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41420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420B1
KR100941420B1 KR1020080015800A KR20080015800A KR100941420B1 KR 100941420 B1 KR100941420 B1 KR 100941420B1 KR 1020080015800 A KR1020080015800 A KR 1020080015800A KR 20080015800 A KR20080015800 A KR 20080015800A KR 100941420 B1 KR100941420 B1 KR 100941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detachable
guide
couns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0533A (ko
Inventor
전인철
김성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5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420B1/ko
Priority to US12/173,142 priority patent/US8190050B2/en
Priority to US12/206,003 priority patent/US8055150B2/en
Priority to CN200810168037XA priority patent/CN101515125B/zh
Priority to AT08165976T priority patent/ATE514977T1/de
Priority to EP08165976A priority patent/EP2110716B1/en
Priority to RU2008141220/28A priority patent/RU2399077C2/ru
Priority to CN200810170901.XA priority patent/CN101515126B/zh
Priority to EP08168523.2A priority patent/EP2112562B1/en
Publication of KR20090090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52Electr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6Electrical conn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15Cartridge systems for cleaning or developing but not being a process cartrid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84Projections on process cartridge for guiding mounting thereof in main mach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체와 상담지유닛 사이의 착탈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제1전기접속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되고, 제2전기접속부를 구비하는 상담지유닛;과, 상기 삼당지유닛의 제2전기접속부가 상기 본체의 제1전기접속부와 접속되도록 상기 상담지유닛을 삽입방향 및 측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담지유닛과 본체의 내측면 사이에 발생하는 간섭이 감소되어 착탈성능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와 착탈유닛 사이의 착탈구조를 개선하여 장착성능이 향상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유닛을 이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인쇄매체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전사유닛을 거쳐 인쇄매체에 전사되고, 인쇄매체로 전사된 화상은 정착과정을 통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전사과정에서 인쇄매체나 중간전사유닛으로 전사되지 않고 감광체에 잔류하는 현상제는 클리닝유닛에 의해 회수되어 현상제 저장유닛에 저장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에서 감광체유닛, 현상유닛, 전사유닛, 현상제 저장유닛 등은 교체 또는 보수를 위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본체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착탈유닛의 착탈유무를 감지하고 착탈유닛을 제어하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는 착탈유닛에 마련된 접점과 상기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본체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단자를 구비한다. 이때, 단자는 본체의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소정범위 진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착탈유닛의 측방향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착탈유닛을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착탈시킴으로써, 본체에 마련된 단자가 착탈유닛에 의해 마모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체 및 착탈유닛 사이에서 마찰 및 걸림 등 간섭이 지나치게 발생하므로, 착탈유닛의 착탈과정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장착감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와 착탈유닛 사이의 착탈구조를 개선하여 본체의 내측면에 마련된 단자의 마모가 감소되고, 파손이 방지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탈유닛을 착탈할 때 사용자가 느끼는 착탈감이 향상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제1전기접속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되고, 제2전기접속부를 구비하는 상담지유닛과, 상기 삼당지유닛의 제2전기접속부가 상기 본체의 제1전기접속부와 접속되도록 상기 상담지유닛을 삽입방향 및 측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상담지유닛 중 하나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상담지유닛 중 나머지 하나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삽입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는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상담지유닛은 상기 제1가이드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안내된 후, 상기 제2가이드부에서 삽입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기접속부는 상기 상담지유닛의 일측에 마련된 접점이고, 상 기 제2전기접속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진퇴가능 하도록 마련된 단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는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상기 상담지유닛에 마련되고, 상기 홈부를 이루는 양 측면 중 상기 접점에 인접하는 일측면은, 상기 제1가이드부의 입구에서 상기 제2가이드부의 입구로 갈수록 상기 접점이 마련된 상기 상담지유닛의 측면과 멀어지도록 형성되고, 제2가이드부에서는 상기 상담지유닛의 측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는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홈부를 이루는 양 측면 중 상기 단자로부터 더 먼 거리에 위치하는 일측면은 상기 제1가이드부의 입구에서 상기 제2가이드부의 입구로 갈수록 상기 단자가 마련된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가까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에서는 상기 본체의 상기 내측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담지유닛은 그 너비가 확장되는 확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기 접속부가 구비된 상기 본체 내측면의 개구부 측에 진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된 착탈유닛과, 상기 착탈유닛의 일측에 마련된 접점과, 상기 착탈유닛이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접점과 접속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단자와, 상기 착탈유닛을 장착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착탈유닛과 상기 단자가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로 삽입되기 시작한 후 상기 장착위치에 인접하여 상기 착탈유닛과 상기 단자가 서로 접하도록 안내된다.
