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43462B1 - 배드민턴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배드민턴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462B1
KR100943462B1 KR1020090106852A KR20090106852A KR100943462B1 KR 100943462 B1 KR100943462 B1 KR 100943462B1 KR 1020090106852 A KR1020090106852 A KR 1020090106852A KR 20090106852 A KR20090106852 A KR 20090106852A KR 100943462 B1 KR100943462 B1 KR 100943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dminton
shuttlecock
supply
hol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효선
Original Assignee
유효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효선 filed Critical 유효선
Priority to KR1020090106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46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1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6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rotating discs, wheels or pulleys gripping and propelling the balls or bodies by fri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틀콕의 공급속도와 방향 등을 조절하여 실제 셔틀콕을 타구하는 것처럼 공급함으로써 자세와 타이밍 및 타점, 스텝 등을 연습 교정할 수 있도록 하며, 혼자서도 배드민턴을 자유롭게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층된 셔틀콕을 하나씩 공급하여 하강한 후 회전하는 발사장치에서 셔틀콕이 연속해서 날려보낼 수 있도록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셔틀콕(60)을 소정의 방향으로 공급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있어서,
본체(11)에 설치한 모터(12)에 감속기(13)를 연결하고, 상기 감속기(13)에서 타이밍 풀리(14)와 회전캠(19)을 설치하여 회전캠(19)에서 이송 안내대(20)를 상하이송 안내축(21)이 관통하는 상하 이송대(22)를 연결하며, 상기 타이밍 풀리(14)와 연결한 타이밍 풀리(16)에 타이밍 벨트(15)를 연결하여 타이밍 풀리(16)의 일측으로 설치한 작동캠(17)으로 구동하는 이동가이드대(26)에 연결된 가이드 로울러(25)를 갖는 가이드대(24)에 좌우이송 안내축(23)이 연결되어 상하 이송대(22)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제어장치(10)와;
상기 좌우이송 안내축(21)의 좌측에 연결된 집게 홀더(32)에 설치한 집게(33)의 상측으로 셔틀콕 보관대(31a)를 연결한 공급홀더(31)로 이루어진 공급장치(30)와;
상기 감속기(13)의 상측에 설치된 고정 플레이트(18)의 좌측에 연결된 모터 고정대(42)에 회전모터(41)와 공급 로울러(43)를 설치하여 셔틀콕(60)을 공급하는 발사장치(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배드민턴, 셔틀콕, 연습장치

Description

배드민턴 연습장치{Badminton practice device}
본 발명은 셔틀콕의 공급속도와 방향 등을 조절하여 실제 셔틀콕을 타구하는 것처럼 공급함으로써 자세와 타이밍 및 타점, 스텝 등을 연습 교정할 수 있도록 하며, 혼자서도 배드민턴을 자유롭게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층된 셔틀콕을 하나씩 공급하여 하강한 후 회전하는 발사장치에서 셔틀콕이 연속해서 날려보낼 수 있도록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드민턴은 테니스와 같이 코트 중앙에 설치된 네트를 기준으로 라켓을 사용하여 셔틀콕(shuttlecock)을 쳐서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득점을 겨루는 것으로서 단식경기 방식과 복식경기 방식이 있으며,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스포츠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배드민턴은 라켓과 셔틀콕만을 이용하여 실내외의 좁은 공간에서 간단하게 즐길 수 있으나, 배드민턴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셔틀콕을 치고받을 수 있는 2인 이상이 있어야 가능한 스포츠다.
