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811B1 - Grid fixing system - Google Patents
Grid fix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9811B1 KR100939811B1 KR1020090041740A KR20090041740A KR100939811B1 KR 100939811 B1 KR100939811 B1 KR 100939811B1 KR 1020090041740 A KR1020090041740 A KR 1020090041740A KR 20090041740 A KR20090041740 A KR 20090041740A KR 100939811 B1 KR100939811 B1 KR 1009398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wall block
- fixed
- grid
- plate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리드 고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절토 또는 성토를 한 비탈면에 다수가 적층되어 상기 비탈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옹벽블럭과, 옹벽블럭에 삽입고정될 수 있게 형성되되, 외주면이 옹벽블럭에 대해 복수의 삽입방향에서 구속될 수 있는 구속방향조정부를 구비한 고정몸체와, 옹벽블럭에 그리드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몸체의 상단에 형성되되, 고정몸체의 삽입방향의 선택에 의해 그리드의 고정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중심이 고정몸체의 중심에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 고정판부재를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d fixing system, wherein a plurality of cuts or fills are stacked on a slope to prevent the slope from collapsing,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It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xed body for fixing the grid to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fixed body having a constraining direction adjustment portion that can be constrained in a plurality of insertion direction, the fixed position of the grid by selecti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xed body It has a fixed plate member formed at a position in which the center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fixed body so that it can be changed.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드 고정 시스템은 옹벽블럭의 적층구조에 영향을 받지 않고, 옹벽블럭에 그리드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옹벽블럭에 고정력이 고르게 공급되게 하고, 그리드 내에 작용하는 응력이 분산되게 하여 그리드의 파손을 감소시킨다. The grid fix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xed to the retaining wall block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stacking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so that the fixing force is uniformly supplied to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stress acting in the grid is dispersed to break the grid. Decreases.
Description
본 발명은 그리드 고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블럭의 적층 구조에 따라 옹벽블럭에 대한 그리드의 고정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그리드 고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d fix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id fixing system that can change the fixing position of the grid relative to th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stack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일반적으로 그리드를 이용한 옹벽 보강구조는 절,성토사면 전면에 옹벽블록을 콘크리트 기초 위에 쌓아 올린 다음, 옹벽블록과 절,성토사면 사이에 쇄석이나 토사 등의 뒤채움재로 성토하여 성토층을 형성하게 되며, 성토층에 옹벽블럭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위해 그리드를 삽입 시공한다. 이때, 그리드의 일단부는 다수의 옹벽블럭에 고정하고, 그리드의 타단부는 성토층에 매립되게 하여, 성토층의 하중에 의해 옹벽블럭을 절,성토사면에 고정한다. In general, the retaining wall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grid is formed by stacking retaining wall blocks on a concrete foundation in front of sections and fill slopes, and then filling them with backfilling materials such as crushed stone or soil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s and sections and fill slopes. The grid is inserted to secure the retaining wall block on the fill layer. At this time, one end of the grid is fixed to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and the other end of the grid is embedded in the fill layer,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is fixed to the cut and fill slopes by the load of the fill layer.
한국등록실용 제20-0369475호에서는 '금속봉이 삽입된 옹벽 설치용 지지핀'이 개시되어 있다. Korean Registered Room No. 20-0369475 discloses a retaining pin for installing a retaining wall with a metal rod inserted therein.
상기 금속봉이 삽입된 옹벽 설치용 지지핀은 머리부재와 돌출부재의 내부에 금속봉을 삽입하여 머리부재와 돌출부재의 연결부분의 강도를 향상시켜 파손을 방지하는 그리드 지지핀에 관한 것이다. The retaining wall installation support pin into which the metal rod is inserted relates to a grid support pin which prevents breakage by inserting a metal rod into the head member and the protruding member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head member and the protruding member.
