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197B1 - Contacting device for remote control - Google Patents
Contacting device for remote contro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40197B1 KR100940197B1 KR1020090105132A KR20090105132A KR100940197B1 KR 100940197 B1 KR100940197 B1 KR 100940197B1 KR 1020090105132 A KR1020090105132 A KR 1020090105132A KR 20090105132 A KR20090105132 A KR 20090105132A KR 100940197 B1 KR100940197 B1 KR 1009401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lever
- movable contact
- operation lever
- contact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02—Bases; Casings;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동접점부와 고정접점부 상호간의 접촉 및 이격과정에 대한 동작 속도를 향상시키고, 가동접점부의 접촉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의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contact device that improves the contact reliability of the terminal, and to improve the operation speed for the contact and separation process between the movable contact portion and the fixed contact portion, the remote configuration of the configuration for increasing the contact force of the movable contact portion It is to provide a control contact device.
본 발명은 동작신호를 원격으로 전달받아 이를 정류하여 반파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정류회로부(110)와; 상기 정류회로부(110)에 연결되며 동작신호 발생시 NC(Normal Close)접점 및 NO(Normal Open)접점을 상호 변환하는 소형스위칭수단(120)과; 상기 반파 입력신호로부터 전자기력을 생성하여 내부에 수용된 가동코어(131)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조작전자석장치(130)와; 가동코어(131)의 전진 및 후진 동작에 따라 시계방향(정방향) 및 반시계방향(역방향)으로 회전 동작하는 조작레버(140)와; 상기 조작레버(140)의 일측에 결합되어 조작레버(14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가동접점부(150)와; 하우징(180)에 고정되며 상기 가동접점부(150)와의 접촉 여부로 주회로의 개로위치 및 폐로위치 상태가 결정되는 고정접점부(160)와; 상기 조작레버(140)의 상부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조작레버(140)의 회전 동작시 함께 연동되는 회전레버(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작레버(140)의 일측 하단은 가동접점부(150)를 향해 곡선형으로 돌출된 조작레버가압부(143)가 형성되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에서 가동접점부(150)에 대한 접촉 압력을 증가시키며, 조작레버(140)의 일측 하단에는 걸림돌기(145) 돌출 되어 가동접점부(150)와 걸림 결합됨으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에서 가동접점부(150)를 빠르게 당겨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tifier circuit unit 110 for receiving the operation signal remotely and rectified to generate a half-wave input signal; A small switching means (120) connected to the rectifier circuit unit (110) and converting between normal close (NC) and normal open (NO) contacts when an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An operation electromagnet device 130 for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orce from the half-wave input signal to advance and retract the movable core 131 accommodated therein; An operation lever 140 which rotates clockwise (forward direction) and counterclockwise (reverse direction)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tions of the movable core 131; A movable contact unit 150 coupled to one side of the operation lever 140 and moving according to a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140; A fixed contact unit 160 fixed to the housing 180 and configured to determine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state of the main circuit by contact with the movable contact unit 15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tating lever 170 is connected to the upper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140 and interlocked together when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140, one end of the operation lever 140 is movable The operation lever pressing portion 143 protruding in a curved direction toward the contact portion 150 is formed to increase the contact pressure on the movable contact portion 150 in the operation of rotating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operation lever 140 The engaging projection 145 is protruded by engaging with the movable contact portion 15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pull the movable contact portion 150 in the rotation to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자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모콘차단기 또는 리모콘릴레이와 같이 전자석 및 영구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전기 접점을 개폐하되 20ms 정도의 짧은 교류파형을 수신받아 조명 등의 각종 부하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함에 사용되는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 control device for remote control that improves the contact reliability of the terminal, and more specifically, a short AC waveform of about 20ms to open and close the electrical contact using the principle of electromagnets and permanent magnets, such as a remote control breaker or a remote control rela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contact device used to remotely control various load power sources such as lighting.