이때,상기 가이드부는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가이드부에서 상기 착탈유닛은 삽입방향 및 측방향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2가이드부에서 상기 착탈유닛은 삽입방향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착탈유닛 또는 상기 본체 중 하나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상기 착탈유닛 또는 상기 본체 중 나머지 하나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의 폭은 상기 레일부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좁아지다 일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본 발명에 따른 상담지유닛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본체에 마련된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점과, 상기 접점이 상기 단자에 사선방향으로 접근하도록 상담지유닛을 삽입방향 및 측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마련된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담지유닛은 현상제 저장유닛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유닛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착탈가능 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마련된 단자와 접속되는 접점을 측면부에 구비하며, 상기 본체에 구비된 돌출부와 연결되어 착탈유닛을 장착위치로 안내하는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부에 의해, 측방향으로 상기 단자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삽입되기 시작하여, 상기 장착위치에 인접하여 상기 단자와 접하도록 안내된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단자가 착탈유닛에 접한 상태로 슬라이딩 되는 거리가 줄어들어 본체에 마련된 단자의 마모가 감소하고, 착탈유닛이 사선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단자를 점진적으로 압축하여 단자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접점이 마련된 착탈유닛의 측면과 단자가 형성된 본체의 내측면 사이의 간섭이 줄어들어, 사용자가 착탈유닛을 본체로부터 착탈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장착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0), 인쇄매체공급유닛(20), 광주사유닛(30), 감광체유닛(40), 현상유닛(50), 전사유닛(60), 현상제 저장유닛(70), 정착유닛(80) 및 인쇄매체 배출유닛(9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본체(10)의 일측에는 커버(11)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본 체(10)의 일부분을 개폐함으로써, 사용자가 본체(10)의 내부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인쇄매체 공급유닛(20)은 인쇄매체(S)가 보관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보관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인쇄매체(S)를 전사유닛(6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주사유닛(30)은 광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도록 투광부재(31)를 가지는 케이스(32)와, 케이스(32)의 내부에 장착되는 주사광학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사광학계는 화상 신호에 따라 광을 출사하는 광원(33)과, 광원(33)에서 출사된 광을 편향시키는 광편향기(34)와, 광편향기(34)에서 편향된 광에 포함된 수차를 보정하는 에프세타(fθ) 렌즈(35)와, 에프세타 렌즈(35)를 통과한 광을 감광체(41)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거울(36)을 구비한다.
광편향기(34)는 구동모터(34a)와, 이 구동모터(34a)에 의해 회전하는 폴리곤미러(34b)를 구비한다. 폴리곤미러(34b)는 그 측면에 복수의 반사면을 구비하여 광원(33)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편향 주사한다.
광원(33)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회전하는 폴리곤미러(34b)에 의해 편향되고, 에프세타 렌즈(35)를 거쳐 반사거울(36)에 의해 투광부재(31) 쪽으로 반사된다. 반사거울(36)에서 반사된 광은 투광부재(31)를 통과해 케이스(32)의 외부로 출사되어 광주사유닛(30)의 일측에 마련된 감광체(41)에 조사되고, 감광체(41)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유닛(40)은 감광체(41), 감광체 하우징(42) 및 대전롤러(43)를 포함하 여 구성된다.
감광체(41)는 감광체 하우징(4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광주사유닛(30)으로부터 광이 주사되기에 앞서 대전롤러(43)에 의해 소정 전위로 대전된다.
