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41056B1 - Input device of elevator - Google Patents

Input device of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056B1
KR100941056B1 KR1020070069759A KR20070069759A KR100941056B1 KR 100941056 B1 KR100941056 B1 KR 100941056B1 KR 1020070069759 A KR1020070069759 A KR 1020070069759A KR 20070069759 A KR20070069759 A KR 20070069759A KR 100941056 B1 KR100941056 B1 KR 100941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elevator
wiring board
printed wiring
serial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7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06428A (en
Inventor
임응규
Original Assignee
(주)한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기술 filed Critical (주)한기술
Priority to KR1020070069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056B1/en
Publication of KR20090006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4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056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3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 장치는 상부 인쇄배선판의 상면에 위치한 복수의 터치 버튼 및 상기 상부 인쇄배선판의 하면에 상기 각 터치 버튼들에 대응되도록 실장되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입력부; 하부 인쇄배선판의 일면에 상기 각 터치 버튼들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와 출력부 사이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 장치는 인쇄배선판에 직접 터치 버튼을 형성하여 생산 공정을 단순화하고, 별도의 외부 배선을 제거하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of an elevator. An input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touch buttons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an upper printed wiring board and a plurality of touch sensor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rinted wiring board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touch buttons. ; An out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lower printed wiring board to correspond to the touch buttons; And a connector connected between the input unit and the output unit to transmit data. The input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simplifying the production process by forming a touch button directly on the printed wiring board and reducing costs by removing extra external wiring.

엘리베이터, 버튼, 터치 센서 Elevator, button, touch sensor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입력 장치{INPUT DEVICE OF AN ELEVATOR}Input device of elevator {INPUT DEVICE OF AN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버튼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인식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of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vator input device that can recognize the button input of the elevator as an electrical signal.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로프나 유압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본체를 상하로 이동시켜 사람 또는 물건을 운송하는 수단이다. 엘리베이터에는 승객이 가고자하는 층이나 도어의 개폐상태를 조작하기 위하여 복수의 누름 버튼이 엘리베이터의 카 내부 및 엘리베이터의 홀에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an elevator is a means for transporting a person or object by moving the elevator body up and down by a rope or a hydraulic device. In the elevator, a plurality of push buttons are provided in the elevator car and in the elevator hall for manipulating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floor or door to which the passenger wants to go.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누름 버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push button of a conventional elevator.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누름 버튼은 기계식 접점 구조를 채용한 스위치 방식으로, 층 번호 또는 도어의 열림/닫힘 표시가 각인된 버튼(10), 스프링(20), 스위치(30) 및 LED 램프(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push button of a conventional elevator is a switch method employing a mechanical contact structure, and includes a button 10, a spring 20, a switch 30 and a floor number or an open / close mark of a door. LED lamp 40 is included.

승객이 버튼(10)을 누르면 버튼(10) 내부에 있는 스프링(20)이 가압되면서 스위치(30)가 기계적으로 눌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스위치(30)는 접점 상태가 되 고, 이 신호가 제어장치(미도시)로 전달된다. When the passenger presses the button 10, the switch 30 is mechanically pressed while the spring 20 inside the button 10 is pressed. As a result, the switch 30 is brought into a contact state, and this signal is transmitted to a control device (not shown).

승객이 버튼(10)을 놓으면 내부 스프링(20)에 의해 버튼(10)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스위치(30)의 접점 신호에 따라 LED 램프(40)를 발광시킨다. 따라서, 해당 버튼(10)으로 빛이 새어나와 버튼(10)에 각인된 층 번호 등이 표시되게 된다.When the passenger releases the button 10, the button 1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inner spring 20, and the control unit emits the LED lamp 40 according to the contact signal of the switch 30. Therefore, light leaks to the corresponding button 10, and the floor number and the like imprinted on the button 10 are displayed.

그러나, 이러한 기계식 구조의 누름 버튼(10)은 승객에 의해 무리하게 사용되면 스위치(30) 접점의 마모에 의한 접속 불량으로 오동작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각 버튼(10)이 유동되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버튼들(10)을 고정시키기 위한 외부 케이스를 별도로 마련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push button 10 of the mechanical structure is used by the passenger by force, a malfunction may occur due to a poor connection due to wear of the switch 30 contact, and each button 10 may flow out and be release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external case for fixing the buttons 10 in order to prevent the need to be provided separately.

