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620B1 - Bridge connector - Google Patents
Bridge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9620B1 KR100939620B1 KR1020070096551A KR20070096551A KR100939620B1 KR 100939620 B1 KR100939620 B1 KR 100939620B1 KR 1020070096551 A KR1020070096551 A KR 1020070096551A KR 20070096551 A KR20070096551 A KR 20070096551A KR 100939620 B1 KR100939620 B1 KR 1009396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aw
- plugs
- actuator
- socket
- plu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8—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unter-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8—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vis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기판상에 장착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브릿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병렬적으로 배열된 기판접속용 단자(1)와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턱(2)을 포함하며 각각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과 결합되는 제1 소켓(10)과 제2 소켓(20)과, 상기 제1 소켓(10)과 제2 소켓(20)의 상부에 각각 결합 가능하며 내부에 가로로 형성된 가로턱(4)과 세로로 형성된 세로턱(3)을 포함하는 제1 플러그(30)와 제2 플러그(40)와, 상기 제1 플러그와 제2 플러그에 병렬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플러그들을 연결시키고, 상기 플러그들의 측면을 따라 병렬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기판접속용 단자(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연결용 단자들(5)과, 상기 플러그들에 각각 결합되어 플러그들이 소켓들과 결합되도록 하며 결합팔(6)과 스토퍼(7)를 포함하는 제1 액츄에이터(50)와 제2 액츄에이터(60)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50,60)는 상기 스토퍼(7)가 상기 세로턱(3)과 접촉하여 상기 플러그들(30,40)과 일체로 움직이며, 상기 결합팔(6)이 상기 고정턱(2)과 결합하여 상기 플러그들(30,40)과 소켓들(10,20)을 결합시키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승에 의해 상기 결합팔(6)이 상기 가로턱(4)에 접촉하여 결합팔(6)이 변형되고 상기 결합팔(6)과 고정턱(2)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플러그들(30,40)과 소켓들(10,20)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mounted on a circuit board, wherein the terminal 1 for connecting the substrates arranged in parallel therein and the fixing jaw 2 protruding inwardly are provided. And a first socket 10 and a second socket 20 coupled to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respectively,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ocket 10 and the second socket 20, respectively. And a first plug 30 and a second plug 40 including a horizontal jaw 4 formed horizontally therein and a vertical jaw 3 formed vertically, and parallel to the first plug and the second plug. Arranged to connect the plugs, the connecting terminals 5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sides of the plugs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ard connection terminal 1, and coupled to the plugs, respectively. First coupling the sockets and the coupling arm 6 and the stopper 7 And a actuator 50 and a second actuator 60, wherein the actuators 50 and 60 are integral with the plugs 30 and 40 when the stopper 7 contacts the longitudinal jaw 3; The coupling arm 6 is coupled to the fixing jaw 2 to engage the plugs 30 and 40 and the sockets 10 and 20, and the coupling arm 6 is lifted by the actuator. ) The contact arm 6 is deformed in contact with the transverse jaw 4 and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arm 6 and the fixing jaw 2 is released so that the plugs 30 and 40 and the sockets 10, 20) is configured to disengage.
브릿지 커넥터. 단자, 회로기판, 소켓, 플러그. Bridge connector. Terminals, circuit boards, sockets, plugs.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로기판상에 장착된 기판들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브릿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substrates mounted on a circuit board.
여러가지 전자제품 예를 들어 TV, 모니터 등에는 많은 기판들이 장착된다. 이들 기판들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기판들간의 연결을 위하여 브릿지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Many substrates are mounted in various electronic products such as TVs and monitors. These substrates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ridge connectors are used to connect these boards.
브릿지 커넥터는 분리되어 있는 기판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각 기판들에 결합되는 부분과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또는 도선 부분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소켓과, 소켓들을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플러그로 구성된다.The bridge connector is composed of a portion coupled to each of the substrate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parated substrates, and a terminal or lead portion electrically connecting them. More specifically, it is composed of a socket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and a plug for electrically coupling the sockets.
브릿지 커넥터는 기판과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때문에 기판에 연결된 소켓에다 플러그를 삽입하거나 제거하여 설치를 한다. 이러한 브릿지 커넥터는 간격이 좁은 기판과 기판 사이에 장착되기 때문에 크기가 작다.Since the bridge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s the board and the board, the plug connector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socket connected to the board. These bridge connectors are small in size because they are mounted between the board and the board.
또한 플러그와 소켓의 결합은 탄성을 가진 락킹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많은데, 이러한 락킹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락킹을 눌러서 락킹을 해제한 후에 플러그를 뽑아야 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of the plug and the socket is often made by locking with elasticity, and in order to release such locking,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plug after pressing the locking to release the locking.