감광체 하우징(42)은 그 후방부에 요입 형성되는 손잡이부(44)를 가진다. 손잡이부(44)는 감광체유닛(40)의 착탈 시에 사용자가 감광체유닛(40)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현상유닛(50)은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50Y, 50M, 50C, 50K)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41)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각각의 현상기(50Y, 50M, 50C, 50K)는 현상제수용부(51), 공급롤러(52)와 현상롤러(53)를 가진다. 현상제수용부(51)에는 감광체(41)로 공급될 현상제가 저장되고, 공급롤러(52)는 현상제수용부(51)에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롤러(53)에 공급한다. 현상롤러(53)는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41)의 표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전사유닛(60)은 감광체유닛(50)과 같은 상담지(像擔持)유닛의 하나로서, 중간전사벨트(61), 제1전사롤러(62) 및 제2전사롤러(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간전사벨트(61)는 지지롤러들(64)(65)에 의해 지지되어 감광체(41)의 선속도와 동일한 선속도로 주행한다. 제1전사롤러(62)는 중간전사벨트(61)를 사이에 두고 감광체(41)와 마주하여 감광체(41)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중간전사벨트(61)로 전사되도록 한다. 제2전사롤러(63)는 중간전사벨트(61)를 사이에 두고 지지롤러(65)와 마주한다. 제2전사롤러(63)는 감광체(41)에서 중간전사벨트(61)로 화상이 전사되는 동안에는 중간전사벨트(61)로부터 이격되고, 감광체(41)의 화상이 중간전사벨트(61)로 완전히 전사되면 중간전사벨트(61)에 소정 압력으로 접촉된다. 제2전사롤러(63)가 중간전사벨트(61)와 접촉하면 중간전사벨트(61)의 화상이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현상제 저장유닛(70)은 한 사이클의 현상 및 전사과정을 마친 후에 감광체(41)의 표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회수하여 보관한다. 본 실시예의 현상제 저장유닛은 감광체유닛과 일체화 되었지만, 현상제 저장유닛은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정착유닛(80)은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81)와, 가열롤러(8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가압롤러(82)를 구비한다. 인쇄매체가 가열롤러(81)와 가압롤러(82) 사이를 통과할 때, 가열롤러(81)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81)와 가압롤러(82)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화상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인쇄매체 배출유닛(90)은 배지롤러(91)와 배지백업롤러(92)를 구비하여 정착유닛(80)을 통과한 인쇄매체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한다. 인쇄동작이 시작되면, 감광체(41)의 표면은 대전롤러(43)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41)의 표면에는 광주사유닛(30)으로부터 어느 한 색상, 예를 들어 옐로우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이 조사되고, 감광체(41)에는 옐로우 색상의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점상이 형성된다.
이어서 옐로우 현상기(50Y)의 현상롤러(53)에는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가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감광체(41)에는 옐로우 색상의 가시화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시화상은 제1전사롤러(62)에 의해 중간전사벨트(61)로 전사된다.
옐로우 색상에 대한 한 페이지 분량의 전사가 완료되면, 광주사유닛(30)은 다른 한 색상, 예를 들어 마젠타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감광체(41)에 주사하여 마젠타 색상의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마젠타 현상기(50M)는 정전잠상에 마젠타 색상의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41)에 형성된 마젠타 색상의 가시화상은 제1전사롤러(62)에 의해 중간전사벨트(61)로 전사되는데, 이 때 마젠타 색상의 가시화상은 먼저 전사되어 있던 옐로우 색상의 가시화상 위에 중첩된다.