또한, 버튼(10) 자체의 기구적 이상으로 인해 버튼(10)이 끼이는 현상이 발생하고, 버튼(10), 스프링(20) 및 기계적 스위치(30) 등을 인쇄회로기판에 결합하는 경우 그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phenomenon that the button 10 is pinched due to the mechanical abnormality of the button 10 itself, when the button 10, the spring 20 and the mechanical switch 30, etc. are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 was a problem of becoming bulky.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광 스위치를 이용한 누름 버튼은 광 스위치의 기구적 구조가 복잡하고, 자연광선에 대한 오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the push button using the optical switch designed to solve this problem has a problem that the mechanical structure of the optical switch is complicated, and a separate program for controlling the malfunction of natural light is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배선판에 직접 터치 버튼을 형성하여 생산 공정을 단순화하고, 별도의 외부 배선을 제거하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input device that can form a touch button directly on the printed wiring board to simplify the production process and reduce costs by eliminating extra external wir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 버튼의 신호를 전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input device that can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signal of the touch button electrically and can be used semi-permanent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 감도 조절이 가능한 터치 센서를 적용하여 승객이 장갑을 끼고 신호를 입력하거나 전면에 보호커버가 씌워져 있어도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으며, 온도 및 습도 변화의 사용 환경에 강한 엘리베이터의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a touch sensor that can adjust the sensitivity automatically, even if the passenger wearing a glove input signal or a protective cover on the front can operate accurately, and the elevator is strong in the use environment of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s It is to provide an input dev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 장치는 상부 인쇄배선판의 상면에 위치한 복수의 터치 버튼 및 상기 상부 인쇄배선판의 하면에 상기 각 터치 버튼들에 대응되도록 실장되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입력부; 하부 인쇄배선판의 일면에 상기 각 터치 버튼들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와 출력부 사이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nput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ouch button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an upper printed wiring board and a plurality of touch button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rinted wiring board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touch buttons. An input unit including a touch sensor; An out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lower printed wiring board to correspond to the touch buttons; And a connector connected between the input unit and the output unit to transmit data.

상기 입력부는, 상기 터치 센서들의 입력을 제어하는 제1시리얼 데이터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시리얼 데이터 변환부가 상기 터치 센서들의 입력을 시 리얼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출력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erial data converter configured to control input of the touch sensors, and the first serial data converter converts the inputs of the touch sensors into serial data and transmits the serial data to the output unit through th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시리얼 데이터 입력을 제어하는 제2시리얼 데이터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시리얼 데이터 변환부가 상기 시리얼 데이터를 해당 발광 소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erial data converter configured to control serial data input from the input unit, and the second serial data converter may transmit the serial data to the corresponding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 장치는 인쇄배선판에 직접 터치 버튼을 형성하여 생산 공정을 단순화하고, 별도의 외부 배선을 제거하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input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simplifying the production process by forming a touch button directly on the printed wiring board and reducing costs by removing extra external wir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 장치는 터치 버튼의 신호를 전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input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configured to transmit the signal of the touch button electrical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 장치는 자동 감도 조절이 가능한 터치 센서를 적용하여 승객이 장갑을 끼고 신호를 입력하거나 전면에 보호커버가 씌워져 있어도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으며, 온도 및 습도 변화의 사용 환경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nput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touch sensor capable of adjusting the automatic sensitivity can be operated accurately even if the passenger wearing a glove or a protective cover on the front, the environment of us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stro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 장치는 인쇄배선판에 다양한 디자인 및 색상으로 터치 버튼을 형성할 수 있으며, 터치 버튼이 인쇄배선판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얇은 두께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nput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touch button in a variety of designs and colors on the printed wiring board, the touch button is formed integrally on the printed wiring board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manufactured in a thin thicknes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 장 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상세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put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 장치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vato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put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 장치는 크게 입력부(200)와 출력부(300)로 나뉘며, 입력부(200)와 출력부(300)를 연결하는 커넥터(400)를 포함한다.2 and 3, an input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n input unit 200 and an output unit 300, and a connector connecting the input unit 200 and the output unit 300. 400.