따라서 상기와 같은 브리지 커넥터는 협소장소에 사용되며 크기가 작기 때문에 소켓과 플러그의 결합 및 해제시에 작업을 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Therefore, such a bridge connector is used in a narrow place and because of its small siz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work when the socket and plug are coupled and relea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협소한 장소에서 작은 부품인 브릿지 커넥터를 쉽게 결합 및 해제를 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bridge connector, which is a small component, in a narrow place so as to be easily coupled and relea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본 발명은 회로기판상에 장착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브릿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병렬적으로 배열된 기판접속용 단자(1)와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턱(2)을 포함하며 각각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과 결합되는 제1 소켓(10)과 제2 소켓(20)과, 상기 제1 소켓(10)과 제2 소켓(20)의 상부에 각각 결합 가능하며 내부에 가로로 형성된 가로턱(4)과 세로로 형성된 세로턱(3)을 포함하는 제1 플러그(30)와 제2 플러그(40)와, 상기 제1 플러그와 제2 플러그에 병렬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플러그들을 연결시키고, 상기 플러그들의 측면을 따라 병렬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기판접속용 단자(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연결용 단자들(5)과, 상기 플러그들에 각각 결합되어 플러그들이 소켓들과 결합되도록 하며 결합팔(6)과 스토퍼(7)를 포함하는 제1 액츄에이터(50)와 제2 액츄에이터(60)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50,60)는 상기 스토퍼(7)가 상기 세로턱(3)과 접촉하여 상기 플러그들(30,40)과 일체로 움직이며, 상기 결합팔(6)이 상기 고정턱(2)과 결합하여 상기 플러그들(30,40)과 소켓들(10,20)을 결합시키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승에 의해 상기 결합팔(6)이 상기 가로턱(4)에 접촉하여 결합팔(6)이 변형되고 상기 결합팔(6)과 고정턱(2)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플러그들(30,40)과 소켓들(10,20)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mounted on a circuit board, wherein the
또한 상기 결합팔(6)은 걸림턱(8)과 회전턱(9)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8)이 상기 고정턱(2)과 결합가능하며, 상기 회전턱(9)이 상기 가로턱(4)과 접촉가능하여, 상기 액츄에이터(30,40)는 상기 스토퍼(7)가 상기 세로턱(3)과 접촉하여 상기 플러그들과 일체로 움직이며, 상기 걸림턱(8)이 상기 고정턱(2)과 결합하여 상기 플러그들과 소켓들을 결합시키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승에 의해 상기 회전턱(9)이 상기 가로턱(4)에 접촉하여 결합팔(6)이 변형되고 상기 걸림턱(8)과 고정턱(2)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플러그들과 소켓들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세로턱(3)은 상기 액츄에이터로부터 외측으로 적어도 2개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로턱(4)은 돌출된 상기 세로턱(3)들을 연결하며 가로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t least two
또한 상기 회전턱(9)은 상기 결합팔로부터 돌출될수록 면적이 좁아지도록 경사를 가지게 형성되어, 상기 액유에이터가 상승시에 경사면(9a)을 따라 상기 가로턱(4)과 접촉을 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otat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 configuration.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인 액츄에이터를 당김에 의해 플러그와 소켓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액츄에이터를 당기더라도 액츄에이터와 플러그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고 일체로 작동되도록 구성되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간단한 동작만에 의해 플러그와 소켓의 결합을 해제하여 협소한 장소에서도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elease the plug and socket by pulling the actuator of a simple configuration. In addition, even if the actuator is pulled, the actuator and the plug are configured to operate integrally without being releas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even in a narrow place by releasing the coupling of the plug and socket by a simple operation.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 사시도를,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분리과정을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를,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분리과정을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o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to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paration process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 and 8 are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eparation process of is shown.
