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43457B1 - Mooring system for drillship and drillship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oring system for drillship and drillship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457B1
KR100943457B1 KR1020080099522A KR20080099522A KR100943457B1 KR 100943457 B1 KR100943457 B1 KR 100943457B1 KR 1020080099522 A KR1020080099522 A KR 1020080099522A KR 20080099522 A KR20080099522 A KR 20080099522A KR 100943457 B1 KR100943457 B1 KR 100943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ret
drilling
mooring
door pool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5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호현
안영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9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45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457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1/507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with mooring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2003/147Moon-pools, e.g. for offshore drilling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갑판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원기둥형의 문풀이 설치된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추선에 관한 것으로서,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에는 문풀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의 터릿과, 일측이 터릿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계류삭과, 복수의 계류삭의 타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앵커와, 시추선의 흘수선 아래 부분에 설치되는 복수의 전방위 추진기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에 의해, 시추작업 중 시추선이 환경하중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정위치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 신속히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lling vessel mooring system installed with a cylindrical door pool vertically downward from an upper deck, and a drilling vessel using the same. The drilling vessel mooring system includes a cylindrical turret rotatably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door pool, and one side. A plurality of mooring lines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turret, a plurality of anchors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mooring lines, and a plurality of omnidirectional propellers provided below the waterline of the drilling line are included. By the mooring system for a drill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lling vessel can freely rotate in the direction of reducing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load during drilling, and can quickly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it is out of position.

Description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추선{MOORING SYSTEM FOR DRILLSHIP AND DRILLSHIP USING THE SAME}MOORING SYSTEM FOR DRILLSHIP AND DRILLSHIP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추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추작업 중 시추선이 환경하중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정위치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 신속히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한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추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oring system for a drilling vessel and a drilling vessel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he drilling vessel can freely rotate in a direction of reducing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load during drilling, and quickly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it is out of position. It relates to a mooring system for a drilling ship so that it can be made and a drilling ship using the same.

접근이 용이한 지역의 원유 및 가스가 고갈되어 감에 따라, 추크치해(Chukchi海), 보퍼트해(Beaufort海) 등 다량의 원유가 매장된 북극해에 대한 시추 및 탐사가 활발해지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As the oil and gas in the accessible regions are depleted, drilling and exploration in the Arctic Ocean, where the bulk of the crude oil is buried, such as the Chukchi and Beaufort seas, has become more active.

그런데, 북극해와 같은 극지에 고정식 원유 및 천연가스 시추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고정식 시추설비가 유빙과 충돌하여 파손되거나, 동절기에 해수의 동결에 의한 빙하중(氷荷重, Ice Load)의 증가로 고정식 시추설비 지지부가 좌굴(挫屈)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극지에서는 고정식 시추설비를 사용하는 것이 부적절하다.However, when fixed oil and natural gas drilling facilities are installed in the polar regions such as the Arctic Ocean, the fixed drilling equipment collides with drift ice and is damaged or is fixed due to an increase in ice load due to freezing of sea water in winter. Problems such as buckling of the drilling rig support part occur. Therefore, in the polar it is inappropriate to use a fixed drilling equipment.

또한, 하나의 시추공에서 채굴할 수 있는 원유의 양이 많지 않은 소규모의 해상 유정에 고정식 시추설비를 설치하는 것은 비경제적이므로, 시추장비를 장착한 시추선(Drillship)과 같은 부유식 시추설비의 사용이 크게 증가되었다. 그리고, 원유 채굴부터 저장과 하역 등이 자체적으로 가능하고 이동이 자유로운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 Offloading)의 건조 및 사용도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In addition, it is uneconomical to install a fixed drilling rig in a small offshore well where there is not much crude oil to be mined from a single borehole. Therefore, the use of floating drilling rigs such as drilling ships equipped with drilling rigs Greatly increased. In addition, the drying and use of 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 Offloading), which can be stored and unloaded on its own, and which is free to move, is increasing.

그런데, 시추선 및 FPSO는 부유식 설비이므로, 바람, 파도 및 조류 등에 의한 환경하중(Environmental Loads)에 의해 일정한 위치에 정지해 있기 어렵다. 따라서, 원유 또는 가스를 시추 또는 채굴하는 동안 시추선 및 FPSO가 소정의 범위 내에 머물러 있도록 계류 시스템(Mooring System)을 사용하게 된다.However, since the drilling vessel and the FPSO are floating equipment, it is difficult to stop at a predetermined position due to environmental loads caused by wind, waves, and tides. Thus, a mooring system is used to keep the drilling vessel and FPSO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hile drilling or mining crude oil or ga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의한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drawings, the mooring system for a drilling ship by a prior art is demonstrated.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시추선이 도시되어 있다.1 shows a drill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의한 시추선(100)에는 상부갑판(109)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관통하는 형상의 개방부인 문풀(110)이 설치된다. 문풀(110) 위에는 시추용 파이프를 이동하여 아래로 내리는 작업을 하는 드릴 플로어(Drill Floor, 123)가 복수의 지지대(125)에 의해 설치되며, 드릴 플로어(123) 위에는 큰 하중에 견디는 구조물인 유정탑(Derrick, 121)이 설치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drilling line 1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provided with a door pull 110, which is an opening of a shape penetrat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upper deck 109. On the door pool 110, a drill floor (Drill Floor, 123) for moving down the drilling pipe to move down is installed by a plurality of supports 125, an oil well which is a structure that withstands a large load on the drill floor (123) Tower (Derrick, 121) is installed.

시추선(100)은 문풀(110)을 통하여 드릴 파이프(Drill Pipe, 도시되지 않음), 라이저(Riser, 127) 등을 해저면으로 내려 보내 시추 또는 원유 및 가스의 채굴 을 행한다.The drilling line 100 sends drill pipes (not shown) and risers 127 through the door pool 110 to the sea floor to drill or mine oil and gas.

시추선(100)의 아래 부분에는 복수의 전방위 추진기(Azimuth Thruster, 150)가 설치되는데, 이에 관하여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 plurality of omnidirectional propellers (Azimuth Thrusters, 150) are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drilling vessel 100,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의한 시추선(100)이 원유 또는 가스를 채굴하는 모습이 간략히 도시되어 있다. 단, 도 2에서는 라이저(127)가 상당히 많이 휘어진 모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후술할 θ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휘어진 정도를 과장하여 표현한 것임을 밝힌다.Figure 2 is a simplified view of the drilling vessel 1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shown in Figure 1 mining crude oil or gas. In FIG. 2, the riser 127 is shown to be bent quite a lot, but this shows that the degree of bending is exaggerated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about θ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를 참조하면, 전방위 추진기(150)는 시추선(100)과 해수면(3)이 만나는 선인 흘수선(吃水線, Draft) 아래 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문풀(110)을 통하여 유정탑(121)으로부터 해저면(1)까지 라이저(127)가 설치되어 있다. θ는 가상의 수직선과 라이저(127)가 이루는 각도이다. 따라서, 시추선(100)이 정위치에 있을 때 θ는 0도이다.Referring to FIG. 2, the omnidirectional thruster 150 is installed below a draft line, which is a line where the drilling line 100 and the sea level 3 meet, and from the derrick 121 through the door pool 110. The riser 127 is provided to the sea bottom 1. θ is an angle between the virtual vertical line and the riser 127. Therefore, θ is 0 degrees when the drilling line 100 is in the home position.

그런데, 시추선(100)에는 앞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바람, 파도 및 조류 등에 의한 환경하중이 가해지므로, 시추선(100)이 정위치에서 벗어나게 될 수 있다. 시추선(100)이 정위치에서 벗어나 멀어질수록 θ는 점차 증가된다.However,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environmental loads are applied to the drilling vessel 100 by wind, waves, and tidal currents, the drilling vessel 100 may be out of position. Θ gradually increases as the drilling line 100 moves away from the home position.

현재 일반적으로 θ가 0도 내지 5도의 범위 내에 있을 때에는 라이저(127)를 이용한 작업에 큰 지장을 받지 않으나, θ가 5도 내지 8도의 범위에 이르면 라이저(127)를 이용한 작업을 중단해야 한다. 시추선(100)이 정위치에서 더욱 멀어져서 θ가 10도 정도에 이르면 라이저(127)가 파손된다.Currently, when θ is in the range of 0 degrees to 5 degrees, the work using the riser 127 is not largely interrupted, but when θ reaches the range of 5 degrees to 8 degrees, the work using the riser 127 should be stopped. When the drilling line 100 is further away from the home position and θ reaches about 10 degrees, the riser 127 is broken.

따라서, 시추선(100)이 정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는 경우, 전방위 추진기(150) 를 작동시켜 시추선(100)을 정위치로 이동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런데 전방위 추진기(150)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많은 에너지가 과다하게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drilling line 100 is out of position, a method of moving the drilling line 100 to the right position by operating the omnidirectional propeller 150 is used.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lot of energy is excessively consumed by using the omnidirectional propeller 150 continuously.

이러한 에너지의 과다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계류삭(繫留索, 도시되지 않음) 및 앵커(Anchor, 도시되지 않음)로 선체를 해저면(1)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사용되는데,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order to prevent this excessive consumption of energy, a method of securing the hull to the sea bottom 1 with a number of mooring lines (not shown) and anchors (not shown) is used, which is shown in FIG.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3.

도 3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의한 시추선을 다수의 계류삭으로 계류시킨 모습이 간략히 도시되어 있다.Figure 3 is a simplified view showing the mooring of the drill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ior art shown in Figures 1 and 2 with a plurality of mooring lines.

