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42219B1 -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219B1
KR100942219B1 KR1020070114403A KR20070114403A KR100942219B1 KR 100942219 B1 KR100942219 B1 KR 100942219B1 KR 1020070114403 A KR1020070114403 A KR 1020070114403A KR 20070114403 A KR20070114403 A KR 20070114403A KR 100942219 B1 KR100942219 B1 KR 100942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beamformer
signal
cdm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8158A (ko
Inventor
김상준
손경수
안진영
백선영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14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219B1/ko
Publication of KR20090048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6Weighted combining using weights depending on external parameters, e.g. direction of arrival [DOA], predetermined weights or beamfo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 안테나뿐만 아니라 송신 안테나에서도 빔 형성을 하여 CDMA-MIMO 시스템에서 부호 동기 획득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한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에 관한 것으로, CDMA-MIMO 시스템에 있어서, 균일한 선형 어레이 형태로 복수개의 안테나들이 구성되는 송신 안테나 어레이;상기 송신 안테나 어레이의 각각의 송신 안테나에 전송 빔형성을 위한 가중치 벡터를 인가하는 송신 빔형성기;를 포함하고 송신단이 구성된다.
Figure R1020070114403
CDMA, MIMO, Beamforming, 동기 획득, 상관기

Description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Acquisition apparatus for CDMA-MIMO systems}
본 발명은 CDMA-MIMO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수신 안테나뿐만 아니라 송신 안테나에서도 빔 형성을 하여 CDMA-MIMO 시스템에서 부호 동기 획득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한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에 관한 것이다.
CDMA 시스템에서는 시스템의 용량을 증대시키고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 신호의 다중경로 페이딩에 의한 자기 간섭신호(Inter Chip Interference, ICI)와 다중 사용자 신호에 의한 간섭신호(Multiple Access Interference, MAI)를 제거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ICI를 줄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레이크 수신기가 사용되고, MAI를 줄이기 위해서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한 빔형성 방법이 사용된다.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은 원하는 방향으로부터 전파되는 신호만을 수신하고, 그 외 방향에서 전파되는 신호들을 억제하여, MAI를 감소시키고, 기지국의 채널 용량을 증가시키는 시스템이다.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은 복수개의 배열 안테나 소자를 이용하여 각 안테나 소자에 수신되는 신호들의 이득 및 위상을 조절한다.
빔 형성 방법에 따라, 스마트 안테나는 안테나의 패턴을 고정한 다중빔 빔형성 방식(multi-beam beamforming)과 안테나의 패턴을 시간이나 통신 환경에 따라 변화시키는 적응빔 빔형성(adaptive-beam beamforming)방식으로 분류된다.
상기 다중빔 빔형성 방식은 고정빔 빔형성(fixed-beam beamforming)방식이라고 하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송수신단에 각각 단 하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SISO(Sinle Input Single Output) CDMA 시스템에서는 구현이 용이한 상관기(Correlator)를 사용하여 동기획득을 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다중사용자가 주어진 시스템에 많을 때나 다중경로 페이딩 채널에 의하여 성능 저하가 발생하여 원하는 동기획득 성능을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러한 다중경로 페이딩에 의한 성능저하는 SIMO(Sing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에서 수신 다중 안테나의 공간적인 다양성을 이용하여 성능 개선을 이룰 수가 있다.
최근에 MIMO라는 다중입출력 안테나 시스템은 대역폭을 증가하지 않더라도 데이터 전송률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엄청나게 관심을 받고 있다.
CDMA-MIMO 기술은 전체 통신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되었지만 이러한 CDMA-MIMO 시스템에서 효과적으로 부호 동기획득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은 찾아보기 힘든 상태이다.