배드민턴을 처음 시작한 초보자의 경우 별도의 코치나 교재를 통해 자세를 교정하면서 셔틀콕 없이 스윙 연습을 할 수 밖에 없으므로 흥미 유발이 어렵고 효과가 낮아지는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06604호(2003. 02. 25. 등록)의 배드민턴 연습장치가 제안되었으며, 제안된 연습장치는 셔틀콕이 탑재된 셔틀콕 탑재대로 부터 상부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쳐 올려지는 셔틀콕을 라켓으로 쳐내는 반복된 스윙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자세, 타이밍, 스텝 등을 혼자서 연습하면서 교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셔틀콕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임의 방향으로 드로우되는 것이 아니라 하부에서 상부 한 방향으로 띄워 올려지게 됨에 따라 임의 방향에서 날아오는 셔틀콕에 대한 타구, 스텝을 비롯하여 클리어, 스매시, 점프 스매시, 푸쉬, 드롭, 헤어핀 및 드라이브 등의 감각을 익히거나 연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상기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특허 등록번호 제0708406호(2007. 04. 10. 등록)에 게재한 바와 같이, 프레임에서 셔틀콕 드로잉부 상부에 셔틀콕 공급부가 설치되도록 구성된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셔틀콕 드로잉부는 받침판에 고정된 제1모터의 구동스프라켓휘일에 제1체인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제1체인의 타측이 베어링으로 받침판에 고정된 구동축의 종동 스프라켓휠에 연결되고, 상기 종동스프라켓휠이 끼워진 구동축에 당김가이드캠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당김가이드캠의 상부가 위치되어지는 받침판에 축이 관통되도록 삽입된 축고정부가 설치되며 상기 축의 일측에는 로울러가 결합된 당김로드가 결합되 어지되, 상기 당김로드에는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당김스프링의 일측이 걸려지며 상기 당김 스프링의 타측이 장력조절로드에 걸려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축의 타측에는 손잡이 클램프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 일부가 상기 당김가이드캠에 맞닿도록 구성함으로써,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셔틀콕 공급부에서 순차적으로 낙하 되는 셔틀콕이 받침판에 설치된 셔틀콕 드로잉부를 통해 전방의 상하, 좌우 반복하여 셔틀콕을 날려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지만 반복되게 설정된 방향으로 셔틀콕을 날려 보냄으로 혼자서도 타구자세, 타이밍, 타점, 스텝 등을 연습하여 교정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임의로 원하는 방향과 각도 등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특정한 연습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셔틀콕을 연속해서 순차적으로 공급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임의의 각도와 방향 및 속도를 조절하여 혼자서도 다양한 연습 및 교정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제어장치를 통하여 셔틀콕을 한 개씩 분리하여 정확한 위치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급되는 셔틀콕을 회전하는 한 쌍의 모터와 로울러에 의해 셔틀콕의 헤드 부분을 소정의 속도와 각도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셔틀콕을 소정의 방향으로 공급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있어서,
본체에 설치한 모터에 감속기를 연결하고, 상기 감속기에서 타이밍 풀리와 회전캠을 설치하여 회전캠에서 이송 안내대를 상하이송 안내축이 관통하는 상하 이송대를 연결하며, 상기 타이밍 풀리와 연결한 타이밍 풀리에 타이밍 벨트를 연결하여 타이밍 풀리의 일측으로 설치한 작동캠으로 구동하는 이동가이드대에 연결된 가이드 로울러를 갖는 가이드대에 좌우이송 안내축이 연결되어 상하 이송대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좌우이송 안내축의 좌측에 연결된 집게 홀더에 설치한 집게의 상측으로 셔틀콕 보관대를 연결한 공급홀더로 이루어진 공급장치와;
상기 감속기의 상측에 설치된 고정 플레이트의 좌측에 연결된 모터 고정대에 회전모터와 공급 로울러를 설치하여 셔틀콕을 공급하는 발사장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셔틀콕을 연속해서 순차적으로 공급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임의의 각도와 방향 및 속도를 조절하여 소정의 공간에서 혼자서도 다양한 연습 및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제어장치를 통하여 셔틀콕을 한 개씩 분리하여 정확한 위치에 연속해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연속된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 혼자서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급되는 셔틀콕을 회전하는 한 쌍의 모터 상측으로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로울러에 의해 셔틀콕의 헤드 부분을 소정의 속도와 각도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공급속도와 각도의 조절에 따라서 다양한 상황에 따른 연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살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정면도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높이를 제공하는 받침대(55)의 하측으로 삼각대(56)를 설치하여 이동 및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받침대(55)의 상측으로 회전각도와 공급방향 및 높이를 결정하는 조절장치(50)의 상측으로 콕 배출구(60a)를 형성한 양쪽에 측면판(37)을 설치하고, 상기 측면판(37)의 상측으로 셔틀콕 보관대(31a)를 설치하여 셔틀콕(60)이 적층되어 하나씩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도 2에 대한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 2에 대한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도 2에 대한 정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도 2에 대한 작동상태 정면, 도 6a, 6b, 6c는 본 발명의 집게에 대한 작동상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조절장치(50)의 상측으로 연결된 본체(11)에는 하나의 모터(12)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제공하여 셔틀콕(60)을 분리 및 공급하는 제어장치(10)와;
상기 제어장치(10)의 집게(33)에 셔틀콕(60)이 하나씩 공급될 수 있도록 적층하여 공급하는 공급장치(30)와;
상기 제어장치(10)에서 공급되는 셔틀콕(60)을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소정의 거리에 공급하는 발사장치(4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어장치(10)는 본체(11)에 설치한 모터(12)에 감속기(13)를 설치하였고, 상기 감속기(13)에 동력을 공급하는 타이밍 풀리(14)를 연결하며, 상기 타이밍 풀리(14)에는 회전캠(19)을 연결한다.