도 3을 참조하면, 시추선(100)의 여러 부위에 일단부가 각각 설치된 다수의 계류삭(170)이 방사상으로 펼쳐져 있다. 다수의 계류삭(170)의 각각의 타단부에는 해저면(도 2의 1)에 고정되는 앵커(도시되지 않음)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시추선(100)은 다수의 계류삭(170)에 의해 고정되어 해수면(도 2의 3) 상에서 표류하지 않게 된다.Referring to FIG. 3, a plurality of mooring lines 170, one end of each of which is installed at various portions of the drilling line 100, are radially unfolded. At each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mooring lines 170, anchors (not shown) fixed to the sea bottom (1 in FIG. 2) are provided. Thus, the drilling line 100 is fixed by a plurality of mooring lines 170 so as not to drift on the sea level (3 in FIG. 2).

그런데, 시추선(100)에 환경하중이 가해지면 선수(船首)부(101)가 환경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을 향하게 되는 웨더배닝(Weathervaning) 효과가 일어나게 되는데, 시추선(100)이 계류삭(170)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시추선(100)에는 환경하중에 의한 영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된다. 즉, 시추선(100)이 흔들리거나, 지속적인 환경하중에 의한 시추선(100)의 피로부식(Fatigue Corrosion) 현상 등이 발생된다. 피로부식이 발생되면 차차 입내균열(Transgranula Corrosion Breaking)이 진행되어 시추선(100)의 수명이 단축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when an environmental load is applied to the drilling vessel 100, a weathervaning effect occurs in which the bow portion 101 fac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vironmental load is applied, and the drilling vessel 100 is mooring line 170. Since it is fixed by, the drilling ship 100 is continuously affected by the environmental load. That is, the drilling line 100 is shaken, or fatigue corrosion (Fatigue Corrosion) phenomenon of the drilling line 100 due to the continuous environmental load occurs. When fatigue corrosion occur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life of the drilling vessel 100 is shortened by gradually progressing the intragranular cracking (Transgranula Corrosion Breaking).

환경하중이 시추선(100)에 강하게 작용되는 경우에는 웨더배닝 효과에 의해 시추선(100)의 회전력이 다수의 계류삭(170) 중 특정 방향의 계류삭(170)에 집중되어 계류삭(170)이 파단 될 수 있다. 따라서, 계류삭(170)의 파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장강도가 높은 계류삭(170), 즉 치수가 큰 계류삭(170)을 사용하게 되어, 계류삭(170)의 하중이 증가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계류삭(170)이 파단 될 경우를 대비하여 여분의 계류삭(170) 및 앵커(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해야 하므로, 시추 또는 석유 및 가스의 채굴을 마친 후 시추선(100)을 이동시킬 때 앵커(도시되지 않음)를 회수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는 단점도 있다.When the environmental load is strongly applied to the drilling line 100,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lling line 100 is concentrated on the mooring line 170 in a specific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mooring lines 170 due to the weathering effect. Can be broken.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breaking of the mooring line 170, the mooring line 170 having a high tensile strength, that is, the mooring line 170 having a large dimension is used, and thus the load of the mooring line 170 is increased. . In addition, in case the mooring line 170 is broken, an extra mooring line 170 and an anchor (not shown) should be installed, so that the drilling line 100 may be moved after the drilling or oil and gas is completed. Another disadvantage is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retrieve the anchor (not shown).

한편, 앞에서 언급한 웨더배닝 효과를 이용하면 시추선(100)에 가해지는 환경하중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추선(100)에 환경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방위 추진기(150)를 이용하여 선수부(101)가 환경하중의 방향을 향하도록 시추선(100)을 회전시킨다. 이때, 시추선(10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θ가 5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전방위 추진기(150)를 정밀하게 제어해야 한다.On the other hand, by using the aforementioned weather vaning effect can minimize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load applied to the drilling vessel (100). Therefore, when an environmental load is applied to the drilling line 100, the drilling line 100 is rotated so that the bow portion 101 faces the environmental load by using the omnidirectional propeller 150 shown in FIGS. 1 and 2.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drilling line 100, the omnidirectional propeller 150 must be precisely controlled so that θ does not exceed 5 degrees.

그런데, 웨더배닝 효과를 이용하면서 동시에 시추선(100)을 정위치 범위 내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전방위 추진기(150)를 지속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므로,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By the way, in order to use the weathering effect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maintain the drilling line 100 in the in-situ rang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use the omnidirectional propeller 150,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lot of energy is consumed.

한편, 앞에서 언급한 북극해는 수심이 30 내지 500 미터인 천수역이 대부분이다. 시추선(100)이 정위치에서 같은 거리를 벗어나더라도 수심이 얕을수록 라이저(127)와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도 2의 θ)가 증가되므로, 천수역에서는 시추 선(100)의 정위치를 유지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북극해에서는 유빙 및 빙하중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웨더배닝 효과를 최대한 이용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aforementioned Arctic Ocean is mostly shallow water with a depth of 30 to 500 meters. Even if the drilling line 100 deviates from the same distance from the home position, the shallower the depth of the riser 127 and the vertical line (θ of FIG. 2) increases, the more the shallower the depth of the drilling line 100 is maintained. It is very important to let them. And in the Arctic Ocean, we need to make the most of the weather banning effect to minimize the effects of drift ice and glacie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추작업 중 시추선이 환경하중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시추선이 정위치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 신속히 원위치로 복귀시켜 시추선이 정위치의 범위 내에서 효과적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추선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drilling line can be rotated free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reducing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al load during drilling, the drilling line is out of position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oring system for a drilling vessel and a drilling vessel using the same, so that the vessel can be quickly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so that the drilling vessel can be effectively maintained within a range of a fixed posi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추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동시에 복수의 시추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추선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oring system for a drilling vessel that can perform a plurality of drilling operations at the same tim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drilling operation, and a drilling vess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추선이 시추 또는 채굴 작업을 마친 후 다른 장소로 이동할 때에 복수의 앵커들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하여 시추선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추선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oring system for a drilling vessel and a drilling vessel using the same, which can improve the mobility of the drilling vessel by easily collecting a plurality of anchors when the drilling vessel moves to another place after the drilling or mining operation is completed. It i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 갑판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문풀이 설치된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으로서, 문풀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의 터릿과, 일측이 터릿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계류삭과, 복수의 계류삭의 타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앵커와, 시추선의 흘수선 아래 부분에 설치되는 복수의 전방위 추진기를 포함하는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추선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oring system for a drilling vessel provided with a door pool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upper deck, a cylindrical turret installed rotatably in a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door pool, one side is A mooring system for a drilling vessel comprising a plurality of mooring lines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turret, a plurality of anchors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mooring lines, and a plurality of omnidirectional propellers installed below the waterline of the drilling line, and a drilling line using the same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부 갑판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사각기둥형의 문풀이 설치된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으로서, 문풀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반원기둥형의 터릿 지지부와, 터릿 지지부 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원통형의 터릿과, 일측이 터릿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계류삭과, 복수의 계류삭의 타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앵커와 시추선의 흘수선 아래 부분에 설치되는 복수의 전방위 추진기를 포함하되, 터릿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터릿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의 개방부가 형성되는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추선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oring system for a drilling vessel provided with a square columnar door pool vertically downward from an upper deck, having a semi-cylindrical turret support formed vertically inside the door pool, and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turret support part. Semi-cylindrical turrets rotatably installed, a plurality of mooring lines each having one side mounted to the turret, a plurality of anchors provided at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mooring lines, and a plurality of omnidirectional propellers installed below the waterline of the drilling line Including, but the turret is provided with a mooring system for the drilling vessel i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turret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and the drilling line using the same.

이때, 터릿 및 문풀에 설치되고, 복수의 계류삭을 안내하는 복수의 도삭기와, 복수의 도삭기에 의해 각각 안내된 복수의 계류삭이 각각 연결되고, 상부 갑판 또는 문풀 또는 터릿에 설치되는 복수의 계류삭 견인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mooring lines installed in the turret and the door pool, and guided by a plurality of mooring lines, and a plurality of mooring lines respectively guided by the plurality of mowers, are respectively connected, and a plurality of moorings installed in the upper deck or door pool or turret. Sock traction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복수의 앵커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부표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buoy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anchors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추선은 시추선을 자유롭게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면서도 시추선이 정위치를 벗어날 경우 신 속하게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웨더배닝 효과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면서 천수역 및 북극해와 같이 높은 수준의 동적 위치유지(Dynamic Positioning)를 요구하는 장소에서도 시추 및 채굴이 가능하다.The mooring system for the drilling vessel and the drilling vessel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otate the drilling vessel free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quickly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drilling vessel is out of position, thereby effectively utilizing the weatherbanning effect. Drilling and mining is possible even in locations that require high levels of dynamic positioning, such as the Arctic Ocea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추선은 부표를 이용하여 앵커 및 계류삭의 회수가 용이하다.In addition, the mooring system for a drilling vessel and the drilling vessel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recover the anchor and mooring line using a buo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 변형예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형상이 거의 유사하고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components having substantially similar shapes and the same functions, and repeat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추선이 도시되어 있다.4 shows a mooring system for a drilling vessel and a drilling vessel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추선(200)에는 터릿(230), 계류삭(271), 앵커(273) 및 전방위 추진기(250)가 포함되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4, the mooring system for a drilling vessel and the drilling vessel 200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turret 230, a mooring line 271, an anchor 273, and an omnidirectional thruster 250. Th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시추선(200)에는 상부갑판(209)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관통하는 형상의 개방부인 문풀(210)이 설치된다. 문풀(210) 주위의 상부갑판(209)에는 복수의 지지대(204)가 설치되고, 복수의 지지대(204) 위에는 드릴 파이프(도시되지 않음), 라이저(205) 등의 장비를 문풀(210)을 통하여 해저면(1)으로 내려 보내는 작업을 하 는 드릴 플로어(203)가 설치된다. 드릴 플로어(203) 위에는 큰 하중에 견디는 구조물인 유정탑(Derrick, 202)이 설치된다.The drilling vessel 200 is provided with a door pool 210 which is an opening of a shape penetrat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upper deck 209. A plurality of supports 204 are installed on the upper deck 209 around the door pool 210, and equipment such as a drill pipe (not shown) and a riser 205 is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support 204. Drill floor 203 is installed to send the work down to the sea floor (1) through. On the drill floor 203, a derrick 202, which is a structure that withstands a large load, is installed.