따라서, 현재 CDMA와 MIMO 기술이 결합된 CDMA-MIMO 시스템에서 부호 동기 획득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새로운 기술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CDMA-MIMO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수신 안테나뿐만 아니라 송신 안테나에서도 빔 형성을 하여 CDMA-MIMO 시스템에서 부호 동기 획득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한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CDMA-MIMO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송수신단의 다중안테나 기반의 빔형성 기법을 활용하여 CDMA 수신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는 CDMA-MIMO 시스템에 있어서, 균일한 선형 어레이 형태로 복수개의 안테나들이 구성되는 송신 안테나 어레이;상기 송신 안테나 어레이의 각각의 송신 안테나에 전송 빔형성을 위한 가중치 벡터를 인가하는 송신 빔형성기;를 포함하고 송신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는 CDMA-MIMO 시스템에 있어서, 균일한 선형 어레이 형태로 복수개의 안테나들이 구성되는 송신 안테나 어레이; 상기 송신 안테나 어레이의 각각의 송신 안테나에 전송 빔형성을 위한 가중치 벡터를 인가하는 송신 빔형성기;를 포함하고 송신단이 구성되고,상기 송신단에서 빔 형성된 전송 신호가 무선 채널을 경유하여 입사되고, 균일한 선형 어레이 형태로 복수개의 안테나들이 구성되는 수신 안테나 어레이; 상기 수신 안테나 어레이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상관 처리하는 상관기; 상기 상관 처리된 신호에 가중치 벡터를 이용하여 빔 형성을 하는 수신 빔형성기;를 포함하고 수신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수신 안테나뿐만 아니라 송신 안테나에서도 빔 형성을 하여 CDMA-MIMO 시스템에서 부호 동기 획득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둘째, CDMA-MIMO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송수신단의 다중안테나 기반의 빔형성 기법을 활용하여 CDMA 수신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대역폭을 증가하지 않더라도 데이터 전송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CDMA와 MIMO 기술이 결합된 CDMA-MIMO 시스템에서 부호 동기 획득 성능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MIMO 채널 모델의 간략한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에서의 송수신 빔형성에 따른 효과를 나타낸 특성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에서 부호동기화 과정은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과 획득된 동기를 더욱더 정교하게 맞추는 동기추적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첫 번째 단계인 동기획득 과정에서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를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이러한 동기획득 과정은 CDMA 수신기의 성능에 영향을 크게 미치게 된다.
즉, MIMO 기술이 획기적으로 전송 데이터률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CDMA에서도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CDMA-MIMO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송수신단의 다중 안테나 기반의 빔형성 기법을 활용하여 부호 동기획득 과정에서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 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CDMA-MIMO 시스템에서 MIMO 시스템은 송신단과 수신단에서 각각 다중안테나 어레이를 장착하고 있으므로 안테나 어레이를 이용하여 특정 방향의 신호에 대해 빔형성을 할 수 있는 구조를 활용하여 부호 동기 획득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빔형성 기술은 전통적으로 스마트안테나 기술로서 고정빔을 이용하거나 전송 환경에 따른 채널에 적응하는 적응 빔 기법이 있다. 이러한 빔형성 기법은 다중사용자에 의한 MAI(Multiple Access Interference) 성분을 제거하거나 억제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는 고정빔을 이용하거나 전송 환경에 따른 채널에 적응하는 적응 빔 기법을 사용한다.
MIMO 채널 모델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수신 안테나들은 Nt 및 Nr개의 균일한 선형 어레이 구조이고, 두 개의 인접한 안테나들 사이의 위상차는
Figure 112007080626519-pat00001
이고,
Figure 112007080626519-pat00002
는 각 신호 경로의 DOD(Direction Of Departure) 또는 DOA(Direction Of Arrival)이다.
도 1은 MIMO 채널 모델의 간략한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수학식 1에서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07080626519-pat00003
여기서,
Figure 112007080626519-pat00004
는 k번째 유저의 독립된 경로의 수(the number of independent paths of the kth user's)이고,
Figure 112007080626519-pat00005
Figure 112007080626519-pat00006
는 각각 엔벨로프(envelope),위상(phase),DOA(Direction Of Arrival), k번째 유저의 q번째 경로 신호의 DOD(Direction Of Departure)이다.
그리고
Figure 112007080626519-pat00007
Figure 112007080626519-pat00008
는 송수신단에서의 k번째 유저의 q번째 경로 신호의 DOA와 DOD에 대한 어레이 응답 벡터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각각 수학식 2, 수학식 3에서와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7080626519-pat00009
Figure 112007080626519-pat00010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는 CDMA- SISO 시스템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상관기를 그대로 사용한다.
이러한 상관기를 각각의 수신안테나에서 사용한 후에 수신안테나에 입사하는 방향성 신호들을 이용하여 적절한 빔형성(고정빔이나 적응빔)을 통해 동기획득에 필요한 신호를 얻는다.
