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889B1 -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Google Patents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40889B1 KR100940889B1 KR1020090050049A KR20090050049A KR100940889B1 KR 100940889 B1 KR100940889 B1 KR 100940889B1 KR 1020090050049 A KR1020090050049 A KR 1020090050049A KR 20090050049 A KR20090050049 A KR 20090050049A KR 100940889 B1 KR100940889 B1 KR 1009408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rage container
- loading
- unloading
- fork
- fix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8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10 flushing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918 voyeur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서 스토리지 컨테이너(4)를 차량(t) 적재대(2)에 로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후면도이며, 도 3는 스토리지 컨테이너(4)를 로딩하지 않은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5는 상기 도 3의 평면도이며, 도 6은 양측 포크 아암(5)(6)이 승강수단에 의해 상승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 및 운송장치(1)는 차량(t)의 프레임(f)에 설치되고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적재대(2)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이송대차(3)와, 이송대차(3)에 설치되어 스토리지 컨테이너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7)과, 승강수단(7) 양측에 축설치되어 수평으로 벌어지거나 오무려지는 방법으로 1개 또는 복수 개의 스토리지 컨테이너 양측을 클램핑하거나 언클램핑하는 한 쌍의 포크 아암(5)(6)과, 상기 포크 아암(5)(6)을 적절한 각도로 직접 기울어 질 수 있도록 작용하는 틸팅실린더(105)(106)와, 차량(t) 후미 양측에 설치되고 스토리지 컨테이너를 로딩 및 언로딩할 때 차량(t)의 레벨을 유지시키는 레벨링 서포트(11)(12)와, 복수의 스토리지 컨테이너를 로딩 및 언로딩시킬 때 상기 포크 아암(5)(6)에 클램핑되지 않은 스토리지 컨테이너가 체인(39)(4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체인(39)(40)을 상승시키는 체인 상승수단과, 스토리지 컨테이너를 클램핑 할 수 있도록 포크 아암(5)(6)에 설치되고 위치를 변경 및 고정시킬 수 있는 복수의 포크와, 폭이 좁은 스토리지 컨테이너를 클램핑할 수 있도록 포크 선단에 결합되는 보조포크와 유압장치 및 제어기 등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포크 아암(5)(6)은 스토리지 컨테이너(4)(143)(144)를 클램핑할 수 있게 수직부재(74)(75)와 결합되는 핀(72)(73)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길게 돌출되는 평행 구조이다. 상기 포크 아암(5)(6)의 폭은 적어도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폭보다 벌어질 수 있게 구성되며, 스토리지 컨테이너를 클램핑하지 않은 경우 도 4, 도 33과 같이 초기 위치로 각각 이동하여 차량(t) 운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차량(t)의 전체 폭보다 좁은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이송대차(3)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적재대(2)의 길이방향으로 평행 설치되는 프레임(f)과, 상기 프레임(f) 상부에 대칭구조로 설치되는 좌ㆍ우 한 쌍의 안내레일(15)(16)과, 안내레일(15)(16)의 전후에 각각 결합되어 구름운동하는 한 쌍의 휠(17)(18)(19)(20)과, 상기 휠(17)과 휠(18)이 축 결합되는 축봉(21)과, 또 다른 휠(19)과 휠(20)이 축 결합되는 또 다른 축봉(22)과, 축봉(21)(22)의 양측에 설치되는 브라켓(23)(24)(25)(26)과, 브라켓(23)(24)(25)(26)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27)와, 구동수단 및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휠(17)(18)(19)(20)의 하부는 안내레일(15)(16)에 구름운동하고, 휠(17)(18)(19)(20)의 상부는 안내레일(15)(16)과 접촉하지 않게 구성되며, 전후 휠(17)(18)(19)(20)간의 이격거리는 충분히 이격시켜 로딩/언로딩시 전달되는 적재하중을 안내레일(15)(16)로 적절히 분산시키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27)는 브라켓(23)(24)(25)(26)이 고정되는 하부판(29)과, 하부판(29)의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측판(28)과, 측판(28) 상부에 설치되는 평면형 상부판(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판(30)은 소정 크기의 평면적을 유지함으로써 수직고정부재(31)(32)와, 승강수단(7)의 각 부품들이 설치되거나 충분히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며, 상부판(30)의 상부면(또는 하부면) 일측에는 본 발명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1)를 총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의 제어패널(34)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유압구동에 필요한 오일탱크(35)와 유압펌프(P) 및 유압모터(57) 및 도시안된 복수의 솔레노이드밸브와 복수의 유량제어밸브와 유압배관 등이 설치된다.
이송대차(3)를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동력전달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프레임(f) 선단부에 축봉(47)이 위치하고, 상기 축봉(47)의 양측은 브라켓(48)(49)에 의해 프레임(f)에 축 설치되고, 축봉(47)의 양측단부와 가운데 부분에는 체인스프라켓(50)(51)(52)이 각각 설치되고, 프레임(f) 선단에 고정되는 감속기(53)의 출력축에 체인스프라켓(54)이 고정되고, 상기 감속기(53)의 체인스프라켓(54)과 상기 축봉(47)의 체인스프라켓(50)은 체인(55)으로 연결되고, 감속기(53)의 입력축과 유압모터(57)의 회전축은 커플러(56)로 연결되어 유압모터(57)의 감속 회전력이 체인스프라켓(51)(52)으로 전달되고, 프레임(f)의 후단 양측에는 한 쌍의 체인스프라켓(45)(46)이 이격하여 축 설치되며, 상기 선단에 위치하는 체인스프라켓(51)(52)과 후단에 위치하는 체인스프라켓(45)(46)의 이격거리는 같다.
선단에 위치하는 체인스프라켓(51)과 후단에 위치하는 체인스프라켓(45)은 도 7과 같이 체인(39)으로 연결되고, 체인(39)의 양측 끝단은 도 7, 도 9, 도 10, 도 11과 같이 이송대차(3)의 상부판(30) 저부 양측에 설치되는 브라켓(30a)(30b)에 각각 연결되며, 선단에 위치하는 다른 체인스프라켓(52)과 후단에 위치하는 다른 체인스프라켓(46)은 다른 체인(40)으로 연결되고, 상기 체인(40)의 양측 끝단은 이송대차(3)의 상부판(30) 저부면 양측에 설치된 브라켓(30c)(30d)에 각각 연결되어 체인(39)(40) 끼리 평행하는 상태이다.
상기 체인(39)(40)의 끝단부는 도 7, 도 8에서 처럼 볼트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볼트는 브라켓(30a)(30b)(30c)(30d)에 결합된 다음 복수의 너트로 체결되어 체인(39)(40) 장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 유압모터(57)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축봉(47)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 체인(39)(40)이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게 되고, 이동 체인(39)(40)의 견인력에 의해 이송대차(3) 또한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며, 휠(17)(18)(19)(20)은 안내레일(15)(16)을 따라 구름운동하면서 이송대차(3)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유압모터(57)는 후술하는 유압펌프(P)와 솔레노이드밸브(SV7)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며, 상기 유압펌프(P)는 전용 엔진 또는 차량(t)에 탑재된 엔진에 의해 회전하면서 유압모터(57)와 각각의 실린더로 오일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엔진은 화석연료나 기타 연료를 이용하는 엔진이거나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모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체인(39)(40)의 직하부에는 도 9, 도 12, 도 13과 같이 체인 브라켓(41)(42)(43)(44)이 각각 설치되어 체인(39)(40)의 처짐을 방지하게 되며, 또한 체인(39)(4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체인 브라켓(41)(42)(43)(44)의 양측은 상향 절곡되어 있어서 강도가 보강되고 체인(39)(40)이 이동할 때 위치 이탈이나 궤도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체인 브라켓(41)(42)(43)(44)의 양측 끝단부는 하향 절곡되거나 하향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체인(39)(40)의 양호한 진입을 유도하며, 또한 체인(39)(40)의 진입 마찰을 크게 감소시킨다.
