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37962B1 -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962B1
KR100937962B1 KR1020080010678A KR20080010678A KR100937962B1 KR 100937962 B1 KR100937962 B1 KR 100937962B1 KR 1020080010678 A KR1020080010678 A KR 1020080010678A KR 20080010678 A KR20080010678 A KR 20080010678A KR 100937962 B1 KR100937962 B1 KR 100937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or
display device
formula
phosphor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4468A (ko
Inventor
송재혁
송유미
김윤창
박도형
유용찬
허경재
최익규
송미란
권선영
이현덕
김지현
서진형
권선화
김민주
이영훈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0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962B1/ko
Priority to US12/320,553 priority patent/US8128840B2/en
Publication of KR20090084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6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two or more rare earth metals
    • C09K11/7774Alumi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59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silicon
    • C09K11/592Chalcogenides
    • C09K11/595Chalcogenides with zinc or cad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64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aluminium
    • C09K11/641Chalcogenides
    • C09K11/643Chalcogenides with alkaline ear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6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germanium, tin or lead
    • C09K11/661Chalcogenides
    • C09K11/662Chalcogenides with zinc or cad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6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two or more rare earth metals
    • C09K11/778Bo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형광체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형광체를 포함한다.
[화학식 1]
Y3-x-k-zCekMzM'xAla-yM"yO(1.5a+4.5)
(상기 식에서, M은 Tb, Dy, Eu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M'는 Sc, Gd, In, L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M"는 Ga, Sc, I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0.0 ≤ x < 3.0, 0.0 ≤ y ≤ 7.0, 0.0 < k < 0.1, 0.0 < z < 0.5, 4.0 ≤ a ≤ 7.0이고, a-y ≥ 0.0, x + k + z ≤ 3.0 및 0.01 ≤ z/k ≤ 20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형광체 조성물은 잔광 시간이 짧은 동시에 휘도 특성이 우수하고, 특히 색좌표 특성이 우수하다. 그 결과 3차원 입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3D, 형광체 조성물, 녹색, 색좌표, 잔광특성, 색좌표 특성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PHOSPHOR COMPOSITION F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어 입체영상 구현시 우수한 휘도 특성 및 색좌표 특성을 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패널 내에 봉입된 크세논(Xe)과 네온(Ne) 혼합 가스의 방전 현상을 이용한 표시 장치로서, 방전 구동시 발생하는 147 혹은 172nm 파장의 진공자외선을 형광체에 조사시킬 때, 고 에너지 상태로 여기된 형광체층이 가시광선을 발현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판과 하판 사이의 격벽으로 분리된 공간에 적색, 녹색 혹은 청색 형광체층을 도포하고, 선별적으로 플라즈마 방전을 생성시켜 도포된 형광체층에서 발생하는 가시광을 표시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입체 영상을 1TV 필드(16.7msec)를 두 개의 서브필드로 나누어 각각 좌 입체 영상과 우 입체 영상을 제작하고, 고글(goggles)을 이용하여 관측자의 좌안과 우안에 입체 영상을 선별적으로 투영하는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관측자가 착용하는 고글은 좌, 우측에 광학 셔터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는 좌 서브필드 및 우 서브필드와 연동하여 양안에 선별적인 입체 영상 신호를 투영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1TV 필드를 절반으로 나누어 두 개의 서브필드를 제작해야하므로 일반적인 용도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비해 형광체층의 잔광특성이 특별히 중요해진다. 특히, 1/10 잔광 시간이 4.0msec 이상인 형광체를 이용하면, 좌서브필드 영상의 잔광이 우안에 의해 관측되는 것과 같은 크로스 톡(cross talk) 현상에 의해, 입체 영상의 해상도가 저하되고 선명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한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녹색 형광물질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상용 Zn2SiO4:Mn 형광체는 잔광 시간이 7 내지 9msec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Zn2SiO4:Mn 형광체를 단독으로 이용하여 녹색 형광체층을 구성할 경우, 크로스 톡 현상에 의한 선명도 감소를 피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형광체 잔광 시간을 줄이기 위해 과량의 활성제를 첨가시키는 방법이 이용된다. 활성제의 농도가 증가하면, 여기 상태 활성제의 천이 확률이 증대되기 때문에 천이 확률의 역수에 비례하는 잔광시간은 감소하게 된다. Zn2SiO4:Mn의 경우에도, 활성제인 망간(Mn) 첨가량을 20mol% 수준으로 증가시켜, 잔광을 약 5.0msec 수준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잔광시간을 감소시켜도 3D PDP에 적합한 5 msec 이하에는 미치지 못하며, 열화특성이 악화되어 장시간 사용시 PDP 패널의 RGB 3 색중 녹색 휘도 감소를 피할 수 없다. 따라서 잔광 특성 개선을 통한 입체 영상 구현을 위해서는 새로운 조성의 단잔광 녹색 형광체 사용이 필수적이다.