상기 회전캠(19)의 한 부분에는 이송 안내대(20)를 연결하여 상측에 있는 상하 이송대(22)에 연결함으로써 상하 이송대(22)가 상하이송 안내축(21)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직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 타이밍 풀리(14)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타이밍 풀리(16)를 하나 더 설치하여 타이밀 벨트(15)로 연결하며, 타이밍 풀리(16)의 일측에는 작동캠(17)을 연결한다.
상기 작동캠(17)의 한쪽 면에는 캠 안내홀(17a)이 형성되어 있고, 캠 안내홀(17a)에는 이동핀(16a)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핀(16a)은 이동 가이드대(26)의 하측 한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동 가이드대(26)는 가이드핀(27)에 의해 중앙의 우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이동 가이드대(26)의 내부에는 가이드 로울러(25)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로울러(25)는 가이드대(24)에 연결되어 있으며, 가이드대(24)에는 가로방향으로 좌우이송 안내축(23)이 설치되어 상하 이송대(22)를 가로방향으로 관통되는 것이다.
상기 공급장치(30)는 좌우이송 안내축(23)의 좌측으로 집게 홀더(32)를 연결하고, 상기 집게 홀더(32)의 상측에 집게(3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집게(33)는 셔틀콕(60)을 물어 고정하거나 공급하는 단속판(34)이 양쪽 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의 중앙에서 스프링(38)으로 탄성 지지가 되도록 하고, 우측으로 작동부(35)를 설치한 후 상,하측의 양쪽에 안내 로울러(36, 36a)를 설치하여 집게(33)의 작동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집게(33)의 상측에는 공급홀더(31)를 설치하여 셔틀콕 보관대(31a)가 연결되어 셔틀콕(60)이 직립되게 보관되어 공급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발사장치(40)는 감속기(13)의 상측으로 고정 플레이트(18)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18)의 좌측방향으로 모터 고정대(42)를 연결하여 하측으로 회전모터(41)가 설치되며 상측으로 공급 로울러(43)가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모터(41)와 공급 로울러(43)는 중앙에 셔틀콕(60)이 공급될 수 있는 공간을 두고 양쪽에 한 쌍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셔틀콕(60)은 전방의 콕 배출구(60a)를 통하여 전방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조절장치(50)는 본체(11)의 하측으로 높이 조절대(54)를 설치하고, 상기 높이 조절대(54)의 상측에 설치한 각도 조절대(53)의 도면상 우측방향에서 상측으로 회전 연결구(52)를 축(51)에 연결하며, 상기 축(51)은 양족의 측면판(37)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도 조절대(53)의 하측에는 높이 조절대(54)가 받침대(5)의 내부에 설치되어 높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 본체(11)의 양쪽에는 측면판(37)이 설치되어 내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셔틀콕 보관대(31a)에 셔틀콕(60)을 적층 공급하여 저장하되, 공급홀더(31)에 연결하여 셔틀콕(60)의 헤드가 하측 방향을 향하여 공급상태가 된다.
조절장치(50)의 하측으로 받침대(55)를 연결하고 삼각대(54)에 의해 지지하면서 높이 조절대(54)를 통하여 필요한 높이로 조절하여 설치하며, 높이 조절대(54)의 상측에 설치한 각도 조절대(53)는 회전 연결구(52)를 통해 축(5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에 의해 공급각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셔틀콕(60)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 및 설정을 완료한 후에는 모터(12)를 구동시키면 감속기(13)를 통하여 모터(12)의 구동력이 감속되어 타이밍 풀리(14)에 공급된다.