문풀(210) 내부에는 원통형의 터릿(230)이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터릿(230)의 회전 중심은 원통형인 터릿(230)의 중심축과 일치한다. 터릿(230)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계류삭(271)의 일측이 설치되어 해저면(1)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펼쳐지는데, 복수의 계류삭(271)의 타단부에는 해저면(1)에 고정되는 앵커(273)가 각각 설치된다.In the door pool 210, a cylindrical turret 230 is rotatably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turret 230 coincides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cylindrical turret 230.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mooring lines 27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turret 230 to be radially unfolded toward the sea bottom 1, which is fixed to the sea bottom 1 at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mooring lines 271. Anchors 273 are provided respectively.

시추선(200)의 흘수선 아래 부분에는 복수의 전방위 추진기(250)가 설치된다. 전방위 추진기(250)는 시추선(20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추진기로, 시추선(200)의 주 추진기(도시되지 않음)와는 별도로 작동시킬 수 있다.A plurality of omnidirectional propellers 250 are installed below the waterline of the drilling vessel 200. The omnidirectional thruster 250 is a thruster installed to rotate free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rilling line 200, and may be operated separately from the main thruster (not shown) of the drilling line 20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추선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ooring system for a drilling vessel and the drilling vessel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perated as follows.

터릿(230)은 해저면(1)에 고정된 복수의 앵커(273)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계류삭(271)에 의해 해수면(3) 상에서 수평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전에 제한을 받게 된다. 이때, 터릿(230)은 시추선(200)에 설치된 문풀(210)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시추선(200)은 터릿(230)을 중심으로 해수면(3) 상에서 회전은 가능하지만 해수면(3)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제한을 받게 된다. 따라서, 시추선(200)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시추선(200)은 라이저(205)가 해저면(1)에 설치된 지점의 수직 상방향 부분에 계류(Mooring)하게 된다.The turret 230 is limited to movement and rot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sea surface 3 by a plurality of mooring lines 271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anchors 273 fixed to the sea bottom surface 1. At this time, since the turret 23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door pool 210 installed in the drilling vessel 200, the drilling vessel 200 can rotate on the sea surface 3 around the turret 230, but the sea surface You will be restricted to move in the (3) direction. Therefore, unless a strong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rilling vessel 200, the drilling vessel 200 is moored at the vertically upward portion of the point where the riser 205 is installed on the sea bottom 1.

따라서, 시추선(200)은, 앞에서 설명했던 웨더배닝 효과에 의해 바람, 파도 및 조류 등에 의한 환경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선수부(201)가 회전되어 환경하중의 영향을 감소시키면서도 해수면(3)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크게 이동되지는 않으므로, 안정적으로 시추 또는 채굴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drilling vessel 200 is rotated along the sea level 3 while the bow portion 201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vironmental load caused by wind, waves, and tides is applied by the weather vaning effect described above. Since it does not move great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 drilling or mining operation in a stable manner.

그런데, 북극해와 같은 극지방에서는 파도, 풍향 및 풍속의 급격한 변화에 의한 환경하중의 변동이 심하지는 않으나, 유빙이 시추선(200)에 충돌하거나 해수가 동결되면서 빙하중이 증가되는 등 급격한 환경하중의 변화가 발생될 수 있다. 환경하중이 급격하게 변동되는 경우에는 환경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의 계류삭(271)에 일시적으로 큰 장력이 가해지므로, 해저면(1)을 파지하고 있던 앵커(273)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계류삭(271)이 파단 될 수 있다. 그리고, 저위도의 해상에서는 태풍과 같은 매우 강한 바람이나 높은 파고의 파도 등에 의해 계류 중인 시추선(200)에 방향이 변동되는 환경하중이 가해질 수 있다.However, in the polar regions such as the Arctic Ocean, the environmental load is not severely changed due to rapid changes in waves,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but a sudden change in environmental load such as ice floes colliding with the drilling vessel 200 or glacier weight increases when seawater is frozen. Can be generated. When the environmental load changes abruptly, a large tension is temporarily applied to the mooring line 271 in the direction to which the environmental load is appli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anchor 273 holding the bottom 1 is changed or the mooring line is changed. (271) can be broken. In addition, at low latitudes, an environmental load may be applied to the drilling vessel 200 which is mooring due to a very strong wind such as a typhoon or a high wave wave.

따라서, 이와 같이 급격한 환경하중의 변화 및 환경하중의 방향의 변동에 의해 시추선(200)이 계류되었던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는 경우에는, 전방위 추진기(250)를 작동시켜 시추선(200)을 본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방위 추진기(250)는 웨더배닝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시추선(200)을 환경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신속이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drilling line 200 is deviat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drilling line 200 is moored due to the sudden change of the environmental load and the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environmental load, the omnidirectional propeller 250 is operated to move the drilling line 200 to its original position. You can. In addition, the omnidirectional thruster 250 may be used to quickly rotate the drilling vessel 200 in the direction of the environmental load, in order to increase the weathering effect.

한편, 문풀(210)은 시추선(200)의 상부 갑판(209)에 설치되는데, 원기둥형, 사각기둥형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시추 및 채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드릴 플로어(203)에 유정탑(202)을 복수로 설치 하여 복수의 드릴 파이프(도시되지 않음) 또는 복수의 라이저(도시되지 않음)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문풀(210)을 직사각기둥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고, 한 대의 시추선(200)에 문풀(210)을 복수로 설치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oor pool 210 is installed on the upper deck 209 of the drilling line 200, i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s needed, such as cylindrical, square column type. In particular,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drilling and mining operations, a plurality of drill towers 202 may be installed on the drill floor 203 so that a plurality of drill pipes (not shown) or a plurality of risers (not shown) may be used at the same time. As such, the door pool 210 may be manufactured in a rectangular pillar shape, or a plurality of door pools 210 may be installed in one drilling line 200.

따라서, 문풀(210)의 형상에 따라 내부에 설치되는 터릿(230)의 형상도 변경될 수 있는데, 이러한 문풀(210) 및 터릿(230)의 변형예를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ly, the shape of the turret 230 installed therein may als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oor pool 210. A modified example of the door pool 210 and the turret 2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0. Shall be.

도 5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에 사용되는 문풀 및 터릿의 변형예들이 도시되어 있다.5 to 10 show variants of the door pool and turret used in the mooring system for a drilling vessel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원기둥형의 문풀에 터릿이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5 and 6 are shown a turret installed in the cylindrical door pool.

도 5를 참조하면, 원기둥형의 문풀(211) 내부에 원통형의 터릿(231)이 설치된다. 터릿(231)의 높이는 문풀(211)의 높이와 같거나 작다. 터릿(231)의 상부 외주면 둘레에는 원형 회전레일(233)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문풀 내측면(213)의 회전레일(233)의 위치와 상응하는 부분에는, 회전레일(233)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레일(217)이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5, a cylindrical turret 231 is installed inside a cylindrical door pool 211. The height of the turret 231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moon pool 211. A circular rotary rail 233 is installed around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rret 23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support rail 217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rotary rail 233 is provid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rotary rail 233 of the door pool inner surface 213.

회전레일(233) 및 지지레일(217) 사이에는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을 개재시켜서, 회전레일(233) 및 지지레일(217)이 슬라이딩 되는 경우 마찰력이 감소되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전레일(233) 및 지지레일(217)에는 돌출부 및 홈부를 형성하여, 터릿(231)이 문풀(211)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A bearing (not shown) is interposed between the rotary rail 233 and the support rail 217 to reduce the friction force when the rotary rail 233 and the support rail 217 slide. In addition, protrusions and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rotary rails 233 and the support rails 217 to prevent the turret 231 from swinging horizontally in the door pool 211.

터릿(231)의 하단부에는 계류삭(271)의 일측이 설치된다. 단, 터릿(231)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계류삭(271)이 방사상으로 설치되나, 편의상 하나의 계류삭(271)만을 도시하였다.One side of the mooring line 27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turret 231. However, although the plurality of mooring lines 271 are radial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turret 231, only one mooring line 271 is shown for convenience.

터릿(231)에 대하여 계류삭(271)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터릿(231)에 계류삭(271)의 일측이 설치된 부분에는 고리(도시되지 않음) 등이 개재될 수 있는데, 이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n order to allow the mooring line 271 to move relatively freely with respect to the turret 231, a ring (not shown) or the like may be interposed in a portion where one side of the mooring line 271 is installed in the turret 231. Since this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계류삭(271)의 타단부에는 앵커(273)가 설치된다. 앵커(273)는 해저면(도 4의 1 참조)을 파지하는데, 앵커(273)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앵커(273) 자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n anchor 273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ooring line 271. The anchor 273 grips the sea bottom (see 1 in FIG. 4). Since the anchor 273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description of the anchor 273 itself will be omitted.