특히 최근 차세대 정보 통신 서비스로서 수요 및 기술 개발 경쟁이 치열한 첨단의 고도화 기술에서 정보통신, 방송, 의료, 교육, 훈련, 군사, 게임,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CAD, 산업 기술 등 그 응용 분야가 매우 다양하며 여러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차세대 실감 3차원 입체 멀티미디어를 위한 3차원 입체 영상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잔광이 짧으면서 휘도가 우수한 녹색 형광체에 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입체 영상 구현시 녹색 영상의 잔광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우수한 색품위 특성을 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들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형광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Y3-x-k-zCekMzM'xAla-yM"yO(1.5a+4.5)
(상기 식에서, M은 Tb, Dy, Eu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M'는 Sc, Gd, In, L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M"는 Ga, Sc, I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0.0 ≤ x < 3.0, 0.0 ≤ y ≤ 7.0, 0.0 < k < 0.1, 0.0 < z < 0.5, 4.0 ≤ a ≤ 7.0이고, a-y ≥ 0.0, x + k + z ≤ 3.0 및 0.01 ≤ z/k ≤ 20이다.)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기타 본 발명의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은 잔광 시간이 짧은 동시에 휘도 특성이 우수하고, 특히 색좌표 특성이 우수하다. 그 결과 3차원 입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이므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3차원 입체 영상 구현을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그 중에서도 휘도가 높고 사람 눈에 인식이 잘 되는 파장을 가져 청색 및 적색에 비하여 보다 짧은 잔광이 요구되는 녹색 형광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3차원 입체 영상 구현이 가능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음극선관 등 어떠한 디스플레이 장치라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형광체 조성물은 진공자외선을 여기원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가장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3차원 입체 영상 구현을 위해서는 잔광이 짧은 형광체를 이용해야 한다. 빨강, 녹색, 청색 3색중 특히 녹색 형광체의 잔광이 육안에 의해 관측되기 쉬운데, 기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녹색 형광체들의 경우 잔광시간이 6 내지 17 msec로 길기 때문에, 3차원 영상구현을 위해서는 잔광시간이 비교적 짧은 Y3Al5O12:Ce을 혼합하여 녹색 형광체 층의 잔광시간을 감소시켜야 한다. 그러나 상기 Y3Al5O12:Ce는 기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녹색형광체에 비해 색좌표 및 휘도 특성이 열세에 있어 3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녹색 휘도 특성은 일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비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진공자외선을 여기원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에 있어서 Y3Al5O12:Ce에 Tb등과 같은 공도핑제(codopant)를 사용함으로써 잔광특성은 유지하면서, 휘도 및 색좌표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형광체를 포함한다.
[화학식 1]
Y3 -x-k- zCekMzM'xAla - yM"yO(1.5a+4.5)
상기 식에서, M은 공도핑제로서, Tb, Dy, Eu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Tb이다.
상기 M'는 Sc, Gd, In, L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Gd 또는 La이다.
상기 M"는 Ga, Sc, I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Ga이다.