본 발명은 회로기판상에 장착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브릿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은 이웃하고 있는 회로기판을 편의상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순서를 정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따라서 순서가 다르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mounted on a circuit board.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are for convenience of differentiating neighboring circuit boards, and the order is se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refore, even if the order is different does not affec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브릿지 커넥터는 도 1에 도시되듯이 제1 소켓(10)과 제2 소켓(20)과, 제1 플러그(30)와 제2 플러그(40)와, 연결용 단자들(5)과, 제1 액츄에이터(50)와 제2 액츄에이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들의 순서는 구분을 위하여 편의상 붙인 것으로 권리범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As shown in FIG. 1, the bridg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제1 소켓(10)과 제2 소켓(20)은 각각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과 결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듯이 상기 소켓들(10,20)은 내부에 병렬적으로 배열된 기판접속용 단자(1)와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턱(2)을 포함하고 있다.The
상기 소켓들(10,20)은 내부가 비어있는 박스형 구조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플러그들(30,40)이 진입가능하다. 내부가 비어있기 때문에 기판접속용 단자들이 수용될 수 있다. 소켓들의 비어 있는 내부의 벽에는 다수개의 병렬적인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기판접속용 단자들이 접속될 수 있다.The
상기 기판접속용 단자(1)는 상기 소켓들(10,20)의 하부에서 기판들과 접촉하게 되며, 상기 소켓의 내부에서 상기 플러그들에 연결된 연결용 단자와 결합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소켓과 제2 소켓에 각각 배열된 기판접속용 단자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상기 기판접속용 단자(1)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상기 소켓의 내부에서 부분적으로 굴절되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는 기판접속용 단자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용 단자와 결합시에 탄성에 의해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제1 플러그(30)와 제2 플러그(40)는 상기 제1 소켓(10)과 제2 소켓(2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구성이다. 도 1에 도시되듯이 내부에 가로로 형성된 가로턱(4)과 세로로 형성된 세로턱(3)을 포함하고 있다. 외측면에는 연결용 단자들이 병렬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다.The
도 1에 도시되듯이 상기 세로턱(3)은 상기 액츄에이터로부터 외측으로 적어도 2개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로턱(4)은 돌출된 상기 세로턱(3)들을 연결하며 가로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1, at least two
연결용 단자(5)는 상기 제1 플러그와 제2 플러그에 병렬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플러그들을 연결시키고, 상기 플러그들의 측면을 따라 병렬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기판접속용 단자(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연결용 단자들의 상부는 연결용단자들간의 합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물을 도포하고 있다.The connecting
제1 액츄에이터(50)와 제2 액츄에이터(60)는 상기 플러그들에 각각 결합되어 플러그들이 소켓들과 결합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되듯이 결합팔(6)과 스토퍼(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팔(6)은 액츄에이터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구성이며, 상기 스토퍼(7)는 상기 결합팔과 나란하게 액츄에이터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구성으로 하단부에 단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세로턱과 접촉할 수 있다. The
상기 액츄에이터(50,60)는 도 7과 도 8과 같이 상기 스토퍼(7)가 상기 세로턱(3)과 접촉하여 상기 플러그들(30,40)과 일체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를 당기게 되면 도 8과 같이 상기 플러그가 액츄에이터를 따라 일체로 올라오게 되어 소켓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또한 도 3과 같이 상기 결합팔(6)이 상기 고정턱(2)과 결합하여 상기 플러그들(30,40)과 소켓들(10,20)을 결합시킨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한편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승에 의해 도 4와 같이 상기 결합팔(6)이 상기 가로턱(4)에 접촉하여 결합팔(6)이 변형되고, 도 5와 같이 상기 결합팔(6)과 고정턱(2)의 결합이 해제되어 도 6과 같이 상기 플러그들(30,40)과 소켓들(10,20)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플러그들과 액츄에이터는 일체로 움직여 도 8과 같이 일체로 소켓으로부터 이탈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또한 보다 상세하게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되듯이 상기 결합팔(6)은 걸림턱(8)과 회전턱(9)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8)과 회전턱(9)은 상기 결합팔에서 돌출 형성되는 단턱으로 된 구성이며, 상기 회전턱(9)은 상기 결합팔로부터 돌출될수록 면적이 좁아지도록 경사를 가지게 형성되어,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승시에 경사면(9a)을 따라 상기 가로턱(4)과 접촉을 하도록 구성된다. 그 에 따라 상기 회전턱이 상기 가로턱에 걸려서 경사면과 가로턱의 접촉에 의해 결합팔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more detail in Figures 3 to 6, 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3과 같이 상기 걸림턱(8)이 상기 고정턱(2)과 결합된다. 상기 회전턱(9)은 도 4와 같이 상기 가로턱(4)과 접촉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3, the locking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승에 의해 도 4와 같이 상기 회전턱(9)이 상기 가로턱(4)에 접촉하여 결합팔(6)이 변형되고, 도 5와 같이 상기 걸림턱(8)과 고정턱(2)의 결합이 해제되어, 도 6과 같이 상기 플러그들과 소켓들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perates as follows.