상부 체인 브라켓(41)(42)(43)(44)의 길이방향 바닥면에는 체인(39)(40)을 구성하는 롤러의 외주면이 구름운동(또는 구름접촉)할 수 있게 가이드 바(41a)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바(41a)에 의해 체인(39)(40)의 마찰계수가 크게 감소되므로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하중이 체인(39)(40)으로 직접 작용되더라도 상기 체인(39)(40)과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원할한 이동이 달성된다.
체인(39)(40)으로 다소 떨어진 바깥 부분에는 로딩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양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프레임(36)(37)이 각각 위치하며, 상기 안착프레임(36)(37)은 스토리지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폭보다 조금 더 좁은 간격으로 프레임(f) 상부에 평행 설치되며, 로딩된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와 소정의 폭이 유지된다.
본 발명에서 포크 아암(5)(6)은 안전을 위하여 하나의 스토리지 컨테이너(4)를 클램핑시켜 로딩하거나 언로딩할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복수의 스토리지 컨테이너를 로딩하거나 언로딩할 때에는 적재대(2)의 선단에 위치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가 이동될 수 있도록 안착프레임(36)(37)으로 떨어지게 상승시킬 필요가 있으며, 도 7, 도 10 ~ 도 13과 같이 체인(39)(40)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체인 승강수단, 이를테면 복수의 승강실린더(123)를 이용하여 상부에 위치하는 체인 브라켓(41)(42)을 승강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해결된다.
상기 체인 브라켓(41)(42)의 하부에는 도 12, 도 13과 같이 사각형의 프레임(150)이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150)의 하부에는 복수의 승강실린더(123)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체인(39)(40)을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프레임(150)의 양측에는 프레임(150)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부재(151)가 각각 설치되고, 체인 브라켓(41)(42)의 상부면에는 가이드 바(41a)가 설치되어 체인(39)(40)을 구성하는 롤러의 외주면이 구름운동되게 함으로써 체인(39)(40)이 이동할 때 마찰계수를 크게 감소된다.
상기 체인 브라켓(41)(42)과 프레임(150)과 안내부재(151)와 가이드 바(41a)는 거의 같은 길이이며 서로 평행한다.
도 13은 승강실린더(123)의 하강동작에 의해 체인(39)이 하강하여 제1 스토리지 컨테이너(143)가 안착프레임(36)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로 제1 스토리지 컨테이너(143)와 체인(39)은 소정거리(h1)로 서로 떨어져 있으며, 도 12는 승강실린더(123)의 상승동작에 의해 프레임(150)과 체인 브라켓(41) 및 체인(39)이 상승하고, 체인(39)이 상승하면서 제1 스토리지 컨테이너(143)를 밀어 올려 안착프레임(36)으로부터 소정높이(h2)로 상승 이격된 상태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체인(39)이 이동하면 양측 체인(39) 위에 얹힌 제1 스토리지 컨테이너(143)가 체인(39)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안착된 제1 스토리지 컨테이너(143)를 이동시키는 체인(39)은 롤러 부분이 가이드 바(41a)의 상부면에 접촉하면서 구름운동하게 되므로 체인(39)의 마찰이 크게 감소된 상태이다.
본 발명에서 도 7, 도 10 ~ 도 13은 일측만 도시하였으나, 대칭되는 반대편도 상기와 같은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프레임(f)의 선단부에는 근접센서(58)가 설치되어 이송대차(3)의 과도한 전진을 차단하게 되며, 프레임(f)의 후단부에도 도시안된 근접센서가 설치되어 이송대차(3)의 과도한 후진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근접센서는 제어기에 접속되어 유압모터(57)를 정지시키거나, 또는 구동부의 클러치를 단속시켜 동력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이송대차(3)의 과도한 전진이나 과도한 후진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 포크 아암(5)(6)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7)은 차량(t)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이송대차(3)에 설치되며,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이송대차(3)의 상부판(30) 상부면 중앙에 설치되는 좌ㆍ우 한 쌍의 브라켓(61)(62)과, 상기 브라켓(61)(62)에 축설치되고 로드(67)(68)가 상부로 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실린더(63)(64)와, 승강실린더(63)(64)의 로드(67)(68) 단부에 설치되는 수평승강부재(69)와, 수평승강부재(69)의 양측단부에 축설치되는 체인스프라켓(70)(71)과, 브라켓(61)(62)의 바깥 상부판(30) 상부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고정부재(31)(32)와, 상기 수직고정부재(31)(32)를 소정 간격으로 단단히 연결시켜 벌어짐이나 유동을 방지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복수의 고정부재(33)와, 도 17과 같이 수직고정부재(31)(32)의 길이방향 안쪽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승강안내레일(59)(60)과, 수평승강부재(69)에 고정되는 연결판(79)과, 연결판(79) 양측에 직각으로 고정되는 승강판(89)(90)과, 승강판(89)(90)의 상부에 축 설치되고 승강안내레일(59)(60)의 전면에 각각 구름운동하는 안내롤러(93)(94)와, 고정판(89)(90)의 하부에 축 설치되고 승강안내레일(59)(60)의 후면에 각각 구름운동하는 안내롤러(95)(96)와, 승강판(89)(90)에 축설치되며 또한 승강판(89)(9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한 다음 상기 승강안내레일(59)(60)의 측면 상ㆍ하부에 각각 접촉되어 구름운동하는 안내롤러(91)(92)과, 상기 승강판(89)(90)과 연결판(79)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브라켓(80)과, 연결판(79)에 고정되는 사각관체형의 수평승강부재(69)와, 수평승강부재(69)의 양측에 수평 출몰구조로 결합되는 출몰부재(76)(77)와, 출몰부재(76)(77)의 바깥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수직부재(74)(75)와, 수직부재(74)(75) 하부에 핀(72)(73)으로 축설치되어 평행하는 한 쌍의 포크 아암(5)(6)과, 포크 아암(5)(6)의 선단부와 수직부재(74)(75) 부분에 핀(107)(111)으로 축 설치되어 포크 아암(5)(6)의 기울기를 직접 조절할 수 있는 틸팅실린더(105)(106)와, 상부판(30)의 상부면 좌ㆍ우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체인 고정부재(65)(66)와, 고정부재(65)(66)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봉(86)(87)과, 연결판(79) 양측에 설치되는 설치되는 브라켓(81)(82)과, 브라켓(81)(82)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봉(83)(84)과, 체인스프라켓(70)(71)에 걸림된 다음 일측단부는 나사봉(83)(84)에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고정부재(65)(66)의 나사봉(86)(87)에 각각 연결되는 체인(88)(88a)과, 연결판(79)의 중앙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좌ㆍ우 한 쌍의 출몰실린더(97)(98)와, 출몰부재(76)(77)가 수평으로 출몰할 수 있도록 수직부재(74)(75)에 설치되는 출몰실린더(97)(98)의 로드(99)(100)와, 수직부재(74)(75)에 수평으로 고정되고 연결판(79)에 설치된 안내부재(101)(102)에 결합되어 출몰부재(76)(77)의 출몰을 도우는 좌우 한 쌍의 안내봉(103)(104)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도 8, 도 19, 도 20 등에 예시한 바와 같이 수평승강부재(69)와 출몰부재(76)(77) 사이 공간부에 미끄럼 베어링을 설치하여 출몰부재(76)(77)의 원할한 출몰을 달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럼 베어링은 수평승강부재(69) 및/또는 출몰부재(76)(77)의 길이방향인 수평으로 고정시켜 구성한다.
도 8은 승강수단(7)의 초기 위치 높이로 도 33 또는 도 37과 같은 상태이며, 도 19는 승강수단(7)이 스토리지 컨테이너(4)를 클램핑시켜 상승할 때의 높이로 도 15 또는 도 39와 같은 상태이며, 도 20은 승강수단(7)이 하강하여 스토리지 컨테이너(4)를 지면에 안착시킬 때의 하강 높이로 도 16 또는 도 41과 같은 상태이다.