입력부(200)는 상부 인쇄배선판(210)에 형성된 복수의 터치 버튼(220) 및 복수의 터치 센서(230)를 포함한다.The input uni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touch buttons 220 and a plurality of touch sensors 230 formed on the upper printed wiring board 210.

터치 버튼들(220)은 상부 인쇄배선판(210)에 직접 형성되며, 예를 들어, 에칭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그 외형을 형성한다. 터치 버튼들(220)의 색상은 상부 인쇄배선판(210)의 실크 인쇄 색상에 따른다. The touch buttons 220 are directly formed on the upper printed wiring board 210, and the outer buttons are formed by, for example, etching. The color of the touch buttons 220 depends on the silk printing color of the upper printed wiring board 210.

각 터치 버튼들(2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의 번호, 도어의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버튼 등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각 터치 버튼들(220)은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일반적인 버튼 형태 외에 조그 셔틀 형태의 로타리 스위치 타입의 버튼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조그 셔틀 형태의 버튼은 고층 엘리베이터의 경우와 같이, 버튼이 다수 구비되어야 하는 엘리베이터에서 장애인이나 키가 작은 어린이 등이 버튼을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입력 장치의 하단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illustrated in FIG. 3, each of the touch buttons 220 includes a number of each floor, a button indicating an open state and a closed state of the door, and the like. to be. For example, each touch button 220 may further include a rotary switch type button of a jog shuttle type in addition to the general button type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og shuttle type buttons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input device so that a disabled person or a short child can easily press the button in an elevator that requires a large number of buttons, as in a high-rise elevator.

한편, 터치 버튼들(220)이 상부 인쇄배선판(210)에 직접 형성되지 않고, 별도의 금형 사출품 등으로 금속 기판에 형성된 후 상부 인쇄배선판(210)에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별도로 형성된 터치 버튼들(220)과 상부 인쇄배선판(210) 사이에는 전기적 신호가 전송될 수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Meanwhile, the touch buttons 220 may not be directly formed on the upper printed wiring board 210, but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printed wiring board 210 after being formed on a metal substrate as a separate mold injection product. In this ca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ctrical signal can be transmitted between the separately formed touch buttons 220 and the upper printed wiring board 210.

터치 센서들(2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터치 버튼(220)의 위치에 상응하여, 상부 인쇄배선판(210)의 하부에 실장된다. 이와 같이, 상부 인쇄배선판(210)에 직접 터치 버튼들(220)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터치 센서들(230)이 실장되므로, 별도의 배선으로 터치 버튼들(220)과 터치 센서들(230)을 연결하지 않아도 전기적인 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touch sensors 230 ar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rinted wiring board 210 in correspondence with the position of each touch button 220. As such, since the touch buttons 220 are directly formed on the upper printed wiring board 210 and the touch sensors 230 are mounted on the lower printed wiring board 210, the touch buttons 220 and the touch sensors 230 are separately wir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electrical signal can be transmitted even without connecting).

또한, 터치 센서들(230)은 자동 감도 조절이 가능한 정전식 터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센서는 터치 센서를 누를 때 캐패시턴스(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의 입력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로, 본 발명의 터치 센서(230)는 신호의 입력 여부를 감지하는 캐패시터(Capacitor)의 기준 값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uch sensors 230 may use a capacitive touch sensor capable of automatic sensitivity adjustment. The capacitive touch sensor is a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capacitance by pressing a touch sensor and detects whether a signal is input, and the touch sensor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pacitor that detects whether a signal is inpu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erence value can be adjusted.

예를 들어, 해당 터치 센서가 설치되는 환경의 온도나 습도를 고려하여 캐패시터의 기준 값을 설정하거나, 터치 버튼들(220)의 외면에 보호 커버가 씌워지는 경우를 고려하여 캐패시터의 기준 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장갑 등을 끼고 터치 버튼들(220)을 눌렀을 경우에도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캐패시터의 기준 값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reference value of the capacitor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corresponding touch sensor is installed, or the reference value of the capacitor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the protective covers are cover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touch buttons 220. In addition, even when the touch buttons 220 are pressed while wearing gloves, a reference value of the capacitor may be set to detect an input signal.