일반적으로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는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전자석 및 영구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전기 접점을 개폐시키는 것으로 건물 자동화(Intelligent building) 및 조명설비에 필수적인 장치로서 정확한 동작특성이 요구되고 있다.In general, the contact point device for remote control is to open and close the electrical contact point using the principle of electromagnets and permanent magnets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which is an essential device for intelligent building and lighting equipment, and precise operation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이와 같은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는 C접점(chang-over contact: 변환 접점) 방식을 갖는 소형스위칭수단을 사용하여 그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도 1은 종래의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의 동작 회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원격 제어용 접점 장치에 대한 주요 구성도이다.Such a remote control contact device can implement its operation by using a small switching means having a C contact (chang-over contact: conversion contact) method, Figure 1 is an operation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 contact device, 2 is a main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 contact device.
상기와 같은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는, 외부에서 조작 컨트롤러로부터 원격신호에 의해 20ms 정도의 짧은 교류파형이 인가되면, 정류 다이오드에서 이를 정류하여 반파 입력신호를 소형스위칭수단(10)의 NC(Normal Close)접점을 통해 조작전자석장치(20)로 전달하여 여자시키고, 조작전자석장치(20) 내부에 수용된 가동코어(21)는 전자기력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한다. 가동코어(21)의 선단부는 조작레버(30)의 하단부에 연결핀(22)으로 결합되어 상호 연동되는 것으로, 조작레버(30)는 가동코어의 전진 또는 후진 동작에 따라 회전축(3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동작하고 그 과정에서 조작레버(30)의 일측에 결합된 가동접점부(40)가 이동하여 고정접점부(50)와 접촉하거나 이격되어 주회로의 전원의 ON/OFF 상태가 전환되는 것이다. 이때, 조작 컨트롤러에서 인가되던 전원이 차단되어도 조작전자석장치(20)의 영구자석으로부터 가동접점부(40)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In the remote control contact device as described above, when a short AC waveform of about 20 ms is applied by a remote signal from an operation controller from the outside, the rectifier diode rectifies it and converts the half-wave input signal to the NC (Normal Close) of the small switching means 10. The magnet is transferred to the
조작레버(30)의 상부에는 소형스위칭수단(10)을 가압하기 위한 돌출부(32)가 형성되어 조작레버(3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소형스위칭수단(10)의 전환 접점을 가압하여 접촉 또는 이격시키는 것으로, 그 과정에서 양의 방향 회로와 음의 방향 회로가 상호 전환되는 것이다.Protruding
그러나,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에서 조작레버(30)와 함께 구동되는 가동접점부(40)는 조작전자석장치(20)의 구동 여부에 따라 움직이되 그 동작속도 및 접촉의 신뢰성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았다. 즉, 가동접점부와 고정접점부는 신뢰성 있는 동작을 위해 빠르게 접촉하거나 이격되어야 했으며, 이와 같이 단자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가 요구되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mote control contact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에서 가동접점부와 고정접점부 상호간의 접촉 및 이격과정에 대한 동작 속도를 향상시키고,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가동접점부의 접촉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의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mproves the operation speed for the contact and separation process between the movable contact portion and the fixed contact portion in the remote control contact device, and improves the operation reliabilit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ct control device for remote control of the configuration for increasing the contact force of the movable contact por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본 발명은 동작신호를 원격으로 전달받아 이를 정류하여 반파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정류회로부와; 상기 정류회로부에 연결되며 동작신호 발생시 NC(Normal Close)접점 및 NO(Normal Open)접점을 상호 변환하는 소형스위칭수단과; 상기 반파 입력신호로부터 전자기력을 생성하여 내부에 수용된 가동코어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조작전자석장치와; 가동코어의 전진 및 후진 동작에 따라 시계방향(정방향) 및 반시계방향(역방향)으로 회전 동작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의 일측에 결합되어 조작레버의 회전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가동접점부와;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가동접점부와의 접촉 여부로 주회로의 개로위치 및 폐로위치 상태가 결정되는 고정접점부와; 상기 조작레버의 상부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조작레버의 회전 동작시 함께 연동되는 회전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작레버의 일측 하단은 가동접점부를 향해 곡 선형으로 돌출된 조작레버가압부가 형성되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에서 가동접점부에 대한 접촉 압력을 증가시키며, 조작레버의 일측 하단에는 걸림돌기 돌출되어 가동접점부와 걸림 결합됨으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에서 가동접점부를 빠르게 