시안 및 블랙 색상에 대하여도 위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면, 중간전사벨트(61)에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색상의 화상이 중첩된 칼라화상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칼라화상은 중간전사벨트(61)와 제2전사롤러(63)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S)로 전사되고, 인쇄매체(S)는 정착유닛(80)과 인쇄매체 배출유닛(90)을 거쳐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위와 같은 과정에서, 인쇄매체가 롤러에 걸리는 등 오작동이 발생하거나 부품의 수명이 다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 경우 수리 또는 부품교체를 위하여 감광체유닛(40), 현상유닛(50), 전사유닛(60)과 같은 부품들을 착탈시킬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감광체유닛(40), 현상유닛(50), 전사유닛(60) 등의 착탈유닛 중에서 감 광체유닛(40)의 착탈구조를 예시적으로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본체와 감광체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감광체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감광체유닛의 착탈구조 및 결합동작을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한 상태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체 하우징(42)은 일 측면(42s)에 접점(45)을 구비하고, 본체(10)는 소정범위 진퇴 가능하도록 내측면(10s)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된 단자(15)를 구비한다. 감광체유닛(40)이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단자(15)와 접점(45)은 서로 접속된다. 이에 의해, 감광체유닛(40)의 장착여부가 감지되고, 감광체유닛(40)의 내부에 전장부품이 설치될 경우 이러한 전장부품에 대한 전기적 제어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단자(15)는 본체(10)의 내측면(10s)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감광체유닛(4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단자(15)의 마모 또는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이러한 단자(15)의 마모를 최소화하고 단자(15)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광체유닛(40)을 삽입방향(X) 및 측방향(Y)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10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삽입방향(X)이란 본체(10)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를 향하고 본체(10)의 내측면(10s)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고, 측방향(Y)이란 상기 삽입방향(X)에 직교하고 본체(10) 중앙부에서 단자(15)가 마련된 내측면(10s)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미설명부호 45는 광주사유 닛(30)으로부터 주사된 광이 감광체(41)에 도달되도록 감광체 하우징(42)에 형성된 광창부를 나타낸다.
가이드부(100)는 감광체 하우징(42)의 하면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홈부(120) 및 상기 홈부(120)에 삽입되도록 플레이트(12)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110)를 구비한다. 플레이트(12)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어 감광체유닛(40) 등의 부품을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110)는 삽입방향(X)으로 길게 연장된 레일형태를 이루고 있지만, 돌출부(11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돌출부는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홈부(120)는 제1가이드부(121) 및 제2가이드부(122)를 구비한다. 그리고, 홈부(120)를 이루는 양 측면 중 접점(45)에 인접하는 일측면(125)은, 제1가이드부(121)의 입구(121a)에서 제2가이드부(122)의 입구(122a)로 갈수록 접점(45)이 마련된 감광체 하우징(42)의 측면(42s)과 멀어지도록 형성되고, 제2가이드부(122)에서는 상기 측면(42s)과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홈부(120)의 상기 일측면(125)은 제1가이드부(121)에서 직선형태를 이루지만, 곡선형태로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0)의 선단부가 제1가이드부(121)의 상기 일측면(125)에 인접한 상태에서, 감광체유닛(40)을 본체(10)를 향해 밀면 감광체유닛(42)은 제1가이드부(121)에 의해 사선방향(d1), 즉 삽입방향(X)으로부터 소정각도(α)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된 후, 제2가이드부(122)에서 장착위 치를 향해 삽입방향(X)으로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감광체유닛(40)은 감광체유닛(40)과 단자(15)가 측방향(Y)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삽입방향(X) 및 측방향(Y)으로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장착위치에 인접하여 감광체 하우징(42)과 단자(15)가 서로 접하게 된다. 이에 의해, 단자(15)가 감광체유닛(40)에 접한 상태로 슬라이딩 되는 거리가 줄어들어 단자(15)의 마모가 감소되고, 감광체유닛(40)이 사선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단자(15)를 점진적으로 압축하여 단자(15)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접점(45)이 마련된 감광체 하우징의 측면(42s)과 단자(15)가 마련된 본체(10) 내측면(10s) 사이의 간섭이 줄어들어, 사용자가 감광체유닛(40)을 본체(10)의 내부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장착감이 향상된다.