상기 x, y, k, z 및 a는 해당 원소의 몰비를 나타내는 것으로, 0.0 ≤ x < 3.0, 0.0 ≤ y ≤ 7.0, 0.0 < k < 0.1, 0.0 < z < 0.5, 4.0 ≤ a ≤ 7.0이며, a-y ≥ 0.0, x + k + z ≤ 3.0 및 0.01 ≤ z/k ≤ 20이고,
바람직하게는 0.0 ≤ x ≤ 1.0, 0.0 ≤ y ≤ 2.0, 0.01 < k < 0.05, 0.0 < z < 0.2, 5.0 ≤ a ≤ 6.0 및 0.3 ≤ z/k ≤ 6 이다. 각 원소의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형광체의 잔광 시간이 길어지거나 휘도가 감소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형광체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형광체를 제1형광체로 포함하고, 하기 화학식 2 내지 9로 나타내는 형광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형광체를 제2형광체로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형광체로 하기 화학식 2 내지 9로 표현되는 형광체 이외에 휘도 특성을 유지하면서, 녹색 색좌표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녹색 형광체라면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하기 화학식 2 내지 9로 표현되는 형광체와 함께 혼합하여 제2 형광체로 사용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화학식 2]
Zn2 - pMnpSiO4 
(상기 식에서 0.01≤p≤0.60)
[화학식 3]
YBO3:Tb 
[화학식 4]
(Y,Gd)1- qTbqAl3(BO3)4
(상기 식에서 0.01≤ q ≤0.50)
[화학식 5]
BaMgAl10O17:Mn 
[화학식 6]
BaMgAl12O19:Mn 
[화학식 7]
Zn(Ga1 - rAlr)2O4:Mn
(상기 식에서 0≤ r ≤1)
[화학식 8]
Li2Zn(Ge, θ)vO8:Mn 
(상기 식에서 θ는 Al 또는 Ga이고, 3≤ v ≤4임)
[화학식 9]
(Y3 - wCew)Al5O12 
(상기 식에서 0< w ≤3임)
이때 상기 제1 형광체와 제2 형광체의 혼합 비율은 90:10 내지 30:70 중량비가 바람직하고, 80:20 내지 40:60의 중량비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2 형광체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에 포함되면, 휘도 특성은 유지하면서, 녹색 색좌표 특성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색품위가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형광체 조성물은 잔광 시간이 짧은 동시에 휘도 특성 및 색좌표 특성이 우수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음극선관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120Hz 이상의 고속으로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하거나 3차원 입체 영상 장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화학식 1의 형광체는 여기를 멈춘 직후부터 형광체에서 발현하는 광량이 초기 대비 1/10로 감소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후 "잔광시간(decay time)"라 함)이 5 msec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msec 이하로 매우 짧으며, 상기 화학식 1의 형광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형광체 조성물 역시 잔광시간이 5 msec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msec 이하로 매우 짧으므로, 3차원 입체 영상 장치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형광체는 0.38 내지 0.42의 CIE x 및 0.53 내지 0.56의 CIE y의 색좌표를 가져 우수한 녹색 색좌표 특성을 나타내며,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형광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형광체 조성물 역시 0.28 내지 0.37의 CIE x 및 0.55 내지 0.68의 CIE y의 색좌표를 가져 우수한 녹색 색좌표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 구현에 따르면 상기 제1 구현예에 따른 형광체 조성물을 포함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진공자외선을 여기원으로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음극선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형광체 조성물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도 120Hz 이상의 고속으로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하거나 3차원 입체 영상 장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현예의 일 예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하여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임의의 간격을 두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기판(1, 배면 기판) 및 제2기판(11, 전면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제1기판(1, 배면 기판) 상에 일방향(도면의 Y 방향)을 따라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들(3)이 형성되고, 이 어드레스 전극들(3)을 덮으면서 제1기판(1)에 제1 유전체층(5)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유전체층(5) 위로 각 어드레스 전극(3) 사이에 배치되도록 소정의 높이로 제공되며 방전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격벽(7)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7)은 방전 공간을 구획하는 형상이라면 어느 형태도 가능하며, 다양한 패턴의 격벽들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격벽(7)은 스트라이프 등과 같은 개 방형 격벽은 물론, 와플, 매트릭스, 델타 등과 같은 폐쇄형 격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폐쇄형 격벽은 방전 공간의 횡단면이 사각형,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원형, 타원형 등으로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격벽(7) 사이에 복수의 방전셀이 형성되고, 이 방전셀 내에는 적(R), 녹(G), 청(B)색의 형광체층(9)이 위치한다. 