문풀 내측면(213) 및 터릿(231)의 하부 사이에는 하부 베어링(220)이 설치된다. 하부 베어링(220)은 해수면(도 4의 3)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므로, 시추선(200)이 해상에 있는 동안에는 항상 해수에 잠겨있게 된다. 따라서, 하부 베어링(220)은 해수에 의한 부식이 발생되지 않는 재질로 제작되어야 하고, 해수의 의해 마찰감소효과가 저하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The lower bearing 220 is installed between the door pool inner surface 213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turret 231. Since the lower bearing 220 is install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sea level (3 in FIG. 4), the drilling vessel 200 is always submerged in seawater while the drilling line 200 is at sea. Therefore, the lower bearing 220 should be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cause corrosion by sea water, and should be used to have a structure that does not reduce the friction reducing effect by sea water.

참고로, 하부 베어링(220)의 재질로 고온 적층된 시트(sheet)를 경화시킨 합성 베어링 재료를 사용하고, 이 것을 기계 가공하여 하부 베어링(220)을 제작하면, 해수에 의해 자동윤활 되어 마찰계수가 0에 가까워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or reference, if a synthetic bearing material obtained by curing a high temperature laminated sheet i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lower bearing 220, and the lower bearing 220 is manufactured by machining the lower bearing 220, the friction coefficient is automatically lubricated by seawater. The effect of getting close to zero can be obtained.

상술한 바와 같은 문풀(211) 및 터릿(231)의 결합 구조에 의해, 터릿(231)은 문풀(211) 내에서 자유롭게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터릿(231)은 앵커(273)에 설치된 계류삭(271)으로부터 전달되는 계류력(Mooring Force)에 의 해 회전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시추선(도 4의 200)이 환경하중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때 문풀(211)이 회전하게 된다. 즉, 터릿(231)은 계류삭(271)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문풀(211)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이다.By 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door pool 211 and the turret 231 as described above, the turret 231 can freely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door pool 211. By the way, the turret 231 is not rotated by the moor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mooring line 271 provided in the anchor 273, and as described above, the drilling line (200 in FIG. 4) is driven by the environmental load. The door pool 211 is rotated when rot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turret 231 is fixed by the mooring line 271 and the door pool 211 is relatively rotated.

앵커(273)는 터릿(231)으로부터 하측 측방향의 해저면(도 4의 1)에 설치되고, 계류삭(271)은 터릿(231) 및 앵커(273)에 양단이 고정되어 현수선(Catenary)의 형상을 갖게 된다. 따라서, 터릿(231)에는 하측 측방향의 인장력이 가해지게 된다.Anchor 273 is installed on the bottom (1 in Fig. 4) of the lower side from the turret 231, the mooring line 271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turret 231 and the anchor 273, the suspension line (Catenary) Will have the shape of. Therefore, the turret 231 is applied with a tensile force in the lower side direction.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터릿(231)에는 복수의 계류삭(271)이 방사상으로 설치되므로, 시추선(도 4의 200)에 환경하중이나 전방위 추진기(250)에 의한 힘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복수의 계류삭(271)에 의한 측방향의 힘은 거의 상쇄되고, 주로 하측방향의 힘이 작용된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since the plurality of mooring lines 271 are radially installed on the turret 231 as described above, an environmental load or a force by the omnidirectional propeller 250 is applied to the drilling vessel 200 (FIG. 4). When it does not hold, the lateral force by the plurality of mooring lines 271 is almost canceled, and the downward force is mainly applied.

따라서, 지지레일(217) 및 회전레일(233)은 터릿(231)의 자중 외에도 터릿(231)에 가해질 수 있는 하측방향의 힘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 및 설치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support rail 217 and the rotary rail 233 should be designed and installed in consideration of the downward force that may be applied to the turret 231 in addition to the weight of the turret 231.

한편, 시추선(도 4의 200)에 환경하중이 가해져서 특정 방향에 설치된 계류삭(271)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증가되면, 터릿(231)에 측방향의 힘이 가해지게 되는데, 이 힘은 하부 베어링(220)을 통하여 문풀 내측면(213)으로 전달된다. 그러므로, 하부 베어링(220)은 수평방향으로 가해질 수 있는 힘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nvironmental load is applied to the drilling line (200 in FIG. 4) and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mooring line 271 installed in a specific direction is increased, a lateral force is applied to the turret 231, which is lower It is transmitted to the door pool inner surface 213 through the bearing 220. Therefore, the lower bearing 220 should be designed with 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force that can be appli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6에는 터릿에 하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한 내구력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한 원기둥형 문풀 및 터릿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6 shows a variant of the cylindrical door pull and turret to further increase the durability against the force exerted downward on the turret.

도 6을 참조하면, 원기둥형의 문풀(212) 내부에 원통형의 터릿(235)이 설치된다. 문풀 내측면(214) 중 플랜지(237)와 상응하는 위치에는 지지턱(216)이 돌출 형성된다. 지지턱(216)은 문풀 내측면(214)이 문풀(212)의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데, 지지턱(216)으로부터 문풀(212)의 하단부까지는 문풀(212)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되 반경이 작은 원기둥형상을 갖는다.Referring to FIG. 6, a cylindrical turret 235 is installed inside the cylindrical door pool 212. The support jaw 216 is protru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lange 237 among the door pool inner surface 214. The support jaw 216 has a shape in which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pool 214 protrudes toward the center of the door pool 212. The support jaw 216 has the same central axis as the door pool 212 from the support jaw 216 to the lower end of the door pool 212. It has a small cylindrical shape.

한편, 플랜지(237)는 터릿(235)의 상단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터릿(235)의 중심축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플랜지(237)의 외경은 문풀(212) 보다는 작되, 문풀(212)의 지지턱(216)이 형성된 부분의 직경 보다는 커서, 플랜지(237)가 지지턱(216)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지지턱(216)은 플랜지(237)를 지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lange 237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entral axis of the turret 235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turret 235.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237 is smaller than the door pool 212, but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ortion where the support jaw 216 of the door pool 212 is formed, the size that the flange 237 can cover the top of the support jaw 216 Has Thus, the support jaw 216 supports the flange 237.

지지턱(216)과 플랜지(237) 사이에는 상부 베어링(221)이 개재되어 플랜지(237)가 지지턱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는 경우 마찰력이 감소되게 한다. 이때, 상부 베어링(221)은 터릿(235)이 문풀(212)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플랜지(237)가 횡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베어링(221)으로는 롤러 베어링, 유체 베어링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해수를 이용한 유체 베어링의 사용도 가능하다.An upper bearing 221 is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jaw 216 and the flange 237 so that the friction force is reduced when the flange 237 slide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jaw. At this time, the upper bearing 221 should be such that the flange 237 does not mov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turret 235 does not sw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door pool 212. As the bearing 221, a roller bearing, a fluid bearing, or the like may be used. A fluid bearing using seawater may also be used.

터릿(235)의 하단부에는 계류삭(271)의 일측이 설치되고, 계류삭(271)의 타단부에는 앵커(273)가 설치되며, 내측면(214) 및 터릿(231)의 하부 사이에는 하부 베어링(220)이 설치된다. 계류삭(271), 앵커(273) 및 하부 베어링(220)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One end of the mooring line 271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turret 235, and an anchor 273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mooring line 271, and a lower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214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turret 231. Bearing 220 is installed. Since the mooring lines 271, the anchors 273, and the lower bearings 22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overlapping descriptions are omitted.

상술한 바와 같은 문풀(212) 및 터릿(235)의 결합 구조에 의해, 터릿(235)은 문풀(212) 내에서 자유롭게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계류삭(271)으로부터 터릿(235)에 가해지는 하측방향의 힘은 플랜지(237)로 전달되므로, 플랜지(237)의 폭 및 두께는 하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터릿(235)에 가해지는 수평방향의 힘은 하부 베어링(220)으로 전달되므로, 하부 베어링(220)은 수평방향으로 가해질 수 있는 힘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By 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door pool 212 and the turret 235 as described above, the turret 235 can freely rotate in the door pool 21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is time, since the downward force applied to the turret 235 from the mooring line 271 is transmitted to the flange 237,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flange 237 should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force applied downward. . In addition, since the horizontal force applied to the turret 235 is transmitted to the lower bearing 220, the lower bearing 220 should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force that can be appli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7 및 도 8은 사각기둥형의 문풀에 터릿이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7 and 8 illustrate a turret installed in a square columnar door pool.

도 7을 참조하면, 사각기둥형의 문풀(241)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원기둥형의 터릿 지지부(245)가 설치 또는 형성되고, 터릿 지지부(245) 내에는 원통형의 터릿(231)이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터릿 지지부(245)는 문풀(241) 내부에 돌출 형성되거나, 터릿 지지부(245)만 별도로 제작되어 문풀(241) 내부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7, a cylindrical turret support portion 245 is installed or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rectangular columnar door pool 241, and a cylindrical turret 231 is horizontally formed in the turret support portion 245. It is rotatably installed. The turret support part 245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oor pool 241, or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turret support part 245 and installed in the door pool 241 by welding or the like.

터릿(231)의 상부 외주면 둘레에는 원형 회전레일(233)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터릿 지지부 내측면(243)의 터릿(231)의 회전레일(233)의 위치와 상응하는 부분에는, 회전레일(233)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레일(247)이 설치된다. 회전레일(233) 및 지지레일(247) 사이에는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회전레일(233) 및 지지레일(247)에는 돌출부 및 홈부를 형성하여, 터릿(231)이 터릿 지지부(245)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A circular rotary rail 233 is installed around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rret 23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support rail 247 slidably coupled to the rotary rail 233 is provid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rotary rail 233 of the turret 231 of the turret support inner surface 243. A bearing (not shown)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rotary rail 233 and the support rail 247. In addition, the rotary rail 233 and the support rail 247 may be provided with protrusions and grooves to prevent the turret 231 from shak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turret support 245.