한편, 출력부(300)는 하부 인쇄배선판(310)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 소자(320) 및 발광 소자들(320) 사이를 구획하는 빛 차단막(330)을 포함한다.The output unit 300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320 mounted on the lower printed wiring board 310 and a light blocking film 330 partitioning between the light emitting devices 320.

발광 소자들(320)은 입력부(200)의 터치 버튼들(220)의 위치와 상응하도록 실장되며, 하나의 터치 버튼(220)을 조명하는 발광 소자들(320)의 수는 제한됨이 없다.The light emitting devices 320 are mount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touch buttons 220 of the input unit 200, and the number of light emitting devices 320 illuminating one touch button 220 is not limited.

발광 소자들(320)은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light emitting devices 320 may include,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diode (L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빛 차단막(330)은 각 터치 버튼들(220)을 조명하는 발광 소자들(320) 사이를 구획하여, 발광 소자들(320)이 조명될 때, 해당 터치 버튼(220) 이외로 빛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light blocking layer 330 is partition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devices 320 that illuminate the touch buttons 220, and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s 320 are illuminated, light is diffused to other than the corresponding touch button 220. It plays a role in preventing things.

한편, 커넥터(400)는 입력부(200)와 출력부(300)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200)와 출력부(300)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한의 연결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or 400 is a component that connects between the input unit 200 and the output unit 300, as shown in Figure 2, at least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input unit 200 and the output unit 300 The connection is made.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입력 장치의 보다 상세한 구성 및 동작 원리에 대해 상술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structure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input device of the elevator comprised in this way are explained in full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입력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입력 장치의 입력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입력 장치의 출력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및 회로도이다.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elevato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unit of the elevato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block diagrams and circuit diagram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output unit of an elevato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입력 장치는, 입력부(200)와 출력부(300)의 제어 및 이들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0), 터치 버튼 입력 회로(110), 발광 소자 출력 회로(120), 음성 안내 증폭기(130), 스피커(140) 및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1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elevator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00 and a touch button input circuit 110 for controlling the control of the input unit 200 and the output unit 300 and data transmission therebetween. , A light emitting device output circuit 120, a voice guide amplifier 130, a speaker 140,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circuit 150.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제어부(100), 터치 버튼 입력 회로(110), 발광 소자 출력 회로(120), 음성 안내 증폭기(130) 및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150)는 출력부(300)에, 스피커(140)는 입력부(200)에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00, the touch button input circuit 110, the light emitting device output circuit 120, the voice guide amplifier 130, and the communication interface circuit 150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300. 140 may be formed in the input unit 200.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입력 장치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터치 버튼(220)의 누름에 따라 해당 터치 버튼(220)에 상응하는 발광 소자(320)가 조명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해당 터치 버튼(220)에 관한 정보를 엘리베이터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로 전송하여 엘리베이터가 이에 따라 동작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levator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trols the light emitting device 320 corresponding to the touch button 220 to be illuminated as the touch button 220 is pressed. In addition,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touch button 220 is transmitted to a controller (not shown) that controls the entire elevator system so that the elevator operates accordingly.

터치 버튼 입력 회로(110)는 커넥터(400)를 통해 전송되는 입력부(200)의 터치 버튼 누름 신호를 입력받는 부분이다. The touch button input circuit 110 is a part for receiving a touch button press signal of the input unit 200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or 400.

더욱 상세하게는, 도 5를 참조하면, 입력부(200)의 각 터치 버튼(220)의 신호를 인식하는 터치 센서들(230)은 제1시리얼 데이터 변환기(240)에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1시리얼 데이터 변환기(240)에 8개의 터치 센서 1 내지 8(230)이 연결될 수 있으며, 각 터치 센서들(230)에서 인식한 신호는 제1시리얼 데이터 변환기(240)를 거치면서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되고, 상기 시리얼 데이터가 커넥터(400)를 통해 터치 버튼 입력 회로(110)로 전송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5, touch sensors 230 that recognize signals of each touch button 220 of the input unit 200 are connected to the first serial data converter 240. For example, eight touch sensors 1 to 8 230 may be connected to one first serial data converter 240, and the signals recognized by the touch sensors 230 may be the first serial data converter 240. Through the conversion to the serial data, the serial data is transmitted to the touch button input circuit 110 through the connector 400.