상기 수평승강부재(69) 양측에 축 설치된 체인스프라켓(70)(71)과 체인(88)(88a)은 도르레 원리에 의해 승강실린더(63)(64)의 승강 스트로크가 약 1/2로 줄어들게 되므로, 승강수단(7)의 전체 높이를 약 1/2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를테면, 하향하는 체인(88)(88a)의 일측단부는 상부판(30)에 고정된 체인 고정부재(65)(66)에 연결되어 있고, 하향하는 체인(88)(88a)의 타측단부는 브라켓(81)(82)과 연결판(79)을 통하여 수평승강부재(69)에 연결되어 있고, 체인(88)(88a)의 중앙부는 체인스프라켓(70)(71)에 의해 상승되어 있어서 도르레 구조이다.
따라서 도 19와 같이 승강실린더(63)(64)가 상승 동작하여 로드(67)(68)가 수평연결부재(78)를 밀어 올리고, 체인스프라켓(70)(71)이 상승하면서 수평승강부재(69)를 상승시키게되고, 수직부재(74)(75) 및 포크 아암(5)(6)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체인(88)(88a)의 일측이 상부판(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로드(67)(68) 및 수평연결부재(78)가 상승한 높이의 2배 높이로 수직부재(74)(75) 및 포크 아암(5)(6)이 상승하게 되며, 반대로 하강하는 경우 로드(67)(68) 및 수평연결부재(78)가 하강한 높이의 2배 높이로 수직부재(74)(75) 및 포크 아암(5)(6)이 하강하게 되므로, 승강수단(7)의 전체 높이와 승강 스트로크가 1/2로 낮아지게 된다.
상기 출몰실린더(97)(98)는 포크 아암(5)(6)이 스토리지 컨테이너(4)를 클램핑/언클램핑할 때 출몰부재(76)(77)가 각각 동작하여 수평으로 적절히 출몰할 수 있도록 동작하며, 또한 차량(t)과 스토리지 컨테이너(4)의 위치를 감안하여 포크 아암(5)(6)의 위치를 각각 조절하는 방법으로 클램핑 위치를 센터링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도 29와 같이 스토리지 컨테이너(4)가 일측 포크 아암(5)으로 치중되는 경우 타측 포크 아암(6)을 더욱 돌출시켜 포크(117)(118)와 스토리지 컨테이너(4) 간의 이격 거리가 같아지도록 조정한 다음 도 30과 같이 스토리지 컨테이너(4)를 안정적으로 클램핑한 다음 스토리지 컨테이너(4)를 상승시키고, 도 31과 같이 수직부재(74)(75) 및 포크 아암(5)(6)의 출몰길이가 같아지도록 출몰부재(76)(77)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여 스토리지 컨테이너(4)의 위치가 차량(t)을 기준으로 중앙에 있도록 센터링하게 된다.
물론, 상황에 따라서는 스토리지 컨테이너(4)를 상승시키기 전에 센터링을 먼저시킨 다음 스토리지 컨테이너(4)를 안정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도 있다.
상기의 경우, 장애물이 없거나 무게중심이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센터링(또는 밸런싱)을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틸팅실린더(105)(106)는 수직부재(74)(75) 부분에 핀(111)(112)으로 축설치되고, 틸팅실린더(105)(106)의 로드(109)(110) 단부는 핀(72)(73)보다 선단으로 돌출된 포크 아암(5)(6)의 선단부에 핀(107)(108)으로 축 설치되어 트럭(t) 및/또는 컨테이너(4) 하역장소의 지면이 기울어진 경우 도 32와 같이 그 기울기에 맞추어 포크 아암(5)(6)의 기울기를 직접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테면, 제어기에 의해 틸팅실린더(105)(106)의 로드(109)(110)가 돌출되는 경우 포크 아암(5)(6)의 후단이 축핀(72)(73)을 중심으로 상승하고, 반대로 틸팅실린더(105)(106)의 로드(109)(110)가 몰입되는 경우 포크 아암(5)(6)의 후단이 축핀(72)(73)을 중심으로 하강하게 되며, 제어기로 틸팅실린더(105)(106)의 동작을 멈추면 기울어진 상태가 유지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포크 아암(5)(6)을 하강시키면 컨테이너(4)가 하강하여 지면에 안착된다.
상기 도 32에서는 포크 아암(5)(6)이 하강한 상태에서 틸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물론 어떠한 위치에서도 허용된 틸팅각도 범위내에서 포크 아암(5)(6)의 자유로운 틸팅이 이루어진다. 예컨대, 트럭(t)이 경사로에 위치하고 스토리지 컨테이너(4)가 안착하는 지면이 평면(수평)일 경우에는 틸팅실린더(105)(106)를 동작시켜 스토리지 컨테이너(4)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틸팅실린더(105)(106)는 수직부재(74)(75) 부분에 핀(111)(112)으로 축설치되고, 틸팅실린더(105)(106)의 로드(109)(110) 단부는 핀(72)(73)보다 선단으로 돌출된 포크 아암(5)(6)의 선단부에 핀(107)(108)으로 축 설치되어 삼각구조이며, 따라서 틸팅실린더(105)(106)의 동작 상태에 따라 포크 아암(5)(6)의 기울기가 직접 조절된다.
도 18은 적재하중의 작용관계를 예시한 것으로, 스토리지 컨테이너가 포크 아암(5)(6)의 포크(117)(118) 부분에 클램핑되면 적재하중이 승강안내레일(59)(60) 및 수직고정부재(31)(32) 및 승강실린더(63)(64) 및 전후 휠(17)(18)(19)(20)을 경유하여 안내레일(15)(16)로 분산되며, 전단 하중의 대부분은 승강안내레일(59)(60) 및 상기 승강안내레일(59)(60)의 전후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하는 안내롤러(93)(94)(95)(96)로 집중 전달된다.
도 18에서 F2는 승강안내레일(59)(60)과 안내롤러(93)(94)(95)(96)로 집중 전달되는 전단하중이고, F1은 반력이다.
승강안내레일(59)(60)의 상하부 측면에 접촉하여 구름운동하는 안내롤러(91)(92)는 승강판(89)(90)의 불필요한 유동을 방지하고, 또한 승강판(89)(90)이 승강안내레일(59)(6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길이(또는 크기)나 규격등에 따라 스토리지 컨테이너(4)(143)(144)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공(4a)(143a)(144a)의 크기나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합공(4a)(143a)(144a)의 위치에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포크(117)(118)의 위치는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도 21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포크(117)(118) 부분 단면도로, 포크 아암(5)(6)의 외면에 결합되는 몸체부는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관체형 구조이다. 즉, 스토리지 컨테이너(4)(143)(144)의 결합공(4a)(143a)(144a) 위치를 감안하여 포크 아암(5)(6)의 적당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몸체부 하부 일측에는 상기 스토리지 컨테이너(4)(143)(144)의 결합공(4a)(143a)(144a)에 클램핑되는 결합부(115)(116)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포크(117)(118)는 클램핑 위치가 결정되면 포크(117)(118)에 설치된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고정수단은 포크(117)(118) 상부에 형성된 홀(117a)에 결합되고 스프링(117b)으로 탄지되는 고정구(119)(120)와, 고정구(119)(120) 상부로 돌출되는 손잡이로 구성되며, 하부에 형성된 돌부(119a)는 스프링(117a)의 하향 탄지력에 의해 포크 아암(5)(6)의 상부 또는 상ㆍ하부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홀(113)(114)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어 돌부(119a)의 상승이 억제되므로 포크(117)(118)의 유동이나 위치 변경이 방지된다.
상기에서 포크(117)(118)의 위치를 변경시키고자 하는 경우, 고정구(119)(120)의 손잡이를 위로 들어 올리면 스프링(117a)으로 탄지되고 있던 돌부(119a)가 상승하면서 홀(113)(114)과 분리되므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되며, 위치를 변경시킨 후 고정구(119)(120)의 손잡이를 놓게 되면 스프링(117a)의 탄지력에 의해 돌부(119a)가 하강하면서 홀(113)(114)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도 22는 포크(117)(118)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는 보조포크(145)의 단면을 예시한 것으로, 포크(117)(118)의 결합부(115)(116)가 삽입될 수 있게 몸체부(146) 후단에 결합홈(147)이 형성되고, 결합홈(147) 선단에는 컨테이너(143)(144)의 결합공(143a)(144a)에 결합되어 클램핑되는 결합부(115)(116)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16피트 스토리지 컨테이너(4)에 비하여 폭이 좁은 7피트 스토리지 컨테이너(143)(144)의 경우 도 23과 같이 포크(117)(118)의 결합부(115)(116) 선단에 상기한 보조포크(145)의 결합홈(147)을 결합시켜 7피트의 스토리지 컨테이너(143)(144)를 클램핑할 때 길이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조포크(145)의 대략 중앙 상부면에는 상향 돌출형의 스토퍼(121)(122)가 형성되어 결합부(115)(116)가 결합공(143a)(144a)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된다. 즉, 상기 스토퍼(121)(122)에 의해 일측 보조포크(145)가 결합공(143a)(144a)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클램핑 불량이 방지된다.