당겨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tifying circuit unit for receiving the operating signal remotely and rectified to generate a half-wave input signal; A small switching means connected to the rectifying circuit unit and converting an NC (Normal Close) contact and a NO (Normal Ope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an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An operation electromagnet device for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orce from the half-wave input signal to advance and retract the movable core housed therein; An operating lever which rotates clockwise (forward direction) and counterclockwise (reverse direction)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tions of the movable core; A movable contact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operation lever and moving according to a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A fixed contact portion fixed to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determine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state of the main circuit by contact with the movable contact portion; A rotation lever connected to be rotatable at an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lever and interlocked together when the operation lever is rotated, wherein a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operation lever protrudes linearly toward the movable contact portion; It is formed to increase the contact pressure to the movable contact portion in the operation of rotating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locking projection protrudes on one side lower end of the operating lever is engaged with the movable contact portion, so that the movable contact portion can be quickly pulled and rotated in the reverse rotation operatio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또한, 상기 가동접점부의 중앙은 조작레버를 향해 굴곡된 만곡부를 형성하여 조작레버의 회동시 조작레버가압부의 접촉 압력을 받으며, 만곡부 중앙은 관통된 걸림돌기결합공을 형성하여 조작레버의 걸림돌기가 관통 결합 후 걸림상태를 형성하는 것이며, 가동접점부의 상부는 "┛"자형으로 절곡 돌출된 스프링지지부가 형성되고, 조작레버의 중앙은 가동접점부결합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호간 끼움 결합하고, 조작레버의 일면과 "┛"자형 스프링지지부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가동접점부 단자의 접촉력을 증대시키고 접촉과정에서의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enter of the movable contact portion formed a curved portion bent toward the operating lever to receive the contact pressure of the operating lever pressing portion when the operating lever is rotated, the center of the curved portion forms a through-hole engaging projection hole through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operating lever through After the engagement is to form a locking state,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contact portion is formed with a spring support portion bent and protruded in the shape of "┛", the center of the operation lever is formed through the movable contact portion coupling hole, the mutual engagement, one side of the operation lever Sp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자" -shaped spring suppor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o increase the contact force of the movable contact terminal and to absorb the shock during the contact process.
본 발명에 따른 단자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에 의하면, 조작레버의 정방향 회동시 조작레버가압부를 통해 가동접점부의 접촉 압력을 증대시킨 효과가 있으며, 곡선형으로 서서히 돌출된 조작레버가압부는 조작레버의 회동 과정에서 접촉압력이 서서히 증가하도록 한 효과도 있다.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contact device which improves the contact reliability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contact pressure of the movable contact portion through the operation lever pressing portion during the forward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the operation lever pressure protruding gradually curved The part also has the effect of gradually increasing the contact pressure during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 lever.
또한, 조작레버의 걸림돌기로부터 가동접점부와 견고한 걸림 결합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구성 상호간의 유격이 없으며, 조작레버의 역방향 회동시 가동접점부 를 빠르게 당겨 회동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clearance between the components because it makes a rigid locking engagement state with the movable contact portion from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operating lever,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be quickly pulled by the movable contact portion during the reverse rotation of the operating lever.