그러나 상기 금속봉이 삽입된 옹벽 설치용 지지핀은 옹벽블럭에 대한 그리드의 고정위치가 한정되어 있어, 곡면을 따라 옹벽블럭을 적층시킬 경우, 그리드의 일부는 옹벽블럭에 고정되지 못하여 옹벽블럭에 균등한 고정력이 작용하지 못하며, 고정된 부분의 그리드는 응력이 집중되어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retaining wall installation support pin into which the metal rod is inserted has a fixed position of the grid with respect to the retaining wall block. When the retaining wall blocks are stacked along a curved surface, a part of the grid cannot be fixed to the retaining wall block, so that the retaining wall block is evenly fixed to the retaining wall block. This does not work, the grid of the fixed portion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stress can be easily broken due to the concentration of stres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옹벽블럭의 적층구조에 영향을 받지않고 그리드를 옹벽블럭에 고정할 수 있도록 옹벽블럭에 대한 그리드의 고정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그리드 고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provides a grid fixing system that can change the fixed position of the grid with respect to the retaining wall block to be fixed to the retaining wall block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stack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Its purpose is to.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드 고정 시스템은 절토 또는 성토를 한 비탈면에 다수가 적층되어 상기 비탈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옹벽블럭과, 상기 옹벽블럭에 삽입고정될 수 있게 형성되되, 외주면이 상기 옹벽블럭에 대해 복수의 삽입방향에서 구속될 수 있는 구속방향조정부를 구비한 고정몸체와, 상기 옹벽블럭에 그리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몸체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몸체의 삽입방향의 선택에 의해 상기 그리드의 고정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중심이 상기 고정몸체의 중심에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 고정판부재를 구비한다. Grid fix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to prevent the slope is collaps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cut or fill on the slope surfac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on the fixing body having a restricting direction adjusting portion that can be constrained in a plurality of insertion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ody so as to fix the grid to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a fixing plate member form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center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fixing body so that the fixing position of the grid can be changed by selection of a direction.
상기 구속방향조정부는 상기 옹벽블럭으로 삽입되는 위치의 상기 고정몸체에 형성되며, 삽입방향에 따라 삽입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옹벽블럭은 상기 구속방향조정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구속방향조정부의 단면에 대응되는 제 1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straint direction adjusting part is formed on the fixing body at a position inserted into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a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to adjust the insertion angle according to the inserting direction,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restraining direction adjusting part. 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restriction direction adjustment part is formed to be formed.
상기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판부재는 상호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고정몸체는 상단이 상기 고정판부재와의 결합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부재는 상기 고정몸체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몸체의 단면에 대응되는 제 2삽입홈이 형성된다. The fixed body and the fixed plate member is form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fixed body is formed in a polygonal cross section so that the upper end can adjust the coupling direction with the fixed plate member, the fixed plat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xed body The second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fixing body is formed to be fixed.
상기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판부재는 상호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고정몸체에 대해 상기 고정판부재가 일방향으로는 회전가능하되, 타방향으로는 회전이 억제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판부재의 결합부분에 형성된 제 1래칫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xed body and the fixed plate member is form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fixed plate member is rotatable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the fixed body and the fixed plate member so that the rotation can be suppressed in the other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a first ratchet member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of the.