제1가이드부(121)의 너비(w1)는 돌출부가 삽입되는 방향, 즉 제1가이드부(121)의 입구(121a)에서 제2가이드부(122)의 입구(122a)를 향하는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제2가이드부(122)의 너비(w2)는 일정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돌출부(110)를 제1가이드부(121)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한편으로 장착위치(P)에 인접한 제2가이드부(122)에서는 감광체유닛(40)의 안정된 안내가 보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광체 하우징(42)은 너비에 따라 제1너비부(42a), 확장부(42b) 및 제2너비부(42c)를 구비하며, 제1너비부(42a), 확장부(42b) 및 제2너비부(42c) 순서로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제1너비부(42a)가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감광체유닛(40)을 본체(10) 측으로 밀면 감광체유닛(40)은 제1가이드부(121)에 의해 사선방향(d1)으로 안내된다. 즉, 삽입방향(X)으로 전진하는 동시에 단자(15)를 향하여 측방향(Y) 이동한다. 이때, 감광체유닛(40)이 측방향(Y)으로 이동하는 거리에 상응하여 감광체 하우징(42)의 너비는 접점(45) 반대측으로 확장되어 확장부(42b)를 형성된다. 이후, 제2가이드부(122)에서 감광체 하우징(42)이 삽입방향(X)으로 전진함에 따라, 제2너비부(42c)가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종래 화상형성장치와 비교하여 본체의 폭을 늘리지 않고도 감광체유닛을 측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화상형성장치 본체 내부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감광체유닛의 착탈구조 및 결합동작을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한 상태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돌출부(210) 및 홈부(220)를 구비하는 가이드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하나 이상의 홈부(220)가 플레이트(12)에 마련되고, 상기 홈부(220)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210)가 감광체 하우징(42)의 하면에 마련되는 점이 제1실시예와 상이하다.
홈부(220)를 이루는 양 측면 중 단자(15)로부터 더 먼 거리에 위치하는 일측면(225)이 절곡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홈부(220)의 일측면(225)은 제1가이드부(221)의 입구(221a)에서 제2가이드부(222)의 입구(222a)로 갈수록 단자(15)가 마련된 본체(10)의 내측면(10s)과 가까워지도록 형성되고, 제2가이드부(222)에서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10s)과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210)의 선단부는 제1가이드부(221)에서 상기 일측면(225)을 따라 슬라이딩 되다 제2가이드부(222)로 진입된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의 감광체유닛(40)은 제1가이드부(221)에서 사선방향(d2), 즉 삽입방향(X) 및 측방향(Y)으로 동시에 안내되고, 제2가이드부(222)에서는 삽입방향(X)으로 안내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감광체유닛의 착탈구조 및 결합동작을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한 상태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는 단자(15)가 마련된 내측면(10s)의 개구부(13) 측에 진퇴부재(300)를 더 포함한다. 진퇴부재(300)는 탄성부재(310)에 의해 지지되고, 감광체유닛(4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감광체 유닛(40)에 의해 밀려져서 측방향(Y)으로 후퇴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진퇴부재(300)에 의하여, 감광체 하우징(42)의 측면(42s)이 단자(15)가 마련된 본체(10)의 내측면(10s)에 인접한 상태에서 감광체유닛(40)이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탄성부재(310)가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퇴부재(310)와 본체(10)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13)의 너비(w3)는 감광체 하우징(42)의 제1너비부(42a)의 너비(w4)에 상응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감광체유닛(40) 및 본체의 착탈구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착탈구조는 현상유닛(50), 전사유닛(60) 등의 다른 착탈유닛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본체와 감광체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감광체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감광체유닛의 착탈구조 및 결합동작을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한 상태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감광체유닛의 착탈구조 및 결합동작을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한 상태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감광체유닛의 착탈구조 및 결합동작을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한 상태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본체 20 : 인쇄매체 공급유닛
30 : 광주사유닛 40 : 감광체유닛
41 : 감광체 42 : 감광체 하우징
50 : 현상유닛 60 : 전사유닛
70 : 현상제 저장유닛 80 : 정착유닛
90 : 인쇄매체 배출유닛 100 : 가이드부
110 : 돌출부 120 : 홈부
121 : 제1가이드부 122 : 제2가이드부
300 : 진퇴부재

Claims (18)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전기접속부;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담지유닛;과
    상기 상담지유닛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담지유닛이 상기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1전기접속부에 접속되는 제2전기접속부;와
    상기 상담지유닛의 장착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상담지유닛이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상담지유닛의 상기 일측이 상기 본체의 상기 내측면을 향하는 방향인 측방향으로 이동하며 삽입되도록 상기 상담지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상담지유닛 중 하나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상담지유닛 중 나머지 하나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삽입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담지유닛은 상기 제1가이드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안내된 후, 상기 제2가이드부에서 삽입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기접속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진퇴가능하도록 마련된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기접속부는 상기 상담지유닛의 상기 일측에 마련된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상기 상담지유닛에 마련되고,
