흐 배열을 이용한 음성 코일 모터 카메라 장치 | |
EP2290439A1 (en) | Driving circuit for a photographing module | |
KR100247347B1 (ko) | 리니어모터위치제어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908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3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