상기에서 결합부(115)(116)가 결합공(143a)(144a)에 견고히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승강실린더(63)(64)의 상승 동작에 의해 포크 아암(5)(6)이 수 ㎝ ~ 수 십㎝ 상승하여 스토리지 컨테이너(143)(144)가 허공에 떠 있는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이송대차(3)가 후진하여 스토리지 컨테이너(143)(144)가 후진 이동하더라도 스토퍼(121)(122)에 의해 스토리지 컨테이너(143)(144)의 유동이나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이송대차(3)에 의해 스토리지 컨테이너(143(144)가 완전히 후진한 상태에서 승강실린더(63)(64)의 로드(67)(68)가 하강하고, 이송대차(3)와 포크 아암(5)(6)이 하강하여 스토리지 컨테이너(143)(144)가 지면에 안착하면 출몰실린더(97)(98)의 돌출 동작에 의해 수직부재(74)(75)와 포크 아암(5)(6)이 벌어지면서 스토리지 컨테이너(143)(144)의 언클램핑이 달성되며, 스토리지 컨테이너(143)(144)의 언클램핑이 달성된 상태에서 승강실린더(63)(64)의 로드(67)(68)가 상승하여 포크 아암(5)(6)이 일부 상승하거나 초기 위치까지 상승하면 이송대차(3)가 전진하고 포크 아암(5)(6)도 따라서 전진 이동하게되며, 포크 아암(5)(6)의 이동이 완료되면 출몰실린더(97)(98)의 몰입동작에 의해 포크 아암(5)(6)과 포크(117)(118)가 안착프레임(36)(37) 하부로 이동하여 유동이 방지된다.
적재대(2)의 상부 양측에는 컨테이너(4)가 얹혀 안착되는 안착프레임(36)(37)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프레임(f)의 복수 개소에는 도 24와 같이 래칫기구(155)와 와이어(156)와 걸고리(154)로 구성된 결속수단이 설치되어 안착프레임(36)(37)에 안착되어 있는 스토리지 컨테이너(4)(143)(144)를 견고히 결속시켜 운송이나 운행 중 유동을 방지하게된다.
레벨링 서포트(11)(12)는 실린더(9)(10)에 의해 출몰하면서 적재대(2) 후단을 안정적으로 떠 받치는 방법으로 적재대(2)의 레벨을 유지하며, 하단부에는 결합핀에 의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넓은 평면적의 받침판(13)(14)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받침판(13)(14)은 스토리지 컨테이너를 로딩하거나 언로딩할 때 실린더(9)(10)에 의해 하강하여 지면에 접촉하면서 적재대(2)의 후부를 살짝 들어주는 방법으로 안정적으로 떠받치게 되고, 차량(t)이 운행할 때에는 실린더(9)(10)의 역동작에 의해 받침판(13)(14)이 상승하게 된다.
도 33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후면도로, 포크 아암(5)(6)이 차량폭 안으로 이동된 초기 상태이고, 도 34는 포크 아암(5)(6)이 벌어진 상태이고, 도 35는 포크 아암(5)(6)이 상승하여 스토리지 컨테이너(4)를 클램핑한 상태이다.
도 36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유압회로도로, 오일탱크(35)에 설치되는 오일 공급라인에는 흡입필터(OP1)와, 별도의 엔진(도시 생략)이나 차량(t)에 탑재된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펌프(P)와, 복수의 솔레노이드밸브(SV1~SV8)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1~SV8)에 각각 연결되는 실린더 및 유압모터(57)가 연결된다.
상기 오일탱크(35)에 설치되는 오일 배출라인에는 전체 압력을 조절하는 릴리프밸브(AV)와, 체크밸브(CV)와, 복수의 솔레노이드밸브(SV1~SV8)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1~SV8)에 각각 연결되는 실린더 및 유압모터(57)가 연결되고, 솔레노이드밸브(SV1~SV8)는 제어패널(34)의 제어기 또는 상기 제어기에 접속되는 유선리모콘(UC)에 의해 조작 및 제어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1)의 오일 공급라인에는 유량제어밸브(P1)(P2)가 연결되고, 상기 유량제어밸브(P1)(P2)에는 승강실린더(63)(64)의 오일공급구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1)의 오일 배출라인에는 승강실린더(63)(64)의 오일배출구가 연결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2)의 오일 공급라인에는 유량제어밸브(P4)가 연결되고, 상기 유량제어밸브(P4)에는 출몰실린더(97)의 오일공급구가 연결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2)의 오일 배출라인에는 유량제어밸브(P3)가 연결되고, 상기 유량제어밸브(P3)에는 출몰실린더(97)의 오일배출구가 연결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3)의 오일 공급라인에는 유량제어밸브(P6)가 연결되고, 상기 유량제어밸브(P6)에는 출몰실린더(98)의 오일공급구가 연결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3)의 오일 배출라인에는 유량제어밸브(P5)가 연결되고, 상기 유량제어밸브(P5)에는 출몰실린더(97)의 오일배출구가 연결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4)의 오일 공급라인에는 유량제어밸브(P8)가 연결되고, 상기 유량제어밸브(P8)에는 틸팅실린더(105)(106)의 오일공급구가 연결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4)의 오일 배출라인에는 유량제어밸브(P7)가 연결되고, 상기 유량제어밸브(P7)에는 카운트바란싱밸브(P9)가 연결되고, 상기 카운트바란싱밸브(P9)에는 틸팅실린더(105)(106)의 오일배출구가 연결된다.
상기 틸팅실린더(105)(106)에 연결된 카운트바란싱밸브(P9)는 배압이 작용되어 포크 아암(5)(6)의 자중 낙하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5)의 오일 공급라인에는 유량제어밸브(P11)가 연결되고, 상기 유량제어밸브(P11)에는 레벨링 서포트 실린더(9)의 오일공급구가 연결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5)의 오일 배출라인에는 유량제어밸브(P10)가 연결되고, 상기 유량제어밸브(P10)에는 레벨링 서포트 실린더(9)의 오일배출구가 연결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6)의 오일 공급라인에는 유량제어밸브(P13)가 연결되고, 상기 유량제어밸브(P13)에는 레벨링 서포트 실린더(10)의 오일공급구가 연결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6)의 오일 배출라인에는 유량제어밸브(P12)가 연결되고, 상기 유량제어밸브(P12)에는 레벨링 서포트 실린더(10)의 오일배출구가 연결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7)의 오일 공급라인에는 유량제어밸브(P15)가 연결되고, 상기 유량제어밸브(P15)에는 유압모터(57)의 오일공급구가 연결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7)의 오일 배출라인에는 유량제어밸브(P14)가 연결되고, 상기 유량제어밸브(P14)에는 유압모터(57)의 오일배출구가 연결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8)의 오일 공급라인에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체인레일(41)(42)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123)의 오일공급구가 연결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8)의 오일 배출라인에는 상기 승강실린더(123)의 오일배출구가 연결된다.
상기 유압펌프(P)를 구동시키는 별도 엔진의 경우 가솔린엔진과 같은 화석연료를 이용한 엔진이나 전기모터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오일탱크(35) 주변에는 오일량을 표시하는 오일게이지(OG)와, 주유구에 설치되는 에어브리드필터(OP2)와, 드레인밸브(O)가 배치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1~SV8) 등을 조작하는 유선리모콘(UC)은 작업자가 손으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게 구성되고 디자인되며, 제어패널(34)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7 내지 도 41은 1개의 스토리지 컨테이너, 예컨대, 16피트 스토리지 컨테이너(4)를 언로딩하는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도 37은 1개의 16피트 스토리지 컨테이너(4)가 차량(t)에 로딩된 상태의 측면도로, 포크 아암(5)(6)이 초기 위치에 하강해 있는 상태이고, 언로딩을 위하여 스토리지 컨테이너(4)의 결속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이며, 레벨링 서포트(11)(12)가 하강하여 차량(t)의 레벨이 유지되는 상태이다.