    상기 홈부를 이루는 양 측면 중 상기 접점에 인접하는 일측면은, 상기 제1가이드부의 입구에서 상기 제2가이드부의 입구로 갈수록 상기 접점이 마련된 상기 상담지유닛의 측면과 멀어지도록 형성되고, 제2가이드부에서는 상기 상담지유닛의 측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홈부를 이루는 양 측면 중 상기 단자로부터 더 먼 거리에 위치하는 일측면은 상기 제1가이드부의 입구에서 상기 제2가이드부의 입구로 갈수록 상기 단자가 마련된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가까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에서는 상기 본체의 상기 내측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지유닛은 그 너비가 확장되는 확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기접속부가 구비된 상기 본체 내측면의 개구부 측에 진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된 착탈유닛;과
    상기 착탈유닛의 일측에 마련된 접점;과
    상기 착탈유닛이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착탈유닛의 상기 접점과 측방향으로 마주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단자;와
    상기 착탈유닛을 장착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유닛이 상기 본체로 삽입되기 시작할 때, 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착탈유닛의 일측이 상기 측방향에 대해 상기 단자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착탈유닛이 상기 본체에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착탈유닛의 일측이 상기 단자에 접하도록 상기 착탈유닛의 상기 측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가이드부에서 상기 착탈유닛은 사선방향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2가이드부에서 상기 착탈유닛은 삽입방향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착탈유닛 또는 상기 본체 중 하나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상기 착탈유닛 또는 상기 본체 중 나머지 하나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폭은 상기 레일부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좁아지다 일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내측면에 단자가 마련된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상담지유닛에 있어서,
    측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상담지유닛이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단자에 접속되는 접점;과
    상기 상담지유닛이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상담지유닛의 상기 일측이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향해 측방향으로 이동하며 삽입되도록 상기 상담지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담지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마련된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담지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현상제 저장유닛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담지유닛.
  17.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착탈가능 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마련된 단자와 접속되는 접점을 측면부에 구비하는 착탈유닛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구비된 돌출부와 연결되어 착탈유닛을 장착위치로 안내하는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유닛이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착탈유닛의 접점은 상기 본체의 단자와 측방향으로 마주하고,
    상기 착탈유닛이 상기 본체로 삽입되기 시작할 때, 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착탈유닛의 측면부가 상기 측방향에 대해 상기 단자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착탈유닛이 상기 본체에 삽입될 때, 상기 홈부는 상기 착탈유닛의 측면부가 상기 단자에 접하도록 상기 착탈유닛의 상기 측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유닛.
  18. 제1전기접속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되고, 제2전기접속부를 구비하는 상담지유닛;과
    상기 상담지유닛의 제2전기접속부가 상기 본체의 제1전기접속부와 접속되도록 상기 상담지유닛을 삽입방향 및 측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상담지유닛을 사선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상담지유닛을 삽입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80015800A 2008-02-21 2008-02-21 화상형성장치 KR100941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800A KR100941420B1 (ko) 2008-02-21 2008-02-21 화상형성장치
US12/173,142 US8190050B2 (en) 2008-02-21 2008-07-15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mounting/demounting structure
US12/206,003 US8055150B2 (en) 2008-02-21 2008-09-08 Image forming apparatus and frame unit thereof including a particle management device
CN200810168037XA CN101515125B (zh) 2008-02-21 2008-09-25 成像设备及其框架单元
AT08165976T ATE514977T1 (de) 2008-02-21 2008-10-07 Bilderzeugungsvorrichtung
EP08165976A EP2110716B1 (en) 2008-02-21 2008-10-07 Image forming apparatus
RU2008141220/28A RU2399077C2 (ru) 2008-02-21 2008-10-16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CN200810170901.XA CN101515126B (zh) 2008-02-21 2008-10-16 成像设备
EP08168523.2A EP2112562B1 (en) 2008-02-21 2008-11-06 Image Forming Apparatus and Frame Unit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800A KR100941420B1 (ko) 2008-02-21 2008-02-21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533A KR20090090533A (ko) 2009-08-26
KR100941420B1 true KR100941420B1 (ko) 2010-02-10

Family

ID=40951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800A KR100941420B1 (ko) 2008-02-21 2008-02-21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90050B2 (ko)
EP (1) EP2110716B1 (ko)
KR (1) KR100941420B1 (ko)
CN (2) CN101515125B (ko)
AT (1) ATE514977T1 (ko)
RU (1) RU239907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143B1 (ko) * 2008-02-21 2009-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감광체유닛, 현상제저장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JP5644391B2 (ja) * 2010-11-09 2014-12-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気接続構造、画像形成装置