상기 옹벽블럭에 대해 상기 구속방향조정부가 일방향으로는 회전가능하되, 타방향으로는 회전이 억제될 수 있도록 상기 구속방향조정부와 상기 옹벽블럭의 결합부분에 형성된 제 2래칫부재를 구비한다. A second ratchet member is formed at a coupling portion of the retaining direction adjusting part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so that the restraining direction adjusting part is rotatable in one direction and the rotation is suppressed in the oth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taining wall block.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드 고정 시스템은 옹벽블럭에 대한 그리드의 고정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옹벽블럭이 곡면을 따라 적층되더라도 옹벽블럭의 양측에 그리드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옹벽블럭에 고정력이 고르게 작용되게 하고, 그리드 내에 작용하는 응력이 분산되게 하여 그리드의 파손을 감소시킨다. The grid fix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fixing position of the grid with respect to the retaining wall block, so that even if the retaining wall blocks are stacked along the curved surface, the grid can be fixed to both sides of the retaining wall block so that the fixing force acts evenly on the retaining wall block. Stresses acting within the grid are dispersed to reduce breakage of the gri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그리드 고정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grid fix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드 고정 시스템(10)이 도시되어 있다.1 to 2 a
도면을 참조하면, 그리드 고정 시스템(10)은 옹벽블럭(20), 고정몸체(30)와 고정판부재(4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옹벽블럭(20)은 절토 또는 성토를 한 비탈면에 다수개가 적층되어 비탈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옹벽블럭(20)은 곡면을 따라 용이하게 적층될 수 있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너비가 작아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옹벽블럭(20)은 비탈면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옹벽블럭(20)의 상면 양측에는 후술되는 고정몸체(30)의 구속방향조정부(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몸체(30)에 대응되는 단면을 구비한 제 1삽입홈(2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옹벽블럭(20)의 상면에 2개의 제 1삽입홈(21)이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적용되는 제 1삽입홈(21)의 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수의 제 1삽입홈(21)이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tructure in which two
고정몸체(30)는 옹벽블럭(20)의 제 1삽입홈(21)에 삽입되며, 삽입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게 형성된다. 고정몸체(30)는 견고하게 그리드(15)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강화플라스틱, 스틸 또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몸체(30)는 외주면이 옹벽블럭(20)에 대해 복수의 삽입방향에서 구속될 수 있도록 구속방향조정부(31)를 구비한다. The
구속방향조정부(31)는 고정몸체(30)에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몸체(30)의 옹벽블럭(20)에 대한 삽입방향에 따라 옹벽블럭(20)에 삽입된 고정몸체(30)에 대한 후술되는 고정판부재(40)의 중심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실시 예와는 다르게 구속방향조정부(31)의 단면은 사각형이 아니라 삼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restraint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구속방향조정부(31)가 고정몸체(30)의 삽입방향을 따라 고정몸체(30)의 전체에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적용되는 구속방향조정부(31)의 형성범위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지 않고, 고정몸체(30)의 하단부에서 상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illustrated example has been described a structure in which the restraint
고정판부재(40)는 고정몸체(30)의 상단에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몸체(30)를 제 1삽입홈(21)에 삽입 시, 고정판부재(40)는 옹벽블럭(20)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이때 고정판부재(40)에 그리드(15)의 단부를 걸어 그리드(15)를 옹벽블럭(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The
한편, 고정판부재(40)는 고정몸체(30)의 삽입방향의 선택에 따라 그리드(15)의 고정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중심이 고정몸체(30)의 중심에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그리드 고정 시스템(1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곡면의 비탈면을 따라 옹벽블럭(20)을 적층한다. 옹벽블럭(20)에 그리드(15)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몸체(30)를 옹벽블럭(20)의 제 1삽입홈(21)에 삽입시킨다. 이때, 고정몸체(30)에 형성된 구속방향조정부(31)가 형성되어 있어 삽입방향의 선택에 따라 고정몸체(30)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판부재(40)의 설치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사각단면으로 형성된 구속방향조정부(31)에 의해 고정몸체(30)는 옹벽블럭(20)에 네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고정판부재(40)의 중심이 옹벽블럭(20)에 삽입된 고정몸체(30)에 대해 전방에 위치하는 제 1방향과, 고정판부재(40)의 중심이 옹벽블럭(20)에 삽입된 고정몸체(30)에 대해 후방에 위치하는 제 2방향과, 고정판부재(40)의 중심이 옹벽블럭(20)에 삽입된 고정몸체(30)에 대해 좌측에 위치한 제 3방향과, 고정판부재(40)의 중심이 옹벽블럭(20)에 삽입된 고정몸체(30)에 대해 우측에 위치한 제 4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고정몸체(30)는 옹벽블럭(20)에 삽입될 수 있다.The