터릿(231)의 하단부에는 계류삭(271)의 일측이 설치되고, 터릿 지지부 내측면(243) 및 터릿(231)의 하부 사이에는 하부 베어링(220)이 설치된다. 계류삭(271) 및 하부 베어링(220)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One side of the mooring line 271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turret 231, and a lower bearing 220 is installed between the turret support part inner surface 243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turret 231. Since the mooring lines 271 and the lower bearing 220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한편, 터릿 지지부(245)의 높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문풀(241)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될 수도 있고, 문풀(241)과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원기둥형의 문풀(도 5의 211)과 같은 형상이 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ight of the turret support portion 245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door pool 241, as shown,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door pool 241 is the same shape as the cylindrical door pool (211 of Figure 5) May be

단, 이미 사각기둥형의 문풀(241)이 설치된 시추선(도시되지 않음)에 터릿(231)을 이용한 계류 시스템을 적용하고자 할 경우에 문풀(241) 내부에 터릿 지지부(245)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when the mooring system using the turret 231 is already applied to a drilling line (not shown) in which the door pool 241 of the square column type is already installed, an additional turret support part 245 is installed in the door pool 241. It is also possible.

도 8에는 터릿에 하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한 내구력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한 사각기둥형 문풀 및 터릿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8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square pillar door turret and turret for further increasing the durability against the force applied downward to the turret.

도 8을 참조하면, 사각기둥형의 문풀(242)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원기둥형의 터릿 지지부(248)가 설치 또는 형성되고, 터릿 지지부(248) 내에는 원통형의 터릿(235)이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8, a cylindrical turret support 248 is installed or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rectangular columnar door pool 242, and a cylindrical turret 235 is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turret support 248. It is rotatably installed.

터릿 지지부 내측면(244) 중 플랜지(237)와 상응하는 위치에는 횡단면이 원형인 지지턱(246)이 돌출 형성된다. 지지턱(246)은 원기둥형의 터릿 지지부 내측면(244)이 그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데, 지지턱(246)으로부터 터릿 지지부(248)의 하단부까지는 터릿 지지부(248)와 동일한 중심축을 갖되 반경이 작은 원기둥형상을 갖는다.A support jaw 246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protrudes from the turret support inner surface 244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lange 237. The support jaw 246 has a shape in which the cylindrical turret support inner surface 244 protrudes toward the center thereof, and the support jaw 246 extends from the support jaw 246 to the lower end of the turret support 248 in the same central axis as the turret support 248. It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small radius.

한편, 플랜지(237)는 터릿(235)의 상단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터릿(235)의 중심축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플랜지(237)의 외경은 터릿 지지부(248) 보다는 작되, 터릿 지지부(248)의 지지턱(246)이 형성된 부분의 직경 보다는 커서, 플랜지(237)가 지지턱(246)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지지턱(246)은 플랜지(237)를 지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lange 237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entral axis of the turret 235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turret 235.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237 is smaller than the turret support 248, but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ortion where the support jaw 246 of the turret support 248 is formed, so that the flange 237 can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jaw 246. Has a size. Therefore, the support jaw 246 supports the flange 237.

지지턱(246)과 플랜지(237) 사이에는 상부 베어링(221)이 개재되고, 문풀(242)의 하부 및 터릿(235)의 하부 사이에는 하부 베어링(220)이 설치된다. 또한, 터릿(235)의 하단부에는 계류삭(271)의 일측이 설치되고, 계류삭(271)의 타단부에는 앵커(273)가 설치된다. 하부 베어링(220), 계류삭(271) 및 앵커(273)에 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고, 상부 베어링(211)에 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An upper bearing 221 is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jaw 246 and the flange 237, and a lower bearing 220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pool 242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turret 235. In addition, one end of the mooring line 27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turret 235, and an anchor 273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ooring line 271. The lower bearing 220, the mooring line 271, and the anchor 273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nd the upper bearing 211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do.

도 9 및 도 10은 직사각기둥형의 문풀에 반원통형의 터릿이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9 and 10 illustrate a state in which a semi-cylindrical turret is installed in a rectangular columnar door pool.

도 9를 참조하면, 직사각기둥형의 문풀(251) 내부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반원기둥형의 터릿 지지부(255)가 설치 또는 형성되고, 터릿 지지부(255) 내에는 반원통형의 터릿(261)이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터릿(261)은 원통이 수직으로 이등분 된 형상으로, 일측이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절단되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터릿 지지부(255)는 문풀(251) 내부에 돌출 형성되거나, 터릿 지지부(255)만 별도로 제작되어 문풀(251) 내부 일측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설치된다. 터릿 지지부(255)의 높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문풀(251)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될 수도 있고, 문풀(251)과 같은 높이로 형성 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9, a semi-cylindrical turret support 255 is installed or formed at one side of the rectangular door pool 25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mi-cylindrical turret 261 is provided in the turret support 255. I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turret 261 has a shape in which the cylinder is vertically bisected, and has one side cut open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The turret support part 255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oor pool 251 or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turret support part 255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pool 251 by welding or the like. The height of the turret support 255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door pool 251, as shown, or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door pool 251.

터릿(261)의 상부 외주면 둘레에는 반원형의 회전레일(263)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터릿 지지부 내측면(253)의 터릿(261)의 회전레일(263)의 위치와 상응하는 부분에는, 회전레일(263)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레일(257)이 설치된다. 회전레일(263) 및 지지레일(257) 사이에는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이 개재될 수 있다.A semicircular rotary rail 263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ound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rret 261. A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rotary rail 263 of the turret 261 of the turret support inner surface 253, a support rail 257 is slidably coupled to the rotary rail 263. A bearing (not shown)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rotary rail 263 and the support rail 257.

또한, 회전레일(263) 및 지지레일(257)에는 돌출부 및 홈부를 형성하여, 터릿(261)이 터릿 지지부(255)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터릿(261)의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터릿(261)이 문풀(251)의 중심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회전레일(263) 및 지지레일(257)은 터릿(261)이 회전운동은 할 수 있으나, 수평방향으로는 이동되지 않도록 결합되어야 한다.In addition, protrusions and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rotary rails 263 and the support rails 257 to prevent the turret 261 from shak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turret support 255. Particularly, since one side of the turret 261 is open, the turret 261 and the support rail 257 rotate the turret 261 in order to prevent the turret 261 from escaping toward the center of the door pool 251. The movement may be possible but it must be combined so as not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터릿(261)의 하단부에는 계류삭(271)의 일측이 설치되고, 계류삭(271)의 타단부에는 앵커(273)가 설치되는데, 이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계류삭(271) 및 앵커(273) 자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One end of the mooring line 27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turret 261, and an anchor 273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mooring line 271.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the mooring line 271 and Description of the anchor 273 itself is omitted.

터릿 지지부 내측면(253) 및 터릿(261)의 하부 사이에는 하부 베어링(223)이 설치된다. 앞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터릿(261)이 문풀(251)의 중심방향의 공간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 베어링(223)은 터릿(261)의 회전운동만 허용하고, 터릿(261)이 수평방향으로는 이동되지 않도록 터릿(261) 및 터릿 지지부 내측면(253)을 결합시켜야 한다.A lower bearing 223 is installed between the turret support inner surface 253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turret 261.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revent the turret 261 from escaping to the center space of the door pool 251, the lower bearing 223 allows onl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urret 261, and the turret 261 is The turret 261 and the turret support inner surface 253 should be coupled so as not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한편, 원기둥형의 문풀(도 5의 211)이나 사각기둥형의 문풀(도 7의 241)에 비하여 직사각기둥형의 문풀(251)은 중앙 부분에 더 넓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터릿(261)의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더욱 넓은 문풀(251) 내부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compared to the cylindrical door pool (211 of Figure 5) or the square columnar door (241 of Figure 7) rectangular door-shaped door pool 251 may be formed in a wider space in the center portion. In addition, since one side of the turret 261 is open, a space inside the wider door pool 251 may be utilized.

따라서, 문풀(251) 위에는 문풀(2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유정탑(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하고, 문풀(251)에 복수의 드릴 파이프(도시되지 않음) 또는 복수의 라이저(도시되지 않음)를 동시에 통과시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시추 또는 채굴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refore, a plurality of oil wells (not shown) are installed on the door pool 25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or pool 251, and a plurality of drill pipes (not shown) or a plurality of risers (not shown) are provided on the door pool 251. Work at the same time, thus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drilling or mining operations.

단, 터릿(261)이 문풀(251)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회전레일(263)과 지지레일(257)의 접촉면적 및 하부 베어링(223)과 터릿(261)의 하부의 접촉면적이 감소된다. 즉, 터릿(261)의 자중 또는 계류삭(271)에 의해 터릿(261)에 전달되는 힘을 지지하는 면적이 감소된다.However, as the turret 261 rotates with respect to the door pool 251,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rotary rail 263 and the support rail 257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lower bearing 223 and the lower part of the turret 261 are reduced. . That is, the area supporting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turret 261 by the self-weight or mooring line 271 of the turret 261 is reduced.

그러므로, 터릿(261) 또는 문풀(251)에는 터릿(261)이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일측이 개방된 터릿(261)은 웨더배닝 효과를 위한 수평회전이 크지 않은 장소에서 사용되는 시추선(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Therefore, the turret 261 or the door pool 251 may be provided with means (not shown) for restricting the turret 261 from being rota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turret 261 having one side open may have a weathering effect.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on a drilling line (not shown) used in a place where the horizontal rotation is not large.