또한, 송신기 안테나에서 송신 신호들을 보내기 전에 특정 방향으로 송신 빔을 형성하여 신호를 전송하게 하여 수신단에서 동기 획득 성능을 높인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3에서와 같이 CDMA-MIMO 시스템에서의 부호 동기획득 성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균일한 선형 어레이 형태로 복수개의 안테나들이 구성되는 송신 안테나 어레이(32)와, 송신 안테나 어레이(32)의 각각의 송신 안테나에 전송 빔형성을 위한 가중치 벡터를 인가하는 송신 빔형성기(31)로 송신부가 구성된다.
그리고 송신부에서 빔 형성된 신호는 무선 채널을 경유하여 다중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부에 입사된다.
수신부는 균일한 선형 어레이 형태로 복수개의 안테나들이 구성되는 수신 안테나 어레이(33)와, 수신 안테나 어레이(33)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상관 처리하는 상관기(34)와, 상관 처리된 신호에 가중치 벡터를 이용하여 빔 형성을 하는 수신 빔형성기(35)로 구성된다.
송신부에서 빔형성된 신호는 무선채널을 경유하여 다중수신 안테나에 입사하여 각각의 수신 안테나에서 상관기(34)를 통해 상관 처리가 된 후에 수신 빔형성 기(35)를 경유하여 부호 동기획득에 필요한 결정 변수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수신 빔형성기(35)에 사용되는 가중치 벡터는 다중수신 안테나에 입사하는 방향성 신호를 비형성을 통해 수신하기 위해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의 동기 획득을 위한 신호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의 트랜시버 구조는 상기에서와 같이, 송신측의 송신 안테나 어레이를 통하는 송신 빔형성 블록과, 수신측의 수신안테나 어레이를 통하는 수신 빔형성 블록으로 구성된다.
송신기에서의 송신 빔형성은 첫 번째 경로의 DOD에 기인한 송신 어레이 응답 벡터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가중치 벡터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전송 신호를 위해 균형 채널(balanced) QPSK 변조 기법이 적용된다.
그리고 MIMO 안테나들의 해석을 위한 코드 포착을 위해 ML(Maximum Likelihood) 코드 포착의 순차-병렬 이행이 적용된다. 이는 MP 병렬 I/Q 상관기 뱅크를 뒤따르는 MP 수신 빔형성기로 구성되는데, 상기 MP 병렬 I/Q 상관기 뱅크는 각각의 뱅크가 Nr I/Q 상관기로 구성된다.
그리고 코드 포착을 위한 넌코히런트(Noncoherent) QPSK 복조기 및 수신 빔형성기가 결정 변수를 얻기 위해 고려된다.
본 발명에서는 N개 칩들의 주기 동안 칩 샘플들을 수집하고 이들을 k번째 유저의 지배 경로(dominant path)의 각 안테나 브렌치에 있는 수신 빔형성기 가중치 벡터의 I/Q 성분과 곱하여 I/Q 출력을 얻을 수 있다. 구해진 지배 경로의 DOA 와 연관된 수신 어레이 응답벡터는 수신 빔형성을 위한 가중치 벡터로서 이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만약, 공간 및 시간적으로 간섭 펄스 노이즈가 화이트 노이즈인 경우에는, 인터칩(interchip) 간섭, 다중 접근 간섭, I/Q 채널들에 관한 백그라운드 노이즈에 기인하는 각각의 상관기 출력에서의 I/Q 노이즈 텀(I/Q noise terms)은 N Nr Io/2의 변수를 갖는 가우시안 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s번째 H1 셀에서 I/Q 수신 빔형성기 출력의 제곱합(squared sum)은 수학식 4에서와 같이 구해진다.
Figure 112007080626519-pat00011
여기서,
Figure 112007080626519-pat00012
는 k번째 사용자의 각 송신안테나로부터 PN 칩 당 시그널 에너지이다.
Figure 112007080626519-pat00013
는 s번째 H1 셀에서 k번째 사용자의 q번째 경로 시그널에서 타이밍에러이다.
Figure 112007080626519-pat00014
는 펄스 성형 필터(pulse-shaping matched-filter)의 출력이다. 결정변수는 s번째 H1 셀의 시그널과 간섭 요인으로 이루어진다.