타이밍 풀리(14)에 공급된 동력은 두 갈래로 분리되어 공급되는 것으로, 하나는 회전캠(19)을 통하여 공급되고, 다른 하나는 타이밍 벨트(15)를 통하여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캠(19)을 통하여 공급되는 동력은 이송 안내대(20)에 의하여 상하 이송대(2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캠(19)의 회전을 따라서 이송 안내대(20)를 통해 도 5a와 같이 상하 이송대(22)가 상하이송 안내축(21)을 따라 상승한 후 다시 도 5b와 같이 하강하게 되며, 도 5c와 같이 더 하강한 후 다시 상승하는 과정을 거 치게 된다.
그리고 회전캠(19)의 회전과 동시에 타이밍 벨트(15)를 통하여 회전하는 타이밍 풀리(16)와 함께 작동캠(17)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작동캠(17)이 회전하면서 내부의 캠 안내홀(17a)에 이동핀(26a)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도 5a와 같은 상태에서는 가이드핀(27)을 중심으로 이동 가이드대(26)가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이동 가이드대(26)의 상측 끝 부분에 가이드 로울러(25)가 이동된 상태가 되면서 좌우이송 안내축(23)은 좌측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를 제공하게 되며, 도 5a의 상태는 도 6a의 상태와 같이 상하 이송대(22)가 이송 안내대(20)에 의해 상승된 상태가 된다.
상하 이송대(22)가 상승한 후 작동캠(17)의 구동으로 이동핀(26a)의 위치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이송 안내축(23)이 정지된 상하 이송대(22)를 관통하여 좌측으로 이동하며 안내 로울러(36)의 사이에 작동부(35)가 걸리면서 단속판(34)이 벌어져 셔틀콕(60)의 헤드를 감싸게 되고, 좌우이송 안내축(23)이 더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부(35)가 안내 로울러(36)에서 분리되며 스프링(38)의 탄성력으로 집게(33)의 단속판(34)은 원상태로 오므라들어 셔틀콕(60)의 헤드를 감싸 고정하게 된다.
집게(33)가 이동하여 단속판(34)의 내부에 셔틀콕(60)의 헤드를 고정한 후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이송대(22)는 상하이송 안내축(21)을 통하여 이송 안내대(20)의 구동으로 수직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 상하 이송대(22)가 수직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이동 가이드대(26)가 작동캠(17)의 구동으로 경사각도가 서서히 완만해 지면서 좌우이송 안내축(23)은 우측으로 이동하여 도 5b 및 8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하강한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이송대(22)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하 이송대(22)를 더 하강시켜 이동하면 작동캠(17)의 구동으로 이동 가이드대(26)에 연결된 가이드 로울러(25)를 통하여 좌우이송 안내축(21)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게(33)의 작동부(35)가 안내로울러(36a)의 사이를 통과하게 되므로 좌측의 단속판(34)을 벌리게 되는 것이다.
단속판(34)을 벌리게 되면 셔틀콕(60)의 헤드가 회전모터(41)의 상측에 설치한 공급 로울러(43)의 사이에 공급되는 것이다.
동시에 작동캠(17)의 구동으로 이동 가이드대(26) 구동하여 직립되게 세워지면서 좌우이송 안내축(23)이 좌측으로 더 이동하면서 작동부(35)가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로울러(36a)를 이탈하게 된다.
작동부(35)가 안내 로울러(36a)를 이탈하면서 스프링(38)의 탄성력으로 단속판(34)은 다시 오므라들게 되며, 동시에 회전캠(19)의 구동으로 이송 안내대(20)가 상하 이송대(22)를 상승시켜 도 7b와 같은 상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집게(33)에 의해 셔틀콕(60)이 공급 로울러(43)의 사이에 공급되는 동시에 회전모터(41)의 구동력으로 공급 로울러(43)는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게 되므로 셔틀콕(60)의 헤드가 공급 로울러(43)의 회전력으로 전방을 향하여 발사하므로 셔틀콕(60)을 공급하는 것이다.