또한, 조작레버와 가동접점부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은 단자의 접촉력을 증대시키고 접촉과정에서의 충격을 흡수하며, 중간에 멈추지 않고 영구자석의 자력으로 스프링을 임계점까지 끌고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operating lever and the movable contact portion increases the contact force of the terminal and absorbs the impact during the contact process, and has the effect of dragging the spring to the critical point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without stopping in the midd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의 주요 구성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mote control contac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remote control contac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에서 접점이 접촉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에서 접점이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In addi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in the remote control contac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is spaced apart from the remote control contac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diagram is show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100)는, 동작신호를 원격으로 전달받아 이를 정류하여 반파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정류회로부(110)와, 상기 정류회로부(110)에 연결되어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소형스위칭수단(120)과, 상기 반파 입력신호로부터 전자기력을 생성하여 내부에 수용된 가동코어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조작전자석장치(130)와, 가동코어의 전진 및 후진 동작에 따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동작하고 그에 따른 주회로의 전원 ON/OFF 상태를 전환 하는 조작레버(140)와, 상기 조작레버(140)의 하단 일측에 결합되어 조작레버(140)의 회전 동작에 따라 함께 움직이는 가동접점부(150)와, 하우징(180)에 고정되며 상기 가동접점부(150)와의 접촉 여부로 주회로 전원의 ON/OFF 상태가 결정되는 고정접점부(160)와, 상기 조작레버(140)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조작레버(140)의 회전 동작시 함께 회전 동작하는 회전레버(170)와, 상기 구성들을 수용하고 보호하는 하우징(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mote
정류회로부(110)는 외부 조작 컨트롤러의 원격 신호로부터 20ms 정도의 짧은 교류파형이 인가되면 정류 다이오드에서 이를 정류하여 반파 신호를 생성하는 정류회로에 해당한다.The
소형스위칭수단(120)은 상기 정류회로부(110)에 연결되어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C접점(chang-over contact: 변환 접점)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회전레버(170)의 터치 여부에 의해 접점상태를 변경하는 가압레버(121)가 외부에 돌출 형성된다.Small switching means 120 is connected to the
조작전자석장치(130)는 상기 반파 입력신호로부터 전자기력을 생성하고 자석의 척력 및 인력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가동코어(131)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것으로, 가동코어(131)의 선단부에는 크로스바(132)가 연결되되 크로스바(132)의 선단부는 조작레버(140)의 하단에서 연결핀(133)으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The
조작레버(140)는 가동코어(131)의 전진 및 후진 동작에 따라 시계방향(정방향) 및 반시계방향(역방향)으로 회전 동작하고 그에 따른 위치 변경으로 가동접점부와 고정접점부의 접촉 여부가 결정되어 주회로를 개로위치 및 폐로위치로 전환하는 것으로, 조작레버(140)의 상세한 구성은 도 7에 도시한 사시도 및 도 8에 도시한 측면도와 같다. The operation lever 140 rotates clockwise (forward direction) and counterclockwise (reverse direction)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tions of the
또한, 도 9는 이하 설명되는 조작레버와 가동접점부와 회전레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on lever, the movable contact portion, and the rotation lever described below.