플러그들(30,40)을 소켓들(10,2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액츄에이터와 결합되어 일체로 움직이는 플러그를 소켓으로 액츄에이터와 함께 밀어 넣는다. 그렇게 되면 도 3과 도 7 같이 소켓 내에 플러그가 안착된다. 이 과정은 단순히 밀어넣으면 되는 과정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order to couple the
도 3과 도 7 같이 고정되어 있는 커넥터에서,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해서는 액츄에이터를 들어올리게 된다. In the fixed connector as shown in Figs. 3 and 7, the actuator is lifted to release the plug from the socket.
즉 도 4와 같이 액츄에이터를 올리게 되면 액츄에이터의 상승에 의해 상기 회전턱(9)이 상기 가로턱(4)에 접촉하여 결합팔(6)이 변형되고, 도 5와 같이 상기 걸림턱(8)과 고정턱(2)의 결합이 해제된다. That is, when the actuator is raised as shown in FIG. 4, the
액츄에이터와 플러그는 스토퍼(7)가 세로턱(3)과 접촉함에 의해 일체로 움직 이게 되는데, 플러그가 소켓에 안착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스토퍼의 단부에 형성된 단턱과 상기 세로턱(3)과의 사이에 거리를 두고 간격을 형성하고 있다. 그에 따라 도 4와 같이 액츄에이터가 상승한 초기에는 상기 세로턱에 스토퍼가 걸리지 않게 되어 일체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는 연결용 단자(5)가 기판접속용 단자(1)들과 접촉하고 있음에 의해 탄성과 마찰력에 의해 소켓에 고정된다.The actuator and the plug are integrally moved by the
이러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를 계속해서 당기게 되면 도 8과같이 상기 세로턱에 스토퍼가 걸리게 되어 도 6과 도 8에 도시되는 것처럼 일체로 움직이게 되어, 상기 플러그들과 소켓들의 결합이 해제된다.In this state, when the actuator is continuously pulled, the stopper is caught on the vertical jaw as shown in FIG. 8, thereby moving integrally as shown in FIGS. 6 and 8,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plugs and the sockets is released.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such embodiments and / or drawings, but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 In addition, it should be clearly understood that improvements, changes, modifications, and the lik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described in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 사시도.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분리과정을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3 to 6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detachment process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분리과정을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7 and 8 are front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eparation process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6551A KR100939620B1 (en) | 2007-09-21 | 2007-09-21 | Bridge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6551A KR100939620B1 (en) | 2007-09-21 | 2007-09-21 | Bridge conn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30888A KR20090030888A (en) | 2009-03-25 |
KR100939620B1 true KR100939620B1 (en) | 2010-02-01 |
Family
ID=40697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96551A KR100939620B1 (en) | 2007-09-21 | 2007-09-21 | Bridge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3962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979426A1 (en) * | 2020-09-30 | 2022-04-06 | TE Connectivity Belgium BVBA | Bridge connector assembly |
KR20240058351A (en) | 2022-10-26 | 2024-05-03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assembly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121603A (en) * | 2006-06-22 | 2007-12-27 |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Connector assembly |
-
2007
- 2007-09-21 KR KR1020070096551A patent/KR10093962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121603A (en) * | 2006-06-22 | 2007-12-27 |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Connector assemb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30888A (en) | 2009-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489697B (en) | Wire to board connector assembly and board connector thereof | |
TWI399002B (en) | Modular connectors with easy-connect capability | |
JP6254542B2 (en) | Connector device having a cable connector | |
US9620874B2 (en) | Circuit board connecting device and releasing tool | |
US9917401B2 (en) | Wire-to-board connector assembly | |
TWI645631B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7883350B2 (en) | Header connectors with rigid latches | |
JP2007328961A (en) | Connector device | |
CN103703623A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oke-in wire contact | |
US7736161B2 (en) | Stackable electronic housing with male or female connector strips | |
US10230185B2 (en) | Connector device | |
CN212392437U (en) | Connector | |
JP2010067606A (en) | Electric connector | |
WO2018090675A2 (en) | Plug connector and socket connector | |
CN102570075B (en) | For the connector device of the electronic building brick in automated system | |
CN205081323U (en) | Plate -to -plate connector | |
KR100939620B1 (en) | Bridge connector | |
JP4173155B2 (en) | Board to board connector | |
JPH04368783A (en) | Stacking connector | |
JP2000277199A (en) | Terminal structure of electric connector | |
TW201306400A (en) | Connector and relay connector device | |
KR100909360B1 (en) | Bridge connector | |
KR20220000166U (en) | Self-lock type connector | |
JP2005150015A (en) | Connector | |
CN106549277A (en) | Board to board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