이와 같이, 복수의 터치 센서들(230)이 하나의 제1시리얼 데이터 변환기(240)를 통해 제어되므로, 터치 센서들(230)을 용이하게 증설하고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such, since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s 230 are controlled through one first serial data converter 240, the touch sensors 230 may be easily expanded and controlled.

한편,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터치 버튼 입력 회로(110)를 통해 입력된 시리얼 데이터는 발광 소자 출력 회로(120)로 전송된다. 발광 소자 출력 회로(120)는 상기 시리얼 데이터(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발광 소자(320)로 이를 전송해주는 부분이다.Meanwhile, referring back to FIG. 4, the serial data input through the touch button input circuit 110 is transmitt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output circuit 120. The light emitting device output circuit 120 receives the serial data (drive signal)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320.

더욱 상세하게는, 도 6a를 참조하면, 발광 소자 출력 회로(120)에서 전송된 구동 신호는 제2시리얼 데이터 변환기(340)를 거쳐 발광 소자(320)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2시리얼 데이터 변환기(340)에 8개의 발광 소자들(320)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제2시리얼 데이터 변환기(340)는 입력된 구동 신호를 해당 발광 소자(320)가 연결된 출력단 측으로 전송하여, 해당 발광 소자(320)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6A, the driv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output circuit 120 is transmitt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320 through the second serial data converter 340. For example, eight light emitting devices 320 may be connected to one second serial data converter 340, and the second serial data converter 340 may connect an input driving signal to a corresponding light emitting device 320. Transmission to the output terminal side, so that the corresponding light emitting device 320 can be driven.

도 6b를 참조하면, 해당 발광 소자(320)로 전송된 구동 신호는 먼저, 발광 소자(320) 앞 단에 위치한 트랜지스터(352)를 거치면서 증폭되고, 증폭된 신호에 따라 발광 소자(320)가 구동된다. 한편, DC 전원(VDC)과 발광 소자(320) 사이에 연결된 저항(354)은 발광 소자(320)에 과전류가 흘러 발광 소자(3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Referring to FIG. 6B, the driving signal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light emitting device 320 is first amplified through the transistor 352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320,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320 is amplified according to the amplified signal. Driven. On the other hand, the resistor 354 connected between the DC power supply (V DC )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320 plays a role of preventing over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device 320 and damag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320.

이와 같이, 입력부(200)의 터치 버튼(220) 누름에 관한 시리얼 데이터(구동 신호)가 출력부(300)로 전송되어, 해당 발광 소자(320)가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된다.As such, the serial data (driving signal) related to the pressing of the touch button 220 of the input unit 200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unit 300 so that the corresponding light emitting device 320 may be driven.

한편,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입력 장치는 발광 소자(320)를 구동함과 동시에, 해당 터치 버튼(220)에 대한 층 정보,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에 관한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해주는 음성 안내 증폭기(130) 및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외부로 송출해주는 스피커(140)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back to Figure 4, the elevator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rives the light emitting device 320, and at the same time the floor information for the touch button 220, the information about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door by voice The voice guide amplifier 130 for converting and the speaker 140 for transmitting the converted voice data to the outsi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to the user.