도 38은 포크 아암(5)(6)이 클램핑 위치로 상승하여 안착프레임(36)(37)에 안착되어 있는 스토리지 컨테이너(4)를 클래핑한 상태이고, 도 39는 포크 아암(5)(6)이 상승하여 클램핑된 스토리지 컨테이너(4)가 상승된 상태이고(안착프레임(36)(37)과 떨어진 상태), 도 40은 포크 아암(5)(6)이 후진하여 스토리지 컨테이너(4)가 공중에 떠 있는 상태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도 41과 같이 포크 아암(5)(6)이 하강하여 스토리지 컨테이너(4)를 지면에 안전하게 안착시키게 된다.
상기 스토리지 컨테이너(4)의 안착이 완료되면, 포크 아암(5)(6)이 서로 벌어지면서 스토리지 컨테이너(4)의 클램핑 상태가 해제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포크 아암(5)(6)은 상승 전진한 다음 도 6과 같이 전진 이동하고, 도 4와 같이 초기 위치로 하강 이동하여 언로딩이 종료되며, 스토리지 컨테이너(4)의 로딩은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되고 로딩된 스토리지 컨테이너(4)는 도 24의 결속수단에 의해 차량(t)에 견고히 결속된다.
도 42는 2개의 7피트 스토리지 컨테이너, 이를테면 제1, 스토리지 컨테이너(143)와 제2 스토리지 컨테이너(144)가 안착프레임(36)(37) 위에 로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제1, 제2 스토리지 컨테이너(143)(144)는 도 24와 같이 프레임(f)에 설치된 결속수단의 걸고리(154)를 제1, 제2 스토리지 컨테이너(143)(144)의 결합공(143a)(144a)에 걸어 고정시키면 차량(t)에 견고히 고정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소정의 위치로 운송하더라도 제1, 제2 스토리지 컨테이너(143)(144)의 유동이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결속수단은 프레임(f)에 설치된 복수의 래칫기구(155)에 와이어(156)가 각각 권취되고, 상기 와이어(156)의 끝 단부에는 고리형 걸고리(154)가 각각 고정되며, 사용하지 않는 평소에는 래칫기구(155)에 권취되어 있고, 사용시에는 래칫기구(155)로부터 소정길이로 인출시켜 사용하게된다.
상기 걸고리(154)는 결합공(143a)(144a) 이외에도 제1, 2 스토리지 컨테이너(143)(144)의 다른 고정부분에 결속시켜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제1, 제2 스토리지 컨테이너(143)(144)을 언로딩하기 위해서는 레벨링 서포트(11)(12)를 하강 돌출시켜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적재대(2)의 레벨을 수평으로 유지하고, 결속수단의 결속을 해제시킨 다음 제1, 제2 스토리지 컨테이너(143)(144)의 언로딩이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순서는 바뀔수 있으며, 레벨링 서포트(11)(12)는 좌우 동시 또는 개별 동작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노면의 경사정도에 따라 적절히 돌출시켜 적재대(2)의 레벨이 유지된다.
도 42 내지 도 51은 크기가 작은 스토리지 컨테이너, 예컨대, 7피트 스토리지 컨테이너(143)(144) 2개를 언로딩하는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도 42는 제1, 제2 스토리지 컨테이너(143)(144)가 차량(t)에 로딩된 상태의 측면도로, 포크 아암(5)(6)이 초기 위치에 하강해 있는 상태이고, 언로딩을 위하여 제1, 제2 스토리지 컨테이너(143)(144)의 결속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43은 포크 아암(5)(6)이 클램핑 위치로 상승하여 적재함(2)의 후단에 위치하는 제2 스토리지 컨테이너(144)를 클래핑한 상태이고, 도 44는 포크 아암(5)(6)이 상승하여 클램핑된 제2 스토리지 컨테이너(144)가 상승된 상태이고, 도 11과 도 12 및 도 45는 승강실린더(123)의 상승동작에 의해 체인(39)(40)이 상승하면서 안착프레임(36)(37)에 안착되어 있는 제1 스토리지 컨테이너(143)를 상승시켜 안착프레임(36)(37)과 떨어진 상태로 제1, 제2 스토리지 컨테이너(143)(144)가 상승된 높이는 서로 다르지만 안착프레임(36)(37)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상승하여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제1, 제2 스토리지 컨테이너(143)(144)가 각각 상승된 상태에서 도 46과 같이 제2 스토리지 컨테이너(144)를 먼저 언로딩하기 위하여 포크 아암(5)(6)이 약 1/2 후진하여 제2 스토리지 컨테이너(144)는 공중에 위치하고 체인(39)(40)에 의해 상승 이동된 제1 스토리지 컨테이너(143)는 적재대(2) 후단에 위치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도 47과 같이 포크 아암(5)(6)이 하강하여 제2 스토리지 컨테이너(144)를 지면에 안전하게 안착시키게 된다.
*제2 스토리지 컨테이너(144)의 안착이 완료되면, 포크 아암(5)(6)이 서로 벌어지면서 제2 스토리지 컨테이너(144)의 클램핑 상태가 해제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포크 아암(5)(6)은 도 48과 같이 제1 스토리지 컨테이너(143)를 언로딩하기 위하여 상승하게되며, 도 49와 같이 제1 스토리지 컨테이너(143)를 언로딩할 수 있는 위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레벨링 서포트(11)(12)를 상승시킨 다음 차량(t)을 전진 이동시키게된다.
차량(t)이 전진 이동되면 도 50과 같이 레벨링 서포트(11)(12)를 하강시켜 차량(t)의 레벨이 유지되면 포크 아암(5)(6)이 전진하여 제1 스토리지 컨테이너(143)를 클램핑시켜 상승한 다음 도 51과 같이 후진 하강하여 공간이 확보된 지면에 제1 스토리지 컨테이너(143)를 안전하게 안착시키고 클램핑 상태를 해제시킨 다음 도 6과 같이 전진 이동하고, 또한 도 4와 같이 초기 위치로 하강 이동하여 언로딩이 종료되며, 제1, 제2 스토리지 컨테이너(143)(144)의 로딩은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되고 로딩된 제1, 제2 스토리지 컨테이너(143)(144)는 도 24와 같이 결속수단에 의해 차량(t)에 견고히 결속된다.
도 52 내지 도 5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 및 운송장치의 도면으로, 각각의 실린더에 의해 동작하는 복수의 다관절 아암, 이를테면 제1, 제2 아암(160)(161)과 포크 아암(162)에 의해 스토리지 컨테이너(4)가 승강될 수 있게 구성되고, 포크 아암(162)에는 스토리지 컨테이너(4)가 클램핑되는 위치를 감안하여 그 위치를 이동 및 고정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포크(165)(166)가 설치되며, 좌ㆍ우 한 쌍의 출몰실린더(163)(164)에 의해 상기 제1, 제2 아암(160)(161)과 포크 아암(162)이 오무려지거나 벌어지면서 스토리지 컨테이너(4)의 클램핑 및 언클램핑이 달성되어 로딩 및 언로딩이 달성된다.
즉, 차량(t)에 설치된 이송대차(3)의 양측에 포크 아암(162) 및 포크 아암(162)에 클램핑된 스토리지 컨테이너(4)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스토리지 컨테이너(4)를 클램핑하거나 언클램핑시킬 수 있게 양측 포크 아암(162)을 수평으로 벌리거나 오무리는 수평이동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승강수단은 제1, 제2 아암(또는 붐)(160)(161)과, 상기 제1, 제2 아암(160)(161)을 소정 각도로 회동시키는 복수의 실린더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이동수단은 이송대차(3)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체(167)(168)와, 고정체(167)(168)에 결합된 이동체(169)(170)를 수평으로 각각 출몰시키는 한 쌍의 출몰실린더(171)(172)와, 이동체(169)(170)의 바깥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수단이 고정되는 지지부재(173)(174)로 구성되어 양측 포크 아암(162)이 도 58과 같이 수평으로 벌어지거나 도 57과 같이 수평으로 오무려지면서 스토리지 컨테이너(4)의 클램핑 및 언클램핑이 달성되고 포크 아암(162)의 초기위치로 이동이 달성된다.