그리고, 제1기판(1)에 대향하는 제2기판(11, 전면 기판)의 일면에는 어드레스 전극(3)과 교차하는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을 따라 한 쌍의 투명 전극(13a)과 버스 전극(13b)으로 구성되는 표시 전극들(13)이 형성되고, 상기 표시 전극들(13)을 덮으면서 제2기판(11) 전체에 유전체층(15)이 위치한다.
상기 제1기판(1) 상의 어드레스 전극(3)과 제2기판(11) 상의 표시 전극이 교차하는 지점이 방전셀을 구성하는 부분이 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어드레스 전극(3)과 표시 전극(13) 사이에 어드레스 전압(Va)을 인가하여 어드레스 방전을 행하고 다시 한 쌍의 표시 전극 사이에 유지 전압(Vs)을 인가하여 유지 방전시켜 구동한다.  이때 발생하는 여기원 이 해당 형광체를 여기시켜 투명한 제2기판(11)을 통하여 가시광을 방출하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 여기원으로는 진공 자외선(Vacuum Ultraviolet)이 주로 이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원료물질인 Y2O3, CeO2, Al2O3와 Tb4O7을 화학당량에 맞게 칭량하여 혼합한 후, BaF2 0.5wt%를 더욱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 100g을 300cc 알루미나 도가니에 담아, 1400℃에서 2.5시간 동안 소성하였다. 이때, 15g의 카본을 첨가하여 소성시 환원분위기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소성된 혼합물을 분쇄하고 세정, 건조 및 시빙(sieving)하여 Y2 .96Ce0 .03Tb0 .01Al5O12 형광체를 얻었다.  
실시예  2
원료물질의 함량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Y2 .92Ce0 .03Tb0 .05Al5O12 형광체를 얻었다.
실시예  3
원료물질의 함량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Y2 .87Ce0 .03Tb0 .10Al5O12 형광체를 얻었다.
실시예  4
원료물질의 함량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Y2 .82Ce0 .03Tb0 .15Al5O12 형광체를 얻었다.
실시예  5
원료물질의 함량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Y2 .77Ce0 .03Tb0 .20Al5O12 형광체를 얻었다.
실시예  6
원료물질의 함량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Y2 .67Ce0 .03Tb0 .30Al5O12 형광체를 얻었다.
비교예  1
원료물질인 Y2O3, CeO2, Al2O3을 화학당량에 맞게 칭량하여 혼합한 후, BaF2 0.5wt%를 더욱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 100g을 300cc 알루미나 도가니에 담아, 1400℃에서 2.5시간 동안 소성하였다. 이때, 15g의 카본을 첨가하여 소성시 환원분위기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소성된 혼합물을 분쇄하고 세정, 건조 및 시빙(sieving)하여 Y2 .97Ce0 .03Al5O12 형광체를 얻었다.
비교예 2
원료물질의 함량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Y2 .47Ce0 .03Tb0 .50Al5O12 형광체를 얻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6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형광체에 대하여 색좌표(CIE x, y), 상대 휘도, 및 1/10잔광시간(1/10 decay time)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녹색 형광체의 CIE 색좌표는 일반적으로 x는 0.3, y는 0.6에 가까울수록 좋으므로 측정된 색좌표 값을 이 기준 값과 비교하였다.
상대 휘도는 비교예 1의 Y2 .97Ce0 .03Al5O12를 기준으로 하여, 이 형광체의 휘도 를 100%로 보고, 그에 대한 상대값을 측정하여 나타낸 값이다.
또한 잔광시간으로 여기를 멈춘 직후부터 형광체에서 발현하는 광량이 초기 대비 1/10로 감소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하기 표 1에서 잔광 시간의 "±0.2"는 측정 오차를 나타낸다.