That is, the
각 옹벽블럭(20)에 다수의 고정판부재(40)에 그리드(15)의 단부를 걸어 옹벽블럭(20)에 그리드(15)를 고정시킨다. 이때, 일직선으로 형성된 그리드(15)의 단부가 만곡되게 배열된 옹벽블럭(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각 고정판부재(40)의 설치방향을 상기 언급된 제 1 내지 제 4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조정한다. The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그리드 고정 시스템(10)은 고정몸체(30)의 삽입방향의 선택에 따라 그리드(15)가 고정되는 고정판부재(4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어, 옹벽블럭(20)이 곡면을 따라 적층되더라도 그리드(15)를 옹벽블럭(20)의 양측에 위치한 고정판부재(40)에 고정할 수 있어, 옹벽블럭(20)에 균일한 고정력이 제공되도록 한다. As mentioned above, the
한편, 도 3에는 그리드 고정 시스템(11)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 부호로 표기한다. Meanwhile, another embodiment of the
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면을 참조하면, 고정몸체(130)와 고정판부재(140)는 상호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고정몸체(130)는 상단이 고정판부재(140)와의 결합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단면이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실시 예와는 다르게 고정몸체(130)의 상단 단면은 육각형이 아니라 삼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고정판부재(140)는 고정몸체(130)의 상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몸체(130)의 단면에 대응되는 제 2삽입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제 2삽입홈(41)은 고정판부재(140)가 고정몸체(130)에 대해 편심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판부재(140)의 가장자리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실시 예와는 다르게 고정판부재(140)의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되며 다각의 단면을 갖는 돌기가 형성되고, 고정몸체(130)에는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a projection having a plurality of cross-sections projecting downwar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상기와 같이 언급된 제 2실시 예에 따른 고정몸체(130)와 고정판부재(14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먼저, 옹벽블럭(20)의 제 1삽입홈(21)에 고정몸체(130)를 삽입한다. 이때, 고정몸체(130)는 구속방향조정부(31)에 의해 옹벽블럭(20)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몸체(130)은 앞서 언급된 제 1실시 예에 따른 고정몸체(30)와 유사하게 육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된 구속방향조정부(31)에 의해 옹벽블럭(20)에 대해 6방향으로 삽입된다.
옹벽블럭(20)에 대한 고정몸체(130)의 삽입방향에 따라 고정몸체(130)에 대한 고정판부재(140)의 중심이 위치가 6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 위치하게 고정몸체(130)를 옹벽블럭(20)에 삽입할 수 있다. First, the fixing
At this time, the fixing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xing
옹벽블럭(20)에 삽입된 고정몸체(130)의 상단을 고정판부재(140)의 제 2삽입홈(41)에 삽입하여 고정몸체(130)에 고정판부재(140)를 고정시킨다. 고정판부재(140)의 제 2삽입홈(41)은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고정판부재(140)는 고정몸체(130)에 대해 편심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고정판부재(140)의 삽입방향에 따라 옹벽블럭(20)에 대한 그리드(15)의 고정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The upper end of the fixing
따라서, 상기 언급된 제 2실시 예에 따른 그리드 고정 시스템(11)은 옹벽블럭(20)이 곡면을 따라 적층되더라도 그리드(15)를 옹벽블럭(20)의 양측에 위치한 고정판부재(140)에 고정할 수 있어, 옹벽블럭(20)에 균일한 고정력이 제공되도록 한다. Therefore, the
한편, 도 4에는 그리드 고정 시스템(12)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another embodiment of the
도면을 참조하면, 고정몸체(230)와 고정판부재(240)는 상호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되, 고정몸체(230)에 대해 고정판부재(240)가 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하되, 타방향으로는 회전이 억제될 수 있도록 제 1래칫부재(50)를 구비한다. 제 1래 칫부재(50)는 제 1래칫기어(51)와 제 1래칫폴(52)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ixed
제 1래칫기어(51)는 고정판부재(240)의 일측에, 고정판부재(24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1래칫기어(51)는 후술되는 제 1래칫폴(52)의 간섭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가능하되,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은 억제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다수의 래칫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제 1래칫기어(51)는 고정판부재(240)가 고정몸체(230)에 편심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판부재(240)의 가장자리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제 1래칫폴(52)은 고정몸체(230)의 상단에, 제 1래칫기어(51)로 삽입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일측이 고정몸체(23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래칫폴(52)은 고정판부재(240)가 회전 시, 타측 단부가 제 1래칫기어(51)의 기어이에 접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제 1래칫폴(52)과 고정몸체(230)에 양단이 각각 설치된 제 1스프링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The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실시 예와는 다르게 래칫기어가 고정몸체(230)에 형성되고 래칫폴이 고정판부재(240)에 형성되어, 고정판부재(240)의 방향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a ratchet gear is formed in the fix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3실시 예에 따른 제 1래칫부재(5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먼저, 옹벽블럭(20)의 제 1삽입홈(21)에 고정몸체(230)를 삽입한다. 이때, 고정몸체(230)는 구속방향조정부(31)에 의해 옹벽블럭(20)에 고정된다. First, the fixing