상기 제1, 제2 아암(160)(161)과 포크 아암(162) 및 포크 아암(162)에 클램핑된 스토리지 컨테이너(4)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이송대차(3)와, 상기 이송대차(3)를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동력전달수단의 구성과 그 작용효과는 앞서 설명하거나 도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제2 아암(160)(161)은 실린더의 협조하에 축(핀)을 중심으로 소정구간 회동하면서 포크 아암(162)을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스토리지 컨테이너(4)의 승강이 달성되므로 앞서 기술한 승강수단(7) 등이 불필요하다.
먼저, 수평이동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차량(t)에 설치된 이송대차(3)의 상부판(30) 양측에 소정 길이와 소정 크기의 고정체(167)(168)가 설치되고, 고정체(167)(168) 바깥측으로 형성된 개방부(175)(176)에는 소정길이와 소정크기의 이동체(169)(170)가 각각 결합되고, 고정체(167)(168)의 내측벽에는 출몰실린더(171)(172)가 고정되고, 출몰실린더(171)(172)의 로드(177)(178) 단부는 이동체(169)(170)에 형성된 개방부(169a)(170a)를 지나 이동체(169)(170)의 내측벽에 각각 고정되고, 이동체(169)(170)의 바깥측벽에는 지지부재(173)(174)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지지부재(173)(174)의 바깥 하단에는 승강수단이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 평면적의 고정판(179)(180)이 수평으로 고정되고, 고정판(179)(180)의 하부는 복수의 브라켓(181)(182)으로 충분히 지지된다.
따라서, 출몰실린더(171)(172)의 동작 상태에 따라 도 58과 같이 로드(177)(178)가 돌출되면 이동체(169)(170) 및 승강수단이 돌출되고, 도 57과 같이 로드(177)(178)가 몰입되면 이동체(169)(170) 및 승강수단이 몰입된다.
상기 고정체(167)(168)와 이에 결합되는 이동체(169)(170)는 많은 하중에 견딜 수 있는 사각통체형이 바람직하며, 고정체(167)(168)와 이동체(169)(170)의 면접촉부에는 미끄럼 베어링을 설치하되 고정체(167)(168) 또는 이동체(169)(170)에 고정시켜 마찰계수를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지지부재(173)(174)는 고정체(167)(168)보다 하향 돌출시키고 고정판(179)(180)은 지지부재(173)(174)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승강수단의 전체 높이와 동작 높이를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스토리지 컨테이너(4)의 클램핑과 언클램핑 및 로딩과 언로딩이 쉽게 달성된다.
스토리지 컨테이너(4)를 승강키는 승강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양측 고정판(179)(180)의 상부면 선단에 브라켓(183)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183)에 제1 아암(160)의 일측이 핀(184)으로 각각 축 설치되고, 제1 아암(160)의 타측에 제2 아암(161)의 일측이 핀(185)으로 각각 축 설치되고, 제2 아암(161)의 타측에 포크 아암(162)의 일측이 핀(186)으로 각각 축 설치되고, 상기 포크 아암(162)에는 스토리지 컨테이너(4)를 클램핑하거나 언클램핑하는 복수 개의 포크(165)(166)가 위치 이동 및 고정할 수 있게 각각 설치된다.
상기 양측 고정판(179)(180)의 상부면 후단에 브라켓(187)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187)에 실린더(188)가 핀으로 각각 축 설치되고, 실린더(188)의 로드(189)는 제1 아암(160)의 하부에 각각 고정된 브라켓(190)에 각각 축 설치되어 핀(184)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아암(160)이 소정 구간 회동할 수 있게 구성되고, 제1 아암(160)의 상부에 고정된 브라켓(191)에는 다른 실린더(192)가 핀으로 축 설치되고, 다른 실린더(192)의 로드(193)는 제2 아암(161)의 선단부(161a)에 핀으로 각각 축설치되고, 제2 아암(161)의 상부면에 고정된 브라켓(194)에는 또 다른 실린더(195)가 핀으로 축설치되고, 또 다른 실린더(195)의 로드(196)는 포크 아암(161)의 선단 상부면에 고정된 브라켓(197)에 핀으로 각각 축설치된다.
상기에서 고정판(179)(180)의 상부면 선단에 설치된 브라켓(183)에 제1 아암(160)의 일측이 축설치되고, 고정판(179)(180)의 후단에 설치된 브라켓(187)에 실린더(188)가 축설치되고, 실린더(188)의 로드(189)는 제1 아암(160)의 브라켓(190)에 축설치된 삼각 링크구조이므로 실린더(188)의 동작에 의해 제1 아암(160)이 핀(184)을 중심으로 소정 구간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다른 실린더(192)의 로드(193)가 축 설치되는 제2 아암(161)은 제1 아암(160)과 제2 아암(161)을 연결하는 핀(185)보다 돌출된 선단부(161a)에 위치하는 삼각 링크구조이므로 다른 실린더(192)의 동작에 의해 제2 아암(161)이 핀(185)을 중심으로 소정 구간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제2 아암(161)과 포크 아암(162)을 연결하는 핀(186)은 또 다른 실린더(195)의 사이에 위치하는 삼각 링크구조이므로 또 다른 실린더(195)의 동작에 의해 포크 아암(162)의 전후 수평이동이나 틸팅 및 전후 틸팅이동이 가능해진다.