[표 1]
형광체 조성 CIE x CIE y 상대휘도 잔광시간
실시예1 Y2 .96Ce0 .03Tb0 .01Al5O12  (z = 0.01) 0.4076 0.5467 109.3% <1.0 msec
실시예2 Y2 .92Ce0 .03Tb0 .05Al5O12  (z = 0.05) 0.4042 0.5472 111.3% <1.0 msec
실시예3 Y2 .87Ce0 .03Tb0 .10Al5O12  (z = 0.10) 0.4100 0.5510 111.2% 1.0±0.2 msec
실시예4 Y2 .82Ce0 .03Tb0 .15Al5O12  (z = 0.15) 0.4144 0.5498 105.2% 1.1±0.2 msec
실시예5 Y2 .77Ce0 .03Tb0 .20Al5O12  (z = 0.20) 0.4163 0.5484 110.6% 1.2±0.2 msec
실시예6 Y2 .67Ce0 .03Tb0 .20Al5O12  (z = 0.30) 0.4172 0.5478 108.2% 1.6±0.2 msec
비교예1 Y2 .97Ce0 .03Al5O12 0.4127 0.5521 100.0% <1.0 msec
비교예 2 Y2 .47Ce0 .03Tb0 .20Al5O12  (z = 0.50) 0.3928 0.5430 93.6 4.1±0.2 msec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에 따른 녹색형광체는 모두 1.5 msec 이하의 짧은 잔광 시간을 나타내었으나, YAG에 Ce과 Tb을 도핑한 실시예 1 내지 6에 따른 녹색 형광체는 짧은 잔광시간과 함께 비교예 1의 녹색 형광체에 비해 우수한 휘도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도핑된 희토류 이온이 Ce으로 에너지 전달을 하거나 자체로 발광하여, YAG:Ce 형광체에서 발생하는 광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한편, 비교예 2의 녹색 형광체의 휘도는 비교예 1에 비해 낮으며, 잔광시간 또한 크게 증가하였다. 이 같은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6에 따 른 형광체가 비교예 1 및 2에 비해 3차원 입체 영상 구현용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광체로 보다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3, 및 비교예 1에 따른 형광체에 대하여 형광스펙트럼(여기파장: 147nm)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 따른 형광체에 대한 형광스펙트럼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3에 따른 형광체는 비교예 1의 형광체에 비해 470 내지 580nm 부근에서 발광하는 빛의 세기가 증가하였으며, 잔광시간이 짧게 유지되었기 때문에, 3차원 입체 영상 구현용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Y2 .87Ce0 .03Tb0 .10Al5O12의 제1형광체(R1)와 Zn1 .8Mn0 .2SiO4 의 제2형광체(R2)를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양한 혼합비로 혼합하여 형광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제2 형광체는 원료 물질인 SiO2 및 MnCO3을 화학당량에 맞게 칭량하고, ZnO는 고온 휘발성을 고려하여 화학당량의 110%를 칭량하여 혼합한 다음, 1300℃, 5%수소-95%질소 분위기하에서 2시간 동안 소성하였다. 이때, 소성된 혼합물을 분쇄하고 세정, 건조 및 시빙(sieving)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형광체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잔광시간, 색좌표 및 상대휘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대 휘도는 실시예 3의 형광체인 Y2 .87Ce0 .03Tb0 .10Al5O12의 단독 사용시를 기준으로 하여, 이 형광체의 휘도를 100%로 보고, 그에 대한 상대값을 측정하여 나타낸 값이다.
[표 2]  
혼합비 (중량비) 잔광시간 (msec) CIE x CIE y 상대 휘도 (%)
R1 : R2 = 100 : 0.0 1.0±0.2 0.4100 0.5510 100.0
R1 : R2 = 75 : 25 2.8±0.2 0.3605 0.6007 106.0
R1 : R2 = 50 : 50 4.5±0.2 0.3078 0.6477 113.3
R1 : R2 = 25 : 75 4.9±0.2 0.2833 0.6693 120.6
R1 : R2 = 0.0 : 100 5.5±0.2 0.2617 0.6921 130.4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Y2 .87Ce0 .03Tb0 .10Al5O12 의 제1형광체(R1)와 (Y,Gd)0.75Tb0.25Al3(BO3)4 의 제2형광체(R2)를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양한 혼합비로 혼합하여 형광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2형광체는 원료 물질인 Y2O3, Gd2O3, Al2O3, 와 Tb4O7 을 화학당량에 맞게 칭량하여 혼합한 후, B2O3는 Flux의 역할을 하도록 화학양론비의 110%를 칭량하여 혼합하였다. 혼합한 원료물질 100g을 300cc 알루미나 도가니에 담아 산소분위기, 1200℃에서 2시간 동안 소성하였다. 소성된 혼합물을 분쇄하고 세정, 건조 및 시빙 (sieving)하여 (Y,Gd)0.75Tb0 .25Al3(BO3)4 형광체를 얻었다.