공급되는 셔틀콕(60)은 전방의 콘 배출구(60a)에서 전방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장치(10)는 하나의 모터(12)에서 제공하는 동력을 사용하여 회전캠(19)과 작동캠(17)으로 분리 공급하고, 양쪽에서 각각의 동작을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모터(12)를 통하여 제품의 중량을 크게 줄여 혼자서도 연습장소에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설치하고 사용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셔틀콕(60)은 조절장치(50)를 통하여 각도조절 및 제어장치(10)와 공급장치(30) 및 발사장치(40)의 속도를 조절하여 셔틀콕(60)의 공급방향과 속도 및 공급 주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형태를 가정하여 혼자서도 편리하게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형으로 매우 가볍고 설치와 해체가 간편하여 혼자서도 이동에 의한 사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며, 셔틀콕의 공급각도와 방향 등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연습자의 상황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도 2에 대한 좌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도 2에 대한 평면도
도 5a 는 본 발명의 도 2에 대한 정면도
도 5b 는 본 발명의 도 2에 대한 작동상태 정면도
도 6a 는 본 발명의 집게에 대한 작동상태 평면도
도 6b 는 본 발명의 집게에 대한 작동상태 평면도
도 6c 는 본 발명의 집게에 대한 작동상태 평면도
도 7a 는본 발명의 도 2에 대한 작동상태 정면도
도 7b 는 본 발명의 도 2에 대한 작동상태 정면도
도 9a 는 본 발명의 집게에 대한 발사장치에서 작동상태 평면도
도 9b 는 본 발명의 집게에 대한 발사장치에서 작동상태 평면도
도 9c 는 본 발명의 집게에 대한 발사장치에서 작동상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장치 11 : 본체
12 : 모터 13 : 감속기
14, 16 : 타이밍풀리 15 : 타이밍벨트
17 : 작동캠 17a : 캠 안내홀
18 : 고정 플레이트 19 : 회전캠
20 : 이송 안내대 21 : 상하이송 안내축
22 : 상하 이송대 23 : 좌우이송 안내축
24 : 가이드대 25 : 가이드 로울러
26 : 이송 가이드대 26a : 이동핀
27 : 가이드핀 30 : 공급장치
31 : 공급홀더 31a : 셔틀콕 보관대
32 : 집게 홀더 33 : 집게
34 : 단속판 35 : 작동부
36, 36a : 안내 로울러 37 : 측면판
38 : 스프링 40 : 발사장치
41 : 회전모터 42 : 모터 고정대
43 : 공급 로울러 50 : 조절장치
51 : 축 52 : 회전 연결구
53 : 각도 조절대 54 : 높이 조절대
55 : 받침대 60 : 셔틀콕
60a : 콕 배출구

Claims (8)

  1. 셔틀콕(60)을 소정의 방향으로 공급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있어서,
    본체(11)에 설치한 모터(12)에 감속기(13)를 연결하고, 상기 감속기(13)에서 타이밍 풀리(14)와 회전캠(19)을 설치하여 회전캠(19)에서 이송 안내대(20)를 상하이송 안내축(21)이 관통하는 상하 이송대(22)를 연결하며, 상기 타이밍 풀리(14)와 연결한 타이밍 풀리(16)에 타이밍 벨트(15)를 연결하여 타이밍 풀리(16)의 일측으로 설치한 작동캠(17)으로 구동하는 이동가이드대(26)에 연결된 가이드 로울러(25)를 갖는 가이드대(24)에 좌우이송 안내축(23)이 연결되어 상하 이송대(22)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제어장치(10)와;
    상기 좌우이송 안내축(21)의 좌측에 연결된 집게 홀더(32)에 설치한 집게(33)의 상측으로 셔틀콕 보관대(31a)를 연결한 공급홀더(31)로 이루어진 공급장치(30)와;
    상기 감속기(13)의 상측에 설치된 고정 플레이트(18)의 좌측에 연결된 모터 고정대(42)에 회전모터(41)와 공급 로울러(43)를 설치하여 셔틀콕(60)을 공급하는 발사장치(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작동캠(17)에는 캠 안내홀(17a)이 형성되어 이동 가이드대(26)의 이동핀(26a)이 연결되어 좌우이송 안내축(23)의 이동을 제어함을 특징으 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이동 가이드대(26)는 우측 중앙에 가이드핀(27)을 연결하고 가이드 로울러(25)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좌우이송 안내축(23)은 우측의 가이드대(24)에 가이드 로울러(25)를 연결하고 상하 이송대(22)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공급장치(30)는 집게(33)의 사이에 안내 로울러(36, 36a)를 더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집게(33)는 셔틀콕(60)의 헤드를 고정하는 단속판(34)의 우측으로 작동 부(35)를 형성하고, 상기 단속판(34)의 사이에 스프링(38)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발사장치(40)는 한 쌍의 회전모터(41)에 공급 로울러(43)가 설치되고, 모터 고정대(42)를 통하여 고정 플레이트(18)에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감속기(13)를 설치한 본체(11)의 하측으로 각도 회전축(52)을 형성한 각도 조절대(51)의 하측으로 회전 제어체(55)를 설치한 회전장치(50)를 더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20090106852A 2009-11-06 2009-11-06 배드민턴 연습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43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852A KR100943462B1 (ko) 2009-11-06 2009-11-06 배드민턴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852A KR100943462B1 (ko) 2009-11-06 2009-11-06 배드민턴 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3462B1 true KR100943462B1 (ko) 2010-02-22