US8879953B2 (en) 2012-06-25 2014-11-04 Lexmark International, Inc. Retainer assembly having positioning features for processing circuitry used within an image forming device supply item
US9740163B2 (en) * 2013-09-29 2017-08-22 Ninestar Corporation Rotational force driving assembly process cartridge
US9360834B1 (en) * 2015-09-15 2016-06-07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positioning features for electrical contacts
JP6520833B2 (ja) * 2016-06-08 2019-05-2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画像形成装置
JP7046537B2 (ja) * 2016-11-01 2022-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234613B2 (ja) * 2018-12-07 2023-03-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エアーダクト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90757A (en) 1986-05-20 1987-11-25 Sharp Kk Image forming equipment
JPH0496073A (ja) * 1990-08-10 1992-03-27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20040005245A (ko) * 2002-07-09 200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의 감광유닛 및 전사유닛 교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8461A (en) * 1980-11-22 1982-06-02 Canon Inc Picture formation device
US4501484A (en) * 1981-08-19 1985-02-26 Ricoh Company, Ltd. Photoconductive element cleaning apparatus and residual toner collecting apparatus
JPS6448086A (en) * 1987-08-18 1989-02-22 Seiko Epson Corp Cleaning device
JP3352155B2 (ja) 1992-06-30 2002-12-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324606A (ja) * 1993-05-13 1994-11-2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クリーニング装置
JP2000305341A (ja) * 2000-01-01 2000-11-0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320403B2 (ja) * 2000-06-28 2002-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840063B2 (ja) 2001-04-27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136729B2 (ja) * 2003-03-07 2008-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625470B1 (ja) * 2003-09-30 2005-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139507B2 (en) * 2004-03-22 2006-11-21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mounting and demounting process cartridge
KR20070095491A (ko) * 2005-09-22 2007-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KR100793960B1 (ko) 2005-09-26 2008-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스 카트리지, 그것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방법
KR100726441B1 (ko) * 2005-11-22 2007-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90757A (en) 1986-05-20 1987-11-25 Sharp Kk Image forming equipment
JPH0496073A (ja) * 1990-08-10 1992-03-27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20040005245A (ko) * 2002-07-09 200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의 감광유닛 및 전사유닛 교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10716A1 (en) 2009-10-21
CN101515125A (zh) 2009-08-26
CN101515125B (zh) 2013-12-11
CN101515126A (zh) 2009-08-26
RU2008141220A (ru) 2010-04-27
CN101515126B (zh) 2014-02-26
US20090214248A1 (en) 2009-08-27
ATE514977T1 (de) 2011-07-15
KR20090090533A (ko) 2009-08-26
EP2110716B1 (en) 2011-06-29
US8190050B2 (en) 2012-05-29
RU2399077C2 (ru) 201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420B1 (ko) 화상형성장치
US7421225B2 (en) Developing cartridge detachable from image forming device
EP1600826B1 (en)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455320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에 분리가능하게 부착가능한프로세스 카트리지
US6678491B2 (en) Optical electric charge removal device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7761023B2 (en) Developer cartridge, process unit, and image formation device
JP2007199649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RU2302027C2 (ru) Обрабатывающий картридж и устройство созд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KR102234062B1 (ko) 광학 프린트 헤드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JP2009119805A (ja) 画像形成装置
US830105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main unit and process cartridge
JP4423573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US8185033B2 (en) Photosensitive body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9197178A (ja) 画像形成装置
JP4968280B2 (ja) 画像露光装置の清掃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296506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ベルトユニット
JP2019195975A (ja) 画像形成装置
US11953842B2 (en) Light guide device, drum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CN116107182A (zh) 程序盒及图像形成装置
US11971667B2 (en) Light guide device, drum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device including light guide device
JP746808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48246A (ja) 露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7649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1056446A (ja) 光学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129330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3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