제조된 형광체 조성물에 대하여 앞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잔광시간, 색좌표, 및 상대휘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상대 휘도는 실시예 3의 형광체인 Y2 .87Ce0 .03Tb0 .10Al5O12의 단독사용시를 기준으로 하여, 이 형광체의 휘도를 100%로 보고, 그에 대한 상대값을 측정하여 나타낸 값이다.
[표 3]  
혼합비 (중량비) 잔광시간 (msec) CIE x CIE y 상대 휘도 (%)
R1 : R2 = 100 : 0.0 1.0±0.2 0.4100 0.5510 100.0
R1 : R2 = 75 : 25 1.8±0.2 0.3956 0.5635 108.1
R1 : R2 = 50 : 50 2.5±0.2 0.3752 0.5726 116.2
R1 : R2 = 25 : 75 3.8±0.2 0.3502 0.5792 127.2
R1 : R2 = 0.0 : 100 5.0±0.2 0.3383 0.5844 139.5
상기 표2 및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잔광 시간이 짧은 Y2 .87Ce0 .03Tb0 .10Al5O12 형광체와 녹색 휘도 특성이 우수한 Zn1 .8Mn0 .2SiO4 또는 (Y,Gd)Al3(BO3)4:Tb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한 실시예 7 및 8의 형광체 조성물은 우수한 휘도 특성 및 색좌표 특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입체영상 구현에 적합한 잔광특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형광체 조성물은 휘도특성이 우수하고, 특히 색좌표 특성이 우수하여 입체영상 구현용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광체로 사용되었을 때 화면 구동이 기존 형광체를 적용했을시 보다 월등히 우수할 것임을 용이 하게 예상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례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 따른 형광체에 대한 형광스펙트럼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제1기판 3: 어드레스 전극
5: 제1유전층 7: 격벽
9: 형광체층 11: 제2기판
13: 표시전극 13a: 투명전극
13b: 버스전극 15: 제2유전층
17: 보호막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형광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
    [화학식 1]
    Y3-x-k-zCekMzM'xAla-yM"yO(1.5a+4.5)
    (상기 식에서, M은 Tb, Dy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M'는 Sc, Gd, In, L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M"는 Ga, Sc, I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0.0 ≤ x < 3.0, 0.0 ≤ y ≤ 7.0, 0.0 < k < 0.1, 0.0 < z < 0.5, 4.0 ≤ a ≤ 7.0이고, a-y ≥ 0.0, x + k + z ≤ 3.0 및 0.01 ≤ z/k ≤ 20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 z는 0.0 < z < 0.2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형광체는 5.0 msec 이하의 잔광시간을 갖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형광체는 0.38 내지 0.42의 CIE x 및 0.53 내지 0.56의 CIE y의 색좌표를 갖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형광체를 제1 형광체로 포함하고,
    하기 화학식 2 내지 9로 표현되는 형광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형광체를 제2 형광체로 더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
    [화학식 2]
    Zn2-pMnpSiO4 
    (상기 식에서 0.01≤p≤0.60)
    [화학식 3]
    YBO3:Tb 
    [화학식 4]
    (Y,Gd)1-qTbqAl3(BO3)4
    (상기 식에서 0.01≤ q <0.50)
    [화학식 5]
    BaMgAl10O17:Mn 
    [화학식 6]
    BaMgAl12O19:Mn 
    [화학식 7]
    Zn(Ga1-rAlr)2O4:Mn
    (상기 식에서 0≤ r ≤1)
    [화학식 8]
    Li2Zn(Ge, θ)vO8:Mn 
    (상기 식에서 θ는 Al 또는 Ga이고, 3≤ v ≤4임)
    [화학식 9]
    (Y3-wCew)Al5O12 
    (상기 식에서 0< w ≤3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광체와 제2 형광체의 혼합 비율은 90:10 내지 30:70 중량비인 포함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3차원 입체 영상 구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120Hz 이상의 고속으로 구동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형광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80010678A 2008-02-01 2008-02-01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 KR100937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678A KR100937962B1 (ko) 2008-02-01 2008-02-01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
US12/320,553 US8128840B2 (en) 2008-02-01 2009-01-29 Phosphor composition for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678A KR100937962B1 (ko) 2008-02-01 2008-02-01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468A KR20090084468A (ko) 2009-08-05
KR100937962B1 true KR100937962B1 (ko) 2010-01-21

Family

ID=40930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678A KR100937962B1 (ko) 2008-02-01 2008-02-01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28840B2 (ko)