Family

ID=42083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85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43462B1 (ko) 2009-11-06 2009-11-06 배드민턴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46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544B1 (ko) 2011-01-03 2013-06-17 오석균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292661B1 (ko) 2012-04-03 2013-08-02 김창식 셔틀콕 발사기
KR101387425B1 (ko) 2012-06-14 2014-05-30 주식회사 다산실업 배드민턴 볼의 송구장치
KR101434251B1 (ko) 2014-05-27 2014-08-27 이상수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CN106310633A (zh) * 2016-08-30 2017-01-11 上海交通大学 可准确调节发球角度的羽毛球发球装置
KR101731052B1 (ko) * 2016-03-03 2017-04-27 김창식 배드민턴 연습장치
CN107149760A (zh) * 2017-06-01 2017-09-12 山西大同大学 一种羽毛球练习发球装置
CN109675288A (zh) * 2019-01-17 2019-04-26 许昌学院 一种羽毛球自动发球器
CN111282236A (zh) * 2018-12-06 2020-06-16 季晨 发球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6075A (ja) * 1988-03-16 1989-09-20 Atsunobu Tsujimoto 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コック自動発射装置
JPH07163694A (ja) * 1993-12-10 1995-06-27 World Denshi Sangyo Kk バトミントン練習機
KR100708406B1 (ko) 2006-10-25 2007-04-18 유종 배드민턴 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6075A (ja) * 1988-03-16 1989-09-20 Atsunobu Tsujimoto 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コック自動発射装置
JPH07163694A (ja) * 1993-12-10 1995-06-27 World Denshi Sangyo Kk バトミントン練習機
KR100708406B1 (ko) 2006-10-25 2007-04-18 유종 배드민턴 연습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544B1 (ko) 2011-01-03 2013-06-17 오석균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292661B1 (ko) 2012-04-03 2013-08-02 김창식 셔틀콕 발사기
KR101387425B1 (ko) 2012-06-14 2014-05-30 주식회사 다산실업 배드민턴 볼의 송구장치
KR101434251B1 (ko) 2014-05-27 2014-08-27 이상수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KR101731052B1 (ko) * 2016-03-03 2017-04-27 김창식 배드민턴 연습장치
WO2017150797A1 (ko) * 2016-03-03 2017-09-08 김창식 배드민턴 연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310633A (zh) * 2016-08-30 2017-01-11 上海交通大学 可准确调节发球角度的羽毛球发球装置
CN107149760A (zh) * 2017-06-01 2017-09-12 山西大同大学 一种羽毛球练习发球装置
CN111282236A (zh) * 2018-12-06 2020-06-16 季晨 发球装置
CN109675288A (zh) * 2019-01-17 2019-04-26 许昌学院 一种羽毛球自动发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462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434251B1 (ko)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KR100708406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0915299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4122822A (en) Spring type apparatus for the projecting of footballs and the like
KR101731052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915052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9448031B2 (en) Shuttlecock launch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20006167A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110044364A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110099550A (ko) 셔틀콕 자동 발사기
KR101151005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150146137A (ko) 공 자동 발사 장치
WO1992022359A1 (en) Putting and chipping golf stroke apparatus
KR20120127891A (ko) 슈팅 놀이기구
KR200470337Y1 (ko) 초보자를 위한 테니스 서브 연습기
KR101420085B1 (ko) 다양한 속도와 높이 및 방향으로 공의 공급이 가능한 테니스 연습기
KR200306604Y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256835B1 (ko) 골프연습용 골프공 자동공급기
WO2016174484A2 (en) Ball serving apparatus
CN112999631B (zh) 一种羽毛球辅助训练装置及其训练系统
KR100996303B1 (ko) 골프 연습장치
GB2518362A (en) New UK Patent Application in the name of Paul J Gainford "Ball Curler"
KR101111463B1 (ko) 스윙 연습용 토싱머신.
KR102299929B1 (ko) 퍼팅연습기용 골프공 리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