도 10에는 터릿에 하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한 내구력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한 직사각기둥형 문풀 및 반원통형의 터릿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FIG. 10 shows a variant of a rectangular columnar door and a semi-cylindrical turret for further increasing the durability against downward force on the turret.

도 10을 참조하면, 직사각기둥형의 문풀(252) 내부 일측에는 반원기둥형의 터릿 지지부(258)가 설치 또는 형성되고, 터릿 지지부(258)에는 반원통형의 터 릿(262)이 설치된다. 터릿(262)은 원통이 수직으로 이등분 된 형상으로, 일측이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절단되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Referring to FIG. 10, a semi-cylindrical turret support portion 258 is installed or formed at one side of the rectangular columnar door pool 252, and a turret turret 262 is installed at the turret support portion 258. The turret 262 has a cylindrical shape that is vertically bisected, and has one side cut open from an upper end portion to a lower end portion.

터릿 지지부(258)는 문풀(252) 내부에 돌출 형성되거나, 터릿 지지부(258)만 별도로 제작되어 문풀(252) 내부 일측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설치된다. 터릿 지지부(258)의 높이는 문풀(252)의 높이 보다 다소 낮게 형성된다.The turret support part 258 is formed to protrude inside the door pool 252 or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turret support part 258 and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oor pool 252 by welding or the like. The height of the turret support 258 is formed somewha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door pool 252.

터릿 지지부 내측면(254) 중 플랜지(267)와 상응하는 위치에는 횡단면이 반원형인 지지턱(256)이 돌출 형성된다. 지지턱(256)은 반원기둥형의 터릿 지지부 내측면(254)이 그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데, 지지턱(256)으로부터 터릿 지지부(258)의 하단부까지는 터릿 지지부(258)와 동일한 중심축을 갖되 반경이 작은 반원기둥 형상을 갖는다.A support jaw 256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protrudes from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lange 267 in the turret support inner surface 254. The support jaw 256 has a shape in which the semi-cylindrical turret support inner surface 254 protrudes toward its central axis, and the support jaw 256 is the same center as the turret support 258 from the support jaw 256 to the lower end of the turret support 258. It has an axis and a semi-cylindrical shape with a small radius.

한편, 터릿(262)에는 플랜지(267)가 돌출 형성된다. 플랜지(267)는 터릿(262)의 상단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터릿(262) 중심축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플랜지(267)의 외경은 터릿 지지부(258) 보다는 작되, 터릿 지지부(258)의 지지턱(256)이 형성된 부분의 직경 보다는 커서, 플랜지(267)가 지지턱(256)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턱(256)은 플랜지(267)를 지지하게 된다.In the turret 262, a flange 267 is formed to protrude. The flange 267 protrud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rret 262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entral axis of the turret 262.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267 is smaller than the turret support 258 but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ortion where the support jaw 256 of the turret support 258 is formed, so that the flange 267 can cover the top of the support jaw 256. It is formed to a size. Thus, the support jaw 256 supports the flange 267.

지지턱(256)과 플랜지(267) 사이에는 상부 베어링(224)이 개재되고, 터릿 지지부(258)의 하부 및 터릿(262)의 하단부 사이에는 하부 베어링(223)이 개재된다. 터릿(262)의 하단부에는 계류삭(271)의 일측이 설치되고, 계류삭(271)의 타단부에는 앵커(273)가 설치된다. 계류삭(271) 앵커(273)에 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 명한 바와 같고, 하부 베어링(223)에 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An upper bearing 224 is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jaw 256 and the flange 267, and a lower bearing 223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turret support 258 and the lower end of the turret 262. One end of the mooring line 27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turret 262, and an anchor 273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ooring line 271. The mooring line 271 anchor 273 i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nd the lower bearing 223 is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한편, 터릿(262)의 일측은 개방되어 있으므로, 터릿(262)이 문풀(252)의 중심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부 베어링(224)은 터릿(262)이 회전운동은 할 수 있으나, 수평방향으로는 이동되지 않도록 결합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one side of the turret 262 is open, in order to prevent the turret 262 from being sepa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door pool 252, the turret 262 may rotate in the upper bearing 224. They must be joined so that they do not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터릿(262)이 문풀(252)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터릿 지지부(258)의 지지턱(256) 상부에 의해 지지되는 플랜지(267)의 면적이 감소된다. 즉, 터릿(262)의 자중 또는 계류삭(271)에 의해 터릿(262)에 전달되는 힘을 지지하는 면적이 감소된다.In addition, as the turret 262 rotates with respect to the door pool 252, the area of the flange 267 supported by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jaw 256 of the turret support 258 is reduced. That is, the area supporting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turret 262 by the weight of the turret 262 or the mooring line 271 is reduced.

그러므로, 터릿(262) 또는 문풀(252)에는 터릿(262)이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일측이 개방된 터릿(262)은 웨더배닝 효과를 위한 수평회전이 크지 않은 장소에서 사용되는 시추선(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Therefore, the turret 262 or the door pool 252 may be provided with means (not shown) for restricting the turret 262 from being rota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turret 262 with one side open may have a weathering effect.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on a drilling line (not shown) used in a place where the horizontal rotation is not large.

도 11 및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11 and 12 show a mooring system for a drilling vess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에는 문풀(311), 터릿(331), 계류삭(371), 앵커(273), 도삭기(375, 377) 및 계류삭 견인장치(380)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11, a mooring system for a drilling vess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pull 311, a turret 331, a mooring line 371, an anchor 273, a fairing machine 375, 377, and a mooring. Sock traction device 380 is included.

원기둥형의 문풀(311) 내부에 원통형의 터릿(33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문풀(311), 터릿(331), 회전레일(333), 지지레일(317) 및 하부 베어링(320)은 각각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문풀(도 5의 211), 터릿(도 5의 231), 회전레일(도 5의 233), 지지레일(도 5의 217) 및 하부 베어링(도 5의 220)과 형상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부 갑판(309)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부 갑판(도 4의 209)과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A cylindrical turret 331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cylindrical door pool 311, and the door pool 311, the turret 331, the rotary rail 333, the support rail 317, and the lower bearing 320 are rotatable. 5 and 2, the turret (231 of FIG. 5), the rotary rail (233 of FIG. 5), the support rail (217 of FIG. 5) and the lower bearing (220 of FIG. 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Since the shape and function are the sam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since the upper deck 309 is the same component as the upper deck 209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부 갑판(309)에는 계류삭 견인장치(380)가 설치되고, 계류삭(371)의 일측은 계류삭 견인장치(380)에 연결된다. 계류삭 견인장치(380)는 윈치(Winch), 캡스턴(Capstan) 등을 이용하여 계류삭(371)을 견인하는 장치로, 전동기, 내연기관, 공압모터 등 다양한 구동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The mooring line traction device 380 is installed on the upper deck 309, and one side of the mooring line 371 is connected to the mooring line traction device 380. The mooring line traction device 380 is a device for pulling the mooring line 371 using a winch, a capstan, or the like, and may use various driving devices such as an electric mot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 pneumatic motor.

계류삭(371)에 설정치 보다 강한 장력이 가해질 경우, 계류삭 견인장치(380)가 계류삭(371)에 견인력을 가하지 않도록 하여 계류삭(371)이 파단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a stronger tension is applied to the mooring line 371, the mooring line traction device 380 can be prevented from breaking by mooring the mooring line 371.

터릿(331) 및 문풀 내측면(313)에는 도삭기(導索器, Fairlead, 375, 377)가 설치된다. 도삭기(375, 377)는 계류삭(371)이 과도하게 구부러지거나 마찰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안내(guide)하는 장치로, 고리, 후크, 튜브, 도르래 등 다양한 형식이 사용될 수 있다.The turret 331 and the door pool inner surface 313 are provided with fairers (Fairlead, 375, 377). The fairleads 375 and 377 are devices for guiding the mooring line 371 so as not to bend excessively or cause friction damage. Various types of loops, hooks, tubes, and pulleys may be used.

이때, 터릿(331) 또는 터릿(331) 주변에는 복수의 계류삭(371) 및 계류삭(371)과 동일한 수의 계류삭 견인장치(380)가 설치되고, 거기에 상응하는 수의 도삭기(375, 377)가 설치되나, 편의상 한 세트만을 대표로 도시하였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mooring lines 371 and the same number of mooring line traction devices 380 are installed around the turret 331 or the turret 331, and the corresponding number of 375, 377), but only one set is shown as a representative for convenience.

한편, 터릿(331)이 문풀(3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경우, 터 릿(331)에 설치된 도삭기(375)에 의해 계류삭 견인장치(380)로 연결되는 계류삭(371)이 심하게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터릿(331) 외부에 설치되는 도삭기(377)는 계류삭(37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 될 수 있다. 계류삭 견인장치(380)는 상부 갑판(309) 외에도 문풀 내측면(313) 또는 터릿(331) 내면에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urret 331 rotates relative to the door pool 311, the mooring line 371 is severely connected to the mooring line traction device 380 by the fairing machine 375 installed in the turret 331. Since it may be bent,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fairing machine 377 installed outside the turret 331 may be rotatably installed by the mooring line 371. In addition to the upper deck 309, the mooring line traction device 380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pool 313 or the turret 331.

도 12에는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이 적용된 시추선의 평면도가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FIG. 1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rilling line to which a mooring system for a drilling vess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1 is applied.