송신 및 수신 빔형성 이득들은 바람직한 시그널 출력 총량비
Figure 112007080626519-pat00015
Figure 112007080626519-pat00016
각각의 첫 번째 성분에 기인한다. 그리고 송신 빔형성은 단일 송신 안테나 경우에 비하여 다른 경로 출력을 Nt배로 증가시킨다. 수신 빔형성기는 단일 수신 안테나 경우보다 다른 경로 및 노이즈 출력을 Nr배 증가시킨다.
Figure 112007080626519-pat00017
셀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결정 임계치
Figure 112007080626519-pat00018
를 갖는 검출 확률은 수학식 5에서와 같다.
Figure 112007080626519-pat00019
여기서, Nc는 전체 테스트 셀의 수이고,
Figure 112007080626519-pat00020
는 그의 요소가 I/Q 빔형성기 출력으로 이루어지는 콤플렉스 가우시안 랜덤 변수의 결정 변수의 고유값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의 MAT(Mean Aquisiton Time) 특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의 MAT(Mean Aquisiton Time) 특성을 수치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Figure 112007080626519-pat00021
Figure 112007080626519-pat00022
을 이용한다. 여기서, T는
Figure 112007080626519-pat00023
Figure 112007080626519-pat00024
에 의해 계산된 시간 불확실성 영역에 대한 모든 테스트 셀에서 복조 출력을 얻기 위해 필요한 전체 진행 시간이다.
그리고 검색 윈도우 크기는
Figure 112007080626519-pat00025
Figure 112007080626519-pat00026
에 의해 구해진다. 그리고
Figure 112007080626519-pat00027
은 BS과 MS 간의 최대 거리이며, c는 빛의 속도이다.
그리고
Figure 112007080626519-pat00028
는 각 테스트 셀에서 상관기(correlator) 출력을 얻기 위해 필요한 진행 시간이고,
Figure 112007080626519-pat00029
는 검색 스텝 크기이다.
Figure 112007080626519-pat00030
는 검출 오류(miss detection)를 위한 평균 리셋 시간을 나타낸다.
도 2는 -18dB의 칩
Figure 112007080626519-pat00031
당 신호대간섭비(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에서 MAT 및
Figure 112007080626519-pat00032
상에서 송수신 빔형성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
Figure 112007080626519-pat00033
)은
Figure 112007080626519-pat00034
송신 안테나와
Figure 112007080626519-pat00035
수신 안테나가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송수신 빔형성 기반의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는 SISO(Single Input Single Output),MISO(Multiple Input Single Output),SIMO(Single Input Multiple Output) 케이스들에 비하여 향상된 특성을 갖는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MIMO 채널 모델의 간략한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에서의 송수신 빔형성에 따른 효과를 나타낸 PD 및 MAT 특성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송신 빔형성기 32. 송신 안테나 어레이
33. 수신 안테나 어레이 34. 상관기
35. 수신 빔형성기

Claims (7)

  1. CDMA-MIMO 시스템에 있어서,
    균일한 선형 어레이 형태로 복수개의 안테나들이 구성되는 송신 안테나 어레이; 상기 송신 안테나 어레이의 각각의 송신 안테나에 전송 빔형성을 위한 가중치 벡터를 인가하는 송신 빔형성기;를 포함하고 송신단이 구성되고,
    상기 송신단에서 빔 형성된 전송 신호가 무선 채널을 경유하여 입사되고, 균일한 선형 어레이 형태로 복수개의 안테나들이 구성되는 수신 안테나 어레이; 상기 수신 안테나 어레이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상관 처리하는 상관기; 상기 상관 처리된 신호에 가중치 벡터를 이용하여 빔 형성을 하는 수신 빔형성기;를 포함하고 수신단이 구성되고,
    수신단에서, N개 칩들의 주기 동안 칩 샘플들을 수집하고 이들을 k번째 유저의 지배 경로(dominant path)의 각 안테나 브렌치에 있는 수신 빔형성기 가중치 벡터의 I/Q 성분과 곱하여 I/Q 출력을 얻고, 구해진 지배 경로의 DOA 와 연관된 수신 어레이 응답벡터는 수신 빔형성을 위한 가중치 벡터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송신 빔형성기는 고정빔 형성기 또는 적응빔 형성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 빔 형성기는 고정빔 형성기 또는 적응빔 형성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송수신 안테나들은 Nt 및 Nr개의 균일한 선형 어레이 구조이고, 두 개의 인접한 안테나들 사이의 위상차는
    Figure 112009059596209-pat00036
    이고,
    Figure 112009059596209-pat00037
    는 각 신호 경로의 DOD(Direction Of Departure) 또는 DOA(Direction Of Arrival)로 정의하는 경우에,
    신호 송수신에 사용되는 MIMO 채널은,
    Figure 112009059596209-pat00038
    으로 정의되고,
    여기서,
    Figure 112009059596209-pat00039
    는 k번째 유저의 독립된 경로의 수(the number of independent paths of the kth user's)이고,
    Figure 112009059596209-pat00040
    Figure 112009059596209-pat00041
    는 각각 엔벨로프(envelope),위상(phase),DOA, k번째 유저의 q번째 경로 신호의 DO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Figure 112007080626519-pat00042