옹벽블럭(20)에 삽입된 고정몸체(230)의 상단을 고정판부재(240)의 제 1래칫기어(51)에 삽입하여 고정몸체(230)에 고정판부재(240)를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판부재(240)는 고정몸체(230)에 설치된 제 1래칫폴(52)의 간섭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되, 타방향으로는 회전이 억제된다. 따라서, 고정판부재(2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옹벽블럭(20)에 대한 그리드(15)의 고정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The upper end of the fixing
이때, 고정판부재(240)가 회전하여 그리드(15)가 고정판부재(24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몸체(230)에서 최외측 외주면에 지지된 그리드(15)의 장력 작용방향이 고정판부재(240)의 회전 가능방향과 일치하지 않도록 고정판부재(240)의 방향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fix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래칫부재(50)에 의해 그리드(15)는 옹벽블럭(20)이 곡면을 따라 적층되더라도 그리드(15)를 옹벽블럭(20)의 양측에 위치한 고정판부재(240)에 고정할 수 있어, 옹벽블럭(20)에 균일한 고정력이 제공되도록 한다. The
한편, 도 5에는 그리드 고정 시스템(13)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another embodiment of the
도면을 참조하면, 그리드 고정 시스템(13)은 옹벽블럭(20)에 대해 구속방향조정부(31)가 일방향으로는 회전가능하되, 타방향으로는 회전이 억제될 수 있도록 구속방향조정부(31)와 옹벽블럭(20)의 결합부분에 제 2래칫부재(60)가 형성되어 있다. 제 2래칫부재(60)는 제 2래칫기어(62)와 제 2래칫폴(61)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제 2래칫기어(62)는 옹벽블럭(20) 상면의 양측에, 고정몸체(330)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옹벽블럭(20)의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인입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 2래칫기어(62)는 후술되는 제 2래칫폴(61)의 간섭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가능하되,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은 억제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다수의 래칫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The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옹벽블럭(20)의 상면에 2개의 제 2래칫기어(62)가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적용되는 제 2래칫기어(62)의 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수의 제 2래칫기어(62)가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tructure in which two second ratchet gears 6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제 2래칫폴(61)은 고정몸체(330)의 하단에, 제 2래칫기어(62)로 삽입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일측이 고정몸체(33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래칫폴(52)은 고정판부재(340)가 회전 시, 타측 단부가 제 1래칫기어(51)의 기어이에 접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제 1래칫폴(52)과 고정몸체(330)에 양단이 각각 설치된 제 2스프링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4실시 예에 따른 제 2래칫부재(6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먼저, 제 2래칫폴(61)의 단부가 제 2래칫기어(62)의 기어이에 간섭되도록 옹벽블럭(20)의 제 2래칫기어(62)에 고정몸체(330)를 삽입한다. 이때, 고정몸체(330)는 하단 외주면에 설치된 제 2래칫폴(61)의 간섭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되, 타방향으로는 회전이 억제된다. 따라서, 고정몸체(3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옹벽블럭(20)에 대한 그리드(15)의 고정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First, the fixed
이때, 고정몸체(330)의 회전중심에 대해 고정판부재(340)의 그리드(15) 접촉부분이 그리드(15)의 연장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되며 고정몸체(330)의 중심을 이분하는 이분선을 기준으로 고정몸체(330)의 회전가능한 일방향으로 편심되게 위치하면, 그리드(15)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고정몸체(330)가 회전하여 그리드(15)가 고정판부재(340)에서 이탈하므로 고정판부재(340)의 그리드(15) 접촉부분이 상기 이분선을 기준으로 고정몸체(330)의 타방향으로 편심되게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2래칫부재(60)에 의해 그리드(15)는 옹벽블럭(20)이 곡면을 따라 적층되더라도 그리드(15)를 옹벽블럭(20)의 양측에 위치한 고정판부재(340)에 고정할 수 있어, 옹벽블럭(20)에 균일한 고정력이 제공되도록 한다.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그리드 고정 시스템의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id fix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맨홀의 고정몸체와 고정판부재의 사시도이고,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body and the fixing plate member of the manhole of Figure 1,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그리드 고정 시스템의 고정몸체 및 고정판부재의 분리결합도이고,3 is a separate coupling diagram of the fixing body and the fixing plate member of the grid fix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그리드 고정 시스템의 사시도이고,4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id fixing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그리드 고정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id fixing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Code for Major Parts of Drawing ]