도 52는 스토리지 컨테이너(4)를 로딩하지 않은 보통 상태의 측면도로 레벨링 서포트(11)(12)를 하강시켜 적재대의 레벨이 수평으로 유지된 상태이고, 도 53은 포크 아암(162)이 클램핑 위치로 하강 중인 상태이고, 도 54는 클램핑된 스토리지 컨테이너(4)가 안착프레임(36)(37)으로부터 상승된 다음 이송대차(3)에 의해 차량(t) 후미로 이동되어 공중에 떠 있는 상태이고, 도 55는 포크 아암(162)의 하강에 의해 스토리지 컨테이너(4)가 지면에 안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6은 다른 실시예의 평면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57은 한 쌍의 출몰실린더(171)(172)에 의해 양측 포크 아암(162)이 초기 위치로 이동하여 오무려진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8은 한 쌍의 출몰실린더(171)(172)에 의해 상기 양측 포크 아암(162)이 벌어진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Claims (32)
- 차량 적재대에 설치되는 이송대차의 왕복운동과 승강수단의 승강운동에 의해 스토리지 컨테이너가 로딩/언로딩 및 운송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에 있어서;차량 프레임에 설치되어 적재대(2)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이송대차(3);상기 이송대차(3) 위에 설치되어 스토리지 컨테이너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7);상기 승강수단(7)의 양측에 설치되고 출몰실린더(97)(98)에 의해 수평으로 벌어지거나 오무려지는 수직부재(74)(75);상기 수직부재(74)(75)의 하부에 축설치되고 틸팅실린더(105)(106)로 선단이 지지되는 한 쌍의 포크 아암(5)(6);상기 포크 아암(5)(6)에 결합되어 스토리지 컨테이너를 클램핑하는 복수의 포크(117)(118);상기 차량 프레임(f) 양측에 평행 설치되어 로딩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가 안착하는 안착프레임(36)(37);상기 안착프레임(36)(37)에 로딩된 스토리지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결속수단; 및 유압장치와 제어기;를 포함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이송대차(3)는,차량 프레임(f)에 대칭 설치되는 한 쌍의 안내레일(15)(16);상기 안내레일(15)(16)의 전후에 각각 결합되어 구름운동하는 한 쌍의 휠(17)(18)(19)(20);상기 휠(17)과 휠(18)이 축 결합되는 축봉(21);상기 휠(19)과 휠(20)이 축 결합되는 축봉(22);상기 축봉(21)(22)의 양측에 설치되는 브라켓(23)(24)(25)(26);상기 브라켓(23)(24)(25)(26)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27);상기 베이스(27)에 설치되어 이송대차(3)를 적재대(2)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유압모터(57) 및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며,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유압모터(57)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감속기(53)로 감속시킨 다음 적재대(2)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양측 체인(39)(40)으로 전달하여 이송대차(3)의 왕복이동이 달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스토리지 컨테이너는 16피트 1개 또는 7피트 2개를 로딩하여 운송 및 언로딩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이송대차(3)를 왕복운동시키는 체인(39)(40)은 복수의 승강실린더(123)에 의해 승강될 수 있게 구성하되 제1, 제2 스토리지 컨테이너를 이동시킬 때 선단에 위치하는 제1 스토리지 컨테이너를 들어 올려 체인(39)(4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후단에 위치하는 제2 스토리지 컨테이너는 포크 아암(5)(6)의 포크(117)(118)에 클램핑되어 이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승강수단(7)은,이송대차(3) 양측에 고정되는 수직고정부재(31)(32);상기 수직고정부재(31)(32) 사이에 축설치되는 한 쌍의 승강실린더(63)(64);상기 실린더(63)(64)의 로드 단부에 설치되는 수평승강부재(69);상기 수평승강부재(69) 양측에 축 설치되는 체인스프라켓(70)(71);상기 체인스프라켓(70)(71)에 각각 결합되는 체인(88)(88a);상기 체인(88)(88a)의 일측단부가 설치되는 이송대차(3) 바닥;상기 체인(88)(88a)의 타측단부가 설치되는 수평승강부재(69);를 포함하여서 된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수평승강부재(69)의 양측에 설치된 체인스프라켓(70)(71)과 체인(88)(88a)은 도르레 원리에 의해 승강실린더(63)(64)의 승강 스트로크가 1/2로 단축되도록 함으로써 승강수단(7)의 전체높이와 승강스트로크가 낮아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수평연결부재(78)는 양측으로 개방된 사각관체이고, 양측 개방부에 출몰부재(76)(77)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연결부재(78)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안내봉(103)(104)과 출몰실린더(97)(98)에 의해 각각 출몰되고, 상기 출몰부재(76)(77)의 끝단부에 수직부재(74)(75)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직부재(74)(75)의 하부에 포크 아암(5)(6)이 각각 축설치되고, 상기 수직부재(74)(75) 선단으로 돌출된 포크 아암(5)(6)의 선단부와 수직부재(74)(75) 사이에 틸팅실린더(105)(10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출몰실린더(97)(98)는 좌우 동시 또는 개별 동작하여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센터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포크 아암(5)(6)에 설치되는 복수의 포크(117)(118)는 위치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되고, 상기 위치 이동후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포크 고정수단이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포크 아암(5)(6)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홀(113)(114)을 형성하여 포크 고정수단인 고정구(119)(120)가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포크 고정수단은 포크(117)(118) 상부에 설치되는 스프링(117b)과 상기 스프링(117b)에 의해 탄지되는 고정구(119)(120)로 구성하여서 된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포크(117)(118) 선단에 탈부착형 보조포크(115)(116)를 결합시켜 폭이 좁은 스토리지 컨테이너를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결속수단은, 차량 프레임(f)에 설치되는 래칫기구(155)와, 상기 래칫기구(155)에 권취되는 와이어(156)와, 상기 와이어(156)의 끝 단부에 고정되는 고리형 결고리(154) 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이송대차(3)를 이동시키는 체인(39)(40) 하부에 체인 브라켓(41)(42)(43)(44)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체인 브라켓(41)(42)(43)(44)의 양측부는 절곡에 의해 상향 돌출되어 체인(39)(4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14에 있어서; 체인(39)(40))과 체인 브라켓(41)(42)(43)(44) 사이에 가이드 바(41a)가 설치되어 체인(39)(40)을 구성하는 체인롤러가 상기 가이드 바(41a)에 구름운동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유압장치를 구동하는 엔진은 차량(t)에 설치되는 별도의 엔진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제어기는 마운트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어패널(34)과, 상기 제어패널(34)에 탈부착되는 유선리모콘(UC)으로 구성하여서 된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수평연결부재(78)와 출몰부재(76)(77) 사이 공간부에 미끄럼 베어링을 설치하여 출몰부재(76)(77)의 원할한 출몰이 달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베어링은 수평연결부재(78)나 출몰부재(76)(77) 중 어느 한 곳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차량 적재대에 설치되는 이송대차의 왕복운동과 승강수단의 승강운동에 의해 스토리지 컨테이너가 로딩/언로딩 및 운송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에 있어서;차량에 설치된 이송대차의 양측에 설치되는 포크 아암(162) 및 포크 아암(162)에 클램핑된 스토리지 컨테이너를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게 제1, 제2 아암(160)(161)과, 상기 제1, 제2 아암(160)(161)을 회동시키는 복수의 실린더(188)(192)(195)로 구성된 승강수단과, 상기 스토리지 컨테이너를 클램핑하거나 언클램핑시킬 수 있게 양측 포크 아암(162)을 수평으로 벌리거나 오무리는 수평이동수단으로 구성하여서 된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20에 있어서; 수평이동수단은, 이송대차(3)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체(167)(168)와, 상기 고정체(167)(168)에 결합된 이동체(169)(170)를 수평으로 각각 출몰시키는 한 쌍의 출몰실린더(171)(172)와, 상기 이동체(169)(170)의 바깥측면에 설치되고 승강수단이 고정되는 지지부재(173)(174)로 구성되어 양측 포크 아암(162)이 수평으로 벌어지거나 수평으로 오무려지면서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클램핑과 언클램핑이 달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20에 있어서; 수평이동수단은, 차량(t)에 설치된 이송대차(3)의 상부판(30) 양측에 고정체(167)(168)가 설치되고, 고정체(167)(168) 바깥측으로 형성된 개방부(175)(176)에는 이동체(169)(170)가 각각 결합되고, 고정체(167)(168)의 내측벽에 실린더(171)(172)가 고정되고, 실린더(171)(172)의 로드(177)(178) 단부는 이동체(169)(170)에 형성된 개방부(169a)(170a)를 지나 이동체(169)(170)의 내측벽에 각각 고정되고, 이동체(169)(170)의 바깥측벽에는 지지부재(173)(174)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지지부재(173)(174)의 바깥 하단에는 승강수단이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판(179)(180)이 수평으로 고정되고, 고정판(179)(180)의 하부는 복수의 브라켓(181)(182)으로 지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20 또는 청구항 21에 있어서; 고정체(167)(168)와 이에 결합되는 이동체(169)(170)는 사각통체형 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20 또는 청구항 21에 있어서; 고정체(167)(168)와 이동체(169)(170)의 면접촉부에 미끄럼 베어링을 설치하되 상기 미끄럼 베어링은 고정체(167)(168) 또는 이동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20 또는 청구항 21에 있어서; 승강수단이 설치되는 지지부재(173)(174)는 고정체(167)(168)보다 하향 돌출시켜 승강수단의 전체 높이와 동작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20 또는 청구항 21에 있어서; 승강수단은, 양측 고정판(179)(180)의 상부면 선단에 브라켓(183)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183)에 제1 아암(160)의 일측이 핀(184)으로 각각 축 설치되고, 상기 제1 아암(160)의 타측에 제2 아암(161)의 일측이 핀(185)으로 각각 축 설치되고, 상기 제2 아암(161)의 타측에 포크 아암(162)의 일측이 핀(186)으로 각각 축 설치되고, 상기 포크 아암(162)에는 스토리지 컨테이너를 클램핑하거나 언클램핑하는 복수 개의 포크(165)(166)가 위치 이동 및 고정할 수 있게 