도 12를 참조하면, 시추선(300)에는 문풀(310)이 설치되고, 문풀(310)에는 터릿(330)이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문풀(310) 주위에는 복수의 계류삭 견인장치(380a 내지 380h)가 방사상으로 설치된다. 계류삭 견인장치(380a 내지 380h)에는 계류삭(371a 내지 371h)의 일측이 연결되고, 계류삭(371a 내지 371h)의 타단부에는 각각 앵커(273a 내지 273h)가 설치된다. 앵커(273a 내지 273h)는 해저면(도 4의 1 참조)에 고정된다.Referring to FIG. 12, the door pool 310 is installed at the drilling line 300, and the turret 33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plurality of mooring line traction devices 380a to 380h are radially installed around the door pool 310. One side of the mooring lines 371a to 371h is connected to the mooring line traction apparatuses 380a to 380h, and anchors 273a to 273h are provided at the other ends of the mooring line 371a to 371h, respectively. The anchors 273a to 273h are fixed to the sea bottom (see 1 in FIG. 4).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시추선(300)의 흘수선 아래 부분에는 복수의 전방위 추진기(도 4의 250 참조)가 설치된다.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omnidirectional propellers (see 250 of FIG. 4) are installed below the waterline of the drilling vessel 300.

앞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시추선(300)이 시추 또는 채굴 작업 등을 행하기 위해서는 문풀(310)이 소정의 범위 이내에 있도록 시추선(300)이 계류되어야 한다. 시추선(30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문풀(310)의 위치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에는 시추 또는 채굴 작업을 중단하거나, 드릴 파이프(도시되지 않음), 라이저(도 4의 205 참조)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시추 또는 채굴 작업 중 인 시추선(300)은 수평방향으로 작업이 허용될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for the drilling vessel 300 to perform drilling or mining operations, the drilling vessel 300 should be moored such that the door pool 310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drilling line 30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door pool 310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the drilling or mining operation is stopped, or a drill pipe (not shown) or a riser (see 205 of FIG. 4) is removed. Can be broken. Therefore, the drilling vessel 300 during the drilling or mining operation should b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which the operation is allow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시추선(300)에 환경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시추선(300)이 복수의 계류삭(371a 내지 371h) 및 복수의 앵커(273a 내지 273h)에 의해 계류되어 있더라도 수평방향으로 미소하게 이동될 수 있다. 문풀(310)의 위치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에는 시추선(300)이 시추 및 굴착 작업을 계속 할 수 있다. 그러나, 시추선(300)이 이동되어 문풀(310)이 소정의 범위를 벗어날 우려가 있을 때에는 문풀(310)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시추선(300)을 이동시켜야 한다.When an environmental load is applied to the drilling vessel 300, the drilling vessel 300 may be moved slight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ven when the drilling vessel 300 is moored by the plurality of mooring lines 371a to 371h and the plurality of anchors 273a to 273h. . When the position of the door pool 310 does not deviate from a predetermined range, the drilling line 300 may continue drilling and drilling work. However, when the drilling line 300 is moved and the door pool 310 may be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the drilling line 300 should be moved so that the door pool 31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특히, 북극해와 같은 천수역의 경우에는 시추 및 채굴 작업을 계속할 수 있는 소정의 범위가 좁으므로 문풀(310)의 위치 유지에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문풀(310)이 소정의 범위를 벗어날 우려가 있을 경우 신속하게 대처해야 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hallow water, such as the Arctic Ocean, since a predetermined range of drilling and mining operations is narrow, much attention must be paid to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moon pool 310, and the moon pool 310 may be out of the predetermined range. If so, you should respond quickly.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의 작동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drilling vessel mo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환경하중이 계류삭(371b)의 방향으로부터 시추선(300)에 가해지는 경우, 시추선(300)은 반대방향, 즉 계류삭(371f)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힘을 받게 된다. 시추선(300)이 계류삭(371f)의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환경하중의 방향과 수직인 방향 이내의 범위에 설치된 계류삭(371a 내지 371c)에는 인장력이 작용된다.When the environmental load is applied to the drilling line 300 from the direction of the mooring line 371b, the drilling line 300 is subjected to a force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mooring line 371f. When the drilling line 30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mooring line 371f, a tension force is applied to the mooring lines 371a to 371c provided within a rang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environmental load.

계류삭(371a 내지 371c)은 앞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현수선의 형상을 갖고 있다. 계류삭(371a 내지 371c)에 인장력이 작용되면 파단 되기 전까지는 자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쳐져 있던 부분이 점차 상승되면서 더 강한 인장력이 작용된다. 계 류삭(371a 내지 371c)의 하방향으로 쳐져 있던 부분이 상승되면 계류삭(371a 내지 371c)과 시추선(300) 사이의 거리는 멀어지게 되므로, 시추선(30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The mooring lines 371a to 371c have the shape of a suspension line as described above. When a tension force is applied to the mooring lines 371a to 371c, a portion that has been struck downward by its own weight gradually rises until it is broken, and a stronger tensile force is applied. When the portion hitting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mooring lines 371a to 371c is raised, the distance between the mooring lines 371a to 371c and the drilling line 300 becomes far, so that the drilling line 30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때, 시추선(30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한 거리가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면 시추 또는 채굴 작업이 중단된다. 따라서, 시추 또는 채굴 작업이 중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환경하중의 방향과 수직인 방향 이내의 범위에 설치된 계류삭(371a 내지 371c)의 일측이 연결된 계류삭 견인장치(380a 내지 380c)를 작동시킨다.At this time, the drilling or mining operation is stopped when the distance that the drilling line 300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xceeds a predetermined range. Therefore, in order not to interrupt the drilling or mining operation, the mooring line traction apparatuses 380a to 380c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oring lines 371a to 371c provided with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environmental load are operated.

계류삭 견인장치(380a 내지 380c)가 작동되면, 각각의 계류삭(371a 내지 371c)은 계류삭 견인장치(380a 내지 380c)에 의해 견인되므로, 계류삭(371a 내지 371c)에는 더 강한 인장력이 작용된다. 따라서, 시추선(300)은 환경하중에 이동된 반대 방향으로, 즉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When mooring line traction devices 380a to 380c are operated, each mooring line 371a to 371c is towed by mooring line traction devices 380a to 380c, so that a higher tensile force acts on the mooring line 371a to 371c. do. Thus, the drilling line 300 is returned to the opposite direction, that is, to the original position moved under the environmental load.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시추선(300)에 환경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의 계류삭 견인장치(380a 내지 380c)를 작동시킴으로, 시추선(300)의 문풀(310)이 시추 및 채굴 작업을 계속 할 수 있는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전방위 추진기(도 4의 250 참조)를 함께 이용하여 문풀(310)을 소정의 범위 내에 유지시킴과 동시에 선수부(301)가 환경하중의 방향을 향하도록 하면, 시추선(300)에 작용하는 환경하중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으로 시추선(300)을 계류 시킬 수 있다.In this way, by operating the mooring line traction device 380a to 380c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vironmental load is applied to the drilling vessel 300, the door pool 310 of the drilling vessel 300 can continue drilling and mining operations Can be maintained. On the other hand, by using the omnidirectional propeller (see 250 in FIG. 4) together to maintain the door pool 310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bow portion 301 to face the environmental load, the environment acting on the drilling vessel 300 Since the influence of the load can be reduced, the drilling line 300 can be moored more effective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은 시추선(300)의 동적 위치유지 효과가 뛰어나므로, 극지용 또는 천수역용 시추선(도시되지 않음)용 계류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oring system for drilling ship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dynamic positioning effect of the drilling ship 300, it can be applied to the mooring system for drilling ships for polar or shallow water (not shown) have.

도 1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앵커 회수 시스템 적용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13 shows an example of applying the anchor recovery system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도시된 시추선(200) 및 시추선(200)의 각 구성요소들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했던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components of the drilling line 200 and the drilling line 200 shown in FIG. 13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복수의 앵커(273)에는 각각 케이블(293)에 의해 부표(291)가 설치되어있다. 도면상에는 두 개의 부표(291) 및 케이블(293)만을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모든 앵커(273)에 각각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buoy 291 is provided in the some anchor 273 by the cable 293, respectively. Although only two buoys 291 and cable 293 are shown in the figure, in practice, each anchor 273 is installed respectively.

시추선(200)의 터릿(230)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계류삭(271)이 설치된다. 특히, 시추선(200)을 안정적으로 계류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계류삭(271) 및 앵커(273)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The turret 230 of the drilling vessel 2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oring lines 271 radially. In particular, many mooring lines 271 and anchors 273 are often used in order to moore the drilling vessel 200 stably.

따라서, 다수의 계류삭(271) 및 앵커(273)를 사용하여 시추선(200)을 계류시킨 경우, 시추선(200)이 시추 또는 채굴 작업을 마치고 이동을 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앵커(273) 및 계류삭(271)들을 모두 회수하여야 한다. 그런데, 앵커(273)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한 경우에는 앵커(273)를 모두 수거하는데 매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수 있다.Thus, when the mooring line 200 is moored using a plurality of mooring lines 271 and anchors 273, the plurality of anchors 273 and mooring lines are required for the drilling line 200 to move after finishing the drilling or mining operation. All (271) must be recovered. However, if the location of the anchor 273 is not known, it may take a lot of time and effort to collect all the anchors 273.