상기와 같이, 조작레버(140)는 중앙부 양측에 조작레버회전축(141)이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180)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단부는 연결핀결합공(142)이 형성되어 연결핀(133)의 결합과 함께 조작전자석장치(130)의 크로스바(132)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가동코어(131)로부터 일체로 연결된 크로스바(132)의 전진 및 후진 동작에 따라 조작레버(140)는 조작레버회전축(14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정방향) 및 반시계방향(역방향)으로 회전 동작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조작레버(140)의 일측에는 가동접점부(150)가 연결되되, 중앙에 가동접점부결합공(144)이 관통 형성되어 가동접점부(150)의 스프링지지부(153)와 결합되는 것이다. One side of the
또한, 가동접점부(150)가 위치하는 일측 하단은 가동접점부(150)를 향해 곡선형으로 돌출된 조작레버가압부(143)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조작레버가압부(143)는 조작레버(140)가 시계방향(정방향)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가동접점 부(150)의 만곡부(151)를 눌러 접촉 압력을 증가시키고, 또한 조작레버(140)의 회동 과정에서 접촉압력이 서서히 증가하는 구조로 초기 접촉시점에서는 압력을 적게 받도록 이루어진 형태이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one side where the
또한, 조작레버(140)에서 가동접점부(150)가 연결되는 일측면에는 걸림돌기(145)가 돌출 형성되어 가동접점부(150)의 걸림돌기결합공(152)을 통해 결합상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걸림돌기(145)는 조작레버(140)가 반시계방향(역방향)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걸림 결합된 가동접점부(150)를 빠르게 당겨 회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조작레버(140)와 가동접점부(150) 상호간 유격이 없도록 견고한 연결관계를 제공하는 기능도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조작레버(140)의 상부는 연결돌기(146)가 돌출되어 후술되는 회전레버(170)의 아크형 연결홈(17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조작전자석장치(130)에서 발생한 전자기력에 의한 가동코어(131)의 전,후 왕복동작은 조작레버(140) 및 회전레버(170)의 회전 동작으로 연결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가동접점부(150)는 상기 조작레버(140)의 하단 일측에 결합되어 조작레버(140)의 회전 동작에 따라 함께 이동하고 고정접점부(160)와의 접촉 여부로 주회로의 개로위치 및 폐로위치를 전환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도 9에 도시한 분해 사시도와 같다. The
상기 가동접점부(150)의 중앙은 조작레버(140)를 향해 굴곡된 만곡부(151)를 형성하여 조작레버(140)의 회동시 조작레버가압부(143)의 접촉 압력을 받으며, 만 곡부(151) 중앙은 관통된 걸림돌기결합공(152)을 형성하여 조작레버(140)의 걸림돌기(145)가 관통 결합 후 걸림상태를 형성하는 것이다.The center of the
상기 가동접점부(150)의 상부는 "┛"자형으로 절곡 돌출된 스프링지지부(153)가 형성되어 조작레버(140)의 가동접점부결합공(144)에 관통 결합하는 것으로, 조작레버(140)의 일면과 "┛"자형 스프링지지부(153) 사이에 스프링(154)이 설치되어 가동접점부(150) 단자의 접촉력 증대 및 접촉과정에서의 충격흡수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upper portion of the
고정접점부(160)는 상기 가동접점부(150)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되 하우징(180)에 고정되며, 상기 가동접점부(150)와의 접촉 여부로 주회로의 개로위치 및 폐로위치가 결정되는 것이다.The
회전레버(170)는 상기 조작레버(140)의 상부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조작레버(140)의 회전 동작시 함께 연동되는 것으로 그 구성은 도 9에 도시한 분해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The
상기와 같이, 회전레버(170)의 상부에는 아크형 연결홈(171)이 형성되어 조작레버(140)의 연결돌기(146)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 조작레버(140)와 함께 연동되는 것이며, 중앙부에는 회전레버 회전축(172)이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180)의 양측에 결합되는 구성을 통해 회전 동작의 중심축 역할을 하며, 하단에는 소형스위칭수단(120)의 가압레버(121)를 누르기 위해 일 방향으로 절곡 및 돌출된 회전 레버 가압돌기(173)가 형성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arc-shaped connecting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Can be modified and changed.