    Figure 112007080626519-pat00043
    는 송수신단에서의 k번째 유저의 q번째 경로 신호의 DOA와 DOD에 대한 어레이 응답 벡터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각각,
    Figure 112007080626519-pat00044
    Figure 112007080626519-pat00045
    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단에서, s번째 H1 셀에서 I/Q 수신 빔형성기 출력의 제곱합(squared sum)은,
    Figure 112009059596209-pat00046
    으로 구해지고, 여기서,
    Figure 112009059596209-pat00047
    는 k번째 사용자의 각 송신안테나로부터 PN 칩 당 시그널 에너지,
    Figure 112009059596209-pat00048
    는 s번째 H1 셀에서 k번째 사용자의 q번째 경로 시그널에서 타이밍에러,
    Figure 112009059596209-pat00049
    는 펄스 성형 필터(pulse-shaping matched-filter)의 출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
KR1020070114403A 2007-11-09 2007-11-09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 KR100942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403A KR100942219B1 (ko) 2007-11-09 2007-11-09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403A KR100942219B1 (ko) 2007-11-09 2007-11-09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158A KR20090048158A (ko) 2009-05-13
KR100942219B1 true KR100942219B1 (ko) 2010-02-11

Family

ID=40857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403A KR100942219B1 (ko) 2007-11-09 2007-11-09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2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4088A (ko) * 2005-05-30 200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송/수신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4088A (ko) * 2005-05-30 200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송/수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158A (ko)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7234B1 (en) Practical space-time radio method for CDMA communication capacity enhancement
CA2302547C (en) Practical space-time radio method for cdma communication capacity enhancement
US6477161B1 (en) Downlink beamforming approach for frequency division duplex cellular systems
EP1858175B1 (en) A method and equipment for realizing smart antenna in wcdma system
US6317586B1 (en) Method and base station for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6956841B1 (en) Receiver and method of receiving a desired signal
KR101015933B1 (ko) 수신기에서의 신호 분리를 지원하기 위한 전송 패턴 파동
US20040114695A1 (en) Interference rejection in a receiver
KR100453423B1 (ko) 무선 기지국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AU200430242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daptive antenna array scheme
CN1167218C (zh) 无线通信系统中应用智能天线和联合检测的接收机结构及其方法
CN101471709B (zh) 智能天线发射分集方法和装置
JP2006500834A (ja) スマートアンテナ及びそのビーム形成方法と装置
US20030130012A1 (en) Method and device for evaluating an uplink radio signal
KR100942219B1 (ko)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반의 cdma 신호 동기획득 장치
KR100554922B1 (ko) 다중 빔 기반의 다중경로 탐색장치 및 방법
CN1665161A (zh) 智能天线下行链路波束形成方法
WO2004013984A1 (en) Simple smart-antenna method and apparatus for mud-enabled cellular networks
Akbar et al. Bit error rate improvement using ESPRIT based beamforming and RAKE receiver
KR20020057594A (ko) 위상 추정을 이용한 스마트 안테나 장치
Kundu et al. DOA based adaptive beamforming with RAKE for TDSCDMA cellular networks
Morrison et al. An iterative DOA Algorithm for a space-time DS-CDMA rake receiver
Liu et al. A modified multitarget adaptive array algorithm for wireless CDMA system
Huang et al. Smart antenna and spatial diversity-combining
Haddad et al. BER performance of smart antenna systems operating over Rayleigh fading chan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