10: 그리드 고정 시스템10: grid fixing system
15: 그리드15: grid
20: 옹벽블럭20: retaining wall block
30: 고정몸체30: fixed body
40: 고정판부재40: fixed plate member
50: 제 1래칫부재50: first ratchet member
60: 제 2래칫부재60: second ratchet member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1740A KR100939811B1 (en) | 2009-05-13 | 2009-05-13 | Grid fix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1740A KR100939811B1 (en) | 2009-05-13 | 2009-05-13 | Grid fixing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39811B1 true KR100939811B1 (en) | 2010-02-02 |
Family
ID=42082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1740A Expired - Fee Related KR100939811B1 (en) | 2009-05-13 | 2009-05-13 | Grid fix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3981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177021A (en) * | 2020-11-17 | 2021-01-05 | 商丘工学院 | Anchor pile for slope support and using method thereof |
KR102239292B1 (en) * | 2020-01-15 | 2021-04-09 | 이현우 | Joint member and block joint structure for wall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9475Y1 (en) | 2004-05-03 | 2004-12-04 | (주) 강동테크 | A support fin for breast wall establishment that metal rod is inserted |
-
2009
- 2009-05-13 KR KR1020090041740A patent/KR10093981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9475Y1 (en) | 2004-05-03 | 2004-12-04 | (주) 강동테크 | A support fin for breast wall establishment that metal rod is inserted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9292B1 (en) * | 2020-01-15 | 2021-04-09 | 이현우 | Joint member and block joint structure for wall |
CN112177021A (en) * | 2020-11-17 | 2021-01-05 | 商丘工学院 | Anchor pile for slope support and us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40017003A1 (en) | Bollards | |
KR100866419B1 (en) | Iron Rod Cap Assembly for reinforcing concrete pile | |
KR101062179B1 (en) | Bracket applicable to all anchor angles | |
JP2013538952A5 (en) | ||
KR101297832B1 (en) | Angle controlling apparatus of retaining wall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939811B1 (en) | Grid fixing system | |
KR101034900B1 (en) | 3D Bracket for Earth Anchor | |
JP5866735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leaning type retaining wall | |
US20110052333A1 (en) | Wire facing unit for retaining walls with strut attachment locator | |
KR20120100008A (en) | A wire rope fixing device prevention of falling rock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prevention of falling rock structure using it | |
KR101015610B1 (en) | Tunnel structure with inclined plate anchor member protruding from the wall | |
JP2016194227A (en) | Anchor frame, found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150010421A (en) | Cap beam assembly | |
JP5166837B2 (en) | Method for reinforcing wall structure and reinforcing structure | |
KR102022563B1 (en) | Banking structure constructing method using wire head | |
KR101371089B1 (en) |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of Link-bar for Length control Coupler | |
JP4316939B2 (en) | Masonry wall reinforcement method | |
JP2010196429A (en) | Method of construction of pressure-receiving plate on slope, and member for positioning of the pressure-receiving plate | |
KR101590057B1 (en) | Ground attachment 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easy construction of round part | |
JP2007126934A (en) | Anchor device of rope for civil engineering facility | |
JP2018080495A (en) | Anchor fixture | |
KR200459646Y1 (en) | The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head of concrete pile | |
JP6532708B2 (en) | Void member for concrete | |
KR20210010138A (en) | Helical pile | |
JP2014189977A (en) | Construction method of leaning type retaining wa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5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