따라서, 앵커(273)에 케이블(293)을 이용하여 부표(291)를 설치하면 앵커(273)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작업선(295)에 부표(291)와 케이블(293)을 감아 올릴 수 있는 회수장치(297)를 설치하고, 작업선(295)을 해수면(3)에 떠있는 부표(291)로 이동시켜 부표(291) 및 케이블(293)을 회수하면, 케이블(293)에 설치된 앵커(273)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buoy 291 is provided to the anchor 273 using the cable 293, the position of the anchor 273 can be easily grasped. In addition, a recovery device 297 capable of winding up the buoy 291 and the cable 293 to the work line 295 is installed, and the work line 295 is moved to the buoy 291 floating on the sea level 3. If the buoy 291 and the cable 293 are recovered, the anchor 273 provided in the cable 293 can be easily recover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시추선의 개략적인 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drill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시추선의 개략적인 측면도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drill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시추선의 개략적인 평면도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drill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4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들을 나타낸 사시도5 to 10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modification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12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의 계류 장치에 부가된 앵커 회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Figure 13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anchor recovery system added to the mooring device of the drill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 시추선 205 : 라이저200: drilling 205: riser

210 : 문풀 230 : 터릿210: Moonful 230: Turret

250 : 전방위 추진기 271 : 계류삭250: omnidirectional propeller 271: mooring line

273 : 앵커 291 : 부표273: Anchor 291: Buoy

380 : 계류삭 견인장치380: Mooring line traction device

Claims (1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부 갑판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사각기둥형의 문풀이 설치된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으로서,A mooring system for a drilling vessel in which a square columnar door pool is installed vertically downward from an upper deck. 상기 문풀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 또는 형성되는 반원기둥형의 터릿 지지부;A semi-cylindrical turret support portion installed or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door pool; 상기 터릿 지지부 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원통형의 터릿;A semi-cylindrical turret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rret suppo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일측이 상기 터릿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계류삭;A plurality of mooring lines each having one side installed in the turret; 상기 복수의 계류삭의 타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앵커; 및A plurality of anchors each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mooring lines; And 상기 시추선의 흘수선 아래 부분에 설치되는 복수의 전방위 추진기를 포함하되, 상기 터릿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상기 터릿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의 개방부가 형성되는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And a plurality of omnidirectional propellers installed below the waterline of the drilling line, wherein the turret has an open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turret from an upper end portion to a lower end portion.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터릿 지지부의 내측면에는 횡단면이 반원형인 지지턱이 상기 터릿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터릿의 상단부에는 상기 지지턱의 상부를 커버하는 플랜지가 상기 터릿의 중심축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A support jaw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protrudes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turret, and a flange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jaw protrud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entral axis of the turret on the inner side of the turret support. Mooring system for a drilling ship,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터릿 지지부의 내측 면에는 수평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반원형 지지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터릿의 외측 면에는 상기 지지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레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One or more semicircular support rails are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turret support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one or more rotary rails slidably coupled to the support rails are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turret.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상기 터릿 및 상기 문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계류삭을 안내하는 복수의 도삭기;A plurality of fairing machines installed in the turret and the door pool to guide the plurality of mooring lines; 상기 복수의 도삭기에 의해 각각 안내된 상기 복수의 계류삭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상부 갑판 또는 상기 문풀 또는 상기 터릿에 설치되는 복수의 계류삭 견인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And a plurality of mooring line traction device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mooring lines respectively guided by the plurality of fairleas, and installed on the upper deck or the door pool or the turret.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상기 복수의 앵커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부표를 더 포함하는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And a plurality of buoy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plurality of anchors.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추선.Drilling vessel comprising a mooring system for a drilling vesse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KR1020080099522A 2008-10-10 2008-10-10 Mooring system for drillship and drillship using the same Expired - Fee Related KR1009434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522A KR100943457B1 (en) 2008-10-10 2008-10-10 Mooring system for drillship and drillship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522A KR100943457B1 (en) 2008-10-10 2008-10-10 Mooring system for drillship and drillship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3457B1 true KR100943457B1 (en) 2010-02-22

Family

ID=42083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52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43457B1 (en) 2008-10-10 2008-10-10 Mooring system for drillship and drillship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457B1 (en)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350B1 (en) * 2010-09-01 2013-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xing apparatus of drillship for shallow sea drilling
KR101307571B1 (en) 2012-03-21 2013-09-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Dual turret mooring system
KR101324118B1 (en) * 2011-12-22 2013-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Ice management method using vessel with caisson pipe
WO2014204145A1 (en) * 2013-06-21 2014-12-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ooring apparatus and drillship including same
KR101483463B1 (en) * 2013-06-27 2015-01-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iquefaction Process Test Method In Near Shore For Ship
KR101523926B1 (en) * 2014-01-24 2015-05-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installing bearing for turret
KR101524666B1 (en) * 2014-03-14 2015-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Riser Holding Apparatus for Offshore Structure
KR20160150416A (en) 2015-06-22 2016-12-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loating offshore structure and contact prevention structure of spread mooring line
KR101816444B1 (en) * 2016-09-28 2018-01-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Maintenance Floating Dock Re-dockable A Working Floater On Offshore
KR101827151B1 (en) * 2016-09-28 2018-02-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Maintenance Floating Dock Re-dockable A Working Floater On Offshore
KR101964203B1 (en) * 2017-11-13 2019-04-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hip
KR102095380B1 (en) 2018-10-30 2020-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installing mooring line of marine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ing mooring line of marine structure
CN111140440A (en) * 2020-01-15 2020-05-12 上海电气风电集团股份有限公司 Semi-submerged floating type fan foundation and fan
CN114148466A (en) * 2022-01-06 2022-03-08 广东省航运规划设计院有限公司 Offshore drilling operation platform
CN115258046A (en) * 2022-08-22 2022-11-01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Releasable guarantee platform suitable for hard seabed and mooring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8095A (en) * 1984-10-31 1986-05-26 Nippon Kokan Kk <Nkk> Taretstomoring ship
US5893334A (en) * 1993-12-03 1999-04-13 Fm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oring floating storage vessels
US6302048B1 (en) * 1997-08-10 2001-10-16 Hitec Systems As Swivel device
KR100597551B1 (en) * 1998-12-23 2006-07-06 풀 한스 반데 Working shi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8095A (en) * 1984-10-31 1986-05-26 Nippon Kokan Kk <Nkk> Taretstomoring ship
US5893334A (en) * 1993-12-03 1999-04-13 Fm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oring floating storage vessels
US6302048B1 (en) * 1997-08-10 2001-10-16 Hitec Systems As Swivel device
KR100597551B1 (en) * 1998-12-23 2006-07-06 풀 한스 반데 Working ship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350B1 (en) * 2010-09-01 2013-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xing apparatus of drillship for shallow sea drilling
KR101324118B1 (en) * 2011-12-22 2013-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Ice management method using vessel with caisson pipe
KR101307571B1 (en) 2012-03-21 2013-09-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Dual turret mooring system
US9650111B2 (en) 2013-06-21 2017-05-16 Samsung Heavy Ind. Co., Ltd. Mooring system and drill ship including the same
WO2014204145A1 (en) * 2013-06-21 2014-12-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ooring apparatus and drillship including same
KR101549151B1 (en) * 2013-06-21 2015-09-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ooring apparatus and ship including the same
KR101483463B1 (en) * 2013-06-27 2015-01-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iquefaction Process Test Method In Near Shore For Ship
KR101523926B1 (en) * 2014-01-24 2015-05-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installing bearing for turret
KR101524666B1 (en) * 2014-03-14 2015-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Riser Holding Apparatus for Offshore Structure
KR20160150416A (en) 2015-06-22 2016-12-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loating offshore structure and contact prevention structure of spread mooring line
KR101816444B1 (en) * 2016-09-28 2018-01-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Maintenance Floating Dock Re-dockable A Working Floater On Offshore
KR101827151B1 (en) * 2016-09-28 2018-02-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Maintenance Floating Dock Re-dockable A Working Floater On Offshore
KR101964203B1 (en) * 2017-11-13 2019-04-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hip
KR102095380B1 (en) 2018-10-30 2020-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installing mooring line of marine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ing mooring line of marine structure
CN111140440A (en) * 2020-01-15 2020-05-12 上海电气风电集团股份有限公司 Semi-submerged floating type fan foundation and fan
CN114148466A (en) * 2022-01-06 2022-03-08 广东省航运规划设计院有限公司 Offshore drilling operation platform
CN115258046A (en) * 2022-08-22 2022-11-01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Releasable guarantee platform suitable for hard seabed and mooring method
CN115258046B (en) * 2022-08-22 2023-05-30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Releasable guarantee platform applicable to hard seabed and moor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457B1 (en) Mooring system for drillship and drillship using the same
KR102528209B1 (en) floating drilling rig
US9850636B2 (en) Ring-wing floating platform
US4701143A (en) Vessel mooring system and method for its installation
US4966495A (en) Semisubmersible vessel with captured constant tension buoy
US8083439B2 (en) Riser support system for use with an offshore platform
US4995762A (en) Semisubmersible vessel with captured constant tension buoy
KR20100124733A (en) Floating support having a reel including roller bearings outside the water
RU2145289C1 (en) Method and system of mooring tank ship
WO2014113386A2 (en) Jack-up drilling unit with tension legs
KR20140102111A (en) Apparatus for Mooring Floater Using Submerged Pontoon
CN105947116A (en) Single point mooring export terminal
CN114013584A (en) Deep sea wind power foundation based on buoyancy tower concept and single-point tension mooring
WO2000027692A1 (en) Device for positioning of vessels
KR101378960B1 (en) Floating marine structure
KR101323798B1 (en) Floating marine structure
KR101549151B1 (en) Mooring apparatus and ship including the same
KR101390311B1 (en) Floating marine structure
KR20130011108A (en) Drillship with lower deck for storing drilling facility
KR101358302B1 (en) Semisubmersible floating structure
CN107054567B (en) Underwater cable guiding device
US20020162495A1 (en) Method for tendering
KR101722376B1 (en) Floating marine structures
KR101571305B1 (en) Wave absorbing apparatus of moonpool
TW202017810A (en) Floating dri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02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