또한, 외부 기기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150)를 구비하여, 엘리베이터 입력 장치에 관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mmunication interface circuit 150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is provided to transmit data related to an elevator input device to the outside or to receive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누름 버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push button of a conventional elevator.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put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 장치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3 is an exploded front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input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입력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n elevato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입력 장치의 입력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put unit of an elevato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입력 장치의 출력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및 회로도이다. 6A and 6B are block diagrams and circuit diagram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output unit of an elevato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상부 인쇄배선판의 상면에 위치한 복수의 터치 버튼 및 상기 상부 인쇄배선판의 하면에 상기 각 터치 버튼들에 대응되도록 실장되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입력부; An in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touch buttons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printed wiring board and a plurality of touch sensor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rinted wiring board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touch buttons; 하부 인쇄배선판의 일면에 상기 각 터치 버튼들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An out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lower printed wiring board to correspond to the touch buttons; And 상기 상부 인쇄배선판 및 하부 인쇄배선판의 일측 하단에 각각 위치하되, 상호 케이블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되,Located at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upper printed wiring board and the lower printed wiring board, respectively, including a connector connected to each other to transmit data, 상기 입력부는 상기 터치 센서들의 입력을 제어하는 제1시리얼 데이터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시리얼 데이터 변환부가 상기 터치 센서들의 입력을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출력부에 전송하며, The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erial data converter configured to control input of the touch sensors, wherein the first serial data converter converts the inputs of the touch sensors into serial data and transmits the serial data to the output unit through the connector.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시리얼 데이터 입력을 제어하는 제2시리얼 데이터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시리얼 데이터 변환부가 상기 시리얼 데이터를 해당 발광 소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입력 장치.The output unit further includes a second serial data converter for controlling serial data input from the input unit, wherein the second serial data converter transmits the serial data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70069759A 2007-07-11 2007-07-11 Input device of elevator Expired - Fee Related KR1009410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759A KR100941056B1 (en) 2007-07-11 2007-07-11 Input device of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759A KR100941056B1 (en) 2007-07-11 2007-07-11 Input device of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428A KR20090006428A (en) 2009-01-15
KR100941056B1 true KR100941056B1 (en) 2010-02-05

Family

ID=40487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759A Expired - Fee Related KR100941056B1 (en) 2007-07-11 2007-07-11 Input device of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05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187B1 (en) * 2013-05-29 2014-09-26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Input apparatus of elev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255220A (en) * 2022-12-28 2024-06-28 奥的斯电梯公司 Elevator operat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01376A (en) * 1986-10-17 1990-05-17 ペッター リフリジュレーション リミテッド Refrigeration method for a space partitioned into many rooms, such as a multi-room partitioned car
JP2001220068A (en) * 2000-02-04 2001-08-14 Toshiba Corp Call registering device for elevator
KR200234019Y1 (en) * 2001-03-07 2001-10-18 동양에레베이터 주식회사 Voice guiding device to a selected floor for elev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01376A (en) * 1986-10-17 1990-05-17 ペッター リフリジュレーション リミテッド Refrigeration method for a space partitioned into many rooms, such as a multi-room partitioned car
JP2001220068A (en) * 2000-02-04 2001-08-14 Toshiba Corp Call registering device for elevator
KR200234019Y1 (en) * 2001-03-07 2001-10-18 동양에레베이터 주식회사 Voice guiding device to a selected floor for elev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187B1 (en) * 2013-05-29 2014-09-26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Input apparatus of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428A (en)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6956B2 (en) Touch key assembly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JP5301118B2 (en) Key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US20160251880A1 (en) Control for vehicle closures
US795931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illuminated keyboard
JP2005509476A5 (en)
ITMI20070140A1 (en) MAN-BICYCLE INTERACTION DEVICE
WO2006062550A1 (en) Illuminated touch switch
KR100859318B1 (en) 2-stage switch using capacitive sensor and mechanical contact switch
EP3088641A1 (en) Control for vehicle closures
ITMI20100109U1 (en) DEVICE FOR A TOUCH-SENSING COMMAND BUTTON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DEVICE OF A TOUCH-SENSING CONTROL BUTTON
KR100941056B1 (en) Input device of elevator
CN212127151U (en) Non-contact type outbound panel and elevator
TWM508059U (en) Membrane key structure and membrane keyboard
FI81700C (en) FOERFARANDE FOER ATT FORMA STYRSIGNALER I EN TRYCKKNAPPSTYRANORDNING SAMT EN TRYCKKNAPPSTYRANORDNING FOER TILLAEMPNING AV FOERFARANDET.
CN204883654U (en) Touch control type display device
WO2008154807A1 (en) Elevator operation panel, elevator and elevator operation method
CN202077008U (en) Device with concealed light-transmitting touch key
KR200433949Y1 (en) Car Digital Door Lock
CN113015603B (en) Robot arm with man-machine interface
KR200471132Y1 (en) Room lamp unit for a vehicle
TWM520162U (en) Key set and keyboard with analog signal output and digital signal output
JP2000100287A (en) Operation panel input device
JP7591382B2 (en) Button pressing assistance unit for elevator control panel
JP2007509465A (en) Pilot control lever
CN107415815A (en) Automobile and headlight for vehicles construction of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