각각 설치되고, 상기 양측 고정판(179)(180)의 상부면 후단에 브라켓(187)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187)에 실린더(188)가 핀으로 각각 축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188)의 로드(189)는 제1 아암(160)의 하부에 고정된 브라켓(190)에 축 설치되고, 상기 제1 아암(160)의 상부에 고정된 브라켓(191)에 다른 실린더(192)가 핀으로 축 설치되고, 상기 다른 실린더(192)의 로드(193)는 제2 아암(161)의 선단부에 핀으로 축설치되고, 상기 제2 아암(161)의 상부면에 고정된 브라켓(194)에 또 다른 실린더(195)가 핀으로 축설치되고, 또 다른 실린더(195)의 로드(196)는 포크 아암(161)의 선단 상부면에 고정된 브라켓(197)에 핀으로 축설치하여서 된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20 또는 청구항 21에 있어서; 이송대차(3)는,차량 프레임(f)의 안내레일(15)(16)에 설치되는 전후 및 좌우 한 쌍의 롤러(17)(18)(19)(20)와 정역회전하는 유압모터(57)와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되어 적재대(2)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유압모터(57)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감속기(53)로 감속시킨 다음 적재대(2)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양측 체인(39)(40)으로 전달하여 이송대차의 왕복이동이 달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청구항 21에 있어서; 출몰실린더(171)(172)는 좌우 동시 또는 개별 동작하여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센터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0049A KR100940889B1 (ko) | 2009-06-05 | 2009-06-05 |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0049A KR100940889B1 (ko) | 2009-06-05 | 2009-06-05 |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40889B1 true KR100940889B1 (ko) | 2010-02-09 |
Family
ID=4208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0049A Active KR100940889B1 (ko) | 2009-06-05 | 2009-06-05 |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40889B1 (ko)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3721B1 (ko) | 2008-12-19 | 2010-12-24 | 임대우 |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구조 |
KR101275437B1 (ko) | 2011-11-11 | 2013-06-17 | 임대우 |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장착 |
KR101508188B1 (ko) * | 2014-04-18 | 2015-04-07 | 지이티 주식회사 |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 |
KR101506233B1 (ko) * | 2013-11-25 | 2015-04-07 | 주식회사 신성테크 |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 |
KR101549365B1 (ko) * | 2015-01-12 | 2015-09-01 | 이정신 |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 |
KR101561898B1 (ko) | 2013-07-11 | 2015-10-22 | (주)트라비스엘리베이터 | 컨테이너 대차 이송 장치 |
CN108357949A (zh) * | 2018-04-04 | 2018-08-03 | 北京巨得力机电有限公司 | 一种智能集装箱快速平移转接装卸车 |
CN112825679A (zh) * | 2021-02-21 | 2021-05-25 | 马志刚 | 秸秆捆回收用多功能运载系统 |
CN113335895A (zh) * | 2020-02-18 | 2021-09-03 |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 搬运系统 |
CN114180499A (zh) * | 2021-12-03 | 2022-03-15 | 劢微机器人科技(深圳)有限公司 | 叉车的滑移举升装置及叉车 |
RU211800U1 (ru) * | 2021-11-16 | 2022-06-23 | Татьяна Сергеевна Смирнова | Эвакуатор-контейнеровоз с вилочным захватом |
US20220379792A1 (en) * | 2021-05-25 | 2022-12-01 | Stratom, Inc. | Cargo transport system |
CN116133896A (zh) * | 2020-06-18 | 2023-05-16 | 康特勒有限公司 | 用于将装载单元装载到车辆上和从车辆卸载的装载布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30377A (ja) * | 1992-05-28 | 1993-12-14 | Furukawa Co Ltd | 荷役車両 |
US5816764A (en) | 1996-05-08 | 1998-10-06 | Bohata; John F. | Vehicle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containers |
US7270511B2 (en) | 2003-03-24 | 2007-09-18 | Pack-Rat Mini-Mover, Llc | Device and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a storage container with respect to a transport vehicle |
KR100789750B1 (ko) | 2001-08-08 | 2008-01-02 | 김기충 | 불법주차차량 강제이동 차 |
-
2009
- 2009-06-05 KR KR1020090050049A patent/KR10094088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30377A (ja) * | 1992-05-28 | 1993-12-14 | Furukawa Co Ltd | 荷役車両 |
US5816764A (en) | 1996-05-08 | 1998-10-06 | Bohata; John F. | Vehicle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containers |
KR100789750B1 (ko) | 2001-08-08 | 2008-01-02 | 김기충 | 불법주차차량 강제이동 차 |
US7270511B2 (en) | 2003-03-24 | 2007-09-18 | Pack-Rat Mini-Mover, Llc | Device and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a storage container with respect to a transport vehicle |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3721B1 (ko) | 2008-12-19 | 2010-12-24 | 임대우 |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구조 |
KR101275437B1 (ko) | 2011-11-11 | 2013-06-17 | 임대우 |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장착 |
KR101561898B1 (ko) | 2013-07-11 | 2015-10-22 | (주)트라비스엘리베이터 | 컨테이너 대차 이송 장치 |
KR101506233B1 (ko) * | 2013-11-25 | 2015-04-07 | 주식회사 신성테크 |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 |
KR101508188B1 (ko) * | 2014-04-18 | 2015-04-07 | 지이티 주식회사 |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 |
KR101549365B1 (ko) * | 2015-01-12 | 2015-09-01 | 이정신 |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 |
CN108357949A (zh) * | 2018-04-04 | 2018-08-03 | 北京巨得力机电有限公司 | 一种智能集装箱快速平移转接装卸车 |
CN113335895A (zh) * | 2020-02-18 | 2021-09-03 |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 搬运系统 |
CN113335895B (zh) * | 2020-02-18 | 2022-07-12 |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 搬运系统 |
CN116133896A (zh) * | 2020-06-18 | 2023-05-16 | 康特勒有限公司 | 用于将装载单元装载到车辆上和从车辆卸载的装载布置 |
CN112825679A (zh) * | 2021-02-21 | 2021-05-25 | 马志刚 | 秸秆捆回收用多功能运载系统 |
CN112825679B (zh) * | 2021-02-21 | 2025-03-21 | 马志刚 | 秸秆捆回收用多功能运载系统 |
US20220379792A1 (en) * | 2021-05-25 | 2022-12-01 | Stratom, Inc. | Cargo transport system |
US20230191978A1 (en) * | 2021-05-25 | 2023-06-22 | Stratom, Inc. | Cargo transport system |
RU211800U1 (ru) * | 2021-11-16 | 2022-06-23 | Татьяна Сергеевна Смирнова | Эвакуатор-контейнеровоз с вилочным захватом |
CN114180499A (zh) * | 2021-12-03 | 2022-03-15 | 劢微机器人科技(深圳)有限公司 | 叉车的滑移举升装置及叉车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40889B1 (ko) |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 |
US8306706B2 (en) | Storage container loading/unload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 |
US5829948A (en) | Multipurpose lift apparatus and method | |
US4227463A (en) | Apparatus for removing and installing batteries | |
US5325953A (en) | Adaptable conveyor for man-loaded cargos | |
CA1190917A (en) | Detachable platform for truck body or trailer | |
CN110668362B (zh) | 一种折叠式叉吊两用的手动叉车 | |
AU2009323228B2 (en) | Dock leveler | |
US20090272953A1 (en) | Lift apparatus | |
US4784063A (en) | Mobile apparatus for loading, transporting and laying an assembled track section | |
US3521775A (en) | Portable power lift | |
US2011029996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a nacelle of a wind turbine | |
KR101291323B1 (ko) | 화물 이송 장치 | |
CA2006627C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motor vehicles from lightweight sleeves which are carried in standard cargo containers | |
US4395183A (en) | Loading device | |
FI120031B (fi) | Selluyksiköiden nostolaite | |
WO1990006279A1 (en) | A crane assembly | |
RU109726U1 (ru) |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ый комплекс | |
KR100679464B1 (ko) |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 |
US20220396440A1 (en) | Hauling beam, hauling transporter and method for loading | |
EP1460027B1 (en) | Multifunctional trolley with high mobility | |
US2235727A (en) | Merchandise handling apparatus | |
CN210205264U (zh) | 安葬设备 | |
JP4062590B2 (ja) | 被搬送物吊下搬送用ハンガー | |
EP1745980A1 (en) | Transport vehicle for sheet materi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6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