도 1은 종래의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에 대한 동작 회로도이며, 1 is an operation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 contact device,
도 2는 종래의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에 대한 주요 구성도이며,2 is a main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 contact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mote control contac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의 주요 구성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며,Figure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remote control contac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에서 접점이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 구성도이며,5 is an assembly configuration showing the contact state of the contact in the remote control contac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에서 접점이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 구성도이며,6 is an assembly configura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is spaced apart from the remote control contac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레버의 사시도이며,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ration l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레버의 측면도이며, 8 is a side view of the operation l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레버와 가동접점부와 회전레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on lever, the movable contact portion, and the rotation l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원격 제어용 접점장치 110 : 정류회로부100: contact device for remote control 110: rectifier circuit
120 : 소형스위칭수단 121 : 가압레버120: small switching means 121: pressure lever
130 : 조작전자석장치 131 : 가동코어130: operation electromagnet device 131: movable core
132 : 크로스바 133 : 연결핀132: crossbar 133: connecting pin
140 : 조작레버 141 : 조작레버회전축140: operation lever 141: operation lever rotation axis
142 : 연결핀결합공 143 : 조작레버가압부142: connecting pin coupling hole 143: operating lever pressing portion
144 : 가동접점부결합공 145 : 걸림돌기144: movable contact portion coupling hole 145: locking projection
146 : 연결돌기 150 : 가동접점부146: connection protrusion 150: movable contact
151 : 만곡부 152 : 걸림돌기결합공151: curved portion 152: locking projection coupling hole
153 : 스프링지지부 154 : 스프링153: spring support 154: spring
160 : 고정접점부 170 : 회전레버160: fixed contact portion 170: rotary lever
171 : 아크형 연결홈 172 : 회전레버 회전축171: arc connection groove 172: rotary lever rotary shaft
173 : 회전레버 가압돌기 180 : 하우징173: rotary lever pressing protrusion 180: housing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5132A KR100940197B1 (en) | 2009-11-02 | 2009-11-02 | Contacting device for remote contro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5132A KR100940197B1 (en) | 2009-11-02 | 2009-11-02 | Contacting device for remote contro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40197B1 true KR100940197B1 (en) | 2010-02-10 |
Family
ID=42082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05132A Active KR100940197B1 (en) | 2009-11-02 | 2009-11-02 | Contacting device for remote contro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4019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9046B1 (en) * | 2015-03-24 | 2017-05-15 | (주)클라루스코리아 | Contacting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
KR101765485B1 (en) * | 2017-01-13 | 2017-08-07 | (주)클라루스코리아 | Contacting device for remote control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82960A (en) * | 1993-12-22 | 1995-07-21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Remote control relay |
-
2009
- 2009-11-02 KR KR1020090105132A patent/KR10094019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82960A (en) * | 1993-12-22 | 1995-07-21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Remote control relay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9046B1 (en) * | 2015-03-24 | 2017-05-15 | (주)클라루스코리아 | Contacting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
KR101765485B1 (en) * | 2017-01-13 | 2017-08-07 | (주)클라루스코리아 | Contacting device for remote contro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58901B2 (en) | Energy-saving electromagnetic switch device | |
KR100551227B1 (en) | Contact Mechanism Against Electrical Overload | |
KR102108894B1 (en) | Relay | |
ME00639B (en) | A mechanism for compression actuating, by means of a rocking key, switches, change-over switches, selector switches and the like | |
CN105185668A (en) | Miniature circuit breaker control structure and miniature circuit breaker control device comprising same | |
CN203288541U (en) | A novel contactor auxiliary contact apparatus | |
CN215527549U (en) | Hall speed regulating switch | |
JP4839281B2 (en) | Automatic switch disconnection structure | |
KR100940197B1 (en) | Contacting device for remote control | |
CN211654751U (en) | Short-circuit protection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 |
JP2010015987A (en) | Switching device equipped with remover | |
JP7641887B2 (en) | Tripping devices and circuit breakers | |
CN112514018A (en) | Circuit breaker | |
CN112993684A (en) | Socket | |
KR101729046B1 (en) | Contacting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 |
CN212209392U (en) | Tripping mechanism and circuit breaker | |
KR100940196B1 (en) | Contacting device for remote control | |
CN109378232B (en) | Mechanical forced starting device applied to star-delta voltage reduction starting of fire pump | |
US5200723A (en) | Remotely-controlled relay | |
CN115360065A (en) | Plug-in circuit breaker | |
KR100492254B1 (en) | Molded Case Circuit Braker | |
CN203966852U (en) | For control and protective switch can self-return electromagnetic operating device | |
KR101283713B1 (en) | Solenoid switch | |
KR101765485B1 (en) | Contacting device for remote control | |
CN215869244U (en) | Circuit breaker operating mechanis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11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3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