KR (1) KR1009379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5469A2 (en) * 2007-08-22 2009-02-26 Seoul Semiconductor Co., Ltd. Non stoichiometric tetragonal copper alkaline earth silicate phosphor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055769B1 (ko) * 2007-08-28 2011-08-11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비화학양론적 정방정계 알칼리 토류 실리케이트 형광체를채택한 발광 장치
KR101423249B1 (ko) * 2009-07-28 2014-07-24 드미트리 유리예비치 소코로프 고체 백색 광원들을 위한 무기 발광물질
DE102009037730A1 (de) 2009-08-17 2011-02-24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Konversions-LED mit hoher Farbwiedergabe
KR20110062155A (ko) 2009-12-02 2011-06-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녹색 형광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CN102443391B (zh) * 2010-09-30 2014-07-16 奇美实业股份有限公司 控制烧成的荧光体结构成分比例的方法、荧光体及发光装置
US9399733B2 (en) * 2010-10-22 2016-07-26 Anatoly Vasilyevich Vishnyakov Luminescent material for solid-state sources of white light
TW201428087A (zh) * 2013-01-11 2014-07-16 kai-xiong Cai 發光裝置及其耐溫碳化物螢光材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3555A (ja) * 2001-05-29 2002-12-18 Nantex Industry Co Ltd 高輝度ピンク色発光ダイオードの製造方法
KR100627349B1 (ko) * 2005-05-17 2006-09-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녹색 형광체 조성물 및이로부터 제조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0256A (en) * 1983-10-17 1985-10-29 At&T Bell Laboratories Visual display system utilizing high luminosity single crystal garnet material
JPH01108295A (ja) * 1987-10-19 1989-04-25 Nichia Chem Ind Ltd 投写管用緑色発光螢光体
WO2005022032A1 (ja) * 2003-08-28 2005-03-10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発光装置及び蛍光体
KR101388470B1 (ko) * 2005-02-28 2014-04-23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형광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 응용
CN1931958B (zh) * 2006-09-20 2010-05-19 王锦高 一种白光发光二极管用荧光粉及其制备方法
CN101104804A (zh) * 2007-08-09 2008-01-16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能使发光二极管发出暖白光的稀土荧光材料及应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3555A (ja) * 2001-05-29 2002-12-18 Nantex Industry Co Ltd 高輝度ピンク色発光ダイオードの製造方法
KR100627349B1 (ko) * 2005-05-17 2006-09-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녹색 형광체 조성물 및이로부터 제조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468A (ko) 2009-08-05
US20090195142A1 (en) 2009-08-06
US8128840B2 (en)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96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
KR10093796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
KR1009329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적색 형광체 및 이를 포함하는디스플레이 장치
US20060152135A1 (en) Phosphor and plasma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KR10093298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용 녹색 형광체 및 이를 포함하는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110062155A (ko) 녹색 형광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KR100903627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형광체 조성물
JP200807508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緑色蛍光体及びそれを利用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110710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용 녹색 형광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90256465A1 (en) Green phosph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0312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적색 형광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07086B1 (ko) 녹색 형광체 및 그 제조방법과 상기 녹색 형광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EP1411103A1 (en) Plasma display panel with a green phosphor composed of a mixture of aluminates of spinel structure
JPWO2007013515A1 (ja) ガス放電発光パネル
EP2292719A1 (en) Green phosphor and plasma display panel comprising same
KR2010005730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녹색 형광체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용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